KR20200037609A -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 Google Patents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609A
KR20200037609A KR1020180117045A KR20180117045A KR20200037609A KR 20200037609 A KR20200037609 A KR 20200037609A KR 1020180117045 A KR1020180117045 A KR 1020180117045A KR 20180117045 A KR20180117045 A KR 20180117045A KR 20200037609 A KR20200037609 A KR 20200037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ide plate
movable side
pressure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5588B1 (ko
Inventor
정헌술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5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6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082Details specially related to intermeshing engagement type machines or pumps
    • F04C2/084Toothed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2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 F04C2/1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 F04C2/16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with helical teeth, e.g. chevron-shaped, scre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3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2/3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s F04C2/08 or F04C2/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형 유체펌프는, 유체가 들어오는 유입구와,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유입구 측으로 들어오는 유체를 상기 유출구 측으로 이송하는 회전이송부;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유체이송영역을 형성하며, 전체 면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가동측판; 상기 유출구에서 배출된 유체가 흐르도록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는 유출관; 상기 유출관에 구비되며, 구비된 위치를 경계로 유체의 압력차를 형성하는 오리피스;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하기 전의 유체를 분기하여 상기 가동측판을 가압하는 제1압력조절관; 및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한 후의 유체를 분기하여 상기 가동측판을 가압하는 제2압력조절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압력조절관 및 상기 제2압력조절관 내의 유체 압력에 따라 상기 가동측판을 이동시켜 상기 오리피스 전후의 압력차를 조절하고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FLOW CONTROL TYPE FLUID PUMP}
이하의 설명은 유량제어형 유체펌프에 관한 것이다.
유체펌프는 압력작용에 의하여 액체나 기체와 같은 유체를 배관을 통해서 수송하거나, 저압의 용기 속에 있는 유체를 배관을 통하여 고압의 용기 속으로 압송하는 장치로서, 하수처리시설 등의 환경오염 방지시설, 원유나 천연가스 등의 유정(油井)시설, 화학산업용 유체이송 설비, 양수(揚水)시설, 자동제어용 유압펌프 등에 이르기까지 유체 이송을 위한 수단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체펌프는 구동부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기어, 날개(Blade), 또는 베인(Vane)과 같은 회전자(Rotor)를 통해 유입구 측의 유체를 유출구 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유체는 회전자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유속이 증가하여 압력이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펌프는 구동부와 회전자를 통해 상대적으로 저압인 영역에 위치한 유체를 고압인 영역으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유체펌프는 회전자의 회전 속도에 의해 배출되는 유량이 조절되므로, 회전자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유출구로 배출되는 유량의 조절이 불가능하였다. 이로 인해 회전자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유체펌프는 필요 이상의 유체를 이송하여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유체펌프는 압력보상형 유량제어 밸브를 구성하여 유체펌프에서 토출되는 유량을 조절하였다. 다만 압력보상형 유량제어 밸브는 구성요소가 많아 유체펌프의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선행기술에 해당하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03072호의 유체펌프는 유체 유도관(20)과 유량조절밸브(21)로 구성된 유량조절장치를 통해 케이싱(10) 내부의 유체를 유체 흡입구(10a) 측으로 역류시킴으로써, 토출구 측 유량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로우터(1A, 1B)의 회전에 따라 이송된 유체를 유체 흡입구(10a) 측으로 되돌려 보낸다는 점에서, 특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동력을 소모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03072호(2001.07.0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출구와 연결된 유출관에 압력보상형 유량제어 밸브를 구성하지 않고,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오리피스 전후의 압력차를 조절하여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형 유체펌프는, 유체가 들어오는 유입구와,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유입구 측으로 들어오는 유체를 상기 유출구 측으로 이송하는 회전이송부;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유체이송영역을 형성하며, 전체 면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가동측판; 상기 유출구에서 배출된 유체가 흐르도록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는 유출관; 상기 유출관에 구비되며, 구비된 위치를 경계로 유체의 압력차를 형성하는 오리피스;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하기 전의 유체를 분기하여 상기 가동측판을 가압하는 제1압력조절관; 및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한 후의 유체를 분기하여 상기 가동측판을 가압하는 제2압력조절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압력조절관 및 상기 제2압력조절관 내의 유체 압력에 따라 상기 가동측판을 이동시켜 상기 오리피스 전후의 압력차를 조절하고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는 유체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을 수 있는 유량조절유닛을 더 포함하여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압력조절관은 상기 오리피스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 측의 유출관과 연결되어 유체를 상기 가동측판의 일측을 향해 분기하고, 상기 제2압력조절관은 상기 오리피스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 측과 대향되는 방향의 유출관과 연결되어 유체를 상기 가동측판의 타측을 향해 분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압력조절관은 상기 가동측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이송부 측의 하우징을 관통하고, 상기 제2압력조절관은 상기 가동측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이송부 측과 대향되는 방향의 하우징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압력조절관 및 상기 제2압력조절관 중 하나 이상에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측판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압력조절관 및 상기 제2압력조절관 중 설치된 관 내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상기 가동측판의 이동을 조절하는 가동측판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측판 조작부는 상기 제1압력조절관 및 상기 제2압력조절관 중 하나 이상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측판 조작부는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입구 측 부분과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가동측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측판에 가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동측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이송부 측과 대향되는 방향의 하우징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력을 변경할 수 있는 조절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입구 측 부분을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출구 측 부분을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는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지며,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계수는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Leaf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이송부는 회전자(Rotor), 베인(Vane), 기어, 및 회전나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제어형 유체펌프는 로터리 펌프, 내접 기어펌프, 외접 기어펌프, 트로코이드(Trochoid) 펌프, 제로터 펌프(Gerotor), 베인 펌프, 및 나사 펌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형 유체펌프는, 유출구와 연결된 유출관에 압력보상형 유량제어 밸브를 구성하지 않고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오리피스 전후의 압력차를 조절하여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형 유체펌프는 오리피스 전후의 압력차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가동측판이 이동함에 따라 필요 이상의 유체가 회전이송부를 통해 유출구 측으로 이동하여 발생하는 동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형 유체펌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형 유체펌프의 유체이송영역 및 유출관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량제어형 유체펌프의 Y-Y'선을 따라 잘린 단면을 위에서 바라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유체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측판이 이동한 경우의 유량제어형 유체펌프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공지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상기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특정 부분이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상기 특정 부분은 상기 특정 구성 외의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의 유체이송영역(A) 및 유출관(170)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의 Y-Y'선을 따라 잘린 단면을 위에서 바라본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유체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측판(130)이 이동한 경우의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유체가 들어오는 유입구(111)와,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구(112)를 포함하는 하우징(110); 회전이송부(120); 가동측판(130); 유출관(170); 제1압력조절관(141) 및 제2압력조절관(142)을 포함한다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로터리 펌프, 내접 기어펌프, 외접 기어펌프, 트로코이드(Trochoid) 펌프, 제로터(Gerotor) 펌프, 베인(Vane) 펌프, 및 나사 펌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펌프의 원리는 공지기술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외접 기어펌프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그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1)와 유출구(112)가 형성되고, 그 일측면은 나사 등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유입구(111)에서 들어온 유체가 유출구(112) 측으로 이동하는 통로인 유체이송영역(A)이 형성된다. 한편,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는 동일한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이송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유입구(111) 측으로 들어오는 유체를 유출구(112) 측으로 이송한다. 회전이송부(120)는 회전자(Rotor), 베인(Vane), 기어, 및 회전나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회전함에 따라 유체를 이송한다. 외접 기어펌프 방식을 사용하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에서 회전이송부(120)는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어(121)는 하우징(110) 내부의 유체이송영역(A)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구동기어(121)는 구동기어(121)의 회전축을 따라 연장 형성된 구동축(122)과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구동축(122)은 구동기어(121)와 관통 연결되어 모터 등의 외부 동력원에서 제공된 회전 동력을 구동기어(121)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축(122)은 일단부가 하우징 일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11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축(122)이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축(122)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와 하우징(110)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종동기어(123)는 유체이송영역(A)에서 구동기어(121)와 외접하여 구동기어(121)의 톱니와 맞물리도록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구동기어(121)와 종동기어(123)는 접하는 부분이 유입구(111) 및 유출구(112)의 연장선과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종동기어(123)는 종동기어(123)의 회전축을 따라 연장 형성된 종동축(124)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종동축(124)은 종동기어(123)와 관통 연결되어 하우징(110)의 내벽에 일정 깊이만큼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종동기어(123)와 종동축(124) 사이에 베어링이 설치되면, 종동축(124)은 종동기어(123)가 회전하더라도 하우징(110)의 내벽에 고정된다. 이와 달리, 종동축(124)은 그 양단부가 하우징(110)의 내벽에 베어링과 함께 설치되어 종동기어(123)와 함께 하우징(110)에 대해 회전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이송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가 회전함에 따른 톱니의 이동을 통해 유입구(111) 측의 유체를 유출구(112) 측으로 이송한다. 유출구(112) 측으로 이송된 유체는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압력(P)이 증가한다. 이때,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의 유체 이송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유체이송영역(A)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내벽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의 적어도 일부분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이송영역(A)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내벽과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의 측면 사이의 간격, 즉 하우징(110)의 내벽과 회전이송부(120)의 일측 사이의 간격은 10~50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간극을 갖출 수 있다.
한편, 가동측판(130)은 회전이송부(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하우징(110)과 함께 유체이송영역(A)을 형성하며, 전체 면적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10)의 일면과 회전이송부(120)의 일측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측판(130)은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의 일측면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이송영역(A)은 하우징(110)의 내벽과 가동측판(130)이 회전이송부(120)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된다.
이하에서 가동측판(130)을 기준으로 회전이송부(120) 측의 하우징 일면을 제1하우징면(113)이라고 정의하고, 가동측판(130)을 기준으로 회전이송부(120) 측과 대향되는 방향의 하우징 일면을 제2하우징면(114)이라고 정의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하우징면(113)은 가동측판(130)을 기준으로 하우징(110)의 우측(도면 기준) 부분을, 제2하우징면(114)은 가동측판(130)을 기준으로 하우징(110)의 좌측(도면 기준) 부분을 의미한다.
가동측판(130)은 다양한 모양을 가진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측판(130)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위치에서 가동측판(130)과 접촉하는 하우징(110)의 내벽이 형성하는 모양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동측판(130)은 구동축(122) 및 종동축(124)과 관통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유체이송영역(A)의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동측판(130)은 그 테두리와 구동축(122) 및 종동축(124)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에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가동측판(130)의 형상 및 설치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동측판(1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면(114)과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가동측판(130)은 그 일부만이 이동할 수도 있고, 전체부분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때 가동측판(130)의 이동된 부분은 구동기어(121) 및/또는 종동기어(123)와 1mm 이내로 이격될 수 있다.
가동측판(130)의 일부 면적만이 이동하는 경우, 가동측판(130)의 유출구(112) 측 단부는 하우징(110)에 고정되고, 가동측판(130)은 고정된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은 가동측판(130)의 유출구(112) 측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가동측판(130)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동측판(130)의 회전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110)은 가동측판(130)의 유입구(111) 측 단부와 인접한 부분이 경사지거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가동측판(130)의 이동에 따른 상기 유체이송영역(A)의 부피 변화를 이용하여 유출구(112) 측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가동측판(130)이 이동하면,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와 가동측판(130)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C)가 형성되어 유체이송영역(A)의 부피는 증가한다. 이 틈새(C)를 통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유입구(111) 측으로 바이패스 유량이 발생한다. 즉, 유체이송영역(A)의 유체는 유입구(111) 측에서 유출구(112) 측까지 연속적으로 바이패스 되어 유출구(112) 측에 도달하는 유체의 양이 감소한다. 그 결과, 유출구(112) 측 압력은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동측판(130)을 포함하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유출구(112) 측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가동측판(130)의 이동은 유출관(170)과 연결된 제1압력조절관(141) 및 제2압력조절관(142)에서 분기되는 유체의 가압력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그 구성과 원리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유출관(170)은 유출구(112)에서 배출된 유체가 흐르도록 유출구(112)와 연결된다. 유출관(170)은 회전이송부(120)에 의해 압력이 상승한 유체를 이송시키는 관으로 다양한 형상의 단면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출관(17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유출구(112)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유출구(112)에 연결된다.
이러한 유출관(170)에는 오리피스(171)가 구비되며, 오리피스(171)는 유출관(170) 내에서 구비된 위치를 경계로 유체의 압력차를 형성한다. 또한, 오리피스(171)는 유체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리피스(17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관(170) 중 유출구(112)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에서 유출관(17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오리피스(171)의 위치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출관(170)의 관로 단면적보다 작은 구멍이 형성된 판 형태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유출관(17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오리피스(171)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은 오리피스(171) 전후의 압력차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상기 압력차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오리피스(171)를 포함하는 유출관(170)에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오리피스(171)가 형성하는 관통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을 수 있는 유량조절유닛(172)을 더 포함하여 오리피스(171)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유닛(17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관(170) 중 오리피스(171)가 구비된 부분의 외측에서 유출관(170) 내부로 관통되는 나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량조절유닛(172)은 외부 조작에 의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량조절유닛(172)은 오리피스(171)가 형성하는 관통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을 수 있고, 오리피스(171) 전후의 압력차가 일정한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오리피스(171)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유량조절유닛(172)은 판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내부에 흐르는 유체 압력에 따라 가동측판(130)을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제1압력조절관(141) 및 제2압력조절관(14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압력조절관(141)은 유출관(170)과 연결되며 오리피스(171)를 통과하기 전의 유체를 분기하여 가동측판(130)을 가압하고, 제2압력조절관(142)은 유출관(170)과 연결되며 오리피스(171)를 통과한 후의 유체를 분기하여 가동측판(130)을 가압한다. 따라서,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제1압력조절관(141) 및 제2압력조절관(142)을 통해 오리피스(171)를 통과하기 전과 후의 유체가 가진 압력을 이용하여 가동측판(130)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압력조절관(141) 및 제2압력조절관(142)은 유체를 가동측판(130)에 분기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압력조절관(141)은 오리피스(171)를 기준으로 하우징(110) 측의 유출관(170)과 연결되어 유체를 가동측판(130)의 일측을 향해 분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압력조절관(14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관(170)에서 오리피스(171)보다 유출구(112)와 가까운 부분에 연결되어 유체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압력조절관(141)은 오리피스(171)를 통과하기 전의 유체를 가동측판(130)의 우측(도 3 및 도 4 기준)에 분기한다.
제2압력조절관(142)은 오리피스(171)를 기준으로 하우징(110) 측과 대향되는 방향의 유출관(170)과 연결되어 유체를 가동측판(130)의 타측을 향해 분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압력조절관(14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관(170)에서 오리피스(171)보다 유출구(112)와 먼 부분에 연결되어 유체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압력조절관(142)은 오리피스(171)를 통과한 후의 유체를 가동측판(130)의 좌측(도 3 및 도 4 기준)에 분기한다.
여기서 제1압력조절관(141) 및 제2압력조절관(142)이 유체를 특정 대상, 예를 들어 가동측판(130)으로 분기한다는 것은, 유체가 제1압력조절관(141) 및 제2압력조절관(142)으로부터 토출되어 특정 대상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는 물론, 유체가 제1압력조절관(141) 및 제2압력조절관(142) 내에서 특정 대상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압력조절관(141) 및 제2압력조절관(142)이 유체를 가동측판(130)의 일측 및 타측을 향해 분기하기 위하여, 제1압력조절관(141)은 가동측판(130)을 기준으로 회전이송부(120) 측의 하우징(110)을 관통하고, 제2압력조절관(142)은 가동측판(130)을 기준으로 회전이송부(120) 측과 대향되는 방향의 하우징(110)을 관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압력조절관(141)은 하우징(110)의 우측을 관통하여 가동측판(130)을 향해 형성될 수 있고, 제2압력조절관(142)은 하우징(110)의 좌측을 관통하여 가동측판(130)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1압력조절관(141) 및 제2압력조절관(142)은 다양한 형상 및 설치형태를 가지고 하우징(110)과 연결되어 가동측판(130)을 가압할 수 있다.
오리피스(171)를 통과하기 전과 후의 유체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가동측판(130)을 가압할 수 있다.
먼저, 오리피스(171)를 통과하기 전과 후의 유체는 해당 위치의 압력에 의해 일부가 제1압력조절관(141) 및 제2압력조절관(142)으로 각각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유체는 압력을 대부분 유지한 채 각 압력조절관을 따라 이동하여 가동측판(130)의 일측 및 타측을 향해 분기된다. 분기된 유체는 가동측판(130)을 가압하여 가동측판(130)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오리피스(171)를 통과하기 전과 후의 유체 압력에 따라 가동측판(1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가동측판(130)에 대한 가압은 유체가 가동측판(130)에 직접 접촉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유체가 후술할 가동측판 조작부(150)를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제1압력조절관(141) 및 제2압력조절관(142) 내의 유체 압력에 따라 가동측판(130)을 이동시켜 오리피스(171) 전후의 압력차를 조절하고 오리피스(171)를 통과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리피스(171)를 통과하기 전의 유체와 통과한 후의 유체 중 적어도 한쪽의 유체 압력이 변화하면, 제1압력조절관(141) 및 제2압력조절관(142)에 유입된 유체의 압력도 변화한다. 그 결과, 제1압력조절관(141) 내의 유체가 가동측판(130)을 가압하는 힘인 F1과, 제2압력조절관(142) 내의 유체가 가동측판(130)을 가압하는 힘인 F2도 변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측판(130)은 F1 및 F2의 크기에 따라 틈새(C)를 형성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가동측판(130)의 이동에 의해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압력보상형 유량제어 밸브를 구성하지 않고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오리피스(171)를 통과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리피스(171)를 통과하기 전의 유체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F1의 크기가 증가하여 가동측판(130)은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러면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와 가동측판(130) 사이에 틈새(C)가 형성되고, 일부 유체가 유입구(111) 측으로 바이패스 되어 유출구(112) 측 유체의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그 결과, 유출구(112)와 연결된 유출관(170)에서 오리피스(171)를 통과하기 전의 유체 압력도 감소하게 되고, 결국 오리피스(171) 전후의 압력차가 조절되거나 설정된 압력차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차의 조절 또는 유지에 따라 오리피스(171)를 통과하는 유량이 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오리피스(171)를 통과한 후의 유체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F2의 크기가 증가하여 가동측판(130)은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러면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와 가동측판(130) 사이에 틈새(C)가 감소하게 되고, 유입구(111) 측으로 바이패스 되는 유체가 감소하여 유출구(112) 측 유체의 압력이 증가한다. 그 결과, 유출구(112)와 연결된 유출관(170)에서 오리피스(171)를 통과하기 전의 유체 압력도 증가하게 되고, 결국 오리피스(171) 전후의 압력차가 조절되거나 설정된 압력차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차의 조절 또는 유지에 따라 오리피스(171)를 통과하는 유량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압력보상형 유량제어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종래의 유체펌프와 달리, 오리피스(171) 전후의 압력차를 조절하거나 유지하면서도 오리피스(171)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제1압력조절관(141) 및 제2압력조절관(142) 중 하나 이상에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동측판(130)과 접촉된 상태에서 제1압력조절관(141) 및 제2압력조절관(142) 중 설치된 관 내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가동측판(130)의 이동을 조절하는 가동측판 조작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동측판 조작부(150)는 제1압력조절관(141) 및/또는 제2압력조절관(142) 내의 유체 압력에 의해 이동하여 가동측판(130)에 압력을 전달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가진 핀, 나사, 막대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측판 조작부(150)는 제1압력조절관(141) 및/또는 제2압력조절관(142)의 일단에 결합되어 각각의 관 내의 유체 압력을 효율적으로 가동측판(13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동측판 조작부(150)는 일단이 가동측판(130)과 접촉하고, 타단은 제1압력조절관(141) 및/또는 제2압력조절관(142)의 일단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압력조절관(141) 및/또는 제2압력조절관(142)의 일단은 제1압력조절관(141) 및/또는 제2압력조절관(142)에서 가동측판(130)과 인접한 단부를 의미한다.
가동측판 조작부(150)가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동측판(130)을 향해 이동하면, 가동측판 조작부(150)와 접촉된 가동측판(130)은 가동측판 조작부(150)의 이동 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측판 조작부(150)가 가동측판(130)과 연결되는 경우, 가동측판(130)은 가동측판 조작부(15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왕복 이동과 연동하여 제2하우징면(114)과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동측판 조작부(150)에서 제1압력조절관(141) 및/또는 제2압력조절관(142)에 결합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그 단면적이 제1압력조절관(141) 및/또는 제2압력조절관(142)의 단면적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동측판 조작부(150)는 제1압력조절관(141) 및/또는 제2압력조절관(142)에서 가동측판(130)을 향해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압력조절관(141) 및/또는 제2압력조절관(142)의 내부에서 흐르는 유체는 가동측판 조작부(150)를 집중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가동측판 조작부(150)가 이동함에 따라 이탈되지 않도록, 제1압력조절관(141) 및/또는 제2압력조절관(142)은 가동측판(130) 측 단부에 가동측판 조작부(150)의 이탈을 방지하는 턱과 같은 구성을 갖출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동측판 조작부(150)를 통하여,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제1압력조절관(141) 및/또는 제2압력조절관(142)으로 유입된 유체가 가동측판(130)을 가압하지 않고 단순히 유입구(111) 측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체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가동측판 조작부(150)는 가동측판(130)의 유입구(111) 측 부분과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압력조절관(141) 및/또는 제2압력조절관(142)의 일단은 하우징(110)의 유입구(111) 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입구(111) 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의 중심을 가로질러 통과하는 경계선(X)을 중심으로 유입구(111) 측에 가까운 부분을 의미한다. 반대로 유출구(112) 측은 경계선(X)을 중심으로 유출구(112) 측에 가까운 부분을 의미한다.
유입구(111) 측에서 가동측판(130)과 접촉하는 가동측판 조작부(150)는 가동측판(130)의 유입구(111) 측 부분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틈새(C)는 유입구(111) 측에 주로 형성된다. 그 결과, 유체이송영역(A)에 위치하는 유체 중에서, 유입구(111) 측의 유체는 유출구(112) 측의 유체에 비해 더 많이 유입구(111) 측으로 바이패스 된다. 틈새(C)가 형성되기 전에, 유입구(111) 측의 유체는 유출구(112) 측의 유체보다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의 회전에 의한 가압력을 적게 받는다. 따라서,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유출구(112) 측의 압력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유입구(111) 측에서 가동측판(130)과 접촉하는 가동측판 조작부(150)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의 동력에 의해 이미 압력이 상승한 유체가 유입구(111) 측으로 바이패스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오리피스 전후의 압력차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가동측판(130)이 이동함에 따라 필요 이상의 유체가 회전이송부를 통해 유출구 측으로 이동하여 발생하는 동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제1압력조절관(141) 및/또는 제2압력조절관(142)은 하우징(110)의 유입구(111) 측이 아닌 부분에 형성되거나 그러한 제1압력조절관(141) 및/또는 제2압력조절관(142)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압력조절관(141) 및/또는 제2압력조절관(142)은 유체를 분기하여 가동측판(130)의 유입구(111) 측 부분과 유출구(112) 측 부분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가동측판(130)의 전체면적을 동일한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하우징(110)의 일면과 가동측판(130)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측판(130)에 가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가동측판(130)을 기준으로 회전이송부(120) 측과 대향되는 방향의 하우징(110) 일면, 즉 제2하우징면(114)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160)는 유체이송영역(A)과 분리되어 있어 유체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탄성부재(160)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60)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탄성부재(160)는 제1압력조절관(141) 및/또는 제2압력조절관(142) 내의 유체 압력이 변화함에 따라 이동하게 된 가동측판(130)을 원래 위치로 돌아가도록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60)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에서 오리피스(171) 전후의 압력차가 변하지 않는 경우, 가동측판(130)에 작용하는 힘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60)는 유입구(111)의 유체의 압력 변화를 보상하여 예상치 않게 가동측판(13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은 가동측판(130)이 회전이송부(120)의 회전반경 안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탄성부재(160)의 가압력에 불구하고 가동측판(130)의 이동을 방지하는 돌기 내지 단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리피스(171)를 통과하기 전의 유체 압력이 오리피스(171)를 통과한 후의 유체 압력보다 크기 때문에, 제1압력조절관(141) 내의 유체가 가동측판(130)을 가압하는 힘인 F1은 제2압력조절관(142) 내의 유체가 가동측판(130)을 가압하는 힘인 F2보다 크다. 따라서, 탄성부재(160)는 제2하우징면(114)에 설치되어 탄성부재(160)의 가압력과 F2를 더한 힘의 크기가 F1과 같도록 하여 가동측판(130)에 작용하는 힘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가동측판(130)의 유입구(111) 측 부분을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161)와, 가동측판(130)의 유출구(112) 측 부분을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161)는 가동측판(130)의 유입구(111) 측 부분을 가압하고, 제2탄성부재(162)는 가동측판(130)의 유출구(112) 측 부분을 가압한다. 또한, 제1탄성부재(161) 및 제2탄성부재(162)는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탄성부재(161)의 탄성계수는 제2탄성부재(162)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탄성부재(162)는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유출구(112) 측의 유체에 의해 가동측판(130)의 유출구(112) 측 부분이 이동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유출구(112) 측에 틈새(C)가 형성되어 동력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탄성부재(160)에 결합되어 탄성부재(160)의 가압력을 변경할 수 있는 조절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나사는 제2하우징면(114)을 관통하여 탄성부재(160)의 일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나사는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탄성부재(160)의 압축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가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조절나사는 회전함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외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에서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절나사의 일단부에 손잡이 기능을 하는 조절노브가 형성될 수 있다.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조절나사를 통해 탄성부재(160)의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오리피스(171)를 통과하는 유량을 유지하기 위한 오리피스(171) 전후의 압력차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설명을 위해 유입구(111) 측 유체가 가동측판(130)에 가하는 힘은 0으로 가정하고, 도 3을 참조하여 가동측판(130)에 작용하는 힘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F1은 제1압력조절관(141) 내의 유체가 가동측판(130)을 가압하는 힘을, F2는 제2압력조절관(142) 내의 유체가 가동측판(130)을 가압하는 힘을, FS는 탄성부재(160)가 가동측판(130)을 가압하는 힘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압력조절관(141) 및 제2압력조절관(142)의 단면적과 탄성부재(160)가 가동측판(130)을 가압하는 부분의 면적은 모두 같다고 가정하고 해당 면적을 A로 정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측판(130)에 작용하는 힘이 평형을 이루고 있는 경우 힘의 평형 방정식은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
압력의 정의는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이므로, 수학식 1에 A를 나누면 제1압력조절관(141) 및 제2압력조절관(142)이 가동측판(130)에 가하는 압력 P1 및 P2를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
위 수학식 2에서 오리피스(171) 전후의 압력차 ΔP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3
(수학식 3)
수학식 3을 참조하면 A는 상수이므로, 결국 가동측판(130)에 작용하는 힘이 평형인 경우의 압력차 ΔP는 탄성부재(160)의 가압력인 FS에 대한 함수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조절나사를 조작하여 탄성부재(160)의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오리피스(171) 전후의 압력차를 설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오리피스(171)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했다시피 유량제어 유체펌프(100)는 유량조절유닛(172)을 통해 오리피스(171) 전후의 압력차를 변경시키지 않고도 오리피스(171)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조절나사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탄성부재(160)의 탄성계수를 변경함으로써, 오리피스(171) 전후의 압력차를 설정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판 스프링(Leaf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판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에 비해 탄성 변형 길이가 짧다. 따라서, 탄성부재(160)로 판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코일 스프링만을 구성하는 것보다 제2하우징면(114)과 가동측판(130) 사이의 공간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량제어형 유체펌프(100)는 불필요한 공간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함께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분산되어 실시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실시예 각각에서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도 서로 분산되어 실시되거나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110: 하우징
111: 유입구 112: 유출구
120: 회전이송부 121: 구동기어
122: 구동축 123: 종동기어
124: 종동축 130: 가동측판
141: 제1압력조절관 142: 제2압력조절관
150: 가동측판 조작부 160: 탄성부재
170: 유출관 171: 오리피스
172: 유량조절유닛 C: 틈새
X: 경계선

Claims (15)

  1. 유체가 들어오는 유입구와,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유입구 측으로 들어오는 유체를 상기 유출구 측으로 이송하는 회전이송부;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유체이송영역을 형성하며, 전체 면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가동측판;
    상기 유출구에서 배출된 유체가 흐르도록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는 유출관;
    상기 유출관에 구비되며, 구비된 위치를 경계로 유체의 압력차를 형성하는 오리피스;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하기 전의 유체를 분기하여 상기 가동측판을 가압하는 제1압력조절관; 및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한 후의 유체를 분기하여 상기 가동측판을 가압하는 제2압력조절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압력조절관 및 상기 제2압력조절관 내의 유체 압력에 따라 상기 가동측판을 이동시켜 상기 오리피스 전후의 압력차를 조절하고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는 유체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을 수 있는 유량조절유닛을 더 포함하여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력조절관은 상기 오리피스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 측의 유출관과 연결되어 유체를 상기 가동측판의 일측을 향해 분기하고,
    상기 제2압력조절관은 상기 오리피스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 측과 대향되는 방향의 유출관과 연결되어 유체를 상기 가동측판의 타측을 향해 분기하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력조절관은 상기 가동측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이송부 측의 하우징을 관통하고,
    상기 제2압력조절관은 상기 가동측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이송부 측과 대향되는 방향의 하우징을 관통하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력조절관 및 상기 제2압력조절관 중 하나 이상에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측판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압력조절관 및 상기 제2압력조절관 중 설치된 관 내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상기 가동측판의 이동을 조절하는 가동측판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판 조작부는 상기 제1압력조절관 및 상기 제2압력조절관 중 하나 이상의 일단에 결합되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판 조작부는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입구 측 부분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가동측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측판에 가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동측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이송부 측과 대향되는 방향의 하우징 일면에 설치되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력을 변경할 수 있는 조절나사를 더 포함하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입구 측 부분을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출구 측 부분을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는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지며,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계수는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Leaf Spring)을 포함하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송부는 회전자(Rotor), 베인(Vane), 기어, 및 회전나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형 유체펌프는 로터리 펌프, 내접 기어펌프, 외접 기어펌프, 트로코이드(Trochoid) 펌프, 제로터 펌프(Gerotor), 베인 펌프, 및 나사 펌프 중 어느 하나인,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KR1020180117045A 2018-10-01 2018-10-01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KR102115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045A KR102115588B1 (ko) 2018-10-01 2018-10-01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045A KR102115588B1 (ko) 2018-10-01 2018-10-01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609A true KR20200037609A (ko) 2020-04-09
KR102115588B1 KR102115588B1 (ko) 2020-05-26

Family

ID=7027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045A KR102115588B1 (ko) 2018-10-01 2018-10-01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4361B1 (en) * 2022-02-16 2023-04-11 Caterpillar Inc. Anchored low pressure gear pump wear pla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072B1 (ko) 1998-11-02 2001-11-22 김천경 용적형유체펌프의유량조절장치
JP2002106479A (ja) * 2000-09-29 2002-04-10 Tokico Ltd 可変容量ギヤポン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072B1 (ko) 1998-11-02 2001-11-22 김천경 용적형유체펌프의유량조절장치
JP2002106479A (ja) * 2000-09-29 2002-04-10 Tokico Ltd 可変容量ギヤポン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4361B1 (en) * 2022-02-16 2023-04-11 Caterpillar Inc. Anchored low pressure gear pump wear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588B1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5625B2 (ja) 複制御チャンバ付き可変容量形ベーンポンプ
KR0160947B1 (ko) 다중 포트로 유출시키는 펌프
JP6697379B2 (ja) アキシャルピストンポンプ
US9903367B2 (en) Variable displacement oil pump
EP2038554B1 (en) A variable capacity pump with dual springs
US8926298B2 (en) Hydraulic piston pump with a variable displacement throttle mechanism
JPS6158674B2 (ko)
US2229715A (en) Pump and motor
US20100119383A1 (en) Pump unit comprising a main pump and a charge pump with a variable pump capacity
JPH0868377A (ja) 可変搬送ポンプ
US20100247338A1 (en) High pressure variable displacement piston pump
CN100460672C (zh) 输送润滑油的泵系统
KR102115588B1 (ko)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US5800136A (en) Pump with bypass valve
US2708884A (en) High speed and pressure vane pump
EP1963678B1 (en) A screw compressor
US4551079A (en) Rotary vane pump with two axially spaced sets of vanes
CN114729570A (zh) 用于可变冲程泵的倾斜连杆
KR101976976B1 (ko)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CN105179193A (zh) 用于静液压活塞机的调节装置和静液压轴向活塞机
RU2150026C1 (ru) Плунжерный насос сверх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KR101976975B1 (ko) 가변용량형 유체펌프
CS199284B2 (en) Apparatus for low-loss changes of delivery rate in positive-displacement pumps by periodically distributing the discharge quantities
EP3020967B1 (en) Pump device
RU2169861C2 (ru) Винтовой насо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