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595A -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 Google Patents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595A
KR20200037595A KR1020180117018A KR20180117018A KR20200037595A KR 20200037595 A KR20200037595 A KR 20200037595A KR 1020180117018 A KR1020180117018 A KR 1020180117018A KR 20180117018 A KR20180117018 A KR 20180117018A KR 20200037595 A KR20200037595 A KR 20200037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lation
pocket
cancer diagnosis
aerobic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코 카사마
권민상
권위상
명관 이
인기욱
박남현
강우신
Original Assignee
권민상
권위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민상, 권위상 filed Critical 권민상
Priority to KR1020180117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7595A/ko
Priority to CN201980060107.6A priority patent/CN112689753A/zh
Priority to PCT/KR2019/010737 priority patent/WO2020040584A1/ko
Publication of KR20200037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97Devices for facilitating collection of breath or for directing breath into or through measur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진단을 위해 호기를 포집하는 장치로써,
내부에 호기가 모아지는 포집공간이 마련된 호기포켓; 상기 호기포켓을 감싸며, 이 호기포켓의 팽창을 제한하여 정량의 호기만 포집되도록 하는 정량외피; 상기 호기포켓과 연통하고, 피시술자의 입에 대고 불어 호기가 포집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호기유입관;으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Description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Breathing collecing device to diagnose cancer}
본 발명은 호기(呼氣, 날숨)에 포함된 암기인물질(암을 원인으로 하여 발생하는 물질)을 포집하여 폐암 발생 여부 및 암 발생 여부를 진단할 수 있도도록 하는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량의 호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고, 나아가 다른 사람의 호기와 중복되는 일이 없어 오진할 염려가 없고,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호기를 포집할 수 있는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방진단의학과 의료복지 및 의학기술의 발달로 암에 대한 정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암은 여전히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위협 중 하나이다.
국내의 암 발생률은 암 발생통계를 산출하기 시작한 1999년 이후 2012년까지 연평균 3.6%로 증가를 하다가 2012년 이후 평균 6.1% 하락하였으나 최근 다시 증가하는 추세로 전환되었다. 2015년 국내 암 발생자수는 약21만 5천명으로 인구 10만 명당 421.4명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암 생존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1995년 약 40%이던 5년 상대생존율은 2015년 약 70.7%까지 증가하였다. 이는 암 환자 3명 중 2명은 5년 이상 생존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암 발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악성으로의 진행은 억제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암의 완치, 또는 악성으로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제일 중요한 사항은 암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암의 경우 사망률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데 이는 암 조기 검진에 따른 조기 치료로 완치율이 높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에 폐암 사망률은 2006년 28.7명에서 2016년 35.1명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폐암의 경우 조기 발견이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폐암은 공기가 많은 폐에 발생하므로 X-ray 같은 영상 장비로는 초기 암 검출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폐는 공기와 접촉하는 부분이라 폐암에서 발생하는 암기인물질의 혈액이나 소변에 대한 용존량이 극미하여 기존의 정밀도를 갖는 기술로는 초기 암 검출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대부분의 폐암이 많이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어 실질적인 치료 골든타임을 놓치게 되고, 이로 인해 치료 불능 상태에 빠지게 되어 생존율이 저하된다.
최근 호흡가스를 이용한 진단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국내 특허 10-1467482호는 암 환자의 날숨에 특이적으로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암 의심환자로부터 채취된 호흡가스에서 암 특이 VOC의 이온화 단편인 분자량이 (i) 69, (ii) 131 및 (iii) 181인 물질의 유무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호기를 포집할 수 있는 마땅한 장치가 없어, 피시술자에게 마스크 형태의 호흡기를 착용하게 한 다음 지속적으로 호흡을 하게 함으로써, 피시술자가 불편하고, 들숨과 날숨이 반복되어 검출이 어렵고, 또한 측정에 필요한 량을 확보하기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필요한 량의 호기를 포집하여 암진단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취급이 용이하고, 제작이 간편하며, 또한 휴대가 가능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 없이 포집이 가능하고,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호기를 포집하여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암진단을 위해 호기를 포집하는 장치로써,
내부에 호기가 모아지는 포집공간이 마련된 호기포켓; 상기 호기포켓을 감싸며, 이 호기포켓의 팽창을 제한하여 정량의 호기만 포집되도록 하는 정량외피; 상기 호기포켓과 연통하고, 피시술자의 입에 대고 불어 호기가 포집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호기유입관;으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호기포켓은 고무풍선, 실리콘 또는 비닐로 구성되며, 일측에 상기 호기유입관이 끼워지는 공급관이 구비되고, 대향측에 포집된 호기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구비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호기포켓의 일측에 구비된 배출관에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센서가 끼워지고, 이 호기포켓의 상기 공급관과, 배출관 각각에 한쪽 방향으로만 개방되는 일방향성 밸브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암진단에 필요한 호기를 포집하는 것으로, 정량외피를 구비하여 암진단에 필요한 정량의 호기를 포집하고, 포집된 호기는 외부 유출을 방지하면서 이동이 가능하여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취급이 용이하고, 휴대가 가능하여 어느 장소 및 시간에도 포집이 가능하며, 호기포켓을 교체하여 여러 차례 시간 간격으로 두고 호기를 포집하여 암진단으로써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또 본 발명은 호기포켓의 교체가 용이하여 여러 사람이 빠른 시간에 호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휴대용 포집장치로 구성하여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기포집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기포집장치의 정단면도,
도 3a, b는 본 발명에 따른 호기포집장치를 이용한 포집 및 진단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기포집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호기포집장치에 호기가 포집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호기포집장치에 적용되는 정량외피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일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호기포집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호기포집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호기포집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호기포집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호기포집장치의 일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호기포집장치의 단면도.
본 발명의 구성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 및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거나 발명의 의미를 한정적으로 해석되게 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상에 비록 단수적 표현으로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국어사용에 있어서 단수/복수를 명확하게 구분 짓지 않고 사용되는 환경과 당해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용어 사용 환경에 비추어, 발명의 개념에 반하지 않고 해석상 모순되거나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었거나 기재될 수 있는 '포함한다', '갖는다', '구비한다',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구성요소 또는 그들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기포집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기포집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 3a, b는 본 발명에 따른 호기포집장치를 이용한 포집 및 진단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기포집장치의 분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호기포집장치에 호기가 포집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호기포집장치에 적용되는 정량외피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일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호기포집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호기포집장치는 특별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11 내지 13은 휴대가 간편하게 구성된 것으로 휴대용이라 할 수 있다.
하나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호기포집장치(10)는 날숨을 포집하는 호기포켓(100)과, 이 호기포켓(100)이 더 이상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량이 포집되도록 하는 정량외피(200)로 구성된다.
상기 호기포켓(100)은 호기 즉 날숨이 주입되도록 연질 예를 들어 고무 풍선, 연질 실리콘 또는 비닐, 플라스틱 등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고무 풍선 또는 비닐이 좋다. 상기 호기포켓(100)의 내부 공간에는 호기를 포집하는 포집공간(120)이 마련되고, 양측 각각에는 연장부가 구비되어 일측은 호기가 유입되는 공급관(140)으로, 대향측은 포집된 호기를 배출하는 배출관(160)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상기 공급관(140)과 배출관(160)은 포집공간(120)을 구성하는 상기 고무 또는 비닐보다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어 각각에 일방향성밸브가 구비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공급관과 배출관이 연질로 구성되는 것도 무방하지만 후술하는 호기유입관과, 암진단센서를 편리하게 끼워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호기유입관(12)은 전면에 확관되어 입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깔대기 형태이거나, 반대로 입으로 무는 부분이 얇아지는 후루라기 형태이거나 또는 원통 및 4각, 다각 형태의 관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호기유입관(12)은 1회용으로 사용 후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호기유입관을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것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방향성밸브는, 상기 공급관(140)과 배출관(160) 각각에 설치되며, 공급관(140)에 설치되는 일방향성공급밸브(300)는, 호기는 포집공간(120)으로 유입시키고 배출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배출관(160)에 설치되는 일방향성배출밸브(400) 역시 포집된 호기의 배출은 허용하지 않고, 다만 외부에서 강제로 열었을 때만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일방향성밸브는 체크 밸브 또는 도면과 같이 탄성이 있는 막으로 구성되어 일부분이 접착된 상태에서 개폐되는 형태 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방향 밸브는 어떠한 구성도 적용될 수 있다. 도면의 탄성 막을 이용하는 형태는 하나의 실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정량외피(200)는 상기 호기포켓(100)을 감싸 일정량 이상의 호기만 포집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정량외피(200)는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도면과 같이 2개로 분할된 분할외피(220)(220a)가 결합되어 호기포켓을 감싸는 구성이다.
상기 분할외피의 각각에는 결합했을 때 서로 맞닿는 플렌지(240)(240a)가 각각 구비되고, 이 플렌지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된 힌지(282)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서로 맞닿은 플렌지를 안쪽 결합공간에 끼워 호기를 포집할 때 벌어지지도록 않도록 하는 클립(280)이 구비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클립은 1개만 도시되어 있지만, 더 많은 클립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도면 부호 260은 상기 공급관과 배출관이 위치하는 연장관이며, 도면 부호 500은 암을 진단하는 센서이다. 이 센서는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호기 중 암유발물질을 검출하는 것으로, 도면의 형태의 실 예이고, 원통, 다각 또는 납작한 형태 등 여러 형태의 새로운 센서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500)에는 상기 배출관(160)에 설치되는 일방향성배출밸브(400)를 개방하는 밀대(520)가 설치된 구성으로, 센서가 완전히 끼워지면 밀대가 밸브를 개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피시술자 또는 간호사는 클립(280)을 회전시켜 분할외피(220)(220a)의 결합을 해지하고, 양측을 벌려 그 사이에 호기포켓(100)을 끼워넣는다. 분할외피를 닫고, 클립을 회전시켜 분할외피를 결속시킨다.
공급관(140)에는 유입관(12)을 끼우고, 피시술자는 유입관을 입 가까이 또는 입으로 물고, 호기(날숨)을 불어 넣는다, 주입되는 호기에 의해 부풀어진 호기포켓이 정량외피에 맞닿으면 더 이상 팽창 즉 부풀어지지 않고, 피시술자는 날숨을 주입을 멈춘다,
이때 일방향성공급밸브(300)는 날숨의 주입압력에 의해 개방되고, 호흡을 멈추면 자동으로 폐쇄되어 주입된 호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일방향성배출밸브도 페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 피시술자, 간호사 또는 의사는 배출관(160)에 암진단 센서(500)를 끼워 암발생원인물질을 검출한다. 센서가 끼워지면, 이 센서에 구비된 밀대(520)가 일방향성배출밸브(400)를 밀어 개방하며, 호기포켓(100)이 탄성력이 있는 경우 자연적으로 호기가 센서 방향으로 배출되어 검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닐과 같이 탄성력이 없는 경우 자동 또는 사람이 직접 눌러 회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첨부된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8 및 도 9는 암진단 센서와 호기포켓(100) 경우에 따라서는 정량외피와 센서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즉 센서에 걸림후크(540)를 구비하고, 반대쪽 호기포켓의 배출관(160)에 걸림턱(162)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후크가 걸리도록 하는 것으로, 걸림턱 일부가 절개되어 이 절개부(164)를 통해 걸림후크를 끼운 다음 회전시키는 것으로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 이러한 구조는 공급관과 유입관의 결합에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공급관(140)에 유입관(12)이 연결되고, 호기를 불어 넣을 때, 이 호기가 결합 부분에서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 예의 공급관(140)은 외면에 수나사부(142)가 구비되고, 유입관(12)에는 소켓관과 결착부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소켓관(14)은 공급관 방향으로 연장되어 공급관 안쪽으로 끼워지는 구성으로, 외면에 돌기(16)가 구비된 구성이다. 상기 결착부(18)는 내측면에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기(16)이 걸리는 걸림부(20)가 갖추어진 구성으로, 상기 소켓관의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소켓관의 전방측 일부를 공급관 안쪽으로 끼우면 결착부의 암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가 만나게 되고, 이때 사용자는 결착부를 회전시켜 나사결합을 하게 된다.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결착부는 수사나부를 따라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걸림부에 걸리 돌기도 함께 이동한다. 즉 소켓관이 이동하며 공급관 안쪽으로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착부가 구비된 호기포집장치는 호기 주입 시 외부로 배출되는 일 없이 모든 호기를 포집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 예를 들어 휴대용 또는 1회용 호기포집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 예의 상기 호기포집장치(10a)는 호기포켓(100a)으로만 구성되고, 이 호기포켓은 상기한 고무풍선 보다는 비닐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자체적으로 일정한 부피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호기의 정량 포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호기포켓(100a)의 상부 및 하부 각각은 열융착 또는 일반적인 여러 방법으로 밀봉되도록 하되, 상부측에는 호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관(12a)의 일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열융착으로 밀봉되어 유입관이 고정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호기포켓(100a)은 호기가 포집될 때 부풀려질 수 있도록 양측이 접어진 상태에서 상하부가 열융착된 것으로, 이 접힘부(122a)가 펼쳐지면 호기가 유입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입관(12a)은, 호기포켓(100a)의 상부로 돌출된 중앙 부위에 입으로 물었을 때 입술에 닿아 경계를 표시하는 경계돌기 구비되고, 내부에는 일방향성밸브(300a)가 구비된 구성이다.
상기 일방향성밸브(300a)는 호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는 개방되고, 반대방으로 폐쇄되어 호기가 포집되도록 하며, 임진단을 위한 검출 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센서에 구비된 밀대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개방되어 포집된 호기를 배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호기포집장치는 휴대가 간편하고, 1회용으로 사용되어 다른 사람과 겹치는 일이 없으며,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포집장치 12 : 호기유입관
100 : 호기포켓 120 : 포집공간
140 : 공급관 200 : 정량외피
300 : 일방향성공급밸브

Claims (14)

  1. 암진단을 위해 호기를 포집하는 장치로써,
    내부에 호기가 모아지는 포집공간이 마련된 호기포켓;
    상기 호기포켓을 감싸며, 이 호기포켓의 팽창을 제한하여 정량의 호기만 포집되도록 하는 정량외피;
    상기 호기포켓과 연통하고, 피시술자의 입에 대고 불어 호기가 포집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호기유입관;으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포켓은 고무풍선, 실리콘 또는 비닐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포켓의 일측에 상기 호기유입관이 끼워지는 공급관이 구비되고, 대향측에 포집된 호기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포켓의 일측에 구비된 배출관에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센서가 끼워지는 것을 포함하는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포켓의 일측에 호기가 유입되는 공급관을 구비하고, 대향측에 암진단을 위해 포집된 호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관을 구비하되, 상기 공급관과, 배출관 각각에 한쪽 방향으로만 개방되는 일방향성 밸브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에 구비된 일방향성밸브는, 호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만 개방되고, 반대방향으로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아 호기는 유입되지만 유입방향으로는 배출되지 않는 일방향성공급밸브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에 구비되는 일방향성밸브는, 호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는 폐쇄되어 호기가 포집되도록 하고, 암진단 시에만 배출되는 일방향성배출밸브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8. 제 6항 및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성공급밸브 및 일방향성배츨밸브는, 탄성이 있는 막으로 구성되어 일부분이 접착된 상태에서 개폐되는 것을 포함하는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유입관은 전면에 확관되어 입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깔대기 형태, 입으로 무는 부분이 얇아지는 후루라기 형태 또는 원통, 4각, 다각 형태의 관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외피는 분할외피가 벌어지며, 그 안쪽으로 상기 호기포켓이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외피를 결속시키는 클립을 구비하되, 이 클립은 분할외피 중 어는 일측에 구비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12. 암진단을 위해 호기를 포집하는 장치로써,
    휴대가 용이하도록 내부에 호기가 모아지는 포집공간이 마련된 호기포켓을 구비하고, 이 호기포켓의 상부 및 하부가 열융착으로 봉합되도록 하되, 상부측에는 유입관의 일부는 매립되고, 일부는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봉합되어, 이를 통해 호기가 주입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의 내부에 일방향성밸브를 구비하고, 이 일방향성밸브는 주입방향으로만 개방되는 것을 포함하는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포켓은 상부 및 하부는 열융착되고, 옆면에 접힘부를 구비하여 호기 주입 시 부풀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KR1020180117018A 2018-08-23 2018-10-01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KR20200037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018A KR20200037595A (ko) 2018-10-01 2018-10-01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CN201980060107.6A CN112689753A (zh) 2018-08-23 2019-08-23 分子传感器及利用分子传感器的癌症诊断系统
PCT/KR2019/010737 WO2020040584A1 (ko) 2018-08-23 2019-08-23 분자센서 및 이 분자센서를 이용한 암 진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018A KR20200037595A (ko) 2018-10-01 2018-10-01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595A true KR20200037595A (ko) 2020-04-09

Family

ID=7027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018A KR20200037595A (ko) 2018-08-23 2018-10-01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75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519A (ko) 2021-07-01 2023-01-10 주식회사 템퍼스 광학식 호흡 분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519A (ko) 2021-07-01 2023-01-10 주식회사 템퍼스 광학식 호흡 분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0037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extracting chemicals from bodily cavities and breath
JP5307715B2 (ja) 呼吸筋耐久力訓練器具
US20180125374A1 (en) Breath Analysis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9084860B2 (en) Artificial nose comprising a speech valve
US201302454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collection of samples of exhaled air
WO2001039685A1 (en) Tongue positioning device with optional filter
US20140041673A1 (en) Devices for containing fluid and debris on endotracheal tubes, laryngeal masks, endoscopes, bronchoscopes and catheters and method of use thereof
JPH0731607A (ja) 息捕集装置及び吐息サンプル捕集方法
JP7332591B2 (ja) 可搬型流体試料採取装置、それを用い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その製造及び使用方法
US20100241026A1 (en) Portable suction device
KR20200037595A (ko) 암진단용 호기포집장치
ES2936817T3 (es) Dispositivo con indicador de caudal
CN211927805U (zh) 一种诊断早期肺癌的呼吸检测装置
KR101864515B1 (ko) 진정하 내시경 시술을 위한 후두마스크 기도확보기
CN108392166A (zh) 口咬器及其制造方法和呼气检查装置
CN106659861A (zh) 装置
JP6155004B2 (ja) フェースマスク機構及びこのフェースマスク機構を用いたpet検査方法
JP7120538B2 (ja) 呼気採取バッグ
KR101800077B1 (ko) 유아용 소변채취장치
KR20100009152U (ko) 도그 암 써치
KR200489567Y1 (ko) 내시경용 일회용 검진복 및 그 검진복 포장체
GB2584846A (en) Improved breath sampling device
RU9231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бора пробы воздуха, выдыхаемого человеком
CN209695333U (zh) 一种环甲膜穿刺组套
KR102076292B1 (ko) 폐 운동의 관찰을 위한 표지물질 삽입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