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529A - 전자 장치,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명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명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529A
KR20200037529A KR1020180116851A KR20180116851A KR20200037529A KR 20200037529 A KR20200037529 A KR 20200037529A KR 1020180116851 A KR1020180116851 A KR 1020180116851A KR 20180116851 A KR20180116851 A KR 20180116851A KR 20200037529 A KR20200037529 A KR 20200037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ture
stroke
information
sound wav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698B1 (ko
Inventor
고백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698B1/ko
Priority to US17/281,772 priority patent/US11847815B2/en
Priority to PCT/KR2019/012647 priority patent/WO2020071693A1/ko
Publication of KR20200037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61Proximity, similarity or dissimilar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06K9/004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33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06V30/347Sampling; Contour coding; Stroke ex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6Matching; Class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8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y delegation of authentication, e.g. a proxy authenticates an entity to be authenticated on behalf of this entity vis-à-vis an authentication 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서명을 입력 받는 입력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고,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한 인증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서명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명 인증 방법{ELECTRONIC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SIGNATURE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인증을 위한 서명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명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기에 접근하는 사용자가 권한 있는 사용자인지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서명, 생체정보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생체정보 등을 이용하기 위하여는 별도 센서가 필요하고, 서명을 이용하는 것은 서명을 시각화한 이미지를 이용함에 따라서 불법복제 등의 보안의 우려가 있다.
일 측면은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서명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명 인증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서명을 입력 받는 입력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한 인증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서명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명 정보는 상기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음파 신호 또는 압력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파 신호의 파형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응하는 구간의 상기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인증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서명의 획의 개수, 순서, 길이, 크기, 속도, 세기, 간격 또는 변곡점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파 신호 또는 상기 압력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을 결정하고, 상기 시작점 또는 종료점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파 신호 또는 상기 압력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 이상인 지점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의 시작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점 이후 상기 음파 신호 또는 상기 압력 신호의 세기가 감지되지 않는 지점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의 종료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명에 의해 발생한 음파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음파 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명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서버는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 사용자의 기준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 및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서명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한 인증 정보와 상기 기준 인증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을 인증하고, 상기 서명의 인증 결과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서버 통신부를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 장치를 이용한 서명 인증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서명을 입력 받고;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한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를 비교하고;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을 인증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는 것은, 상기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명 정보는 상기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음파 신호 또는 압력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는 것은, 상기 음파 신호의 파형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을 구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응하는 구간의 상기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서명의 획의 개수, 순서, 길이, 크기, 속도, 세기, 간격 또는 변곡점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는 것은, 상기 음파 신호 또는 상기 압력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을 결정하고; 및 상기 시작점 또는 종료점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음파 신호 또는 상기 압력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 이상인 지점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의 시작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시작점 이후 상기 음파 신호 또는 상기 압력 신호의 세기가 감지되지 않는 지점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의 종료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 장치,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명 인증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서명에 대한 정보를 다각화할 수 있으므로 서명 인증의 정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명 인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서명을 수신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서명을 구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서명을 구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인증 정보를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명 인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명 인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명 인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명 인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명 인증 시스템(1)은 전자 장치(100) 및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결제 서비스, 예약 서비스, 행정 서비스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안전 점검, 우편 배달, 결제 확인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서명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서명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 서명을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의하여 입력된 서명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는 서버(200)로 전송되어 사용자 인증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입력부(110), 감지부(140), 통신부(120),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서명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터치 입력 수단, 즉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10)가 터치 입력 수단에 의하여 구현되는 경우, 입력부(110)는 터치 스크린(미도시) 로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미도시)은 사용자의 터치를 수신하는 터치 패널 및 단축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수신된 터치에 대응되는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저항 방식(감압식, Resistive), 정전 용량(Capacitive) 방식, 초음파(SAW) 방식 또는 적외선(IR) 방식 등 다양한 입력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서명을 입력 받는 동안 감지되는 서명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서명 정보는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정보를 의미하며,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음파 신호 또는 압력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음파 신호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서명을 입력하는데 발생하는 마찰음에 대한 파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신호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서명을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부(110)에 가하는 압력의 세기 정보 및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음파 신호 또는 압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음파 신호 또는 압력 신호는 제어부(130)에 전달되어 제어 기초로써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140)는 마이크로폰 등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감지부(140)는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음파 센서, 초음파 센서, 압력 센서, 터치 센서, 진동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더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사용자의 서명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서명 정보 또는 인증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인증 정보는 후술할 제어부(200)에 의하여 식별되는 정보로, 사용자의 서명에 대한 세부 정보를 의미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통신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서명의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서버(200)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서명 정보 또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100)에 관한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및 송신기(Transmitt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13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는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서명의 인증 결과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 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서명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서명 정보는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음파 신호 또는 압력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파 신호에 대한 정보는 시간에 따른 음파의 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파 신호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서명을 입력하는데 발생하는 마찰음에 대한 파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신호에 대한 정보는 시간에 따른 압력의 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서명을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부(110)에 가하는 압력의 세기 정보 및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30)로부터 서명 정보를 전달받거나 외부 센서로부터 서명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서명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제어 기초로써 활용할 수 있다.
서명 정보가 음파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음파 신호의 파형에 기초하여 서명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구분된 각 구간을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응시킴으로써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한 인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서명에 대한 세부 정보를 의미하며, 서명이 포함하는 획의 개수, 순서, 길이, 크기, 속도, 세기, 간격 또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존재하는 변곡점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획의 길이, 크기, 속도, 세기,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획 사이의 상대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획 간의 상대 길이, 상대 크기, 상대 속도, 상대 세기, 상대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응하는 구간의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서명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응하는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각 구간의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구간에 대응하는 획에 대한 인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획 각각에 대하여 인증 정보를 식별함으로써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인증 정보를 식별하기 위하여, 제어부(130)는 서명 정보를 양자화(digital)할 수 있으며, 양자화된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한 인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서명 정보를 미리 정해진 레벨값에 의하여 양자화할 수 있으며, 보안 수준에 따라 레벨값을 달리 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보안 수준이 높아질수록 보다 높은 레벨값에 기초하여 서명 정보를 양자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이러한 인증 정보를 부호화하여 제어 기초로써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ADC(Analog-Digital Converter) 등의 신호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서명 정보 또는 인증 정보 등의 서명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서명의 인증 여부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30)는 서명에 대한 다양한 부호화된 인증 정보를 식별함으로써 서명 인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서명에 대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부호화된 인증 정보를 생성하므로, 불법 복제 등의 보안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 기초로 활용되는 정보 또는 제어부(100)에 의하여 생성되는 서명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획득된 서명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서명 정보로부터 식별된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 때, 저장부(미도시)는 서명 정보를 음원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미도시)는 제어부(13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서버 통신부(210), 서버 저장부(230) 및 서버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는 전자 장치(100)의 통신부(120)와 사용자의 서명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들을 교환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는 통신부(120)로부터 서명 정보 또는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통신부(120)로 서명의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서버 통신부(210)가 통신부(120)로부터 수신하는 서명 정보는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음파 신호 또는 압력 신호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서명 정보가 음파 신호인 경우, 서버 통신부(210)는 통신부(120)로부터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된 마찰음의 음원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 통신부(210)는 전자 장치(100)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서버 저장부(230)는 서명을 인증하는데 기준이 되는 기준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인증 정보는 인증된 서명에 대한 인증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230)는 사용자별로 기준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서버 저장부(230)는 서명을 인증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 저장부(230)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서버 저장부(230)는 서버 제어부(22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서버 제어부(220)는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서명을 인증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20)는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를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서명을 인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제어부(220)는 인증 정보와 사용자의 미리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 제어부(220)는 인증 정보와 기준 인증 정보의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20)는 결정된 유사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 경우,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가 일치하면, 서버 제어부(220)는 서명을 인증할 수 있고, 인증 결과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 제어부(220)는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 각각을 비교할 수 있고, 각 인증 정보에 대한 비교 결과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서버 제어부(220)는 각 인증 정보에 대한 가중치를 서로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 제어부(220)는 인증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인증 정보를 학습할 수 있고, 학습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증 정보의 변동성을 확인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20)는 변동성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인증 정보에 대한 가중치를 변동성이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인 인증 정보에 대한 가중치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 제어부(220)는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큰 인증 정보는 서명 인증 여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각 인증 정보에 대한 가중치를 달리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서명 인증의 정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20)가 서명을 인증하는데 제어 기초로써 활용되는 인증 정보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거나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 제어부(22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 제어부(220)는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30)와 동일하게 사용자의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거나 서명에 대한 인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제어부(22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서버 제어부(220)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서명 정보는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된 음파 신호의 음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서명 정보는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된 마찰음의 음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압력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명 정보가 음파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서버 제어부(220)는 음파 신호의 파형에 기초하여 서명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구분된 각 구간을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응시킴으로써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220)는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한 인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서명에 대한 세부 정보를 의미하며, 서명이 포함하는 획의 개수, 순서, 길이, 크기, 속도, 세기, 간격 또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존재하는 변곡점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획의 길이, 크기, 속도, 세기,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획 사이의 상대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획 간의 상대 길이, 상대 크기, 상대 속도, 상대 세기, 상대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응하는 구간의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서명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응하는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각 구간의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구간에 대응하는 획에 대한 인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서버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획 각각에 대하여 인증 정보를 식별함으로써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인증 정보를 식별하기 위하여, 서버 제어부(220)는 서명 정보를 양자화(digital)할 수 있으며, 양자화된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한 인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서버 제어부(220)는 서명 정보를 미리 정해진 레벨값에 의하여 양자화할 수 있으며, 보안 수준에 따라 레벨값을 달리 정할 수 있다. 즉, 서버 제어부(220)는 보안 수준이 높아질수록 보다 높은 레벨값에 기초하여 서명 정보를 양자화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220)는 이러한 인증 정보를 부호화하여 제어 기초로써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 제어부(220)는 ADC(Analog-Digital Converter) 등의 신호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명을 인증하기 위하여 서버 제어부(22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서명을 인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 제어부(220)는 서명에 대한 다양한 부호화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서명을 인증하므로 서명 인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서명에 대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부호화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서명을 인증하므로, 불법 복제 등의 보안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및 서버(200)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100) 또는 서버(200)가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는 동작 및 서명에 대한 인증 정보를 식별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서명을 수신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서명을 구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인증 정보를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 제어부(220)가 제어부(130)의 서명 구분 동작 및 인증 정보 식별 동작을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하 제어부(130)에 대한 설명은 서버 제어부(2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서명(11)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12)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에 서명(11)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12)과 같은 입력 도구를 이용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을 이용하여 서명(11)을 입력할 수도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서명(11)을 입력하는 동안 입력부(110)에는 스타일러스 펜(12) 또는 손가락과 입력부(110)의 표면에 마찰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마찰에 의하여 마찰음 등의 음파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가 터치 패널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의 서명 입력에 의하여 압력 신호 또는 전기 신호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명(11)이 입력되는 동안 발생한 음파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명 정보는 제어부(130)에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서명 정보는 시간에 대한 음파 신호의 세기(x)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파 신호의 세기(x)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대하여 양자화된 값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음파 신호의 파형에 기초하여 서명(11)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을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음파 신호의 파형으로부터 음파 신호의 세기, 시간에 따른 세기의 변화량 등을 식별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서명(11)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을 구분할 수 있다.
서명의 한 획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음파의 세기는 그 획의 시작점에서 종료점으로 진행될수록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음파의 파형이 감쇠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X1, X2, X3, X4)을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구간(X1, X2, X3, X4) 각각을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 각각에 대응시킴으로써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감쇠 형태의 파형을 갖는 제1구간(X1)을 제1획에, 제2구간(X2)를 제2획에, 제3구간(X3)을 제3획에, 제4구간(X4)를 제4획에 각각 대응시킬 수 있고, 서명을 제1획, 제2획, 제3획, 제4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음파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획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을 결정하고, 시작점 및 종료점에 기초하여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음파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 이상인 지점을 사용자가 서명을 입력하기 위하여 스타일러스 펜(12)을 접지하는 지점, 즉 획의 시작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전후에 대한 음파 신호의 세기의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제2기준값 이상인 지점을 획의 시작점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30)는 음파 신호의 상대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2기준값 이상인 지점을 획의 시작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음파 신호의 세기가 감지되지 않는 지점을 획의 종료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하나의 획에 대한 시작점 이후 음파 신호의 세기가 감지되지 않는 지점을 해당 획의 종료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전후에 대한 음파 신호의 세기의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제3기준값 미만인 지점을 획의 종료점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30)는 음파 신호의 상대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3기준값 미만인 지점을 획의 종료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결정된 획의 시작점 및 종료점에 기초하여 입력된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서명 정보가 포함하는 음파 신호에 대한 정보 중 획의 시작점으로 확인된 지점에서부터 획의 종료점으로 확인된 지점까지의 구간을 하나의 획에 대응하는 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음파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 이상인 지점(t1, t3, t5)을 각 획의 시작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전후에 대한 음파 신호의 세기의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제2기준값 이상인 지점(t1. t3, t5)을 획의 시작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시작점(t1) 이후 음파 신호의 세기가 감지되지 않는 지점(t2)을 X1'구간에 대응하는 획의 종료점으로 결정할 수 있고, 제2시작점(t3) 이후 음파 신호의 세기가 감지되지 않는 지점(t4)을 X2'구간에 대응하는 획의 종료점으로 결정할 수 있고, 제3시작점(t5) 이후 음파 신호의 세기가 감지되지 않는 지점(t6)을 X3'구간에 대응하는 획의 종료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등이 서명을 입력하지 않는 경우에도 음파가 감지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이 입력부(110)에 스치는 등의 서명의 입력과는 관계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음파 신호의 파형이 감쇄 형태를 갖는 구간이 존재하더라도 해당 구간에 포함된 음파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4기준값 미만인 음파 신호는 노이즈(도 5의 Y1)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음파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4기준값 이상인 구간은 사용자의 서명이 입력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유효 구간(도 5의 S)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30)는 주위 환경의 잡음으로 인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서명 인증의 정확도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응하는 구간의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응하는 구간에 포함된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획에 대한 인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명 정보가 제1구간(X1), 제2구간(X2), 제3구간(X3), 제4구간(X4)으로 구분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획에 대한 인증 정보는 제1구간(X1)의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고, 제2획에 대한 인증 정보는 제2구간(X2)의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고, 제3획에 대한 인증 정보는 제3구간(X3)의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고, 제4획에 대한 인증 정보는 제4구간(X4)의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인증 정보는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의 개수, 순서, 길이, 크기, 속도, 세기, 간격 또는 적어도 하나의 획이 포함하는 변곡점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획의 길이, 크기, 속도, 세기,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획 사이의 상대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획 간의 상대 길이, 상대 크기, 상대 속도, 상대 세기, 상대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구분된 음파 신호 구간의 개수에 기초하여 획의 개수를 식별할 수 있고, 음파 신호 구간의 순서에 기초하여 획의 순서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각 음파 신호 구간의 시간, 즉 획의 시작점으로부터 종료점까지의 소요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획의 길이를 식별할 수 있고, 음파 신호의 진폭값에 기초하여 획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음파 신호의 진행 속도에 기초하여 획의 속도를 식별할 수 있고, 음파 신호의 파고(wave height)에 기초하여 획의 세기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음파 신호 구간의 간격에 기초하여 획의 간격을 식별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제4기준값 이상의 세기를 갖는 음파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획이 포함하는 변곡점의 개수를 식별할 수 있다.
특히, 변곡점은 획이 꺾이거나 회전하는 지점을 의하며, 제어부(130)는 획의 시작점에서의 음파의 세기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의 값의 세기를 갖는 음파의 개수를 변곡점의 개수로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획의 시작점에서의 음파의 세기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의 값을 제4기준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서명(11)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서명(11)을 제1획(p1 내지 p8), 제2획(p9 내지 p12), 제3획(p13 내지 p16) 및 제4획(p17, p18)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p1 내지 p18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른 타점을 의미한다. 즉, 타점 간의 거리가 멀수록 획의 속도가 빠르고, 타점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획의 속도가 느리다. 또한, 각 타점의 크기는 타점에서의 음파 신호 또는 압력 신호의 세기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획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제1획에 대응하는 제1구간(X1)의 음파 신호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고, 제1구간(X1)의 시간에 기초하여 제1획의 길이(L1)를 식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30)는 제2획의 길이(L2)를 제2구간(X2)의 시간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고, 제3획의 길이(L3)를 제3구간(X3)의 시간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고, 제4획의 길이(L4)를 제4구간(X4)의 시간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제1획에 포함된 p4 지점의 음파의 세기가 제1획의 시작점, p1지점의 음파의 세기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의 값을 갖는 경우, p4 지점을 제1획의 변곡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러한 획의 개수, 순서, 길이, 크기, 속도, 세기, 간격 또는 적어도 하나의 획이 포함하는 변곡점의 개수의 절대값 뿐만 아니라 획 사이의 상대값을 식별함으로써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서명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획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단위 각각에 대한 인증 정보를 보다 다양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서명 인증이 수행됨으로써 제어부(130)는 사용자 고유의 필체 등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서명 인증의 정확도 및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동시에 서명에 대한 시각 정보가 이용되지 않으므로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다.
이상으로, 음파 신호에 관한 정보를 예시로 한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인증 정보를 식별하는 제어부(130)의 동작을 설명하였다. 다만, 서명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제어부(130)의 동작은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압력 신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명 정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명 인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서명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601), 사용자의 서명이 수신되는 경우(601의 예), 서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602).
이 때, 서명 정보는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정보를 의미하며,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음파 신호 또는 압력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음파 신호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통해 서명을 입력하는데 발생하는 마찰음에 대한 파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신호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서명을 입력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에 가하는 압력의 세기 정보 및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서명 정보를 감지하거나 외부 센서로부터 서명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서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603).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서명 정보가 음파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음파 신호의 파형에 기초하여 서명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구분된 각 구간을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응시킴으로써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을 구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음파 신호의 파형으로부터 음파 신호의 세기, 시간에 따른 세기의 변화량 등을 식별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서명(11)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을 구분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음파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획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을 결정하고, 시작점 및 종료점에 기초하여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한 후,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한 인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604). 이 때,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서명에 대한 세부 정보를 의미하며, 서명이 포함하는 획의 개수, 순서, 길이, 크기, 속도, 세기, 간격 또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존재하는 변곡점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획의 길이, 크기, 속도, 세기,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획 사이의 상대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획 간의 상대 길이, 상대 크기, 상대 속도, 상대 세기, 상대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응하는 구간에 포함된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획에 대한 인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구분된 음파 신호 구간의 개수에 기초하여 획의 개수를 식별할 수 있고, 음파 신호 구간의 순서에 기초하여 획의 순서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각 음파 신호 구간의 시간, 즉 획의 시작점으로부터 종료점까지의 소요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획의 길이를 식별할 수 있고, 음파 신호의 진폭값에 기초하여 획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음파 신호의 진행 속도에 기초하여 획의 속도를 식별할 수 있고, 음파 신호의 파고(wave height)에 기초하여 획의 세기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음파 신호 구간의 간격에 기초하여 획의 간격을 식별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제4기준값 이상의 세기를 갖는 음파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획이 포함하는 변곡점의 개수를 식별할 수 있다.
특히, 변곡점은 획이 꺾이거나 회전하는 지점을 의하며, 전자 장치(100)는 획의 시작점에서의 음파의 세기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의 값의 세기를 갖는 음파의 개수를 변곡점의 개수로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00)는 획의 시작점에서의 음파의 세기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의 값을 제4기준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인증 정보를 식별하면, 전자 장치(100)는 서버(200)로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605).
이를 통해, 전자 장치(100)는 서명에 대하여 다양하게 부호화된 인증 정보를 식별함으로써 서명 인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서명에 대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부호화된 인증 정보를 생성하므로, 불법 복제 등의 보안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명 인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서명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701), 사용자의 서명이 수신되는 경우(601의 예), 서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702).
서명 정보를 획득하면, 전자 장치(100)는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할 수 있고(703), 인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704). 인증 정보를 식별한 후, 전자 장치(100)는 인증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705).
전술한 701 내지 705의 단계는 도 8의 601 내지 605의 단계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를 비교할 수 있고(706),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서명을 인증할 수 있다(707).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인증 정보와 사용자의 미리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200)는 수신된 인증 정보와 기준 인증 정보의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는 결정된 유사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 경우, 식별된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식별된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가 일치하면, 서버(200)는 서명을 인증할 수 있고, 인증 결과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708).
이를 통해, 서버(200)는 서명에 대한 다양한 부호화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서명을 인증하므로 서명 인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서명에 대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부호화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서명을 인증하므로, 불법 복제 등의 보안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명 인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서명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801), 사용자의 서명이 수신되는 경우(801의 예), 서명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00)가 서버(200)로 전송하는 서명 정보는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된 음파 신호의 음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서버(200)로 전송하는 서명 정보는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된 마찰음의 음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압력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로부터 서명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200)는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803).
이 때, 서명 정보가 음파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서버(200)는 음파 신호의 파형에 기초하여 서명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구분된 각 구간을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응시킴으로써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을 구분할 수 있다.
서버(200)는 음파 신호의 파형으로부터 음파 신호의 세기, 시간에 따른 세기의 변화량 등을 식별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을 구분할 수 있다.
또는, 서버(200)는 음파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획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을 결정하고, 시작점 및 종료점에 기초하여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한 후,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한 인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804). 이 때,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서명에 대한 세부 정보를 의미하며, 서명이 포함하는 획의 개수, 순서, 길이, 크기, 속도, 세기, 간격 또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존재하는 변곡점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획의 길이, 크기, 속도, 세기,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획 사이의 상대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획 간의 상대 길이, 상대 크기, 상대 속도, 상대 세기, 상대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응하는 구간에 포함된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획에 대한 인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서버(200)는 구분된 음파 신호 구간의 개수에 기초하여 획의 개수를 식별할 수 있고, 음파 신호 구간의 순서에 기초하여 획의 순서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각 음파 신호 구간의 시간, 즉 획의 시작점으로부터 종료점까지의 소요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획의 길이를 식별할 수 있고, 음파 신호의 진폭값에 기초하여 획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음파 신호의 진행 속도에 기초하여 획의 속도를 식별할 수 있고, 음파 신호의 파고(wave height)에 기초하여 획의 세기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200)는 음파 신호 구간의 간격에 기초하여 획의 간격을 식별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제4기준값 이상의 세기를 갖는 음파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획이 포함하는 변곡점의 개수를 식별할 수 있다.
특히, 변곡점은 획이 꺾이거나 회전하는 지점을 의하며, 서버(200)는 획의 시작점에서의 음파의 세기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의 값의 세기를 갖는 음파의 개수를 변곡점의 개수로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서버(200)는 획의 시작점에서의 음파의 세기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비율의 값을 제4기준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인증 정보를 식별한 후, 서버(200)는 식별된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805). 이를 위해, 서버(200)는 수신된 인증 정보와 기준 인증 정보의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는 결정된 유사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 경우, 식별된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식별된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가 일치하면(805의 예), 서버(200)는 서명을 인증할 수 있고(806), 전자 장치(100)로 서명의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809).
다른 예로, 식별된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805의 아니오), 서버(200)는 2차 수단으로 서명이 인증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807). 이 때, 2차 수단은 서명을 제외한 사용자 인증 수단을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2차 수단으로 사용자가 인증되어 서명이 인증되는 경우(807의 예),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808).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를 식별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하고, 이를 저장함으로써 기준 인증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서명을 인증할 수 있으므로 서명 인증의 정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시각 정보가 아닌 부호화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서명을 인증하므로 서명의 불법 복제 등의 보안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서명 인증의 정확성 및 보안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전자 장치
110: 입력부
120: 통신부
130: 제어부
140: 감지부
200: 서버
210: 서버 통신부
220: 서버 제어부
230: 서버 저장부

Claims (20)

  1. 사용자로부터 서명을 입력 받는 입력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한 인증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서명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 정보는 상기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음파 신호 또는 압력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파 신호의 파형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을 구분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응하는 구간의 상기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인증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서명의 획의 개수, 순서, 길이, 크기, 속도, 세기, 간격 또는 변곡점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파 신호 또는 상기 압력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을 결정하고, 상기 시작점 또는 종료점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파 신호 또는 상기 압력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 이상인 지점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의 시작점으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점 이후 상기 음파 신호 또는 상기 압력 신호의 세기가 감지되지 않는 지점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의 종료점으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에 의해 발생한 음파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음파 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명 정보로서 획득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
    사용자의 기준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 및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서명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한 인증 정보와 상기 기준 인증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을 인증하고, 상기 서명의 인증 결과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서버 통신부를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12. 사용자로부터 서명을 입력 받고;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한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를 비교하고;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을 인증하는 것;을 포함하는 서명 인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는 것은,
    상기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는 것을 포함하는 서명 인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 정보는 상기 서명이 입력되는 동안 감지되는 음파 신호 또는 압력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명 인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는 것은,
    상기 음파 신호의 파형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획을 구분하는 것을 포함하는 서명 인증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에 대응하는 구간의 상기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서명 인증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서명의 획의 개수, 순서, 길이, 크기, 속도, 세기, 간격 또는 변곡점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명 인증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는 것은,
    상기 음파 신호 또는 상기 압력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을 결정하고; 및
    상기 시작점 또는 종료점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을 적어도 하나의 획으로 구분하는 것;을 포함하는 서명 인증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음파 신호 또는 상기 압력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 이상인 지점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의 시작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서명 인증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시작점 이후 상기 음파 신호 또는 상기 압력 신호의 세기가 감지되지 않는 지점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획의 종료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서명 인증 방법.
KR1020180116851A 2018-10-01 2018-10-01 전자 장치,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명 인증 방법 KR102627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851A KR102627698B1 (ko) 2018-10-01 2018-10-01 전자 장치,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명 인증 방법
US17/281,772 US11847815B2 (en) 2018-10-01 2019-09-27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signature authent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PCT/KR2019/012647 WO2020071693A1 (ko) 2018-10-01 2019-09-27 전자 장치,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명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851A KR102627698B1 (ko) 2018-10-01 2018-10-01 전자 장치,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명 인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529A true KR20200037529A (ko) 2020-04-09
KR102627698B1 KR102627698B1 (ko) 2024-01-23

Family

ID=7005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851A KR102627698B1 (ko) 2018-10-01 2018-10-01 전자 장치,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명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47815B2 (ko)
KR (1) KR102627698B1 (ko)
WO (1) WO20200716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313A (ko) * 2020-09-23 2022-03-30 (주)알에프캠프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드로잉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판별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88160A (ko) * 2020-12-18 2022-06-27 (주)알에프캠프 전자 장치, 점유 픽셀 및 비점유 픽셀을 고려하여 드로잉 데이터의 점유 레벨을 수치적으로 산출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8578A (ko) * 2011-11-02 2013-05-10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 단말의 터치 검출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KR20150030558A (ko) * 2013-09-12 2015-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터치를 이용한 온라인 서명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89298B1 (ko) * 2016-06-20 2017-11-20 주식회사 피노텍 식별코드를 이용한 자필서명 검증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5660A (ja) 1985-10-21 1987-05-02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Icカ−ドを用いたサインリ−ド/ライトシステム
DE69332555D1 (de) * 1992-09-04 2003-01-23 Canon K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zeige von Zeichen
JPH0773190A (ja) 1993-04-29 199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ペンベースコンピューターシステム用絵文字ネーミング
US6236740B1 (en) 1995-04-07 2001-05-22 Michael E. Lee Signature ve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tilizing relative angle measurements
US20040047505A1 (en) * 2001-12-26 2004-03-11 Firooz Ghassabian Stylus computer
JP2003271965A (ja) * 2002-03-19 2003-09-26 Fujitsu Ltd 手書き署名認証プログラム、方法、及び装置
JP2003271967A (ja) * 2002-03-19 2003-09-26 Fujitsu Prime Software Technologies Ltd 手書き署名認証プログラム、方法、及び装置
EP2397971A1 (en) * 2010-03-31 2011-12-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receiving input on an electronic device and outputting characters based on sound stroke patterns
KR20110122895A (ko) 2010-05-06 2011-11-14 주식회사 지클릭 스페이스 광학인식펜과 전용 용지를 이용한 전자서명 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9086798B2 (en) * 2011-03-07 2015-07-21 Ricoh Company, Ltd. Associating information on a whiteboard with a user
EP2575084A1 (en) 2011-09-30 2013-04-03 Nxp B.V. Security token and authentication system
US10048790B2 (en) 2016-03-15 2018-08-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gital object sharing using a flexible display
JP2017215807A (ja) * 2016-05-31 2017-12-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10126873B2 (en) * 2016-06-24 2018-11-13 Wacom Co., Ltd. Stroke continuation for dropped touches on electronic handwriting devices
JP6565825B2 (ja) 2016-08-12 2019-08-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認証装置、画像処理装置、認証方法
US11551480B2 (en) * 2019-04-11 2023-01-10 Ricoh Company, Ltd. Handwriting input apparatus, handwriting input method, program, and input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8578A (ko) * 2011-11-02 2013-05-10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 단말의 터치 검출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KR20150030558A (ko) * 2013-09-12 2015-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터치를 이용한 온라인 서명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89298B1 (ko) * 2016-06-20 2017-11-20 주식회사 피노텍 식별코드를 이용한 자필서명 검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313A (ko) * 2020-09-23 2022-03-30 (주)알에프캠프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드로잉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판별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88160A (ko) * 2020-12-18 2022-06-27 (주)알에프캠프 전자 장치, 점유 픽셀 및 비점유 픽셀을 고려하여 드로잉 데이터의 점유 레벨을 수치적으로 산출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1693A1 (ko) 2020-04-09
KR102627698B1 (ko) 2024-01-23
US11847815B2 (en) 2023-12-19
US20210390293A1 (en)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7036B2 (ja) 動的なキーボードおよびタッチスクリーンのバイオメトリクス
US9600729B2 (en) System and method of authentication of an electronic signature
EP3120234B1 (en) Touch keyboard calibration
JP5788435B2 (ja) グラフィカルパスコードセキュリティ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TWI588735B (zh) 虛擬鍵盤技術
EP3040874A1 (en) Electronic device and inputted signature process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GB2552152B (en) Obscuring data
EP2836957B1 (en) Location-based access control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594893B2 (en) Multi-touch local device authentication
US201902362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device users through behavioral analysis
US9858491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composite finger matching biometric data and related methods
US20160246472A1 (en) Authentication based on a tap sequence performed on a touch screen
CN108737638B (zh) 应用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JP2018521413A (ja) タッチ圧力を検出するためのキャパシタンスの使用
US11847815B2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signature authent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9531709B2 (en) Securely unlocking a device using a combination of hold placement and gesture
KR20140104283A (ko) 단말기의 보안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847140B1 (ko) 그래픽 암호를 이용한 휴대 단말의 로그인 장치 및 방법
EP3480685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pad and fingerprint sensor and method of detecting touch
CN107437015B (zh) 用于电子设备上的物体的方向感测的系统和方法
US20230325488A1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via mixed reality
JP6479703B2 (ja) 情報端末、認証方法、プログラム
WO2018130852A1 (en) Improved authentication
KR20150100130A (ko)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
KR102045417B1 (ko) 고령자용 지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