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017A - 라미네이션용 롤러,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방법 - Google Patents

라미네이션용 롤러,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017A
KR20200037017A KR1020180116422A KR20180116422A KR20200037017A KR 20200037017 A KR20200037017 A KR 20200037017A KR 1020180116422 A KR1020180116422 A KR 1020180116422A KR 20180116422 A KR20180116422 A KR 20180116422A KR 20200037017 A KR20200037017 A KR 20200037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folding
area
display modul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5928B1 (ko
Inventor
신재구
한지원
이원백
정승호
정태혁
최경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928B1/ko
Priority to US16/522,477 priority patent/US20200101708A1/en
Priority to CN201910911268.3A priority patent/CN110968216A/zh
Publication of KR2020003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017A/ko
Priority to US18/451,297 priority patent/US2023039106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50Forming devices by joining two substrates together, e.g. lamin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 장치는 폴딩축을 감싸도록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폴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비폴딩 영역이 정의되는 표시 모듈이 안착되는 스테이지, 상기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도록 상기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고, 일정한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 및,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도록 상기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상기 연결부의 직경은 상기 가압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폴딩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라미네이션용 롤러,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방법{LAMINATING ROLLER, LAMINATING DEVICE AND METHOD OF LAMINATING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라미네이션용 롤러, 라미네이션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라미네이션 장치 및 롤러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표시 화면에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최근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 부재를 구비하여 폴딩 또는 롤링이 가능한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평판 표시 장치와 달리, 종이처럼 접거나 말거나 휠 수 있다.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 및 표시 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 장치는, 폴딩축을 감싸도록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폴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비폴딩 영역이 정의되는 표시 모듈이 안착되는 스테이지, 상기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도록 상기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고, 일정한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 및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도록 상기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직경은 상기 가압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폴딩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압부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가압부들은, 상기 표시 모듈의 제1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1 가압부, 및 상기 표시 모듈의 제2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가압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 가압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각각의 평균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갖는 중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각각은 중앙부와 인접할수록 직경이 감소한다.
상기 중앙부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다.
상기 제1 가압부, 상기 제2 가압부 및 상기 연결부 각각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모듈러스를 갖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제1 모듈러스보다 낮은 제2 모듈러스를 갖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부는 금속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버부는 우레탄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제1 커버부에 의하여 상기 코어부가 노출된다.
상기 제1 가압부, 상기 제2 가압부 및 상기 연결부 각각은,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커버부의 외면을 감싸는 제2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버부는 고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 상기 제2 가압부 및 상기 연결부 각각은,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모듈러스를 갖는 코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압부, 제2 가압부 각각은, 상기 코어부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제1 모듈러스보다 낮은 제2 모듈러스를 갖는 제1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방법은 스테이지 상에 정의되는 안착 영역에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들 상에 제1 접착 부재를 안착시키는 단계, 가상의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표시 모듈을 상기 제1 접착 부재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표시 모듈을 가압하여 상기 플레이트들을 표시 모듈과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영역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스테이지 상에 정의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비폴딩 영역들과 중첩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및 상기 스테이지 상에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정의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폴딩 영역과 중첩하고, 이격 영역을 포함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안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이격 영역에서 서로 이격되고, 상기 폴딩축은 상기 이격 영역과 평면 상에서 중첩하고, 상기 라미네이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3 영역에 제공되는 가압력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들 각각에 제공되는 가압력보다 작다.
상기 라미네이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폴딩축과 평면 상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폴딩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라미네이션용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모듈을 가압한다.
상기 라미네이션용 롤러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표시 모듈의 비폴딩 영역들을 가압하는 제1 및 제2 가압부들,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가압부들을 연결하고, 적어도 상기 이격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표시 모듈의 폴딩 영역을 가압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직경은 상기 가압부들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가압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 가압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이격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표시 모듈의 폴딩 영역을 가압하는 중앙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의 직경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각각의 평균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갖는다.
상기 라미네이션용 롤러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표시 모듈의 비폴딩 영역들을 가압하는 제1 및 제2 가압부들,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가압부들을 연결하고, 적어도 상기 이격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표시 모듈의 폴딩 영역을 가압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가압부들 각각의 모듈러스는 상기 연결부의 모듈러스보다 높다.
상기 라미네이션용 롤러의 적어도 일부는 외주면의 모듈러스가 중심부의 모듈러스보다 낮다.
상기 표시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소자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용 롤러는 폴딩축을 감싸는 방향으로 폴딩되는 표시 모듈의 폴딩 영역을 가압하는 연결부, 및 서로 이격되는 플레이트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표시 모듈의 비폴딩 영역들을 가압하고, 상기 연결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각각이 상기 연결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 및 제2 가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는 일체의 형상을 갖고, 상기 폴딩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라미네이션이 완료된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Ⅰ-Ⅰ'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폴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폴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용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라미네이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라미네이션용 롤러의 횡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Ⅱ-Ⅱ'선의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롤러의 단면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롤러의 단면도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됩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장치(LMD)는 스테이지(STG) 및 라미네이션용 롤러(LR)를 포함한다.
스테이지(STG) 상에는 라미네이션 대상(DM, SP)이 안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 장치(LMD)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DD, 도 2)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 대상(DM, SP)은 표시 장치(DD, 도 2)의 구성 요소들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 도 2)는 표시 모듈(DM), 지지부(SP) 및 제1 접착 부재(AD1)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라미네이션 장치(LMD)는 표시 모듈(DM)과 지지부(SP)를 합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스테이지(STG)의 상면 상에 안착 영역(STA)이 정의된다. 안착 영역(STA)에 라미네이션 대상(DM, SP)이 안착될 수 있다. 안착 영역(STA)은 제1 영역(AR1), 제2 영역(AR2) 및 제3 영역(AR3)을 포함한다. 제1 영역(AR1)은 제2 영역(AR2)과 이격된다. 제3 영역(AR3)은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3) 사이에 정의된다. 제3 영역(AR3)은 제3 영역(AR3)의 중앙에 정의되는 이격 영역(SA)을 포함한다. 이격 영역(SA)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다.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은 제1 방향(DR1)과 평면 상에서 수직한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대향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테이지(STG)의 상면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 각각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라미네이션용 롤러(LR)는 스테이지(STG) 상에 배치된다. 라미네이션용 롤러(LR)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되는 설명에서, 라미네이션용 롤러(LR)는 롤러(LR)로 간략하게 지칭한다.
롤러(LR)는 표시 모듈(DM)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가압력은 제3 방향(DR3)에서 스테이지(STG)를 향하는 하부 방향으로 제공된다. 상기 가압력에 의하여 표시 모듈(DM)은 지지부(SP)와 합착될 수 있다.
롤러(LR)는 소정의 방향(RD)으로 회전하여 스테이지(STG) 상에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롤러(LR)가 이동하는 방향(MD)는 제1 방향(DR1)과 평행하다.
도 2는 라미네이션이 완료된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Ⅰ-Ⅰ'선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으로 단변을 갖고, 제2 방향(DR2)으로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되거나 언폴딩 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DD)는 접이식(폴더블) 표시 장치(DD)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폴딩에 따라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DD)는 평면 상에 배열된 폴딩 영역(FA) 및 적어도 하나의 비폴딩 영역(NFA1, NF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폴딩에 따른 폴딩 스트레스가 인가되는 영역이다. 평면 상에서 폴딩 영역(FA)은 폴딩축(FX)과 중첩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DD)의 폴딩 영역(FA)은 두 비폴딩 영역들(NFA1, NFA2) 사이에 정의된다. 이하, 비폴딩 영역들(NFA1, NFA2) 각각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으로 지칭한다. 제1 비폴딩 영역(NFA1)은 제2 방향(DR2)에서 폴딩 영역(FA)의 일측과 인접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제2 방향(DR2)에서 폴딩 영역(FA)의 타측과 인접하다.
폴딩 영역(FA),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표시 장치(DD)가 포함하는 부재들의 평면 상에도 정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표시 모듈(DM), 제1 접착 부재(AD1) 및 지지부(SP)의 제1 비폴딩 영역(NFA1)은 스테이지(STG)의 제1 영역(AR1) 상에 안착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스테이지(STG)의 제2 영역(AR2) 상에 안착된다. 폴딩 영역(FA)은 스테이지(STG)의 제3 영역(AR3)에 안착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스테이지(STG) 상에 하나의 제3 영역(AR3)이 정의되고, 표시 장치(DD)에 하나의 폴딩 영역(FA)이 정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DD)의 폴딩축(FX) 개수에 따라, 복수의 제3 영역들(AR3)이 스테이지(STG) 상에 정의되고, 복수의 폴딩 영역들(FA)이 표시 장치(DD)에 정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들(AR1~AR3)에 전면적으로 중첩한다. 표시 모듈(DM)의 평면 상에서의 영역은 안착 영역(STA)과 대응된다.
표시 모듈(DM)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 상에서 액티브 영역(AR) 및 주변 영역(NAR)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R)은 평면 상에서 표시 모듈(DM)의 중심부에 정의된다. 주변 영역(NAR)은 액티브 영역(AR)에 인접한다. 주변 영역(NAR)은 액티브 영역(AR)을 에워쌀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주변 영역(NAR)은 액티브 영역(AR)을 에워싸는 프레임 형상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액티브 영역(AR) 및 주변 영역(NAR)의 형상 및 개수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DM)는 액티브 영역(AR)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액티브 영역이 복수로 제공되어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를 도 2 및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PNL), 입력 감지층(ISP), 반사 방지층(RPP) 및 윈도우(WD)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PNL)은 베이스층(BSL), 표시층(CRL) 및 봉지층(PTL)을 포함한다. 베이스층(BSL)은 표시 패널(PNL)의 배면을 정의한다. 베이스층(BSL)은 표시 패널(PNL)이 포함하는 전극들 및 표시 소자들을 형성하기 위한 기저층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베이스층(BS)은 기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층(CRL)은 베이스층(BSL) 상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층(CRL)의 구성에 따라 표시 패널(PNL)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표시 패널(PNL)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또는 전기 습윤 표시 패널이거나, 그 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표시 패널(PNL)은 다양한 실시 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 에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술될 도면들에서는 표시 패널(PNL)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를 일 예로 설명된다.
표시층(CRL)은 복수의 표시 소자들(미도시) 및 이를 구동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PNL)이 포함하는 표시 소자들 각각은 유기 발광 소자(OLED, 미도시)일 수 있다.
봉지층(PTL)은 표시층(CRL) 상부에 배치된다. 봉지층(PTL)은 표시층(CRL)을 커버하여 표시층(CRL)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봉지층(PTL)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표시 패널(PNL) 상에 배치된다. 임력 감지층(ISP)은 표시 장치(DD)에 제공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한다. 예시적으로, 입력 감지층(ISP)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USER, 도 2)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외부 입력은 어느 하나의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입력은 광학식, 접촉식, 또는 자기식 등의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입력 감지층(ISP)은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입력 감지 전극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입력 감지층(ISP)은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또는 좌표 인식 방식 등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P)은 입력 감지층(ISP)의 상부에 배치된다. 반사 방지층(RPP)은 평면 상에서 액티브 영역(AR)과 중첩한다. 반사 방지층(RPP)은 외부로부터 표시 장치(DD)에 입사되는 외광이 표시 패널(PNL)에 의하여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반사 방지층(RPP)은 편광층(미도시) 및 위상 지연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층(미도시)은 투과축 및 투과축과 수직한 흡수축을 갖는다. 편광층(미도시)에 입사된 외부광의 성분 중 일 성분은 흡수축에 의하여 흡수되거나 반사되어 편광층(미도시)을 통과하지 못하며, 편광층(미도시)에 입사된 외부광의 성분 중 상기 일성분과 수직한 성분은 편광층(미도시)을 통과한다. 즉, 편광층(미도시)은 외부광을 선편광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 편광층(미도시)은 특정 방향으로 연신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편광층(미도시)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편광층(미도시)은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일 수 있다.
위상 지연층(미도시)은 편광층(미도시)의 하부에 배치된다. 위상 지연층(미도시)은 광학적 이방석을 갖는다. 따라서, 위상 지연층(미도시)은 입사되는 광의 일 성분의 위상을 지연시킬 수 있다. 즉, 위상 지연층(미도시)은 광의 편광 상태를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시적으로, 위상 지연층(미도시)은 입사되는 광의 일 성분을 λ/4만큼 지연시킬 수 있다. 즉, 위상 지연층(미도시)은 사분 파장 필름일 수 있다. 따라서, 위상 지연층(미도시)을 통과하는 광은 일 성분의 위상이 지연되어, 선편광 상태에서 원편광 상태로 바뀌거나, 원편광 상태에서 선편광 상태로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표시 장치(DD)에 입사된 외부광이 표시 모듈(DM)에 의하여 반사되더라도, 위상 지연층(미도시)에 의하여 편광 상태가 변경되어 편광층(미도시)에 의하여 흡수 또는 반사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PNL)에 의하여 반사된 외광은 표시 장치(DD)의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윈도우(WD)는 반사 방지층(RPP)의 상부에 배치된다. 윈도우(WD)은 표시 장치(DD)의 전면을 제공하고, 반사 방지층(RPP), 입력 감지층(ISP) 및 표시 패널(PNL)을 보호한다.
표시 모듈(DM)은 제2 접착 부재(AD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D2)는 복수의 모듈 접착 부재들(MAD1~MAD3)로 제공된다. 모듈 접착 부재들(MAD1~MAD3) 각각은 전술한 부재들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부재들을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듈 접착 부재(MAD1)는 표시 패널(PNL) 및 입력 감지층(ISP)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모듈 접착 부재(MAD2)는 입력 감지층(ISP) 및 반사 방지층(RPP) 사이에 배치된다. 제3 모듈 접착 부재(MAD3)은 반사 방지층(RPP) 및 윈도우(WD) 사이에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모듈(DM)은 쿠션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쿠션 부재(미도시)는 표시 패널(PNL)의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PNL)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입력 감지층(ISP), 반사 방지층(RPP) 및 윈도우(W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SP)는 표시 모듈(DM)의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을 지지한다. 지지부(SP)는 판 형상을 갖는다. 지지부(SP)의 강도는 표시 모듈(DM)의 강도보다 클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지부(SP)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지지부(SP)의 재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SP)는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플레이트들은 제1 플레이트(SSP1) 및 제2 플레이트(SSP2)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SSP1)는 제2 방향(DR2)에서 일측에 배치된다. 제1 플레이트(SSP1)는 폴딩 영역(FA)의 일부 및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중첩한다. 즉, 제1 플레이트(SSP1)는 제3 영역(AR3)의 일부 및 제1 영역(AR1) 상에 안착된다.
제2 플레이트(SSP2)는 제2 방향(DR2)에서 타측에 배치된다. 제2 플레이트(SSP2)는 폴딩 영역(RA)의 또 다른 일부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중첩한다. 즉, 제2 플레이트(SSP2)는 제3 영역(AR3)의 또 다른 일부 및 제2 영역(AR2) 상에 안착된다.
제1 플레이트(SSP1) 및 제2 플레이트(SSP2)는 제2 방향(DR2)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격된 공간은 이격 영역(SA)과 중첩한다. 즉, 제1 플레이트(SSP1) 및 제2 플레이트(SSP2)는 이격 영역(SA)을 제외한 안착 영역(STA) 상에 배치되고, 이격 영역(SA)을 기준으로 제2 방향(DR2) 양측 각각에 배치된다. 제1 플레이트(SSP1) 및 제2 플레이트(SSP2)는 이격 영역(SA)과 중첩하지 않는다.
제1 접착 부재(AD1)는 복수로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두 개의 제1 접착 부재(AD1)가 제공되는 예를 설명한다. 두 개의 제1 접착 부재들(AD1)은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된다. 제1 접착 부재들(AD1)은 제3 영역(AR3)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다. 즉, 두 제1 접착 부재들(AD1) 중 하나의 제1 접착 부재(AD1)는 제1 영역(AR1)과 전면적으로 중첩한다. 나머지 하나의 제1 접착 부재(AD1)는 제2 영역(AR2)과 전면적으로 중첩한다. 따라서, 제3 영역(AR3)과 중첩하는 폴딩 영역(FA)에서 지지부(SP)와 표시 모듈(DM)을 접착되지 않는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폴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폴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폴더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표시 장치(DD)는 인-폴더블(In-Foldable)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즉, 폴딩축(FX)을 중심으로 표시 장치(DD)가 인-폴딩됨에 따라, 표시 모듈(DM)의 상면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인-폴딩 상태에서, 지지부(SP)의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SSP1, SSP2)은 표시 모듈(DM)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한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SSP1, SSP2)은 형상이 변하지 않으며, 인-폴딩 상태에서, 제1 및 제2 지지 프레이트들(SSP1, SSP2)은 폴딩된 표시 모듈(DM)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용 롤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라미네이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RL)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다. 롤러(RL)는 제2 방향(DR2)과 평행한 중심축(RX)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롤러(RL)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FRL1, FRL2) 및 연결부(CNR)를 포함한다. 후술되는 실시 예에서는, 롤러(RL)가 두 가압부들(FRL1, FRL2)을 포함하는 경우가 일 예로 설명된다.
복수의 가압부들(FRL1, FRL2)은 제1 가압부(FRL1) 및 제2 가압부(FRL2)를 포함한다. 제1 가압부(FRL1)는 제1 영역(AR1)과 중첩한다. 제1 가압부(FRL1)는 표시 모듈(DM)의 제1 비폴딩 영역(NFA1)을 가압한다. 제2 가압부(FRL2)는 제2 영역(AR2)과 중첩한다. 제2 가압부(FRL2)은 표시 모듈(DM)의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가압한다. 제1 가압부(FRL1) 및 제2 가압부(FRL2)는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되고, 각각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갖는다. 제1 가압부(FRL1) 및 제2 가압부(FRL2)는 제2 방향(DR2)에서 서로 이격된다.
연결부(CNR)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가압부(FRL1) 및 제2 가압부(FRL2)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부(CNR)은 제1 가압부(FRL1) 및 제2 가압부(FRL2)를 연결한다. 연결부(CNR)는 제3 영역(AR3) 영역, 즉, 표시 모듈(DM)의 폴딩 영역(FA)과 중첩한다.
연결부(CNR)는 제1 연결부(CP1), 제2 연결부(CP2) 및 중앙부(CT)를 포함한다. 중앙부(CT)는 제1 연결부(CP1) 및 제2 연결부(CP2) 사이에 배치된다. 중앙부(CT)는 이격 영역(SA)과 중첩한다.
제1 연결부(CP1)는 중앙부(CT)와 제1 가압부(FRL1) 사이에 배치되어 중앙부(CT)와 제1 가압부(FRL1)를 연결한다. 제2 연결부(CP2)는 중앙부(CT)와 제2 가압부(FRL2) 사이에 배치되어 중앙부(CT)와 제2 가압부(FRL2)를 연결한다.
제1 가압부(FRL1), 제2 가압부(FRL2) 및 연결부(CNR)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의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가압부(FRL1) 및 제2 가압부(FRL2) 각각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가압부(FRL1)의 직경은 및 제2 가압부들(FRL1, FRL2)의 직경과 동일하다. 제1 가압부(FRL1) 및 제2 가압부(FRL2) 각각의 직경은 연결부(CNR)의 평균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하 롤러(RL)의 직경 구성에 관하여, 도 11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된다.
도 10은 라미네이션용 롤러의 횡단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Ⅱ-Ⅱ'선의 단면도이다.
도 11에서는 제1 가압부(FRL1) 및 제1 연결부(CP1)의 구성만이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RL)는 제2 방향(DR2)에서 롤러(RL)의 중심을 지나고,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되는 중심선(CTL)을 기준으로 대칭 형상을 이루므로, 제2 가압부(FRL2) 및 제2 연결부(CP2)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가압부(FRL1), 제2 가압부(FRL2) 및 연결부(CNR) 각각은 롤러(RL)의 중심축(RX)으로부터 멀어지는 순서로 배치되는 코어부(CR) 및 제1 커버부(SH1)를 포함한다.
코어부(CR)는 중심축(RX)을 포함한다. 코어부(CR)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다. 코어부(CR)는 제1 모듈러스를 갖는다. 예시적으로, 제1 모듈러스는 약 10Gpa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코어부(CR)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부(SH1)는 코어부(CR)의 외주면을 감싼다. 제1 커버부(SH1)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다. 제1 커버부(SH1)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제1 커버부(SH1)는 제2 모듈러스를 갖는다. 제2 모듈러스는 제1 모듈러스보다 낮은 값을 갖는다. 예시적으로, 제2 모듈러스는 약 1GPa 이상 10GPa 미만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커버부(SH1)는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AR1)과 중첩하는 제1 가압부(FRL1)는 제1 총직경(DS1)을 갖는다. 이 때, 제1 가압부(FRL1)의 코어부(CR)는 제1 코어직경(DC1)을 갖는다. 제1 영역(AR1)에서 제1 총직경(DS1) 및 제1 코어직경(DC1)은 일정한 값을 갖는다.
제1 연결부(CP1)는 깔때기 형상을 갖는다. 즉, 제1 연결부(CP1)는 제1 가압부(FRL1)에서 멀어지고, 중앙부(CT)와 인접할수록 직경이 감소할 수 있다. 즉, 롤러(RL)의 단면 상에서, 제1 연결부(CP1)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제1 연결부(CP1)의 경사면이 직선을 포함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경사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CT)는 제2 총직경(DS2)을 갖는다. 제2 총직경(DS2)은 제1 총직경(DS1)보다 작다. 또한, 제1 총직경(DS1)은 제1 연결부(CP1)의 평균 직경보다 작다.
중앙부(CT)의 코어부(CR)는 제2 코어직경(DC2)을 갖는다. 제2 코어직경(DC2)은 제1 코어직경(DC1)보다 작다. 이격 영역(SA, 도 9)에서 제2 총직경(DS2) 및 제2 코어직경(DC2)은 일정한 값을 갖는다. 즉, 중앙부(CT)의 단면 형상은 경사면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와는 다르게, 표시 모듈(DM)을 가압하는 롤러(RL)가 전 영역에서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질 경우, 표시 모듈(DM)의 폴딩 영역(FA)과 비폴딩 영역(NFA)에 제공되는 가압력이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접착 부재(AD1)가 배치되지 않는 표시 모듈(DM)을 지지하는 플레이트들(SSP1, SSP2)과 표시 모듈(DM) 사이에 형성된 단차에 의하여, 폴딩 영역(FA)에 대응하는 표시 모듈(DM)의 일부가 하부로 함몰될 수 있다. 즉, 제3 영역(AR3)과 중첩하는 표시 모듈(DM)의 일부가 하부로 함몰될 수 있다. 이 경우, 라미네이션이 완료된 표시 장치(DD)의 표시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롤러(RL)의 제1 및 제2 가압부(FRL1, FRL2)의 직경이 연결부(CNR)의 직경보다 크므로, 표시 모듈(DM)의 폴딩 영역(FA)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크기가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즉, 표시 모듈(DM)이 하부로 함몰되는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들(SSP1, SSP2) 사이의 이격 영역(SA)에 대응하는 표시 모듈(DM)의 일 부분이 이격 영역(SA)을 제외한 영역들에서의 표시 모듈(DM)의 부분들보다 하부로 함몰되어 표시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연결부(CP1) 및 제2 연결부(CP2) 각각의 직경보다 중앙부(CT)의 직경이 작거나 같으므로, 상기 이격 영역(SA)에서 표시 모듈(DM)이 함몰되는 현상이 저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DD)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롤러의 단면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다. 또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RL-1)의 제1 가압부(FRL1)는 코어부(CR) 및 제1 커버부(SH1)를 포함한다. 제1 가압부(FRL1)는 제1 총직경(DS1)을 갖는다. 이 때, 제1 가압부(FRL1)의 코어부(CR)는 제1 코어직경(DC1)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CNR-1)는 코어부(CR)만을 포함하고, 제1 커버부(SH1)는 포함하지 않는다. 즉, 롤러(RL-1)는 연결부(CNR-1)와 중첩하는 제3 영역(AR3, 도 9), 즉, 폴딩 영역(FA)에서 제1 커버부(SH1)에 의하여 코어부(CR)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연결부(CP1)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다. 즉, 제1 연결부(CP1)는 경사면을 포함하지 않는다. 제1 연결부(CP1)의 코어부(CR)는 제1 코어직경(DC1)을 갖는다.
중앙부(CT)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다. 중앙부(CT)는 제2 총직경(DS2)을 갖는다. 제2 총직경(DS2)은 제1 총직경(DS1)보다 작다. 중앙부(CT)는 제1 커버부(SH1)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중앙부(CT)의 제2 총직경(DS2)은 중앙부(CT)의 코어부(CR)의 제2 코어직경(DC2)와 같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다른 롤러(RL-2)의 연결부(CNR-2)의 단면 형상은 깔때기 형상을 갖는다. 즉, 연결부(CNR-2)의 제1 연결부(CP1) 및 중앙부(CT) 각각은 중심선(CTL)과 인접할수록 직경이 순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RL-3)의 제1 가압부(FRL1) 및 연결부(CNR-3) 각각은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코어부(CR)를 포함한다. 즉, 연결부(CNR-3)의 코어부(CR)는 제1 코어직경(DC1)을 갖는다.
제1 가압부(FRL1)는 코어부(CR) 및 제1 커버부(SH1)를 포함한다. 제1 가압부(FRL1)는 제1 총직경(DS1)을 갖는다. 이 때, 제1 가압부(FRL1)의 코어부(CR)는 제1 코어직경(DC1)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연결부(CP1)의 제1 커버부(SH1)는 중앙부(CT)와 인접할수록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중앙부(CT)는 코어부(CR)만을 포함한다. 즉, 중앙부(CT)는 제1 커버부(SH1)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중앙부(CT)는 제3 총직경(DS3)을 갖는다. 제3 총직경(DS3)은 제1 코어직경(DC1)과 동일하다.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RL-4)의 제1 가압부(FRL1) 및 연결부(CNR-4) 각각은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코어부(CR)를 포함한다. 즉, 연결부(CNR-4)의 코어부(CR)는 제1 코어직경(DC1)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연결부(CP1) 및 중앙부(CT) 각각은 코어부(CR)만을 포함하고, 제1 커버부(SH1)는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부(CNR-4)는 제3 총직경(DS3)을 가지며, 이는 제1 코어직경(DC1)과 동일하다.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RL-5)는 제1 커버부(SH1)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2 커버부(SH2)를 더 포함한다. 제2 커버부(SH2)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제2 커버부(SH2)는 제3 모듈러스를 갖는다. 제3 모듈러스는 제2 모듈러스보다 낮은 값을 갖는다. 예시적으로, 제3 모듈러스는 약 1GPa 미만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커버부(SH2)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다. 또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6)의 지지부(SP-6)는 관절 부재(J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절 부재(JM)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플레이트(SSP1) 및 제2 플레이트(SSP2) 사이에 배치된다. 관절 부재(JM)는 표시 모듈(DM)의 폴딩 영역(FA)과 중첩한다.
관절 부재(JM)는 복수의 관절 막대들(JB)을 포함한다. 관절 막대들(JB)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절 막대들(JB)은 연결 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결 부재(미도시)는 힌지(Hinge)일 수 있다. 복수의 관절 막대들(JB) 사이에 연결 부재가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 장치(DD)를 폴딩시킬 경우, 관절 막대들(JB) 각각은 연결 부재를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회전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D1)는 표시 모듈(DM) 및 지지부(SP-6)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접착 부재(AD1)는 안착 영역(STA)에 전면적으로 중첩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1 접착 부재(AD1)는 단일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제1 접착 부재(AD1)는 폴딩 영역(FA)과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지지부(SP) 및 표시 모듈(DM)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DD-6)의 라미네이팅 공정 시, 복수의 관절 막대들(JB) 사이의 이격 공간에 의하여 표시 모듈(DM)의 표시면 상에 제1 방향(DR1)으로 얼룩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DD)의 표시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제공하는 가압력보다 폴딩 영역(FA)에 제공하는 가압력의 크기가 작으므로, 표시 장치(DD)가 관절 부재(JM)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표시 장치(DD)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도 9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라미네이션 방법은 스테이지(STG) 상의 안착 영역(STA)에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SSP1, SSP2)을 안착하는 단계(S1),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SSP1, SSP2) 상에 제1 접착 부재(AD1) 및 표시 모듈(DM)을 차례로 안착시키는 단계(S2) 및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SSP1, SSP2)과 표시 모듈(DM)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상기 라미네이팅하는 단계(S3)에 관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안착 영역(STA)의 제3 영역(AR3)과 중첩하는 표시 모듈(DM)의 폴딩 영역(FA)에 제공하는 가압력의 크기는 제1 영역(AR1)에 중첩하는 표시 모듈(DM)의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표시 모듈(DM)의 제2 비폴딩 영역(NFA2) 각각에 제공되는 가압력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술된 롤러(RL)를 이용하여 표시 모듈(DM) 상에 영역별로 다른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롤러(RL)는 표시 장치(DD)의 폴딩축(FX)과 평행한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며,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도 17A 내지 도 17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롤러의 단면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다. 또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A 내지 도 17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롤러들(RL-7, RL-8, RL-9, RL-10, RL-11)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다. 즉, 롤러들(RL-7, RL-8, RL-9, RL-10, RL-11)의 제1 가압부(FRL1) 및 연결부(CNR-7, CNR-8, CNR-9, CNR-10, CNR-11) 각각은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또한, 롤러들(RL-7, RL-8, RL-9, RL-10, RL-11) 각각의 연결부(CNR-7, CNR-8, CNR-9, CNR-10, CNR-11)의 모듈러스는 제1 가압부(FRL1)의 모듈러스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롤러들(RL-7, RL-8, RL-9, RL-10, RL-11)을 이용하여, 표시 모듈(DM) 및 지지부(SP)를 합지하는 경우, 폴딩 영역(FA)에 제공되는 가압력의 크기가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에 제공되는 가압력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라미네이션 공정이 완료된 표시 장치(DD)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CNR-7)는 제2 커버부(SH2)를 더 포함한다. 제2 커버부(SH2)는 제1 커버부(SH1)의 외주면을 감싼다. 제2 커버부(SH2)는 제3 모듈러스를 갖는다. 제3 모듈러스는 제2 모듈러스보다 낮은 값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연결부(CP1)의 제2 커버부(SH2)는 중앙부(CT)와 인접할수록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CP1)가 포함하는 제2 커버부(SH2)의 두께 증가율은 제1 연결부(CP1)가 포함하는 코어부(CR)의 두께 감소율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RL-8)의 제1 가압부(FRL1) 및 연결부(CNR-8) 각각의 코어부(CR)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다. 제1 가압부(FRL1)의 코어부(CR)는 제1 코어직경(DC1)을 갖는다. 연결부(CNR-8)의 코어부(CT)는 제2 코어직경(DC2)을 갖는다. 제2 코어직경(DC2)은 제1 코어직경(DC1)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제1 코어직경(DC1) 및 제2 코어직경(DC2) 각각은 일정한 값을 갖는다.
연결부(CNR-8)의 제1 커버부(SH1)의 외면은 단면 상에서 깔때기 형상을 갖는다. 연결부(CNR-8)의 제1 커버부(SH1)의 외면은 제1 가압부(FRL1)의 제1 커버부(SH1)의 외면과 연결되며, 중심선(CTL)과 인접할수록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연결부(CNR-8)는 제2 커버부(SH2)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커버부(SH2)는 중앙부(CT)와 인접할수록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CP1)가 포함하는 제2 커버부(SH2)의 두께 증가율은 제1 연결부(CP1)가 포함하는 제1 커버부(SH1)의 두께 감소율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RL-9)는 제1 커버부(SH1)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연결부(CNR-9)는 제2 커버부(SH2)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연결부(CP1)의 제2 커버부(SH2)는 중앙부(CT)와 인접할수록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CP1)가 포함하는 제2 커버부(SH2)의 두께 증가율은 제1 연결부(CP1)가 포함하는 코어부(CR)의 두께 감소율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RL-10)의 제1 가압부(FRL1) 및 연결부(CNR-10) 각각의 코어부(CR)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다. 제1 가압부(FRL1)의 코어부(CR)는 제1 코어직경(DC1)을 갖는다. 연결부(CNR-10)의 코어부(CT)는 제2 코어직경(DC2)을 갖는다. 제2 코어직경(DC2)은 제1 코어직경(DC1)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제1 코어직경(DC1) 및 제2 코어직경(DC2) 각각은 일정한 값을 갖는다.
제1 커버부(SH1)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CNR-10)는 공기층(AIR)을 더 포함한다. 공기층(AIR)은 코어부(CR) 및 제1 커버부(SH1) 사이에 배치된다.
도 1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RL-11)의 제1 연결부(CP1)가 포함하는 코어부(CR)는 단면 상에서 깔때기 형상을 갖는다. 즉, 제1 연결부(CP1)가 포함하는 코어부(CR)는 단면 상에서 경사면을 포함한다. 제1 연결부(CP1)의 코어부(CR)는 중앙부(CT)와 인접할수록 직경이 감소할 수 있다. 중앙부(CT)의 코어부(CR)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CNR-11)의 제1 연결부(CP1) 및 중앙부(CT) 각각은 공기층(AIR)을 더 포함한다. 공기층(AIR)은 코어부(CR) 및 제1 커버부(SH1)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연결부(CP1)의 공기층(AIR)의 두께는 중앙부(CT)와 인접할수록 증가하며, 중앙부(CT)의 공기층(AIR)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M: 표시 모듈
LMD: 라미네이션 장치 STA: 안착 영역
AD: 접착 부재 SP: 지지부
RL: 라미네이션용 롤러 SSP1: 제1 플레이트
SSP2: 제2 플레이트 ISP: 입력 감지 부재
RPP: 반사 방지 부재 MAD: 모듈 접착 부재
PNL: 표시 패널 BSL: 베이스층
CRL: 표시층 PTL: 보호층
FRL: 가압부 CNR: 연결부
CR: 코어부 SH1: 제1 커버부
SH2: 제2 커버부 JM: 관절 부재
JB: 관절 막대

Claims (20)

  1. 폴딩축을 감싸도록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폴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비폴딩 영역이 정의되는 표시 모듈이 안착되는 스테이지;
    상기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도록 상기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고, 일정한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 및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도록 상기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직경은 상기 가압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폴딩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미네이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가압부들은,
    상기 표시 모듈의 제1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1 가압부; 및
    상기 표시 모듈의 제2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를 연결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가압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 가압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각각의 평균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갖는 중앙부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각각은 중앙부와 인접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라미네이션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 상기 제2 가압부 및 상기 연결부 각각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모듈러스를 갖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제1 모듈러스보다 낮은 제2 모듈러스를 갖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금속을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우레탄을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제1 커버부에 의하여 상기 코어부가 노출되는 라미네이션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 상기 제2 가압부 및 상기 연결부 각각은,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커버부의 외면을 감싸는 제2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는 고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 상기 제2 가압부 및 상기 연결부 각각은,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모듈러스를 갖는 코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압부, 제2 가압부 각각은,
    상기 코어부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제1 모듈러스보다 낮은 제2 모듈러스를 갖는 제1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13. 스테이지 상에 정의되는 안착 영역에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들 상에 제1 접착 부재를 안착시키는 단계;
    가상의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표시 모듈을 상기 제1 접착 부재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표시 모듈을 가압하여 상기 플레이트들을 표시 모듈과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영역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스테이지 상에 정의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비폴딩 영역들과 중첩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및
    상기 스테이지 상에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정의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폴딩 영역과 중첩하고, 이격 영역을 포함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안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이격 영역에서 서로 이격되고, 상기 폴딩축은 상기 이격 영역과 평면 상에서 중첩하고,
    상기 라미네이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3 영역에 제공되는 가압력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들 각각에 제공되는 가압력보다 작은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폴딩축과 평면 상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폴딩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라미네이션용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모듈을 가압하는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용 롤러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여, 상기 표시 모듈의 비폴딩 영역들을 가압하는 제1 및 제2 가압부들;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가압부들을 연결하고, 적어도 상기 제3 영역과 중첩하여 상기 표시 모듈의 폴딩 영역을 가압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직경은 상기 가압부들의 직경보다 작은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가압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 가압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이격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표시 모듈의 폴딩 영역을 가압하는 중앙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의 직경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각각의 평균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을 갖는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팅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용 롤러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표시 모듈의 비폴딩 영역들을 가압하는 제1 및 제2 가압부들;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가압부들을 연결하고, 적어도 상기 제3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표시 모듈의 폴딩 영역을 가압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가압부들 각각의 모듈러스는 상기 연결부의 모듈러스보다 높은 라미네이팅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용 롤러의 적어도 일부는 외주면의 모듈러스가 중심부의 모듈러스보다 낮은 라미네이팅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소자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팅 방법.
  20. 폴딩축을 감싸는 방향으로 폴딩되는 표시 모듈의 폴딩 영역을 가압하는 연결부; 및
    서로 이격되는 플레이트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표시 모듈의 비폴딩 영역들을 가압하고, 상기 연결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각각이 상기 연결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 및 제2 가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는 일체의 형상을 갖고,
    상기 폴딩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미네이션용 롤러.
KR1020180116422A 2018-09-28 2018-09-28 라미네이션용 롤러,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방법 KR102595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422A KR102595928B1 (ko) 2018-09-28 2018-09-28 라미네이션용 롤러,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방법
US16/522,477 US20200101708A1 (en) 2018-09-28 2019-07-25 Laminating roller, laminating device and method for laminating display apparatus
CN201910911268.3A CN110968216A (zh) 2018-09-28 2019-09-25 层压装置
US18/451,297 US20230391062A1 (en) 2018-09-28 2023-08-17 Laminating roller, laminating device and method for laminating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422A KR102595928B1 (ko) 2018-09-28 2018-09-28 라미네이션용 롤러,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017A true KR20200037017A (ko) 2020-04-08
KR102595928B1 KR102595928B1 (ko) 2023-10-31

Family

ID=6994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422A KR102595928B1 (ko) 2018-09-28 2018-09-28 라미네이션용 롤러,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라미네이션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200101708A1 (ko)
KR (1) KR102595928B1 (ko)
CN (1) CN1109682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3520B2 (en) 2020-06-26 2023-05-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746A (en) * 1976-07-13 1978-01-28 Ube Ind Ltd Preparation of cyclohexanol
US5356507A (en) * 1992-01-30 1994-10-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aminator
US20160009025A1 (en) * 2014-07-08 2016-01-14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KR20180051695A (ko) * 2016-11-07 2018-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리 기판,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026B1 (ko) * 2014-08-28 2021-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전자 기기
KR102652817B1 (ko) * 2016-12-30 2024-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폴더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746A (en) * 1976-07-13 1978-01-28 Ube Ind Ltd Preparation of cyclohexanol
US5356507A (en) * 1992-01-30 1994-10-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aminator
US20160009025A1 (en) * 2014-07-08 2016-01-14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KR20180051695A (ko) * 2016-11-07 2018-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리 기판,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3520B2 (en) 2020-06-26 2023-05-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68216A (zh) 2020-04-07
US20200101708A1 (en) 2020-04-02
US20230391062A1 (en) 2023-12-07
KR102595928B1 (ko) 202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8452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09147573A (zh) 一种显示装置、保护盖板
JP2007047732A5 (ko)
CN102455545B (zh) 液晶显示装置
JPH09203890A (ja) 入力機能付き液晶表示素子および反射型入力機能付き液晶表示素子、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CN113129740A (zh) 显示装置
US20200163231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02466911A (zh) 液晶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1323072B1 (ko) 패턴드 리타더가 일체화된 편광판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US20230391062A1 (en) Laminating roller, laminating device and method for laminating display apparatus
JP7109493B2 (ja) 液晶表示装置
US20220093014A1 (en) Display device
KR101769730B1 (ko)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TWI356255B (en) A reflective in-plane switching type lcd
WO2013166738A1 (zh) 一种液晶显示装置的光学膜片及液晶显示装置
US7924351B2 (en) Autostereoscopic display
JP2009122423A (ja) 液晶表示素子
CN105405360B (zh) 无缝拼接的显示装置
US2007023663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524921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 방법
CN109801881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10148464A (ko) 표시 장치
TW200702772A (en) Liquid crystal cel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11378852B2 (e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driving image display in display panel
JP2009109624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