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575A -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575A
KR20200036575A KR1020180116387A KR20180116387A KR20200036575A KR 20200036575 A KR20200036575 A KR 20200036575A KR 1020180116387 A KR1020180116387 A KR 1020180116387A KR 20180116387 A KR20180116387 A KR 20180116387A KR 20200036575 A KR20200036575 A KR 20200036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hdmi
input
display devic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765B1 (ko
Inventor
최광일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7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의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기기로부터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다. 영상 기기에 제공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 후, HDMI 케이블의 HEC(HDMI Ethernet Channel)를 통하여 영상 기기에 입력된다.

Description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Video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디오 기록기 또는 비디오 디코더와 같은 영상 기기로부터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되는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1 예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디오 기록기 또는 비디오 디코더와 같은 영상 기기(101)로부터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VGA(Video Graphics Array) 케이블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입력된다.
영상 기기(101)에 제공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감시 카메라들(103)로부터 스위칭 허브(104)에 입력된 후, 스위칭 허브(104)로부터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통하여 영상 기기(101)에 입력된다.
사용자는 마우스(101m) 또는 원격 제어기(101c)를 사용하여 영상 기기(101)의 동작을 제어한다.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대부분의 경우에 비디오 기록기 또는 비디오 디코더와 같은 영상 기기(101)는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곳 예를 들어, 높은 장소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 1의 제1 예에서 사용자가 영상 기기(101)의 설치 장소를 변경할 경우, 스위칭 허브(104)로부터의 이더넷(ethernet) 케이블로 인하여 사용자는 재설치의 어려움과 불편을 겪는다.
도 2는 종래의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2 예를 보여준다. 도 2에서 도 1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1의 제1 예에 대한 도 2의 제2 예의 차이점은, 인터넷(202)을 통하여 영상 기기(101)에 접속되는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 201)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201)는, 영상 기기(101)로부터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기기(101)에게 사용자 제어 신호들을 전송한다.
개인용 컴퓨터(201)는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통하여 인터넷(202)에 접속되고, 영상 기기(101)도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통하여 인터넷(202)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201)와 영상 기기(101)가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대부분의 경우에 비디오 기록기 또는 비디오 디코더와 같은 영상 기기(101)는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곳 예를 들어, 높은 장소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 2의 제2 예에서 사용자가 영상 기기(101)의 설치 장소를 변경할 경우, 스위칭 허브(104)로부터의 이더넷(ethernet) 케이블 및 인터넷(202) 접속단으로부터의 이더넷(ethernet) 케이블로 인하여 사용자는 재설치의 어려움과 불편을 겪는다.
상기 배경 기술의 문제점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지된 내용이라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2013-0017058호 (출원인 : 삼성전자 주식회사, 명칭 :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HEC 연결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영상 기기의 설치 장소의 변경 및 재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기기로부터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다.
상기 영상 기기에 제공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 후, 상기 HDMI 케이블의 HEC(HDMI Ethernet Channel)를 통하여 상기 영상 기기에 입력된다.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의 1.4B 또는 그 이후의 버전이 채용되면, HEC(HDMI Ethernet Channel)를 통하여 이더넷(ethernet) 통신이 가능하다.
이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영상 기기에 제공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외부로부터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영상 기기에 직접 입력되지 않는다. 즉, 상기 영상 기기에 제공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HDMI 케이블의 HEC(HDMI Ethernet Channel)를 통하여 상기 영상 기기에 입력된다.
따라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영상 기기에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 기기에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연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영상 기기의 설치 장소의 변경 및 재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영상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 및 상호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비디오 기록기 또는 비디오 디코더와 같은 영상 기기(301)로부터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입력된다.
영상 기기(301)에 제공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감시 카메라들(303)로부터 스위칭 허브(304)에 입력되고, 스위칭 허브(304)로부터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2)에 입력된 후, 상기 HDMI 케이블의 HEC(HDMI Ethernet Channel)를 통하여 영상 기기(301)에 입력된다.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의 1.4B 또는 그 이후의 버전이 채용되면, HEC(HDMI Ethernet Channel)를 통하여 이더넷(ethernet) 통신이 가능하다.
이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영상 기기(301)에 제공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외부로부터의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통하여 영상 기기(301)에 직접 입력되지 않는다. 즉, 영상 기기(301)에 제공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302) 및 상기 HDMI 케이블의 HEC(HDMI Ethernet Channel)를 통하여 영상 기기(301)에 입력된다.
따라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영상 기기(301)에 제공하기 위하여 영상 기기(301)에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연결할 필요가 없다(도 1의 종래 기술과 대비됨).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영상 기기의 설치 장소의 변경 및 재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영상 기기(301)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제어 신호들은, 디스플레이 장치(302)의 원격 제어기(302c)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302)에 입력된 후, HDMI 케이블의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채널을 통하여 영상 기기(301)에 입력된다.
따라서, 영상 기기(301)에 마우스(도 1의 101m) 또는 원격 제어기(도 1의 101c)를 연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 기기(301)의 설치 장소의 변경 및 재설치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302)의 원격 제어기(302c)를 이용하여 영상 기기(301)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들(303) 및 스위칭 허브(304)의 제어와 관련하여, 영상 기기(301)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은 HDMI 케이블의 HEC(HDMI Ethernet Channel), 디스플레이 장치(302), 및 상기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통하여 감시 카메라들(303) 및 스위칭 허브(304)에 전송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02)의 원격 제어기(302c)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은 상기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통하여 감시 카메라들(303) 및 스위칭 허브(304)에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의 영상 기기(301)와 디스플레이 장치(302)의 내부 구성 및 상호 연결을 보여준다. 도 4에서 영상 기기(301)가 비디오 기록기인 경우,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와 같은 기록 매체가 추가된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HDMI 케이블(430)은 영상 기기(301)와 디스플레이 장치(302) 사이에 연결된다.
영상 기기(301)는 프로세서(411)와 HDMI 송신 인터페이스(41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2)는 프로세서(421), HDMI 수신 인터페이스(422), 적외선 수신부(423), 이더넷 인터페이스(424), 및 디스플레이 패널(425)을 포함한다.
도 4에서 참조 부호 COS는, 프로세서(411, 421)로부터 송신부(412a) 또는 수신부(422a)에 입력되는 제어 데이터와, 송신부(412a) 또는 수신부(422a)로부터 프로세서(411, 421)에 입력되는 상태(status) 데이터를 가리킨다.
HDMI 송신 인터페이스(412) 내의 송신부(412a)는, 프로세서(411)에 상태(status) 데이터를 제공하면서, 프로세서(411)로부터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동작한다. HDMI 송신 인터페이스(412) 내의 송신부(412a)는, 프로세서(411)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VID) 및 오디오 데이터(AUD)를 HDMI 형식에 따라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신호들로 변환하여 HDMI 케이블(430)에 출력한다. TMDS 신호들은 적색 관련 신호들(TMDS R), 녹색 관련 신호들(TMDS G), 청색 관련 신호들(TMDS B), 및 클럭 신호들(TMDS CLK)을 포함한다.
영상 기기(301) 내의 프로세서(411)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02) 내의 프로세서(421)와 DDC(Display Data Channel)의 통신을 수행한다. 도 4에서 참조 부호 DDC는 데이터 신호, 클럭 신호, HPD(Hot Plug Detect) 전압, 및 +5 V 전압을 포함한다.
DDC의 통신에 있어서, 영상 기기(301) 내의 프로세서(411)는 +5 V 전압을 디스플레이 장치(302) 내의 프로세서(421)에게 전송한다. 다음에, 디스플레이 장치(302) 내의 프로세서(421)는 HPD(Hot Plug Detect) 전압을 영상 기기(301) 내의 프로세서(411)에게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호 연결이 확인된다.
다음에, 디스플레이 장치(302) 내의 프로세서(421)는 디스플레이 장치(302)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영상 기기(301) 내의 프로세서(411)에게 제공한다. 영상 기기(301) 내의 프로세서(411)는, EDID에 따라 HDMI 송신 인터페이스(412) 내의 송신부(412a)의 동작을 제어하고, 고대역 디지털 콘텐츠 보호(HDCP : 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의 통신을 수행하면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302)에게 전송한다.
HDMI 수신 인터페이스(422) 내의 수신부(422a)는, HDMI 케이블(430)을 통하여 입력된 TMDS 신호들을 비디오 데이터(VID) 및 오디오 데이터(AUD)로 복원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2) 내의 프로세서(421)는 복원된 비디오 데이터(VID) 및 오디오 데이터(AUD)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425)을 구동한다.
한편, 영상 기기(301)에 제공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감시 카메라들(303)로부터 스위칭 허브(304)에 입력되고, 스위칭 허브(304)로부터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2) 내의 이더넷 인터페이스(424)에 입력된다. 이더넷 인터페이스(424)에 입력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302) 내의 프로세서(421) 및 HDMI 케이블(430)의 HEC(HDMI Ethernet Channel)를 통하여, 영상 기기(301) 내의 프로세서(411)에 입력된다.
따라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영상 기기(301)에 제공하기 위하여 영상 기기(301)에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연결할 필요가 없다(도 1의 종래 기술과 대비됨).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영상 기기의 설치 장소의 변경 및 재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영상 기기(301)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제어 신호들은, 디스플레이 장치(302)의 원격 제어기(302c)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302) 내의 적외선 수신부(423)를 통하여 프로세서(421)에 입력된다. 프로세서(421)에 입력된 사용자 제어 신호들은 HDMI 케이블의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채널을 통하여 영상 기기(301) 내의 프로세서(411)에 입력된다.
따라서, 영상 기기(301)에 마우스(도 1의 101m) 또는 원격 제어기(도 1의 101c)를 연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 기기(301)의 설치 장소의 변경 및 재설치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302)의 원격 제어기(302c)를 이용하여 영상 기기(301)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들(303) 및 스위칭 허브(304)의 제어와 관련하여, 영상 기기(301) 내의 프로세서(411)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은 HDMI 케이블(430)의 HEC(HDMI Ethernet Channel), 디스플레이 장치(302) 내의 프로세서(421), 이더넷 인터페이스(424), 및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통하여 감시 카메라들(303) 및 스위칭 허브(304)에 전송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02)의 원격 제어기(302c)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은 프로세서(421), 이더넷 인터페이스(424), 및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통하여 감시 카메라들(303) 및 스위칭 허브(304)에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5의 제2 실시예는 도 3(도 4 포함)의 제1 실시예에 개인용 컴퓨터(PC)가 더 포함된 것이다. 즉,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 201)를 제외한 구성 및 동작은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인터넷(202)을 통하여 스위칭 허브(304)에 접속되는 개인용 컴퓨터(PC, 201)는, 영상 기기(301)로부터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기기(301)에게 사용자 제어 신호들을 전송한다.
영상 기기(301)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302)에 입력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이더넷(ethernet) 케이블, 스위칭 허브(304), 및 인터넷(202)을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PC, 201)에게 전송된다.
개인용 컴퓨터(PC, 201)로부터의 사용자 제어 신호들은, 인터넷(202), 스위칭 허브(304), 이더넷(ethernet) 케이블, 디스플레이 장치(302), 및 HDMI 케이블의 HEC(HDMI Ethernet Channel)를 통하여 영상 기기에 입력된다.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PC, 201)와의 통신을 위하여 영상 기기(301)에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연결할 필요가 없다(도 2의 종래 기술과 대비됨).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영상 기기의 설치 장소의 변경 및 재설치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여, 개인용 컴퓨터(PC)와 관련된 내용만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HDMI 수신 인터페이스(422) 내의 수신부(422a)는, HDMI 케이블(430)을 통하여 입력된 TMDS 신호들을 비디오 데이터(VID) 및 오디오 데이터(AUD)로 복원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2) 내의 프로세서(421)는, 복원된 비디오 데이터(VID) 및 오디오 데이터(AUD)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425)을 구동하는 한편, 복원된 비디오 데이터(VID) 및 오디오 데이터(AUD)를 이더넷 인터페이스(424)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복원된 비디오 데이터(VID) 및 오디오 데이터(AUD)는 이더넷(ethernet) 케이블, 스위칭 허브(304), 및 인터넷(202)을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PC, 201)에게 전송된다.
한편, 개인용 컴퓨터(PC, 201)로부터의 사용자 제어 신호들은, 인터넷(202), 스위칭 허브(304) 및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2) 내의 이더넷 인터페이스(424)에 입력된다. 디스플레이 장치(302) 내의 프로세서(421)는 이더넷 인터페이스(424)로부터의 사용자 제어 신호들을 HDMI 케이블(430)의 HEC(HDMI Ethernet Channel)를 통하여 영상 기기(301) 내의 프로세서(411)에게 전송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의 1.4B 또는 그 이후의 버전이 채용되면, HEC(HDMI Ethernet Channel)를 통하여 이더넷(ethernet) 통신이 가능하다.
이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영상 기기에 제공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외부로부터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통하여 영상 기기에 직접 입력되지 않는다. 즉, 영상 기기에 제공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HDMI 케이블의 HEC(HDMI Ethernet Channel)를 통하여 영상 기기에 입력된다.
따라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영상 기기에 제공하기 위하여 영상 기기에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연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 기기의 설치 장소의 변경 및 재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뿐만 아니라, 영상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101 : 영상 기기, 101c : 원격 제어기,
101m : 마우스, 102 : 디스플레이 장치,
103 : 감시 카메라들, 104 : 스위칭 허브,
201 : 개인용 컴퓨터(PC), 202 : 인터넷,
301 : 영상 기기, 302 : 디스플레이 장치,
302c : 원격 제어기, 303 : 감시 카메라들,
304 : 스위칭 허브, 411 : 프로세서,
412 : HDMI 송신 인터페이스, 412a : 송신부,
430 : HDMI 케이블, 421 : 프로세서,
422 : HDMI 수신 인터페이스, 422a : 수신부,
423 : 적외선 수신부, 424 : 이더넷 인터페이스,
425 : 디스플레이 패널.

Claims (6)

  1. 영상 기기로부터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되는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기에 제공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 후, 상기 HDMI 케이블의 HEC(HDMI Ethernet Channel)를 통하여 상기 영상 기기에 입력되는,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기는,
    비디오 기록기 또는 비디오 디코더인,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원격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제어 신호들은,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 후, 상기 HDMI 케이블의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채널을 통하여 상기 영상 기기에 입력되는,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감시 카메라들 및 스위칭 허브(hu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기에 제공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감시 카메라들로부터 상기 스위칭 허브에 입력된 후, 상기 스위칭 허브로부터 상기 이더넷(ethernet)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되는,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기로부터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기기에게 사용자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는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PC)는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스위칭 허브에 접속되는,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이더넷(ethernet) 케이블, 상기 스위칭 허브, 및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PC)에게 전송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PC)로부터의 사용자 제어 신호들은,
    인터넷, 상기 스위칭 허브, 상기 이더넷(ethernet) 케이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HDMI 케이블의 상기 HEC(HDMI Ethernet Channel)를 통하여 상기 영상 기기에 입력되는,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80116387A 2018-09-28 2018-09-28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46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387A KR102546765B1 (ko) 2018-09-28 2018-09-28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387A KR102546765B1 (ko) 2018-09-28 2018-09-28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575A true KR20200036575A (ko) 2020-04-07
KR102546765B1 KR102546765B1 (ko) 2023-06-22

Family

ID=70290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387A KR102546765B1 (ko) 2018-09-28 2018-09-28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7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692A (ko) * 2021-05-26 2022-12-05 (주)아르게스마린 선박용 원거리 영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8492A (ko) * 2009-10-08 2011-04-14 아바드(주) 이동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와이파이 모듈을 구비한 엔브이알과 홈시어터를 이용하여 구축된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20130017058A (ko) 2011-08-09 2013-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hec 연결 방법
KR20170016845A (ko) * 2014-06-12 201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Hdm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83873A (ko) * 2016-01-11 2017-07-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전원-공급 제어부가 구비된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8492A (ko) * 2009-10-08 2011-04-14 아바드(주) 이동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와이파이 모듈을 구비한 엔브이알과 홈시어터를 이용하여 구축된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20130017058A (ko) 2011-08-09 2013-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hec 연결 방법
KR20170016845A (ko) * 2014-06-12 201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Hdm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83873A (ko) * 2016-01-11 2017-07-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전원-공급 제어부가 구비된 감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692A (ko) * 2021-05-26 2022-12-05 (주)아르게스마린 선박용 원거리 영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765B1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5653B2 (en) Image display system and receiver device
CN101557488B (zh) 媒体内容提供方法、高清晰多媒体接口系统及来源装置
JP5670916B2 (ja) マルチモニターディスプレイ
TWI543531B (zh) 用於控制資料介面的裝置與方法
US1031933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WO2007049556A1 (ja) 映像音声出力装置
US9413986B1 (en) Video switch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JP6683276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EP2230840A2 (en) Apparatus to process signal of digital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US20210185389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253390A (ja) 電子機器、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955112B2 (en) Digital-image transmission apparatus which performs communication, self-diagnosis, and control
JP5764318B2 (ja) 自動で受信器のパワーダウンを検出する送信器及びそれを含むシステム
US10013328B2 (en) Incorrectly connected HDMI cable indicator
JP2007274065A5 (ko)
US20200322568A1 (en) Device for secure video streaming
US89306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over HDMI
KR102546765B1 (ko)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73758B1 (ko)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351678B (zh) 信宿设备及其电力控制方法
KR100662459B1 (ko) Hdmi 수신기 및 전송기 개발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81047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8509591B2 (en) Transmission apparatus, recep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JP6884199B2 (ja) 電子機器および表示方法
JP2019029800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