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014A - 빔 정보를 지시 및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빔 정보를 지시 및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014A
KR20200036014A KR1020207006716A KR20207006716A KR20200036014A KR 20200036014 A KR20200036014 A KR 20200036014A KR 1020207006716 A KR1020207006716 A KR 1020207006716A KR 20207006716 A KR20207006716 A KR 20207006716A KR 20200036014 A KR20200036014 A KR 20200036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ping relationship
bpl
cri
reference signal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5717B1 (ko
Inventor
산즈 천
사오후이 순
츄빈 가오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200036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04W72/0413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04W72/08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빔 정보를 지시 및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여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빔 정보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본 출원에 따른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은, 송신단은 수신단과의 송신에 사용될 제 1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단은 BPL (beam pair link) 식별자와 송신 빔 사이의 제 1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 빔에 대응하는 제 1 BPL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수신단에는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제 2 맵핑 관계가 있음;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제 1 BPL 식별자를 상기 수신단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제 1 송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단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빔 정보를 지시 및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본 출원은, 2017년 08월 11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 번호 제201710686152.5호, “빔 정보를 지시 및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를 발명 명칭으로 하는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출원에 통합되어 본 출원의 일 부분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속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빔 정보를 지시 및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IMO) 기술을 추가로 개선하기 위해, 대규모 안테나 기술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 도입된다. 기지국의 경우, 대규모 안테나 어레이는 최대 512 개 또는 1024 개의 안테나 요소를 가질 수 있다. 풀 디지털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각 안테나 요소는 하나의 TXRU (Transceiver Unit)에 연결되며 현재 최대 512 개 또는 1024 개의 TXRU가 있을 수 있다. 단말의 경우 최대 32/64 안테나 요소가 있는 안테나 어레이가 구성할 수 있다. 경로 손실로 인한 신호 감쇠를 보상하기 위해 기지국 및 단말 측에서의 빔 포밍에 의해 큰 빔 포밍 이득이 얻어질 수 있다. 특히, 고주파 통신(예를 들어, 30 GHz의 주파수)의 경로 손실은 저주파수 통신의 경로 손실보다 더 심각하므로, 무선 신호의 커버리지 영역이 극히 제한된다. 대규모 안테나의 빔 포밍 기술을 통해 무선 신호의 커버리지 영역이 실제 응용 가능한 범위로 확장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 포밍의 성능을 추가로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아날로그 하이브리드 빔 포밍의 송수신 방식이 있으며, 이는 디지털 빔 포밍의 유연성과 아날로그 빔 포밍의 낮은 복잡성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고, 여러 데이터 스트림과 여러 사용자의 동시 포밍을 지원할 수 있다. 동시에, 복잡성은 합리적인 범위 내에 제어된다.
송신단은 수신 정보가 최상의 수신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수신 빔을 조정할 수 있도록 빔 정보를 지시한다. 그러나, 대규모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빔의 수는 256, 1024 이상에 도달할 수 있으며, 1 횟의 빔 정보의 지시에는 8 비트, 10 비트 또는 그 이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빔 정보의 지시 프로세스는 오버헤드가 높으며 비효율적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빔 정보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빔 정보를 지시 및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1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은,
송신단은 수신단과의 송신에 사용될 제 1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단은 BPL (beam pair link) 식별자와 송신 빔 사이의 제 1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 빔에 대응하는 제 1 BPL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수신단에는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제 2 맵핑 관계가 있음;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제 1 BPL 식별자를 상기 수신단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제 1 송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단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송신단에서 BPL 식별자들과 송신 빔들 사이에 제 1 맵핑 관계를 확립하고, 이에 대응하여 송신단에서 BPL 식별자들과 송신 빔들 사이에 제 1 맵핑 관계를 확립함으로써 빔 정보의 지시는 BPL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수신단은 BPL 식별자에 따라 대응하는 수신 빔을 결정할 수있다. 빔 정보를 지시하는 과정에서 시스템 오버헤드가 저감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제 1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 (CRI) 및 송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CRI 및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송신단은 상기 수신단에 대한 기준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상기 송신단은 상기 기준 신호 자원에서 상기 수신단에 기준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수신단이 측정 및 보고하는 데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송신단은 상기 수신단의 측정 및 보고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송신단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상기 수신단에 송신한다.
제 2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수신단은 송신단에 의해 지시된 제 1 BPL (beam pair link)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단은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제 2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BPL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 1 수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송신단에는 BPL 식별자와 송신 빔 사이의 제 1 맵핑 관계가 있음; 및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 1 수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제 1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 (CRI) 및 송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CRI 및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수신단은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수신단은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단은 상기 기준 신호 자원에서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기준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결정하고, CRI와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단은 상기 CRI와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상기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제 3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빔 정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는,
수신단 사이와 전송하는 데에 사용되는 제 1 송신 빔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 1 유닛;
BPL (beam pair link) 식별자와 송신 빔 사이의 제 1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 빔에 대응하는 BPL 식별자를 결정하도록 구성된제 2 유닛 - 상기 수신단에는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제 2 맵핑 관계가 있음;
상기 제 1 BPL 식별자를 상기 수신단에 송신하도록 구성된제 3 유닛; 및
제 1 송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단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4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장치 ,상기 제 1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 (CRI) 및 송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CRI 및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장치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수신단에 대한 기준 신호 자원를 구성하고,
상기 기준 신호 자원에서 상기 수신단에 기준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수신단이 측정 및 보고하는 데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수신단의 측정 및 보고 결과를 통하여 상기 제 1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장치 ,상기 제 3 유닛은 또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상기 수신단에 송신한다.
제 4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는,
송신단에 의해 지시된 제 1 BPL (beam pair link)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5 유닛;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제 2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BPL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 1 수신 빔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 6 유닛 - 상기 송신단에는 BPL 식별자와 송신 빔 사이의 제 1 맵핑 관계가 있음; 및
상기 제 1 수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7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장치 ,상기 제 1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 (CRI) 및 송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CRI 및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장치 ,상기 제 6 유닛은 또한,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장치 ,상기 제 6 유닛은,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준 신호 자원에서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기준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결정하고, CRI와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CRI와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상기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제 5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및/또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제 6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빔 정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는,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하여 얻은 프로그램에 따라 위임의의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7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는,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하여 얻은 프로그램에 따라 위임의의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8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위 임의의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 또는 위 임의의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컴퓨터가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빔 정보를 처리 (지시 및 결정 포함)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빔 정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빔 정보를 지지하기 위한 다른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다른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안 및 장점을 보다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여기서 서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전 실시예가 아닌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을 기반으로 하여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창조력을 발휘하지 않으면서 얻은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수신단이 데이터 전송에 앞서 수신빔을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송신단은 데이터 채널 또는 제어 채널의 송신빔과 관련된 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 채널의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DMRS))를 수신단에 통지할 필요가 있다. 일 통지 방법으로서 QCL (Quasi-Co-Located) 가설을 수신단으로 전달하는 것, 즉 수신단에게 그의 데이터 또는 제어 채널의 DMRS 포트가 어떤 기준 신호의 포트과 공간 파라미터 (공간 도달 각도의 평균 값, 또는 공간 도달 각도 확장, 또는 공간 시작 각도의 평균 값, 또는 공간 시작 각도 확장 등)에 대해 QCL 관계를 갖는지를 알린다. 하나의 공간 파라미터에 대해 2 개의 신호 사이에 QCL 관계인 경우, 하나의 신호의 공간 파라미터는 다른 신호의 공간 파라미터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 개의 신호의 공간 파라미터는 동일 함). 송신단이 수신단에게 그의 데이터 또는 제어 채널의 DMRS가 어떤 기준 신호의 포트과 공간 파라미터에 대해 QCL 관계를 갖는지를 알리는 경우, 수신단은 이러한 기준 신호의 포트에 따라 공간 파라미터를 추정하여 수신빔을 결정하고, 이러한 수신빔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을 수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기준 신호는 예로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CSI-RS)로서 취해진다. 즉, 송신단은 수신단에게송 데이터 또는 제어 채널의 DMRS가 어느 CSI-RS 자원에서 전송된 기준 신호과 공간 파라미터에 대해 QCL 관계를 갖는지를 알린다. 예를 들어, 기지국 (송신단)은 단말 (수신단)에 대해 N 개의 CSI-RS 자원을 구성하고, 각 CSI-RS 자원의 신호는 하나의 빔을 통해 전송된다. 단말은 N 개의 CSI-RS 자원을 측정하고 최상의 품질을 갖는 Q CSI-RS 자원을 선택하고, Q 개의 CSI-RS 자원의 식별자 및 그 품질 인덱스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품질 인덱스는 RSRP (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또는 RSRQ (Reference Signal Receiving Quality) 등일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의해 피드백 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송신빔을 결정함으로써, 데이터 또는 제어 채널의 DMRS와 QCL 인 CSI-RS 자원을 결정함으로써 데이터 또는 제어 채널의 DMRS QCL의 CSI-RS 자원을 결정한다. 기지국은 상기 CSI-RS CRI (Resource Indicator)를 단말로 전송하여 단말이 적절한 수신빔을 설정하도록 한다.
대규모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빔의 수는 256, 1024 이상일 수 있으며, 빔 정보의 한 번의 표시는 8 비트, 10 비트 이상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빔 정보 지시로 인한 시스템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송신단은 기지국으로 취해지고 수신단은 예로서 단말 (UE)로 취해진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빔 정보의 처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구체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
단계 S101 : 기지국은 단말에 대한 N (N≥1) 개의 기준 신호 자원을 구성한다.
하나의 기준 신호 자원은 여러 개의 시간-주파수 자원, 예를 들어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 심볼 내의 여러 자원 요소 (RE)를 포함한다. 기준 신호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정 주기에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거나, 한 주기에 여러 번 나타날 수 있다.
단계 S102 : 기지국은 구성된 기준 신호 자원에서 단말로 기준 신호를 송신하여 단말이 측정 및 보고하는 데 사용하도록 하고, 단말은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기지국 측에서 :
P (P≥1) 개의 안테나 포트의 기준 신호는 각각의 기준 신호 자원에 맵핑될 수 있다. 상이한 기준 신호 자원으로부터 송신된 기준 신호는 상이한 다운링크 송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기지국은 총
Figure pct00001
개의 후보 다운링크 송신빔을 가지며, 각각의 다운링크 빔은 빔 포밍 가중치의 집합에 대응하고, n 번째 빔의 송신빔 포밍 가중치는
Figure pct00002
이며, 여기서 K는 빔 포밍 안테나 유닛의 수이고 기지국의 안테나 유닛의 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송수신 유닛에 연결된 K 개의 안테나 유닛들로부터 하나의 다운링크 빔이 전송될 때, 빔 포밍 안테나 유닛들의 수 K는 기지국의 안테나 유닛들의 수보다 적다.
기지국은 각 후보 다운링크 송신빔에 대해 하나의 참조 신호 자원을 선택하여 대응하는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Figure pct00003
개의 다운링크 송신빔들에 대해, 기지국은
Figure pct00004
개의 기준 신호 자원들을 구성할 수 있고, 각 빔의 기준 신호는 송신을 위해 하나의 기준 신호 자원에 맵핑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256 개의 다운링크 송신빔을 갖는 경우, 기지국은 256 개의 기준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각 빔의 기준 신호는 전송을 위해 하나의 기준 신호 자원에 맵핑된다. 각각의 다운링크 송신빔의 기준 신호는 상기 빔에 대응하는 빔 포밍 가중치를 사용하여 포밍되고 그 후 맵핑된 기준 신호 자원으로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는 특정 구현 및 상술된 방법에서, 상술된 N 개의 기준 신호 자원은 주기적 또는 반-영구적이며, 즉 기준신호는 주기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전송된다.
단말 측에서 :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기준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결정한다. 단말의 수신빔은 후보 수신빔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단말은 총
Figure pct00005
개의 수신빔을 가지며, 각각의 수신빔은 빔 포밍 가중치의 집합에 대응하고, n 번째 빔의 수신빔 포밍 가중치는
Figure pct00006
이고, 여기서 L은 빔 포밍 안테나 요소의 수이고, L은 단말의 안테나 요소보다 작을 수 있다. 하나의 CSI-RS 자원에 대한 기준 신호에 대해, 단말은 각각의 수신빔을 각각 사용하여 이를 수신하려고 시도하고, 가장 강한 수신 신호 전력을 갖는 수신빔을 CSI-RS 자원의 수신빔으로 선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특정 구현에서, 단말은 각각의 CSI-RS 자원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저장한다. 물론, 단말은 또한 CSI-RS 자원의 일부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저장할 수 있으며,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단말은 CSI-RS 자원의 지시 (CSI-RS Resource Indicator,CRI) 정보와 수신빔 간의 맵핑 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에서, 기지국은 또한 자원 집합 방식으로 단말에 대한 CSI-RS 자원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에 대한 S 개의 CSI-RS 자원 집합를 구성한다. Ns 개의 CSI-RS 자원은 s 번째자원 집합에 포함된다. 따라서 CSI-RS 자원을 식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첫 번째 방법 :
자원 집합 인덱스 + CSI-RS 자원 인덱스 : 여기서 CSI-RS 자원 인덱스는 하나의 집합에서 CSI-RS 자원의 일련 번호를 지칭하고; 각 CSI-RS 리소스는 RSI (Resource Set Index) 및 CSI-RS 리소스 인덱스 (CRI)의 두 인덱스로 고유하게 결정된다.
두 번째 방법 :
CSI-RS자원 인덱스 : CSI-RS 자원 집합의 모든 CSI-RS 자원은 일과적으로 번호가 매겨진다.
구성 및 식별 방법에 관계없이,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후속 설명은 CSI를 사용하여 CSI-RS 자원 인덱스를 나타낸다. "자원 집합 인덱스 + CSI-RS 자원 인덱스" 방법을 사용하면 CRI가 (RSI, CRI)로 대체된다.
단계 S103 : 기지국은 빔 쌍 링크 (Beam Pair Link,BPL)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확립한다.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정의한다. BPL 식별자의 수는 미리 설정된 값이거나 기지국 자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BPL 식별자의 수가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면, 그 수는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에 의해 단말에 통지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BPL 식별자의 수는 다운링크 송신빔의 수보다 훨씬 적다. 예를 들어, 256 개의 다운링크 송신빔이 있을 때, BPL 식별자의 수는 4 또는 8이다.
BPL 식별자가 맵핑되는 CRI는 단말의 측정 보고를 통해 기지국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기지국은 단말에 의해보고된 측정 결과에 따라 맵핑 테이블을 작성한다.
맵핑 테이블의 각 BPL 식별자는 하나의 CSI-RS 자원 (CRI로 표시됨)에 맵핑된다. 상이한 CSI-RS 자원이 상이한 다운링크 송신빔에 의해 전송되기 때문에, 상이한 BPL 식별자는 상이한 다운링크 송신빔을 나타낸다.
아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BPL 맵핑의 일례에서, 표 1의 BPL 식별자의 수는 2이고, BPL 식별자 '0'은 CRI0에 맵핑되고 송신빔 (Tx beam) 0에 대응하고, BPL 식별자 '1'은 CRI1에 맵핑되고 Tx beam 1에 대응한다.
BPL 식별자 CRI 송신 빔 (기지국에 의해 저장됨)
0 CRI0 Tx Beam 0
1 CRI1 Tx Beam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에서,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Q 개의 기준 신호 자원을 선택한다.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기준 신호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은 다음의 예에 의해 아래에 예시된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 자원을 수신 한 후, 단말은 각 기준 신호 자원의 수신 신호를 측정하고, 그 수신 신호의 품질을 계산하고, 가장 강한 수신 품질, 즉, 수신 품질이 높은 처음 Q 개의 기준 신호 자원을 선택한다. 수신 품질을 높음에서 낮음으로 순위를 매긴 후에 처음 Q 개의 기준 신호 자원에 있어서, 수신 품질의 표시자는 RSRP 또는 RSRQ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특정 구현에서, Q의 값은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 단말에 통지되거나 단말 자체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은 특정 임계 값보다 큰 수신 품질을 갖는 독립 실례의 수에 따라 Q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Q 개의 기준 신호 자원의 식별자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예를 들어, N = 256 (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CSI-RS 자원의 수)이고 Q = 2 (Q는 단말에 의해 선택된 CSI-RS 자원의 수) 인 경우, 단말은 아래 표 2에 표시된 것처럼, 선택한 2 개의 CSI-RS 자원 (CRI)의 식별자, CRI,및 그에 대응하는 RSRP를 보고한다.
CRI RSRP
24 -80dBm
37 -78dBm
단말에 의해 보고된 정보를 수신 한 후, 기지국은 아래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BPL 맵핑 테이블을 설정한다 (CRI의 인덱스 x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송신빔의 인덱스도 x로 한다고 가정함).
BPL 식별자 CRI 송신 빔 인덱스 (기지국에 의해 저장됨)
0 24 24
1 37 37
기지국이 전술한 단말에 의해 보고된 정보를 참조하여 BPL 맵핑 테이블을 확립한다는 사실은 기지국이 단말에 의해 보고된 정보에 완전히 따라 BPL 맵핑 테이블을 확립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표 2에 도시된 내용에 따라 여전히 보고하는 경우, 기지국은 자신의 고려 사항, 예를 들어 다중 사용자 페어링의 요구 사항 또는 다른 이유로 아래 표 4에 도시된 것 처럼 BPL 식별자, CRI 및 송신빔의 맵핑 관계 테이블을 확립할 수 있다:
BPL 식별자 CRI 송신 빔 인덱스 (기지국에 의해 저장됨)
0 24 24
1 47 47
단계 S104 : 기지국은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 테이블을 단말로 전송한다.예를 들어, 단계 S103에 대응하는 다음의 표 5는 단말로 송신된다 (송신빔의 인덱스 정보는 기지국 측에만 저장되고 단말로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BPL 식별자 CRI
0 24
1 37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는 상술된 방법에서, 전술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 테이블은 기지국에 의해 상위 계층 시그널링로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RRC (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또는 MAC (Media Access Control) 레이어 시그널링을 지칭할 수 있다.단계 S105 :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 테이블을 수신하고 최적의 수신빔을 결정한다.
단말은 CRI와 수신빔 사이의 저장된 맵핑 관계에 따라 BPL 식별자와 수신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맵핑 관계 테이블이 확립된다. 단말은 총 8 개의 수신빔을 가지며, CSI-RS 자원 24을 수신하기 위한 최적의 수신빔은 수신빔 4이고 CSI-RS 자원 37을 수신하기 위한 최적의 수신빔은 수신빔 (7)인 것으로 가정한다. 단말은 아래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핑 관계를 설정한다. 여기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된 것이다.
BPL 식별자 CRI 수신 빔 인덱스 (단말에 의해 저장됨)
0 24 4
1 37 7
단계 S106 : 기지국이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또는 제어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한다.기지국은 송신에 사용되는 송신 빔을 결정하고, 기지국 측에 저장된 송신 빔들과 BPL 식별자들 간의 맵핑 관계를 통해 송신 빔에 대응하는 BPL 식별자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이 송신 빔 (24)을 사용하여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하기로 결정하면, 송신 빔 (24)에 대응하는 BPL 식별자는 '0'이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송신된 제어 정보(예를 들어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에서 BPL 식별자 정보를 운반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예에서, BPL 식별자 정보의 값은 '0'이다.
BPL 식별자 정보에 의해 점유된 비트 수는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에서 BPL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BPL 식별자의 수가 2 인 경우, BPL 식별자 정보 필드는 1 비트를 차지한다. 또한 예를 들어, BPL 식별자의 수가 4 인 경우, BPL 식별자 정보 필드는 2 비트를 점유한다.
단말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어 정보에서 BPL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된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검색함으로써 제어 채널에 의해 사용되어야하는수신 빔 또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기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예에서, BPL 식별자 정보의 값은 '0'이고, 단말는 표 6를 검색함으로써 수신을 위해 수신 빔 (4)을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전술한 방식을 통해,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는 방법에서, BPL과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확립함으로써, 빔 정보를 지시하는 프로세스 동안 점유되는 자원이 제한된다. 따라서, 빔 정보를 지시하는 프로세스의 시스템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선택적으로, 특정 구현에서,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에서, 단계 S103에서, 기지국은 또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확리하는 근거로서 기지국이 보고한 측정 결과에 따르지 않아도 된다. 즉, 단말로부터의 보고가 있더라도, 기지국은 또한 단말에 의해 선택되고 보고된 CRI에 제한되지 않고 BPL 식별자에 맵핑된 CRI를 선택할 수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예에서, 단말은 CRI (24) 및 CRI (37)을 선택하여 보고하지만, 다중 사용자 송신을 보다 잘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은 아래의 표 4에 도시된 맵핑 관계를 설정할 수있다.
따라서, 상술한 단계 S101 및 S102는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단계가 아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에서, 기지국은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업데이트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최신 CRI 정보를 보고하면, 기지국은 이에 따라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가 업데이트된 후, 기지국은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업데이트된 맵핑 관계를 단말로 송신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특정 구현 동안,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에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아래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방식 I : 완전히 업데이트.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에서 BPL 식별자의 맵핑 관계가 업데이트된다. 즉, 전체 맵핑 테이블이 업데이트된다. 맵핑 관계가 업데이트된 후, 기지국은 새로운 테이블을 단말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전체 표 5가 업데이트되고, 업데이트된 표 5가 단말로 송신된다.
방식 II : 부분적으로 업데이트.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에서, BPL 식별자의 맵핑 관계의 일부만이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고, 기지국은 BPL 식별자의 업데이트된 맵핑 관계만을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메시지 갱신에 포함되지 않은 BPL 식별자의 경우, 기지국과 단말은 여전히 이전 맵핑 관계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표 5의 첫 번째 행의 맵핑 관계 (CRI 24에 대응하는 BPL 0) 만 업데이트된 경우 첫 번째 행의 업데이트된 맵핑 관계 만 송신되며 두 번째 행의 맵핑 관계 (BPL 1은 CRI 37에 대응함)는 변경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특정 구현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상기 언급된 방법에서, BPL 식별자들과 CRI 사이의 맵핑 관계가 단말에 송신된 후, 기지국은 BPL 식별자들에 맵핑된 송신 빔들을 변경할 수 있고, 단말이 수신 빔들을 변경할 필요가없는한 변경된 송신 빔들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는 업데이트되지 않으며, 즉 기지국은 업데이트 메시지를 단말에 송신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단말이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수신한 후, 단말은 또한 BPL 식별자에 맵핑된 수신 빔을 변경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특정 구현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에서,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송수신 관계가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예에서, 기지국은 송신단이고, 단말은 수신단이다.
결론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201 : 송신단은 수신단과의 송신에 사용될 제 1 송신 빔을 결정한다.
명확하게 표현하고 다른 설명에서 언급된 송신 빔과 구별하기 위해,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 송신에 사용될 송신 빔을 본 명세서에서 제 1 송신 빔이라 칭한다. 이에 상응하여 수신단 측에서도 마찬가지다.
단계 S202 : 송신단은 BPL (beam pair link) 식별자와 송신 빔 사이의 제 1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빔에 대응하는 BPL 식별자를 결정한다. 여기서, 수신단에는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제 2 맵핑 관계가 있다.
단계 S203 : 송신단은 상기 제 1 BPL 식별자를 수신단에 송신한다.
명확한 표현을 위해 그리고 다른 설명에서 언급된 BPL 식별자와 구별하기 위해, 송신단에 의해 수신단으로 송신된 BPL 식별자는 본 명세서에서 제 1 BPL 식별자로 지칭된다. 이에 따라 수신단 측에서도 마찬가지다.
단계 S204 : 송신단은 상기 제 1 송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단에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특정 구현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에서, 기지국에 의해 구축된 BPL 식별자, CRI 및 송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는 상기 위 표 1에 도시된 맵핑 관계와 같은 제 1 맵핑 관계로 지칭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특정 구현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에서, 터미널 측에 의해 구축된 BPL 식별자들, CRI들 및 송신 빔들 사이의 맵핑 관계는 위 표 6에 도시된 맵핑 관계와 같이, 제 2 맵핑 관계로 지칭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제 1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 (CRI) 및 송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CRI 및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송신단은 다음과 같이 상기 제 1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
상기 송신단은 상기 수신단에 대한 기준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상기 송신단은 상기 기준 신호 자원에서 상기 수신단에 기준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수신단이 측정 및 보고하는 데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송신단은 상기 수신단의 측정 및 보고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특정 구현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에서, 상기 측정 결과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 자원의 품질에 따라 단말에 의해 선택된 x 개의 기준 신호 자원의 식별자이다. x는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x는 상기 표 2에 도시된 측정 결과 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
송신단은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 (예를 들어, 상기 표 5에 도시된 맵핑 관계)를 수신단으로 송신한다. 이어서, 맵핑 관계의 업데이트가 관련되는 경우, 송신단은 또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업데이트된 맵핑 관계를 수신단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은 또한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S301 : 수신단은 송신단에 의해 지시된 제 1 BPL (beam pair link) 식별자를 수신한다.
단계 S302 : 수신단은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제 2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제 1 BPL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 1 수신 빔을 결정한다. 상기 송신단에 BPL 식별자와 송신 빔 사이의 제 1 맵핑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단계 S303: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 1 수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제 1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 (CRI) 및 송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CRI 및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서, 또한, 상기 수신단은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수신단은 다음과 같이 상기 제 2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
상기 수신단은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단은 상기 기준 신호 자원에서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기준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결정하고, CRI와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단은 상기 CRI와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상기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이어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의 업데이트가 관련되는 경우, 수신단은 BPL 식별자와 송신에 의해 송신된 CRI 사이의 업데이트된 맵핑 관계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업데이트된 맵핑 관계를 이용하여 수신단의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업데이트한다.
전술한 방법에 대응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다음의 장치를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단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
수신단 사이와 전송하는 데에 사용되는 제 1 송신 빔을 결정하기 위한 제 1 유닛 (41);
BPL (beam pair link) 식별자와 송신 빔 사이의 제 1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 빔에 대응하는 제 1 BPL 식별자를 결정하기 위한 제 2 유닛 (42)- 상기 수신단에는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제 2 맵핑 관계가 있음;
상기 제 1 BPL 식별자를 상기 수신단에 송신하기 위한 제 3 유닛 (43); 및
상기 제 1 송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단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 4 유닛 (44)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 (CRI) 및 송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CRI 및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유닛 (42)은 다음과 같이 상기 제 1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
상기 수신단에 대한 기준 신호 자원를 구성하고,
상기 기준 신호 자원에서 상기 수신단에 기준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수신단이 측정 및 보고하는 데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수신단의 측정 및 보고 결과를 통하여 상기 제 1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3 유닛 (43)은 또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상기 수신단에 송신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단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
송신단에 의해 지시된 제 1 BPL (beam pair link)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제 5 유닛 (51);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제 2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단에 의해 지시된 BPL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 1 수신 빔을 결정하기 위한 제 6 유닛 (52) - 상기 송신단에는 BPL 식별자와 송신 빔 사이의 제 1 맵핑 관계가 있음; 및
상기 제 1 수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7 유닛 (53)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 (CRI) 및 송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CRI 및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6 유닛은 또한,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6 유닛은 다음과 같이 상기 제 2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준 신호 자원에서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기준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결정하고, CRI와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CRI와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상기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단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다른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
메모리 (520)에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다음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세서 (500); 및
프로세서 (500)의 제어 하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51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 (500)는, 수신단 사이와 전송하는 데에 사용되는 제 1 송신 빔을 결정하고,
BPL (beam pair link) 식별자와 송신 빔 사이의 제 1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 제 1 송신 빔에 대응하는 제 1 BPL 식별자 ;상기 수신단에는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제 2 맵핑 관계가 있으며,
송수신기 (510)를 통해 상기 제 1 BPL 식별자를 상기 수신단에 송신하고,
송수신기 (510)를 통해 상기 제 1 송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단에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 (CRI) 및 송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CRI 및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 (500)는 다음과 같이 상기 제 1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
상기 수신단에 대한 기준 신호 자원를 구성하고,
상기 기준 신호 자원에서 상기 수신단에 기준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수신단이 측정 및 보고하는 데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수신단의 측정 및 보고 결과를 통하여 상기 제 1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 (500)는 또한,
송수신기 (510)를 통해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상기 수신단에 송신한다.
도 6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접속하는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 (500)를 비롯한 하나 혹은 복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 (520)를 비롯한 메모리의 각 종 회로에 의해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주변 장치, 전류 차단 장치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 종 다른 회로를 한데다 연결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주지되는 사항이므로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 (510) 는 복수의 부재일 수 있으며,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질에서 다른 다양한 장치와 통신하는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프로세서 (500) 는 버스 아키텍처과 일반 처리에 대한 관리를 담당하며, 메모리 (520)는 프로세서 (500) 가 동작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프로세서 (500)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CPLD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7을 참조하면, 수신 단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다른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메모리 (620)에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다음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세서 (600); 및
프로세서 (600)의 제어 하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61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 (600)는 송수신기 (610)를 통해 송신단에 의해 지시된 제 1 BPL (beam pair link) 식별자를 수신한다.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제 2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BPL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 1 수신 빔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단에는 BPL 식별자와 송신 빔 사이의 제 1 맵핑 관계가 있으며,
송수신기 (610)를 통해 상기 제 1 수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 (CRI) 및 송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CRI 및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 (600)는 또한, 송수신기 (610)를 통해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 (600)는 다음과 같이 상기 제 2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
송수신기 (610)를 통해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 ;
송수신기 (610)를 통해 상기 기준 신호 자원에서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기준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결정하고, CRI와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CRI와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상기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도 7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접속하는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 (600)를 비롯한 하나 혹은 복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 (620)는 복수의 부재일 수 있으며,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질에서 다른 다양한 장치와 통신하는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 (610)는 복수의 부재일 수 있으며,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질에서 다른 다양한 장치와 통신하는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장치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630)는 복수의 요소, 즉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 할 수 있고, 전송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 (600)는 버스 아키텍처과 일반 처리에 대한 관리를 담당하며, 메모리 (620)는 프로세서 (600)가 동작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 (600)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CPLD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일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전술한 장치 및/또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추가로 제공된다. 즉,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 (또는 통신 장치라고도 함)은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상기 장치 또는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장치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가질 수 있다.
동일한 기술 사상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비 휘발성 저장 매체이며, 컴퓨터로 하여금 위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빔 정보의 처리 흐름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저장한다.
결론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해결책들에서, 송신단에서 BPL 식별자들과 송신 빔들 사이에 제 1 맵핑 관계를 확립하고, 이에 대응하여 송신단에서 BPL 식별자들과 송신 빔들 사이에 제 1 맵핑 관계를 확립함으로써 빔 정보의 지시는 BPL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수신단은 BPL 식별자에 따라 대응하는 수신 빔을 결정할 수있다. 빔 정보를 지시하는 과정에서 시스템 오버헤드가 저감된다.
본 기술 분야내의 당업자들이 명백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하여, 본 출원은 풀 하드웨어실시예, 풀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방면을 결합하는 실시예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실행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메체(디스크 메모리, CD-ROM 및 광학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에서 실시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의 방법, 디바이스(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이해해야 할 것은 바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으로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중의 각 흐름 및/또는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중의 흐름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통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내장형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머신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부터 수행한 명령을 통해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달성하도록 마련된 장치가 생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를 유도하여 특정된 방식으로 작업하도록 하는 컴퓨터 가독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가독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를 포함한 제조품을 생성하도록 하며, 해당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는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서 일련의 오퍼레이션 절차를 수행하여 컴퓨터가 실시하는 프로세스가 생성되도록 하며, 따라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서 수행한 명령은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달성하도록 마련된 절차를 제공하도록 한다.
분명한 것은, 본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당업자들은 본 출원에 대해 각종 수정 및 변경을 실행하며 또한 본 출원의 주제 및 범위를 떠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본 출원의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이 본 출원의 청구항 및 동등 기술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 본 출원은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26)

  1. 송신단은 수신단과의 송신에 사용될 제 1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단은 BPL (beam pair link) 식별자와 송신 빔 사이의 제 1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 빔에 대응하는 제 1 BPL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수신단에는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제 2 맵핑 관계가 있음;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제 1 BPL 식별자를 상기 수신단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제 1 송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단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 (CRI) 및 송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CRI 및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은 상기 수신단에 대한 기준 신호 자원을 구성하고,
    상기 송신단은 상기 기준 신호 자원에서 상기 수신단에 기준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수신단이 측정 및 보고하는 데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송신단은 상기 수신단의 측정 및 보고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맵핑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상기 수신단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
  5. 수신단은 송신단에 의해 지시된 제 1 BPL (beam pair link)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단은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제 2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BPL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 1 수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송신단에는 BPL 식별자와 송신 빔 사이의 제 1 맵핑 관계가 있음; 및
    상기 수신단은 상기 제 1 수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 (CRI) 및 송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CRI 및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은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은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단은 상기 기준 신호 자원에서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기준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결정하고, CRI와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단은 상기 CRI와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상기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맵핑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9. 수신단 사이와 전송하는 데에 사용되는 제 1 송신 빔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 1 유닛;
    BPL (beam pair link) 식별자와 송신 빔 사이의 제 1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 빔에 대응하는 BPL 식별자를 결정하도록 구성된제 2 유닛 - 상기 수신단에는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제 2 맵핑 관계가 있음;
    상기 제 1 BPL 식별자를 상기 수신단에 송신하도록 구성된제 3 유닛; 및
    상기 제 1 송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단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4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 (CRI) 및 송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CRI 및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수신단에 대한 기준 신호 자원를 구성하고,
    상기 기준 신호 자원에서 상기 수신단에 기준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수신단이 측정 및 보고하는 데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수신단의 측정 및 보고 결과를 통하여 상기 제 1 맵핑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유닛은 또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상기 수신단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13. 송신단에 의해 지시된 제 1 BPL (beam pair link)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5 유닛;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제 2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BPL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 1 수신 빔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 6 유닛 - 상기 송신단에는 BPL 식별자와 송신 빔 사이의 제 1 맵핑 관계가 있음;
    상기 제 1 수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7 유닛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 (CRI) 및 송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CRI 및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유닛은 또한,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유닛은,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준 신호 자원에서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기준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결정하고, CRI와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CRI와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상기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맵핑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17.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 및/또는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8.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하고 획득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음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수신단 사이와 전송하는 데에 사용되는 제 1 송신 빔을 결정하고, BPL (beam pair link) 식별자와 송신 빔 사이의 제 1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 빔에 대응하는 제 1 BPL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단에는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제 2 맵핑 관계가 있으며, 상기 제 1 BPL 식별자를 상기 수신단에 송신하고, 상기 제 1 송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단에 신호를 송신한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 (CRI) 및 송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CRI 및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수신단에 대한 기준 신호 자원를 구성하고,
    상기 기준 신호 자원에서 상기 수신단에 기준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수신단이 측정 및 보고하는 데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수신단의 측정 및 보고 결과를 통하여 상기 제 1 맵핑 관계를 결정한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상기 수신단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22.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하고 획득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음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는 송신단에 의해 지시된 제 1 BPL (beam pair link) 식별자를 수신하고, BPL 식별자와 수신 빔 사이의 제 2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BPL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 1 수신 빔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단에는 BPL 식별자와 송신 빔 사이의 제 1 맵핑 관계가 있으며, 상기 제 1 수신 빔을 사용하여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지시 (CRI) 및 송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맵핑 관계는 BPL 식별자, CRI 및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 자원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준 신호 자원에서 상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기준 신호 자원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결정하고, CRI와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CRI와 수신 빔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상기 BPL 식별자와 CRI 사이의 맵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맵핑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2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또는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가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0207006716A 2017-08-11 2018-06-27 빔 정보를 지시 및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102305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686152.5A CN108988921B (zh) 2017-08-11 2017-08-11 一种波束信息的指示、确定方法及装置、通信系统
CN201710686152.5 2017-08-11
PCT/CN2018/093180 WO2019029290A1 (zh) 2017-08-11 2018-06-27 一种波束信息的指示、确定方法及装置、通信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014A true KR20200036014A (ko) 2020-04-06
KR102305717B1 KR102305717B1 (ko) 2021-09-27

Family

ID=64542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716A KR102305717B1 (ko) 2017-08-11 2018-06-27 빔 정보를 지시 및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25330B2 (ko)
EP (1) EP3667941B1 (ko)
JP (1) JP7027522B2 (ko)
KR (1) KR102305717B1 (ko)
CN (1) CN108988921B (ko)
WO (1) WO2019029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0510A (zh) * 2018-07-18 2020-01-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元素的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13395780B (zh) * 2020-03-13 2023-09-1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上行信道传输方法、装置、基站、终端及存储介质
WO2023020317A1 (zh) * 2021-08-20 2023-02-23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CN117254889A (zh) * 2022-06-08 2023-12-1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波束信息的确定方法、装置及通信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366B1 (ko) * 2004-10-27 201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16524405A (ja) * 2013-05-31 2016-08-12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全次元mimoシステムにおける線形プリコーディングと動的垂直セクタ化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4761A (zh) * 2013-12-20 2015-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下行波束混合指示的方法、基站、终端和系统
CN104734760A (zh) * 2013-12-20 2015-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下行波束索引处理的方法、装置和系统
US10211964B2 (en) * 2015-07-29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SI reporting
CN106961296A (zh) * 2016-01-08 2017-07-18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开环多天线发送方法
PL3696988T3 (pl) * 2016-11-04 2023-01-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posoby i systemy zarządzania procesem śledzenia wiązki przy użyciu wskaźników i odpowiadających systemów
EP3606140A4 (en) 2017-03-22 2020-10-21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PROCESS
BR112019019620A2 (pt) 2017-03-23 2020-04-22 Ntt Docomo Inc terminal e método de radiocomunicação
KR20190118643A (ko) 2017-03-24 2019-10-18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무선 디바이스를 위한 전송기 및 수신기 구성을 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006360B2 (en) * 2017-07-27 2021-05-11 Qualcomm Incorporated Multi-beam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monitoring during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CDRX) ope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366B1 (ko) * 2004-10-27 201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16524405A (ja) * 2013-05-31 2016-08-12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全次元mimoシステムにおける線形プリコーディングと動的垂直セクタ化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4229* *
3GPP R1-1708134* *
3GPP R1-171163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7941A1 (en) 2020-06-17
US20200177262A1 (en) 2020-06-04
JP7027522B2 (ja) 2022-03-01
JP2020529802A (ja) 2020-10-08
EP3667941B1 (en) 2022-04-27
EP3667941A4 (en) 2020-07-08
CN108988921B (zh) 2019-08-02
KR102305717B1 (ko) 2021-09-27
WO2019029290A1 (zh) 2019-02-14
CN108988921A (zh) 2018-12-11
US11025330B2 (en)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6706B2 (en) Cell measurement in communication systems, related configuration and devices
US11800377B2 (en) Communication system
WO2018202078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for layer-3 (l3) mobility
KR102340704B1 (ko) 빔 트레이닝 방법 및 장치, 통신 시스템
US1159510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11895054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US10425848B2 (en) Method for virtual carrier aggregation,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CN110971361B (zh) 一种控制信道波束指示方法及设备
CN113287339B (zh) 用于早期测量配置的方法和装置
KR101487375B1 (ko) 간섭을 측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20160021632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mmon sig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2305717B1 (ko) 빔 정보를 지시 및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JP6967604B2 (ja) 基準信号を送信する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基準信号を受信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10132595A (ko) Comp 결합 전송을 위한 동적 셀 선택 및 자원 맵핑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8059470A1 (zh) 传输信息的方法和设备
JP2023515220A (ja) ビームフォーミングを採用した集中型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c-ran)における選択的な送信および受信
EP4156546A1 (en) Uplink beam training on neighbor cell
WO2023159505A1 (zh) 波束管理方法和装置
TW201935868A (zh) 通道狀態資訊之回報方法及偵測方法、及其通訊裝置與基地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