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676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676A
KR20200034676A KR1020200007609A KR20200007609A KR20200034676A KR 20200034676 A KR20200034676 A KR 20200034676A KR 1020200007609 A KR1020200007609 A KR 1020200007609A KR 20200007609 A KR20200007609 A KR 20200007609A KR 20200034676 A KR20200034676 A KR 20200034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ircumferential surface
bearing
hollow body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267B1 (ko
Inventor
김성기
김경웅
김병직
김창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1433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72179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7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26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Abstract

모터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장착된 로터와; 로터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스테이터와; 회전축에 로터와 이격되게 장착된 임펠러와; 베어링 하우징과; 회전축에 내륜이 고정되고 외륜이 베어링 하우징의 내둘레면과 간극을 갖는 구름 베어링과; 베어링 하우징과 구름 베어링 사이에 배치된 오링을 포함하고, 오링은 외륜과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내둘레면과 베어링 하우징의 내둘레면에 밀착되는 외둘레면을 갖는 중공 바디와; 중공 바디의 내둘레면에서 돌출되고 외륜 외면과 접촉되는 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갖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청소기 등의 가전기기에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공기를 먼지 집진부로 흡인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의 일예는 모터 하우징과, 모터 하우징에 설치된 스테이터와,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와, 로터가 장착된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의 회전축은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회전축은 베어링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모터에 설치되는 베어링은 자기 베어링이나 구름 베어링 등일 수 있고, 구름 베어링는 외륜이 베어링 하우징에 헐거움(loose fitting) 상태로 지지될 수 있고, 구름 베어링의 볼 하중 변동에 의해 베어링 크립(베어링 외륜이 습동하는 현상, 회전방향 유동)이 발생될 수 있으며, 베어링 외륜이 축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소음 및 내구 문제를 악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륜의 외둘레에 오링을 끼우는 것이 가능한데, 외륜에 끼워진 오링은 구름 베어링의 정렬 오차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베어링의 외둘레에 오링을 장착한 모터의 일예는 등록특허공보 10-0686098 B1(2007년02월26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고, 이러한 모터는 브라켓에 베어링이 안착되는 베어링 안착부가 베어링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베어링 안착부에 베어링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는 마찰력을 발생하는 고무 재질의 오링이 삽입되며, 베어링 안착부에 오링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오링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모터는 오링의 고정을 위해, 베어링 안착부의 내둘레에 오링홈이 형성되므로, 베어링 안착부의 형상이 복잡하고 베어링 안착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의 제조 비용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구름 베어링의 일예는 외륜에 오링이 끼워지는 그루브가 형성되고 있고, 오링이 그루브에 끼워질 상태에서 신뢰성 높게 유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구름 베어링의 외둘레에 오링을 끼우기 위한 그루브를 형성할 경우, 베어링 가공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잇다.
등록특허공보 10-0686098 B1(2007년02월26일 공고)
본 발명은 베어링 하우징 및 구름 베어링 각각의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장착된 로터와; 로터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스테이터와; 회전축에 로터와 이격되게 장착된 임펠러와; 베어링 하우징과; 회전축에 내륜이 고정되고 외륜이 베어링 하우징의 내둘레면과 간극을 갖는 구름 베어링과; 베어링 하우징과 구름 베어링 사이에 배치된 오링을 포함하고, 오링은 외륜과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내둘레면과 베어링 하우징의 내둘레면에 밀착되는 외둘레면을 갖는 중공 바디와; 중공 바디의 내둘레면에서 돌출되고 외륜 외면과 접촉되는 돌기를 포함한다.
베어링 하우징은 중공 바디의 외둘레면과 접촉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서 연장되고 외륜과 상기 중공 바디 사이를 덮으며 회전축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고,
돌기는 커버부와 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돌기와 커버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외륜의 축방향 일단과 중공 바디의 축방향 일단 각각은 커버부에 접촉되는 접촉단일 수 있다.
돌기는 중공 바디의 내둘레면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의 단면 형상은 반원일 수 있다.
중공 바디의 두께는 돌기의 두께 보다 두꺼울 수 있다.
돌기는 중공 바디의 축방향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돌기는 외륜의 외둘레면과 중공 바디의 내둘레면 사이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잇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베어링 하우징과 외륜에 오링을 끼우기 위한 별도의 그루부가 형성될 필요 없어, 베어링 하우징 및 베어링의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중공 바디와 외륜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외륜의 외둘레면이 중공 바디에 면접촉되는 경우 보다 구름 베어링의 방열 성능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외륜과 오링이 커버부에 축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어, 베어링과 오링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경우 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링이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는 도 1에 도시된 A부 확대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링이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모터는 회전축(1)과; 로터(2)와, 스테이터(3)와, 임펠러(4)와, 베어링 하우징(5)과, 구름 베어링(6) 및 오링(8)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모터 바디(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 바디(10)의 내부에는 임펠러(4)가 수용되는 임펠러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 바디(10)의 내부에는 로터(2) 및 스테이터(3)가 수용되는 모터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 바디(10)에는 공기가 임펠러공간(S1)으로 흡입되는 흡입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 바디(10)에는 모터공간(S2)의 공기가 모터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모터 바디(10)는 단일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인 것도 가능하다.
모터 바디(10)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일 경우, 모터 바디(10)는 인렛 바디(13)와, 모터 하우징(14)를 포함할 수 있다.
인렛 바디(13)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인렛 바디(13)는 임펠러(4)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인렛 바디(13)의 내부에는 임펠러(4)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임펠러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인렛 바디(13) 중 흡입구(11)의 반대편은 모터 하우징(14)과 결합될 수 있다. 인렛 바디(13)는 모터 하우징(14)의 외둘레 전부 또는 외둘레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모터 하우징(14)은 스테이터(3)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모터 하우징(14)의 내부에는 회전축(1)과 로터(2) 및 스테이터(3)가 수용되는 모터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 하우징(14)에는 임펠러(4)에 의해 유동된 후 모터 공간(S2)를 유입된 공기가 모터 바디(10)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2)는 흡입구(11)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모터 하우징(14)은 중공 형상일 수 있다.
회전축(1)은 모터공간(S2)에서 임펠러공간(S1)으로 길게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1)의 일단(1A)은 모터공간(S2)에 위치할 수 있고, 회전축(1)의 타단(1B)는 임펠러 공간(S2)에 위치할 수 있다.
모터는 하나의 구름 베어링(6)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구름 베어링(6)과 서브 베어링(7)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브 베어링(7)은 구름 베어링(6)과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축(1)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서브 베어링(7)은 자기 베어링이나 가스 베어링과 같이, 구름 베어링(6)과 종류가 상이한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서브 베어링(7)은 구름 베어링(6)과 동일한 구조의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서브 베어링(7)은 구름 베어링(6)과 축방향(L)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축(1)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브 베어링(7)의 일 예는 모터 바디(10)에 형성된 중공부(15, 도 1 참조)에 설치되어 회전축(1)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서브 베어링(7)의 다른 예는 베어링 하우징(5)에 구름 베어링(6)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회전축(1)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브 베어링(7)이 구름 베어링(6)와 동일 구조의 베어링이고, 서브 베어링(7)이 모터 바디(10)에 설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서브 베어링(7)과 구름 베어링(6)은 로터(2)를 사이에 두고 축 방향(L)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베어링(7)은 회전축(1)에 고정된 서브 내륜(71)과, 서브 내륜(71)과 이격되고 중공부(15)에 접촉되는 서브 외륜(72)와, 서브 내륜(71)과 서브 외륜(72) 사이에 배치된 서브 볼(73)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가 구름 베어링(6)과 서브 베어링(7)을 모두 포함하고, 모터의 조립공차 나 진동 등에 의해 베어링 하우징(5)과 중공부(15)의 동심도 오차가 발생될 수 있는데, 구름 베어링(6)은 오링(8)의 후술하는 돌기(82)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되어 이러한 동심도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로터(2)는 회전축(1)에 장착될 수 있다. 로터(2)는 회전축(1)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로터(2)는 회전축(1) 중 모터 공간(S2)에 수용되는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로터(2)는 구름 베어링(6)과 축 방향(L)으로 이격될 수 있다.
로터(2)는 마그네트(21)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2)는 마그네트(21)가 장착되는 마그네트 코어(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터(2)는 축 방향(L)으로 이격된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2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터(2)는 회전축(1)과 임펠러(4) 및 구름 베어링(6)과 함께 로터 어셈블리(A)를 구성할 수 있다. 로터(2)는 임펠러(4) 보다 더 무거울 수 있다. 이러한 로터 어셈블리(A)의 무게 중심은 임펠러(4)와 로터(2) 중 로터(2)에 더 근접할 수 있다.
스테이터(3)는 로터(2)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3)는 모터 바디(10)의 내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3)는 모터 하우징(14)의 내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3)는 스테이터 코어(31)와,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된 코일(32)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4)는 회전축(1)에 로터(2)와 이격되게 장착될 수 있다. 임펠러(4)는 로터(2)와 이격되게 장착될 수 있다. 임펠러(4)는 로터(2)와 축 방향(L)으로 이격될 수 있다. 임펠러(4)는 로터(2) 보다 경량의 재질일 수 있고, PEEK 등의 고강도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임펠러(4)는 축 방향(L)으로 에어 등의 가스를 흡입한 후 원심 방향(R)으로 토출하는 원심형 임펠러일 수 있다. 임펠러(4)는 허브(42)와, 허브(42)의 외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44)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임펠러(4)에서 유동된 공기를 안내하는 디퓨져(46, 도 1 및 도 2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46)는 모터 바디(10) 특히, 인렛 바디(13)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그 외둘레가 모터 바디(10) 특히, 인렛 바디(13)의 내둘레면을 향할 수 있다.
디퓨져(46)와 인렛 바디(13)의 사이에는 임펠러(4)에 의해 유동된 공기 등의 가스를 모터공간(S2)으로 안내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5)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임펠러(4)와 로터(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5)에는 회전축(1)이 관통되는 통공(H)이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5)은 회전축(1) 일부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5)은 모터 바디(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모터 바디(10)와 별도로 제조된 후, 모터 바디(1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베어링 하우징(5)이 모터 바디(10)와 일체로 형성될 경우, 조립 공차는 최소화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5)은 모터 바디(10)와 별도로 제조될 경우,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모터 바디(10)에 체결될 수 있다. 일예로, 베어링 하우징(5)은 인렛 바디(13)나 모터 하우징(14)에 체결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5)는 구름 베어링(6) 및 오링(8)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용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5)은 모터 바디(10)에 체결되는 체결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5)은 베어링 수용부(54)와 체결부(55)를 잇는 복수개의 브릿지부(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수용부(54)는 축 방향(L)으로 로터(2)와 임펠러(4)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5)은 중공 바디(81)의 외둘레면(81C, 도 3 참조)과 접촉되는 하우징부(57)와, 하우징부(57)에서 연장되고 외륜(42)과 중공 바디(81) 사이를 덮으며 회전축(1)이 관통되는 통공(H)이 형성된 커버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57)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커버부(58)는 하우징부(57) 중 임펠러(4)와 인접한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57)와 커버부(58)는 베어링 수용부(54)를 구성할 수 있고, 구름 베어링(6) 및 오링(8)은 이러한 베어링 수용부(54)의 하우징부(57)와 커버부(58)에 의해 지지 및 보호될 수 있다.
구름 베어링(6)은 회전축(1)에 내륜(61)이 고정되고 외륜(62)이 베어링 하우징(5)의 내둘레면과 간극을 갖을 수 있다. 구름 베어링(6)은 외륜(62)이 하우징부(57)와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축(1)을 지지할 수 있다.
오링(8)은 베어링 하우징(5)과 구름 베어링(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링(8)은 베어링 하우징(5)의 하우징부(57)와 구름 베어링(6)의 외륜(6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오링(8)은 외륜(62)가 베어링 하우징(5)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것이 최소화되게 외륜(6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오링(8)은 중공 바디(81)와, 중공 바디(81)에서 돌출된 돌기(8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 바디(81)는 축 방향(L)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고, 돌기(82)는 중공 바디(82)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기(82)는 중공 바디(82)의 내둘레면(81D, 도 4 참조)에서 중공 바디(82)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중공 바디(81)는 외륜(62)과 반경 방향(R)으로 이격된 내둘레면(81D)을 갖을 수 있다. 중공 바디(81)는 베어링 하우징(5)의 내둘레면(57C)에 밀착되는 외둘레면(81C)을 갖을 수 있다. 중공 바디(81)의 두께(T1)는 돌기(82)의 두께(T2) 보다 두꺼울 수 있다.
여기서, 돌기(82)의 두께(T2)는 돌기의 형상에 의해 축 방향(L)으로 상이할 수 있는데, 이러한 두께 중 최대 두께를 돌기(82)의 두께(T2)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오링(8)의 두께는 축 방향으로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오링(8)는 돌기(82)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두께가 얇고, 돌기(82)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오링(8)의 최소 두께는 중공 바디(81)의 두께일 수 있고, 오링(8)의 최대 두께는 중공 바디(81)의 두께(T1)과, 돌기(82)의 두께(T2)의 합일 수 있다.
이러한 오링(8)의 두께는, 하우징부(57) 내둘레면(57A)과 외륜(63)의 외둘레면(63C) 사이의 간극(G)과 같거나, 이러한 간극(G) 보다 조금 적게 형성될 수 있다. 오링(8)은 하우징부(57) 내둘레면(57A)과 외륜(63)의 외둘레면(63C) 사이에 압입될 수 있다.
오링(8)은 반경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중공 바디(81)의 외둘레면(81C)는 베어링 하우징(5)의 내둘레면(57C)과 면접촉될 수 있다.
돌기(82)는 중공 바디(81)의 내둘레면(81D)에서 돌출되고 외륜(62) 외면(63C)과 접촉될 수 있다.
돌기(82)는 중공 바디(81)의 내둘레면(81D)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82)는 중공 바디(81)의 축방향 일단(81A)과 타단(81B) 사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돌기(82)의 단면 형상은 반원일 수 있다.
돌기(82)는 외륜(63)의 외둘레면(63C)과 선접촉될 수 있고, 돌기(82)는 오링(8)의 외륜(63)의 외둘레면(63C)의 외둘레면에 위치시켰을 때, 외륜(63)의 외둘레면(63C)에 밀착된 상태에서, 외륜(63)을 지지할 수 잇다.
상기와 같이, 오링(8)이 중공 바디(81)와, 돌기(82)를 포함하고, 중공 바디(81)의 외둘레면(81C)이 베어링 하우징(5)의 내둘레면(57C)에 밀착될 경우, 오링(8)의 임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고, 돌기(82)가 외륜(63)의 외둘레면(63C)에 밀착될 경우, 외륜(63)의 임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외륜(63)의 축방향(L) 일단(63A)과 중공 바디(81)의 축방향 일단(81A) 각각은 커버부(58)에 접촉되는 접촉단일 수 있다.
외륜(63)과 오링(8)이 커버부(58)에 축방향(L)으로 지지될 수 있어, 구름 베어링(6)과 오링(8)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플레이트(미도시)를 장착하는 경우 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외륜(63)과 오링(8)은 커버부(58)에 걸려 임펠러(4)를 향해 축 방향(L)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외륜(63)과 오링(8)은 커버부(58)에 의해 축 방향(L)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어링 하우징(5)이나 외륜(63에는 오링(8)을 끼우기 위한 별도의 그루부가 형성될 필요 없고, 베어링 하우징(5) 및 베어링(6)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돌기(82)는 외륜(63)의 외둘레면(63C)과 중공 바디(81)의 내둘레면(81D) 사이(즉, 간극(G))를 복수개의 공간(S3)(S4)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S3)(S4)는 베어링(5)이 회전축(1)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뒤틀렸을 때, 베어링(5)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돌기(82)는 커버부(58)와 축 방향(L)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돌기(82)와 커버부(58) 사이에는 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S3)은 축 방향(L)으로 돌기(82)와 커버부(58)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중공 바디(81)와 외륜(63) 사이에 공간(S3)(S4)이 형성될 수 있고, 외륜(63)의 외둘레면(63C)이 중공 바디(81)에 면접촉되지 않으며, 이 경우, 외륜(63)의 외둘레면(63C)이 중공 바디(81)에 면접촉되는 경우 보다 구름 베어링(6)의 방열 성능이 높은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회전축 2: 로터
3: 스테이터 4: 임펠러
5: 베어링 하우징 6: 구름 베어링
8: 오링 81: 중공 바디
82: 돌기

Claims (3)

  1.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장착된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축에 상기 로터와 이격되게 장착된 임펠러와;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회전축에 내륜이 고정되고 외륜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내둘레면과 간극을 갖는 구름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구름 베어링 사이에 배치된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오링은
    상기 외륜과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내둘레면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내둘레면에 밀착되는 외둘레면을 갖는 중공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중공 바디의 외둘레면과 접촉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외륜과 상기 중공 바디 사이를 덮으며 회전축이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링은 상기 중공 바디의 내둘레면에서 상기 외륜의 외둘레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외륜의 외둘레면과 접촉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와 커버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외륜의 축방향 일단과 상기 중공 바디의 축방향 일단 각각은 상기 커버부에 접촉되는 접촉단인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중공 바디의 내둘레면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단면 형상은 반원인 모터.
KR1020200007609A 2018-09-21 2020-01-20 모터 KR102321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609A KR102321267B1 (ko) 2018-09-21 2020-01-20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334A KR102072179B1 (ko) 2018-09-21 2018-09-21 모터
KR1020200007609A KR102321267B1 (ko) 2018-09-21 2020-01-20 모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334A Division KR102072179B1 (ko) 2018-09-21 2018-09-21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676A true KR20200034676A (ko) 2020-03-31
KR102321267B1 KR102321267B1 (ko) 2021-11-03

Family

ID=7000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609A KR102321267B1 (ko) 2018-09-21 2020-01-20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463A (ko) * 2020-11-06 2022-05-13 최성철 고주파 소음이 개선된 bldc 모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671A (ko) * 2001-09-07 2003-03-15 남동전동기주식회사 팬코일 유니트 전동기의 방진장치
KR100686098B1 (ko) 2005-07-13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인덕션 모터
KR20180031427A (ko) * 2016-09-20 2018-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671A (ko) * 2001-09-07 2003-03-15 남동전동기주식회사 팬코일 유니트 전동기의 방진장치
KR100686098B1 (ko) 2005-07-13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인덕션 모터
KR20180031427A (ko) * 2016-09-20 2018-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463A (ko) * 2020-11-06 2022-05-13 최성철 고주파 소음이 개선된 bldc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267B1 (ko)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0266B2 (en) Cooling fan
US10916990B2 (en) Motor with bracket
KR102200110B1 (ko) 모터
AU2020201734B2 (en) Fan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GB2442475A (en) Micro fan
KR102321267B1 (ko) 모터
KR20210142444A (ko) 팬모터
KR102482007B1 (ko)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02072179B1 (ko) 모터
KR101922772B1 (ko) 모터
EP3754817B1 (en) Moto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12291B1 (ko) 팬모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869159B1 (ko) 모터
WO2018066232A1 (ja) 遠心送風機
KR102512293B1 (ko) 모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JP2019116848A (ja) 遠心ファン
US11346351B2 (en) Bearing comprising an inner ring either in contact with a rotating shaft or forming a gap between the inner ring and rotating shaft depending on air pressure from an impeller
KR102273754B1 (ko) 모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4621B1 (ko) 팬모터
KR102410221B1 (ko) 모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US11286940B2 (en) Pump device
EP3293862A1 (en) Motor
KR20200145789A (ko) 모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JP2004360678A (ja) 燃料ポンプ
KR20210033452A (ko) 팬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