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568A - 터치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568A
KR20200033568A KR1020180113004A KR20180113004A KR20200033568A KR 20200033568 A KR20200033568 A KR 20200033568A KR 1020180113004 A KR1020180113004 A KR 1020180113004A KR 20180113004 A KR20180113004 A KR 20180113004A KR 20200033568 A KR20200033568 A KR 20200033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nsor
layer
sensor module
support structur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5351B1 (ko
Inventor
권혜림
유성우
손동진
이진우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3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351B1/ko
Priority to PCT/KR2019/005902 priority patent/WO2019235753A1/ko
Priority to CN201980037136.0A priority patent/CN112272815B/zh
Publication of KR20200033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568A/ko
Priority to US17/113,226 priority patent/US1118203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터치 센서 모듈은 센싱 전극들 및 상기 센싱 전극들로부터 분기되는 트레이스들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층, 상기 터치 센서층의 일단부에서 상기 트레이스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 회로 기판, 상기 연성 회로 기판 및 상기 터치 센서층을 공통적으로, 부분적으로 덮는 지지 구조물, 상기 터치 센서층의 중앙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구조물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갭을 형성하는 광학층, 및 상기 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필링 층을 포함한다. 지지 구조물 및 필링층에 의해 연성 회로 기판 및 터치 센서층에 포함된 전극, 배선들의 손상 및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TOUCH SENSOR MODULE, WINDOW STACK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싱 전극 및 절연 구조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분야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 전력화 등의 특징을 지닌 여러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전계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t Display device),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등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상기 표시 장치 상에 부착되어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인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센서가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되어 화상 표시 기능 및 정보 입력 기능이 함께 구현된 전자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최근 접히거나 구부릴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터치 센서 역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도록 적절한 물성, 설계, 구조를 갖도록 개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메인 보드, 회로 기판 등과의 연결 신뢰성을 고려하여 상기 터치 센서가 배치 및 설계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2014-0092366호에서와 같이 최근 다양한 화상 표시 장치에 결합된 터치 센서 또는 터치 스크린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92366호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향상된 전기적, 기계적 신뢰성을 갖는 터치 센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향상된 전기적, 기계적 신뢰성을 갖는 터치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향상된 전기적, 기계적 신뢰성을 갖는 터치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센싱 전극들 및 상기 센싱 전극들로부터 분기되는 트레이스들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층; 상기 터치 센서층의 일단부에서 상기 트레이스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 회로 기판; 상기 연성 회로 기판 및 상기 터치 센서층을 공통적으로, 부분적으로 덮는 지지 구조물; 상기 터치 센서층의 중앙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구조물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갭을 형성하는 광학층; 및 상기 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필링 층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모듈.
2. 위 1에 있어서, 상기 필링층은 상기 광학층 및 상기 지지 구조물보다 낮은 상면을 갖는, 터치 센서 모듈.
3. 위 1에 있어서, 상기 필링층은 상기 지지 구조물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으며, 상기 광학층 보다 낮은 상면을 갖는, 터치 센서 모듈.
4. 위 1에 있어서, 상기 필링층의 점도는 상온에서 1000 내지 5000cP인 터치 센서 모듈.
5. 위 1에 있어서, 상기 필링층의 인장 탄성률은 5 내지 3500MPa인, 터치 센서 모듈.
6. 위 1에 있어서, 상기 필링층의 상기 터치 센서층 표면에 대한 밀착력은 2 N/25mm 이상인, 터치 센서 모듈.
7. 위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층은 상기 센싱 전극들이 배치되는 표시 영역, 상기 트레이스들이 배치되는 트레이스 영역 및 상기 트레이스의 말단부들이 배치되는 접속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모듈.
8. 위 7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접속 영역에서 상기 트레이스의 상기 말단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지지 구조물은 평면 방향에서 상기 접속 영역 및 상기 트레이스 영역을 덮는, 터치 센서 모듈.
9. 위 8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상기 센싱 전극들 중 일부 센싱 전극들과 상기 평면 방향에서 중첩되는, 터치 센서 모듈.
10. 위 9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층은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트레이스 영역 사이에 상기 일부 센싱 전극들이 배열된 마진 영역을 더 포함하는, 터치 센서 모듈.
11. 위 10에 있어서, 상기 필링 층은 상기 마진 영역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터치 센서 모듈.
12. 위 1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은 편광자, 편광판, 위상차 필름, 반사 시트, 휘도 향상 필름 또는 굴절률 정합 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모듈.
13. 위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되며 점접착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 및 상기 터치 센서층과 함께 접촉하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모듈.
14. 위 1에 있어서, 상기 필링층은 점접착성 레진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모듈.
15. 윈도우 기판; 및 상기 윈도우 기판의 일면 상에 적층된 위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16.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적층되며 위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17. 위 16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모듈 아래에 배치되는 메인 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 모듈의 상기 터치 센서층의 일부분 및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지지 구조물과 함께 벤딩되어 상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터치 센서 모듈은 터치 센서 모듈은 터치 센서 층 및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함께 부분적으로 덮는 지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구조물에 의해 상기 터치 센서 모듈의 접힘 또는 벤딩 시 상기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벤딩 영역에서의 센싱 전극 또는 트레이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모듈은 상기 터치 센서 층 상에 배치된 광학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구조물 및 상기 광학 필름 사이에는 갭(gap)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갭을 채우는 필링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링 층에 의해 상기 지지 구조물의 접합력 또는 밀착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으며, 터치 센서 층 아래의 보호 필름 박리 시, 센싱 전극 또는 트레이스의 손상을 추가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모듈은 예를 들면, 무기재(substrate-less) 타입의 박형 필름으로 제조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층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 모듈이 결합된 화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 센서층, 상기 터치 센서층의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 상에 각각 배치되는 광학층 및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점접착성 구조물들을 더 포함하여, 기계적, 전기적 안정성이 향상된 터치 센서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터치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들에서 예를 들면, 보호 필름 또는 터치 센서층의 상면에 평행하며 예를 들면,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두 방향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방향은 터치 센서 모듈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며, 상기 제2 방향은 터치 센서 모듈의 너비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방향은 터치 센서 모듈의 두께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센서 모듈은 터치 센서 층(100), 터치 센서 층(100) 상에 배치되는 광학 층(150) 및 연성 회로 기판(160), 연성 회로 기판(160) 및 터치 센서층(100)을 함께 부분적으로 덮는 지지 구조물(170), 및 광학층(150) 및 지지 구조물(170) 사이에 형성된 필링 층(16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터치 센서층(100)은 보호 필름(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 필름(50)은 예를 들면, 무기 절연 필름 및/또는 유기 절연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형올레핀중합체(CO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I),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AP), 폴리에테르술폰(PES),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TAC), 폴리카보네이트(PC), 환형올레핀공중합체(CO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을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이 보호 필름(5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 필름(50)은 터치 센서층(100)의 제조 공정 중, 센싱 전극, 트레이스 등의 보호를 위해 형성되며, 상기 터치 센서 모듈 형성 후 제거될 수도 있다.
터치 센서층(100)은 상기 센싱 전극, 상기 트레이스 등의 도전성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전성 패턴들의 상호 절연을 위한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센서층(100)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연성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FPCB)(160)은 터치 센서 층(100)의 일단부 상에 배치되며, 터치 센서 층(100)에 포함된 트레이스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스의 말단에 형성된 단자부(terminal) 또는 패드부와 상기 연성회로 기판(160)에 포함된 회로 배선이 예를 들면, 이방성 도전 필름(ACF)와 같은 도전 중개 구조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160)은 예를 들면, 수지 또는 액정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 상에 인쇄된 상기 회로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층 상에서 상기 회로 배선을 덮는 커버레이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회로 배선 중 터치 센서층(100)의 상기 단자부 또는 패드부와 연결되는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레이 층의 일부가 제거될 수도 있다.
터치 센서층(100)은 상기 센싱 전극 및 트레이스들을 보호하는 패시베이션 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성 회로 기판(160)과 연결되는 접속 영역에 형성된 상기 패시베이션 층 부분은 제거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170)은 상기 접속 영역 상에 배치된 연성 회로 기판(160) 및 터치 센서층(100) 부분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구조물(170)은 터치 센서층(100) 및 연성 회로 기판(160)의 단부들을 공통적으로,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지지 구조물(170)은 상기 접속 영역에서 외부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연성 회로 기판(160)의 박리, 접힘 또는 벤딩 동작 시 발생하는 상기 센싱 전극 또는 트레이스의 박리, 크랙 등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 패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지 구조물(17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 필름(50)을 제거할 때 연성 회로 기판(160) 및/또는 터치 센서층(100)을 홀딩하여 기계적 손상이 감소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170)은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구조물(170)은 기재층(172) 및 기재층(172)의 표면 상에 형성된 지지 층(17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174)은 예를 들면 아크릴계, 실리콘계, 우레탄계 및/또는 러버(rubber) 계열의 점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며, 연성 회로 기판(160) 및 터치 센서층(100)의 상기 접속 영역에서의 단부들과 함께 접촉하여 홀딩할 수 있다.
기재층(172)은 예를 들면, 보호 필름(5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모듈은 광학층(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층(150)은 화상 표시 장치의 이미지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필름 또는 층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150)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편광판, 편광자, 위상차 필름, 반사 시트, 휘도 향상 필름, 굴절률 정합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의 복층 구조로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광학층(150)은 지지 구조물(170)과 실질적으로 동일 층 또는 동일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학층(150) 및 지지 구조물(170)은 수평적으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층(150) 및 지지 구조물(170) 사이에는 갭(gap)(155)이 형성될 수 있다. 갭(155)은 지지 구조물(170)의 정렬을 위한 마진(margin)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갭(155)을 채우는 필링(filiing) 층(165)이 형성될 수 있다. 필링 층(165)은 갭(155)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며, 터치 센서층(100)의 상면, 및 광학층(150) 및 지지 구조물(170)의 측벽들과 함께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필링 층(165)은 광학층(150) 및 터치 센서층(100) 각각의 상면보다 낮은 상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링 층(165)은 점접착성 레진 조성물을 갭(155) 내에 충진한 후, 상온 경화, 열 경화 또는 자외선 경화 공정 등을 통해 경화 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진 조성물은 아크릴계, 실리콘계, 우레탄계 및/또는 러버(rubber) 계열 레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진 조성물은 용매, 광중합성 단량체, 중합 개시제, 경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구조물(170)의 부착 공정 시, 광학층(150)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갭(155)을 통해 정렬 마진을 먼저 확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레진 조성물을 별도로 충진하여 갭(155)을 채움으로써 필링 층(165)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필링 층(165)에 의해 터치 센서층(100)의 노출 영역이 감소되어 센싱 전극의 보호 효과가 추가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필링 층(165)이 광학층(150) 및 지지 구조물(170)의 측벽과 접촉하며 홀딩함에 따라, 보호 필름(50)을 빠른 속도로 박리하여 제거하는 경우에도 지지 구조물(170) 및 광학층(150)의 박리, 들뜸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50) 박리 공정에서 상기 센싱 전극의 크랙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필링 층(165)의 점도는 상온(25℃)에서 약 1000 내지 5000cP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4000cP일 수 있다. 상기 점도 범위 내에서 필링 층(165)이 실질적으로 갭(155) 내부를 충진하면서, 레진 물질의 아웃플로우(outflow)를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필링 층(165)의 인장 탄성률은 약 5 내지 3500MPa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3500MPa일 수 있다. 상기 인장 탄성률 범위 내에서 터치 센서 모듈의 벤딩 영역에서의 센싱 전극 손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필링 층(165)의 터치 센서층(100)의 접합면에 대한 밀착력은 약 2 N/25mm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5 N/25mm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센서 모듈의 벤딩 시 필링 층(165) 및 터치 센서층(100)의 전극 박리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필링 층(165)의 두께는 상술한 점도, 인장 탄성률 및 밀착력을 만족할 수 있는 범위로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약 20 내지 100㎛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터치 센서층(100)의 상면 상에는 광학층(150)의 접합을 위한 점접착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보호 필름(50) 및 터치 센서층(100) 사이에 점접착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구성 및/또는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필링 층(165)은 갭(155)을 채우며 지지 구조물(170)의 상면을 함께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성 회로 기판(160)의 벤딩 및/또는 보호 필름(50)의 박리 공정 시 지지 구조물(170)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필링 층(165)의 상면은 광학층(150)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링 층(165)은 광학 층(150)의 상면을 덮지 않도록 형성되며, 필링 층(165)에 의해 광학층(150) 특성이 교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층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센서층은 센싱 전극들(110, 120) 및 트레이스들(130, 13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싱 전극들(110, 120)은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에 의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층은 표시 영역(D), 트레이스 영역(T) 및 접속 영역(P)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은 상기 터치 센서 층의 중앙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 모듈이 적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구현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접속 영역(P)은 상기 터치 센서층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일 단부에 배치되며, 연성회로기판(160)과의 전기적 접속이 구현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표시 영역(D), 트레이스 영역(T) 및 접속 영역(P)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표시 영역(D) 및 트레이스 영역(T) 사이에는 마진 영역(M)이 배치될 수 있다.
센싱 전극들(110, 120)은 상기 터치 센서층의 표시 영역(D)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싱 전극들(110, 120)은 제1 센싱 전극들(110) 및 제2 센싱 전극들(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싱 전극들(110)은 예를 들면, 상기 제2 방향(예를 들면, 너비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센싱 전극들(110)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센싱 전극 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제1 센싱 전극 행들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센싱 전극들(110)은 연결부(115)에 의해 서로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115)는 제1 센싱 전극들(110)과 동일 레벨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센싱 전극들(120)은 상기 제1 방향(예를 들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센싱 전극들(120)은 각각 섬(island) 타입의 단위 전극들로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센싱 전극들(120)은 브릿지 전극(125)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센싱 전극들(120)이 브릿지 전극들(12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센싱 전극 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제2 센싱 전극 열들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센싱 전극들(110, 120) 및/또는 브릿지 전극(125)은 금속, 합금, 또는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 전극들(110, 120) 및/또는 브릿지 전극(125)은 은(Ag), 금(Au), 구리(Cu),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크롬(Cr), 티타늄(Ti), 텅스텐(W), 니오븀(Nb), 탄탈륨(Ta), 바나듐(V), 철(Fe), 망간(Mn), 코발트(Co), 니켈(Ni), 아연(Zn), 주석(Sn) 또는 이들의 합금(예를 들면, 은-팔라듐-구리(APC))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센싱 전극들(110, 120) 및/또는 브릿지 전극(125)은 예를 들면,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 아연산화물(ZnO), 인듐아연주석산화물(IZTO), 카드뮴주석산화물(CTO) 등과 같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센싱 전극들(110, 120) 및/또는 브릿지 전극(125)은 투명도전성 산화물 및 금속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 전극들(110, 120) 및/또는 브릿지 전극(125)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 층-금속층-투명 도전성 산화물 층의 3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금속층에 의해 플렉시블 특성이 향상되면서, 저항을 낮추어 신호 전달 속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도전성 산화물 층에 의해 내부식성, 투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브릿지 전극(125)은 절연층(도시되지 않음)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제1 센싱 전극(110)에 포함된 연결부(11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으며, 연결부(115) 주변의 제2 센싱 전극들(12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브릿지 전극(125)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며, 연결부(115)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제2 센싱 전극들(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아크릴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와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스들(130, 135)은 각각의 상기 제1 센싱 전극 행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트레이스(130) 및 각각의 상기 제2 센싱 전극 열로부터 연장하는 제2 트레이스(1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스들(130, 135)은 표시 영역(D)의 주변부로부터 연장되어 트레이스 영역(T)으로 집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트레이스들(130)은 상기 터치 센서층의 양 측부로부터 각 제1 센싱 전극 행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트레이스들(130)은 트레이스 영역(T)으로 진입하면서 벤딩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트레이스들(130)은 다시 상기 제1 방향으로 벤딩되어 접속 영역(P)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트레이스들(130)은 상기 터치 센서층의 상기 양 측부에 교대로 분포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층의 상기 양 측부에 제1 트레이스들(130)이 고르게 분포되므로, 후술하는 벤딩 인가시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트레이스들(130)이 상기 양 측부에 교대로 배치되므로, 이웃하는 제1 트레이스들(130) 사이의 정렬 마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트레이스들(135)은 각 제2 센싱 전극 열로부터 분기되어 트레이스 영역(T) 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후, 다시 상기 제1 방향으로 벤딩되어 접속 영역(P)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트레이스(130, 135)의 말단부들은 접속 영역(P) 내에서 집합되어 연성 회로 기판(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트레이스(130) 및 제2 트레이스(135)로부터 각각 제1 접속부(140) 및 제2 접속부(145)가 정의되어 접속 영역(P)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스들(130, 135)은 센싱 전극들(110, 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성 회로 기판(160)은 접속 영역(P) 상에서 접속부들(140, 14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연성 회로 기판(160) 및 접속부들(140, 145) 사이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ACF)과 같은 도전성 중개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170)은 평면 방향에서 접속 영역(P) 및 트레이스 영역(T)을 함께 덮을 수 있다. 지지 구조물(170)에 의해 연성 회로 기판(160) 및 터치 센서층(100) 사이의 접합력이 증가되어 보호 필름(50)의 박리 공정과 같은 후속 공정 시 연성 회로 기판(160) 및/또는 트레이스들(130, 135)의 탈락과 같은 기계적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표시 영역(D) 및 트레이스 영역(T) 사이에 마진 영역(M)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마진 영역(M)은 상기 터치 센서 모듈의 벤딩 또는 접힘이 시작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마진 영역(M)은 표시 영역(D) 및 트레이스 영역(T) 사이에서 센싱 전극(120, 110)을 통한 터치 신호 전달의 버퍼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17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갭(155)이 형성되도록 마진 영역(M)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구조물(170)은 평면 방향에서 센싱 전극들(110, 120)과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광학층(150)은 평면 방향에서 표시 영역(D)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필링 층(165)은 예를 들면, 마진 영역(M)의 나머지 부분을 채울 수 있다.
지지 구조물(170)이 마진 영역(M) 상에서 센싱 전극들(110, 120) 일부를 덮도록 배치됨에 따라, 마진 영역(M)에서 접힘 또는 벤딩 발생시 센싱 전극들(110, 120)의 파단, 박리 등의 기계적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필링 층(165)이 마진 영역(M)의 나머지 부분을 채움에 따라 센싱 전극들(110, 120)의 공정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층의 센싱 전극들(127) 및 트레이스들(137)은 자기 정전 용량(Self 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층은 각각 독립된 섬(island) 패턴으로 제공되는 센싱 전극들(12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스들(137)은 각각의 센싱 전극(127)으로 분기되어 트레이스 영역(T)으로 연장할 수 있다. 트레이스들(137)의 말단부들은 접속 영역(P)에서 집합되어 연성 회로 기판(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구조물(170)은 트레이스 영역(T) 및 접속 영역(P) 상에서 상기 터치 센서층 및 연성 회로 기판(160)을 함께 덮을 수 있다. 또한, 마진 영역(M) 상으로 연장하여 센싱 전극들(127) 중 일부를 덮을 수 있으며, 마진 영역(M)의 나머지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필링 층(165)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윈도우 적층체(190)는 윈도우 기판(180) 및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모듈은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터치 센서층(100) 및 터치 센서층(100)의 표시 영역(D) 상에 적층된 광학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지 구조물(170) 및 연성 회로 기판(160)의 도시는 생략되었으며, 도 6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윈도우 기판(180)은 예를 들면 하드 코팅 필름을 포함하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윈도우 기판(180)의 일면의 주변부 상에 차광 패턴(185)이 형성될 수 있다. 차광 패턴(185)은 예를 들면 컬러 인쇄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차광 패턴(185)에 의해 화상 표시 장치의 베젤부 혹은 비표시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광학층(150)은 화상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다양한 광학 필름 또는 광학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코팅형 편광자 또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형 편광자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액정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층(150)은 상기 액정 코팅층에 배향성을 부여하기 위한 배향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및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150)은 윈도우 기판(180)의 상기 일면과 직접 접합되거나, 제1 점접착층(60)을 통해 부착될 수도 있다.
터치 센서층(100)은 필름 또는 패널 형태로 윈도우 적층체(190)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센서층(100)은 제2 점접착층(70)를 통해 광학층(15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인측으로부터 윈도우 기판(180), 광학층(150) 및 터치 센서층(100)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센서층(100)의 센싱 전극들이 편광자 또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층(150) 아래에 배치되므로 패턴 시인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인측으로부터 윈도우 기판(180), 터치 센서층(100) 및 광학층(150) 순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200) 및 표시 패널(200) 상에 결합되며,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상술한 윈도우 적층체(19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은 패널 기판(205) 상에 배치된 화소 전극(210), 화소 정의막(220), 표시층(230), 대향 전극(240) 및 인캡슐레이션 층(250)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기판(205)은 유연성 수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제공될 수 있다.
패널 기판(205)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화소 회로를 덮는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전극(210)은 상기 절연막 상에서 예를 들면 TFT의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220)은 상기 절연막 상에 형성되어 화소 전극(210)을 노출시켜 화소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화소 전극(210) 상에는 표시층(230)이 형성되며, 표시 층(230)은 예를 들면, 액정층 또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220) 및 표시층(230) 상에는 대향 전극(240)이 배치될 수 있다. 대향 전극(240)은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 또는 캐소드(cathode)로 제공될 수 있다. 대향 전극(240) 상에 표시 패널(200) 보호를 위한 인캡슐레이션 층(250)이 적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표시 패널(200) 및 윈도우 적층체(190)은 점접착층(80)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점접착층(80)의 두께는 제1 및 제2 점접착층(60, 70) 각각의 두께보다 클 수 있으며, -20 내지 80℃에서의 점탄성이 약 0.2MPa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200)로부터의 노이즈를 차폐할 수 있고, 굴곡 시에 계면 응력을 완화하여 윈도우 적층체(19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탄성은 약 0.01 내지 0.15MPa일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 모듈이 결합된 화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6은 터치 센서 모듈의 연성 회로 기판을 통한 구동 회로 접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200) 및 메인 보드(300)를 포함하며,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모듈은 터치 센서층(100) 및 터치 센서층(100)의 표시 영역(D) 상에 배치되는 광학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층(100)의 마진 영역(M)으로부터 벤딩이 개시되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방향(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의 두께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 영역(P)에 포함된 트레이스들의 접속부들이 연성 회로 기판(160)을 통해 메인 보드(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160)은 예를 들면, 메인 보드(300)의 저면에 형성된 본딩 패드(350)와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모듈 또는 터치 센서층(100)의 말단부(예를 들면, 접속 영역(P) 및/또는 트레이스 영역(T))는 180도(o) 이상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말단부는 다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말단부는 미벤딩된 터치 센서층(100) 부분과 상기 제3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격한 벤딩 또는 굴곡이 인가되더라도, 지지 구조물(170)이 연성 회로 기판(160) 및 터치 센서층(100)의 결합을 고정하므로, 회로, 배선, 전극들의 파단, 분리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진 영역(M)에 포함된 갭을 필링 층(165)이 채움에 따라 벤딩 개시 영역에서의 센싱 전극의 크랙과 같은 기계적 손상이 억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실험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20㎛ PET 보호필름이 부착된 ITO를 포함하는 0.14㎛ 두께의 전극 패턴들 및 트레이스들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샘플(동우 화인켐 제조)을 준비하였다.
상기 터치 센서층의 중앙부에 두께 80㎛ TAC 보호필름 상에 두께 20㎛의 폴리비닐알코올(PVA) 편광자를 부착시킨 편광판을 접합하였다.
상기 터치 센서층의 말단부의 트레이스들을 FPCB와 연결 시키고, 상기 터치 센서층의 말단부에서 상기 FPCB를 함께 덮도록 지지 구조물을 상기 편광판과 이격거리가 10㎛가 되도록 부착하였다. 상기 지지 구조물로서 닛토덴코 사의 아크릴계 테이프(제품 번호: 360A)를 절단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편광판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레진 조성물을 충진 후 자외선 경화시켜 필링 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레진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광중합개시제 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을 첨가하여 제조 되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n-부틸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및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및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을 아세트산 에틸에 첨가한 후 반응시켜 제조되었다.
상기 필링 층의 점도, 두께, 인장 탄성률 및 밀착력을 각각 별도로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필링 층의 점도는 Anton사의 레오미터 MCR-300장비를 사용하여 PP-50팁을 이용하여 25℃에서 측정 하였다.
필링 층의 인장 탄성률은 Shimazdu사의 AG-X장비를 사용하여 ASTM D638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필링층의 밀착력은 다음과 같이 측정되었다. PET 필름위에 필링층의 두께가 25um가 되도록 도포하고 그 위에 이형필름을 접합하여 UV램프(10mW, 1000mJ)을 조사하여 시트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시트의 폭이 25mm이고, 길이가 100mm가 되도록 재단하여 필링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필링층의 다른 한 면에 부착되어있는 이형필름을 박리하고, JIS Z 0237의 규정에 따라 2 kg의 롤러를 사용하여 필링 시트를 터치센서 표면에 부착 후, 오토클레이브(50℃, 5 기압)에서 약 20분 동안 압착 처리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후, 오토그라프(AG-1S, SHIMADZU사)를 이용하여 23℃, 50RH%에서 박리각도 180°, 박리속도 300mm/min으로 박리될 때의 밀착력을 측정 하였다.
실시예 2 내지 10
필링층의 자외선 경화량,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함량 및/또는 광중합개시제 함량을 변화시켜 필링층의 점도, 인장 탄성률 및 밀착력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화시켰다.
비교예
필링 층 형성을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터치 센서 모듈을 제작하였다.
터치 센서층 크랙 발생 측정
실시예들 및 비교예의 터치 센서 모듈에 있어서, 터치 센서층의 저면에 부착된 상기 PET 보호필름을 박리시킨 후 터치 센서층에 포함된 전극 패턴 또는 트레이스의 크랙이 관찰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보호 필름 박리 속도를 변경시키면서 크랙 발생을 관찰하였으며, 크랙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 크랙이 관찰된 경우 "×"로 기재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의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점도
(cP)
인장 탄성률
(MPa)
터치센서층 면 밀착력
(N/25mm)
두께
(㎛)
박리속도에 따른
터치 센서 크랙 발생여부
10m/min 20m/min 30m/min
실시예 1 1500 1500 6.5 50
실시예 2 1500 1500 6.5 50
실시예 3 1500 1500 6.5 50
실시예 4 2200 2500 5.8 50
실시예 5 3000 1800 6.7 50
실시예 6 3600 1000 7.1 50
실시예 7 1500 1500 7.2 60
실시예 8 1500 1500 8.1 80
실시예 9 300 3800 0.7 10 × ×
실시예 10 500 1100 1.1 20 × ×
실시예 11 5500 2000 7.6 150 ×
비교예 - - - - × × ×
표 1을 참조하면, 필링층이 생략된 비교예의 경우 보호 필름 박리 시 터치 센서층의 전극 크랙이 발생하였다. 한편, 필링층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거나 높은 실시예 9 내지 11의 경우 박리 속도가 증가하면서 일부 전극 크랙이 관찰되었다.
50: 보호 필름 100: 터치 센서층
110: 제1 센싱 전극 115: 연결부
120: 제2 센싱 전극 125: 브릿지 전극
127: 센싱 전극 130: 제1 트레이스
135: 제2 트레이스 137: 트레이스
140: 제1 접속부 145: 제2 접속부
150: 광학층 155: 갭
160: 연성 회로 기판 165: 필링 층
170: 지지 구조물 172: 기재층
174: 지지층

Claims (17)

  1. 센싱 전극들 및 상기 센싱 전극들로부터 분기되는 트레이스들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층;
    상기 터치 센서층의 일단부에서 상기 트레이스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 회로 기판;
    상기 연성 회로 기판 및 상기 터치 센서층을 공통적으로, 부분적으로 덮는 지지 구조물;
    상기 터치 센서층의 중앙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구조물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갭을 형성하는 광학층; 및
    상기 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필링 층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링층은 상기 광학층 및 상기 지지 구조물보다 낮은 상면을 갖는, 터치 센서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링층은 상기 지지 구조물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으며, 상기 광학층 보다 낮은 상면을 갖는, 터치 센서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링층의 점도는 상온에서 1000 내지 5000cP인 터치 센서 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링층의 인장 탄성률은 5 내지 3500MPa인, 터치 센서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링층의 상기 터치 센서층 표면에 대한 밀착력은 2 N/25mm 이상인, 터치 센서 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층은 상기 센싱 전극들이 배치되는 표시 영역, 상기 트레이스들이 배치되는 트레이스 영역 및 상기 트레이스의 말단부들이 배치되는 접속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접속 영역에서 상기 트레이스의 상기 말단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지지 구조물은 평면 방향에서 상기 접속 영역 및 상기 트레이스 영역을 덮는, 터치 센서 모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상기 센싱 전극들 중 일부 센싱 전극들과 상기 평면 방향에서 중첩되는, 터치 센서 모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층은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트레이스 영역 사이에 상기 일부 센싱 전극들이 배열된 마진 영역을 더 포함하는, 터치 센서 모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필링 층은 상기 마진 영역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터치 센서 모듈.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은 편광자, 편광판, 위상차 필름, 반사 시트, 휘도 향상 필름 또는 굴절률 정합 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모듈.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되며 점접착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 및 상기 터치 센서층과 함께 접촉하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모듈.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링층은 점접착성 레진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모듈.
  15. 윈도우 기판; 및
    상기 윈도우 기판의 일면 상에 적층된 청구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16.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적층되며 청구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모듈 아래에 배치되는 메인 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 모듈의 상기 터치 센서층의 일부분 및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지지 구조물과 함께 벤딩되어 상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80113004A 2018-06-08 2018-09-20 터치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435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004A KR102435351B1 (ko) 2018-09-20 2018-09-20 터치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PCT/KR2019/005902 WO2019235753A1 (ko) 2018-06-08 2019-05-17 터치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201980037136.0A CN112272815B (zh) 2018-06-08 2019-05-17 触摸传感器模块、含触摸传感器模块的窗口堆叠结构及含触摸传感器模块的图像显示设备
US17/113,226 US11182032B2 (en) 2018-06-08 2020-12-07 Touch sensor module, window stack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004A KR102435351B1 (ko) 2018-09-20 2018-09-20 터치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568A true KR20200033568A (ko) 2020-03-30
KR102435351B1 KR102435351B1 (ko) 2022-08-22

Family

ID=7000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004A KR102435351B1 (ko) 2018-06-08 2018-09-20 터치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3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7898A (zh) * 2020-12-28 2022-07-22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以及显示设备
WO2023075223A1 (ko) * 2021-10-29 2023-05-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이를 적용한 자동차 및 건물용 창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728A (ja) * 2003-10-09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
KR20140092366A (ko) 2011-10-25 2014-07-23 유니-픽셀 디스플레이스, 인코포레이티드 편광판 저항막 방식 터치 스크린
KR20160061563A (ko) * 2014-11-21 2016-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70112792A (ko) * 2016-04-01 2017-10-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 및 터치스크린패널의 전극보호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KR20180033364A (ko) * 2016-09-23 2018-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82717A (ko) * 2017-01-10 2018-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728A (ja) * 2003-10-09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
KR20140092366A (ko) 2011-10-25 2014-07-23 유니-픽셀 디스플레이스, 인코포레이티드 편광판 저항막 방식 터치 스크린
KR20160061563A (ko) * 2014-11-21 2016-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70112792A (ko) * 2016-04-01 2017-10-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 및 터치스크린패널의 전극보호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KR20180033364A (ko) * 2016-09-23 2018-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82717A (ko) * 2017-01-10 2018-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7898A (zh) * 2020-12-28 2022-07-22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以及显示设备
CN114787898B (zh) * 2020-12-28 2023-12-2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以及显示设备
WO2023075223A1 (ko) * 2021-10-29 2023-05-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이를 적용한 자동차 및 건물용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351B1 (ko) 202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855B1 (ko) 터치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556161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US11182032B2 (en) Touch sensor module, window stack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35351B1 (ko) 터치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212515752U (zh) 触摸传感器模块、窗口堆叠结构和图像显示装置
US20210357064A1 (en) Touch sensor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N212322239U (zh) 触摸传感器模块、含该模块的窗堆叠结构和图像显示装置
KR102122067B1 (ko) 터치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5350B1 (ko) 터치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584241B1 (ko) 터치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453239B1 (ko) 터치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200114765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112424677B (zh) 柔性显示模块和包括其的图像显示设备
US11320943B2 (en) Touch sensor stack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07372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200063799A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200037977A (ko)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