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340A - 버스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 그리고 상이한 비트 상태들 간 전환 시 진동 경향의 감소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버스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 그리고 상이한 비트 상태들 간 전환 시 진동 경향의 감소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340A
KR20200033340A KR1020207006662A KR20207006662A KR20200033340A KR 20200033340 A KR20200033340 A KR 20200033340A KR 1020207006662 A KR1020207006662 A KR 1020207006662A KR 20207006662 A KR20207006662 A KR 20207006662A KR 20200033340 A KR20200033340 A KR 20200033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state
transceiver
transmitting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7144B1 (ko
Inventor
악셀 판빗츠
슈테펜 발커
시릴 브란도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33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3Arrangements in which a pulse is delivered at the instant when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of an input signal is present or at a fixed time interval after this instant
    • H03K5/1534Transition or edge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20Reducing echo effects or singing; Opening or closing transmitting path; Conditioning for transmission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2Details regarding a bus interface enhan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9Details regarding the setting of the power status of a node according to activity on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69Flexible bus arrangements
    • H04L12/40176Flexible bus arrangements involving redundancy
    • H04L12/40182Flexible bus arrangements involving redundancy by us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8Arrangements for 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시스템(1)용 송수신 장치(12; 120; 1200), 그리고 상이한 비트 상태들 간 전환 시 진동 경향의 감소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송수신 장치(12; 120)는, 버스 시스템(1)의 버스(40)에 대한 가입자국(10, 20, 30)의 충돌없는 독점적인 액세스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보장되는 버스 시스템(1)의 버스(4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수신을 위한 수신 비교기(1221)와; 수신 비교기(1221)의 입력에 병렬 접속되는 입력을 갖는 진동 감소 유닛(15; 150);을 포함하며, 진동 감소 유닛(15; 150)은 수신 신호의 우성 버스 상태(402)로부터 열성 버스 상태(401)로의 상태 변화의 검출 시에 버스(40)의 하나 이상의 버스 와이어(41; 42)를 버스 바이어스 전위와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버스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 그리고 상이한 비트 상태들 간 전환 시 진동 경향의 감소를 위한 방법
본 발명은 버스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와, 그리고 예를 들어 CAN 버스 시스템용 가입자국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비트 상태들 간 전환 시 진동 경향의 감소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동 경향의 감소는 버스 바이어스 전위에 대한 특수한 결선에 의해 달성된다.
버스 시스템 내 메시지 전송 또는 데이터 전송 시에는, 메시지 또는 데이터의 바이트(Byte) 또는 비트(bit)에 포함된 정보가 상이한 비트 상태들 또는 전압 상태들을 통해 나타난다. 상이한 비트 상태들은 버스 시스템의 버스를 통한 메시지의 전송 시에 상이한 버스 상태들을 초래한다. 버스 시스템에 따라서는, 메시지 전송 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이한 전송 프로토콜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CAN 버스 시스템에서는, ISO-11898-1:2015 표준에 CAN FD에서의 CAN 프로토콜 사양으로서 설명된 바와 같이, 메시지들이 CAN 프로토콜 및/또는 CAN FD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된다. 오늘날, CAN 버스 시스템은 센서들과 제어 장치들 간 통신을 위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종종 CAN 버스 시스템은 차량 또는 자동화 시스템 등에서 개별 버스 가입자들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특히 CAN/CAN FD 통신에서, 트랜시버로도 지칭되는 송수신 장치들은 2개의 상이한 버스 상태들 또는 비트 상태들 중 하나로서 우성의 버스 상태 또는 비트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버스를 저임피던스로 구동할 수 있어야 한다. 반면, 2개의 상이한 버스 상태들 중 다른 하나로서의 열성 상태에서는 송수신 장치들이 비교적 고임피던스이다.
우성으로부터 열성으로의 전환은 버스 토폴로지, 스터브 또는 스터브 라인의 길이, 종단 저항들의 위치 및 수에 따라 진동의 경향이 있다. 이는, 그로 인해 진동이 충분히 감쇠될 정도로 비트 시간이 길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성 시에 매우 불리하다. 비트 시간이 충분히 길지 않으면, 송수신 장치는 열성 상태에서 실수로 우성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송수신 장치의 최대 허용 에러율의 준수를 위해 더 긴 비트 시간이 필요하며, 이는 버스 시스템 내 메시지의 전송율 또는 전송 속도의 원하지 않는 감소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버스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 그리고 상이한 비트 상태들 간 전환 시 진동 경향의 감소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버스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와, 그리고 버스 시스템 내에서의 상이한 비트 상태들 또는 전압 상태들 간 전환 시 진동 경향, 특히 우성 상태로부터 열성 상태로의 전환 시 진동 경향의 감소를 위한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버스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에 의해서 해결된다. 송수신 장치는, 버스 시스템의 버스에 대한 가입자국의 충돌없는 독점적인 액세스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보장되는 버스 시스템의 버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수신을 위한 수신 비교기와; 수신 비교기의 입력에 병렬 접속되는 입력을 갖는 진동 감소 유닛;을 포함하며, 진동 감소 유닛은 수신 신호의 우성 버스 상태로부터 열성 버스 상태로의 상태 변화의 검출 시에 버스의 하나 이상의 버스 와이어를 버스 바이어스 전위와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송수신 장치에 의해서는 우성으로부터 열성으로의 전환 시 진동 지속 시간의 감소 또는 소위 링잉 억제(Ringing Suppression)가 가능하며, 이로부터 특히 메시지의 데이터 영역에서 비트 레이트(bit rate)의 증가가 뒤따른다. 그 결과, 버스 시스템 내 메시지의 전송율 또는 전송 속도는 증가한다.
또한, 특히 CAN 버스 시스템에서의 상이한 비트 상태들 또는 전압 상태들 간 전환 시, 즉 우성으로부터 열성으로의 전환 시 진동 지속 시간의 감소는, 버스 토폴로지들 및/또는 종단부들 및/또는 스터브들의 구성에서 그리고/또는 버스 시스템의 노드들 또는 가입자국들의 수의 구성에서 더 많은 자유를 허용한다.
더욱이, 송수신 장치의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서는 전도성 방출에서의 바람직한 스펙트럼 변화가 달성된다. 즉, 방출의 방사는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3MHz인 임계 주파수 범위에서 감소될 수 있는데, 이는 공통 모드 쵸크 및 기생 커패시턴스로부터의 공진 주파수에 상응한다. 그 대신에, 상술한 송수신 장치를 통해 방출의 방사는 상술한 예시에서 약 10MHz를 초과하는 주파수에 놓이는 비임계 주파수 범위에서 나타나는데, 이러한 비임계 주파수 범위에서 쵸크가 작용한다.
이러한 송수신 장치는 특히 CAN 버스 시스템, CAN HS 버스 시스템, CAN FD 버스 시스템 등에서와 같이 버스 상태가 능동적으로 구동되는 모든 통신 시스템들에 적합하다.
CAN HS 버스 시스템(HS = High Speed = 고속)에서는 초당 500kBit(500kbps) 까지의 데이터 전송율이 가능하다. CAN FD 버스 시스템에서는 초당 1MBit(1Mbps)를 초과하는 데이터 전송율이 가능하다.
송수신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술되어 있다.
버스 바이어스 전위는 버스를 위한 전압 공급값의 절반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진동 감소 유닛은 검출 블록 및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며, 검출 블록은 수신 신호의 우성 버스 상태로부터 열성 버스 상태로의 상태 변화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트랜지스터들은 수신 신호의 우성 버스 상태로부터 열성 버스 상태로의 상태 변화의 검출 시에 버스의 하나 이상의 버스 와이어를 버스 바이어스 유닛과 연결하도록 결선된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 감소 유닛은, 버스의 버스 와이어들 상의 신호들 상호간의, 시간에 따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상 위치 검출 블록과; 버스 와이어 상의 신호의 위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위상 위치 검출 블록의 검출 결과에 따른 버스 와이어 상의 신호의 제어를 위해 각각 구성된 하나 이상의 RS 시간 제어 블록;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진동 감소 유닛은 버스 상에서의 통신의 상이한 위상들을 검출하기 위한 통신 위상 검출 블록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RS 시간 제어 블록은 버스 상에서의 통신의 검출된 위상에 따라 버스 와이어 상의 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통신 위상 검출 블록은 버스 상에서의 통신의 상이한 위상들을 검출하기 위해 메시지의 끝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엔드 비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RS 시간 제어 블록이, 통신의 중재 위상의 종료 이후에 버스 와이어 상의 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송수신 장치는 버스로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를 포함하고, 진동 감소 유닛은 송신기가 버스로 메시지를 송신할 때만 진동 감소 유닛이 활성화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송수신 장치는, 버스, 및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상기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가입자국들을 구비하는 버스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2개 이상의 가입자국들 중 하나 이상이 상술한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다.
2개 이상의 가입자국들 중 하나 이상의 가입자국은, 송수신 장치가 버스 와이어들을 위한 신호들에 대한 기초로서 사용하는 신호를 송수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그리고 이러한 신호를 제어 신호의 생성을 위해 송수신 장치에 의해 버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비교하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제어 장치는 진동 감소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수신 장치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과제는 청구항 제11항의 특징들을 갖는, 상이한 비트 상태들 간 전환 시 진동 경향의 감소를 위한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이러한 방법은, 버스 시스템의 버스에 대한 가입자국의 충돌없는 독점적인 액세스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보장되는 버스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에 의해 실행되며, 송수신 장치는 수신 비교기 및 진동 감소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버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 비교기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이며, 이때 수신 비교기의 입력은 진동 감소 유닛의 입력에 병렬 접속되는 단계와; 수신 신호의 우성 버스 상태로부터 열성 버스 상태로의 상태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와; 버스의 하나 이상의 버스 와이어를 버스 바이어스 전위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송수신 장치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한 장점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가능한 구현예들은, 또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상술한 또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징부들 또는 실시 형태들의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조합들도 포함한다. 이 경우, 당업자는 본 발명의 각각의 기본 형태에 대한 개선예들 또는 보완책으로서의 개별 양상들도 부가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그리고 실시예들에 의해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도면부에서,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 시스템의 간략화된 블록 회로도이며,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의 전기 회로도이고,
도 3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에서의 송신 신호(TxD)의 시간에 따른 추이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3b는 종래 송수신 장치에서의 송신 신호(TxD)의 시간에 따른 추이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며,
도 4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에서의 버스 신호들(CAN_H 및 CAN_L)의 시간에 따른 추이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4b는 종래 송수신 장치에서의 버스 신호들(CAN_H 및 CAN_L)의 시간에 따른 추이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5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에서의 버스 신호들(CAN_H 및 CAN_L)의 차동 전압(VDIFF)의 시간에 따른 추이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5b는 종래 송수신 장치에서의 버스 신호들(CAN_H 및 CAN_L)의 차동 전압(VDIFF)의 시간에 따른 추이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며,
도 6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에서의 수신기 출력의 시간에 따른 추이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6b는 종래 송수신 장치에서의 수신기 출력의 시간에 따른 추이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7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에서의 수신 신호(RxD)의 시간에 따른 추이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7b는 종래 송수신 장치에서의 수신 신호(RxD)의 시간에 따른 추이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며,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스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의 전기 회로도이고,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스 시스템의 가입자국으로부터 송신된 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도표이며,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버스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의 전기 회로도이다.
각각의 도면에서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갖는 요소들에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제공되어 있다.
도 1에는, 예를 들어 적어도 섹션별로 CAN 버스 시스템, CAN FD 버스 시스템 등일 수 있는 버스 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다. 버스 시스템(1)은 차량, 특히 자동차, 항공기 등에서 또는 병원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버스 시스템(1)은 복수의 가입자국들(10, 20, 30)을 구비하며, 이들 가입자국은 제1 버스 와이어(41) 및 제2 버스 와이어(42)를 갖는 버스(40)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버스 와이어들(41, 42)은 "CAN_H" 및 "CAN_L"로도 언급될 수 있고, 송신 상태에서 하나의 신호에 대한 우성 레벨의 결합 또는 열성 레벨들의 생성 이후 전기적 신호 전송을 위해 이용된다. 버스(40)를 통해서는, 신호 형태의 메시지(45, 46, 47)가 개별 가입자국들(10, 20, 30)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다. 가입자국들(10, 20, 30)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제어 장치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국들(10, 30)은 각각 통신 제어 장치(11) 및 송수신 장치(12)를 구비한다. 송수신 장치들(12)은 각각 진동 감소 유닛(15)을 포함한다. 반면, 가입자국(20)은 통신 제어 장치(11) 및 송수신 장치(13)를 구비한다. 가입자국들(10, 30)의 송수신 장치들(12)과 가입자국(20)의 송수신 장치(13)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각각 버스(40)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통신 제어 장치(11)는 버스(40)를 통한, 각각의 가입자국(10, 20, 30)과, 버스(40)에 접속된 가입자국들(10, 20, 30)의 다른 가입자국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다. 송수신 장치(12)는 신호 형태의 메시지(45, 47)의 송신을 위해 이용되고, 이 경우에는 추후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은 진동 감소 유닛(15)을 이용한다. 통신 제어 장치(11)는 특히 종래의 CAN FD 제어기 및/또는 CAN 제어기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13)는 특히 종래의 CAN 트랜시버 및/또는 CAN FD 트랜시버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13)는 특히 종래의 CAN 트랜시버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는 진동 감소 유닛(15)을 갖는 송수신 장치(12)의 기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송수신 장치(12)는 버스(40)에,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버스의 CAN_H용 제1 버스 와이어(41) 및 상기 버스의 CAN_L용 제2 버스 와이어(42)에 접속되어 있다. 단자(43)를 통해 제1 및 제2 버스 와이어(41, 42)를 위한 전압 공급, 특히 CAN 공급이 실행된다. 접지 또는 "CAN_GND"로의 접속은 단자(44)를 통해서 구현된다. 제1 및 제2 버스 와이어(41, 42)는 종단 저항(49)에 의해 종단된다.
송수신 장치(12) 내에서, 제1 및 제2 버스 와이어(41, 42)는 트랜스미터로서도 지칭되는 송신기(121)와 그리고 리시버로서도 지칭되는 수신기(122)와 연결되어 있다. 신호를 구동하기 위한 접속 유닛(125)이 통신 제어 장치(11)에 대한 단자들(111, 112)을 통해서 송신기(121)와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수신기(122)와도 연결되어 있다.
도 2에서 송신기(121)는 송수신 장치(12)의 종래 송신기와 같이 구성되므로, 여기서 추가로 설명되지는 않는다.
단자들(111, 112)의 신호를 구동하기 위해, 접속 유닛(125)은, TxD 신호로서도 지칭되고 통신 제어 장치(11)에 의해 단자(111)에서 수신되는 송신 신호(TxD)를 위한 송신 신호 드라이버(1251)를 구비한다. 또한, 접속 유닛(125)은, RxD 신호로서도 지칭되며, 수신기(122)를 이용해서 버스 와이어들(41, 42)로부터 수신되었고, 단자(112)를 통해 통신 제어 장치(11)로 전달되는 수신 신호(RxD)를 위한 수신 신호 드라이버(1252)를 구비한다. 드라이버들(1251, 1252)은 디지털부(1253)를 통해 송신기(121) 및 수신기(122)와 연결되어 있다. 디지털부(1253)는 신호(TxD, RxD)의 모니터링을 실행할 수 있다.
수신기(122)는, 저항성의, 특히 대칭적인 전압 분배기(1222) 내에서, 보다 정확하게는 그의 중앙 탭 내에서 결선되어 있는 입력을 갖는 수신 비교기(1221) 및 버스 바이어스 유닛(1223)을 구비한다. 버스 바이어스 유닛(1223)은, 자신의 일 단부에서 저항성 전압 분배기(1222)에 사전 결정된 버스 바이어스 또는 사전 결정된 버스 바이어스 전위를 공급한다. 저항성 전압 분배기(1222)는, 자신의 다른 단부에서 제1 및 제2 버스 와이어(41, 42)에 접속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신 비교기(1221)의 입력뿐만 아니라 버스 바이어스 유닛(1223)도 진동 감소 유닛(15)과 결선된다.
진동 감소 유닛(15)은 상태 변화 검출 블록(151) 및 위상 위치 검출 블록(152)을 포함하며, 이들의 입력들은 각각 수신 비교기(1221)의 입력에 병렬 접속된다. 블록들(151, 152)의 출력들은 한편으로는 제1 버스 와이어(41 또는 CAN_H) 상의 신호를 위한 RS 시간 제어 블록(153)에 접속되거나, RS 시간 제어 블록(153)과 연결된다. 다른 한편으로 블록들(151, 152)의 출력들은 제2 버스 와이어(42 또는 CAN_L) 상의 신호를 위한 RS 시간 제어 블록(154)에 접속되거나, RS 시간 제어 블록(154)과 연결된다. 또한, 진동 감소 유닛(15)은, 각각 저항(158)과 결선된 3개의 트랜지스터들(155, 156, 157)과, 각각 저항(162)과 결선된 3개의 트랜지스터들(159, 160, 161)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들(155, 156, 157, 159, 160, 161)은 바람직하게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이다. 트랜지스터들(156 및 160)은 예를 들어 PMOS 트랜지스터들이고, 트랜지스터들(155, 157, 159, 161)은 예를 들어 NMOS 트랜지스터들이다.
트랜지스터(156)의 드레인 단자는 제1 버스 와이어(41), 즉 "CAN_H"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158)은 트랜지스터(156)의 게이트 단자와 트랜지스터(156)의 소스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156)의 소스 단자는 트랜지스터(155)의 드레인 단자와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56)의 게이트 단자는 트랜지스터(157)의 드레인 단자와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55)의 게이트 단자는 RS 시간 제어 블록(153)과, 보다 정확하게는 RS 시간 제어 블록(153)의 출력과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55)의 소스 단자는 버스 바이어스 유닛(1223)과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57)의 게이트 단자에는 RS 시간 제어 블록(153), 보다 정확하게는 RS 시간 제어 블록(153)의 추가의 출력이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57)의 소스 단자는 단자(44)를 통해 접지 또는 "CAN_GND"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60)의 드레인 단자는 제2 버스 와이어(42), 즉 "CAN_L"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162)은 트랜지스터(160)의 게이트 단자와 트랜지스터(160)의 소스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160)의 소스 단자는 트랜지스터(159)의 드레인 단자와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60)의 게이트 단자는 트랜지스터(161)의 드레인 단자와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59)의 게이트 단자는 RS 시간 제어 블록(154)과, 보다 정확하게는 RS 시간 제어 블록(154)의 출력과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59)의 소스 단자는 버스 바이어스 유닛(1223)과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61)의 게이트 단자에는 RS 시간 제어 블록(154), 보다 정확하게는 RS 시간 제어 블록(154)의 추가의 출력이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61)의 소스 단자는 단자(44)를 통해 접지 또는 "CAN_GND"에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따른 송수신 장치(12)의 작동은 하기에 도 3a 내지 도 7b의 신호 곡선에 의해서도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3a 내지 도 7a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12)에서의 신호들의 시간에 따른 추이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도 3a에 도시된 송신 신호(TxD)의 결과로서, 도 4a 내지 도 7a에 따른 신호들이 설정된다.
도 3a의 송신 신호(TxD)의 경우, 시간(t)의 흐름에 따라 3개의 연속적인 비트들에서는 제1 버스 상태(401)로부터 제2 버스 상태(402)로, 그리고 이후 재차 제1 버스 상태(401)로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다. 제1 버스 상태(401)는 열성 상태 또는 하이레벨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2 버스 상태(402)는 우성 상태 또는 로우레벨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3a의 송신 신호(TxD)의 결과로서, 도 4a에 따른 신호들(CAN_H 및 CAN_L)에 대한 전압(V)이 설정되고, 도 5a에 따른 차동 전압(VDIFF)(VDIFF = CAN_H - CAN_L)이 설정되며, 도 6a에 따른 수신기(122)의 출력 신호(R_1)가 설정되고, 도 7a에 따른 수신 신호(RxD)가 설정된다. 도 4a에 따른 신호들(CAN_H 및 CAN_L)에 대한 전압(V)은 제1 버스 상태(401) 또는 열성 상태에서 버스 바이어스 유닛(1223)의 버스 바이어스 전위의 절반에 상응한다.
이에 비해, 도 3b 내지 도 7b에는 예를 들어 가입자국(20)의 송수신 장치(13)와 같은 종래의 송수신 장치에 따른, 송수신 장치에서의 신호들의 시간에 따른 추이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의 신호들의 비교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12)는 동일한 송신 신호(TxD)일 때 상태 "401"로부터 상태 "402"로의 상태 변화 또는 우성으로부터 열성으로의 상태 변화 이후 신호들(CAN_H 및 CAN_L)의 훨씬 더 빠른 천이 효과를 야기한다는 사실이 매우 명확하게 나타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122)의 한계값 전압이 0.7V의 통상의 값으로 설정되면, 수신기(122)는 상태 "401"로부터 상태 "402"로의 상태 변화 또는 우성으로부터 열성으로의 상태 변화 시에도, 도 6a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402"로부터 상태 "401"로의 상태 변화 또는 열성으로부터 우성으로의 추정된 상태 변화를 더 이상 인식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 통상적인 스캐닝 스폿(AP)에서의 수신 신호(RxD)의 스캐닝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결과를 확실히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상태 "401" 또는 우성 비트의 비트 시간(tdom)의 길이가 도 7a 및 도 7b의 비교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송수신 장치 또는 가입자국(20)의 송수신 장치(13)와 비교하여 약간 연장된 경우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12)는 종래의 송수신 장치 또는 송수신 장치(13)보다 더 낮은 진동 경향을 갖는다.
도 2의 송수신 장치(12)의 작동 시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비트의 시간에 대해 TxD 신호에서 열성 버스 상태 또는 버스 상태 "401"이 시작되는 경우, 버스 상태 "401"로부터 버스 상태 "402"로의 변화 또는 우성으로부터 열성으로의 변화가 상태 변화 검출 블록(151)을 통해 인식된다. 결과적으로, 도 2의 RS 시간 제어 블록(153)은 2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155, 156)을 트리거링하고, 이러한 2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은 제1 버스 와이어(41)를 버스 바이어스 유닛(1223)과 연결하고 이에 따라 버스 바이어싱 전위 또는 버스 바이어스 전위와 연결시킨다. 버스 바이어스 유닛(1223)은 버스 와이어(41) 상의 신호에 대한 전압을 단자(43)에서의 전압 공급값의 절반으로 설정해야 한다. 특히,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성 상태에 대한 CAN 또는 CAN FD 또는 CAN HS에서의 전압값은 2.5V이다.
마찬가지로, 상태 변화가 인식됨으로써 도 2의 RS 시간 제어 블록(154)은 2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159, 160)을 트리거링하고, 이러한 2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은 제2 버스 와이어(42)를 버스 바이어스 유닛(1223)과 연결하고 이에 따라 버스 바이어싱 전위 또는 버스 바이어스 전위와 연결시킨다. RS 시간 제어 블록(15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버스 바이어스 유닛(1223)은 버스 와이어(42) 상의 신호에 대한 전압을 단자(43)에서의 전압 공급값의 절반으로 설정해야 한다.
RS 시간 제어 블록들(153, 154)의 상술한 트리거링을 통해서는, 진동 회로 내에 존재하는 에너지가 버스 바이어스 유닛(1223)에 대한 연결을 통해 소산된다. RS 시간 제어 블록들(153, 154)은 스위칭 트랜지스터들(155, 156)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들(159, 160)의 트리거링 시간이 일부의 비트 시간에서, 바람직하게는 지속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설정은 위상 위치 검출 블록(152)의 검출에 기초하여 실행될 수 있거나, 고정적으로 또는, 특히 사용자에 의해, 구성 가능하도록 사전 결정될 수 있다.
도 2의 위상 위치 검출 블록(152)은 2개의 버스 와이어들(41, 42) 상의 신호들 상호간의, 시간에 따른 위치를 검출하고 평가한다. 결과에 따라, 위상 위치 검출 블록(152)은 스위칭 트랜지스터들(155, 156)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들(159, 160)을 RS 시간 제어 블록들(153, 154)을 통해 트리거링한다. 필요한 경우, 2개의 버스 와이어들(41, 42) 상의 신호들 상호간의, 시간에 따른 위치의 평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RS 시간 제어 블록들(153, 154)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매우 일반적으로는 RS 시간 제어 블록들(153, 154)에 의하여, 트리거링은 별도로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특히 신호들(CAN_H 및 CAN_L)의 버스 와이어들(41, 42)에 대해 실행될 수 있다. 바꿔 말해, RS 시간 제어 블록들(153, 154)에 의하여, 트리거링은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특히 신호들(CAN_H 및 CAN_L)의 버스 와이어들(41, 42)에 대해 실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2개의 버스 와이어들(41, 42) 상의 신호들의 위상 위치는 변화할 수 있다. 위상 위치 검출 블록(152)의 검출 결과도 함께 사용되는 경우, 2개의 버스 와이어들(41, 42) 상의 신호들의 위상 위치는 완전히 의도한 대로 변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태 변화 이후의 진동 감쇠는 더욱 가속화된다.
2개의 버스 와이어들(41, 42) 상의 신호들의 위상 위치의 의도적인 변경이 불필요한 경우, 위상 위치 검출 블록(152)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송수신 장치(12)에 의해, 상이한 비트 상태들 간 전환 시 진동 경향의 감소를 위한 방법이 실행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입자국들(10, 30)만이 송수신 장치(12)의 기능성을 갖는다. 가입자국들(10, 30)은 바람직하게 진동 경향이 높은 가입자국들 또는 노드들이다. 가입자국들(10, 30)의 높은 진동 경향은 특히 가입자국들의 버스 시스템(1) 내 위치, 종단 저항들(49)의 위치, 가입자국들(10, 30) 까지의 스터브 길이 또는 스터브 라인 길이 등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하나의 변형예에 따라서는, 단순화된 접근법에 따라, 우성으로부터 열성으로의 상태 변화 이후 진동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신호들(CAN_H 또는 CAN_L)을 위한 트랜지스터들[155(NMOS), 156(PMOS) 또는 159(NMOS), 160(PMOS)]로 이루어진 2개의 스위치 쌍들 중 하나의 스위치 쌍만을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마찬가지로 종래의 송수신 장치 또는 가입자국(20)의 송수신 장치(13)와 비교하여 개선을 가져온다. 이러한 경우, 도 2의 회로에서는 작동되어야 할, 신호들(CAN_H 또는 CAN_L)을 위한 스위치 쌍만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하나의 추가 변형예에 따라, 송수신 장치(12)의 상술한 기능성은 송수신 장치(12)가 자체적으로 송신을 실행하거나 송신기로서 작용할 때만 활성화된다. 이러한 경우, 송신 신호(TxD)의 평가는 바람직할 것이므로, 송신 신호(TxD)는 단자(111)에 의해 RS 시간 제어 블록들(153, 154)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 공급된다.
제1 실시예의 또 하나의 추가 변형예에 따라, 가입자국(20)도 송수신 장치(13) 대신 송수신 장치(12)를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 송수신 장치(12)의 상술한 기능성은 특히 필요에 따라 버스 시스템의 모든 가입자국들(10, 20, 30)에 대해 활성화된다.
도 8에는 진동 감소 유닛(150)을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120)의 기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후술하는 차이점을 제외하고, 버스 시스템(1) 및 송수신 장치(120)는, 버스 시스템(1) 및 송수신 장치(12)에 대한 상술한 실시예 또는 그 변형예들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진동 감소 유닛(150)은 도 9에 도시된, 버스(40) 상에서의 통신의 상이한 위상들을 검출 및 인식 또는 구별할 수 있는 통신 위상 검출 블록(153)을 추가로 구비한다.
도 9의 상단부에는 메시지(45)에 기초하여, 송수신 장치(12) 또는 송수신 장치(13)에 의해 송신되는 경우와 같은 CAN 프레임이 도시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송수신 장치(12)에 의해 송신될 수 있는 경우와 같은 CAN FD 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CAN 프레임 및 CAN FD 프레임은 버스(40) 상에서의 CAN 통신을 위해 기본적으로 2개의 상이한 통신 위상들, 즉 중재 위상들(451, 453)과, CAN HS에서는 데이터 필드로도 지칭되거나 CAN FD에서는 데이터 위상으로도 지칭되는 데이터 영역(452)으로 세분된다. 데이터 영역(452)은 자신의 끝에서, EOF 비트로도 지칭되는 하나 이상의 엔드 비트(454)에 의해 종료되며, 이때 "EOF"는 "엔드 오브 프레임(End of Frame)" 또는 메시지의 끝을 나타낸다. CAN 또는 CAN FD의 경우, EOF는 11개의 열성 비트들, 즉 제2 버스 상태(402)를 갖는 비트들로 이루어진 비트 시퀀스이다.
CAN FD의 경우, 고전적 CAN과 비교하여 중재 위상(451)의 끝에서는 다음의 데이터 위상에 대한 비트 레이트가 예를 들어 2, 4, 8Mbps로 증가된다. 따라서, CAN FD에서 중재 위상들(451, 453)에서의 비트 레이트는 데이터 영역(452)에서의 비트 레이트보다 낮은 것이 적용된다. CAN FD에서 데이터 영역(452)은 CAN 프레임의 데이터 영역(452)과 비교하여 훨씬 단축된다.
중재 위상들(451, 453)은 CAN 프레임 및 CAN FD 프레임의 중요 구성 요소이거나, 도 1에 도시된 메시지들(45, 46, 47)의 중요 구성 요소이다. 이 경우, 버스 시스템(1)의 어느 노드가 또는 어느 가입자국(10, 20, 30)이 가장 중요한 메시지(45, 46, 47)를 지니는지가 결정된다. 가장 중요한 메시지(45, 46, 47)를 갖는 가입자국(10, 20, 30)은 중재에서 우위를 얻게 되고, 이에 따라 중재 위상의 종료 이후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다른 모든 가입자국들은 이러한 가장 중요한 메시지의 전송 시에 리스너(listener)들이다. 이 경우, 송수신 장치들(12, 13)은 2개의 상이한 버스 상태들(401, 402) 또는 비트 상태들 중 하나로서 우성의 버스 상태(402)(도 3a 내지 도 7a) 또는 비트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버스(40)를 저임피던스로 구동한다. 반면, 2개의 상이한 버스 상태들(401, 402) 중 다른 하나로서의 열성 상태에서, 송수신 장치들(12, 13)은 비교적 고임피던스이다.
통신 위상 검출 블록(165)은 중재 위상들(451, 453)과, 데이터 영역(452)과, 데이터 영역(453)의 끝, 즉 하나 이상의 엔드 비트(EOF)(454)를 인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진동 감소 유닛(150)의 기능성은 각각 요구에 따라 모든 통신 위상들(451 내지 453) 또는 메시지(45)의 위상들/영역들에 대해 적용되거나, 중재의 종료 시에만, 즉 데이터 영역(452)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그렇지 않을 경우 너무 많은 가입자국들(10, 20, 30)이 중재 시 송수신 장치(120)의 기능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효 버스 저항을 너무 심하게 감소시킬 때에 바람직하다.
도 10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1200) 및 통신 제어 장치(110)를 구비한 가입자국(100)의 기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후술하는 차이점을 제외하고, 버스 시스템(1) 및 가입자국(100)은, 버스 시스템(1) 및 가입자국(10)에 대한 제1 실시예 또는 그 변형예들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후술하는 차이점을 제외하고, 통신 제어 장치(110)는, 제1 실시예의 통신 제어 장치(11)와 같이 구성된다. 후술하는 차이점을 제외하고, 송수신 장치(1200)는, 제1 실시예의 송수신 장치(12)와 같이 구성된다.
통신 제어 장치(110)는 신호들(TxD, RxD)에 대한 단자들(111, 112)과 더불어, 제어 신호(RS_Control_Out)에 대한 추가 단자(115)를 갖는다.
송수신 장치(1200)는, 이미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앞서 전반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제어 장치(110)의 단자(111)로부터 송신 신호(TxD)를 수신하기 위한 단자(1221A)를 갖는다. 또한, 송수신 장치(1200)는, 이미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앞서 전반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제어 장치(110)의 단자(112)로 수신 신호(RxD)를 송신하기 위한 단자(1221B)를 갖는다. 이에 추가하여, 송수신 장치(1200)는, 제어 신호(RS_Control_Out)가 제어 신호(RS_Control_ln)로서 수신되는 단자(1225)를 갖는다.
단자(115)에 대한 제어 신호(RS_Control_Out)를 생성하기 위해, 통신 제어 장치(110)는 제어 블록(116)을 갖는다. 제어 블록(116)이, 제1 정보(1161)로서 저장된 송신 신호(TxD)와, 단자(112)에서 수신되어 필요한 경우 일시 저장되는 수신 신호(RxD)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제어 블록(116)은 버스 와이어들(41, 42) 상의 버스 트래픽을 모니터링한다. 열성 버스 상태, 즉 제1 버스 상태(401)에서, 예를 들어 수신 신호(RxD) 내 상태 변화와 같이, 송신 신호(TxD) 내에 포함되지 않았던 편차가 2개 신호들(TxD, RxD) 간에 발생하는 경우, 이로부터 네트워크 또는 버스(40) 그리고 신호 무결성(signal integrity)에 대한 추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통신 제어 장치(110)의 제어 블록(116) 내에는, 비트 레이트; 2개 스위칭 과정들, 즉 제1 버스 상태(401)로부터 제2 버스 상태(402)로의 상태 변화에 대한 전파 지연(Propagation-Delay);과 같은 제2 정보(1162)가 존재한다. 이러한 정보(1162)는 대안적으로, 미도시된 추가의 블록, 특히 메모리 내에 보유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자(1221B)에서의 RxD 출력은 디지털 신호 대신, 수신 신호(RxD)의 차동 전압을 나타내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출력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1161, 1162)의 고려 하에, 제어 블록(116)은 제어 신호(RS_Control_Out)를 생성하며, 이러한 제어 신호는 단자(115)로부터 송출되고, 송수신 장치(1200)의 단자(1225)에서 수신되며, 진동 감소 유닛(1500)으로 전달된다. 그에 상응하게, 진동 감소 유닛(1500)에서 상기 실시예들의 진동 감소 유닛들(15, 150)의 블록들(151, 152, 153)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진동 경향 감소(링잉 억제)의 제어는 이 경우, 송수신 장치(12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 제어 장치(110)에 의해 제어된다. 이 경우, 통신 제어 장치(110), 보다 정확하게는 그의 제어 블록(116)은 진동 감소 유닛(1500)을 가입자국(100)과 네트워크 또는 버스(40)의 특수한 특성들에 매칭시킬 수 있다. 바꿔 말해, 통신 제어 장치(110), 보다 정확하게는 그의 제어 블록(116)은 진동 감소 유닛(1500)을 노드 및 네트워크에 민감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블록(116)은 가입자국(100)을 위한 학습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2 버스 상태(402)로부터 제1 버스 상태 (401)로의 상태 변화 시 진동 경향의 확실한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전체 시스템으로서 버스 시스템(1)에 대한 확실한 이득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 및 그들의 변형예들에 따른, 버스 시스템(1)의 가입자국들(10, 20, 30, 100)의 송수신 장치들(12, 120, 1200)의 진동 감소 유닛들(15, 150, 1500) 및 이들에서 실시되는 방법의 모든 상술한 구성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특히 이하의 변형예들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 및/또는 그들의 변형예들에 따른 상술한 버스 시스템(1)은, CAN 프로토콜에 기반하는 버스 시스템에 의해 설명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들 및/또는 그들의 변형예들에 따른 버스 시스템(1)은 다른 유형의 통신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버스 시스템(1)에서 적어도 특정 기간 동안 버스 라인(40)에 대한 또는 버스 라인(40)의 공통 채널에 대한 가입자국(10, 20, 30, 100)의 충돌없는 독점적인 액세스가 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제적인 전제 조건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 및/또는 그들의 변형예들에 따른 버스 시스템(1)은, 특히 CAN 네트워크 또는 CAN HS 네트워크 또는 CAN FD 네트워크 또는 플렉스레이(FlexRay) 네트워크이다. 또는 버스 시스템(1)이 다른 직렬 통신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특히, 진동 감소 유닛(15, 150)은, 송신기와 수신기가 데이터 전송 경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표준인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에서 사용될 수 있다. LVDS는 ANSI/TIA/EIA-644-1995에 따라 표준화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들 및/또는 그들의 변형예들에 따른 버스 시스템(1) 내에서의 가입자국들(10, 20, 30, 100)의 수 및 배열 상태는 임의적이다. 특히, 상기 실시예들 및/또는 그들의 변형예들의 버스 시스템들(1) 내에는 가입자국들(10)만, 또는 가입자국들(30)만, 또는 가입자국들(100)만 존재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 및/또는 그들의 변형예들의 기능성은, 각각 트랜시버나 송수신 장치(12)에서, 또는 트랜시버나 CAN 트랜시버에서, 또는 트랜시버 칩셋이나 CAN 트랜시버 칩셋 등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는 기존 제품들에 통합될 수 있다. 특히, 고려된 기능성이 트랜시버 내에서 별도의 전자 모듈(칩)로 구현되거나, 단 하나의 전자 모듈(칩)이 존재하는 통합된 전체 솔루션 내에 내장되는(embedded) 것이 가능하다.

Claims (11)

  1. 버스 시스템(1)용 송수신 장치(12; 120; 1200)이며, 상기 송수신 장치는,
    버스 시스템(1)의 버스(40)에 대한 가입자국(10, 20, 30)의 충돌없는 독점적인 액세스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보장되는 버스 시스템(1)의 버스(4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수신을 위한 수신 비교기(1221)와;
    수신 비교기(1221)의 입력에 병렬 접속되는 입력을 갖는 진동 감소 유닛(15; 150);을 포함하며,
    진동 감소 유닛(15; 150)은 수신 신호의 우성 버스 상태(402)로부터 열성 버스 상태(401)로의 상태 변화의 검출 시에 버스(40)의 하나 이상의 버스 와이어(41; 42)를 버스 바이어스 전위와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 장치(12; 120; 1200).
  2. 제1항에 있어서, 버스 바이어스 전위는 버스(40)를 위한 전압 공급값의 절반으로 설정되는, 송수신 장치(12; 120; 12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송수신 장치(12; 120)이며, 진동 감소 유닛(15; 150)은,
    수신 신호의 우성 버스 상태(402)로부터 열성 버스 상태(401)로의 상태 변화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블록(151; 151, 152)과;
    수신 신호의 우성 버스 상태(402)로부터 열성 버스 상태(401)로의 상태 변화의 검출 시에 버스(40)의 하나 이상의 버스 와이어(41; 42)를 버스 바이어스 유닛(1223)과 연결하도록 결선되는 트랜지스터들(155, 156; 159, 160);을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12; 12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송수신 장치(12; 120)이며, 진동 감소 유닛(15; 150)은,
    버스(40)의 버스 와이어들(41, 42) 상의 신호들 상호간의, 시간에 따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상 위치 검출 블록(152)과;
    버스 와이어(41; 42) 상의 신호의 위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위상 위치 검출 블록(165)의 검출 결과에 따른 버스 와이어 상(41; 42)의 신호의 제어를 위해 각각 구성된 하나 이상의 RS 시간 제어 블록(153; 153, 154);을 포함하는, 송수신 장치(12; 12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송수신 장치(12; 120)이며,
    진동 감소 유닛(15; 150)은 버스(40) 상에서의 통신의 상이한 위상들을 검출하기 위한 통신 위상 검출 블록(153)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RS 시간 제어 블록(153; 153, 154)은 버스(40) 상에서의 통신의 검출된 위상에 따라 버스 와이어(41; 42) 상의 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 장치(12; 120).
  6. 제5항에 있어서, 통신 위상 검출 블록(165)은 버스(40) 상에서의 통신의 상이한 위상들을 검출하기 위해 메시지(45; 47)의 끝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엔드 비트(454)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 장치(12; 120).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RS 시간 제어 블록(153; 153, 154)은, 통신의 중재 위상(451; 453)의 종료 이후에 버스 와이어(41; 42) 상의 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 장치(12; 120).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장치는 버스(40)로 메시지들(45; 47)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121)를 또한 포함하고,
    진동 감소 유닛(15; 150)은, 송신기(121)가 버스(40)로 메시지(45; 47)를 송신할 때만 진동 감소 유닛(15; 150)이 활성화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송수신 장치(12; 120).
  9. 버스 시스템(1)이며, 상기 버스 시스템은
    버스(40), 및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버스(40)를 통해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가입자국들(10; 20; 30; 100)을 구비하며,
    상기 2개 이상의 가입자국들(10; 20; 30) 중 하나 이상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송수신 장치(12; 120; 1200)를 구비하는, 버스 시스템(1).
  10. 제9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가입자국들 중 하나의 가입자국(100)은, 송수신 장치(1200)가 버스 와이어들(41, 42)을 위한 신호들(CAN_H, CAN_L)에 대한 기초로서 사용하는 신호(TxD)를 송수신 장치(1200)에 송신하도록, 그리고 제어 신호의 생성을 위해 상기 신호(TxD)를 송수신 장치(1200)에 의해 버스(40)로부터 수신된 신호(RxD)와 비교하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 장치(110)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제어 장치(110)는 진동 감소 유닛(15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수신 장치(1200)로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버스 시스템(1).
  11. 상이한 비트 상태들 간 전환 시 진동 경향의 감소를 위한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버스 시스템(1)의 버스(40)에 대한 가입자국(10, 20, 30, 100)의 충돌없는 독점적인 액세스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보장되는 버스 시스템(1)용 송수신 장치(12; 120; 1200)에 의해 실행되며, 송수신 장치(12; 120; 1200)는 수신 비교기(1221) 및 진동 감소 유닛(15; 150)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버스(4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 비교기(1221)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이며, 이때 수신 비교기(1221)의 입력은 진동 감소 유닛(15; 150)의 입력에 병렬 접속되는 단계와;
    수신 신호의 우성 버스 상태(402)로부터 열성 버스 상태(401)로의 상태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와;
    버스(40)의 하나 이상의 버스 와이어(41; 42)를 버스 바이어스 전위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동 경향의 감소를 위한 방법.
KR1020207006662A 2017-08-08 2018-07-19 버스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 그리고 상이한 비트 상태들 간 전환 시 진동 경향의 감소를 위한 방법 KR102597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13832.7 2017-08-08
DE102017213832.7A DE102017213832A1 (de) 2017-08-08 2017-08-08 Sende-/Empfangseinrichtung für ein Bussystem und Verfahren zur Reduzierung einer Schwingneigung beim Übergang zwischen unterschiedlichen Bitzuständen
PCT/EP2018/069672 WO2019029974A1 (de) 2017-08-08 2018-07-19 Sende-/empfangseinrichtung für ein bussystem und verfahren zur reduzierung einer schwingneigung beim übergang zwischen unterschiedlichen bitzuständ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340A true KR20200033340A (ko) 2020-03-27
KR102597144B1 KR102597144B1 (ko) 2023-11-03

Family

ID=6301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662A KR102597144B1 (ko) 2017-08-08 2018-07-19 버스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 그리고 상이한 비트 상태들 간 전환 시 진동 경향의 감소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65869B1 (ko)
KR (1) KR102597144B1 (ko)
CN (1) CN111149328B (ko)
DE (1) DE102017213832A1 (ko)
WO (1) WO2019029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4721A1 (de) * 2019-09-26 2021-04-01 Robert Bosch Gmbh Konfliktdetektor für eine Teilnehmerstation eines seriellen Bussystems und Verfahren zur Kommunikation in einem seriellen Bussystem
DE102019217729A1 (de) * 2019-11-18 2021-05-20 Robert Bosch Gmbh Sende-/Empfangseinrichtung für ein Bussystem und Verfahren zur Reduktion von leitungsgebundenen Emissionen in einem Bus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96230A1 (en) * 2015-01-07 2016-07-07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for a Low Emiss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3736B2 (en) * 2013-05-03 2015-12-29 Nxp B.V. Devices and methods for an enhanced driver mode for a shared bus
DE102014204048A1 (de) * 2014-03-05 2015-09-10 Robert Bosch Gmbh Teilnehmerstation für ein Bussystem und Verfahren zur Reduzierung von leitungsgebundenen Emissionen in einem Bus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96230A1 (en) * 2015-01-07 2016-07-07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for a Low Emiss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5869A1 (de) 2020-06-17
DE102017213832A1 (de) 2019-02-14
WO2019029974A1 (de) 2019-02-14
EP3665869B1 (de) 2022-06-22
KR102597144B1 (ko) 2023-11-03
CN111149328A (zh) 2020-05-12
CN111149328B (zh)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49326B (zh) 用于总线系统的发送/接收装置和用于减小在不同的位状态之间过渡时的振荡趋势的方法
CN113169918B (zh) 用于串行总线系统的用户站的装置和用于串行总线系统中的通信的方法
CN110892682B (zh) 用于总线系统的减振单元和用于减小在不同的位状态之间过渡时的振荡趋势的方法
JP6883701B2 (ja) Canバスシステムのための送受信装置およびcan送受信装置によって短絡を検出する方法
CN113454952B (zh) 用于串行总线系统的用户站的装置及在串行总线系统中通信的方法
CN113169916B (zh) 用于串行总线系统的用户站和用于串行总线系统中的通信的方法
CN111837365B (zh) 用于总线系统的发送/接收装置和用于减小有线发射的方法
KR20200027021A (ko) 버스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 그리고 전도성 방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CN113196711B (zh) 用于串行总线系统的用户站的装置和用于串行总线系统中的通信的方法
KR102597144B1 (ko) 버스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 그리고 상이한 비트 상태들 간 전환 시 진동 경향의 감소를 위한 방법
KR102501624B1 (ko) 버스 시스템용 송수신 장치, 그리고 상이한 비트 상태들 간 전환 시 진동 경향의 감소를 위한 방법
CN111149327B (zh) 用于总线系统的发送/接收装置和用于减小在不同的位状态之间过渡时的振荡趋势的方法
CN112859663A (zh) 具有可切换的转换速率的现场总线系统
US11601301B2 (en) Transceiver device for a bus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conducted emissions
CN114762298B (zh) 用于总线系统的发送/接收装置和用于在耦合输入了干扰时减少总线差分电压的振荡的方法
CN112913193B (zh) 用于串行总线系统的发送/接收装置和用于在串行总线系统中发送消息的方法
US11729020B2 (en)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for a bus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oscillations of a bus differential voltage in the case of coupled-in interfere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