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083A - Making system for video using blocking and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Making system for video using blocking and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083A
KR20200033083A KR1020180142584A KR20180142584A KR20200033083A KR 20200033083 A KR20200033083 A KR 20200033083A KR 1020180142584 A KR1020180142584 A KR 1020180142584A KR 20180142584 A KR20180142584 A KR 20180142584A KR 20200033083 A KR20200033083 A KR 20200033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image
blocks
video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5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5345B1 (en
Inventor
전동혁
Original Assignee
(주)비디오몬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디오몬스터 filed Critical (주)비디오몬스터
Publication of KR20200033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0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3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20Perspective computation
    • G06T15/205Image-based ren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based image production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blocking technique for producing image content by dividing and combining an image source and a template for decorating the image source in a certai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environment in which an image source, a template, a subtitle, an image, and the like necessary for producing image content are made into blocks in a certain unit and combined according to a playback order to produce an image, ordinary people can easily produce image content.

Description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 및 방법{MAKING SYSTEM FOR VIDEO USING BLOCKING AND METHOD THEREFOR}{MAKING SYSTEM FOR VIDEO USING BLOCKING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블록 기반 영상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소스 및 이를 꾸미는 템플릿을 일정단위로 분할하여 조합하는 방식으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based image produ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blocking technique for producing image content by dividing and combining an image source and a template for decorating it in a predetermined unit.

현재, UCC 와 같은 영상 콘텐츠를 편집 및 제작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제작도구가 상용화 및 배포되고 있다.Currently, various types of production tools that can edit and produce video content such as UCC are commercialized and distributed.

그러나, 일반적인 영상 제작도구는 프로그램이 무거움에 따라 고사양의 컴퓨팅 자원을 요구하거나, 그 사용법이 어려워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이 직접 영상소스를 편집하여 고품질의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However, general video production tools require high-end computing resources depending on the program's heaviness, or are difficult to use, making it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without professional knowledge to directly edit video sources to produce high-quality video contents.

이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다양한 동영상 제작도구가 상용화되고 있다. 종래의 동영상 제작 툴은 이미 설정된 프레임 이미지 사이즈, 이미 설정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 입력 사이즈 등의 이미 설정된 템플릿에 사용자가 이미지 등을 삽입시키면 동영상 제작 툴에서 정해진 형태의 동영상으로 생성시키는 구성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Accordingly, various video production tools that users can easily produce video have been commercialized. Conventional video production tools generall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video production tool generates a video in a predetermined form when a user inserts an image or the like into a preset template such as a frame image size, a preset image, or a text input size.

이러한 동영상 제작도구는 생성시킨 동영상을 편집하거나 변환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그 동영상 제작도구만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프로그램적으로 매우 종속적이고, 또한 동영상 제작도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사용법을 습득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다양한 동영상을 용이하게 제작하고, 제작된 영상의 편집 및 변환 작업에는 어려움이 있다.These video production tools are very dependent programmatically because only the video production tools must be used when editing or converting the created video. Also, to use the video production tools,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learn how to use them. Is requir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asily produce various videos desired by the user, and to edit and convert the produced video.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2410호(공개일자: 2017.07.14.)Public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82410 (Publication date: 2017.07.1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가 자신의 영상 소스와 템플릿을 블록화하여 쉽게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영상 제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method of video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that allows a general user without expertise to block his or her video source and template to easily produce video content. Has a purpose.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은, 역할별로 구분되는 복수의 블록을 생성하고, 영상소스를 복수의 영상클립으로 분할하여 상기 블록에 할당하는 블록 생성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시각화된 작업공간 상에 위치한 복수의 블록의 배치를 변경하고, 배치된 둘 이상의 블록을 결합하는 블록 배치부 및 상기 블록 내 영상클립을 각 블록단위 또는 결합된 블록단위로 렌더링하여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렌더링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image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ing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plurality of blocks divided by roles, divides an im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image clips, and allocates the blocks to the blocks. Block generation unit, block arrangement unit that changes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blocks located on the visualized workspace, and combines two or more blocks plac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operation, and the image clip in the block in each block unit or combined It may include a rendering engine that generates image content by rendering in block units.

상기의 영상 제작 시스템은, 영상에 대한 그래픽 및 사운드 효과를 포함하는 복수의 템플릿을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 생성부는 선택된 템플릿을 상기 블록에 삽입할 수 있다.The image produc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templat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plurality of templates including graphic and sound effects for the image, and the block generation unit may insert the selected template into the block.

상기의 영상 제작 시스템은, 이미지 및 텍스트를 포함하는 파일형태의 효과정보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 생성부는 상기 효과정보를 상기 블록에 삽입할 수 있다.The video produc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data input unit that receives effect information in a file format including images and text, and the block generation unit may insert the effect information into the block.

상기 작업공간은 적어도 두 개의 X축 및 Y축이 정의되고, 상기 X축은 시간축 및 상기 Y축은 공간축으로 설정되는 블록화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At least two X- and Y-axes are defined as the working space, and the X-axis may use a blocking technique in which the time axis and the Y-axis are set as the spatial axis.

상기 블록은 상기 X축 및 Y축상에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One or more blocks may be disposed on the X and Y axes.

상기 복수의 블록은, 타이틀 블록, 브릿지 블록, 하이라이트 블록 및 예고편 블록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ocks may be divided into a title block, a bridge block, a highlight block, and a trailer block.

상기의 영상 제작 시스템은, 상기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여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영상 재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produc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reproducing unit that reproduces the image content and provides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시스템에 의한 영상 제작 방법은, 영상소스를 입력받는 단계, 역할별로 구분되는 복수의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소스를 복수의 영상클립으로 분할하여 상기 블록에 할당하는 단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블록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배치된 둘 이상의 블록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클립을 각 블록단위 또는 결합된 블록단위로 렌더링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video production method using the video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receiving an image source, generating a plurality of blocks divided by roles, and generating the video Dividing a source into a plurality of image clips and assigning them to the blocks,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blocks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combining two or more blocks arranged, and the image clips in units of blocks or It may include the step of rendering in a combined block unit.

상기 역할별로 구분되는 복수의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소스를 복수의 영상클립으로 분할하여 상기 블록에 할당하는 단계는, 영상에 대한 그래픽 및 사운드 효과를 포함하는 복수의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을 상기 블록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Generating a plurality of blocks divided by each role, and dividing the im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image clips and allocating the blocks, the steps of providing a plurality of templates including graphic and sound effects for the image and a user It may include the step of inserting the template selected by the block.

상기 역할별로 구분되는 복수의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소스를 복수의 영상클립으로 분할하여 상기 블록에 할당하는 단계는, 이미지 및 텍스트를 포함하는 파일형태의 효과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효과정보를 상기 블록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Generating a plurality of blocks classified for each role, and dividing the im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image clips and allocating the blocks to the blocks include receiving input of effect information in a file format including an image and text and the effect information It may include the step of inserting into the bloc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영상소스, 템플릿, 자막, 이미지 등을 일정 단위로 블록화하고, 재생순서에 맞추어 조합하는 방식으로 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일반인들도 용이하게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video source, a template, a subtitle, an image, etc. necessary for producing video content are blocked in a certain unit and combined according to a playback order, an environment capable of producing an image is provided.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produced video cont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영상소스 및 영상 제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블록화 기법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하여 시각화된 도구를 제공함에 따라, 마치 장남감 블록을 조립하는 것과 같이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진보된 도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sualized tool by presenting a new method called a blocking technique for various types of data required for image source and image produ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video content as if assembling a toy block.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dvanced tool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이 적용된 영상 제작 솔루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종래기술 및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제작 방식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이 제공하는 작업공간의 GUI 및 작업 형태를 모식화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n image production solution to which an image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ing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mage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ing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image production method using a blocking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schematic diagrams respectively showing a conventional technique and an imag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GUI and a work form of a work space provided by an image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ing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selected from th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appeara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ir mean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applicabl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simply the names of the terms.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certain par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s to a "equipment"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ay not include other components, bu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Means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갖는" 등의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example" means to serve as an example, example, or illustration, but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examples. And, other similar terms such as "including", "having" and "having" are used, but when used in the claims, as an open transition word that does not exclude any additional or other components. It is used generically in a manner similar to the term "comprising".

또한,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재된 "...부(Unit)", "...단말(Terminal)"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이 조합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terminal" and "... system" describ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re combined with one or more functions. Refers to a unit that processes operations,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 "단말", 및 "시스템"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The various techniques described herein can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or software, or combinations of all of them where appropriate. The terms "part", "terminal", and "system", as used herein, are likewise treated as computer-related entities, ie a combination of hardware, hardware and software, software or software at runtime. can do.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부" 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읽기, 쓰기 및 지우기가 가능한 형태로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또는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gram executed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units of "parts", and may be recorded in one physical memory in a form capable of reading, writing, and erasing, or distributed and recorded between two or more memories or recording media. You ca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시스템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imag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이 적용된 영상 제작 솔루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n image production solution to which an image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ing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시스템(100)은 자체 운영하는 일반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상에 구축될 수 있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10)에 영상 제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video produc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uilt on a self-operated general server or a cloud server, and images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 accessed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Production service can be provided.

사용자 단말(10)은 자신이 보유한 영상소스를 편집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시스템에 접속하여 사용자 권한을 부여받아 그 사용자 계정으로 영상 제작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말로서, 거치형PC, 노트북,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영상 제작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영상소스를 업로드 및 편집 환경이 제공하는 GUI를 표시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탑재 및 실행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 is a terminal for users who want to edit their own video source to access the system by accessing the system and receiving user authority, and accessing the video production system with the user account, such as a stationary PC, laptop, smartphone or tablet PC. This can be used, and an application program for uploading an image source and displaying a GUI provided by an editing environment in conjunction with the image production system 100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mounted and executed.

사용자 단말(10)은 생성된 프로젝트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영상 콘텐츠에 삽입될 텍스트 및 이미지 등을 입력하고,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템플릿을 선택하여 그래픽 및 사운드 효과를 추가하여 영상소스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작 시스템(100)의 렌더링 엔진을 통해 렌더링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 may edit a video source by inputting text and images to be inserted into video content by a user on the generated project, selecting one or more provided templates, and adding graphic and sound effects. In addition, image content may be produced by performing a rendering process through a rendering engine of the image production system 100.

영상 제작 시스템(100)은 회원 등록된 사용자별 사용자 공간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이 업로드 하는 영상소스에 대한 프로젝트를 생성하며 프로젝트에 이용되는 복수의 템플릿과 편집 완료된 영상소스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엔진을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편집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The image production system 100 provides a user space for each user registered as a member, creates a project for the image source uploaded by the user terminal 10, renders a plurality of templates used for the project, and renders the edited image source By providing an engine, an online editing environment can be implemented.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영상 제작도구는 시각화된 작업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영상소스를 편집하는 데 있어서, '블록(Block)'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이용하는 것이라는 특징이 있다.In particular, the image production tool provided by the image produc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ovides a visualized working environment, but also provides a new concept of 'block' in editing an image source.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it is used.

상기의 블록은 영상소스를 일정길이의 영상클립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각 영상클립이 할당되는 논리적 개념으로서, 블록간 결합에 의해 영상클립의 재생순서가 결정되고 그래픽 및 사운드 효과가 삽입되는 장면이 결정된다.The above block is a logical concept of dividing an image source into a video clip of a certain length and assigning each of the divided video clips, a scene in which the playback order of the video clips is determined by inter-block coupling and graphics and sound effects are inserted. This is decided.

이에 사용자는 영상소스, 템플릿 및 기타 영상에 삽입하고자 하는 효과정보를 모두 블록에 할당하고, 이를 순서에 맞게 배치하여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allocate video information, templates, and other effect information to be inserted into the video to a block, and arrange them in order to produce video content.

이러한 영상 제작 시스템(100)이 탑재 및 실행되는 서버로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윈도우즈(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의 접속에 따른 웹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윈도우즈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 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Apache, Nginx, Light HTTP 등이 이용될 수 있다.As a server on which the image production system 100 is mounted and executed, server programs provid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operating systems such as Windows, Linux, UNIX, and Macintosh in general server hardware. It can be implemented using a web site (Website), IIS (Internet Information Server) used in the Windows environment to provide a web pag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20, Apache, Nginx used in the Unix environment, Light HTTP or the like can be used.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이 온라인 상에서 영상 콘텐츠를 손쉽게 편집 및 제작할 수 있는 블록화 기법이 적용된 영상 제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imag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image production environment to whic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an easily edit and produce image content onlin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시스템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of an imag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mage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ing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100)은, 역할별로 구분되는 복수의 블록을 생성하고, 영상소스를 복수의 영상클립으로 분할하여 상기 블록에 할당하는 블록 생성부(110),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12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시각화된 작업공간 상에 위치한 복수의 블록의 배치를 변경하고, 배치된 둘 이상의 블록을 결합하는 블록 배치부(130), 블록 내 영상클립을 각 블록단위 또는 결합된 블록단위로 렌더링하여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렌더링 엔진(140), 영상에 대한 그래픽 및 사운드 효과를 포함하는 복수의 템플릿을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부(150), 이미지 및 텍스트를 포함하는 파일형태의 효과정보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160) 및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여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영상 재생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video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ing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plurality of blocks divided by roles, divides an im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video clips, and allocates the blocks to the block The block generating unit 110, a manipulation unit 120 that receives a user's manipulation, changes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blocks located on the visualized workspace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and combines the two or more blocks arranged Placement unit 130, a rendering engine 140 that generates image content by rendering an image clip in each block unit or a combined block unit, a template that provides a plurality of templates including graphic and sound effects for the image Providing unit 150, data input unit 160 that receives effect information in the form of files including images and text, and video content are reproduced and provided in real time to the user terminal. It may include a video reproducing section 170.

블록 생성부(110)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제공하는 영상 제작도구에서 이용하는 블록(blk)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영상 제작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편집대상인 영상소스를 업로드 하면 편집 프로젝트의 생성과 더불어 영상소스를 일정길이를 갖는 복수의 영상클립 형태로 분할하고, 복수의 블록(blk)을 생성하여 각 블록마다 분할된 영상클립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클립의 길이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The block generator 110 may generate a block used in the image production tool provided by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accesses the video production system 100 using his terminal and uploads the video source to be edited, the video sour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video clip types having a certain length, along with creation of an editing project, and a plurality of blocks. By generating (blk), a divided video clip can be assigned to each block. Here, the length of the video clip can be adjusted by the user.

또한, 블록 생성부(110)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영상소스 이외에도, 사용자가 입력하는 영상 콘텐츠에 삽입될 이미지, 텍스트와 같은 효과정보도 재생시간에 맞추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블록(blk)에 할당할 수 있고, 후술하는 템플릿 제공부(150)가 제공하는 복수의 템플릿(151)을 재생시간에 맞추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블록(blk)에 할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 generation unit 110 may allocate effect information such as images and text to be inserted into the video content input by the user, in addition to the image source uploaded by the user, to one or more blocks (blk) according to the playing time. In addition, a plurality of templates 151 provided by the template providing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allocated to one or two or more blocks blk according to a reproduction time.

조작부(12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조작부(120)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키보드, 마우스 및 터치패널 등의 조작을 전달받아 시스템내에서 사용자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The manipulation unit 120 may receive an operation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hat is, the manipulation unit 120 may receive manipulations such as a keyboard, mouse, and touch panel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and process it as a user input in the system.

블록 배치부(130)는 생성된 블록(blk)을 시각화된 작업공간(131)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작업공간(131)은 2차원 평면 또는 3차원 평면의 가상공간으로서 적어도 X축 및 Y축이 정의될 수 있고, 그 X축 및 Y축상에 복수의 블록(blk)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The block arrangement unit 130 may place the generated block blk on the visualized workspace 131. The working space 131 is a virtual space of a 2D plane or a 3D plane, and at least the X-axis and the Y-axis may be defined, and a plurality of blocks (blk)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X-axis and the Y-axis.

여기서, 작업공간(131)의 X축은 제작될 영상 콘텐츠의 재생시간에 대응되고, Y축은 해당 시간에 등장할 장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X축 뿐만 아니라 Y축상에도 둘 이상의 블록(blk)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장면에 둘 이상의 영상클립, 효과정보 및 템플릿이 중첩되어 표시됨을 의미한다.Here, the X-axis of the workspace 131 corresponds to the playback time of the video content to be produced, and the Y-axis corresponds to a scene to appear at the time, and two or more blocks (blk) may be arranged on the Y-axis as well as the X-axis. You can. This means that two or more image clips, effect information, and templates are superimposed and displayed in one scene.

블록 배치부(130)는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액션에 따라 작업공간(131)에 복수의 블록(blk)을 배치하고, 각 블록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이웃하여 연결된 블록(blk)간 영상클립은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The block arranging unit 130 may arrange a plurality of blocks blk in the work space 131 according to a user's drag and drop action, and change the position of each block. Here, the video clips between neighboring blocks (blk) can be continuously played without interruption.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마치 장난감 블록을 조립하는 형태로 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edit the image as if assembling a toy block.

렌더링 엔진(140)은 작업공간(131)내 블록들에 해당하는 영상에 대한 렌더링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렌더링 프로세스는 영상클립과, 사용자가 입력한 효과정보 및 템플릿을 매핑 시켜주는 템플릿 정보 데이터를 가지고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작업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 효과정보로는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등이 있다.The rendering engine 140 may perform a rendering process for an image corresponding to blocks in the workspace 131. The rendering process refers to a task of generating video content with a video clip and template information data that maps the user-entered effect information and template, where the effect information is text, image, sound, etc. entered by the user. There is this.

여기서, 렌더링 엔진(140)은 각각의 블록마다 별도의 영상으로 영상클립 및 템플릿을 렌더링할 수 있고, 또는 블록전체를 연결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렌더링 할 수 있다.Here, the rendering engine 140 may render an image clip and a template as separate images for each block, or may render an image by connecting the entire block.

템플릿 제공부(150)는 시스템에 등록된 복수의 템플릿(151)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영상소스에 대하여 그래픽 및 사운드 효과를 삽입함으로써 단조로운 영상을 역동적인 동영상 콘텐츠로 꾸밀 수 있다. 템플릿 제공부(150)에는 다수의 템플릿(151)이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는 그 템플릿(151)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블록화하고 작업공간(131) 내에 추가할 수 있다.The template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a plurality of templates 151 registered in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decorate a monotonous image with dynamic video content by inserting graphic and sound effects to the image source he possesses. A plurality of templates 151 may be stored in the template providing unit 150, and a user may select one or more of the templates 151 to block and add them to the workspace 131.

전술한 템플릿은 Adobe사의 애프터 이펙트(After Effects; AE) 형식일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template may be Adobe After Effects (AE) format.

데이터 입력부(160)는 템플릿 이외에 사용자가 제작한 이미지 또는 텍스트 파일 등을 영상소스에 추가하기 위한 효과정보를 업로드 받거나 입력 받을 수 있다. 템플릿은 영상 제작 시스템에서 미리 제작된 소스이고, 사용자는 미리 제작된 내용 이외에도 준비한 사진파일을 업로드 하거나, 자신의 의도한 기호, 문구 등을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template, the data input unit 160 may upload or input effect information for adding an image or text file created by the user to the image source. The template is a pre-made source in the video production system, and the user can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unit 160 by uploading a prepared photo file in addition to the pre-produced content or directly inputting his intended symbol or phrase. have.

영상 재생부(170)는 개별 블록(blk) 단위 또는 결합된 블록(blk)들을 편집 작업 중간에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편집 작업 중, 블록(blk)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영상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고, 영상 재생부(170)는 선택된 블록(blk)을 렌더링 엔진(140)에 요청하여 렌더링 후 전용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image reproducing unit 170 may reproduce individual blocks (blk) or combined blocks (blk) in the middle of the editing operation. During the editing operation, the user can check the image of some or all of the blocks at any time, and the image playback unit 170 requests the selected block blk to the rendering engine 140 and renders it through a dedicated player. It can be played and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user terminal in a streaming manner.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은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영상소스를 블록 조립 방식으로 편집하여 원하는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image production system using the blocking techniqu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the desired image content by editing the image source owned by the user in a block assembly metho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image production method using a blocking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단계별 실행주체는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본 발명의 영상 제작 시스템 및 그 구성부가 된다.3 is a view showing an image production method using a blocking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execution subject of each step is an image pro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mponents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descrip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방법은 영상소스를 입력받는 단계(S100), 역할별로 구분되는 복수의 블록을 생성하고, 영상소스를 복수의 영상클립으로 분할하여 블록에 할당하는 단계(S11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블록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S120), 배치된 둘 이상의 블록을 결합하는 단계(S130) 및 영상클립을 각 블록단위 또는 결합된 블록단위로 렌더링 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the method of producing an image using the blocking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an image source (S100), generating a plurality of blocks classified by roles, and using the image source as a plurality of image clips Dividing and assigning to blocks (S110),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blocks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S120), combining two or more blocks arranged (S130), and a video clip for each block unit or It may include a step (S140) of rendering in a combined block unit.

영상소스를 입력받는 단계(S100)는 영상 제작 시스템이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편집 대상인 영상소스를 입력받는 단계이다.Step S100 of receiving an image source is a step of receiving an image source to be edited from a user terminal accessed by an imag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역할별로 구분되는 복수의 블록을 생성하고, 영상소스를 복수의 영상클립으로 분할하여 블록에 할당하는 단계(S110)에서는 블록 생성부가 복수의 블록을 생성하고, 영상소스를 일정길이로 분할하여 영상클립으로 변환한 후 각 블록에 할당하게 된다. 각 블록은 영상클립 이외에도 그 역할에 따라 종류가 구분될 수 있는데, 블록의 종류로는 타이틀 블록, 브릿지 블록, 하이라이트 블록 및 예고편 블록 등이 있다.In step S110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blocks divided by roles, and dividing the im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image clips and assigning the blocks to the blocks (S110), the block generation unit generates a plurality of blocks, and divides the image source to a certain length, and clips the image. After converting to, it is assigned to each block. Each block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its role in addition to a video clip, and the types of blocks include a title block, a bridge block, a highlight block, and a trailer block.

타이틀 블록은 방송용 타이틀 영상용 템플릿이 적용되는 블록이고, 브릿지 블록은 영상 사이 구성을 짜임새 있게 하는 영상이 포함된 블록이다. 하이라이트 블록은 앞선 내용을 짧게 핵심만 리뷰하는 영상이 포함된 블록이고, 예고편 블록은 다음 방송내용을 짧고 효과적으로 구성하는 영상이 포함된 블록이다.The title block is a block to which a template for a broadcast title image is applied, and a bridge block is a block that includes an image to make a structure between images. The highlight block is a block that contains a video that reviews only the core of the previous content briefly, and the trailer block is a block that contains a video that quickly and effectively composes the next broadcast content.

또한, 블록은 영상클립 뿐만 아니라, 템플릿이 할당될 수 있고, 이에 S110 단계는, 영상에 대한 그래픽 및 사운드 효과를 포함하는 복수의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을 블록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 may be assigned a template as well as an image clip, and in step S110, providing a plurality of templates including graphic and sound effects for the image and inserting a template selected by the user into the block. It may include.

또한, 블록은 효과정보가 할당될 수 있고, S110 단계는 이미지 및 텍스트를 포함하는 파일형태의 효과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효과정보를 상기 블록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block may be assigned effect information, and step S110 may include receiving effect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file including an image and text and inserting the effect information into the block.

다음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블록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S120)는 영상 제작 단계로서, 블록 배치부가 시각화된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작업공간상에 블록을 배치하게 된다. 블록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고, X축이 재생시간 및 길이, Y축이 장면에 등장하는 영상, 템플릿 등이 된다. Next, the step of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blocks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S120) is an image production step, and the block arrangement unit provides a visualized workspace, and blocks the blocks on the workspace in response to the user's manipulation. Will be placed. A plurality of blocks may be arranged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and the X-axis is a play time and length, and the Y-axis is an image or template appearing in a scene.

배치된 둘 이상의 블록을 결합하는 단계(S130)는 작업공간 내 블록의 배치에 따라 이웃한 블록들을 서로 결합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분할된 형태의 영상클립 및 템플릿은 재생시 계속적으로 이어지는 형태가 되며, 각 장면마다 설정된 그래픽 및 사운드 등장 시점이 설정된다. The step of combining two or more blocks arranged (S130) is a step of combining neighboring block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blocks in the workspace. Accordingly, the video clip and the template in the divided form become a form that continues continuously during playback, and a set point of appearance of graphics and sounds is set for each scene.

영상클립을 각 블록단위 또는 결합된 블록단위로 렌더링 하는 단계(S140)는 렌더링 엔진이 각 블록별로 영상클립을 렌더링하거나, 또는 결합에 따라 하나로 이어지는 영상클립에 그래픽 및 사운드 효과와, 이미지 및 텍스트를 삽입하여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이다.In step S140 of rendering the image clip in each block unit or in a combined block unit, the rendering engine renders the image clip for each block, or graphic and sound effects, images, and text to the image clip leading to on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This is the step of inserting to create video content.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제작 방식과 본 발명의 영상 제작 시스템에 의한 영상 제작 방식의 비교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an imag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n image production method using the image pro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종래기술 및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제작 방식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4A and 4B are schematic diagrams respectively showing a conventional technique and an imag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영상 제작방식에서는 제1 단계로서 분할된 각 영상클립에 대하여 특수효과 및 C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렌더링을 수행하여 그래픽 효과가 삽입된 영상클립을 생성한다.First, referring to FIG. 4A, in the imag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a first step, each image clip divided is rendered using a special effect and a CG program to generate an image clip in which a graphic effect is inserted.

다음으로, 제2 단계에서 그래픽 효과가 삽입된 영상클립별 편집 작업을 수행하며, 별도의 자막이 필요한 경우 자막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삽입한 후 렌더링을 수행한다.Next, in the second step, an editing operation is performed for each video clip in which a graphic effect is inserted, and when separate subtitles are required, text is inserted using a subtitle program and then rendered.

이어서, 제3 단계로서 편집이 완료된 영상클립들을 재생시간에 따라 순서를 정렬하고, 하나의 영상으로 최종 렌더링 작업을 거쳐 영상 콘텐츠를 제작 완료하게 된다.Subsequently, as a third step, the edited image clips are sorted according to the playback time, and the final rendering operation is performed as one image to complete the production of the image content.

이와 대비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방식에 의하면, 영상클립이 할당된 블록과, 각 영상클립에 대응하는 템플릿 및 효과정보가 할당된 블록을 배치하고, 자막 필요시 자막 프로그램으로 제작한 자막을 블록에 할당하여 배치한 후, 블록결합 상태에서 일괄적으로 통합 렌더링 수행함으로써 한번의 렌더링 작업으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In contrast, according to an imag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B, a block to which an image clip is allocated and a block to which template and eff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image clip are allocated are arranged, When subtitles are required, the subtitles produced by the subtitles program are assigned to the blocks, placed, and then collectively rendered in a block-combined state to produce video content in one rendering oper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방식에 의하면, 별도의 CG 프로그램과 편집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고, 각각의 랜더링 엔진으로 프로그램을 왔다 갔다 할 필요 없이 한 번의 렌더링 프로세스에 의해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video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CG program and an editing program are not required, and video content can be produced by one rendering process without having to go back and forth through each rendering engine. have.

또한, 전체 통합 랜더링 뿐만 아니라 블록별로 랜더링을 선택적으로 수행 할 수 있고, 시스템에서 CG 및 특수효과 템플릿, 편집 구성 템플릿 및 자막 템플릿을 제공하는 경우 더 편리하고 신속한 통합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perform block-by-block rendering as well as full integrated rendering, and if the system provides CG and special effect templates, edit configuration templates, and subtitle templates, more convenient and quick integration is possible.

또한, 랜더링 이전의 블록 상태에서 편집 순서 및 위치 변경이 가능하고, 각 블록에서 독립적으로 템플릿의 변경 적용이 가능하게 되며, 통합 랜더링 후에도 프로젝트에 대한 파일의 저장 및 수정 작업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editing order and location in the block state before rendering, it is possible to apply the template change independently in each block, and it is also possible to save and modify files for the project even after integrated renderin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이 제공하는 작업공간에서의 작업 형태를 예시한 모식도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rough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working form in a work space provided by an image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ing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이 제공하는 작업공간의 GUI 및 작업 형태를 모식화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GUI and a work form of a work space provided by an image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ing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시스템은 복수의 블록(blk1 ~ blk5)을 배치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작업공간은 적어도 두 개의 X축 및 Y축이 정의될 수 있고, X축은 시간축, Y축은 공간축이 된다. 또한, 각 블록(blk1 ~ blk5) 중, 최초 블록(blk1)은 타이틀 블록이 되고, 최후 블록(blk5)은 예고편 블록이 된다. 또한, 최후 직전 블록(blk4)은 하이라이트 블록이 된다.Referring to FIG. 5, the imag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work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blocks (blk1 to blk5) can be arranged. At least two X-axis and Y-axis can be defined in the working space, the X-axis is the time axis, and the Y-axis is the space axis. In addition, among each block (blk1 to blk5), the first block (blk1) is a title block, and the last block (blk5) is a trailer block. In addition, the last immediately preceding block (blk4) becomes a highlight block.

또한, 각 블록(blk1 ~ blk5)은 영상클립 이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이 할당될 수 있고, 자막에 대응하는 텍스트 파일이 할당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block (blk1 ~ blk5) may be assigned a template selected by the user in addition to a video clip, and a text file corresponding to a subtitle.

사용자는 복수의 블록(blk1 ~ blk5)의 배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The user can freely change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blocks blk1 to blk5 to edit the image.

특히, 블록(blk1 ~ blk5)은 재생시간에 대응하는 X축 뿐만 아니라, 각 장면에 대응하는 Y축으로도 둘 이상의 블록이 배치 가능하다. 예시된 바와 같이, 영상클립 블록(blk2)과 브릿지 블록(blk3)이 마치 블록을 쌓는 형태로 배치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렌더링된 영상에서는 영상클립 블록(blk2)의 재생시점에 브릿지 블록(blk3)에 포함된 CG 효과, 사운드 효과가 중첩되어 재생됨에 따라, 별도의 C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편집한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Particularly, two or more blocks may be arranged in the blocks blk1 to blk5 as well as the X-axis corresponding to the playback time, as well as the Y-axis corresponding to each scene. As illustrated, the video clip block (blk2) and the bridge block (blk3) can be arranged as if they are stacked in a block, and accordingly, in the rendered image, the bridge block (blk3) is displayed at the time of playback of the video clip block (blk2). As the included CG effect and sound effect are reproduced in overlap, the same result as the edited result can be obtained using a separate CG program.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Although many matters are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n exam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rather than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claims and claims.

10 : 사용자 단말 100 : 영상 제작 시스템
110 : 블록 생성부 120 : 조작부
130 : 블록 배치부 140 : 렌더링 엔진
150 : 템플릿 제공부 151 : 템플릿(AE)
160 : 데이터 입력부 170 : 영상 재생부
10: user terminal 100: video production system
110: block generation unit 120: operation unit
130: block arrangement unit 140: rendering engine
150: template providing unit 151: template (AE)
160: data input unit 170: video playback unit

Claims (10)

역할별로 구분되는 복수의 블록을 생성하고, 영상소스를 복수의 영상클립으로 분할하여 상기 블록에 할당하는 블록 생성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시각화된 작업공간 상에 위치한 복수의 블록의 배치를 변경하고, 배치된 둘 이상의 블록을 결합하는 블록 배치부; 및
상기 블록 내 영상클립을 각 블록단위 또는 결합된 블록단위로 렌더링하여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렌더링 엔진
을 포함하는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
A b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blocks divided by roles and dividing an im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image clips and assigning the blocks to the blocks;
A block arrangement unit for changing arrangements of a plurality of blocks located on the visualized workspace and combining two or more blocks arrang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Rendering engine that generates video content by rendering the video clip in the block in each block unit or combined block unit
Image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ing techniqu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에 대한 그래픽 및 사운드 효과를 포함하는 복수의 템플릿을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 생성부는,
선택된 템플릿을 상기 블록에 삽입하는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emplat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templates including graphics and sound effects for the video,
The block generating unit,
An image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ing technique that inserts a selected template into the block.
제 1 항에 있어서,
이미지 및 텍스트를 포함하는 파일형태의 효과정보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 생성부는,
상기 효과정보를 상기 블록에 삽입하는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ata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effect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file containing images and text,
The block generating unit,
An image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ing technique that inserts the effect information into the block.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간은 적어도 두 개의 X축 및 Y축이 정의되고,
상기 X축은 시간축; 및
상기 Y축은 공간축으로 설정되는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t least two X-axis and Y-axis are defined as the working space,
The X axis is a time axis; And
The Y-axis is an image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ing technique that is set as a spatial axi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X축 및 Y축상에 하나 이상이 배치되는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block is an image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ing technique in which one or more are arranged on the X and Y ax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록은,
타이틀 블록, 브릿지 블록, 하이라이트 블록 및 예고편 블록으로 구분되는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plurality of blocks,
Video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ing technique that is divided into a title block, a bridge block, a highlight block, and a trailer blo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여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영상 재생부
를 더 포함하는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Video playback unit that plays the video content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An image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ing technique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1에 기재된 영상 제작 시스템에 의한 영상 제작 방법으로서,
영상소스를 입력받는 단계;
역할별로 구분되는 복수의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소스를 복수의 영상클립으로 분할하여 상기 블록에 할당하는 단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블록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배치된 둘 이상의 블록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클립을 각 블록단위 또는 결합된 블록단위로 렌더링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방법.
A video production method using the video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n image source;
Generating a plurality of blocks divided by roles, and dividing the im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image clips and assigning the blocks to the blocks;
Changing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blocks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Combining two or more blocks arranged; And
Rendering the video clip in each block unit or combined block unit
Image production method using a blocking technique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역할별로 구분되는 복수의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소스를 복수의 영상클립으로 분할하여 상기 블록에 할당하는 단계는,
영상에 대한 그래픽 및 사운드 효과를 포함하는 복수의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을 상기 블록에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Generating a plurality of blocks divided by each role, and dividing the im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video clips and assigning them to the block,
Providing a plurality of templates including graphic and sound effects for an image; And
Inserting the template selected by the user into the block
Image production method using a blocking technique comprising a.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역할별로 구분되는 복수의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소스를 복수의 영상클립으로 분할하여 상기 블록에 할당하는 단계는,
이미지 및 텍스트를 포함하는 파일형태의 효과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효과정보를 상기 블록에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화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or 9,
Generating a plurality of blocks divided by each role, and dividing the im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video clips and assigning them to the block,
Receiving input of effect information in a file format including images and text; And
Inserting the effect information into the block
Image production method using a blocking technique comprising a.
KR1020180142584A 2018-09-19 2018-11-19 Making system for video using blocking and method therefor KR10215534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12273 2018-09-19
KR1020180112273 2018-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083A true KR20200033083A (en) 2020-03-27
KR102155345B1 KR102155345B1 (en) 2020-09-11

Family

ID=6995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584A KR102155345B1 (en) 2018-09-19 2018-11-19 Making system for video using blocking and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34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6268A1 (en) * 2022-08-31 2024-03-07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Rendering hierarchy sequenc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410A (en) 2016-01-06 2017-07-14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놀로지 Method for mobile Ads video production service based on template and Mobile Ads video produ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410A (en) 2016-01-06 2017-07-14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놀로지 Method for mobile Ads video production service based on template and Mobile Ads video produc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 다음팟인코더 동영상편집 무료편집 daum potEncoder, https://blog.naver.com/thcomp/220755362658 (2016.07.06.)* *
네이버블로그, 동영상에 로고 표지 엔딩 넣기 / 다음팟 인코더 활용, https://blog.naver.com/22happyy/30133703860 (2012.03.1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6268A1 (en) * 2022-08-31 2024-03-07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Rendering hierarchy sequenc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345B1 (en) 2020-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037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diting and generating online teaching courseware
Thwaites Digital heritage: what happens when we digitize everything?
Fagerjord After convergence: YouTube and remix culture
CN106293723A (e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manufacturing live broadcast cover
JP2018517916A (en) Recording / playback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education
KR20170057736A (en) Virtual-Reality EDUCATIONAL CONTENT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LLING THE SAME
WO2021031462A1 (en) Courseware operat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Caplan Notes from the frontier: digital scholarship and the future of theatre studies
KR1022898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Education Cotent, And Service Server, Manager Apparatus And Client Apparatus using therefor
McIlvenny New technology and tools to enhance collaborative video analysis in live ‘data sessions’
US11714957B2 (en) Digital story generation
KR102155345B1 (en) Making system for video using blocking and method therefor
Comunità et al. Web-based binaural audio and sonic narratives for cultural heritage
KR102159326B1 (en) System and Device for learning creator's style
KR20150010284A (en) E-learning content authoring appratus using template and method thereof
Gifreu‐Castells Approach to the curatorship of virtual reality exhibitions
Butterworth Beyond sonic realism: a cinematic sound approach in documentary 360 film
Holm et al. Spatial audio production for 360-degree live music videos: Multi-camera case studies
US10678842B2 (en) Geostory method and apparatus
KR20200110292A (en) Device
CN112489223A (en) VR course editing method and system
Poirier-Quinot et al. Emily’s World: behind the scenes of a binaural synthesis production
Qudratovich THE TYPES OF SOFTWARE FOR EDITING MULTIMEDIA INFORMATION
KR20230167494A (en) Promotional Video Content Production Method and 3D Video Content Production System
JP4063566B2 (en) Program prod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