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971A - Installation device of double floors with frame supported by beam - Google Patents

Installation device of double floors with frame supported by be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971A
KR20200032971A KR1020180112276A KR20180112276A KR20200032971A KR 20200032971 A KR20200032971 A KR 20200032971A KR 1020180112276 A KR1020180112276 A KR 1020180112276A KR 20180112276 A KR20180112276 A KR 20180112276A KR 20200032971 A KR20200032971 A KR 20200032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am element
longitudinal
double
uni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2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2462B1 (en
Inventor
김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to KR1020180112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462B1/en
Publication of KR20200032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9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4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uble floor installation apparatus with frames supported by beam elements, supporting a bottom surface of a panel via frames installed in the upper parts of the beam elements in a cross-arrangement structure to reduce the weight of a panel and to enhance resistance against a lateral load. The double floor installation apparatus with the frames supported by the beam elements comprises: the beam elements (20) installed in parallel on an upper part of a base floor part; the frames (30) installed in the upper parts of the beam elements (20) in a cross-arrangement structure; flat pads (50) installed at assembly portions between the frames (30) on the upper parts of the beam elements (20); and unit panels (40) installed at upper parts of the frames (30), wherein the frames (30) are provided with longitudinal frames (32) installed in a direction (X) in parallel with the beam elements (20) and lateral frames (34) installed in a direction (Y) crossing between adjacent beam elements (20).

Description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INSTALLATION DEVICE OF DOUBLE FLOORS WITH FRAME SUPPORTED BY BEAM}INSTALLATION DEVICE OF DOUBLE FLOORS WITH FRAME SUPPORTED BY BEAM}

본 발명은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요소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을 매개로 패널의 저면부를 지지함으로써 패널의 경량화와 함께 횡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bottom installation device having a frame for supporting a beam element, and more specifically, by supporting a bottom surface of the panel via a fram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eam element, the weight of the panel is reduced and the resistance to transverse load is increased. It relates to a double-floor mounting device with a frame for supporting beam elements that can be improved.

일반적으로 고정밀의 부품이나 제품에 대한 제조공정에서 수행되는 거의 모든 작업들은 높은 청정도를 가지는 클린룸(Clean Room)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클린룸은 각종 공정장비의 안정적인 설치와 함께 이송장비의 정밀한 기능의 구현을 위해 높은 수준의 평면도가 확보되는 이중바닥 시스템을 구비한다. In general, almost all operations perform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high-precision parts or products are performed in a clean room with high cleanliness. Such a clean room is equipped with a double-bottom system that ensures a high level of floor plan for the stable installation of various process equip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precise functions of the transfer equipment.

종래 이중바닥 시스템은 크게 페데스탈 지지구조와 보요소 상부 설치 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The conventional double-bottom system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pedestal support structure and a beam element upper installation structure.

먼저, 페데스탈(Pedestal) 지지구조는 패널의 네 모서리를 개별의 페데스탈로 지지하여 연결하는 구조로서, 가볍고 설치가 빠르며 패널에 대한 개별적인 수평 조절이 용이하고 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크기가 600mm정도인 매 패널 마다 페데스탈을 설치해야 하므로, 패널의 하부 공간이 협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배관과 선재 및 기타 장치류의 설치에 한계가 있게 된다.First, the pedestal support structure is a structure that supports and connects the four corners of the panel with individual pedestal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lightweight, quick to install, easy to adjust horizontally to the panel, and high rigidity, but the size is about 600mm. Since the pedestal must be installed for each panel, the lower space of the panel becomes narrow, which limits the installation of piping, wire rods, and other devices.

또한, 보요소 상부 설치구조는 대형의 포스트(Post, Column) 상부에 주보(Primary Beam, Main Beam)를 얹어놓고, 주보의 상부에 보조보(Secondary Beam, Sub Beam)를 얹은 다음, 보조보의 상부에 이중마루 패널을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데, 주보의 강성에 따라 포스트의 간격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패널 하부의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하여 다양한 종류의 하부 시설물(Under floor Utility)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 클린룸의 하부 구조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In addition, the beam element upper installation structure is placed on the large post (Primary Beam, Main Beam)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and the secondary beam (Secondary Beam, Sub Beam)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It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installs a double-floor panel on the upper part. Since the post spacing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igidity of the main beam,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r space under the panel to accommodate various types of under-floor utilities. Therefore, it is often used as a substructure of a large clean room.

그러나 보요소 상부 설치에서는 보조보의 하부에서 수평을 조절한 후 보조보의 상부에 이중마루 패널을 얹어 놓는 구조이므로, 패널에 대한 개별적인 수평 조절이 용이하지 않고, 구조의 중량에 비해 강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upper part of the beam element, since the level is adjus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auxiliary beam, the double floor panel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auxiliary beam, so individual horizontal adjustment to the panel is not easy and the rigidity is low compared to the weight of the structure. There are disadvantages.

또한, 클린룸 설치용 이중마루의 구조는 클린룸의 대형화와 생산공정의 다변화로 인해 페데스탈 구조와 보요소 상부 설치구조의 기본 구조 내에서 다양한 변화의 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패널을 보다 경량화하고 횡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는 데 한계를 보여왔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double floor for clean room installation makes the panel lighter and transverse in spite of various attempts within the basic structure of the pedestal structure and the beam element upper installation structure due to the enlargement of the clean room and diversific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Limitations have been shown in improving the resistance to load.

등록특허 제1782530호Patent No. 1802530 등록특허 제1658947호Registered Patent No. 165894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요소의 상부에 교차배치의 구조로 설치되는 프레임을 매개로 패널의 저면부를 지지함으로써 패널의 경량화를 구현하고 횡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항상시킬 수 있는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panel via a frame tha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of a cross-placement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element to realize the weight reduction of the panel and the beam element that can always resist the transverse load. It is to provide a double-floor installation device with a supporting fr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보요소의 상부에 중간패드의 부가적인 설치를 통해 보요소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프레임에 대한 하중 지지점을 추가함으로써 패널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d a load support point for a longitudinal frame that is instal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eam element through the additional installation of an intermediate pad on the top of the beam element for the load acting on the panel. It is to provide a double-floor installation device with a frame of a beam element support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resistanc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초바닥부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보요소, 상기 보요소의 상부에 교차배치의 구조로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보요소의 상부에서 상기 프레임 사이의 조립부위에 설치되는 플랫패드,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단위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보요소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프레임, 및 상기 인접한 보요소 사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프레임을 구비하는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beam element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bottom, a frame installed in a structure of a cross arrangement on the top of the beam element, assembly between the frame from the top of the beam element It includes a flat pad installed on the site, and a unit panel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rame, wherein the frame is install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between the beam frame and a longitudinal frame instal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eam element. It should be provided with a transverse frame.

또한, 본 발명은 기초바닥부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보요소, 상기 보요소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프레임, 상기 보요소의 상부에서 상기 종방향프레임 사이의 조립부위에 설치되는 플랫패드, 및 상기 종방향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단위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패널은 상기 인접한 보요소 사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지되는 횡방향보강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횡방향보강리브는 상기 단위패널의 종방향테두리리브 보다 돌출높이를 더 크게 설정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am element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 longitudinal fram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op of the beam element, a flat installed on the assembly portion between the longitudinal frame from the top of the beam element A pad, and a unit panel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wherein the unit panel has a lateral reinforcement rib supported in a crossing direction between the adjacent beam elements, and the lateral reinforcement rib is the unit It is configured to set the protrusion height larger than the longitudinal frame rib of the panel.

또한, 본 발명은 기초바닥부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보요소, 상기 보요소의 상부에 교차배치의 구조로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보요소의 상부에서 상기 프레임 사이의 조립부위에 설치되는 플랫패드,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단위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보요소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프레임, 및 상기 인접한 보요소 사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강성프레임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element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the frame is installed in a structure of a cross arrangement on the top of the beam element, a flat pad installed on the assembly between the frame from the top of the beam element, And a unit panel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wherein the frame has a longitudinal frame instal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eam element, and a transverse rigid frame install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between the adjacent beam elements.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횡방향강성프레임은 저면부를 향해 개구되는 한 쌍의 측벽부, 상기 측벽부 사이를 분할하여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리브, 및 상기 단위패널과의 결합을 위해 양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eral rigid frame has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that open toward the bottom portion,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that divide and connect the side wall portions, and both ends for coupling with the unit panel. It has a through hole form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횡방향강성프레임은 상기 종방향프레임의 돌출높이 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강성보강구간, 및 상기 강성보강구간의 양단부에서 돌출높이를 낮게 설정하는 간섭회피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강성보강구간과 상기 간섭회피구간은 완만한 경사구조로 연결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eral stiffness frame is provided with a stiffness reinforcement section that is set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stiffness of the longitudinal frame, and an interference avoidance section that sets the protrusion height low at both ends of the stiffness reinforcement section. , The stiffness reinforcement section and the interference avoidance section are connected by a gentle slope structu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플랫패드는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요홈부, 상기 요홈부에 위치하고 상향 돌출되는 보스부, 상기 요홈부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상향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보스부에 끼워져 프레임의 레벨링 조절을 위한 심부재를 구비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t pad is a groove part disposed in the crossing direction, a boss portion positioned above the groove portion and protruding upward, a protrusion portion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groove portion and projecting upward, and a frame interposed between the boss portion It is equipped with a shim member for adjusting the level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보스부는 단면적이 상향 축소되고 프레임의 고정을 위한 탭핑홀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요소와 상기 단위패널의 고정을 위한 탭핑홀을 형성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ss portion has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upward and forms a tapping hole for fixing the frame, and the protrusion forms a tapping hole for fixing the beam element and the unit pane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보요소는 상부에 상기 플랫패드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패드를 더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element further includes an intermediate pad installed between the flat pads on the top.

본 발명은 보요소의 상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과 인접한 보요소 사이에 걸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을 매개로 단위패널의 가장자리 저면부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단위패널의 경량화를 구현하면서 횡방향 하중에 대한 단위패널의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of the unit panel through a frame installed in a direction crossing between a frame instal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element and a neighboring beam element, the light weight of the unit panel is realized while transvers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sistance of the unit panel against directional loads.

이 경우, 인접한 보요소 사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은 단위패널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횡방향리브에 대한 보강구조로 대체하거나 별도의 전용 제작의 고강성 횡방향프레임으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단위패널의 지지강성을 더욱 견고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frame installed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between adjacent beam elements can be replaced with a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he transverse rib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nit panel, or can be replaced with a high-rigidity transverse frame of a separate dedicated production. It is possible to securely support the rigidity of the unit panel.

또한, 본 발명은 보요소의 상부에서 프레임 사이의 조립부위에 설치되는 플랫패드의 교차형 배치의 요홈부와 돌출부를 이용하여 프레임의 조립부위에 대한 교차배치를 위한 직각구조를 확보함과 동시에 좌우방향과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유동을 적극적으로 규제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플랫패드의 보스부에 끼워지는 심부재를 매개로 보요소에 대한 프레임의 레벨링 조정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보요소의 제조상 수반될 수 있는 불균일한 평면도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a right-angled structure for cross-positioning the assembly portion of the frame using the grooves and protrusions of the cross-shaped arrangement of the flat pad installed on the assembly portion between the frames from the top of the beam element, and at the same time securing the right angle structure Flow can be actively regulated by the shock generated in the direction, front-rear direction, and up-down direc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the frame and leveling the frame with respect to the beam element through the core member fitted to the boss portion of the flat pad. Since the adjustment can be freely implemented, it is possible to actively respond to the uneven plan view that may be involved in manufacturing the beam element.

또한, 본 발명은 보요소의 상부에서 플랫패드 사이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중간패드를 이용하여 프레임에 대한 하중 지지점을 추가할 수 있으므로 하중에 대한 저항력의 향상과 함께 충격에 대한 완충 효과 및 접촉 소음의 최소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a load support point for the frame by using an intermediate pad that is additionally installed between the flat pads at the top of the beam element, so as to improve the resistance to load and shock absorbing effect and contact nois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단위패널만을 제거한 것으로, 보요소에 대해 프레임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랫패드만을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랫패드에 대해 종방향프레임과 횡방향프레임이 각각 조립된 부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플랫패드에 대해 심부재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종방향프레임의 레벨링 조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종방향프레임의 레벨링 조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단위패널만을 분리하여 저면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0에서 단위패널만을 제거한 것으로, 보요소에 대해 프레임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단위패널만을 분리하여 저면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인접한 종방향프레임 사이에 단위패널의 횡방향보강리브가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단위패널만을 제거한 것으로, 보요소에 대해 프레임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서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인접한 종방향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횡방향강성프레임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단위패널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횡방향강성프레임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rall appearance of a double-bottom installation apparatus having a frame for supporting a beam ele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unit panel in FIG. 1,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frame with respect to the beam element.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only the flat pad shown in FIG. 2 separated.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of only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flat pad illustrated in FIG. 3.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leveling adjustment process of the longitudinal frame made of a core member for the flat pad shown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eveling adjustment state of the longitudinal frame illustrated in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by separating only the unit panel shown in FIG. 1.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double-bottom installation apparatus having a frame for supporting a beam ele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frame with respect to the beam element, with only the unit panel removed in FIG. 10.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by separating only the unit panel shown in FIG. 8.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8 and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lateral reinforcement ribs of the unit panel are disposed in the cross direction between adjacent longitudinal frames.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double-bottom installation apparatus having a frame for supporting a beam elem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frame with respect to the beam element, with only the unit panel removed in FIG. 12.
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ortion in FIG. 12, and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ing structure of a unit panel formed of a lateral rigid frame installed between adjacent longitudinal frames.
15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ateral rigid frame shown in FIG. 14.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exemplary drawings.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는 기초바닥부에 대해 상호 나란하게 적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 상태의 다열 구조로 배치되는 복수의 기초보(Primary Beam; 10), 상기 기초보(10)의 상부에서 상호 나란하게 적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 상태의 다열 구조로서 상기 기초보(10)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안착보(Secondary Beam; 20, 이하 보요소로 지칭함), 상기 보요소(20)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30), 및 상기 프레임(30) 사이에서 양단부가 단순보의 형태로서 상기 프레임(3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복수의 단위패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d 2, the double-bottom installation apparatus having a frame for supporting a beam ele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ulti-row structu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appropriate distance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primary beams (Primary Beam) 10, a multi-row structu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appropriate distanc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beam 10, which intersect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basic beam 10 A plurality of seating beams (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beam elements) installed in a direction, a frame 30 installed on top of the beam element 20, and both ends of a simple beam between the frames 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unit panels 40 that are seat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0 as a form.

이 경우, 상기 기초보(10)와 상기 보요소(20)는 각각 스퀘어 파이프(Square Pipe) 또는 H-비임(Beam)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형강류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초보(10)와 상기 보요소(20) 사이에는 기초바닥부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수평 조절을 위한 레벨링 체결수단(12)이 별도로 구비된다. In this case, the foundation beam 10 and the beam element 20 may be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section steel materials including a square pipe or an H-beam, respectively, and the foundation beam 10 ) And the beam element 20 is provided with a leveling fastening means 12 for horizontal adjustment of a certain height from the base bottom.

상기 프레임(30)은 상기 보요소의 상부면에 대해 교차배치의 구조로 설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보요소(20)와 평행한 방향(X)을 따라 일렬배치의 구조로 설치되는 복수의 종방향프레임(32), 및 상기 인접한 보요소(30) 사이에서 교차하는 방향(Y)을 따라 일렬배치의 구조로 설치되는 복수의 횡방향프레임(34)을 구비한다. The frame 30 is a member tha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of a cross arrangement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element, a plurality of longitudinal directions that are installed in a structure of a parallel arrangement along the direction (X) parallel to the beam element 20 It has a frame 32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frames 34 which are installed in a row arrangement along the direction Y intersecting between the adjacent beam elements 30.

이 경우, 상기 종방향프레임(32)과 상기 횡방향프레임(34) 사이의 교차부위에 해당하는 조립부위는 인접한 두 부재 사이에서 발생되는 공백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공백의 발생이 배제되는 것이 최선일 것이다.In this case, the assembly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rossing portion between the longitudinal frame 32 and the transverse frame 34 should minimize the gap generated between two adjacent members, and preferably exclude the occurrence of the gap. Would be best.

상기 단위패널(40)은 상기 프레임(30)의 상부면에 대해 복수의 수량으로 설치되는 집합 배치구조에 의해 기초바닥부의 상부에 위치한 공간 전체를 덮는 이중마루 형태의 바닥패널을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단위패널(40)은 상기 종방향프레임(32)과 상기 횡방향프레임(34) 사이에서 상호 대향하는 양단부가 안착되어 단순보의 형태로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unit panel 40 constitutes a double-floor-shaped floor panel covering the entire space located above the base floor by a collective arrangement structu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quantitie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0. That is, the unit panel 40 is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facing each other are seated between the longitudinal frame 32 and the transverse frame 34 and supported in the form of a simple beam.

도 2를 참조로 하면, 상기 보요소(20)는 상부면에 상기 프레임(30)의 고정 설치를 위한 플랫패드(50)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플랫패드(50)는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서 상기 프레임(30)에 대한 조립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보요소(20)와의 결합기능과 상기 인접한 프레임(30) 사이의 결합기능 및 상기 단위패널(40)에 대한 결합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플랫패드(50)는 상기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종방향프레임(32)과 횡방향프레임(34)에 대해 직각도의 유지와 함께 좌우방향과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beam element 20 is provided with a flat pad 50 for the fixed installation of the frame 30 on the upper surface. In particular, the flat pad 50 is installed on the assembly portion of the frame 3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element 20, and the coupling function between the beam element 20 and the adjacent frame 30 is coupled. It is configured to implement a function and a coupling function for the unit panel 40. That is, the flat pad 50 maintains a perpendicularit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frame 32 and the transverse frame 34 constituting the frame 30 and flow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plays a role of suppression.

도 3을 참조로 하면, 상기 플랫패드(50)는 상기 인접한 프레임(30) 사이의 조립부위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의 결합을 위한 프레임결합부,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과의 결합을 위한 보결합부, 및 상기 단위패널(40)의 저면부와의 결합을 위한 패넬결합부를 갖추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flat pad 50 is installed on an assembly portion between the adjacent frames 30, and the frame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rebetwee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element 20 are coupled. It is configured to have a beam coupling portion, and a panel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unit panel 40.

상기 프레임결합부는 상기 플랫패드(50)의 상부면에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플랫패드(50)에 대한 상기 프레임(30)의 위치를 규제하고 유동을 제한하는 요홈부(51), 상기 요홈부(51)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30)과의 결합을 위해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보스부(52), 및 상기 플랫패드(50)의 상부면에서 상기 요홈부(51)의 양측부위에 해당하는 각 모서리에 위치하고 상기 단위패널(40)과의 결합을 위해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53)를 구비한다.The frame coupling portion is disposed in the cross direction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pad 50 to restrict the position of the frame 30 with respect to the flat pad 50, the groove portion 51 to limit the flow, the groove portion Located at (51), the boss portion 52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or coupling with the frame 30, and each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recess 5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pad 50 It is located at the corner and has a projection 53 formed to protrude upward for coupling with the unit panel 40.

이 경우, 상기 요홈부(51)는 상기 돌출부(53)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30)의 양측부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특히 상기 프레임(30)의 양측부와의 긴밀한 접촉을 통해 상기 플랫패드(50)에 대한 상기 프레임(30)의 위치 규제와 유동 제한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concave portion 51 is disposed at a position that can be contacted with both sides of the frame 30 between the protrusions 53, in particular, through the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frame 30, the flat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b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functions of positioning and flow restriction of the frame 30 relative to the pad 50.

또한, 상기 보스부(52)는 상기 프레임(30)의 저면부에 위치한 관통홀과의 결합을 위해 단면적이 상향 축소되도록 돌출되는 원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돌출부위의 중앙에 상기 프레임(30)의 상부면에서 이루어지는 스크류와의 체결을 위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고정용 탭핑홀(52a)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boss portion 52 is made of a conical shape protruding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upwardly for coupling with the through-hole locat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frame 30, the center of the projection 30 of the frame It is provided with a tapping hole (52a) for fixing the fram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or fastening with the screw made on the upper surface.

즉, 상기 요홈부(51)는 상기 플랫패드(50)의 각 모서리부위에 위치한 돌출부(53) 사이에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보스부(52)는 상기 요홈부(51)에서 상기 프레임(30)의 저면부를 향해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groove portion 51 is disposed in the cross direction between the projections 53 located at each corner of the flat pad 50, the boss portion 52 is the groove (51) in the frame ( 30) is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toward the bottom surface.

상기 보결합부는 상기 돌출부(53)의 외측 가장자리부위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보요소 고정용 탭핑홀(53a)로 이루어지고, 상기 탭핑홀(53a)을 통해 이루어지는 나사체결이나 타정용 핀에 의한 구속을 매개로 상기 보요소(20)와의 견고한 결합을 구현하게 된다. The beam coupling portion is made of a tapping hole (53a) for fixing a beam element formed through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outer edge portion of the protrusion (53), and to the screw fastening or tableting pin formed through the tapping hole (53a). Through the restraint by the medium, a solid coupling with the beam element 20 is realized.

상기 패넬결합부는 상기 돌출부(53)에서 상기 보요소 고정용 탭핑홀(53a)의 내측부위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패널 고정용 탭핑홀(53b)로 이루어지고, 상기 탭핑홀(53b)을 통해 이루어지는 나사체결을 매개로 상기 단위패널(40)과의 견고한 결합을 구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보요소 고정용 탭핑홀(53a)과 상기 패널 고정용 탭핑홀(53b)에 대한 위치 선정은 상기 돌출부(53) 상에서 다양한 변형의 실시예로서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anel engaging portion is made of a panel fixing tapping hole (53b)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inner portion of the tapping hole (53a) for fixing the beam element in the protrusion (53), through the tapping hole (53b) The solid connection with the unit panel 40 is realized through the screw fastening. In this case, the positioning of the tapping hole 53a for fixing the beam element and the tapping hole 53b for fixing the panel is adjustable as an embodiment of various modifications on the protrusion 53, of course.

도 4를 참조로 하면, 상기 플랫패드(50)에 대해 상기 프레임(30)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4, assembly of the frame 30 with respect to the flat pad 50 is performed as follows.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해 상기 플랫패드(50)의 안착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플랫패드(50)의 요홈부(51)를 따라 상기 종방향프레임(32)과 상기 횡방향프레임(34)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 보스부(52)는 상기 프레임(30)의 저면부에 위치한 관통홀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30)의 상부면에 위치한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는 스크류는 상기 보스부(52)의 탭핑홀(52a)과 체결됨으로써, 상기 플랫패드(50)에 의한 상기 프레임(30)의 설치 작업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30)의 상부면에 위치한 관통홀의 경우에는 입구부위가 카운터싱킹 가공 처리되어 체결되는 스크류의 머리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fter the flat pad 5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element 20, the longitudinal frame 32 and the transverse frame (along the groove 51 of the flat pad 50) 34) is installed. In this process, the boss portion 5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locat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frame 30, and the screw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locat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0 is the boss portion 52 ) By being engaged with the tapping hole 52a,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frame 30 by the flat pad 50 can be comple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hrough hol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0,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e head portion of the screw that is fastened by countersinking the entrance portio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도 5와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플랫패드(50)에 대한 상기 프레임(30)의 조립과정에서 레벨링 조정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데, 이는 상기 보스부(52)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링형상의 심부재(5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leveling adjustment may be performed together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frame 30 with respect to the flat pad 50, which is a ring shape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ss portion 52. It can be implemented by the core member (54).

즉, 상기 보스부(52)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상기 심부재(54)에 대한 설치 수량의 조절을 통해 상기 플랫패드(50)에 대한 상기 종방향프레임(32)과 상기 횡방향프레임(34)의 개별적인 수직방향 설치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상기 프레임(30)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기 단위패널(40)의 수평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바닥패널의 전 부위에 걸친 평면도는 더욱 정밀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longitudinal frame 32 and the transverse frame 34 for the flat pad 50 through adjustment of the installation quantity for the shim member 54 fit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ss portion 52 Since the vertical vertical installation height can be variably adjusted and the horizontality of the unit panel 40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ame 30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the entire area of the floor panel can be adjusted. The plan view across can be more precisely fitted.

또한, 상기 심부재(54)는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이 물성이 부드러운 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프레임(30)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의 완충과 함께 이상 접촉에 의해 수반되는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the core member 54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ubber, and is configured to minimize noise caused by abnormal contact together with cushioning of shock generated when contacting the frame 30. Would be desirable.

도 7을 참조로 하면, 상기 단위패널(40)은 저면부에 상호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돌출되는 복수의 리브를 구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7, the unit panel 40 is formed of a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ribs protruding so as to be arranged in a crossing direction with each other on the bottom surface.

즉, 상기 단위패널(40)은 중앙부위에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크로스리브(4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단위패널(40)은 가장자리부위에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종방향테두리리브(42)와 한 쌍의 횡방향테두리리브(43)를 구비하는 데,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42)와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43)는 각각의 양단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상의 폐공간을 이루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unit panel 40 is provided with a pair of cross ribs 41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entral portion. In addition, the unit panel 40 is provided with a pair of longitudinal border ribs 42 and a pair of transverse border ribs 43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edge portion, the longitudinal border ribs 42 and The transverse border ribs 4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both ends to form a rectangular closed space.

또한, 상기 단위패널(40)은 상기 크로스리브(41)와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42) 및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43) 사이에서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리브(44)도 함께 갖추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단위패널(40)은 각 모서리부위에 상기 플랫패드(50)의 돌출부(53)에 형성된 패널 고정용 탭핑홀(53b)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unit panel 40 is also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44 arran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between the cross rib 41 and the longitudinal border rib 42 and the transverse border rib 43 It is configured to be equipped together. In addition, the unit panel 4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with a tapping hole 53b for fixing the panel formed in the protrusion 53 of the flat pad 50 at each corner.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는 기초바닥부에 대해 상기 기초보(10)와 상기 보요소(20)를 순차적으로 설치한 다음,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대해 상기 플랫패드(50)를 임시 결합의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플랫패드(50)의 요홈부(51)에 대해 상기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종방향프레임(32)과 횡방향프레임(34)을 교차방향으로 설치한다. Therefore, the double bottom installation apparatus having the frame of the beam elemen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equentially installs the base beam 10 and the beam element 20 with respect to the base bottom, and then the beam element ( The flat pad 50 is installed in a state of temporary engagement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20), and a longitudinal frame 32 constituting the frame 30 with respect to the recess 51 of the flat pad 50 And the transverse frame 34 are installed in the cross direction.

이 과정에서 상기 플랫패드(50)의 보스부(52)에 대해 심부재(54)를 설치하여 상기 보요소(20)에 대한 상기 프레임(30)의 레벨링을 자유롭게 조정하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shim member 54 is installed on the boss portion 52 of the flat pad 50 to freely adjust the leveling of the frame 30 with respect to the beam element 20.

또한, 상기 보스부(52)의 프레임 고정용 탭핑홀(52a)을 통해 상기 프레임(30)과의 완전한 고정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돌출부(53)의 보요소 고정용 탭핑홀(53a)을 통해 상기 보요소(20)와의 완전한 고정작업을 수행한 다음, 상기 프레임(30)의 상부에 상기 단위패널(40)의 설치작업을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상기 돌출부(53)의 패널 고정용 탭핑홀(53b)을 통해 상기 단위패널(40)에 대한 완전한 고정작업을 수행하게 된다.Further, through the tapping hole 52a for fixing the frame of the boss 52, a complete fixing operation with the frame 30 is performed, and through the tapping hole 53a for fixing the beam element of the protrusion 53 After performing a complete fixing operation with the beam element 20, the installation of the unit panel 40 is per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30, and finally, a tapping hole for fixing the panel of the protrusion 53 ( Through 53b), a complete fixing operation for the unit panel 40 is performed.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다. 8 and 9 show a configuration for a double-bottom mounting apparatus having a frame for supporting a beam element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로 하면, 상기 보요소(20)의 상부에는 상기 프레임(30) 중 종방향프레임(32)만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배치의 구조로 설치된다. 즉,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 예시하고 있는 구성에서 횡방향프레임(34)에 대한 설치는 배제되는 구성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 only the longitudinal frame 32 of the frame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element 20 in a structure of a line arrangement along the length direction. That is, the installation of the transverse frame 34 in the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7 is excluded.

또한, 상기 보요소(20)와 상기 프레임(30) 사이에서 상기 종방향프레임(32)의 조립부위에는 플랫패드(50)가 설치되고, 상기 플랫패드(50) 사이에는 상기 보요소(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종방향프레임(32)의 저면부를 지지하여 하중의 지지점을 추가하는 형태의 중간패드(60)가 부가적으로 설치된다. In addition, between the beam element 20 and the frame 30, a flat pad 50 is installed on the assembly por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32, and the beam element 20 is between the flat pads 50.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32 to support the bottom portion of the form to add a support point of the load, the intermediate pad 60 is additionally installed.

이 경우, 상기 중간패드(60)는 상기 플랫패드(50) 사이에서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복수의 수량으로 설치되거나 상기 플랫패드(50)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30)의 최대 하중부위에 한정하여 단일의 수량으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중간패드(60)는 상기 심부재(54)와 같이 물성이 부드러운 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프레임(30)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의 완충과 함께 이상 접촉에 의해 수반되는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종방향프레임(32)의 저면부를 지지하는 상기 중간패드(60)의 설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도 동일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pads 60 are spaced apart at appropriate intervals between the flat pads 50 to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quantities or limited to the maximum load portion of the frame 30 between the flat pads 50 Therefore, it may be installed in a single quantity.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pad 6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oft material such as the core member 54, so as to minimize the noise caused by abnormal contact together with buffering of shock generated when contacting the frame 30. It would be desirable to be configured.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of the intermediate pad 60 support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32 a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in the same form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10을 참조로 하면, 상기 단위패널(40)은 저면부에 크로스리브(41)와 종방향테두리리브(42) 및 횡방향테두리리브(43)를 구비하는 데, 특히 상기 보요소(20)와 교차하는 방향(Y)으로 배치되는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43)는 상기 보요소(20)와 평행한 방향(X)으로 배치되는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42) 보다 돌출높이를 더 크게 설정하는 횡방향보강리브(43a)를 갖춘 형태로 구성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0, the unit panel 40 includes a cross rib 41, a longitudinal border rib 42, and a transverse border rib 43 in the bottom portion, in particular, the beam element ( The transverse border ribs 43 arranged in the direction (Y) intersecting with the 20) have a higher projecting height than the longitudinal border ribs 42 arranged in the direction X parallel to the beam element 20. It is configured in a form having a lateral reinforcement rib (43a) that is largely set.

또한,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43)의 양단부는 상기 종방향프레임(32)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돌출높이를 상기 종방향테두리리브(42) 만큼 낮게 설정하는 간섭회피부(43b)를 갖추도록 구성되고, 상기 횡방향보강리브(43a)와 상기 간섭회피부(43b) 사이는 응력의 분산을 위해 완만한 경사구조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transverse border rib 43 are equipped with an interference avoiding portion 43b that sets the protruding height as low as the longitudinal border rib 42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longitudinal frame 32.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lateral reinforcement rib (43a) and the interference avoiding portion (43b) with a gentle inclined structure for dispersion of stress.

또한, 상기 플랫패드(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에 따른 세부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flat pad 5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11을 참조로 하면, 상기 단위패널(40)의 저면부가 상기 프레임(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종방향프레임(32)에 대해 안착되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상기 종방향프레임(32)의 조립부위는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상기 플랫패드(50)에 의해 구속될 수 있고, 상기 종방향프레임(32)의 저면부는 상기 플랫패드(50)의 사이에서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중간패드(6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11, a bottom portion of the unit panel 40 is seated and supported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frame 32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30. At this time, the assembly por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32 can be restrained by the flat pad 5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element 20, the bottom por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32 is the flat It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intermediate pad 60 which is installed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element 20 between the pads 50.

또한, 상기 단위패널(40)은 상기 횡방향테두리리브(43)에 형성되는 횡방향보강리브(43a)를 매개로 상기 인접한 종방향프레임(32) 사이에서 교차방향으로의 견고한 지지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unit panel 40 is to secure a solid support rigidity in the cross direction between the adjacent longitudinal frame 32 via the lateral reinforcement ribs (43a) formed on the lateral frame rib (43). It becomes possible.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다.12 and 13 show a configuration for a double-bottom mounting apparatus having a frame for supporting a beam element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로 하면, 상기 보요소(20)의 상부에는 상기 프레임(30) 중 종방향프레임(32)만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배치의 구조로 설치된다. 즉,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 예시하고 있는 구성에서 횡방향프레임(34)에 대한 설치는 배제되는 구성이다. 다만, 도 8 내지 도 11의 실시예의 구성과 달리 횡방향프레임(34)을 대체하는 횡방향강성프레임(35)이 상기 인접한 보요소(20) 사이에 교차하는 방향(Y)으로 배치되는 특징적 구조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only the longitudinal frame 32 of the frame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element 20 in a structure of a line arrangement along the length direction. That is, the installation of the transverse frame 34 in the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7 is excluded. However, unlike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S. 8 to 11, the characteristic structure in which the transverse stiffness frame 35, which replaces the transverse frame 34,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Y intersecting between the adjacent beam elements 20 It is configured to have.

이 경우, 상기 횡방향강성프레임(35)은 도 13과 도 1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저면부를 향해 개구되는 한 쌍의 측벽부(35a), 상기 한 쌍의 측벽부(35a) 사이를 격자형태의 분할방식으로 연결하여 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더욱 강화시키는 복수의 보강리브(35b), 및 좌우측 양단부에서 상기 단위패널(40)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홀(35c)을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lateral stiffness frame 35 is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35a, which are open to the bottom portion while being arrang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S. 13 and 15, respectively, and the pair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35b) for further strengthening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frame by connecting the sidewall portions (35a) of the lattice in a divided manner, and through holes for coupling with the unit panel (40) at both left and right ends 35c).

특히, 상기 한 쌍의 측벽부(35a)는 좌우의 양측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전체 부위의 돌출높이가 상기 종방향프레임(32)의 돌출높이 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강성보강구간(35aa)을 갖추며, 좌우의 양측단부에 상기 보요소(20)와 상기 플랫패드(50)와의 간섭 회피를 위해 돌출높이를 상기 강성보강구간에 비해 낮게 설정하는 간섭회피구간(35ab)을 갖추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강성보강구간(35aa)과 상기 간섭회피구간(35ab) 사이는 응력의 분산을 위해 완만한 경사구조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Particularly, the pair of side wall parts 35a has a rigid reinforcement section 35aa in which the protruding heights of all the remaining parts except for the left and right side ends are set larger than the protruding heights of the longitudinal frame 32.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beam element 20 and the flat pad 50, both side ends of the beam are configured to have an interference avoidance section 35ab which sets a protruding height lower than the stiffness reinforcement section. In addition, the rigid reinforcement section (35aa) and the interference avoidance section (35ab)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gentle inclined structure for dispersion of stress.

아울러, 상기와 같은 구조의 횡방향강성프레임(35)은 상기 단위패널(40)에 대한 횡방향 지지력의 확보를 위해 고강성의 전용 부품으로 제작된다. 예컨대, 상기 횡방향강성프레임(35)은 주물 소재의 제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verse stiffness frame 35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made of high-rigidity dedicated parts to secure transverse support for the unit panel 40. For example, the lateral rigid frame 35 can be made of a product of a casting material.

또한, 상기 보요소(20)와 상기 프레임(30) 사이에서 상기 종방향프레임(32)의 조립부위에는 플랫패드(50)가 설치되고, 상기 플랫패드(50) 사이에는 상기 보요소(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종방향프레임(32)의 저면부를 지지하여 하중의 지지점을 추가하는 형태의 중간패드(60)가 부가적으로 설치된다. In addition, between the beam element 20 and the frame 30, a flat pad 50 is installed on the assembly por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32, and the beam element 20 is between the flat pads 50.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32 to support the bottom portion of the form to add a support point of the load, the intermediate pad 60 is additionally installed.

이 경우, 상기 중간패드(60)는 상기 플랫패드(50) 사이에서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복수의 수량으로 설치되거나 상기 플랫패드(50)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30)의 최대 하중부위에 한정하여 단일의 수량으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중간패드(60)는 상기 심부재(54)와 같이 물성이 부드러운 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프레임(30)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의 완충과 함께 이상 접촉에 의해 수반되는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pads 60 are spaced apart at appropriate intervals between the flat pads 50 to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quantities or limited to the maximum load portion of the frame 30 between the flat pads 50 Therefore, it may be installed in a single quantity.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pad 6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oft material such as the core member 54, so as to minimize the noise caused by abnormal contact together with buffering of shock generated when contacting the frame 30. It would be desirable to be configured.

또한, 도 12와 도 14를 참조로 하면, 상기 단위패널(40)은 앞서 개시한 실시예의 구성과 달리, 전체 부위가 균일한 두께의 패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플랫패드(50)는 앞서 언급한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에 따른 세부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2 and 14, the unit panel 40 may be formed in a panel shape having a uniform thickness, unlike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disclosed above, and the flat pad 50 may be Since it is the same configuration a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4를 참조로 하면, 상기 단위패널(40)은 상기 보요소(20)와 평행한 방향(X)으로 배치되는 부위의 저면부가 상기 프레임(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종방향프레임(32)에 대해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보요소(20)와 교차하는 방향(Y)으로 배치되는 부위의 저면부는 별도의 상기 횡방향강성프레임(35)에 대해 안착되어 지지된다. 이 결과, 상기 단위패널(40)은 상기 종방향프레임(32)과 상기 횡방향강성프레임(35)을 매개로 견고한 지지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14, the unit panel 40 is a longitudinal frame 32 in which a bottom portion of a portion disposed in a direction X parallel to the beam element 2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rame 30. It is seated and supported with respect to,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portion disposed in the direction Y intersecting the beam element 20 is seated and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eparate lateral rigid frame 35. As a result, the unit panel 40 can secure solid support rigidity through the longitudinal frame 32 and the transverse stiffness frame 35.

이때, 상기 종방향프레임(32)과 상기 횡방향강성프레임(35) 사이의 조립부위는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상기 플랫패드(50)에 의해 구속될 수 있고, 상기 종방향프레임(32)의 저면부는 상기 플랫패드(50)의 사이에서 상기 보요소(20)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중간패드(6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assembly portion between the longitudinal frame 32 and the transverse rigid frame 35 can be constrained by the flat pad 5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element 20, the longitudinal The bottom part of the direction frame 32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intermediate pad 60 which is installed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element 20 between the flat pads 5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of course possible to modify and modify various form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10-기초보 12-레벨링 체결수단
20-보요소 30-프레임
32-종방향프레임 34-횡방향프레임
35-횡방향강성프레임 40-단위패널
41-크로스리브 42-종방향테두리리브
43-횡방향테두리리브 44-보강리브
50-플랫패드 51-요홈부
52-보스부 53-돌출부
54-심부재 60-중간패드
10-basic 12-leveling fastening means
20-element 30-frame
32-longitudinal frame 34-transverse frame
35-transverse rigid frame 40-unit panel
41-cross rib 42-longitudinal border rib
43- Transverse frame rib 44- Reinforcement rib
50-flat pad 51-groove
52-boss section 53-projection section
54-core member 60-middle pad

Claims (11)

기초바닥부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보요소;
상기 보요소의 상부에 교차배치의 구조로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보요소의 상부에서 상기 프레임 사이의 조립부위에 설치되는 플랫패드;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단위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보요소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프레임, 및 상기 인접한 보요소 사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프레임을 구비하는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A beam element installed parallel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undation bottom portion;
A frame tha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of a cross arrangement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element;
A flat pad installed on an assembly portion between the frames at an upper portion of the beam element; And
It includes a unit panel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The frame is a double bottom installation device having a frame of a beam element support having a longitudinal frame instal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eam element, and a transverse frame install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between the adjacent beam elements.
기초바닥부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보요소;
상기 보요소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프레임;
상기 보요소의 상부에서 상기 종방향프레임 사이의 조립부위에 설치되는 플랫패드; 및
상기 종방향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단위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패널은 상기 인접한 보요소 사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지되는 횡방향보강리브를 구비하는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A beam element installed parallel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undation bottom portion;
A longitudinal fram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element;
A flat pad installed on an assembly portion between the longitudinal frames at an upper portion of the beam element; And
It includes a unit panel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The unit panel is a double-bottom installation device having a frame of a beam element support having a lateral reinforcement rib supported in a cross direction between the adjacent beam element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보강리브는 상기 단위패널의 종방향테두리리브 보다 돌출높이를 더 크게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rib is a double bottom installation device having a frame for supporting a beam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et a larger projecting height than the longitudinal frame rib of the unit panel.
기초바닥부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보요소;
상기 보요소의 상부에 교차배치의 구조로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보요소의 상부에서 상기 프레임 사이의 조립부위에 설치되는 플랫패드;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단위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보요소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프레임, 및 상기 인접한 보요소 사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강성프레임을 구비하는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A beam element installed parallel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undation bottom portion;
A frame tha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of a cross arrangement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element;
A flat pad installed on an assembly portion between the frames at an upper portion of the beam element; And
It includes a unit panel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The frame is a double bottom installation apparatus having a frame of a beam element support having a longitudinal frame instal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eam element, and a transverse rigid frame install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between the adjacent beam element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강성프레임은
저면부를 향해 개구되는 한 쌍의 측벽부;
상기 측벽부 사이를 분할하여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리브; 및
상기 단위패널과의 결합을 위해 양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transverse rigid frame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opening toward the bottom portion;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that divide and connect the side wall parts; And
A double bottom installation device having a frame for supporting a beam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through holes formed at both ends for coupling with the unit pane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강성프레임은
상기 종방향프레임의 돌출높이 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강성보강구간; 및
상기 강성보강구간의 양단부에서 돌출높이를 낮게 설정하는 간섭회피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강성보강구간과 상기 간섭회피구간은 완만한 경사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transverse rigid frame
A stiffness reinforcement section that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longitudinal frame; And
An interference avoidance section for setting a low protrusion height at both ends of the rigid reinforcement section is provided.
The rigid reinforcement section and the interference avoidance section is a double-floor installation device having a frame of a beam element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a gentle inclined structur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패드는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요홈부;
상기 요홈부에 위치하고 상향 돌출되는 보스부; 및
상기 요홈부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상향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The flat pad
Recesses arranged in the cross direction;
A boss portion positioned in the recess and protruding upward; And
Double bottom installation device having a frame of the beam element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는 단면적이 상향 축소되고 프레임의 고정을 위한 탭핑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boss section has a double-sided installation device having a beam element support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upward and forms a tapping hole for fixing the fram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에 끼워져 프레임의 레벨링 조절을 위한 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Double bottom installation device having a frame of the beam element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shim member for adjusting the leveling of the frame is fitted to the bos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요소와 상기 단위패널의 고정을 위한 탭핑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protrusion is a double-bottom installation apparatus having a frame of a beam element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tapping hole for fixing the beam element and the unit panel.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요소의 상부에서 상기 플랫패드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 지지의 프레임을 갖춘 이중바닥 설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Double bottom installation apparatus having a frame of the beam element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termediate pad installed between the flat pa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element.
KR1020180112276A 2018-09-19 2018-09-19 Installation device of double floors with frame supported by beam KR1022424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276A KR102242462B1 (en) 2018-09-19 2018-09-19 Installation device of double floors with frame supported by be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276A KR102242462B1 (en) 2018-09-19 2018-09-19 Installation device of double floors with frame supported by be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971A true KR20200032971A (en) 2020-03-27
KR102242462B1 KR102242462B1 (en) 2021-04-21

Family

ID=6995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276A KR102242462B1 (en) 2018-09-19 2018-09-19 Installation device of double floors with frame supported by be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4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853A (en) * 2021-09-17 2023-03-27 주식회사 해광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lower frame modular raised floor panel and system includ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947B1 (en) 2015-05-18 2016-09-22 주식회사 해광 System of aluminium access floor panel
KR101782530B1 (en) 2015-05-18 2017-09-28 주식회사 해광 Installation device of light-weight and high-load for access floor panel for a be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947B1 (en) 2015-05-18 2016-09-22 주식회사 해광 System of aluminium access floor panel
KR101782530B1 (en) 2015-05-18 2017-09-28 주식회사 해광 Installation device of light-weight and high-load for access floor panel for a be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853A (en) * 2021-09-17 2023-03-27 주식회사 해광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lower frame modular raised floor panel and system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462B1 (en)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223B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access floor panel
US10570626B1 (en)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floor panel and access floor system including support structure
US11105093B2 (en)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floor panel and access floor system including support structure
KR102261511B1 (en) Inspection equipment of bridge
KR101511902B1 (en) Pedestal and floor system of clean room
JP5288393B2 (en) Seismic isolation building
KR20200032971A (en) Installation device of double floors with frame supported by beam
KR20160135609A (en) Aluminum access floor panel installed at top of the frame
KR101833293B1 (en) Post for supporting access floor panel
KR20190071060A (en) Pad for water tank
KR101658947B1 (en) System of aluminium access floor panel
JP5341687B2 (en) Free access floor mount
KR101519495B1 (en) Installation device of light-weight and high-load for access floor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1201357B (en) Double floor installation device with beam element support panel
JP5564480B2 (en) Floor panels and floors using floor panels
KR20220140949A (en) The support for partition
JP7138426B2 (en) seismically isolated building
KR102564234B1 (en)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lower frame modular raised floor panel and system including same
KR20130141999A (en) Anti-vibration support struture
KR101519603B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light-weight and high-load type for access floor panel
CN218149478U (en) Comprehensive grid floor
JP5133184B2 (en) Free access floor mount
KR102442982B1 (en) Seismic-proof prefabricated roof truss connector with secure stability
JPH0721247B2 (en) Seismic isolation double floo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7042107B2 (en) Displac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