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414A -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414A
KR20200032414A KR1020180111417A KR20180111417A KR20200032414A KR 20200032414 A KR20200032414 A KR 20200032414A KR 1020180111417 A KR1020180111417 A KR 1020180111417A KR 20180111417 A KR20180111417 A KR 20180111417A KR 20200032414 A KR20200032414 A KR 20200032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ing
digital
information
digital content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4897B1 (ko
Inventor
허가빈
도인실
채기준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1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8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2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전자 거래를 중개하는 과정에서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디지털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트열의 임의의 위치를 적어도 하나 선택하여, 선택된 위치마다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삽입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METHOD FOR SUPERVISING DIGITAL CONTENTS USING BLOCK CHAIN AND FINGERPRINTING,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배포를 방지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 및 디지털 핑거프린팅 기술을 융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하는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기술 및 기반 통신 시설의 발달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한 디지털 데이터의 유통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배포 문제 또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디지털 데이터에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이나 디지털 워터마킹(digital watermarking) 같은 기술들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핑거프린팅(digital fingerprinting)은 디지털 워터마킹 기술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저작권 보호의 한 방법으로, 인간의 감지 능력으로는 검출될 수 없는 형태의 정보를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하는 기술이다.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이 저작권자 또는 판매자의 정보를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에 삽입하여 이후에 발생하게 될 지적 재산권 분쟁에서 정당함을 증명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디지털 핑거프린팅은 기밀 정보를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하는 측면에서는 디지털 워터마킹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나, 저작권자나 판매자의 정보가 아닌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한 사용자의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이후에 발생하게 될 콘텐츠 불법 배포자를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하지만, 종래의 디지털 핑거프린팅은 공모 공격(collusion attack)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디지털 워터마킹을 사용하였을 때는 판매되는 모든 콘텐츠에 삽입되는 정보가 동일한 반면, 핑거프린팅을 사용하였을 때는 판매되는 콘텐츠가 구매한 사용자들마다 조금씩 다른 정보를 가지므로, 다수의 구매자들이 서로 공모하여 핑거프린팅이 삽입된 콘텐츠를 서로 비교하여 핑거프린팅 위치가 파악되면 핑거프린팅 비트를 지우거나, 전혀 상관없는 핑거프린팅 비트를 만들어 삽입해 콘텐츠를 재구성하여 이를 재분배할 수 있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공모 공격에 강인한 디지털 핑거프린팅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5251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2474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시 무결성을 보장하면서,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되는 디지털 핑거프린팅의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는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전자 거래를 중개하는 과정에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한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트열의 임의의 위치를 적어도 하나 선택하여, 선택된 위치마다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삽입하며,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삽입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한다.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트열의 임의의 위치를 적어도 하나 선택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생성 개수만큼 상기 비트열 내에서 임의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문자열을 문자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문자의 개수에 따라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삽입하는 것은, 상기 문자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에 대한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생성하고, 선택된 위치에 상기 문자열의 순서에 따라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순차적으로 삽입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문자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에 대한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문자열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문자에 대한 서브 변환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문자열 전체에 대한 전체 변환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서브 변환 코드와 상기 전체 변환 코드가 반영된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문자별로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서브 변환 코드 및 상기 전체 변환 코드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기초로 개인 키를 생성하고, 상기 개인 키를 기초로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블록체인 주소에 대응되는 공개 키를 생성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 또는 상기 문자열 전체를 해시 함수(hash function)를 이용하여 해시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개인 키를 이용하여 상기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상기 서브 변환 코드 및 상기 전체 변환 코드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는, 상기 서브 변환 코드, 상기 공개 키 및 상기 전체 변환 코드가 순차적으로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핑거프린팅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상기 핑거프린팅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배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장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전자 거래를 중개하는 과정에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한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트열의 임의의 위치를 적어도 하나 선택하여, 선택된 위치마다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삽입하는 핑거프린팅 삽입부 및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삽입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등록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구매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 및 각각의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특징이 결정되고, 각각의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는 서로 연관성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공모 공격에 강인하며 신뢰성 있는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관리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구체적인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저작자 단말기(100), 구매자 단말기(200) 및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장치(300), 이하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작자 단말기(100)는 디지털 콘텐츠를 생산하는 저작자가 소지하는 장치로, 스마트폰, 컴퓨터 등과 같이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하고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저작자 단말기(100)는 저작자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 장치(300)로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디지털 콘텐츠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과정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200)는 생산된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구매자가 소지하는 장치로, 스마트폰, 컴퓨터 등과 같이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하고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일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200)는 관리 장치(300)에 업로드된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기 위하여, 관리 장치(300)를 통해 저작자 단말기(100)와 스마트 컨트랙트 과정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관리 장치(300)는 디지털 콘텐츠를 생산하는 저작자와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하는 구매자 간의 디지털 거래 과정을 중개하는 관리 서버의 형태일 수 있다. 관리 장치(300)는 기 구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저작자 단말기(100) 및 구매자 단말기(200)와 통신하여 양자간의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및 계약 과정을 중계할 수 있다.
특히, 관리 장치(300)는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배포를 방지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 및 디지털 핑거프린팅 기술을 융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관리 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장치(300)는 전자 거래 관리부(310) 및 디지털 콘텐츠 관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거래 관리부(310)는 관리 장치(300)로 업로드된 디지털 콘텐츠의 전자 거래에 요구되는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거래 관리부(310)는 저작자 단말기(100)로부터 판매하고자 할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거래 관리부(310)는 수신된 디지털 콘텐츠를 관리 장치(300)와 연동되는 웹페이지에 표시되도록 업로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전자 거래 관리부(310)는 저작자 단말기(100)로부터 저작자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저작자 정보는 생체정보, 저작자의 ID, 개인정보 등과 같이 저작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통합저작권번호(Intergrated Copyright Number, ICN)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전자 거래 관리부(310)는 업로드된 복수의 디지털 콘텐츠 중 특정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구매자 단말기(200)의 구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기 구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단말기(100)와 구매자 단말기(200)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 과정을 중개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은 기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지털 콘텐츠 관리부(320)는 거래된 디지털 콘텐츠에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콘텐츠 관리부(320)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321), 핑거프린팅 삽입부(322) 및 등록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수신부(321)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전자 거래를 중개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한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구매자의 ID, 성명 등과 같이 구매자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문자화한 디지털 문자열의 형태일 수 있다.
핑거프린팅 삽입부(32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디지털 콘텐츠에 복수 개의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삽입하기 위해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 및 삽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핑거프린팅 삽입부(320)는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 및 삽입 위치를 랜덤하게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핑거프린팅 삽입부(320)는 디지털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트열(비트 스트림)을 랜덤한 크기로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비트 중 랜덤한 장소에 랜덤한 개수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매자는 어떠한 위치에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삽입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으며, 어느 하나의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위조, 변조, 삭제된 상태로 무단 배포되더라도, 변형되지 않은 다른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무단 배포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핑거프린팅 삽입부(320)는 사용자 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열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 및 삽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핑거프린팅 삽입부(322)에서 생성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사용자 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열을 분석하여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 및 삽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먼저,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사용자 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열을 문자별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가 ABCD로 구성된 ID의 형태인 경우,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문자열 'ABCD'를 'A', 'B', 'C', 'D'로 구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정보가 홍길동과 같이 구매자의 성명인 경우,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문자열 '홍길동'을 '홍', '길', '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문자열의 구분 결과에 기초하여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사용자 정보로 네 개의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을 입력받게 되면,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를 네 개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문자열을 문자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문자의 개수에 따라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정보는 ABCD로 구성된 문자열인 것으로 가정하며, 이에 따라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는 네 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후술하는 과정에서 생성될 핑거프린팅 정보의 삽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네 개의 서로 다른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삽입 위치(P1, P2, P3, P4)를 결정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각각의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는 각각의 문자의 개별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와, 전체 문자열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생성되는 복수의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는 상호 연관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삽입 위치가 랜덤하게 결정되는 경우, 각각의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로부터 추정되는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정보 수신부(321)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게 되어, 관리 장치(300)가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변형되지 않았음에도 변형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각각의 삽입 위치(P1, P2, P3, P4)는 랜덤하게 결정하되,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는 문자열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임의로 설정된 삽입 위치(P1, P2, P3, P4)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한 P1에 문자 A에 대한 제1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F1)가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P1과 이웃하는 P2에 문자 B에 대한 제2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P3에 문자 C에 대한 제3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삽입되며, 비트열(데이터 스트림)의 최후방에 설정된 P4 위치에 문자 D에 대한 제4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생성 개수만큼 디지털 데이터를 구성하는 비트열 내에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삽입될 임의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문자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에 대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네 개의 핑거프린팅 정보 중 문자 A에 대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F1)의 구체적인 데이터 구조가 도시된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는 문자 A에 대한 서브 변환 코드, 공개 키 및 문자열 ABCD에 대한 전체 변환 코드가 순차적으로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즉,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문자열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문자(A)에 대한 서브 변환 코드를 생성하고, 문자열 전체(ABCD)에 대한 전체 변환 코드를 생성한 후, 서브 변환 코드와 전체 변환 코드를 결합하여 문자 A에 대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F1)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문자 A를 해시 함수(hash function)를 이용하여 해시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서브 변환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함께 포함된 구매자의 식별정보(주민등록번호, 생체정보 등)를 기초로 구매자 단말기(200)에 대한 개인 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개인 키를 이용하여 해시값을 암호화할 수 있다. 이때,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생성된 개인 키를 기초로 구매자 단말기(200)의 블록체인 주소에 대응되는 공개 키를 생성하여 개인 키-공개 키 쌍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공개 키는 암호화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복호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문자열 ABCD를 기 설정된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해시값으로 변환하고, 구매자 단말기(200)의 개인 키를 이용하여 변환된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전체 변환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생성된 서브 변환 코드 및 전체 변환 코드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문자 A에 대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브 변환 코드와 전체 변환 코드가 직접 결합되는 경우, 서브 변환 코드와 전체 변환 코드의 구분이 모호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서브 변환 코드와 전체 변환 코드 사이에 구매자 단말기(200)의 공개 키를 삽입하여 문자 A에 대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서브 변환 코드, 공개 키 및 전체 변환 코드가 순차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문자 A에 대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F1)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문자열을 구성하는 다른문자 B, C, D에 대한 각각의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생성된 각각의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디지털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트열의 미리 설정된 위치(P1, P2, P3, P4)에 순차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는 매칭된 문자 및 전체 문자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만 조회하더라도 디지털 콘텐츠의 배포 경로를 추적할 수 있으며, 모든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통합 분석하는 경우 일부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변형 여부를 신뢰성 있게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지 않는 경우 모든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통합 분석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변형되지 않았음에도 변형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된 각각의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A-C-B-D 순서로 삽입되는 경우, 후술하는 등록부(323)는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배포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문자 B에 대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C에 대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로 변형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핑거프린팅 삽입부(322)는 생성된 각각의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디지털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트열의 미리 설정된 위치(P1, P2, P3, P4)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등록부(323)는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할 수 있다. 등록부(323)는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에 분산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등록부(323)는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정보와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헤더의 체인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등록부(323)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배포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저작자 단말기(100) 또는 구매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등록부(323)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배포 여부 확인이 요청되면, 요청된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등록부(323)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와 추출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비교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배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장치(300)는 디지털 데이터를 구매한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 및 특징을 결정할 수 있어 공모 공격에 취약한 종래의 핑거프린팅 기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따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은 관리 장치(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관리 장치(300)는 본 발명에 따른 따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이 구현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관리 장치(3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전자 거래를 중개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한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610).
관리 장치(30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디지털 콘텐츠에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620). 구체적으로, 관리 장치(30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열을 구분하여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 및 문자열 각각에 대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랜덤하게 설정된 복수의 삽입 위치에 문자열의 순서대로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하였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관리 장치(300)는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할 수 있다(630). 관리 장치(3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동일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불법 배포 여부 및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변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저작자 단말기
200: 구매자 단말기
300: 관리 장치

Claims (10)

  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전자 거래를 중개하는 과정에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한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트열의 임의의 위치를 적어도 하나 선택하여, 선택된 위치마다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삽입하며,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삽입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트열의 임의의 위치를 적어도 하나 선택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생성 개수만큼 상기 비트열 내에서 임의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문자열을 문자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문자의 개수에 따라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의 생성 개수를 결정하는 것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삽입하는 것은,
    상기 문자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에 대한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생성하고, 선택된 위치에 상기 문자열의 순서에 따라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순차적으로 삽입하는 것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문자에 대한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문자열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문자에 대한 서브 변환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문자열 전체에 대한 전체 변환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서브 변환 코드와 상기 전체 변환 코드가 반영된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문자별로 생성하는 것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변환 코드 및 상기 전체 변환 코드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기초로 개인 키를 생성하고, 상기 개인 키를 기초로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블록체인 주소에 대응되는 공개 키를 생성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 또는 상기 문자열 전체를 해시 함수(hash function)를 이용하여 해시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개인 키를 이용하여 상기 해시값을 암호화하여 상기 서브 변환 코드 및 상기 전체 변환 코드를 생성하는 것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는,
    상기 서브 변환 코드, 상기 공개 키 및 상기 전체 변환 코드가 순차적으로 결합된 형태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핑거프린팅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상기 핑거프린팅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배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0.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전자 거래를 중개하는 과정에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한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트열의 임의의 위치를 적어도 하나 선택하여, 선택된 위치마다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삽입하는 핑거프린팅 삽입부; 및
    상기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가 삽입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등록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장치.
KR1020180111417A 2018-09-18 2018-09-18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KR102154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417A KR102154897B1 (ko) 2018-09-18 2018-09-18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417A KR102154897B1 (ko) 2018-09-18 2018-09-18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414A true KR20200032414A (ko) 2020-03-26
KR102154897B1 KR102154897B1 (ko) 2020-09-10

Family

ID=69958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417A KR102154897B1 (ko) 2018-09-18 2018-09-18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8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811B1 (ko) * 2020-03-30 2021-01-15 비에이비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20077598A (ko) * 2020-12-02 2022-06-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활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511B1 (ko) 2006-08-30 2007-08-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핑거 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공급 시스템
KR20100003093A (ko) * 2008-06-30 2010-01-07 주식회사 케이티 암호문 크기를 줄이기 위한 공개키 기반의 검색가능암호문생성 방법과, 그에 따른 공개키 기반의 데이터 검색 방법
KR20100067316A (ko) * 2008-12-11 2010-06-21 주식회사 엘아이텍 문서식별자의 삽입방법 및 그의 해독방법
KR101224744B1 (ko) 2005-05-27 2013-01-2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디지털 비디오 핑거프린팅을 위한 공모 방지 비동기화
WO2018026727A1 (en) * 2016-08-01 2018-02-08 Cryptowerk Corp.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of tamper-evident recording of a plurality of service data it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744B1 (ko) 2005-05-27 2013-01-2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디지털 비디오 핑거프린팅을 위한 공모 방지 비동기화
KR100752511B1 (ko) 2006-08-30 2007-08-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핑거 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공급 시스템
KR20100003093A (ko) * 2008-06-30 2010-01-07 주식회사 케이티 암호문 크기를 줄이기 위한 공개키 기반의 검색가능암호문생성 방법과, 그에 따른 공개키 기반의 데이터 검색 방법
KR20100067316A (ko) * 2008-12-11 2010-06-21 주식회사 엘아이텍 문서식별자의 삽입방법 및 그의 해독방법
WO2018026727A1 (en) * 2016-08-01 2018-02-08 Cryptowerk Corp.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of tamper-evident recording of a plurality of service data i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811B1 (ko) * 2020-03-30 2021-01-15 비에이비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20077598A (ko) * 2020-12-02 2022-06-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활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897B1 (ko)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92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marking of digital content, method for extracting information
Cui et al. A robust FSM watermarking scheme for IP protection of sequential circuit design
Abdel-Hamid et al. A survey on IP watermarking techniques
CN109711120A (zh) 一种基于区块链数字水印的数字资源侵权追踪方法与系统
US6868405B1 (en) Copy detection for digitally-formatted works
US79753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ing Tardos fingerprint codes
Abdel-Hamid et al. IP watermarking techniques: Survey and comparison
Tayan et al. A Hybrid Digital‐Signature and Zero‐Watermarking Approach for Authentication and Protection of Sensitive Electronic Documents
US7721113B2 (en) Data alteration detecting method, data alteration detecting device and data alteration detecting program
KR10232160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최초 저작권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207051A (ja) 電子透かし埋め込み・配信方法、及び装置
KR102154897B1 (ko)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Gutub Integrity verification of Holy Quran verses recitation via incomplete watermarking authentication
KR20070033926A (ko) 정보은닉 기술을 이용한 표준 파일 생성 방법 및 그의 표준파일 포맷 메타데이터 무결성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JP3651777B2 (ja) 電子透かしシステム、電子透かし解析装置、電子透かし解析方法及び記録媒体
Abdel-Hamid et al. Fragile IP watermarking techniques
Wang et al. 2D vector map fragile watermarking with region location
Kaushik et al. Securing the transfer and controlling the piracy of digital files using Blockchain
ur Rehman et al. Blockchain-based approach for proving the source of digital media
Dalla Preda et al. Exploring NFT Validation through Digital Watermarking
JP2002152486A (ja) ベクトル型画像データのための電子透かし処理方法及び電子透かし情報管理システム
WO2016172986A1 (zh) 数据认证方法、装置和系统、计算机存储介质
Ariyo et al. On the Dar-Zarrouk parameters and aquifer hydraulic conductivity determination: a case study of Ishara/Ode-Remo Geological transition zone, Southwestern Nigeria
US20040093310A1 (en)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Biswas et al. Real-time watermarking of medical images and secure transmission through stegan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