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811B1 -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811B1
KR102203811B1 KR1020200037974A KR20200037974A KR102203811B1 KR 102203811 B1 KR102203811 B1 KR 102203811B1 KR 1020200037974 A KR1020200037974 A KR 1020200037974A KR 20200037974 A KR20200037974 A KR 20200037974A KR 102203811 B1 KR102203811 B1 KR 102203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ing
fingerprint
information
award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영
김현조
Original Assignee
비에이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에이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에이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7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0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ingle file or object, e.g. in a secure envelope, encrypted and accessed using a key, or with access control rules appended to the object itsel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Bioeth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chnology Law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발행된 상장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상장 별로 조회, 등록 및 검증이 가능하며, 상장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방법은, 상장 발행 기관에 의해 수상자에게 발행된 제1 상장과 관련된 상장 발행 기관 정보, 상장 메타데이터 및 수상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장 정보를 해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설정 길이의 비트 문자열로 맵핑하여 제1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장 발행 기관이 상기 제1 상장을 발행하기 전 최근 발급한 제2 상장과 관련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수상자가 상기 제1 상장을 수상하기 전 최근 수상한 제3 상장과 관련된 제3 핑거프린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핑거프린트에 포함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BLOCK CHAIN BASED MANAGEMENT OF AWARD CERTIFICATE}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행된 상장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상장 별로 조회, 등록 및 검증이 가능하며, 상장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부, 공공기관, 학교, 학원(피아노 학원, 각종 도장 등), 일반 기업 등의 다양한 기관에서 발행되는 각종 상장이나, 자격증, 수련 이력 등(이하, '상장'으로 통칭하여 기재함)을 관리하는 상장 관리 시스템이 있으며, 상장 관리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으로 해당 상장을 발급받거나, 등록,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개별 기관의 별도 관리 시스템 외에 다수의 기관의 상장 발행 이력이나 수상자의 수상 이력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가 없는 관계로, 각 기관 별로 상장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따로 구축하여 각 담당 기관이 해당 내역을 별도로 관리해야 했다.
또한, 수상자는 조회, 발급받을 수 있는 상장의 발행 기관 및 발행 시스템이 각기 달라서, 각 상장 증명서를 기관 별로 별도로 발급받아 수기로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각 기관별 그리고 각 수상자 별로 상장 데이터를 관리 및 조회하는데 시간적, 인적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상 내역을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놓지 않은 기관도 많아서, 수상자가 상장을 분실한 경우 상장을 재발급받지 못하게 되어 본인의 수상 내역 증명이 어렵고, 다른 기관(제3자)에서 수상자가 실제로 수상을 하였는지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판단할 방법도 여의치 않아 수상 이력의 증빙 및 검증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발행된 상장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상장 별로 조회, 등록 및 검증이 가능하며, 상장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행된 상장 정보와 함께, 최근 발행된 상장의 핑거프린트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상장을 위변조 상장으로 판정하여 상장의 위변조를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자는 특정 수상자의 수상 내역을 검증하려는 경우, 검증하고자 하는 상장 정보를 토대로 핑거프린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의 블록에 등록되어 있는 핑거프린트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기존 수상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상장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장 발행 기관 별로 등록된 상장 발급 이력 순의 핑거프린트 및 수상자 별로 등록된 상장 수상 이력 순의 핑거프린트를 기반으로 검증 대상 상장에 대해 교차 검증을 수행할 수 있어 상장 위변조를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 환경에 상장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유지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각 상장 발행 기관별 상장 관련 발급 데이터베이스를 일관된 데이터 구조로 통합함으로 인해 기관별 및 수상자별 데이터 조회가 용이한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방법은, 상장 발행 기관에 의해 수상자에게 발행된 제1 상장과 관련된 상장 발행 기관 정보, 상장 메타데이터 및 수상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장 정보를 해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설정 길이의 비트 문자열로 맵핑하여 제1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장 발행 기관이 상기 제1 상장을 발행하기 전 최근 발급한 제2 상장과 관련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수상자가 상기 제1 상장을 수상하기 전 최근 수상한 제3 상장과 관련된 제3 핑거프린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핑거프린트에 포함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장 발행 기관 정보는 상장 발행 기관의 기관명과, 기관장 및 발행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장 메타데이터는 상기 제1 상장의 고유번호와 발행 부문 및 주관사를 포함하는 상장 관련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자 정보는 상기 수상자의 성명을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상장 발행 기관 별로 상장 발행 이력 순으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를 상기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자 별로 상장 수상 이력 순으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를 상기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방법은,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상장 발행 기관 정보, 상장 메타데이터 및 수상자 정보를 해시 알고리즘 기반으로 설정 길이의 비트 문자열로 맵핑하여 제4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4 핑거프린트를 상기 상장 발행 기관 별로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제5 핑거프린트 및 상기 수상자 별로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제6 핑거프린트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4 핑거프린트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상기 제5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6 핑거프린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이 위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핑거프린트가 상기 제5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6 핑거프린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이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상장 정보로부터 생성된 제4 핑거프린트와 함께 기록된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상기 제4 핑거프린트와 관련된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4 핑거프린트와 관련된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정보와 일치되는 핑거프린트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을 위변조 상장으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상기 제4 핑거프린트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핑거프린트의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상장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상기 제4 핑거프린트와 일치되는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상장 정보를 포함하는 핑거프린트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을 위변조 상장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상장의 부문 변경 또는 수상 취소를 포함하는 상장 변동 상황 발생시 상장 변동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추가로 기록하여 상기 상장 정보를 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는, 상장 발행 기관에 의해 수상자에게 발행된 제1 상장과 관련된 상장 발행 기관 정보, 상장 메타데이터 및 수상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장 정보를 해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설정 길이의 비트 문자열로 맵핑하여 제1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핑거프린트 생성부; 및 상기 상장 발행 기관이 상기 제1 상장을 발행하기 전 최근 발급한 제2 상장과 관련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수상자가 상기 제1 상장을 수상하기 전 최근 수상한 제3 상장과 관련된 제3 핑거프린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핑거프린트에 포함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블록체인 기록부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체인 기록부는, 상기 상장 발행 기관 별로 상장 발행 이력 순으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를 상기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하고; 그리고 상기 수상자 별로 상장 수상 이력 순으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를 상기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는,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하는 상장 검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장 검증부는,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상장 발행 기관 정보, 상장 메타데이터 및 수상자 정보를 해시 알고리즘 기반으로 설정 길이의 비트 문자열로 맵핑하여 제4 핑거프린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4 핑거프린트를 상기 상장 발행 기관 별로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제5 핑거프린트 및 상기 수상자 별로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제6 핑거프린트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고; 상기 제4 핑거프린트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상기 제5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6 핑거프린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이 위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제4 핑거프린트가 상기 제5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6 핑거프린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이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상장 검증부는,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상장 정보로부터 생성된 제4 핑거프린트와 함께 기록된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4 핑거프린트와 관련된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정보와 일치되는 핑거프린트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을 위변조 상장으로 판정하고;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상기 제4 핑거프린트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핑거프린트의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상장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상기 제4 핑거프린트와 일치되는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상장 정보를 포함하는 핑거프린트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을 위변조 상장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는, 상기 제1 상장의 부문 변경 또는 수상 취소를 포함하는 상장 변동 상황 발생시 상장 변동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추가로 기록하여 상기 상장 정보를 정정하는 상장 정보 정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발행된 상장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상장 별로 조회, 등록 및 검증이 가능하며, 상장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발행된 상장 정보와 함께, 최근(이전)에 발행된 상장을 함께 핑거프린트 형태로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되므로, 최근 발행된 상장의 핑거프린트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상장을 위변조 상장으로 판정할 수 있으며, 상장의 위변조를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3자는 특정 수상자의 수상 내역을 검증하려는 경우, 검증하고자 하는 상장 정보를 토대로 핑거프린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의 블록에 등록되어 있는 핑거프린트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기존 수상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상장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장 발행 기관 별로 등록된 상장 발급 이력 순의 핑거프린트 및 수상자 별로 등록된 상장 수상 이력 순의 핑거프린트를 기반으로 검증 대상 상장에 대해 교차 검증을 수행할 수 있어 상장 위변조를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분산 환경에 상장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유지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각 상장 발행 기관별 상장 관련 발급 데이터베이스를 일관된 데이터 구조로 통합함으로 인해 기관별 및 수상자별 데이터 조회가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계 S120의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계 S130의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단계 S13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라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부'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복수의 구성요소에 의해 분리되어 수행되거나,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부'는 반드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은 상장 발행 기관에 의해 수상자에게 발행된 제1 상장과 관련된 상장 발행 기관 정보, 상장 메타데이터 및 수상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장 정보를 해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설정 길이의 비트 문자열로 맵핑하여 제1 핑거프린트를 생성하고, 상장 발행 기관이 제1 상장을 발행하기 전 최근 발급한 제2 상장과 관련된 제2 핑거프린트 및 수상자가 제1 상장을 수상하기 전 최근 수상한 제3 상장과 관련된 제3 핑거프린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1 핑거프린트에 포함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발행된 상장 정보와 함께, 최근 발행된 상장의 핑거프린트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상장을 위변조 상장으로 판정하여 상장의 위변조를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100)는 핑거프린트 생성부(110), 블록체인 기록부(120), 상장 정보 정정부(140) 및 상장 검증부(150)를 포함한다.
핑거프린트 생성부(110)는 입력부(10)를 통해 상장 발행 기관에 의해 수상자에게 발행된 제1 상장과 관련된 상장 정보를 입력받고, 상장 관련 정보를 해시(Hash)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특정한 설정 길이의 비트 문자열로 맵핑하여 제1 핑거프린트(Fingerprint)를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장'은 정부, 공공기관, 학교, 학원(예를 들어, 피아노 학원, 각종 도장 등), 일반 기업 등의 다양한 기관에서 발행되는 상장을 비롯하여, 자격증, 수련 이력(예를 들어, 피아노 이력, 태권도 수련 이력) 등을 모두 포괄할 수 있으며, 열거된 바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입력부(10)는 상장 발급 기관 또는 수상자로부터 상장 관련 정보를 직접 입력받거나, 상장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장 이미지를 입력받은 경우, 상장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하여 상장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상장의 상장 정보로부터 변환된 제1 핑거프린트의 비트 문자열의 설정 길이는 상장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 항목의 데이터 크기보다 훨씬 짧은 비트 문자열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상장과 관련된 상장 정보는 제1 상장과 관련된 상장 발행 기관 정보, 상장 메타데이터 및 수상자 정보를 포함한다.
상장 발행 기관 정보는 상장 발행 기관의 기관명과, 기관장 및 발행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장 메타데이터는 발급된 제1 상장의 고유번호와 발행 부문 및 주관사를 포함하는 상장 관련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상자 정보는 수상자의 성명을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록부(120)는 상장 발행 기관이 제1 상장을 발행하기 전 최근 발급한 제2 상장과 관련된 제2 핑거프린트 및 수상자가 제1 상장을 수상하기 전 최근 수상한 제3 상장과 관련된 제3 핑거프린트를 제1 핑거프린트에 포함하여 블록체인(130)에 기록한다.
블록체인 기록부(120)는 최초 발행 또는 수상한 상장에 대해서는 해당 상장의 제1 핑거프린트와 함께 제2 핑거프린트 또는 제3 핑거프린트로 최초 발행 정보 또는 최초 수상 정보를 포함하여 블록체인(130)에 기록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록부(120)는 상장 발행 기관 별로 상장 발행 이력 순으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를 블록체인(130)의 블록에 기록함과 동시에, 수상자 별로 상장 수상 이력 순으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를 블록체인(130)의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상장 정보 정정부(140)는 상장의 부문 변경 또는 수상 취소를 포함하는 상장 변동 상황 발생시 상장 변동 정보를 블록체인(130)에 추가로 기록하여 상장 정보를 정정한다.
상장 발급 기관 또는 수상자는 조회부(160)를 통해 상장 발급 이력 또는 상장 수상 이력을 조회할 수 있다. 조회부(160)는 조회 화면에 상장 발급 기관 또는 수상자가 상장 관련 정보 조회 요청시, 요청된 상장 발급 기관 또는 수상자와 관련된 상장 정보를 조회하여 요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장 검증부(150)는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한다. 상장 검증부(150)는 검증 대상 상장의 상장 발행 기관 정보, 상장 메타데이터 및 수상자 정보를 해시 알고리즘 기반으로 설정 길이의 비트 문자열로 맵핑하여 제4 핑거프린트를 생성한다.
상장 검증부(150)는 검증 대상 상장의 제4 핑거프린트를 상장 발행 기관 별로 블록체인(130)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제5 핑거프린트 및 수상자 별로 블록체인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제6 핑거프린트와 비교하여,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할 수 있다.
즉, 상장 검증부(150)는 제4 핑거프린트가 블록체인에 기록된 제5 핑거프린트 및 제6 핑거프린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검증 대상 상장이 위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4 핑거프린트가 제5 핑거프린트 및 제6 핑거프린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검증 대상 상장이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장 검증부(150)에 의한 상장 위변조 검증 결과는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등의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는 메인넷(Mainnet)을 가지는 블록체인(예를 들어, 이더리움, 클레이튼 등)의 디앱(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넷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운영을 통해 디지털 화폐 생성뿐 아니라 디앱을 탄생하게 하는 기반을 제공해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자체적인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한 프로토콜을 가진다.
디앱은 특정 플랫폼 위에서 구동되는 탈중앙화된 어플리케이션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중앙 서버 없이 네트워크상에 정보를 분산하여 저장 및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디앱은 데이터 혹은 거래 내역이 생성되면 삭제가 불가능하며 모든 정보가 공공 장부에 기록되며 공개된다. 또한, 디앱 내에 동일한 정보를 가진 블록들이 많으므로 일부 블록이 다운되어도 다른 블록에 조회가 가능하여 네트워크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핑거프린트 생성부(110)는 상장 발행 기관에 의해 수상자에게 발행된 제1 상장과 관련된 상장 정보를 해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특정한 설정 길이의 비트 문자열로 맵핑하여 제1 핑거프린트를 생성한다(S110).
제1 상장과 관련된 상장 정보는 제1 상장과 관련된 상장 발행 기관 정보(예를 들어, 상장 발행 기관의 기관명, 기관장, 발행일 등), 상장 관련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상장 메타데이터(예를 들어, 발급된 제1 상장의 고유번호, 발행 부문, 주관사 등) 및 수상자 정보(예를 들어, 수상자의 성명, 소속 등의 개인정보)를 포함한다.
블록체인 기록부(120)는 상장 발행 기관이 제1 상장을 발행하기 전 최근 발급한 제2 상장과 관련된 제2 핑거프린트 및 수상자가 제1 상장을 수상하기 전 최근 수상한 제3 상장과 관련된 제3 핑거프린트를 제1 핑거프린트에 포함하여 블록체인(130)에 기록한다(S120).
도 3은 도 2의 단계 S120의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기록부(120)는 상장 발행 기관 별로 상장 발행 이력 순으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를 블록체인(130)의 블록에 기록하고(S122), 수상자 별로 상장 수상 이력 순으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를 블록체인(130)의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S12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방법은 제1 상장의 부문 변경 또는 수상 취소를 포함하는 상장 변동 상황 발생시 상장 변동 정보를 블록체인에 추가로 기록하여 제1 상장의 상장 정보를 정정할 수 있다.
상장 검증부(150)는 검증 대상 상장의 제4 핑거프린트를 상장 발행 기관별 또는 수상자 별로 블록체인에 기록된 핑거프린트와 비교하여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한다(S130).
도 4는 도 2의 단계 S130의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단계 S13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개념도이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장 검증부(150)는 검증 대상 상장의 상장 발행 기관 정보, 상장 메타데이터 및 수상자 정보를 해시 알고리즘 기반으로 설정 길이의 비트 문자열로 맵핑하여 제4 핑거프린트를 생성한다(S132).
상장 검증부(150)는 검증 대상 상장의 제4 핑거프린트를 상장 발행 기관 별로 블록체인(130)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제5 핑거프린트 및 수상자 별로 블록체인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제6 핑거프린트와 비교하여,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할 수 있다(S134 ~ S138).
즉, 상장 검증부(150)는 제4 핑거프린트(FP1)가 블록체인에 기록된 제5 핑거프린트 및 제6 핑거프린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검증 대상 상장이 위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S136), 제4 핑거프린트(FP2)가 제5 핑거프린트 및 제6 핑거프린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검증 대상 상장이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38).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라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의 예에서, 핑거프린트 1(FP1)과 핑거프린트 2(FP2)는 위변조되지 않은 블록체인에 기록된 상장의 핑거프린트이다. 핑거프린트 1'(FP1')과, 핑거프린트 2'(FP2')는 위변조된 상장의 핑거프린트이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장 검증부(150)는 검증 대상 상장의 상장 정보로부터 생성된 제4 핑거프린트와 함께 기록된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정보가 블록체인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142).
상장 검증부(150)는 검증 대상 상장의 제4 핑거프린트와 관련된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정보와 일치되는 핑거프린트가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검증 대상 상장을 위변조 상장으로 판정한다(S148).
도 7의 예에서, 위변조자는 검증 대상 상장의 핑거프린트 1'(FP1')와 관련된 최근 발행 또는 수상 상장 정보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핑거프린트 1'(FP1')의 최근 발행 또는 수상 상장 정보가 블록체인에 기록된 핑거프린트 1(FP1)과 불일치하게 되고, 이로부터 검증 대상 상장의 핑거프린트 1'(FP1')가 위변조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검증 대상 상장의 핑거프린트 2'(FP2') 역시 이의 최근 발행 또는 수상 상장 정보가 블록체인에 기록된 핑거프린트 2(FP2)와 불일치하게 되고, 이로부터 검증 대상 상장의 핑거프린트 2'(FP2')가 위변조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S148).
또한, 상장 검증부(150)는 검증 대상 상장의 제4 핑거프린트가 블록체인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핑거프린트의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상장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144).
상장 검증부(150)는 검증 대상 상장의 제4 핑거프린트와 일치되는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상장 정보를 포함하는 핑거프린트가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검증 대상 상장을 위변조 상장으로 판정할 수 있다(S148).
도 7의 예에서, 검증 대상 상장의 제4 핑거프린트(FP1')는 블록체인에 기록된 어느 핑거프린트의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상장 정보와도 불일치하게 되므로, 이로부터 검증 대상 상장의 제4 핑거프린트(FP1')가 위변조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S148).
상장 검증부(150)는 단계 S142, 단계 S144의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해당 검증 대상 상장이 위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S146). 이와 같이, 상장의 발행 전에 가장 최근에 발행된 상장 정보와 함께 상장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함으로써, 상장의 연속 발행 정보를 기반으로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정확하게 검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발행된 상장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상장 별로 조회, 등록 및 검증이 가능하다. 즉, 상장 발급 기관은 발급된 상장을 디앱을 통해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으며 상장 발급 이력(상장 수여 내역)에 대한 조회가 가능하다. 또한, 수상자 역시 본인의 수상 이력(수상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발행된 상장 정보와 함께, 최근(이전)에 발행된 상장을 함께 핑거프린트 형태로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되므로, 최근 발행된 상장의 핑거프린트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상장을 위변조 상장으로 판정할 수 있으며, 상장의 위변조를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3자는 특정 수상자의 수상 내역을 검증하려는 경우, 검증하고자 하는 상장 정보를 토대로 핑거프린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의 블록에 등록되어 있는 핑거프린트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기존 수상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상장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된 수상 정보의 수정 및 삭제가 불가능하고, 특히 상장 발행 기관 별로 등록된 상장 발급 이력 순의 핑거프린트 및 수상자 별로 등록된 상장 수상 이력 순의 핑거프린트를 기반으로 검증 대상 상장에 대해 교차 검증을 수행할 수 있어 상장 위변조를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분산 환경에 상장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유지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각 상장 발행 기관별 상장 관련 발급 데이터베이스를 일관된 데이터 구조로 통합함으로 인해, 기관별 및 수상자별 데이터 조회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상자가 상장을 수령하거나 재출력할 수 있고, 수상실적 증명서 등을 발행할 수 있는 온라인 수상이력 관리 서비스로 활용되거나, 상장 발행 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상장 발행 및 수상 이력 등록, 조회 인증 서비스롤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 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 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 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110: 핑거프린트 생성부
120: 블록체인 기록부
130: 블록체인
140: 상장 정보 정정부
150: 상장 검증부
160: 조회부
170: 출력부

Claims (12)

  1. 상장 발행 기관에 의해 수상자에게 발행된 제1 상장과 관련된 상장 발행 기관 정보, 상장 메타데이터 및 수상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장 정보를 해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설정 길이의 비트 문자열로 맵핑하여 제1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장 발행 기관이 상기 제1 상장을 발행하기 전 최근 발급한 제2 상장과 관련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수상자가 상기 제1 상장을 수상하기 전 최근 수상한 제3 상장과 관련된 제3 핑거프린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핑거프린트에 포함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상장 발행 기관 별로 상장 발행 이력 순으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를 상기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자 별로 상장 수상 이력 순으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를 상기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상장 발행 기관 정보, 상장 메타데이터 및 수상자 정보를 해시 알고리즘 기반으로 설정 길이의 비트 문자열로 맵핑하여 제4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4 핑거프린트를 상기 상장 발행 기관 별로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제5 핑거프린트 및 상기 수상자 별로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제6 핑거프린트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4 핑거프린트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상기 제5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6 핑거프린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이 위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핑거프린트가 상기 제5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6 핑거프린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이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장 발행 기관 정보는 상장 발행 기관의 기관명과, 기관장 및 발행일을 포함하고,
    상기 상장 메타데이터는 상기 제1 상장의 고유번호와 발행 부문 및 주관사를 포함하는 상장 관련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자 정보는 상기 수상자의 성명을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방법.
  3. 삭제
  4. 삭제
  5. 상장 발행 기관에 의해 수상자에게 발행된 제1 상장과 관련된 상장 발행 기관 정보, 상장 메타데이터 및 수상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장 정보를 해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설정 길이의 비트 문자열로 맵핑하여 제1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장 발행 기관이 상기 제1 상장을 발행하기 전 최근 발급한 제2 상장과 관련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수상자가 상기 제1 상장을 수상하기 전 최근 수상한 제3 상장과 관련된 제3 핑거프린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핑거프린트에 포함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상장 발행 기관 별로 상장 발행 이력 순으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를 상기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자 별로 상장 수상 이력 순으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를 상기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상장 정보로부터 생성된 제4 핑거프린트와 함께 기록된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4 핑거프린트와 관련된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정보와 일치되는 핑거프린트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을 위변조 상장으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상기 제4 핑거프린트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핑거프린트의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상장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상기 제4 핑거프린트와 일치되는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상장 정보를 포함하는 핑거프린트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을 위변조 상장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장의 부문 변경 또는 수상 취소를 포함하는 상장 변동 상황 발생시 상장 변동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추가로 기록하여 상기 상장 정보를 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방법.
  7.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8. 상장 발행 기관에 의해 수상자에게 발행된 제1 상장과 관련된 상장 발행 기관 정보, 상장 메타데이터 및 수상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장 정보를 해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설정 길이의 비트 문자열로 맵핑하여 제1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핑거프린트 생성부; 및
    상기 상장 발행 기관이 상기 제1 상장을 발행하기 전 최근 발급한 제2 상장과 관련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수상자가 상기 제1 상장을 수상하기 전 최근 수상한 제3 상장과 관련된 제3 핑거프린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핑거프린트에 포함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블록체인 기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 기록부는,
    상기 상장 발행 기관 별로 상장 발행 이력 순으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를 상기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하고; 그리고
    상기 수상자 별로 상장 수상 이력 순으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를 상기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하고,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하는 상장 검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장 검증부는,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상장 발행 기관 정보, 상장 메타데이터 및 수상자 정보를 해시 알고리즘 기반으로 설정 길이의 비트 문자열로 맵핑하여 제4 핑거프린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4 핑거프린트를 상기 상장 발행 기관 별로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제5 핑거프린트 및 상기 수상자 별로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제6 핑거프린트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고;
    상기 제4 핑거프린트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상기 제5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6 핑거프린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이 위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제4 핑거프린트가 상기 제5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6 핑거프린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이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하는,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상장 발행 기관에 의해 수상자에게 발행된 제1 상장과 관련된 상장 발행 기관 정보, 상장 메타데이터 및 수상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장 정보를 해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설정 길이의 비트 문자열로 맵핑하여 제1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핑거프린트 생성부; 및
    상기 상장 발행 기관이 상기 제1 상장을 발행하기 전 최근 발급한 제2 상장과 관련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수상자가 상기 제1 상장을 수상하기 전 최근 수상한 제3 상장과 관련된 제3 핑거프린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핑거프린트에 포함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블록체인 기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 기록부는,
    상기 상장 발행 기관 별로 상장 발행 이력 순으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를 상기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하고; 그리고
    상기 수상자 별로 상장 수상 이력 순으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를 상기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하고,
    검증 대상 상장의 위변조를 검증하는 상장 검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장 검증부는,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상장 정보로부터 생성된 제4 핑거프린트와 함께 기록된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4 핑거프린트와 관련된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정보와 일치되는 핑거프린트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을 위변조 상장으로 판정하고;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상기 제4 핑거프린트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핑거프린트의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상장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의 상기 제4 핑거프린트와 일치되는 최근 발행 상장 정보 또는 최근 수상 상장 정보를 포함하는 핑거프린트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검증 대상 상장을 위변조 상장으로 판정하는,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12. 제8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장의 부문 변경 또는 수상 취소를 포함하는 상장 변동 상황 발생시 상장 변동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추가로 기록하여 상기 상장 정보를 정정하는 상장 정보 정정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KR1020200037974A 2020-03-30 2020-03-30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203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974A KR102203811B1 (ko) 2020-03-30 2020-03-30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974A KR102203811B1 (ko) 2020-03-30 2020-03-30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811B1 true KR102203811B1 (ko) 2021-01-15

Family

ID=7412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974A KR102203811B1 (ko) 2020-03-30 2020-03-30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608A (ko) 2022-01-04 2023-07-11 이차용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포츠 트레이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스포츠 트레이닝방법 및 스포츠 비즈니스 매칭 플랫폼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880A (ko) * 2000-08-08 2000-11-06 정재원 인터넷을 이용한 수여증서 발행 및 관리 시스템
KR200263134Y1 (ko) * 2001-11-07 2002-02-01 이종주 수상자의 사진인쇄가 포함된 일체형 증서
KR20200032414A (ko) * 2018-09-18 2020-03-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880A (ko) * 2000-08-08 2000-11-06 정재원 인터넷을 이용한 수여증서 발행 및 관리 시스템
KR200263134Y1 (ko) * 2001-11-07 2002-02-01 이종주 수상자의 사진인쇄가 포함된 일체형 증서
KR20200032414A (ko) * 2018-09-18 2020-03-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608A (ko) 2022-01-04 2023-07-11 이차용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포츠 트레이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스포츠 트레이닝방법 및 스포츠 비즈니스 매칭 플랫폼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95132B (zh) 用于在分布式网络节点内生成、上传和执行代码区块的系统和方法
JP6940662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を介したアイデンティティと証明書の保護及び検証と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114447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distribution of configuration data utilizing permissioned blockchain technology
US11552795B2 (en) Key recovery
CN110620810B (zh) 在区块链上的连续资产转移的非链接所有权
EP3520017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st tracking navigation of blockchains via data manipulation
US11720688B2 (en) Secure initiation and transfer of a cryptographic database and/or a cryptographic unit
CN110874739B (zh) 实现高完整性、高带宽、低延迟、安全处理的分布式计算和存储网络
JP2021516004A (ja) ランダム・シーケンスを生成および検証するための分散型台帳
CN110494877A (zh) 用于在分布式网络节点内发布和追踪数字令牌的系统和方法
WO20192126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login credential security via blockchain
CN100590634C (zh) 用于对用户进行身份验证的方法和装置
JP5707250B2 (ja) データベースアクセス管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192796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digital documentation of subjects using hash chains
US9612785B2 (en) Document output processing
KR102203811B1 (ko) 블록체인 기반 상장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9690550B (zh) 数字资产架构
CN112016118B (zh) 用于匿名数据库评级更新的方法和系统
JP2006039679A (ja) 認証方法、認証システム、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ならびに乱数表カード提供方法、乱数表カード提供システム、および乱数表カード提供プログラム
US11475443B1 (en) Auditable system for event tracking
KR20240077220A (ko) Nft 기반의 분산신원증명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230297975A1 (en) Method and system to delegate issuance capability to a third-party
JP7017868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タイムスタンプ管理装置
JP2023519180A (ja) ブロックチェーン内の情報の消去の可能化
KR20240012082A (ko) 상품정보 정합성 유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