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125A - 유저단말, 무선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유저단말, 무선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125A
KR20200032125A KR1020207003998A KR20207003998A KR20200032125A KR 20200032125 A KR20200032125 A KR 20200032125A KR 1020207003998 A KR1020207003998 A KR 1020207003998A KR 20207003998 A KR20207003998 A KR 20207003998A KR 20200032125 A KR20200032125 A KR 20200032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wp
blank resource
predetermined
re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429B1 (ko
Inventor
카즈키 타케다
사토시 나가타
리후이 왕
시아오린 호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200032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은, 소정의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관련하여 설정되는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판단하는 제어부와, 해당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고려하여 송신 및/또는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송수신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이하의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를 상정하여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BWP의 대역폭 전체가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며, (2)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BWP의 대역폭의 일부가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며, (3)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BWP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BWP에 기초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라도, 통신 스루풋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저단말, 무선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본 개시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단말, 무선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에 있어서, 더욱의 고속 데이터 레이트, 저지연 등을 목적으로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이 사양화되었다(비특허문헌 1). 또, LTE로부터의 더욱의 광대역화 및 고속화를 목적으로, LTE의 후계 시스템(예를 들면, LTE―A(LTE―Advanced), FRA(Future Radio Access), 4G, 5G, 5G+(plus), NR(New RAT), LTE Rel. 14, 15∼, 등이라고도 한다)도 검토되고 있다.
또, 기존의 LTE 시스템(예를 들면, LTE Rel. 8-13)에 있어서, 1 ms의 서브 프레임을 스케줄링 단위로서, 하향 링크(DL: Downlink) 및/또는 상향 링크(UL: Uplink)의 통신이 수행된다. 해당 서브 프레임은, 예를 들면, 통상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경우, 서브 캐리어 간격 15 kHz의 14 심벌로 구성된다. 해당 서브 프레임은, 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등이라고도 불린다.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예를 들면, NR)에 있어서는,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 또는 시스템 대역폭에 포함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을, 유저단말(UE: User Equipment)에 대해 설정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DL 통신에 이용되는 BWP는, DL BWP라 불려도 좋고, UL 통신에 이용되는 BWP은, UL BWP라 불려도 좋다.
NR에 있어서는, 데이터 채널의 스케줄링 단위가 되는 시간 단위(예를 들면, 슬롯 및/또는 미니 슬롯) 내의 소정의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장래적인 확장성을 위해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주파수 리소스는, unknown 리소스, 확보(reserved) 리소스, 블랭크 리소스 또는 미사용(unused) 리소스 등이라 불려도 좋다.
NR에 있어서는 BWP에 기초하는 제어가 이용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BWP가 도입되는 경우에 있어서, UE가 어떻게 블랭크 리소스를 파악할지에 대해서는 아직 검토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블랭크 리소스의 적절한 판단 방법을 도입하지 않으면, 유연한 제어가 불가능하며, 통신 스루풋, 주파수 이용 효율 등의 열화가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개시는, BWP에 기초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라도, 통신 스루풋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는 유저단말, 무선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은, 소정의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관련하여 설정되는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판단하는 제어부와, 해당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고려하여 송신 및/또는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송수신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이하의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를 상정하여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BWP의 대역폭 전체가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며, (2)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BWP의 대역폭의 일부가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며, (3)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BWP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르면, BWP에 기초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라도, 통신 스루풋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DL 제어 채널과 DL 데이터 채널과의 리소스 공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블랭크 리소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제1 형태에 있어서의 BWP와 블랭크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제1 형태에 있어서의 BWP와 블랭크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제1 형태에 있어서의 BWP와 블랭크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제2 형태에 있어서의 BWP와 블랭크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제2 형태에 있어서의 BWP와 블랭크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예를 들면, NR, 5G 및 5G+의 적어도 하나 등. 이하, 단순히 NR라고도 한다)에서는, 데이터 채널의 스케줄링 단위로서, 기존의 LTE 시스템(예를 들면, LTE Rel. 8―13)의 서브 프레임과는 다른 시간 단위(예를 들면, 슬롯 및/또는 미니 슬롯 및/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OFDM 심벌 등)를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데이터 채널은, DL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하향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UL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상향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이어도 좋으며, 단순히, 데이터 또는 공유 채널 등이라 불려도 좋다.
여기서, 슬롯은, UE가 적용하는 수비학(예를 들면, 서브 캐리어 간격 및/또는 심벌 길이)에 기초하는 시간 단위이다. 1 슬롯 당 심벌 수는,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규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 kHz 또는 30 kHz인 경우, 해당 1 슬롯 당 심벌 수는, 7 또는 14 심벌이어도 좋다. 한편, 서브 캐리어 간격이 60 kHz 이상인 경우, 1 슬롯 당 심벌 수는, 14 심벌이어도 좋다. 미니 슬롯은, 슬롯보다도 짧은 시간 길이(또는 적은 심벌 수)를 갖는 시간 단위이다.
NR에서는, DL 제어 채널(예를 들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와 DL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DSCH)과의 사이에서 리소스를 공용하는 것(리소스 공용(resource sharing) 등이라 불려도 좋다)이 검토되고 있다. 도 1은, DL 제어 채널과 DL 데이터 채널과의 리소스 공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given)시간 및/또는 주파수 리소스(시간/주파수 리소스)가 DL 제어 채널용으로 확보(reserve)되고, 해당 소정의 시간 및/또는 주파수 리소스의 적어도 일부에 DL 제어 채널이 할당된다.
즉, 해당 소정의 시간 및/또는 주파수 리소스는, 하나 또는 복수의 DL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후보 영역을 포함해도 좋고, 해당 후보 영역은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 control resource set), 컨트롤 서브 밴드(control subband), 서치 스페이스 세트, 서치 스페이스 리소스 세트, 제어 영역, 제어 서브 밴드 또는 NR―PDCCH 영역 등이라 불려도 좋다.
소정의 시간 및/또는 주파수 리소스는, 확보(reserved) 리소스 등이라 불려도 좋다. 확보 리소스의 구성(패턴 또는 확보 리소스 패턴 등이라고도 한다)은, 예를 들면 슬롯에 스케줄되는 UE 수, UE 능력(capability) 등에 의해 변동한다. 확보 리소스는, 소정의 시간 단위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UE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CORESET 전체의 영역에 상당해도 좋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E에는, 복수의 확보 리소스 패턴(여기서는, 패턴 0∼3)이 준정적으로(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마스터 정보 블록(MIB: Master Information Block),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등)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다.
UE는, CORESET의 설정 정보(CORESET 설정이라고 불려도 좋다)를, 기지국(예를 들면, BS(Base Station), 송수신 포인트(TRP: Transmission/Reception Point), eNB(eNode B), gNB 등이라 불려도 좋다)으로부터 수신해도 좋다. CORESET 설정은, 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및/또는 SIB)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다.
UE는, 자(自) 단말에 설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CORESET(또는 해당 CORESET 내의 서치 스페이스)를 모니터(블라인드 복호)하여, 해당 UE에 대한 DL 제어 채널(하향 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검출한다.
UE에는, 복수의 확보 리소스 패턴 중에서, 한 슬롯에서 이용되는 확보 리소스 패턴을, 소정의 DCI에 의해 동적으로 지시되어도 좋다. 해당 소정의 DCI는, 하나 이상의 UE에 공통의 PDCCH(그룹 공통 PDCCH, 그룹 공통 DCI 등이라 불려도 좋다)을 이용하여 통지되어도 좋으며, UE 고유의 PDCCH(스케줄링용 DCI 등이라 불려도 좋다)을 이용하여 통지되어도 좋으며, PDCCH와는 다른 하향 제어 채널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다.
또한, DL 데이터(예를 들면, PDSCH) 수신 및/또는 DL 참조 신호의 측정을 스케줄링하는 DCI는, DL 어사인먼트, DL 그랜트, DL DCI 등이라 불려도 좋다. UL 데이터(예를 들면, PUSCH) 송신 및/또는 UL 사운딩(측정용) 신호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DCI는, UL 그랜트, UL DCI 등이라 불려도 좋다.
UE는, 동적으로 지시되는 확보 리소스 패턴과, DL 어사인먼트에 기초하여, DL 데이터 채널의 수신 처리(복호 등)를 수행해도 좋다. UE는, 동적으로 지시되는 확보 리소스 패턴과, UL 그랜트에 기초하여, UL 데이터 채널의 송신 처리(부호화 등)를 수행해도 좋다.
또한, 도 1에 있어서의 NR 캐리어 대역이란, UE에 할당되는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예를 들면, 200 MHz, 시스템 대역 등이라고도 한다)여도 좋으며, 또는, 해당 CC의 적어도 일부인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이어도 좋다. UE에는 하나 이상의 BWP가 설정된다.
UE에 설정되는 각 BWP의 구성(configuration) 정보는, 각 BWP의 수비학, 주파수 위치(예를 들면, 중심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면, 리소스 블록(RB(Resource Block), PRB(Physical RB) 등이라도 불려진다)의 수), 시간 리소스(예를 들면, 슬롯(미니 슬롯) 인덱스, 주기) 등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해당 구성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또는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에 의해 UE에 통지되어도 좋다.
NR은, 초기 도입(예를 들면, 5G, LTE Rel. 15 이후 또는 페이즈 1) 및 초기 도입된 사양에 대한 계속적인 진화(예를 들면, 5G+, LTE Rel. 16 이후 또는 페이즈 2) 등과 같이, 단계적인 표준화가 수행되는 것이 상정된다. 따라서, 장래적인 확장성(포워드 컴패터빌리티(compatibility))을 고려하여, 데이터 채널의 스케줄링 단위가 되는 시간 단위(예를 들면, 슬롯 및/또는 미니 슬롯)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데이터 채널의 스케줄링 단위가 되는 시간 단위(예를 들면, 슬롯 및/또는 미니 슬롯) 내의 소정의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포워드 컴패터빌리티용으로 확보해두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해당 소정의 시간/주파수 리소스는, 언노운(unknown) 리소스, 리저브드(확보, 예약(reserved)) 리소스, 블랭크(blank) 리소스 또는 미사용(unused) 리소스 등이라고도 불린다. 블랭크 리소스는, 도 1에 있어서 설명한 확보 리소스로서 설정되어도 좋으며(확보 리소스와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어도 좋다), 해당 확보 리소스와는 따로 설정되어도 좋다.
도 2는, 블랭크 리소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랭크 리소스는, 슬롯 내의 적어도 일부의 심벌 및/또는 캐리어(또는 BWP) 내의 적어도 일부의 PRB로 구성되어도 좋다. UE는, 해당 블랭크 리소스에 관해, 송수신 제어 및/또는 동작을 상정(또는 실시)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서는, 슬롯에 있어서 UE에 대한 PDSCH이 할당되어도 좋다. 한편, 해당 UE는, 해당 슬롯 내의 블랭크 리소스에 있어서 PDSCH의 할당이 없다고 상정하여, 해당 PDSCH의 수신 처리(예를 들면, 복조, 복호, 레이트 매칭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해도 좋다.
이와 같이, NR에 있어서는 BWP에 기초하는 제어가 이용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BWP가 도입되는 경우에 있어서, UE가 어떻게 블랭크 리소스를 파악할지에 대해서는 아직 검토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블랭크 리소스의 적절한 판단 방법을 도입하지 않으면, 유연한 제어가 불가능하거나 소정의 신호의 복호에 실패하거나 함으로써, 통신 스루풋, 주파수 이용 효율 등의 열화가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소정의 BWP에 관련하여 설정되는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적절하게 판단하는 것에 착목하여, 통신 스루풋 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에 착목했다.
이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BWP는, DL BWP, UL BWP 그 외의 BWP로 대체되어도 좋다.
(제1 형태)
제1 형태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블랭크 리소스의 세트(블랭크 리소스 패턴, 블랭크 리소스 영역 등이라 불려도 좋다)에 관한 정보가, BWP 설정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해당 정보는, 블랭크 리소스 정보라 불려도 좋다. BWP마다,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블랭크 리소스 패턴이 UE에 설정되어도 좋다.
블랭크 리소스는, 데이터 채널의 스케줄링 단위가 되는 시간 단위에 있어서 정의되어도 좋다. 해당 시간 단위는, 1 이상의 심벌, 미니 슬롯, 슬롯, 서브 프레임 등으로 나타내어져도 좋다.
블랭크 리소스 정보는, 하나 또는 복수의 블랭크 리소스의 주파수 리소스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개시 PRB 인덱스, PRB 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랭크 리소스의 시간 리소스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 단위(심벌, 미니 슬롯, 슬롯 등)의 인덱스, 수, 길이, 주기), 하나 또는 블랭크 리소스 패턴의 인덱스 등의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각 BWP 설정은, 블랭크 리소스 정보를 명시적으로 포함해도 좋으며, 암시적으로 포함해도 좋다. 블랭크 리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BWP 설정은, 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SIB)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다.
UE는, 설정된(및/또는 액티브한) BWP의 수비학(예를 들면, SCS), 주파수 위치(예를 들면, 중심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면, PRB 수)의 수) 등의 정보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블랭크 리소스 정보를 판단해도 좋다. UE는, 어느 BWP가 액티브인지에 기초하여, 상정하는 블랭크 리소스 패턴을 특정해도 좋다.
UE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 슬롯(미니 슬롯) 인덱스, 서브 프레임 인덱스 등의 시간 리소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기간에 있어서의 블랭크 리소스 정보를 판단해도 좋다.
UE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DCI)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액티브한 BWP에 있어서 상정하는 블랭크 리소스 패턴을 특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UE는, 설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블랭크 리소스 정보 중, 소정의 DCI에 기초하여 특정한 하나의 블랭크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액티브한 BWP에 있어서 상정하는 블랭크 리소스 패턴을 판단해도 좋다. 여기서, 해당 소정의 DCI는, 스케줄링용 DCI여도 좋으며, 그룹 공통의 DCI여도 좋다.
도 3은, 제1 형태에 있어서의 BWP와 블랭크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예에 있어서, BWP1 및 BWP2는 각각 다른 대역폭을 갖는다. BWP1의 블랭크 리소스 및 BWP2의 블랭크 리소스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슬롯 내에 있어서 다른 리소스에 위치해도 좋다.
도 4는, 제1 형태에 있어서의 BWP와 블랭크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제1 형태에 있어서의 BWP와 블랭크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BWP1 및 BWP2에 관련지어 설정될 수 있는 블랭크 리소스 패턴의 5가지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4의 좌측에서 순서대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UE는, 소정의 BWP(예를 들면, 액티브한 BWP)의 블랭크 리소스 패턴에 대해, 이하의 어느 하나를 상정하여 판단해도 좋다(이하의 어느 하나의 블랭크 리소스 패턴이 이용된다고 상정해도 좋다):
(1) 소정의 기간(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개의 심벌, 하나 또는 복수개의 슬롯(미니 슬롯) 등)에 있어서, 서로 다른 PRB 수의 복수의 블랭크 리소스를 포함하고,
(2)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같은 PRB 수의 복수의 블랭크 리소스를 포함하고,
(3)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PRB 수의 하나의 블랭크 리소스를 포함하고,
(4)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BWP의 대역폭 전체가 블랭크 리소스이고,
(5)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BWP에는 블랭크 리소스가 포함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1)―(3)은,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BWP의 대역폭의 일부가 블랭크 리소스이다'라고 대체되어도 좋다. PRB 수는 서브 캐리어 수, 서브 밴드 수 등에 의해 대체되어도 좋다.
또한, 이들의 상정에 있어서의 복수의 블랭크 리소스는, 시간 및/또는 주파수 방향으로 비연속의 복수의 블랭크 리소스여도 좋으며, 시간 및/또는 주파수 방향으로 연속의(인접하는) 복수의 블랭크 리소스여도 좋다.
상기 (1)―(3)에 있어서, 블랭크 리소스의 PRB 수는, 소정의 수(예를 들면, 2)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소정의 수(예를 들면, 2, 3, 4, …)의 정수배 또는 소수배로 나타내어져도 좋다. 이 경우, 블랭크 리소스 및 다른 리소스(예를 들면, PDSCH가 할당되는 리소스)를 틈새없이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지며, 주파수 이용 효율의 저감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1)―(3)에 있어서, 하나의 블랭크 리소스의 위치는, 다른 블랭크 리소스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좋다. 블랭크 리소스 정보는, 해당 상대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블랭크 리소스 정보의 정보량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1)―(3)에 있어서, 하나의 블랭크 리소스의 위치 및/또는 PRB 수는, 소정의 BWP 설정을 기준으로 한 상대값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10 PRB인 대역폭의 BWP가 기준인 경우를 생각한다. PRB 수의 값으로서 '1'이 설정된 블랭크 리소스에 대해서는, 해당 블랭크 리소스가 10 PRB인 대역폭의 BWP에 포함되는 경우, PRB 수의 절대값은 1이라고 판단되어도 좋으며, 해당 블랭크 리소스가 30 PRB의 대역폭의 BWP에 포함되는 경우, PRB 수의 절대값은 3이라고 판단되어도 좋다. 이 경우, 블랭크 리소스 정보의 정보량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기준이 되는 BWP 설정(또는 BWP 설정의 파라미터)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등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으며, 사양에 의해 규정되어도 좋다.
상기 (4)의 상정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BWP에 있어서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UE는, 소정의 BWP의 대역폭이 소정 값 이하인 경우, 상기 (4)의 상정을 수행해도 좋으며, 소정의 BWP의 대역폭이 소정 값보다 큰 경우, 상기 (4)의 상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좋다. 도 4의 BWP1은 대역폭이 소정 값 이하인 예, 도 5의 BWP2는 대역폭이 소정 값보다 큰 예에 대응된다.
상기 (5)에 관해, 블랭크 리소스 패턴은, 블랭크 리소스가 포함되지 않는(블랭크 리소스가 없는) 것, 블랭크 리소스가 포함되는(블랭크 리소스가 있는) 것 등을 나타내도 좋다. 블랭크 리소스 정보는,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의 블랭크 리소스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해당 유무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1 비트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블랭크 리소스 정보의 정보량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5)에 관해, 해당 소정의 BWP에 대해, 해당 소정의 기간 중에 CORESET의 리소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이 경우, UE는, 해당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의 CORESET의 리소스를 고려하여, 해당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의 PDSCH의 수신 처리(예를 들면, 복조, 복호, 레이트 매칭 등) 또는 PUSCH의 송신 처리(예를 들면, 부호화, 변조 등)를 수행해도 좋다. 또, UE는, 해당 수신 처리 또는 송신 처리를, 다른 슬롯, 미니 슬롯의 CORESET에 있어서 수신한 DCI에 기초하여 수행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제1 형태에 따르면, 블랭크 리소스 패턴을 UE 고유 그리고 BWP 고유로 설정 가능하기 때문에, 유연한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1)의 상정에 대응되는 블랭크 리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다른 리소스 영역 사이즈로 설정되는 복수의 다른 CORESET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비연속 리소스로 설정되는 동일 CORESET을, 리소스 영역 사이즈가 다른 블랭크 리소스에 각각 다중할 수 있다.
상기 (2)의 상정에 대응되는 블랭크 리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복수의 블랭크 리소스 사이에서 리소스 영역 사이즈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설정에 필요해지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3)의 상정에 대응되는 블랭크 리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1) 및 상기 (2)에 비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상기 (4)의 상정에 대응되는 블랭크 리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어느 리소스 영역 사이즈로 설정되는 CORESET에 대해서도 블랭크 리소스에 다중할 수 있다.
상기 (5)의 상정에 대응되는 블랭크 리소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CORESET이 설정되니 않는 슬롯에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경우에, 불필요한 블랭크 리소스를 설정하지 않기 때문에, 리소스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제2 형태)
제2 형태에 있어서는, UE에 복수의 BWP가 설정되는 경우에, 해당 복수의 BWP에 관련되는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 패턴이 UE에 설정된다.
UE는, 어느 BWP가 액티브인지에 상관없이, 상정하는 블랭크 리소스 패턴을 특정해도 좋다.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 패턴은, BWP가 포함되는 CC(시스템 대역) 내의 소정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 대응된다고 상정해도 좋다.
UE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DCI)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 패턴을 특정해도 좋다. 블랭크 리소스 정보, BWP 설정 등에 포함되는 정보, 및 이들의 정보의 통지 방법, 리소스 패턴의 특정 방법 등에 대해, 제1 형태와 동일한 점은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각 BWP 설정은,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 정보를 명시적으로 포함해도 좋으며, 암시적으로 포함해도 좋다. 일부의 BWP 설정은,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 정보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또,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 패턴이 사양에 의해 규정되는 등, UE가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 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 경우에는, 어느 BWP 설정에도 블랭크 리소스 정보가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또,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 정보는, BWP 설정과는 따로 설정되어도 좋다.
UE는, 복수의 BWP의 주파수 리소스의 적어도 일부가 중복된다고 상정해도 좋다. UE는, 복수의 BWP 중, 대역폭이 보다 좁은 BWP에 있어서 이용하는 블랭크 리소스 패턴이, 대역폭이 보다 넓은 BWP에 있어서 이용하는 리소스 패턴이라(또는 해당 리소스 패턴에 포함된다)고 상정해도 좋다.
도 6은, 제2 형태에 있어서의 BWP와 블랭크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예에 있어서, BWP1 및 BWP2는 각각 다른 대역폭을 갖는다. BWP1의 블랭크 리소스 및 BWP2의 블랭크 리소스는, 공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슬롯 내에 있어서 같은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에 위치해도 좋다. 본 예에서는,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는, 각 BWP의 중신 주파수 부근의 슬롯 선두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는 복수의 BWP 전부에 포함되는 리소스인 경우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 패턴은, 어느 하나의 BWP의 대역폭보다 넓은 대역폭(예를 들면, 시스템 대역폭)에 걸치는 블랭크 리소스에 대응해도 좋다. UE는, 액티브한 BWP에 대해,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 패턴 중 해당 BWP의 대역에 포함되는 블랭크 리소스를 고려하면 된다.
바꿔말하면, UE는,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 패턴에 포함되는 블랭크 리소스 중, 액티브한 BWP의 범위 외의 블랭크 리소스를 무시해도 좋다.
도 7은, 제2 형태에 있어서의 BWP와 블랭크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예는, 도 6의 예와 BWP의 구성은 동일하다. BWP1의 블랭크 리소스 및 BWP2의 블랭크 리소스는, 공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BWP2의 대역폭에 걸쳐있다. BWP2가 액티브한 경우, UE는 BWP2 내의 블랭크 리소스를 고려할 수 있다. BWP1이 액티브한 경우, UE는,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 패턴 중, BWP1 내의 블랭크 리소스만을 고려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제2 형태에 따르면, 블랭크 리소스 패턴을 UE 고유 그리고 BWP 공통으로 설정 가능하기 때문에, 유연한 제어가 가능하다.
(변형 예)
DL(DL BWP)에 관한 블랭크 리소스 패턴과, UL(UL BWP)에 관한 블랭크 리소스 패턴은, UE에 대해 각각 개별로 설정되어도 좋으며, 공통으로 설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2 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BWP는, DL BWP 및 UL BWP를 포함해도 좋다.
블랭크 리소스 정보는, DL가 스케줄링되는 시간 단위(슬롯, 미니 슬롯 등)에 있어서 블랭크 리소스로서 다루는 DL 블랭크 리소스 정보와, UL가 스케줄링되는 시간 단위에 있어서 블랭크 리소스로서 다루는 UL 블랭크 리소스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해도 좋다.
DL 블랭크 리소스 정보는, DL BWP의 설정 정보에 포함되어도 좋다. UL 블랭크 리소스 정보는, UL BWP의 설정 정보에 포함되어도 좋다. 또, 이들의 블랭크 리소스 정보는,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 정보로서 DL BWP 및/또는 UL BWP의 설정 정보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도 좋으며, BWP의 설정 정보와는 따로 통지되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상기 각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이 적용된다. 또한, 상기 각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은, 각각 단독으로 적용되어도 좋으며, 조합하여 적용되어도 좋다.
도 8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LTE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예를 들면, 20 MHz)을 1 단위로 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컴포넌트 캐리어)을 일체로 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및/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C)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시스템(1)은, SUPER 3G, LTE-A(LTE-Advanced), IMT-Advanced, 4G, 5G, FRA(Future Radio Access), NR(New RAT) 등이라 불려도 좋다.
도 8에 도시하는 무선통신시스템(1)은, 매크로 셀(C1)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1)과, 매크로 셀(C1) 내에 배치되고, 매크로 셀(C1)보다도 좁은 스몰 셀(C2)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2a∼12c)을 구비하고 있다. 또, 매크로 셀(C1) 및 각 스몰 셀(C2)에는, 유저단말(20)이 배치되어 있다. 셀 사이에 다른 수비학이 적용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수비학이란, 어느 RAT에 있어서의 신호의 디자인을 특징화하는 통신 파라미터의 세트를 말한다.
유저단말(20)은, 무선기지국(11) 및 무선기지국(12)의 쌍방에 접속할 수 있다. 유저단말(20)은, 다른 주파수를 이용하는 매크로 셀(C1)과 스몰 셀(C2)을, CA 또는 DC에 의해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상정된다. 또, 유저단말(20)은, 복수의 셀(CC)(예를 들면, 2개 이하의 CC)을 이용하여 CA 또는 DC를 적용할 수 있다. 또, 유저단말은, 복수의 셀로서 라이선스 밴드 CC와 언라이선스 밴드 CC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유저단말(20)은, 각 셀에서,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 또는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DD의 셀, FDD의 셀은, 각각, TDD 캐리어(프레임 구성 타입 2), FDD 캐리어(프레임 구성 타입 1)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각 셀(캐리어)에서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 길이(예를 들면, 1 ms)를 갖는 슬롯(TTI, 통상 TTI, 롱 TTI, 통상 서브 프레임, 롱 서브 프레임 또는 서브 프레임 등이라고도 한다), 및/또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길이를 갖는 슬롯(미니 슬롯, 쇼트 TTI 또는 쇼트 서브 프레임 등라고도 한다)이 적용되어도 좋다. 또, 각 셀에서, 2 이상의 시간 길이의 서브 프레임이 적용되어도 좋다.
유저단말(20)과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2 GHz)으로 대역폭이 좁은 캐리어(기존 캐리어, legacy carrier 등이라고도 불린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유저단말(20)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3.5 GHz, 5 GHz, 30∼70 GHz 등)으로 대역폭이 넓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으며,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와 같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각 무선기지국이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기지국(11)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또는, 2개의 무선기지국(12) 사이)는, 유선 접속(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섬유, X2 인터페이스 등) 또는 무선 접속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11) 및 각 무선기지국(12)은, 각각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고, 상위국 장치(30)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40)에 접속된다. 또한, 상위국 장치(30)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각 무선기지국(12)은, 무선기지국(11)을 통해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무선기지국(11)은, 상대적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매크로 기지국, 집약 노드, eNB(eNodeB),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2)은, 국소적인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스몰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 펨토 기지국, HeNB(Home eNodeB), RRH(Remote Radio Head),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이하, 무선기지국(11 및 12)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무선기지국(10)이라 총칭한다.
각 유저단말(20)은, LTE, LTE-A 등의 각종 통신 방식에 대응된 단말이며, 이동 통신 단말뿐 아니라 고정 통신 단말을 포함해도 좋다. 또, 유저단말(20)은, 다른 유저단말(20)과의 사이에서 단말 간 통신(D2D)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1)에 있어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 링크(DL)에 OFDMA(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이 적용되고, 상향 링크(UL)에 SC-FDMA(싱글 캐리어-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가 적용될 수 있다. OFDMA는,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서브 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 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SC-FDMA는, 시스템 대역폭을 단말마다 하나 또는 연속한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는 대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또한, 상향 및 하향의 무선 액세스 방식은, 이들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UL에서 OFDM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 단말 간 통신에 이용되는 사이드링크(SL)에 SC-FDMA를 적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DL 채널로서,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DL 데이터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DL 공유 채널 등이라고도 한다),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L1/L2 제어 채널 등이 이용된다. PD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등의 적어도 하나가 전송된다. 또, PBCH에 의해, MIB(Master Information Block)가 전송된다.
L1/L2 제어 채널은, DL 제어 채널(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또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을 포함한다. PDCCH에 의해, PDSCH 및 PUSCH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등이 전송된다. PCFICH에 의해, PDCCH에 이용하는 OFDM 심벌 수가 전송된다. EPDCCH은, PDSCH과 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PDCCH과 동일하게 DCI 등의 전송에 이용된다. PHICH, PDCCH, EPDCCH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PUSCH의 재송 제어 정보(A/N, HARQ―ACK, HARQ―ACK 비트 또는 A/N 코드북 등이라고도 한다)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UL 채널로서,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UL 데이터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UL 공유 채널 등이라고도 한다), UL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등이 이용된다. PU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가 전송된다. PDSCH의 재송 제어 정보(A/N, HARQ―ACK) 채널 상태 정보(CSI)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향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은, PUSCH 또는 PUCCH에 의해, 전송된다. PRACH에 의해, 셀과의 접속 확립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
도 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기지국(10)은,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101)와, 앰프부(102)와, 송수신부(1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와, 호 처리부(105)와,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101), 앰프부(102), 송수신부(103)는, 각각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0)은, UL에 있어서 '수신장치'를 구성하고, DL에 있어서 '송신장치'를 구성해도 좋다.
하향 링크에 의해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유저단말(20)로 송신되는 유저 데이터는, 상위국 장치(3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유저 데이터에 관해,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레이어의 처리, 유저 데이터의 분할·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 제어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 처리, MAC(Medium Access Control) 재송 제어(예를 들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레이트 매칭, 스크램블링,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및 프리코딩 처리의 적어도 하나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에 전송된다. 또, 하향 제어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 및/또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에 전송된다.
송수신부(1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부터 안테나마다 프리코딩하여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1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1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101)로부터 송신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레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한편, UL 신호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1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102)에서 증폭된다. 송수신부(103)는 앰프부(102)에서 증폭된 UL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1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입력된 상향 신호에 포함되는 UL 데이터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역이산 푸리에 변환(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오류 정정 복호, MAC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RLC 레이어 및 PDCP 레이어의 수신 처리가 이루어지고,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상위국 장치(30)로 전송된다. 호 처리부(105)는, 통신 채널의 설정, 해방 등의 호 처리, 무선기지국(10)의 상태 관리, 무선 리소스의 관리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위국 장치(3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기지국 간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섬유,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접 무선기지국(10)과 신호를 송수신(백홀 시그널링)해도 좋다.
또, 송수신부(103)는, DL 신호(예를 들면, DCI(DL 어사인먼트, UL 그랜트, 공통 DCI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L 데이터(채널), 참조 신호 및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및/또는, UL 신호(예를 들면, UL 데이터(채널), UCI, 참조 신호 및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수신부(103)는, 가변 길이의 송신 기간(예를 들면, 슬롯, 미니 슬롯, 소정의 심벌 수)에 있어서, DL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DSCH)을 송신하고, 및/또는, UL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USCH)을 수신해도 좋다.
송수신부(103)는,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고려하여 송신 및/또는 수신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송수신부(103)는, 블랭크 리소스 영역에 있어서, 소정의 신호(예를 들면, PDSCH, PUSCH)의 송신 및/또는 수신 처리를 수행하지 않아도 좋다.
도 10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무선기지국(10)은, 무선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갖고 있어도 좋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는, 제어부(301)와, 송신신호 생성부(302)와, 맵핑부(303)와, 수신신호 처리부(304)와, 측정부(30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301)는, 무선기지국(1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3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302)에 따른 DL 신호의 생성, 맵핑부(303)에 따른 DL 신호의 맵핑, 수신신호 처리부(304)에 따른 UL 신호의 수신 처리(예를 들면, 복조 등) 및 측정부(305)에 따른 측정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또, 제어부(301)는, 데이터 채널(DL 데이터 채널 및/또는 UL 데이터 채널을 포함한다)의 스케줄링을 제어해도 좋다.
제어부(301)는, 소정의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관련하여, 유저단말에 대한 블랭크 리소스 영역(블랭크 리소스 패턴)을 결정해도 좋다. 제어부(301)는, 해당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고려하여 송신 및/또는 수신 처리를 제어해도 좋다.
제어부(301)는, 블랭크 리소스 영역에 관한 정보를 유저단말(20)에 대해 송신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액티브인 BWP의 블랭크 리소스 영역에 관한 정보를, 해당 액티브인 BWP의 설정 정보에 포함시켜 통지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제어부(301)는, 액티브인 BWP의 블랭크 리소스 영역에 관한 정보를, 복수의 BWP에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 영역에 관한 정보로서 통지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또한, 해당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 영역은, 유저단말(20)에 설정하는 복수의 BWP 중, 적어도 하나의 BWP의 주파수 대역 외의 리소스 영역을 포함해도 좋다.
제어부(301)는, 이하의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를 상정하여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결정해도 좋다: (1)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BWP(예를 들면, 액티브한 BWP)의 대역폭 전체가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며, (2)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BWP의 대역폭의 일부가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며, (3)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BWP에는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 포함되지 않는다.
제어부(301)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DL 신호(DL 데이터(채널), DCI, DL 참조 신호,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따른 제어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를 생성하여, 맵핑부(303)로 출력해도 좋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맵핑부(303)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생성부(302)에서 생성된 DL 신호를, 소정의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여, 송수신부(103)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맵핑부(303)는, 제어부(301)에 의해 결정되는 배치 패턴을 이용하여, 참조 신호를 소정의 무선 리소스로 맵핑한다.
맵핑부(3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유저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UL 신호의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복호 등)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제어부(301)에 의해 결정되는 배치 패턴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UL 데이터 채널을 복조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수신 신호 및/ 또는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측정부(305)로 출력해도 좋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부를 구성할 수 있다.
측정부(305)는, 예를 들면, 참조 신호의 수신 전력(예를 들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및/또는 수신 품질(예를 들면,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에 기초하여, UL의 채널 품질을 측정해도 좋다. 측정 결과는, 제어부(301)로 출력되어도 좋다.
〈유저단말〉
도 1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유저단말(20)은, MIMO 전송을 위한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201)와, 앰프부(202)와, 송수신부(2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와, 애플리케이션부(205)를 구비하고 있다. 무선기지국(20)은, UL에 있어서 '송신장치'를 구성하고, DL에 있어서 '수신장치'를 구성해도 좋다.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2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각각 앰프부(202)에서 증폭된다. 각 송수신부(203)는 앰프부(202)에서 증폭된 DL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2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입력된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해, FFT 처리, 오류 정정 복호,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등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DL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부(205)는, 물리 레이어 및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한편, UL 데이터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서는, 재송 제어 처리(예를 들면, HARQ의 처리), 채널 부호화, 레이트 매칭, 펑처, 이산 푸리에 변환(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IFFT 처리 등의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고 각 송수신부(203)로 전송된다. UCI(예를 들면, DL 신호의 A/N, 채널 상태 정보(CSI), 스케줄링 요구(SR)의 적어도 하나 등)에 대해서도, 채널 부호화, 레이트 매칭, 펑처, DFT 처리 및 IFFT 처리 등의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어 각 송수신부(203)로 전송된다.
송수신부(2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2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2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201)로부터 송신된다.
또, 송수신부(203)는, DL 신호(예를 들면, DCI(DL 어사인먼트, UL 그랜트, 공통 DCI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L 데이터(채널), 참조 신호 및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고, 및/또는, UL 신호(예를 들면, UL 데이터(채널), UCI, 참조 신호 및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수신부(203)는, 가변 길이의 송신 기간(예를 들면, 슬롯, 미니 슬롯, 소정의 심벌 수)에 있어서, DL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DSCH)을 수신하고, 및/또는, UL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USCH)을 송신해도 좋다.
송수신부(203)는,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고려하여 송신 및/또는 수신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송수신부(203)는, 블랭크 리소스 영역에 있어서, 소정의 신호(예를 들면, PDSCH, PUSCH)의 송신 및/또는 수신 처리를 수행하지 않아도 좋다.
송수신부(2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레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2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도 1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유저단말(20)은, 무선 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가져도 좋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단말(20)이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제어부(401)와, 송신신호 생성부(402)와, 맵핑부(403)와, 수신신호 처리부(404)와, 측정부(40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401)는, 유저단말(2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4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402)에 의한 UL 신호의 생성, 맵핑부(403)에 의한 UL 신호의 맵핑, 수신신호 처리부(404)에 의한 DL 신호의 수신 처리 및 측정부(405)에 의한 측정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1)는, DL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블라인드 복호)하고, 유저단말(20)에 대한 데이터 채널의 스케줄링용 DCI를 검출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해당 DCI에 기초하여 DL 데이터 채널의 수신을 제어해도 좋다. 또, 제어부(401)는, 해당 DCI에 기초하여 UL 데이터 채널의 송신을 제어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소정의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관련하여 설정되는 블랭크 리소스 영역(블랭크 리소스 패턴)을 판단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해당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고려하여 송신 및/또는 수신 처리를 제어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액티브인 BWP의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해당 액티브인 BWP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액티브인 BWP의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 복수의 BWP에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 영역에 포함된다고 상정해도 좋다. 또한, 해당 공통의 블랭크 리소스 영역은, 액티브인 BWP의 주파수 대역 외의 리소스 영역을 포함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이하의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를 상정하여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판단해도 좋다: (1)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BWP(예를 들면, 액티브한 BWP)의 대역폭 전체가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며, (2)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BWP의 대역폭의 일부가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며, (3)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BWP에는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 포함되지 않는다.
제어부(401)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UL 신호, DL 신호의 재송 제어 정보를 생성(예를 들면, 부호화, 레이트 매칭, 펑처, 변조 등)하여, 맵핑부(403)로 출력한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맵핑부(403)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생성부(402)에서 생성된 UL 신호, DL 신호의 재송 제어 정보를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여, 송수신부(203)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맵핑부(403)는, 제어부(401)에 의해 결정되는 배치 패턴을 이용하여, 참조 신호를 소정의 무선 리소스로 맵핑한다.
맵핑부(4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DL 신호의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및 복호의 적어도 하나 등)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제어부(401)에 의해 결정되는 배치 패턴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DL 데이터 채널을 복조해도 좋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수신 신호 및/또는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제어부(401) 및/또는 측정부(405)로 출력해도 좋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따른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L1/L2 제어 정보(예를 들면, UL 그랜트 및/또는 DL 어사인먼트) 등을,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부를 구성할 수 있다.
측정부(405)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의 참조 신호(예를 들면, CSI―RS)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또한, 채널 상태의 측정은, CC마다 수행되어도 좋다.
측정부(40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측정기, 측정 회로 또는 측정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하드웨어 구성)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블록도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결합한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및/또는 간접적(예를 들면, 유선 및/또는 무선을 이용하여)으로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 유저단말 등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방법의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1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은, 물리적으로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스토리지(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프로세서가 있어도 좋다. 또,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으며, 처리가 동시에, 축차적으로, 또는 그 외의 수법을 이용하여, 1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세서(1001)는, 1 이상의 칩에 의해 실장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를 통한 통신을 제어하거나,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또는 쓰기를 제어하거나 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204)), 호 처리부(105) 등은, 프로세서(1001)에서 실현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데이터 등을, 스토리지(1003) 및/또는 통신장치(1004)로부터 메모리(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유저단말(20)의 제어부(401)는, 메모리(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다른 기능 블록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현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PROM), RAM(Random Access Memory), 그 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메모리(10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크,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CD-ROM(Compact Disc ROM) 등),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자기테이프,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스토리지(1003)는, 보조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통신장치(1004)는, 예를 들면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및/또는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을 실현하기 위해, 고주파 스위치, 듀플렉서, 필터, 주파수 신시사이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송수신 안테나(101(201)), 앰프부(102(202)), 송수신부(103(203)), 전송로 인터페이스(106) 등은, 통신장치(1004)로 실현되어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로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에 다른 버스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실장되어도 좋다.
(변형 예)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용어 및/또는 본 명세서의 이해에 필요한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와 치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채널 및/또는 심벌은 신호(시그널링)이어도 좋다. 또, 신호는 메시지여도 좋다. 참조 신호는, RS(Reference Signal)이라 약칭할 수 있고, 적용되는 표준에 의해 파일럿(Pilot), 파일럿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는, 셀, 주파수 캐리어, 캐리어 주파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기간(프레임)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해당 하나 또는 복수의 각 기간(프레임)은, 서브 프레임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수비학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의 시간 길이(예를 들면, 1 ms)이어도 좋다.
또한,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벌 등)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슬롯은, 수비학에 기초하는 시간 단위여도 좋다. 또, 슬롯은, 복수의 미니 슬롯을 포함해도 좋다. 각 미니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미니 슬롯은, 서브 슬롯이라 불려도 좋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모두 신호를 전송할 때의 시간 단위를 나타낸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각각에 대응되는 다른 호칭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서브 프레임이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불려도 좋으며, 복수의 연속된 서브 프레임이 TTI라 불려도 좋으며,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려도 좋다. 즉, 서브 프레임 및/또는 TTI는, 기존의 LTE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1 ms)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짧은 기간(예를 들면, 1-13 심벌)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긴 기간이어도 좋다. 또한, TTI를 나타내는 단위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라 슬롯, 미니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여기서, TTI는, 예를 들면,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는, 무선기지국이 각 유저단말에 대해, 무선 리소스(각 유저단말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이나 송신전력 등)을, TTI 단위로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TTI의 정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TI는, 채널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및/또는 코드워드의 송신 시간 단위여도 좋으며, 스케줄링, 링크 어댑테이션 등의 처리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한, TTI가 부여되었을 때, 실제로 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및/또는 코드워드가 맵핑되는 시간 구간(예를 들면, 심벌 수)은, 해당 TTI보다도 짧아도 좋다.
또한,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리는 경우, 1 이상의 TTI(즉, 1 이상의 슬롯 또는 1 이상의 미니 슬롯)가,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 해당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구성하는 슬롯 수(미니 슬롯 수)는 제어되어도 좋다.
1 ms의 시간 길이를 갖는 TTI를, 통상 TTI(LTE Rel.8-12에 있어서의 TTI), 노멀 TTI, 롱 TTI, 통상 서브 프레임, 노멀 서브 프레임, 또는 롱 서브 프레임 등이라 불러도 좋다. 통상 TTI보다 짧은 TTI는, 단축 TTI, 쇼트 TTI, 부분 TTI(partial 또는 fractional TTI), 단축 서브 프레임, 쇼트 서브 프레임, 미니 슬롯, 또는, 서브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롱 TTI(예를 들면, 통상 TTI, 서브 프레임 등)는, 1 ms를 초과하는 시간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으며, 쇼트 TTI(예를 들면, 단축 TTI 등)는, 롱 TTI의 TTI 길이 미만 그리고 1 ms 이상의 TTI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다.
리소스 블록(RB: Resource Block)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할당 단위이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부반송파(서브 캐리어(subcarrier))를 포함해도 좋다. 또, RB는,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을 포함해도 좋으며, 1 슬롯, 1 미니 슬롯, 1 서브 프레임 또는 1TTI의 길이어도 좋다. 1TTI, 1 서브 프레임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RB는, 물리 리소스 블록(PRB: Physical RB), 서브 캐리어 그룹(SCG: Sub-Carrier Group),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 Resource Element Group), PRB 페어, RB 페어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리소스 블록은,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RE: Resource Element)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RE는, 1 서브 캐리어 및 1 심벌의 무선 리소스 영역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 등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레임의 수, 서브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당의 슬롯의 수, 슬롯 내에 포함되는 미니 슬롯의 수, 슬롯 또는 미니 슬롯에 포함되는 심벌 및 RB의 수,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 및 TTI 내의 심벌 수,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 길이 등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 파라미터 등은, 절대값으로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소정의 값으로의 상대값으로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대응되는 다른 정보로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는, 소정의 인덱스에 의해 지시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파라미터 등에 사용하는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채널(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 및 정보 요소는, 모든 바람직한 명칭에 의해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다양한 채널 및 정보 요소에 할당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명칭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 신호 등은, 다양한 다른 기술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벌, 칩 등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계 혹은 자성 입자, 빛의 장 혹은 광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되어도 좋다.
또, 정보, 신호 등은, 상위 레이어로부터 하위 레이어, 및/또는 하위 레이어로부터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정보, 신호 등은,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입출력되어도 좋다.
입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특정한 장소(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되어도 좋으며,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해도 좋다. 입출력되는 정보, 신호 등은, 덮어쓰기, 갱신 또는 추기가 될 수 있다. 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삭제되어도 좋다. 입력된 정보, 신호 등은, 다른 장치로 송신되어도 좋다.
정보의 통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상향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마스터 정보 블록(MIB: Master Information Block),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등),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시되어도 좋다.
또한,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은, L1/L2(Layer 1/Layer 2) 제어 정보(L1/L2 제어 신호), L1 제어 정보(L1 제어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으며,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Connection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또, MAC 시그널링은, 예를 들면, MAC 제어 요소(MAC CE(Control Element))를 이용하여 통지되어도 좋다.
또, 소정의 정보의 통지(예를 들면, 'X인 것'의 통지)는, 명시적인 통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시적(예를 들면, 해당 소정의 정보의 통지를 수행하지 않는 것에 의해 또는 다른 정보의 통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판정은, 1 비트로 표현되는 값(0인지 1인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진(true) 또는 위(false)로 표현되는 진위 값(boolean)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수치의 비교(예를 들면, 소정의 값과의 비교)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라 불리든, 다른 명칭으로 불리든 상관없이, 명령,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서브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루틴, 서브 루틴, 오브젝트,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수순, 기능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 소프트웨어, 명령, 정보 등은, 전송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가, 유선 기술(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등) 및/또는 무선 기술(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리모트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이들의 유선 기술 및/또는 무선 기술은,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지국(BS: Base Station)', '무선기지국', 'eNB', 'gNB', '셀', '섹터', '셀 그룹', '캐리어' 및 '컴포넌트 캐리어'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펨토 셀, 스몰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셀(섹터라고도 불린다)을 수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복수의 셀을 수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전체는 복수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예를 들면, 실내용 소형 기지국(RRH: Remote Radio Head)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셀' 또는 '섹터'라는 용어는, 이 커버리지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지국 및/또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의 커버리지 에어리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 '유저단말(user terminal)',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 및 '단말'이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펨토 셀, 스몰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이동국은, 당업자에 따라,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 사이의 통신을, 복수의 유저단말 간(D2D: Device-to-Device)의 통신으로 치환한 구성에 대해, 본 발명의 각 형태/실시형태를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무선기지국(10)이 갖는 기능을 유저단말(2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향'이나 '하향' 등의 문언은, '사이드'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 채널은, 사이드 채널로 대체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유저단말은, 무선기지국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유저단말(20)이 갖는 기능을 무선기지국(1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 기지국 이외의 1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또는 S-GW(Serving-Gateway)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B(LTE-Beyond), SUPER 3G, IMT-Advanced, 4G(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RA(Future Radio Access), New-RAT(Radio Access Technology), NR(New Radio), NX(New radio access), FX(Future generation radio access, GSM(등록 상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2000,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등록 상표)), IEEE 802.16(WiMAX(등록 상표)), IEEE 802.20, UWB(Ultra-WideBand),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또는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제1', '제2' 등의 호칭을 사용한 요소에 대한 어떠한 참조도, 그들의 요소의 양 또는 순서를 전반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의 호칭은, 2개 이상의 요소 간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요소의 참조는, 2개의 요소만이 채용될 수 있는 것 또는 어떠한 형태로 제1 요소가 제2 요소에 선행해야 하는지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판단(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판단(결정)'은,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ng), 탐색(looking up)(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판단(결정)'했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ng),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즉, '판단(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결정)'했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접속된(connected)',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 또는 이들의 모든 변형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 간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모든 접속 또는 결합을 의미하고,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 2개의 요소 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요소 간의 결합 또는 접속은, 물리적인 것이라도, 논리적인 것이라도, 혹은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속'은 '액세스'로 대체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2개의 요소가 접속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 케이블 및/또는 프린트 전기 접속을 이용하여, 및 몇 가지의 비한정적이고 비포괄적인 예로서, 무선 주파수 영역, 마이크로파 영역 및/또는 광(가시 및 불가시의 양방) 영역의 파장을 갖는 전자 에너지 등을 이용하여,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A와 B가 다르다'라는 용어는, 'A와 B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해도 좋다. '떨어지다', '결합되는' 등의 용어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고 있는(comprising)' 및 이들의 변형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 혹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는,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 인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Claims (3)

  1. 소정의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관련하여 설정되는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판단하는 제어부;
    해당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고려하여 송신 및/또는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송수신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이하의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를 상정하여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단말:
    (1)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BWP의 대역폭 전체가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며,
    (2)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BWP의 대역폭의 일부가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며,
    (3)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BWP에는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 포함되지 않는다.
  2. 소정의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관련하여, 유저단말에 대한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결정하는 제어부;
    해당 블랭크 리소스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유저단말에 대해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이하의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를 상정하여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1)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BWP의 대역폭 전체가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며,
    (2)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BWP의 대역폭의 일부가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며,
    (3)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BWP에는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 포함되지 않는다.
  3. 유저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관련하여 설정되는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해당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고려하여 송신 및/또는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갖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이하의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를 상정하여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BWP의 대역폭 전체가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며,
    (2)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BWP의 대역폭의 일부가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며,
    (3)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BWP에는 상기 블랭크 리소스 영역이 포함되지 않는다.
KR1020207003998A 2017-08-02 2017-08-02 유저단말, 무선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436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28114 WO2019026215A1 (ja) 2017-08-02 2017-08-02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125A true KR20200032125A (ko) 2020-03-25
KR102436429B1 KR102436429B1 (ko) 2022-08-26

Family

ID=6523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998A KR102436429B1 (ko) 2017-08-02 2017-08-02 유저단말, 무선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218995B2 (ko)
EP (1) EP3664538B1 (ko)
JP (1) JP6959338B2 (ko)
KR (1) KR102436429B1 (ko)
CN (1) CN111165044B (ko)
BR (1) BR112020002078A2 (ko)
DK (1) DK3664538T3 (ko)
HU (1) HUE065041T2 (ko)
PH (1) PH12020500234A1 (ko)
RU (1) RU2742555C1 (ko)
WO (1) WO2019026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31750A3 (en) 2017-08-02 2023-11-01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s method
DK3664538T3 (da) * 2017-08-02 2024-01-15 Ntt Docomo Inc Terminal, radiokommunikationsfremgangsmåde og system
CN111133819B (zh) 2017-08-10 2023-08-11 苹果公司 用于新空口的预占指示
US11678333B2 (en) * 2017-11-03 2023-06-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bandwidth part enhancement
KR102581454B1 (ko) * 2017-11-10 2023-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1518065A (ja) * 2018-02-08 2021-07-29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チャネル伝送方法および装置、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US11483814B2 (en) * 2019-01-04 2022-10-25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channel design for shared wireless communications
CN114503639B (zh) * 2019-07-19 2024-03-12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US11523389B2 (en) * 2019-09-27 2022-12-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synchronized wireless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4732B2 (en) * 2009-02-03 2012-10-09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 block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411782B2 (ja) * 2010-04-05 2014-02-12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9301292B2 (en) * 2011-09-05 2016-03-2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indicating a control channel in a wireless access system, base station for the same and user equipment for the same
US20130080932A1 (en) * 2011-09-27 2013-03-28 Sanjiv Sirpal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activation through user interface toggle
WO2013049768A1 (en) * 2011-09-30 2013-04-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evice communication using a reduced channel bandwidth
EP2595425A1 (en) * 2011-11-18 2013-05-22 Panasonic Corporation Active bandwidth indicator for power-saving UEs
JP6097766B2 (ja) * 2012-01-27 2017-03-15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キャリアベースおよび/または疑似照合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epdcch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または方法
JP5960481B2 (ja) * 2012-04-12 2016-08-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の干渉制御方法
CN105027479B (zh) * 2013-01-26 2018-05-11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通过ue接收下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及其设备
EP3535940B1 (en) * 2016-12-07 2021-07-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control channel for n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7376990A (zh) * 2017-06-16 2024-01-09 韩国电子通信研究院 通信系统中用于支持宽带载波的带宽设定方法
DK3664538T3 (da) * 2017-08-02 2024-01-15 Ntt Docomo Inc Terminal, radiokommunikationsfremgangsmåde og system
EP3662711A4 (en) * 2017-08-02 2021-02-17 Intel IP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RESERVED RESOURCES FOR FORWARD COMPATIBILITY IN NEW RADIO (NR) NETWORKS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7995 *
3GPP R1-1709039* *
3GPP R1-1710696 *
3GPP R1-1711998 *
3GPP R2-1704501* *
3GPP RP-1711505 *
비특허문헌 1: 3GPP TS 36.300 V8.12.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and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Overall description; Stage 2(Release 8)", 2010년 4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4538A1 (en) 2020-06-10
CN111165044B (zh) 2023-11-07
US20210092717A1 (en) 2021-03-25
CN111165044A (zh) 2020-05-15
PH12020500234A1 (en) 2021-01-11
KR102436429B1 (ko) 2022-08-26
WO2019026215A1 (ja) 2019-02-07
US11218995B2 (en) 2022-01-04
JPWO2019026215A1 (ja) 2020-07-16
DK3664538T3 (da) 2024-01-15
HUE065041T2 (hu) 2024-04-28
BR112020002078A2 (pt) 2020-07-28
EP3664538B1 (en) 2023-12-20
EP3664538A4 (en) 2021-03-17
JP6959338B2 (ja) 2021-11-02
RU2742555C1 (ru)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7656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436429B1 (ko) 유저단말, 무선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200051659A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200083513A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200030554A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WO2019193688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8110618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20200083506A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WO2019030925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11630821B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CN111567004B (zh) 终端、基站、系统以及无线通信方法
CN111602343A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CN111165037B (zh) 终端、基站、系统以及无线通信方法
JP7116084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US20200145854A1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9021473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WO2018128183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20200038480A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JP7163320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およびシステム
CN111183698B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WO2019168051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20200038259A (ko) 유저단말,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200018565A (ko) 유저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JP7305625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CN111566958B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