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076A -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 - Google Patents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076A
KR20200032076A KR1020200033096A KR20200033096A KR20200032076A KR 20200032076 A KR20200032076 A KR 20200032076A KR 1020200033096 A KR1020200033096 A KR 1020200033096A KR 20200033096 A KR20200033096 A KR 20200033096A KR 20200032076 A KR20200032076 A KR 20200032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contact
microcurrent
contact electrod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엘
Priority to KR1020200033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2076A/ko
Publication of KR2020003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마우스의 사용 과정에서 미세전류 또는 이와 유사한 자극이 발생되어 인체에 인가되어 유용한 효과가 발생되도록 하는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는 적어도 일부가 1 접촉 전극이 되는 덮개(11); 적어도 일부가 2 접촉 전극이 되는 측면 부분(12); 1 접촉 전극과 2 접촉 전극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절연 테두리(14); 및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미세전류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1 접촉 전극과 2 접촉 전극에 손의 일부가 접촉되면 미세전류 발생기로부터 인체에 미세전류가 인가된다.

Description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A Mouse Having a Structure of Generating a Contact Stimulus}
본 발명은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마우스의 사용 과정에서 미세전류 또는 이와 유사한 자극이 발생되어 인체에 인가되어 유용한 효과가 발생되도록 하는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전류는 1000 ㎂ 미만의 전류를 말하고 인체 내에 40~60 ㎂에 해당하는 생체 전류가 인체 내부의 각 기관 사이의 신호 전달을 위하여 흐르고 있다. 이와 같이 인체를 흐르는 생체 전류는 신체의 상태가 불안정해지면 약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건강 상태가 약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체를 흐르는 인체 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미세전류가 강제적으로 인체에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인체에 인가되는 미세전류는 신체 능력의 회복을 도우면서 미세전류는 아데노신3인산 생성 증가, 골절치유 촉진, 혈액순환 개선, 통증완화, 당뇨치료, 골다공증 치료, 관절염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미세전류는 탈모 예방 또는 수면 장애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므로 다양한 형태 또는 용도의 침대에 미세전류가 인가되면 수면 장애의 치료 또는 건강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컴퓨터의 사용 과정에서 입력 기판 또는 마우스가 사용될 수 있고, 입력 기판 또는 마우스의 사용으로 인하여 손목 또는 손가락의 피로가 누적될 수 있다. 그러므로 미세전류 또는 이와 유사한 자극을 인가하여 손가락 또는 손목의 피로를 적절한 시기에 풀어주는 것이 인체 건강에 유리하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49664호는 사용자의 파지 시 사용자의 손을 통해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전극을 형성하고 미제전류를 인가하여 손바닥의 경혈을 자극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컴퓨터의 마우스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제10-2006-0108232호는 경피 전기 신경 자극 기능을 갖는 컴퓨터 마우스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모두 마우스의 사용 과정에서 인체에 유리한 자극이 발생되도록 하지만 안정적인 구조가 가지지 못하면서 마우스가 구조적으로 변경되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마우스의 다양한 부위에 접촉되어야 미세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마우스가 구조적으로 변경되지 않도록 하면서 자극이 인가되도록 하는 마우스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마우스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특허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49664호(이영순, 2013년05월14일 공개) 미세전류 자극용 컴퓨터의 마우스 특허문헌 2: 특허공개번호 제10-2006-0108232호(비넥스트 이노-프로덕트 디벨럽먼트 리미티드, 2006년10월17일 공개) 경피 전기 신경 자극 기능을 갖는 컴퓨터 마우스
본 발명의 목적은 마우스의 구조적인 변형이 없으면서 다양한 접촉에 의하여 미세전류가 인체로 인가되는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는 적어도 일부가 1 접촉 전극이 되는 덮개; 적어도 일부가 2 접촉 전극이 되는 측면 부분; 1 접촉 전극과 2 접촉 전극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절연 테두리; 및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미세전류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1 접촉 전극과 2 접촉 전극에 손의 일부가 접촉되면 미세전류 발생기로부터 인체에 미세전류가 인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1 접촉 전극 또는 2 접촉 전극의 접촉을 탐지하는 접촉 탐지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1 접촉 전극 또는 2 접촉 전극은 베이스 층; 베이스 층의 위쪽에 형성된 전도 층; 및 전도 층의 위쪽에 형성된 절연체 소재의 보호 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는 구조적으로 변경되지 않으면서 미세전류가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는 사용자의 사용 습관에 관계없이 미세전류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유용한 자극이 인체에 인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는 인체에 유용한 자극이 조절된 형태로 인가되는 것에 의하여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사용에 따른 손목 또는 손가락의 피로가 쉽게 회복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에 적용되는 전극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는 적어도 일부가 1 접촉 전극이 되는 덮개(11); 적어도 일부가 2 접촉 전극이 되는 측면 부분(12); 1 접촉 전극과 2 접촉 전극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절연 테두리(14); 및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미세전류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1 접촉 전극과 2 접촉 전극에 손의 일부가 접촉되면 미세전류 발생기로부터 인체에 미세전류가 인가된다.
마우스는 다양한 종류가 될 수 있고,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는 광마우스, 무선 마우스 또는 이와 유사한 마우스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는 외부 구조의 변경이 없이 미세전류 또는 이와 유사한 자극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덮개(11)는 전체적으로 또는 일부가 1 접촉 전극의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이를 위하여 1 접촉 전극이 되는 부분이 전도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11) 전체가 전도성 코팅이 되거나, 손바닥의 접촉이 예상되는 부분이 전도성 코팅이 되거나 또는 다수 개의 서로 분리된 띠(strip) 형상으로 전도성 코팅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부분(12)의 적어도 일부가 2 접촉 전극이 될 수 있고, 2 접촉 전극은 1 접촉 전극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부분(12)의 아래쪽 테두리를 따라 바닥 면(13)이 형성될 수 있고, 덮개(11), 측면 부분(12) 및 바닥 면(13)에 의하여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에 마우스의 작동을 위한 부품 또는 소자가 배치될 수 있고, 미세전류 발생기 또는 다른 자극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기는 수용 공간에 배치되거나, 외부 접속 부품(18)의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부분(12)에 접속 포트가 형성될 수 있고, 외부 접속 부품(18)은 접속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접속 부품(18)에 미세전류 발생기가 배치될 수 있고, 내부에 또한 제어 칩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접속 부품(18)이 접속 포트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마우스는 1 접촉 전극 및 2 접촉 전극을 통하여 미세전류의 인가가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기는 마우스의 내부 또는 외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1 접촉 전극 또는 2 접촉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1 접촉 전극과 2 접촉 전극은 절연 테두리(14)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별도로 덮개(11)의 테두리를 따라 절연 소재로 테두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측면 부분(12)이 전체적으로 절연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1, 2 접촉 전극이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1, 2 접촉 전극은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절연이 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측면 부분(12)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미세전류의 발생을 위한 스위치(151) 또는 조절 버튼(152)이 설치될 수 있다. 마우스에 작동을 위한 휠(W) 또는 버튼(B)이 설치될 수 있고, 마우스는 무선 마우스 또는 케이블(C)에 의하여 신호가 전달되는 무선 마우스가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덮개(11)의 앞쪽 부분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작동 표시 유닛(16)이 배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마우스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사용 과정에서 1, 2 접촉 전극이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접촉되면 미세전류 발생기로부터 인체로 미세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사용 과정에서 미세전류가 작동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는 1 접촉 전극 또는 2 접촉 전극의 접촉을 탐지하는 접촉 탐지 유닛(22)을 더 포함한다.
마우스의 사용을 위하여 손바닥이 덮개에 그리고 손가락이 버튼, 휠 또는 측면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버튼 또는 휠은 배치 위치에 따라 1 접촉 전극 또는 2 접촉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고, 버튼 또는 휠은 전도성 부분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마우스의 사용을 위하여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마우스에 접촉되면 접촉 탐지 유닛(22)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접촉 탐지 유닛(22)에 의하여 손의 접촉이 탐지되면 미세전류 발생기가 작동될 수 있다. 제어 유닛(21)은 접촉 탐지 유닛(22)으로부터 전송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미세전류 발생기의 작동을 개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일정 시간 동안 접촉이 되지 않으면 미세전류 발생기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기는 마우스에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작동되거나 독립 전원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제어 유닛(21)은 작동 탐지 유닛(24)으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컴퓨터가 작동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가 작동 상태에 있으면서 접촉이 탐지되면 미세전류 발생기(25)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21)은 컴퓨터가 작동 상태에 있지 않거나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컴퓨터가 작동되지만 접촉이 탐지되지 않는다면 미세전류 발생기(25)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자극 설정 유닛(23)에 의하여 인가되어야 하는 미세전류의 크기 또는 주기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저주파 자극을 위한 부품 또는 소자가 마우스에 설치되었다면, 이와 같은 자극의 인가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마우스에 다양한 형태의 자극 인가를 위한 부품 또는 소자가 배치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자극의 인가 방법이 미세전류의 인가와 함께 설정될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기(25)의 작동을 위한 전력 공급 방법이 전력 조절 유닛(26)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전력 공급은 마우스에 배치된 배터리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마우스의 내부에 미세전류의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독립적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미세전류 발생기(25)로 연결되는 전력 공급 잭이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의 USB 포트와 미세전류 발생기(25)가 충전 케이블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기(25)에서 발생된 미세전류가 자극 형성 유닛(27)을 통하여 인체(H)로 전달될 수 있다.
자극 형성 유닛(27)은 1, 2 접촉 전극으로 전달되는 미세전류의 인가 방법을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펄스 형태, 펄스 크기, 인가 주기 또는 접촉 부위에 따른 미세전류의 크기와 같은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크기의 미세전류가 동일한 주기로 인가되면 미세전류의 인가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미세전류의 크기 또는 주기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미세전류의 인가 역전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전류의 인가 과정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미세전류의 인가 방향을 역전시키거나,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미세전류를 인가하거나, 반대 극성을 가지도록 미세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자극 형성 유닛(27)은 이와 같은 인가 역전 구간을 결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미세전류를 인체(H)에 인가할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기(25)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되어 인체에 미세전류를 인가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에 적용되는 전극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1 접촉 전극 또는 2 접촉 전극은 베이스 층(311); 베이스 층(311)의 위쪽에 형성된 전도 층(312); 및 전도 층(312)의 위쪽에 형성된 절연체 소재의 보호 층(3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우스의 외부 표면에 다수 개의 전극 부위(31, 32a, 32b, 33)가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전극 부위는 일정 크기를 가진 면 접촉 부위를 형성하면서 절연 분리 선(34)에 의하여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또는 덮개에 각각 적어도 하나이 전극 부위(31, 32a, 32b, 33)가 형성되면서 절연 분리 선(34)에 의하여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전극 부위(31, 32a, 32b, 33)가 인체에 접촉되어야 미세전류가 인체에 인가될 수 있다. 미세전류의 인가를 위한 스위치가 설치되고, 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미세전류의 인가가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전극 부위(31, 32a, 32b, 33)에 손바닥, 손가락 또는 다른 인체 부위가 접촉되면 미세전류가 인체에 인가될 수 있다.
베이스 층(311)은 마우스의 소재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합성수지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가 될 수 있다. 전극 부위(31, 32a, 32b, 33)의 형성을 위하여 베이스 층(311)에 전도 분말을 가진 코팅 성분에 의하여 코팅이 될 수 있고, 코팅 부위가 미세전류 발생기(25)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도 층(312)의 위쪽에 보호 층(313)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 층(313)은 절연체 소재로 만들어지면서 박막 형태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1 내지 5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도 층(312)에 비하여 매우 낮은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서로 다른 전극 부위(31, 32a, 32b, 33)에 형성된 보호 층(313)의 저항을 탐지하는 저항 탐지 유닛(36)이 배치될 수 있고, 저항 탐지 유닛(36)에 의하여 서로 다른 전극 부위에 대한 접촉이 탐지될 수 있다. 보호 층(313)은 인체 저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인체가 접촉되면서 저항이 낮아지고 이에 의하여 미세전류 발생기(25)로부터 미세전류가 인체로 유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전극 부위(31, 32a, 32b, 33)가 위에서 설명된 1, 2 접촉 전극이 될 수 있고, 전극 부위(31, 32a, 32b, 33)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는 구조적으로 변경되지 않으면서 미세전류가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는 사용자의 사용 습관에 관계없이 미세전류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유용한 자극이 인체에 인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는 인체에 유용한 자극이 조절된 형태로 인가되는 것에 의하여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사용에 따른 손목 또는 손가락의 피로가 쉽게 회복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덮개 12: 측면 부분
13: 바닥 면 14: 절연 테두리
16: 작동 표시 유닛 18: 외부 접속 부품
21: 제어 유닛 22: 접촉 탐지 유닛
23: 자극 설정 유닛 24: 작동 탐지 유닛
25: 미세전류 발생기 26: 전력 조절 유닛
27: 자극 형성 유닛 31, 32a, 32b, 33: 전극 부위
34: 절연 분리 선 36: 저항 탐지 유닛
151: 스위치 152: 조절 버튼
311: 베이스 층 312: 전도 층
313: 보호 층 B: 버튼
C: 케이블 H: 인체
W: 휠

Claims (1)

  1. 적어도 일부가 1 접촉 전극이 되는 덮개(11);
    적어도 일부가 2 접촉 전극이 되는 측면 부분(12);
    1 접촉 전극과 2 접촉 전극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절연 테두리(14); 및
    외부에 배치된 미세전류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1 접촉 전극과 2 접촉 전극에 손의 일부가 접촉되면 미세전류 발생기로부터 인체에 미세전류가 인가되며,
    1 접촉 전극 또는 2 접촉 전극은 베이스 층(311); 베이스 층(311)의 위쪽에 형성된 전도 층(312); 및 전도 층(312)의 위쪽에 형성된 절연체 소재의 보호 층(313)으로 이루어지고, 보호 층(313)은 전도층(312)에 비하여 낮은 전도성을 가지며 서로 다른 전극 부위(31, 32a, 32b, 33)에 형성된 보호 층(313)의 저항을 탐지하는 저항 탐지 유닛(36)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
KR1020200033096A 2020-03-18 2020-03-18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 KR20200032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096A KR20200032076A (ko) 2020-03-18 2020-03-18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096A KR20200032076A (ko) 2020-03-18 2020-03-18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247A Division KR20190109784A (ko) 2018-03-19 2018-03-19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076A true KR20200032076A (ko) 2020-03-25

Family

ID=7000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096A KR20200032076A (ko) 2020-03-18 2020-03-18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207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232A (ko) 2005-04-12 2006-10-17 비넥스트 이노-프로덕트 디벨럽먼트 리미티드 경피 전기 신경 자극 기능을 갖는 컴퓨터 마우스
KR20130049664A (ko) 2011-11-04 2013-05-14 이영순 미세전류 자극용 컴퓨터의 마우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232A (ko) 2005-04-12 2006-10-17 비넥스트 이노-프로덕트 디벨럽먼트 리미티드 경피 전기 신경 자극 기능을 갖는 컴퓨터 마우스
KR20130049664A (ko) 2011-11-04 2013-05-14 이영순 미세전류 자극용 컴퓨터의 마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740629U (zh) 保持经皮电神经刺激器设备的绷带组件装置
US20170113039A1 (en) Portable one-piece therapeutical apparatus with dual heating and low-frequency treatment functions
KR20060108232A (ko) 경피 전기 신경 자극 기능을 갖는 컴퓨터 마우스
JP2006271689A (ja) 刺激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717894B1 (ko) 건 타입 전극부를 구비한 중주파 치료기
KR20200032076A (ko)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
KR20190109784A (ko)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
KR101272904B1 (ko) 미세전류 자극용 컴퓨터의 마우스
KR20130073387A (ko) 인체 미세전류의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KR100843249B1 (ko) 마이크로커런트 펄스 자극장치
JP4759694B2 (ja) 美容機器
KR102238627B1 (ko) 말초신경전도 억제를 위한 경피성 전기 신경 자극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617162B (zh) 理疗套件
GB2519743B (en) Microcurrent electrical neuromuscular stimulator apparatus
KR102196663B1 (ko) 고주파와 기계적 자극을 이용한 지방분해 기기
JP2022036444A (ja) 電気刺激装置
WO2022080154A1 (ja) マッサージ器
KR101995524B1 (ko) 외부 전극체에 따라 최적 치료 모드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저주파 치료기
KR101829015B1 (ko)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마사지 방식의 운동기기
JPH07194711A (ja) 電気治療器用手袋
JPH11290462A (ja) 低周波治療器における治療器具
WO2023233963A1 (ja) 電気刺激装置
KR200496145Y1 (ko) 안마기
KR102666513B1 (ko) 전기식 괄사 마사지 장치
KR102666514B1 (ko) 전기식 괄사 마사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