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837A -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837A
KR20200031837A KR1020180110790A KR20180110790A KR20200031837A KR 20200031837 A KR20200031837 A KR 20200031837A KR 1020180110790 A KR1020180110790 A KR 1020180110790A KR 20180110790 A KR20180110790 A KR 20180110790A KR 20200031837 A KR20200031837 A KR 20200031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ottle
bottle
present
holder
hoo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숙
Original Assignee
김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숙 filed Critical 김미숙
Priority to KR1020180110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1837A/ko
Publication of KR20200031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2005/023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a fastening element of the garment, e.g.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83Beverage vessels, e.g. bottle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차, 커피 등을 저장하고 있는 음료 병을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 병의 병목 부분에 끼워져 체결된 뒤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개된 장착공을 매개로 음료 병의 병목 부분에 끼워져 체결된 뒤 숫후크부 및 암후크부의 결합 및 분리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Detachable beverage bottle holder}
본 발명은 물, 차, 커피 등을 저장하고 있는 음료 병을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 병의 병목 부분에 끼워져 체결된 뒤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에 대한 불신으로 음용수로서 외출 또는 나들이를 포함한 각종 레저 활동시 가벼운 합성수지 재질의 음료용기인 페트병 혹은 캔에 담겨진 생수나 음료수를 휴대하게 된다.
통상의 페트병은 여러 번 나눠서 마실 수 있도록 음료수가 담겨 있어 들고 다니면서 필요 시 꺼내서 음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부피로 원통형, 다각형 등 형상은 다양하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크기의 병마개와 잘록하게 형성된 병목을 구비하는 몸체로 구성되어 있는데, 별도로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몸통 전체를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이동시 들고 다니기가 불편하며, 마시고 남은 페트병은 다시 손으로 들고 다니거나 가방에 넣고 다녀야 하므로 휴대가 불편하며, 음용시 자주 꺼내고 집어넣어야 하므로 불편하고 또한 물병의 부피로 인하여 수납공간이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39913호(2004.01.28. 공고)의 휴대용 물병 걸이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일측에 결착구를 형성하고, 타측에 결속부를 형성하여 페트병을 휴대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 있는데, 상기 결착구가 관통된 홀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어 페트병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결착구가 가지는 탄성력으로 강제로 끼움 체결하여 페트병을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탄성력으로 강제로 끼움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힘이 필요하고, 반대로 페트병에서 결착구를 분리하기 위해서도 상당한 힘이 요구됨으로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료 병의 병목 부분에 끼워져 체결된 뒤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료 병의 병목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장착공은 일측이 절개되어 병목의 외주연으로 끼움할 때 탄성력에 의해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절개에 의해 양분된 각 지지부에는 숫형후크부가 각각 형성된 홀더; 및 사용자가 착용하는 의류, 허리벨트 혹은 가방과 같은 곳에 일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숫형후크부를 수용하여 홀더를 체결할 수 있도록 암형후크부가 형성된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개된 장착공을 매개로 음료 병의 병목 부분에 끼워져 체결된 뒤 숫후크부 및 암후크부의 결합 및 분리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의 작동 관계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의 작동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는 크게 홀더(10) 및 체결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10)는 음료 병의 병목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장착공(12)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장착공(12)은 일측이 절개되어 병목의 외주연으로 끼움할 때 탄성력에 의해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절개에 의해 양분된 각 지지부(14a,14b)에는 숫형후크부(16)가 각각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부재(20)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의류, 허리벨트 혹은 가방과 같은 곳에 일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숫형후크부(16)를 수용하여 홀더(1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암형후크부(22)가 형성된다.
즉,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10)에 형성된 각 지지부(14a,14b)를 양 측으로 벌리면서 음료 병(30)의 병목 부분에 끼움 장착하고, 각 지지부(14a,14b)에 구비된 숫형후크부(16)를 체결부재(20)의 암형후크부(22)에 삽입하는 원터치 방식에 의해 쉽고 편리하게 음료 병을 휴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숫형후크부(16)와 암형후크부(22)의 체결 방식은 각종 의류 혹은 가방류에서 널리 공지되어 사용되는 바,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20)의 일단은 조끼(40)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홀더(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료 병(30)의 병목 부분에 끼움 장착되면서 상기 체결부재(20)에 체결됨으로써 음료 병(30)을 휴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후크부를 매개로 원터치 방식으로 휴대 혹은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홀더 12 : 장착공
14a,14b : 지지부 16 : 숫형후크부
20 : 체결부재 22 : 암형후크부
30 : 음료 병 32 : 병목
40 : 조끼

Claims (1)

  1. 음료 병의 병목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장착공은 일측이 절개되어 병목의 외주연으로 끼움할 때 탄성력에 의해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절개에 의해 양분된 각 지지부에는 숫형후크부가 각각 형성된 홀더; 및
    사용자가 착용하는 의류, 허리벨트 혹은 가방과 같은 곳에 일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숫형후크부를 수용하여 홀더를 체결할 수 있도록 암형후크부가 형성된 체결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
KR1020180110790A 2018-09-17 2018-09-17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 KR20200031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790A KR20200031837A (ko) 2018-09-17 2018-09-17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790A KR20200031837A (ko) 2018-09-17 2018-09-17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837A true KR20200031837A (ko) 2020-03-25

Family

ID=7000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790A KR20200031837A (ko) 2018-09-17 2018-09-17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18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78451A1 (en) Portable carrier for beverage containers
US5328069A (en) Versatile beverage container cover
US9027806B1 (en) Beverage and pill carrier device
US20170325559A1 (en) Cup holder Apparatus and Method of Holding Cups and Other Beverage Containers
KR20190066803A (ko) 홀더 케이스를 포함하는 유아동용 텀블러
WO2016163924A1 (en) A drinking container with a holding arrangement
JP3125320U (ja) 飲料水用ペットボトルの吊垂ホルダー
US20050109803A1 (en) Water bottle holder
KR20200031837A (ko) 착탈식 음료 병 걸이장치
WO2008003128A1 (en) An insulated cover for a drinking vessel
US20130098958A1 (en) Bottle carrier
US20150076104A1 (en) Accessory and spill-proof cap for bottled beverage
US9656712B2 (en) Removable storage compartment system for bicycles
KR200427699Y1 (ko) 휴대용 물통 걸이구
KR200484515Y1 (ko) 휴대용 접이식 다용도 페트병 클립 홀더
KR200325404Y1 (ko) 페트병 휴대고리
KR101802072B1 (ko) 오프너 기능이 구비된 물병걸이
KR20150000275U (ko) 페트병 홀더
KR200195745Y1 (ko) 걸이수단을 갖는 음료용기
KR200269545Y1 (ko) 걸고리가 형성된 피트병 캡
KR200422351Y1 (ko) 용기 홀더
KR200339913Y1 (ko) 휴대용 물병 걸이장치
KR20110002234U (ko) 패트병 홀더
JP3070116U (ja) 清涼飲料ペットボトルキヤップ止め。
RU96559U1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подвески пластиковой бутылк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