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756A -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756A
KR20200031756A KR1020180110581A KR20180110581A KR20200031756A KR 20200031756 A KR20200031756 A KR 20200031756A KR 1020180110581 A KR1020180110581 A KR 1020180110581A KR 20180110581 A KR20180110581 A KR 20180110581A KR 20200031756 A KR20200031756 A KR 20200031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ustomer
smartphone
stor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 진 임
Original Assignee
종 진 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 진 임 filed Critical 종 진 임
Priority to KR1020180110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1756A/ko
Publication of KR20200031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3Inventory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건비 절감을 위해 무인 상점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모 편의점의 경우 고객이 구매할 상품들을 들고 POS가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내려 놓고 바코드 스캐너로 일일이 상품 바코드를 스캔한 후 화면에 뜨는 금액을 확인하고 신용카드를 신용카드 단말기에 삽입하고 결제한다.
그러다 보니 특히 여러 개의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상품을 바구니에 담아 POS가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다시 상품을 꺼내서 바코드 스캐너로 일일이 스캔해야 하고, 결제도 신용카드를 꺼내 신용카드 단말기에 삽입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다시 단말기에서 꺼내야 하기 때문에 구매하고 결제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고객이 물건을 그냥 들고 나가도 표시가 나지 않고, 한참 후에 재고를 확인할 때에 도난 사실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도난에도 취약하다.
본 발명은 고객이 스마트폰 앱을 실행한 후 상점 입구 바깥쪽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면 스마트폰 앱은 서버에 접속하여 핸드폰 번호를 전송하고, 고객이 상점에 입장한 후 상품 바코드를 스캔하면 스마트폰 앱은 서버에 바코드를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상품정보를 수신하여 상품명, 가격, 재고 등의 상품정보를 보여주고, 고객이 상품을 가상 장바구니에 담고, 구매할 상품을 모두 선택한 후 고객이 스마트폰으로 바로 결제하며, 퇴장할 때에도 역시 상점 입구 안쪽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고 퇴장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은 상품을 실제 장바구니에 담아 POS가 있는 위치로 이동하거나 상품을 다시 실제 장바구니에서 꺼내서 바코드를 스캔할 필요도 없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바로 결제하기 때문에 결제 과정도 간편하다.
상점은 POS 단말기도 필요 없고, 가격이 변경되거나 행사를 진행할 때에 가격표나 행사 내용을 인쇄하여 일일이 부착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고객이 직접 매장의 재고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도 크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 {The device and method to buy in unmanned store by smartphone}
QR코드, 스마트폰, 바코드, 모바일 결제
인건비 절감을 위해 무인 상점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모 편의점의 경우 고객이 구매할 상품들을 들고 POS가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내려 놓고 바코드 스캐너로 일일이 상품 바코드를 스캔한 후 화면에 뜨는 금액을 확인하고 신용카드를 신용카드 단말기에 삽입하고 결제한다.
그러다 보니 특히 여러 개의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상품을 바구니에 담아 POS가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다시 상품을 꺼내서 바코드 스캐너로 일일이 스캔해야 하고, 결제도 신용카드를 꺼내 신용카드 단말기에 삽입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다시 단말기에서 꺼내야 하기 때문에 구매하고 결제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고객이 물건을 그냥 들고 나가도 표시가 나지 않고, 한참 후에 재고를 확인할 때에 도난 사실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도난에도 취약하다.
본 발명은 고객이 스마트폰 앱을 실행한 후 상점 입구 바깥쪽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면 스마트폰 앱은 서버에 접속하여 핸드폰 번호를 전송하고, 고객이 상점에 입장한 후 상품 바코드를 스캔하면 스마트폰 앱은 서버에 바코드를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상품정보를 수신하여 상품명, 가격, 재고 등의 상품정보를 보여주고, 고객이 상품을 가상 장바구니에 담고, 구매할 상품을 모두 선택한 후 고객이 스마트폰으로 바로 결제하며, 퇴장할 때에도 역시 상점 입구 안쪽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고 퇴장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은 상품을 실제 장바구니에 담아 POS가 있는 위치로 이동하거나 상품을 다시 실제 장바구니에서 꺼내서 바코드를 스캔할 필요도 없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바로 결제하기 때문에 결제 과정도 간편하다.
상점은 POS 단말기도 필요 없고, 가격이 변경되거나 행사를 진행할 때에 가격표나 행사 내용을 인쇄하여 일일이 부착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고객이 직접 매장의 재고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도 크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흐름도의 예시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상품 검색 화면의 예시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장바구니 화면의 예시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취소 흐름도의 예시이다.
설명에 앞서 다음과 같이 용어를 정의한다.
가상 장바구니는 인터넷 쇼핑몰의 장바구니와 같이 고객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저장하는 가상의 장바구니를 의미한다.
실제 장바구니는 여러 개의 상품을 구매할 때에 상품을 담을 수 있도록 매장에서 제공하는 실제 장바구니를 의미한다.
본 설명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을 경우 가상 장바구니를 의미한다.
먼저 매장은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생성하여 매장 입구와 출구에 부착한다.
QR코드는 “CU 왕십리점”과 같이 브랜드와 매장 정보를 포함하고, 입구 또는 출구를 구분하여 생성한다.
즉, QR코드는 “CU 왕십리점 입구”, “CU 왕십리점 출구”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당연히 브랜드 전용 앱일 경우에는 브랜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을 편의점의 경우를 예로 들어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아울러 상점이나 본사 홈페이지를 이용할 수도 있고, 앱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여기에서는 앱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앱은 QR코드를 스캔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고객은 무인 매장을 방문하기 전에 앱을 설치한다.
회원에게만 무인 매장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먼저 회원 가입하고, 매장을 방문하기 전에 로그인한다.
1단계, 고객은 매장 입구의 QR코드를 스캔하고, 입장한다.
1-1단계, 고객은 매장 입구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한다.
1-2단계, 앱은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의 QR코드 정보와 고객의 ID 또는 핸드폰 번호 등 고객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1-3단계, 서버는 해당 매장의 출입문 개폐장치를 개방한다.
1-4단계, 고객은 출입문을 열고, 입장한다.
2단계, 고객은 매장 내에서 상품을 둘러보다가 스마트폰 앱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한다.
3단계, 스마트폰 앱은 상품 정보를 보여준다.
3-1단계, 스마트폰 앱은 상품 바코드를 서버로 전송한다.
3-2단계, 서버는 상품을 검색하여 상품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한다.
3-3단계, 스마트폰 앱은 도2와 같이 상품명, 가격, 재고 등 해당 상품의 정보를 보여준다.
이 때에 상품명, 가격 등 상품의 기본 정보 이외에 반드시 해당 매장의 재고를 보여준다.
이렇게 하면 상품을 스캔하지 않고 가져갈 경우 바로 표시가 나기 때문에 도난을 예방할 수 있고, 도난이 발생하더라도 다음 고객이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화면에 표시된 재고와 다를 경우 알려 달라”고 화면에 표기하거나 더 나아가 신고 제도나 포상 제도 등을 시행하여 고객이 신고하도록 할 수 있다.
상점 담당자가 재고 조사할 때에도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상품을 스캔하면 바로 재고를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아울러 원래 가격과 할인 가격, 1+1 행사 등의 내용을 화면에 보여주면 가격이 변경되거나 행사를 할 때마다 굳이 상품이나 매대에 가격이나 행사 내용을 인쇄해서 붙일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편리하다.
4단계, 고객은 상품을 확인하고, 장바구니에 추가한다.
4-1단계, 고객은 도2의 “장바구니 추가” 버튼을 클릭한다.
4-2단계, 앱은 고객이 선택한 상품과 수량을 서버로 전송한다.
4-3단계, 서버는 상품을 장바구니에 추가하고, 고객이 선택한 수량만큼 재고를 차감한다.
이후 고객이 상품을 검색하면 차감된 재고를 보여준다.
고객은 진열대에서 상품을 꺼내서 실제 장바구니에 담는다.
5단계, 고객은 추가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있으면 다시 2단계로 진행한다.
6단계, 고객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모두 선택한 후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결제한다.
6-1단계, 고객은 “장바구니” 버튼을 클릭한다.
6-2단계, 서버는 도3과 같이 장바구니에 저장된 상품 목록을 보여준다.
6-3단계, 고객은 상품을 확인한 후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하고, 여러가지 결제 수단 중 하나를 선택하고 결제한다.
7단계, 서버는 주문 내역을 저장한다.
이 때에 장바구니에 저장할 때에 이미 재고를 차감했기 때문에 주문을 저장할 때에는 재고를 차감하지 않는다.
8단계, 고객은 다시 상점 출구의 QR코드를 스캔하고, 상점에서 퇴장한다.
8-1단계, 고객은 매장 출구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한다.
8-2단계, 앱은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의 QR코드 정보와 고객의 ID 또는 핸드폰 번호 등 고객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8-3단계, 서버는 고객의 주문 내역을 확인하여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은 상태에서 결제하지 않고 그냥 나갈 경우에는 결제를 하거나 장바구니에 저장된 상품을 취소하라고 고객에게 안내한다.
스마트폰을 통해 안내할 수도 있고, 매장 스피커 등을 통해 안내할 수도 있다.
8-4단계, 서버는 해당 매장의 출입문 개폐장치를 개방한다.
8-5단계, 고객은 출입문을 열고, 퇴장한다.
상기에서 고객이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을 취소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
1단계, 고객은 “장바구니” 버튼을 클릭한다.
2단계, 서버는 장바구니에 저장된 상품 목록을 보여준다.
3단계, 고객은 취소할 상품을 선택하고, 삭제 버튼을 클릭한다.
4단계, 앱은 선택한 상품을 서버로 전송한다.
5단계, 서버는 장바구니에서 해당 상품을 삭제하고, 차감되었던 재고를 증가시킨다.
고객은 실제 장바구니에서 해당 상품을 꺼내서 다시 진열대에 올려 놓는다.
물론 고객이 상품을 하나만 구매할 경우에는 장바구니에 추가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결제 화면으로 이동하여 결제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주문을 저장할 때에 재고를 차감해야 하기 때문에 장바구니에 추가한 후 결제인지 즉시 결제인지 구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고객이 상품을 가상 장바구니에 담을 때 또는 결제할 때 또는 구매하고 퇴장할 때 또는 구매하지 않고 퇴장할 때 등 고객의 동작을 서버 또는 앱이 인지할 수 있으므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서버 또는 앱은 매장 내 스피커를 통해 각각 다른 내용의 멘트를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본인은 물론 주위 사람들이 구분할 수 있도록 하면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은 선택한 상품을 가지고 POS가 있는 위치로 이동하거나 상품을 다시 꺼내서 바코드 스캐너로 스캔할 필요도 없어 편리하고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바로 결제하기 때문에 결제 과정도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고객이 직접 매장의 재고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도 크다.
상기에서는 편의점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마트, 수퍼마켓 등 모든 오프라인 상점에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상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불과하며,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조 및 개조가 가능하다.
도면 참조

Claims (8)

  1. 오프라인 상점에서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상품 바코드를 스캔하면 상품명, 가격, 재고를 포함한 상품 정보를 보여주고,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결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
  2. 1항에 있어
    고객 스마트폰으로 상점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고객 스마트폰으로 상품 바코드를 스캔하면 상품명, 가격, 재고를 포함한 상품 정보를 보여주는 단계
    고객 스마트폰으로 결제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
  3. 1항 및 2항에 있어
    고객이 여러 개의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상품 바코드를 스캔하고 상품을 가상 장바구니에 추가하면 서버는 해당 상품의 재고를 차감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
  4. 3항에 있어
    고객이 가상 장바구니에 담긴 상품을 취소하기 위해 가상 장바구니에서 상품을 선택하고, 삭제하면 서버는 해당 상품의 재고를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
  5. 1항 및 2항에 있어
    고객 스마트폰에 변경된 가격이나 행사 내용을 보여줌으로써 가격이 변경되거나 행사를 진행할 때에 가격표나 행사 내용을 인쇄하여 일일이 부착할 필요가 없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
  6. 1항 및 2항에 있어
    고객이 상점에 입장할 때에 상점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여 서버에 접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
  7. 1항 및 2항 및 3항에 있어
    고객이 상점에서 퇴장할 때에 상점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여 서버에 접속하면 가상 장바구니에 상품을 저장하고, 결제하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 고객에게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
  8. 1항 및 2항 및 3항에 있어
    고객이 상품을 가상 장바구니에 담을 때 또는 결제할 때 또는 구매하고 퇴장할 때 또는 구매하지 않고 퇴장할 때와 같이 필요한 시점에 서버가 매장 내 스피커를 통해 각각 다른 내용의 멘트를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본인은 물론 주위 사람들이 구분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

KR1020180110581A 2018-09-15 2018-09-15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 KR20200031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581A KR20200031756A (ko) 2018-09-15 2018-09-15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581A KR20200031756A (ko) 2018-09-15 2018-09-15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756A true KR20200031756A (ko) 2020-03-25

Family

ID=7000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581A KR20200031756A (ko) 2018-09-15 2018-09-15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175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047B1 (ko) * 2020-06-08 2021-04-22 김종원 회원제 운영 기반 매장 무인결제 시스템
KR102292810B1 (ko) * 2021-01-11 2021-08-25 김종광 무인점포 운영 장치
KR20220008410A (ko) 2020-07-13 2022-01-21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고객과 상호작용하는 증강현실 무인 매장 장치
KR20220022954A (ko) 2020-08-19 2022-03-02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고객과 상호작용하는 증강현실 무인 매장 장치
KR20220097713A (ko) * 2020-12-30 2022-07-08 주식회사 코밴 비대면 결제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047B1 (ko) * 2020-06-08 2021-04-22 김종원 회원제 운영 기반 매장 무인결제 시스템
KR20220008410A (ko) 2020-07-13 2022-01-21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고객과 상호작용하는 증강현실 무인 매장 장치
KR20220022954A (ko) 2020-08-19 2022-03-02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고객과 상호작용하는 증강현실 무인 매장 장치
KR20220097713A (ko) * 2020-12-30 2022-07-08 주식회사 코밴 비대면 결제 방법
KR102292810B1 (ko) * 2021-01-11 2021-08-25 김종광 무인점포 운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175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 방법 및 장치
CN102713958B (zh) 促进使用无线智能设备购买商品或服务的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介质
CN103854174B (zh) 交易系统及方法
WO2019090236A1 (en) Transaction card with embedded premium content
CN102265316B (zh) 交易装置
US201103111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shopping activity through a wireless computing device
US20170364889A1 (en) Retail checkout systems and methods
US2014022268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transactions and monitoring in a retail environment
KR20150017781A (ko) 상품 고유코드를 이용한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744807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40023378A (ko) 마트 쇼핑용 상품 구매 시스템
WO2018193466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online and offline shopping platform
KR101824570B1 (ko) 고객 데이터 보호 및 유연한 방법에 의한 자동 가격할인 기능을 가진 소매용 판매단말기(pos) 처리시스템
WO2016024272A1 (en) Tax refund system
KR20140128105A (ko) 카드 혜택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512005B1 (ko) 입출정보에 근거한 쿠폰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004553A1 (en) Method for presenting individual advertising and price information in a shop
JP6718924B2 (ja) ナンバープレートによる決済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2094582A1 (en) Scan and go system and method
US10515420B2 (en) Method, system and software program for handling and storing purchase transactions between a user and a point-of-sale
KR2017014116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최적화된 쇼핑 방법
US20230206274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validating payment of in-store purchase offers provided to mobile devices
RU2704740C1 (ru) Способ продажи товаров в розничных магазинах
US201500814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fundraising and charitable giving at a point of sale
WO2017006344A2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cashless transac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on vending mach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