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337A - Car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Car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337A
KR20200031337A KR1020180110230A KR20180110230A KR20200031337A KR 20200031337 A KR20200031337 A KR 20200031337A KR 1020180110230 A KR1020180110230 A KR 1020180110230A KR 20180110230 A KR20180110230 A KR 20180110230A KR 20200031337 A KR20200031337 A KR 20200031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mart key
parking
park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2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조훈
백남석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18011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1337A/en
Publication of KR2020003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3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12Zone surveillance means, e.g. parking lots, truck de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8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brakes or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2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recording means, e.g. black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including: a smart key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for vehicle operation; an event detection unit capable of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that can occur when a vehicle is parked; and a smart key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n emergency alarm signal to the smart ke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in the vehicle parked through the event detection unit.

Description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CAR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CAR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 후 발생할 수 있는 긴급 상황에 대처하는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that responds to an emergency situation that may occur after parking.

자동차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자동차의 보급은 상용화되었으며, 자동차에도 다양한 종류의 첨단 전자 기술이 적용되어 자동차의 이용은 날로 편리해지고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automobile industry, the popularization of automobiles has been commercialized, and various types of advanced electronic technologies are applied to automobiles, thereby making the use of automobiles increasingly convenient.

기존에 차량의 도어를 열거나 시동을 거는데 사용되던 기계적 키(key)가, 최근에는 스마트키(smart key)로 대체되어 현재 출시되는 대부분의 차량에 기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The mechanical key used to open or start the door of a vehicle has been replaced with a smart key in recent years, and is basically applied to most vehicles on the market.

스마트키는 차량에 장착된 스마트키 ECU와의 통신을 통해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키와 스마트키 ECU를 통칭하여 스마트키 시스템이라 한다. 스마트키 시스템은 차량의 스마트키 ECU로부터 송신된 암호화된 LF 신호를 차주가 소지한 스마트키가 수신하면, 이 스마트키는 암호화된 RF 신호로 응답을 하게 되며, 이 암호의 일치 여부로 정상적인 차주로 인증해 차량의 도어를 열거나[엔트리(Entry) 기능], 시동을 걸 수 있게 한다[엔진 스타터(Engine Starter) 기능].The smart key operates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key ECU mounted on the vehicle. Generally, a smart key and a smart key ECU are collectively called a smart key system. The smart key system receives the encrypted L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s smart key ECU and the smart key owned by the vehicle owner responds with the encrypted RF signal. Authenticate to open the door of the vehicle (Entry function), or to start it (Engine Starter function).

하지만, 이러한 차량용 스마트키도 극히 한정된 기능만을 수행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such a smart key for a vehicle also has a problem of performing only a very limited func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차 후 발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긴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that can cope with various emergencies that can be issued after park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이 경사로에 주차된 경우 이를 원격제어장치로 알려줄 수 있는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that can inform a remote control device when a vehicle is parked on a ramp.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차 금지구역에 주차된 경우 이를 원격제어장치로 알려줄 수 있는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capable of informing a remote control device when parked in a no-parking zon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가 주차 후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이를 원격제어장치로 알려줄 수 있는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capable of informing a remote control device when a registered user terminal exists inside a vehicle after parking.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은 차량 조작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스마트키; 차량의 주차 완료 시 발생할 수 잇는 긴급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이벤트 감지부를 통하여 주차된 차량에 긴급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긴급 알람 신호를 상기 스마트키로 전송하는 스마트키 제어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includes a smart key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signals for vehicle operation; An event detection unit capable of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that may occur when parking of the vehicle is completed; And a smart key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n emergency alarm signal to the smart key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in the vehicle parked through the event detection unit.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에서 주차된 경우, 주차된 지면의 경사도를 감지하여 차량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차량 이동 감지부 또는 차량 전방을 촬상하고, 차량이 주차 금지 영역에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영상 촬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is parked while the side brake of the vehicle is released, the event detection unit photographs a vehicle movement detection unit or a vehicle front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by sensing the inclination of the parked ground, and the vehicle is prohibited from parking. It may include a video imaging module that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arking area.

또한, 상기 스마트키 제어 유닛은 등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키 제어 유닛은 차량 주차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차량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단말 알람 신호를 상기 스마트키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 주차 후 상기 스마트키가 차량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키의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스마트키 알람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key control unit can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registered user terminal, and if the smart key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is inside the vehicle after parking the vehic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terminal is determined. The terminal alarm signal is sent to the smart key,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mart key is inside the vehicle after the vehicle is parked, a smart key alarm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smart key is pres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 후 발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긴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that can cope with various emergencies that can be issued after parking.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이 경사로에 주차된 경우 이를 원격제어장치로 알려줄 수 있는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capable of informing a remote control device when a vehicle is parked on a ramp.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 금지구역에 주차된 경우 이를 원격제어장치로 알려줄 수 있는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that can inform a remote control device when parked in a parking prohibited zone.

본 발명에 의하면,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가 주차 후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이를 원격제어장치로 알려줄 수 있는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capable of informing a remote control device when a registered user terminal exists inside a vehicle after park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차 후속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차 후속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subsequ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subsequent to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unit of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subsequ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subsequent to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해당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실시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of "including" a specific configuration does not exclude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and means that additional configurations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dependently to indicate different characteristic functions, and do not mean that each component is composed of separate hardware or one software component. That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ach component is listed and included as each component, and at least two components of each component are combined to form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onents to perform functions. The integrated and separate embodiments of the compon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Also, some of the components are not essential components for performing essential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optional components for improving performa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including only components essential for realizing the es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components use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and structures including only essential components excluding optional components use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subsequ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예 따른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은 이벤트 감지부(100), 스마트키(300)를 제어하는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the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event detection unit 100 and a smart key control unit 200 that controls the smart key 300.

이벤트 감지부(100)는 차량 이동 감지부(110) 및 영상 촬상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고, 차량이 주차된 후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특히 응급 상황이나 긴급하게 대처해야 할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 감지부(100)는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개별적인 감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적인 감지 구성요소에서 감지된 내용을 통합하여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event detection unit 100 may include a vehicle movement detection unit 110 and an image pickup module 120 to detect events that may occur after the vehicle is parked, in particular an emergency or an emergency situation. You can. The event detection unit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dividual detection component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module that integrates and controls contents detected by the individual detection components.

차량 이동 감지부(110)는 주차 후 차량이 이동할 가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vehicle movement detector 110 may detect whether a vehicle is capable of moving after parking.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차량이 주차되었는지 여부는 주행 후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를 확인하여 판단할 수 있고, 차량의 주차 여부는 상술된 이벤트 감지부(100)의 제어 모듈에서 인지할 수도 있고, 후술되는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에서 시동 오프 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다.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can be determined by checking the start-off state of the vehicle after driving, and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can be recognized by the control module of the event detection unit 100 described above, described later.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may detect a start-off state.

차량 이동 감지부(110)는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에서 주차된 경우, 주차된 지면의 경사도를 감지하여 차량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movement detection unit 110 is parked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brake of the vehicle is released, the vehicle movement detection unit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by sensing the inclination of the parked ground.

차량의 사용자들은 주차 공간이 부족하여 이중 주차를 하게 되거나 인접하게 주차되어 있는 다른 차량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주차 후 사이드 브레이크를 해제시키고 차량에서 하자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사용자가 익숙하지 않은 곳이거나 장애물 또는 기타 요인으로 인하여 지면의 경사가 급변한 경우, 사용자가 지면의 경사를 고려하지 않고 사이드 브레이크를 해제하면 차량은 경사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이동할 수 있다. Vehicle users often do double parking due to lack of parking space, or release the side brake after parking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other vehicles parked adjacent to the vehicle. In this case, when the user is unfamiliar or when the slope of the ground changes rapidly due to an obstacle or other factors, the vehicle may be inclined or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lope if the user releases the side brake without considering the slope of the ground.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차량 이동 감지부(110)는 지면의 경사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경사도에서 해당 차량이 이동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감지된 경사도는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될 수 있고, 경사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차량이 이동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vehicle movement detection unit 110 may detect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and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rresponding vehicle moves in the sensed inclination. The sensed inclination can be compared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if the inclination exceeds the threshold,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vehicle will move.

경사도와 비교되는 임계값은 차량의 무게 및 지면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차량 이동 감지부(110)는 추가적으로 노면의 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다. 노면이 비포장 도로인지 또는 아스팔트인지에 따라, 또는 비와 같은 물이 노면에 있거나 눈 또는 얼음이 존재하는지에 따라 임계값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The threshold value to be compared with the inclination may be set to various values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and the state of the ground. To this end, the vehicle movement detection unit 110 may additionally sense the state of the road surface. The threshold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road surface is unpaved road or asphalt, or whether water such as rain is on the road surface or snow or ice is present.

영상 촬상 모듈(120)은 차량 전방을 촬상하고, 차량이 주차 금지 영역에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영상 촬상 모듈(120)은 차량 내부에 장착된 블랙 박스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촬상된 영상에서 특정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다양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imaging module 120 may image a vehicle front side and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a parking prohibited area. The image capturing module 12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black box mounted inside the vehicle, and may include an image analysis unit capable of extracting a specific image from the captured image and performing various judgments based on the extracted image. hav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을 주차한 곳이 주차 금지 구역이거나 견인 지역인 경우 이를 표시하는 영상이 블랙 박스에 의하여 촬상될 수 있다. 영상분석부는 이미 저장되어 있는 주차 금지를 표시하는 문양 또는 견인 지역을 표시하는 표식과 촬상된 영상을 비교하여 차량이 잘못 주차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parks a vehicle in a parking prohibited area or a towing area, an image indicating this may be captured by a black box. The image analysis unit may detect that the vehicle is parked incorrectly by comparing the captured image with a mark indicating a parking prohibition that has already been stored or a mark indicating a towing area.

이와 같은 이벤트 감지부(100)의 긴급 상황 감지는 차량이 주차되고 난 후 소정 동작 시간 이내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작 시간은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과 스마트키(300)가 통신할 수 있는 시간, 즉 스마트키(300)가 작동될 수 있는 사용자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동작 시간은 사용자가 주차 후 쉽게 다시 차량으로 돌아올 수 있는 수초 내지 수십 초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emergency detection of the event detection unit 100 is per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after the vehicle is parked, and the operation time is such that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and the smart key 300 can communicate. It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a time, that is, a user movement distance at which the smart key 300 can operate. For example, the operation time is preferably set to a few seconds to tens of seconds that the user can easily return to the vehicle after parking.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은 이벤트 감지부(100)를 통하여 주차된 차량에 긴급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긴급 알람 신호를 스마트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은 차량에 장착된 스마트키 ECU로 구현될 수 있고, 스마트키(300)와 통신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may transmit an emergency alarm signal to the smart key 3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in the parked vehicle through the event detection unit 100.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key ECU mounted on a vehicle, and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key 300.

이러한 통신 모듈은 RF(radio frequency) 모듈, LF(low frequency)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Wi-Fi(wireless-fidelit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RF) module, a low frequency (LF) module, a bluetooth module, or a wireless-fidelity (Wi-Fi) module.

긴급 알람 신호는 긴급 이벤트가 발생했다는 상황을 전달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고, 어떠한 긴급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는 신호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개별적인 긴급 이벤트가 구별될 수 있도록 차량 이동 감지부(110)에서 차량 이동 가능성이 감지되면 차량 이동 경고 신호가 스마트키(300)로 전송될할 수 있고, 영상 촬상 모듈(120)에서 주차 구역이 잘못된 것으로 감지되면 주차 오류 신호가 스마트키(30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emergency alarm signal may be a signal for transmitting a situation in which an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or may be a signal capable of distinguishing whether an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For example, when a vehicle movement possibility is detected by the vehicle movement detection unit 110 so that individual emergency events can be distinguished, a vehicle movement warn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mart key 300, and the image imaging module 120 may If the parking area is detected as wrong, a parking error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mart key 300.

스마트키(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31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RF(radio frequency) 모듈, LF(low frequency)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Wi-Fi(wireless-fidelity)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과 통신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the smart key 3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10 and a user interface unit 320.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RF) module, a low frequency (LF) module, a bluetooth module, or a wireless-fidelity (Wi-Fi) module, through which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Can communicat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는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구성 요소로서,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나 점멸 소자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unit 320 is a component capable of informing a user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and may include a speaker that generates sound, a flashing element, or a display unit that can display an image.

스마트키(300)가 수신한 긴급 알람 신호는 스피커를 통하여 비프음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고, 다양한 색을 점멸할 수 있는 점멸등을 통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가 디스플레이부라면 다양한 영상을 통하여 긴급 알람 신호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mergency alarm signal received by the smart key 300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s a beep sound through the speaker, or may be displayed through a flashing light capable of flashing various colors. Of course, if the user interface unit 320 is a display unit, a user may receive an emergency alarm signal through various image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차 후속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예 따른 긴급 알람 신호의 생성 및 제공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subsequent to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n emergency alarm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mmarized as follows with reference to FIG. 2.

우선, 사용자가 시동을 오프 상태로 하고 차량에서 멀어지면, 이벤트 감지부(100) 또는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은 시동 오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First, when the user turns off the engine and moves away from the vehicle, the event detection unit 100 or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may detect the start-off state.

단계 210에서, 시동 오프 상태 후, 이벤트 감지부(100)의 차량 이동 감지부(110)는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210, after the start-off state, the vehicle movement detection unit 110 of the event detection unit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side brake of the vehicle is released.

단계 220에서, 판단 결과, 사이드 브레이크가 해제되었다면, 차량 이동 감지부(110)는 지면의 경사도를 감지할 수 있다.In step 220,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if the side brake is released, the vehicle movement detection unit 110 may detect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단계 230에서, 차량 이동 감지부(110)는 감지된 지면의 경사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230).In operation 230, the vehicle movement detection unit 110 may additionally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slope of the ground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230).

사이드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에서 지면의 경사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차량이 지면에서 이동하거나 미끄러질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차량 이동 감지부(110)는 감지 결과를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에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exceeds the threshold when the side brake is released, sinc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vehicle moves or slips on the ground, the vehicle movement detection unit 110 detects the detection result by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

단계 240에서,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은 차량 이동에 대한 위험을 알리는 긴급 알람 신호, 즉 차량 이동 경고 신호를 스마트키(300)로 전송할 수 있다.In operation 240,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may transmit an emergency alarm signal informing of the danger of the vehicle movement, that is, the vehicle movement warning signal to the smart key 300.

단계 210에서, 판단 결과 사이드 브레이크가 해제된 것이 아니고, 단계 230에서 감지된 경사도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주차 후 차량 이동 가능성은 매우 낮으므로, 다음 긴급 상황에 대한 감지가 단계 250에서 수행된다. In step 210, if the side brake is not released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and the inclination detected in step 230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the possibility of moving the vehicle after parking is very low, so that detection of the next emergency situation is performed in step 250 do.

단계 250에서, 이벤트 감지부(100)의 영상 촬상 모듈(120)은 차량 주변을 촬상하여 차량이 주차 금지 구역에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250, the image imaging module 120 of the event detection unit 100 may image the vehicle surroundings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a parking prohibited area.

단계 260에서, 만약, 차량이 주차 금지 구역에 주차되어 있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은 주차 오류에 대한 신호를 스마트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의 주차 후 소정 시간 이내에, 바람직하게는 주차 영역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주차 금지 구역에 주차시켰음을 알 수 있게 된다. In step 260, if the vehicle is parked in a no-parking zone, as described above,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may transmit a signal for a parking error to the smart key 300. The user can know that the vehicle has been parked in a no-parking zon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parking of the vehicle, preferably in a situation that does not significantly deviate from the parking area.

반면, 차량이 주차 금지 구역에 주차된 것이 아니면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은 긴급 알람 신호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On the other hand, if the vehicle is not parked in the no parking zone,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does not need to generate an emergency alarm signal.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이동 위험에 따른 긴급 이벤트가 먼저 감지되고 그 후에 주차 금지 구역에 주차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감지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an emergency event according to the danger of vehicle movement is first detected and then parked in a no-parking zo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detection order may be changed.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3A and 3B are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unit of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으로부터 스마트키(300)로 전송된 긴급 알람 신호는 도 3a 또는 도 3b와 같이 다양한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The smart key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display unit as a user interface unit, and the emergency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to the smart key 300 may include various images as shown in FIG. 3A or 3B. Can be provided to the user.

도 3a의 왼쪽에 도시된 스마트키(3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격자 무늬 패턴(A)이 표시되고, 오른쪽에 도시된 스마트키(3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도트 패턴(B)이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키(300)가 차량 이동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 격자 무늬 패턴이 표시되고, 주차 오류 신호를 수신하면 도트 패턴이 표시될 수 있다,A grid pattern 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 key 300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3A, and a dot pattern B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 key 300 shown on the right side. For example, when the smart key 300 receives a vehicle movement warning signal, a plaid pattern may be displayed, and when a parking error signal is received, a dot pattern may be displayed.

이는 사용자가 서로 상이한 패턴의 문양을 통하여 긴급 알람 신호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문양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단순한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This allows the user to distinguish the emergency alarm signal through patterns of different patterns, and the pattern is preferably a simple pattern that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by the user.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에는 일정한 패턴이 표시되고, 패턴의 색상이 다양하게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긴급 알람 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더 긴급 상황으로 인식될 수 있는 차량 이동 경고 신호는 붉은 색으로, 주차 오류 신호는 주황색 또는 붉은 색과 쉽게 구별되는 푸른 색으로 표시되 수 있다.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certain patter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color of the pattern is variously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emergency alarm signal. At this time, the vehicle movement warning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as a more urgent situation may be displayed in red, and the parking error signal may be displayed in orange or blue, which is easily distinguished from red.

도 3b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알람 신호가 표시되는 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 알람 신호는 색이나 패턴이 아닌 긴급 상황을 알려주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3B illustrates an image in which an emergency alarm signal is display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the emergency alarm signal may be displayed as an image notifying the emergency situation, but not the color or pattern.

도 3b의 왼쪽에는 차량 이동을 경고하기 위하여 경사진 지면에서 차량이 미끄러지는 영상(C)이 도시되어 있고, 오른쪽에는 주차 금지 구역에 주차된 것을 경고하기 위하여 주차 또는 견인 금지 표시(D)가 도시되어 있다. On the left side of FIG. 3B, an image (C) of the vehicle sliding on the inclined ground to warn the vehicle movement is shown, and on the right side, a parking or towing prohibition mark (D) is shown to warn that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no parking area It is done.

사용자는 주차 후 스마트키(300)로 전송된 이와 같은 영상을 통하여 직관적으로 차량의 주차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차량으로 돌아가 주차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the parking of the vehicle is wrong through the image transmitted to the smart key 300 after parking, and return to the vehicle to check the parking st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긴급 알람 신호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쉽게 긴급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이를 알려주는 비프음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비프음을 통하여 긴급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고, 도 3a 또는 도 3b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어떠한 종류의 긴급 상황이 발생했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emergency alarm sig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beep sound is genera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The user can know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hrough a beep, and it is possible to grasp what kind of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shown in FIG. 3A or 3B.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에 관한 블럭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subsequ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은 도 2에 포함되어 있던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 및 스마트키(300)로 구성될 수 있고,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은 스마트키(300) 이외에 사용자 단말기(400)와 통신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the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a smart key control unit 200 and a smart key 300 included in FIG. 2, and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is a smart key In addition to the 300,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400.

사용자 단말기(400)는 휴대용 전화기, 태플랫 PC와 같이 사용자가 차량 내부로 쉽게 휴대할 수 있고, 주차 후 차량 내부에 두고 내릴 가능성이 높은 전자기기일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400 may be an electronic device that a user can easily carry inside the vehicle, such as a portable telephone or a tap-flat PC, and is likely to leave and leave inside the vehicle after parking.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은 차량 주차 후 사용자 단말기(400)가 차량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400)의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단말 알람 신호를 스마트키(300)로 전송할 수 있다. After determining that the user terminal 400 is inside the vehicle after parking the vehicle,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may transmit a terminal alarm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400 is present to the smart key 300.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400)는 사전에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에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일정한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은 사용자 단말기(400)와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 단말기(400)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의 차량 내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의 범위는 차량 시스템이나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400 may be registered in advance with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The user terminal 400 may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to transmit a constant response signal in response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For example, when short-range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the user terminal 400,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terminal 400 exists inside the vehicle. The range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400 exists in the vehicle may be changed by the vehicle system or the user's setting.

차량 내 사용자 단말기(400)를 두고 온 사용자는 스마트키(300)로 수신된 단말 알람 신호를 통하여 주차 후 차량에서 멀어지기 전에 차량으로 돌아가 사용자 단말기(400)를 찾을 수 있다. 단말 알람 신호는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특한 패턴이나 구체적인 이미지로 스마트키(300)에 표시될 수 있다.A user who leaves the user terminal 400 in the vehicle may return to the vehicle and search for the user terminal 400 after parking after moving through the terminal alarm signal received by the smart key 300. The terminal alarm signal may be displayed on the smart key 300 in a unique pattern or a specific image as shown in FIG. 3A or 3B.

한편, 다른 예에 따르면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은 차량 주차 후 스마트키(300)가 차량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마트키(300)의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스마트키 알람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when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smart key 300 is inside the vehicle after parking the vehicle, the smart key alarm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smart key 300 is present is displayed in the user terminal ( 40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가 아닌 스마트키(300)를 차량에 두고 내릴 수 있다. 시동이 오프되면,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키(300)의 차량 내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하여 사용자게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스마트키(300)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스마트키(300)의 부재에 대응할 수 있다. The user may leave the smart key 300 instead of the user terminal 400 in the vehicle. When the ignition is turned off,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may check whether the smart key 300 is present in the vehicl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transmit the confirmed result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300 and cope with the absence of the smart key 300.

스마트키 알람 신호는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특한 패턴이나 구체적인 이미지로 사용자 단말기(400)에 표시될 수 있다.The smart key alarm signal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400 in a unique pattern or a specific image as shown in FIG. 3A or 3B.

스마트키(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스마트키(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가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과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과, 스마트키 알람 신호 또는 단말 알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과 수행하는 통신 방식은 상이할 수 있다. 즉, 스마트키(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는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과 두 종류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통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근처에 존재하더라도 스마트키(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차량 내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Short-range communication performed by the smart key 300 or the user terminal 400 with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to confirm whether the smart key 300 or the user terminal 400 exists in the vehicle, and the smart key The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with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to receive an alarm signal or a terminal alarm signal may be different. That is, the smart key 300 or the user terminal 400 communicates with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based on two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so that the smart key 300 or the user terminal ( 400).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은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이 아닌 사용자 단말기(400)와 통신할 수 있는 다른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체 제어 모듈이 사용자 단말기(40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은 차체 제어 모듈과 CAN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400)의 차량 내 존재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may include another control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400 other than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for example, the vehicle body control module may include a user terminal ( 400). In this case,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may recognize whether the user terminal 400 exists in the vehicle through CAN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body control modul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차 후속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차량 내 스마트키(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가 존재하는 경우의 후속 제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subsequent to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subsequent control when the smart key 300 or the user terminal 400 in the vehicle is present.

우선, 단계 510에서, 시동 오프 상태가 되면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 또는 차체 제어 모듈은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400)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First, in step 510, when the start-off state,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or the body control module may determine whether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400 exists in the vehicle.

단계 520에서, 감지 결과,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400)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면,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은 단말기가 차량 내 존재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단말 알람 신호를 스마트키(300)로 전송할 수 있다(520).In step 520,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if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400 exists in the vehicle,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transmits a terminal alarm signal to the smart key 300 to inform that the terminal exists in the vehicle. It can be (520).

단계 530에서, 반면,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400)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은 스마트키(300)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cted in step 530 that the registered user terminal 400 does not exist in the vehicle,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smart key 300 exists in the vehicle. .

스마트키(300)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의 제어는 종료되고, 스마트키(300)로는 단말 알람 신호만이 전송되고,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400)이 차량 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If the smart key 300 does not exist inside the vehicle, the control of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is terminated, and only the terminal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mart key 300, and the user owns the user terminal 400 in the vehicle. I know what exists.

하지만, 스마트키(300)가 차량 내부에 존재한다면 이는 스마트키(300)와 사용자 단말기(400) 모두가 차량 내 존재하는 경우가 된다. 이 경우. 즉, 단계 540에서, 차량에서는 외부로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차량에서 발생된 경고음을 통하여 자신이 차량에 스마트키(300) 및 사용자 단말기(400) 모두를 두고 온 것을 인식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smart key 300 is present in the vehicle, this is the case where both the smart key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are present in the vehicle. in this case. That is, in step 540, the vehicle may transmit a warning sound to the outside, and the user may recognize that he has left both the smart key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in the vehicle through the warning sound generated in the vehicle. .

단계 510으로 돌아가서, 사용자 단말기(400)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단계 531에서, 단계 530과 동일하게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은 스마트키(300)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530과 단계 531는 후속적인 제어 방법이 상이하므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Returning to step 510, if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terminal 400 does not exist in the vehicle, in step 531,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like in step 530, determines whether the smart key 300 exists in the vehicle. Can judge. Steps 530 and 531 are displayed separately because the subsequent control methods are different.

스마트키(300)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차량 내부에는 스마트키(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 모두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의 제어는 종료된다.If the smart key 300 does not exist in the vehicle, the control of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ends because neither the smart key 300 nor the user terminal 400 exists in the vehicle.

한편, 스마트키(300)가 차량 내부에 존재한다면, 이는 차량 내부에 스마트키(300)가 존재하는 경우이므로, 단계 550에서, 스마트키 제어 유닛(200)은 사용자 단말기(400)로 스마트키 알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smart key 300 is present in the vehicle, this is because the smart key 300 is present in the vehicle, in step 550, the smart key control unit 200 is a smart key alarm to the user terminal 400 Signals can be transmitted.

이와 같이, 차량 내부에 스마트키(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두고 주차한 경우, 사용자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mart key 300 or the user terminal 400 is parked inside the vehicle, the user can quickly and accurately grasp i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 및 도 5를 참조로 설명되었던 긴급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모두 감지하는 제어도 가능하며, 복수의 긴급 이벤트를 감지하는 순서는 기설정될 수도 있고 임의적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sequentially detecting all of the emergency ev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5, and the order of detecting a plurality of emergency events may be preset or arbitrary.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차량을 주차 시킨 후 발생할 수 있는 긴급 상황을 감지하고 이를 스마트키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적절하게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that may occur after a user parks a vehicle and notifying the user appropriately through a smart key or a user terminal are provid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자동차의 주차 후속 제어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parking of a vehicle as described above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media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disk management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explanation, not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벤트 감지부
110: 차량이동 감지부 120: 영상촬상모듈
200: 스마트키 제어유닛
300: 스마트키
310: 통신부 5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00: event detection unit
110: vehicle movement detection unit 120: video imaging module
200: smart key control unit
300: smart key
310: communication unit 500: user interface unit

Claims (3)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조작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스마트키;
차량의 주차 완료 시 발생할 수 있는 긴급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는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이벤트 감지부를 통하여 주차된 차량에 긴급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긴급 알람 신호를 상기 스마트키로 전송하는 스마트키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
In the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A smart key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s for vehicle operation;
An event detection unit capable of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that may occur when parking of the vehicle is completed; And
And a smart key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n emergency alarm signal to the smart key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in the vehicle parked through the event detec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에서 주차된 경우, 주차된 지면의 경사도를 감지하여 차량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차량 이동 감지부 또는
차량 전방을 촬상하고, 차량이 주차 금지 영역에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영상 촬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vent detection unit,
When the vehicle is parked while the side brake is released, the vehicle movement detection unit can detect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by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parked ground or
And an image capturing module capable of imaging the vehicle fron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a parking prohibited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제어 유닛은 등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키 제어 유닛은 차량 주차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차량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단말 알람 신호를 상기 스마트키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 주차 후 상기 스마트키가 차량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키의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스마트키 알람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후속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key control unit can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registered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is inside the vehicle after parking the vehicle, the smart key control unit transmits a terminal alarm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present to the smart key,
After the vehicle is park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mart key is inside the vehicle, a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a smart key alarm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smart key is present to the user terminal.
KR1020180110230A 2018-09-14 2018-09-14 Car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KR202000313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230A KR20200031337A (en) 2018-09-14 2018-09-14 Car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230A KR20200031337A (en) 2018-09-14 2018-09-14 Car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337A true KR20200031337A (en) 2020-03-24

Family

ID=7000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230A KR20200031337A (en) 2018-09-14 2018-09-14 Car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133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39982A (en) * 2022-07-12 2022-10-04 郑州森鹏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Vehicle authority authoriza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39982A (en) * 2022-07-12 2022-10-04 郑州森鹏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Vehicle authority authoriz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5734B2 (en) Automatic driving system for automatically driven vehicle
US2018021534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information exchange in vehicles
US9846431B2 (en) Method for making a remotely operated control of a motor vehicle secure using a mobile terminal
US201601522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information exchange in vehicles
WO2017134897A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processing method
KR101848236B1 (en) Drone for photographing car and system for monitoring car using thereof
US20070088488A1 (en) Vehicle safety system
EP1720745B1 (en) Anti-theft system and anti-theft device for vehicle detecting radio wave jamming
CN105894810B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vehicle travelling in a parking area
MX2014014194A (en) Autonomous vehicle identification.
CN104252722A (en) Integrated vehicle traffic camera
KR101955099B1 (en) Parking position detecting system and parking control notification system having this same
CN108107810B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arking spot lock
KR101651008B1 (en) Monitoring device of a handicapped person's parking zone
KR101861525B1 (en)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for autonomous car
KR1021137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lack Box Function Using Wire and Wireless Gateway
JP5627369B2 (en) In-vehicle operation recording device
KR101125131B1 (en) Blackbox for vehicle, Blackbox system and Controlling methdo for the same
WO2018058273A1 (en) Anti-theft method and system
CN111064921A (en) Vehicle monitoring method, system and monitoring terminal
KR20200031337A (en) Car parking follow-up control system
JP3732114B2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CN103350684A (en) Automobile parking safety protector
CN203746234U (en) Automatic uploading system of vehicle peccancy information
KR20150121775A (en) Method for Service Real-Time Security of Vehicle using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