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255A -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255A
KR20200031255A KR1020180110029A KR20180110029A KR20200031255A KR 20200031255 A KR20200031255 A KR 20200031255A KR 1020180110029 A KR1020180110029 A KR 1020180110029A KR 20180110029 A KR20180110029 A KR 20180110029A KR 20200031255 A KR20200031255 A KR 20200031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distance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승
Original Assignee
환영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환영기술(주) filed Critical 환영기술(주)
Priority to KR1020180110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1255A/ko
Publication of KR20200031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변동되는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공유하는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및 미러 사이의 제1 거리와, 미러 및 사용자 사이의 제2 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하여 사용자의 형상과 게임 영상 간의 현실적이고 정교한 인터랙션 콘텐츠를 제공하고,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짧은 시간에 저비용으로 공유한다.

Description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SHARING OF IMAGE DATA OR VIDEO DATA FOR INTERACTION CONTENT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영상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해 입체 콘텐츠 또는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입체 콘텐츠 또는 인터랙션 콘텐츠 제작에 관련된 많은 기술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입체 콘텐츠 또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제작 기술은 기존의 2차원 평면 영상과는 달리 사람이 보고 느끼는 실제 영상과 유사하여 시각정보의 질적 수준을 한층 높여주는 새로운 개념의 실감형 영상미디어로서 차세대 디지털 영상 문화를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입체 콘텐츠 또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제작 기술은 차세대 영상 가시화 분야 개발의 핵심기술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기존의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입체 콘텐츠 또는 인터랙션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영상 데이터에 다양한 콘텐츠 및 컴퓨터 그래픽(Computer Graphics; CG) 효과를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로 인하여, 기존에는 입체 콘텐츠 또는 인터랙션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었으며, 입체 콘텐츠 또는 인터랙션 콘텐츠에 사용자의 움직임과 콘텐츠 간의 불완전한 요소가 포함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전술한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고도의 현실감을 느낄 수 있는 인터랙션 콘텐츠를 비교적 짧은 시간에 그리고 비교적 저비용으로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인터랙션 콘텐츠를 촬영하며,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짧은 시간에 저비용으로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공유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및 미러 사이의 제1 거리와, 미러 및 사용자 사이의 제2 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하여 사용자의 형상과 게임 영상 간의 효율적이고 현실적인 인터랙션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게임 영상에 적용함으로써, 3차원 게임 영상, 홀로그램 영상, 증강현실 영상과 같은 다양한 게임 영상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콘텐츠 및 사용자의 형상을 반사적이고 부분적으로 제공하는 미러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부, 상기 미러부에서 제2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 영상 촬영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어 상기 콘텐츠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는 동일한 거리 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미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게임 영상과 같은 상기 콘텐츠를 투과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형상을 반사하며, 상기 콘텐츠와 상기 사용자의 형상 간의 상기 인터랙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션 감지부는 복수의 카메라, 센서 및 프로젝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미러부에서 상기 제2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용자의 위치, 동작 및 입체 형상의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영상 촬영 기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인터랙션 콘텐츠의 과정을 촬영하여 기 설정된 크기, 이미지(image) 또는 비디오(video) 형태의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또는 상기 인터랙션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대응하는 비디오 형태의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 또는 외부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외부 서버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Sites) 서버 또는 동영상 서버이며, 수신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은 상기 인터랙션 콘텐츠로 인한 사용자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출력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변화하는 상기 인터랙션 콘텐츠 또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변동되는 상기 제2 거리에 대해 상기 사용자에게 위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상기 출력 정보를 제공하거나, 변동되는 상기 제2 거리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거리를 이동시켜,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의 동일한 거리 값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게임 영상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콘텐츠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위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상기 출력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1 거리를 이동시켜,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의 거리 값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과금 정보를 청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재생 시간, 화질, 크기 및 개수에 대한 각기 다른 과금 비율을 적용하여 상기 과금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과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청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공유하는 데이터 공유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미러부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형상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반사적이고 부분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모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 영상 촬영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어 제공되는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미러부 사이의 제1 거리, 및 상기 미러부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사이의 제2 거리는 동일한 거리 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인터랙션 콘텐츠를 촬영하며,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짧은 시간에 저비용으로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및 미러 사이의 제1 거리와, 미러 및 사용자 사이의 제2 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하여 사용자의 형상과 게임 영상 간의 효율적이고 현실적인 인터랙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움직임을 게임 영상에 적용함으로써, 3차원 게임 영상, 홀로그램 영상, 증강현실 영상과 같은 다양한 게임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감지 모듈 및 모션 인식 모듈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의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공유하는 데이터 공유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인터랙션 콘텐츠(interaction contents)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공유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은 콘텐츠 제공부(110), 모션 감지부(120), 데이터 획득부(130) 및 데이터 전송부(140)를 포함한다.
콘텐츠 제공부(110)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11)와, 디스플레이부(111)에서 제1 거리(101)만큼 이격되어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11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및 사용자의 형상(10)을 반사적이고 부분적으로 제공하는 미러부(11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1)는 게임 영상 또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11)는 게임 영상 중 전경 영상(foreground image) 및 배경 영상(background image)의 전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메뉴버튼이나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영상, 사용자에게 게임 영상,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이미지, 캐릭터, 게임 영상에 관련된 콘텐츠 또는 컴퓨터 그래픽 효과의 콘텐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1)는 영상을 출력하는 패널로 LCD 패턴(TFT-LCD)일 수 있으나, LED 또는 OLED 모니터일 수 있고,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투명한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111)는 프로젝터 빔일 수 있으며, 빔을 통해 미러부(112)로 게임 영상을 디스플레이 또는 조사할 수도 있다.
미러부(112)는 디스플레이부(11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게임 영상과 같은 콘텐츠를 투과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형상을 반사하며, 콘텐츠와 사용자의 형상(10) 간의 인터랙션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 때, 미러부(112)는 디스플레이부(111)와 제1 거리(101)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 거리(101)에 동일한 거리 값을 나타내는 제2 거리(102)만큼 모션 감지부(120) 또는 사용자(10)가 위치하므로, 미러부(112)는 투과되는 콘텐츠(또는 게임 영상) 및 반사되는 사용자의 형상(10) 간의 인터랙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미러부(112)는 가로, 세로, 높이는 디스플레이부(111)와 동일한 것을 기본으로 하나, 디스플레이부(111)가 프로젝터 빔인 경우, 디스플레이 또는 조사되는 콘텐츠의 크기가 미러부(112)와 동일한 사이즈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에 의해 인터랙션 콘텐츠가 제공되는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디스플레이부(111)에서 게임 영상에 관련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10)는 미러부(112)를 통해 투과되는 콘텐츠에 따른 행동을 수행하며, 콘텐츠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미러부(112)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변화되어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투과하고, 콘텐츠에 따라 움직이는 사용자(10)의 형상을 반사하며, 변화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및 움직임이 발생하는 사용자(10)의 형상 간의 인터랙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랙션 콘텐츠(interaction contents)란, 사용자의 형상(10)에 대응하는 게임 영상, 콘텐츠 및 서비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는 왕관, 사용자의 손 위에 올려진 사과의 크기, 사용자에게 다가오는 장애물 또는 사용자에게서 멀어지는 장애물과 같이 사용자의 움직임 동작에 의해 변화하거나 발생하는 게임 영상에 관련된 컴퓨터 그래픽 효과, 및 사용자의 형상에 따라 변화되는 콘텐츠를 일컫을 수 있다. 또한, 인터랙션 콘텐츠는 게임 영상, 콘텐츠, 아이콘 외에 진동, 연기, 냄새, 바람, 조명 및 사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션 감지부(120)는 미러부(112)에서 제2 거리(102)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모션 감지부(120)는 복수의 카메라, 센서 및 프로젝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미러부(112)에서 제2 거리(102)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용자(10)의 위치, 동작 및 입체 형상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팔, 손, 다리, 발, 머리, 몸통 등의 움직임과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물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 사용자가 입고 있는 물건(예를 들면, 헬멧, 모자, 옷, 장갑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 사용자가 잡고 있는 물건(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 게임용 도구, 운동 도구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러부(112)에서 제2 거리(102)만큼 이격된 지점에 사용자(10)가 위치하여 움직이는 경우, 모션 감지부(120)는 복수의 카메라, 센서 및 프로젝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10)의 위치, 동작 및 입체 형상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모션 감지부(120)는 동일한 거리 값을 나타내는 제1 거리(101) 및 제2 거리(102)에 따라, 미러부(112)에서 제2 거리(102)만큼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며, 사용자를 위치시키는 위치 지점일 수 있다. 더욱이, 모션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1) 및 미러부(112)와 같은 패널 또는 기기를 나타내는 것이 아닌, 지점, 위치 또는 공간을 지정할 수 있다.
모션 감지부(120)의 부근에는 복수의 카메라, 센서 및 프로젝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션 인식 모듈이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모션 감지부(120)는 사용자(10)의 측면,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모션 인식 모듈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션 감지부(120)는 미러부(112)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모션 인식 모듈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데이터 획득부(130)는 영상 촬영 기기(131)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어 콘텐츠 제공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데이터 획득부(130)는 영상 촬영 기기(131)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과정을 촬영하며, 기 설정된 크기, 이미지(image) 또는 비디오(video) 형태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촬영 기기(131)는 카메라일 수 있으며, 미러부(112)에 투과 또는 반사되는 인터랙션 콘텐츠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또는 게임 영상) 및 콘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인터랙션 콘텐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영상 촬영 기기(131)는 미러부(112)에 의해 투과 또는 반사되는 콘텐츠 및 사용자의 형상 간의 인터랙션 콘텐츠를 촬영하며, 데이터 획득부(130)는 영상 촬영 기기(131)를 통해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획득부(130)는 사용자(10)에 의해 설정된 시간,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재생 시간 또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의 길이만큼 비디오 형태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10)의 형상을 제외한 인터랙션 콘텐츠를 포함한 것일 수 있으며,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10)의 신체 일부를 포함한 인터랙션 콘텐츠를 포함한 것일 수도 있다.
데이터 전송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10)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 또는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부 서버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Sites) 서버 또는 동영상 서버이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단말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10) 외에 제3의 사용자가 소지할 수도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 기기로,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바일 단말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컴퓨터, 노트북,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및 태블릿 PC(table P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해 다른 단말들 및/또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은 인터랙션 콘텐츠로 인한 사용자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출력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변화하는 인터랙션 콘텐츠 또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변동되는 제2 거리(102)에 따라 사용자에게 위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출력 정보를 제공하거나, 변동되는 제2 거리(102)에 대응하도록 제1 거리(101)를 이동시켜, 제1 거리(101) 및 제2 거리(102)의 동일한 거리 값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10)의 움직임에 따라 변동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제1 거리(101) 및 제2 거리(102)의 동일한 거리 값을 유지하기 위해 오디오 모듈, 스피커 모듈 또는 부저의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여 경고등을 점멸할 수 있으며, 진동 모듈을 이용하여 진동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10)에게 앞, 뒤, 좌, 우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복수의 게임 영상 중 사용자(10)에 의해 선택되는 콘텐츠에 따라, 사용자에게 위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출력 정보를 제공하고, 제1 거리(101)를 이동시켜, 제1 거리(101) 및 제2 거리(102)의 거리 값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해 다양한 종류, 크기 및 형태의 콘텐츠를 제공하며, 콘텐츠 각각의 적정 거리 또는 적정 위치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각 콘텐츠의 정적 거리 또는 적정 위치에 따라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1)와 미러부(112) 간의 제1 거리(101) 및 미러부(112)와 사용자(10) 간의 제2 거리(102)의 거리 값을 제어하여 미러부(112)에 의해 투과 또는 반사되는 인터랙션 콘텐츠를 보다 현실감 있고, 역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1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크기 및 효과에 따라 제1 거리(101) 및 제2 거리(102) 간의 거리 값이 변동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10)에게 앞, 뒤, 좌, 우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1)와 미러부(112) 간의 제1 거리(101) 및 미러부(112)와 사용자(10) 간의 제2 거리(102)가 동일한 거리 값을 나타내는 경우, 사용자(10)는 미러부(112)를 통해 투과 및 반사되는 인터랙션 콘텐츠를 보다 현실감 있게 체험할 수 있다. 제1 거리(101) 및 제2 거리(102)의 동일한 거리 값은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종류, 크기 및 효과에 의해 변동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가 원거리 콘텐츠인 경우, 제1 거리(101) 및 제2 거리(102)의 거리 값이 증가되고,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가 근거리 콘텐츠인 경우, 제1 거리(101) 및 제2 거리(102)의 거리 값이 감소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모션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1)로 인한 게임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모션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콘텐츠의 크기, 형태, 색상 및 위치를 적용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춤형으로 3차원 게임 영상, 홀로그램 영상, 증강현실 영상과 같은 다양한 게임 영상 또는 서비스가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10)가 미러부(112)를 향해 손을 뻗는 동작을 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뻗은 손 위에 사과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10)가 점프, 뛰기, 걷기 등의 움직임을 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점프에 대응하는 줄넘기의 콘텐츠 및 게임 영상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 각각의 위치 감지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위치를 감지하여 동일한 거리 값을 나타내도록 제1 거리(101) 및 제2 거리(10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11)의 측면, 미러부(112)의 측면 및 모션 감지부(120)의 측면 각각에는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의 위치 및 이동을 감지하는 위치 감지 모듈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50)는 위치 감지 모듈로부터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 각각의 위치 및 이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제1 거리(101) 및 제2 거리(102)의 동일한 거리 값을 유지하도록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10)가 모션 감지부(120) 지점이 아닌, 미러부(112)에 근접하거나, 더 멀리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제2 거리(102)의 변동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1) 및 미러부(112) 간의 제1 거리(101)를 이동시켜, 제1 거리(101) 및 제2 거리(102)의 동일한 거리 값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11)의 기기 변동 또는 이동에 의해 제1 거리(101)가 변동되는 경우, 변동된 제1 거리(101)에 대응하도록,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 간의 제2 거리(102)를 이동시켜, 제1 거리(101) 및 제2 거리(102)의 동일한 거리 값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은 레일 및 모터에 의한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 각각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10)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영상 데이터에 대한 과금 정보를 청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건당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시간, 화질, 크기 및 개수의 옵션에 대해 각기 다른 과금 비율을 적용하여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과금 정보를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청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생 시간 2분, 일반 화질, 비디오 형태, 1개의 영상 데이터를 기본 옵션(이 때, 기본 과금 정보를 1,000원이라 가정함)이라 가정하고, 사용자(10)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의 옵션이 재생 시간 3분, 일반 화질, 비디오(video) 형태 및 1개의 데이터인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10)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과금 비율로, 재생 시간 초과에 대한 30%를 적용하여 과금 정보로 1,300원을 생성하며, 1,300원의 과금 정보를 사용자(10)에게 청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종류 또는 컴퓨터 그래픽의 효과에 따라 각기 다른 과금 비율을 적용하여 영상 데이터의 건당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및 사용자의 형상에 따라 변화되는 인터랙션 콘텐츠에 의해 서로 다른 옵션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각 옵션에 부가되는 가중치를 기반으로 옵션, 과금 비율 및 과금 정보를 전술한 바 외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감지 모듈 및 모션 인식 모듈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 각각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모듈(210)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1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인식 모듈(310, 32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 각각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모듈(21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 감지 모듈(210)로부터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 감지 모듈(210)은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의 일 측에 단일 개로 위치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의 양 측에 복수 개로 위치할 수도 있으며, 레이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위치 감지 모듈(210)은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모션 감지부(120)의 이동은 사용자(10)의 이동을 일컫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션 감지부(120)는 사용자(10)를 위치시키는 위치 지점일 수 있으므로, 위치 감지 모듈(210)은 해당 위치 지점에서 벗어나는 사용자(10)의 이동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모션 감지부(120)의 이동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은 위치 감지 모듈(2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거리(101) 또는 제2 거리(102)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거리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움직임 또는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10)의 움직임 발생 시, 제1 거리(101) 및 제2 거리(102)의 동일한 거리 값을 유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모션 감지부(120)에 위치하는 사용자(10)의 이동을 유도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은 모션 감지부(120)에 위치하는 사용자(10)의 위치, 동작 및 입체 형상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인식 모듈(310, 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션 인식 모듈(310, 320)은 카메라(310)와 인체감지센서, 모션감지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 센서, 광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310)는 사용자(10)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어 사용자(10)의 위치, 동작 및 입체 형상의 움직임을 위에서 아래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센서(320)는 사용자의 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모션 인식 모듈(310, 320)은 미러부(112)의 표면에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모션 인식 모듈(321, 320)의 카메라(310) 및 센서(320)의 개수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의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모션 감지부(120) 및 위치 감지 모듈(210)을 포함하는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의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 모듈(310, 320)을 포함하는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의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기기(131)를 이용하여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의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은 동일한 거리 값을 나타내는 제1 거리(101) 및 제2 거리(102)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 각각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위치 감지 모듈(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의 제어부(150)는 위치 감지 모듈(2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로부터 제1 거리(101) 또는 제2 거리(102) 각각의 거리 값을 감지하고, 거리 값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감지된 거리 값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움직임, 이동 및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 미러부(112) 및 모션 감지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제1 거리(101) 및 제2 거리(102)의 동일한 거리 값을 유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11) 또는 미러부(112)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경고음, 경고등 또는 진동의 출력 정보를 출력하여 모션 감지부(120)에 위치하는 사용자(10)에게 앞, 뒤, 좌, 우의 이동을 유도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은 모션 감지부(120)에 위치하는 사용자(10)의 위치, 동작 및 입체 형상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인식 모듈(310, 320, 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션 인식 모듈(310, 320, 330)은 카메라 또는 센서일 수 있으며, 적외선 카메라, 고화질 카메라, 저화질 카메라, 인체감지센서, 모션감지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 센서, 광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카메라 또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모션 인식 모듈(310, 320, 330)은 사용자(10)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에 위치할 수 있으며, 미러부(112)의 표면에 위치하여 사용자(10)의 정면에서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 때, 모션 인식 모듈(310, 320, 330)의 종류, 배열 형태 및 개수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의 제어부(150)는 모션 인식 모듈(310, 320, 33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10)의 위치, 동작 및 입체 형상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부(150)는 모션 인식 모듈(310, 320, 33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게임 영상의 크기, 형태, 색상 및 위치를 적용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춤형으로 3차원 게임 영상, 홀로그램 영상, 증강현실 영상과 같은 다양한 게임 영상 또는 서비스가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영상 촬영 기기(131)는 미러부(112)에 반사 및 투과되는 인터랙션 콘텐츠를 촬영한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영상 촬영 기기(131)는 카메라일 수 있으며, 미러부(112)의 측면, 정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와 사용자의 형상에 의해 발생되는 인터랙션 콘텐츠를 촬영하며, 데이터 획득부(130)는 복수 개의 영상 촬영 기기(131)에 의해 촬영되는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영상 촬영 기기(131)는 단일 개일 수 있으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일 수도 있다. 나아가, 복수 개의 영상 촬영 기기(131)는 미러부(112)에 반사 및 투과되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측면, 정면 또는 후면을 촬영할 수 있으며, 사용자(10)의 형상이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인터랙션 콘텐츠를 촬영할 수도 있다.
데이터 획득부(130)는 복수 개의 영상 촬영 기기(131)를 이용하여 미러부(112)에 의해 투과 또는 반사되는 콘텐츠 및 사용자의 형상 간의 인터랙션 콘텐츠를 촬영하여 기 설정된 크기, 이미지(image) 또는 비디오(video) 형태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공유하는 데이터 공유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미러부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형상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반사적이고 부분적으로 제공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와 미러부 사이의 제1 거리, 및 미러부와 사용자의 위치 사이의 제2 거리는 동일한 거리 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부는 게임 영상 중 전경 영상(foreground image) 및 배경 영상(background image)의 전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메뉴버튼이나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영상, 사용자에게 게임 영상,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이미지, 캐릭터, 게임 영상에 관련된 콘텐츠 또는 컴퓨터 그래픽 효과의 콘텐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미러부는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게임 영상과 같은 콘텐츠를 투과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형상을 반사하며, 콘텐츠와 사용자의 형상 간의 인터랙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미러부는 디스플레이부와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 거리에 동일한 거리 값을 나타내는 제2 거리만큼 모션 감지부 또는 사용자가 위치하므로, 미러부는 투과되는 콘텐츠(또는 게임 영상) 및 반사되는 사용자의 형상 간의 인터랙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랙션 콘텐츠(interaction contents)란, 사용자의 형상에 대응하는 게임 영상, 콘텐츠 및 서비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는 왕관, 사용자의 손 위에 올려진 사과의 크기, 사용자의 움직임 동작에 의해 변화 또는 발생하는 게임 영상에 관련된 컴퓨터 그래픽 효과와 같이 사용자의 형상에 따라 변화되며, 이질감 없는 콘텐츠를 일컫을 수 있다. 또한, 인터랙션 콘텐츠는 게임 영상, 콘텐츠, 아이콘 외에 진동, 연기, 냄새, 바람, 조명 및 사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720에서, 모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콘텐츠를 제어한다.
단계 720은 모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콘텐츠의 크기, 형태, 색상 및 위치를 적용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춤형으로 3차원 게임 영상, 홀로그램 영상, 증강현실 영상과 같은 다양한 게임 영상 또는 서비스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모션 감지부는 복수의 카메라, 센서 및 프로젝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미러부에서 제2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용자의 위치, 동작 및 입체 형상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영상 촬영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어 제공되는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단계 730은 카메라의 영상 촬영 기기를 이용하여 미러부에 의해 투과 또는 반사되는 콘텐츠 및 사용자의 형상 간의 인터랙션 콘텐츠를 촬영하며, 기 설정된 크기, 이미지(image) 또는 비디오(video) 형태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740에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
단계 740은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 또는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부 서버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Sites) 서버 또는 동영상 서버이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 기기로,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바일 단말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컴퓨터, 노트북,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및 태블릿 PC(table P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해 다른 단말들 및/또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사용자
100: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또는 데이터 공유 시스템)
101: 제1 거리
102: 제2 거리
111: 디스플레이부
112: 미러부
120: 모션 감지부
131: 영상 촬영 기기
210: 위치 감지 모듈
310, 320, 330: 모션 인식 모듈

Claims (13)

  1.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콘텐츠 및 사용자의 형상을 반사적이고 부분적으로 제공하는 미러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부;
    상기 미러부에서 제2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
    영상 촬영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어 상기 콘텐츠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는 동일한 거리 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게임 영상과 같은 상기 콘텐츠를 투과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형상을 반사하며, 상기 콘텐츠와 상기 사용자의 형상 간의 상기 인터랙션 콘텐츠를 제공하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감지부는
    복수의 카메라, 센서 및 프로젝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미러부에서 상기 제2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용자의 위치, 동작 및 입체 형상의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영상 촬영 기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인터랙션 콘텐츠의 과정을 촬영하여 기 설정된 크기, 이미지(image) 또는 비디오(video) 형태의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또는 상기 인터랙션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대응하는 비디오 형태의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 또는 외부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외부 서버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Sites) 서버 또는 동영상 서버이며, 수신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콘텐츠로 인한 사용자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출력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변화하는 상기 인터랙션 콘텐츠 또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변동되는 상기 제2 거리에 대해 상기 사용자에게 위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상기 출력 정보를 제공하거나, 변동되는 상기 제2 거리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거리를 이동시켜,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의 동일한 거리 값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게임 영상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콘텐츠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위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상기 출력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1 거리를 이동시켜,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의 거리 값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과금 정보를 청구하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재생 시간, 화질, 크기 및 개수에 대한 각기 다른 과금 비율을 적용하여 상기 과금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과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청구하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
  13.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공유하는 데이터 공유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미러부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형상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반사적이고 부분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모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
    영상 촬영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어 제공되는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미러부 사이의 제1 거리, 및 상기 미러부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사이의 제2 거리는 동일한 거리 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방법.
KR1020180110029A 2018-09-14 2018-09-14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31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029A KR20200031255A (ko) 2018-09-14 2018-09-14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029A KR20200031255A (ko) 2018-09-14 2018-09-14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255A true KR20200031255A (ko) 2020-03-24

Family

ID=7000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029A KR20200031255A (ko) 2018-09-14 2018-09-14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12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6349B2 (en) Wearable augmented reality devices with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CN110300909B (zh) 用于显示交互式增强现实展示的系统、方法和介质
US10437347B2 (en) Integrated gestural interaction and multi-user collaboration in immersive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US10496910B2 (en) Inconspicuous tag for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RU2754991C2 (ru) Система устройства просмотра смешанной реальности и способ для него
US11887258B2 (en) Dynamic integration of a virtual environment with a physical environment
US8388146B2 (en) Anamorphic projection device
EP2887322B1 (en) Mixed reality holographic object development
US20160343173A1 (en) Acousto-optical display for augmented reality
EP3106963B1 (en) Mediated reality
JP6022709B1 (ja) プログラム、記録媒体、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制御方法
CN113194329B (zh) 直播互动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770188B1 (ko) 혼합 현실 체험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31255A (ko)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31259A (ko)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097854A (ja) プログラム、記録媒体、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制御方法
Hamadouche Augmented reality X-ray vision on optical see-through head mounted displays
JP6368881B1 (ja) 表示制御システム,端末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KR20200031256A (ko) 미러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31260A (ko) 미러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42857A (ko) 미러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게임 장치 및 그 방법
CN117435039A (zh) 信息展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Ishikawa et al. Dynamic Information Space Based on High-Speed Sensor Technology
CN117130465A (zh) 基于xr设备的参数设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30081696A (ko) 증강현실 제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