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916A - 멀티비전의 동기화를 위한 영상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비전의 동기화를 위한 영상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916A
KR20200030916A KR1020180109740A KR20180109740A KR20200030916A KR 20200030916 A KR20200030916 A KR 20200030916A KR 1020180109740 A KR1020180109740 A KR 1020180109740A KR 20180109740 A KR20180109740 A KR 20180109740A KR 20200030916 A KR20200030916 A KR 20200030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processing
video
frame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2915B1 (ko
Inventor
이만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털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털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털존
Priority to KR102018010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9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0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멀티비전의 동기화를 위한 영상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입력단자(Input port)를 통해 복수개의 디코더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디코더의 클락에 따라 전송되는 복수개의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버퍼; 상기 복수개의 영상신호 각각에 대한 송출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영상신호에 포함된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분석하여 각 영상의 키프레임을 탐색하고 상기 키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각 영상의 송출시점을 동기화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송출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테이블값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테이블값을 로딩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따라서 영상신호에 포함된 키프레임을 이용하여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영상을 동기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비전의 동기화를 위한 영상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VIDEO SIGNALS FOR MULTI VISION SYNCHRONIZATION}
개시된 기술은 멀티비전을 이용하여 한 화면을 이루는 다채널 영상의 신호들을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는 일부의 채널에서만 UHD 화질로 방송을 송출하고 있으나 머지않아 전 채널에서 UHD 화질의 방송이 송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을 중심으로 4K 초고선명 영상을 지원하는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초고선명 화질의 영상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다수의 영상을 입력받으면 이를 특정한 포트로 송출되도록 중계역할을 수행하는 매트릭스 스위처를 이용한다. 매트릭스 스위처는 마치 네트워크의 라우터처럼 내부에 설정된 테이블에 따라 입력되는 복수개의 영상들 각각에 대한 송출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입력되는 각각의 영상들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종래의 경우에는 이러한 매트릭스 스위처는 단순히 영상의 출력되는 포트를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영상 처리 대역폭만 충분히 확보된다면 제 기능을 수행하는데 별다른 무리가 없었다. 그러나 채널의 개수가 늘어나거나 영상 데이터가 많아지게 되면 영상 처리 대역폭을 초과하거나 매트릭스 스위처의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나게 되어 화면에 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10-1600865호(발명의 명칭 : 스튜디오용 HD/UHD급 멀티채널 영상 데이터 라우팅 스위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참조하면 영상 데이터를 특정 포트로 라우팅함과 동시에 스위칭을 수행하여 각 포트에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합하여 렉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정 수준의 채널숫자를 갖는 시스템에서는 효율적일 수 있겠으나 각 채널마다 영상 송출에 따른 설정이 제각각이라 렉이 발생할 수 있고 처리되는 영상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면 여전히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개시된 기술은 멀티비전을 이용하여 한 화면을 이루는 다채널 영상의 신호들을 동기화하여 고품질의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 1 측면은 복수개의 입력단자(Input port)를 통해 복수개의 디코더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디코더의 클락에 따라 전송되는 복수개의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버퍼, 상기 복수개의 영상신호 각각에 대한 송출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영상신호에 포함된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분석하여 각 영상의 키프레임을 탐색하고 상기 키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각 영상의 송출시점을 동기화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송출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테이블값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테이블값을 로딩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 2 측면은 신호처리 장치가 복수개의 디코더 각각의 클락에 따라 전송되는 복수개의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프레임 버퍼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신호처리 장치가 기 저장된 테이블값을 토대로 상기 복수개의 영상신호 각각에 대한 송출경로를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신호처리 장치가 상기 복수개의 영상신호에 포함된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분석하여 각 영상의 키프레임을 탐색하고 상기 키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각 영상의 송출시점을 동기화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비전의 동기화를 위한 영상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적은 영상 처리 대역폭으로도 디코더로부터 다수의 영상을 수신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영상신호에 포함된 키프레임을 이용하여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영상을 동기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화면을 이루는 다채널 영상을 송출할 시 디코더의 클락과 다른 출력클락을 이용하여 영상에 포함될 수 있는 지터 특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면출력 시 영상신호에 대한 크로마 업샘플링을 통해 보다 고품질의 영상을 출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영상신호 처리 장치가 연결된 멀티비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에에 따른 영상신호 처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키프레임을 이용하여 영상의 시작 프레임을 탐색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출력클락을 이용하여 프레임 버퍼에 저장된 영상들의 출력 시간을 맞추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 처리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영상신호 처리 장치(100)가 연결된 멀티비전 시스템(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영상신호 처리 장치(100)는 프레임 버퍼(110),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한다.
프레임 버퍼(110)는 복수개의 입력단자(Input port)를 통해 복수개의 디코더에 연결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디코더의 클락에 따라 전송되는 복수개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에서 복수개의 디코더는 한 화면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영상을 디코딩하여 전송한다. 예컨대, 시스템(200)이 4k영상 4개를 이용하여 8K 멀티비전(205)을 송출하는 경우 4K영상 각각이 하나의 채널을 가지며 멀티비전(205) 화면의 좌상단, 우상단, 좌하단 및 우하단의 디스플레이로 영상을 송출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디코더는 이와 같이 하나의 화면의 특정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을 저장하고 있다가 시스템(200)의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자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버퍼(110)에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복수개의 디코더들은 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지만 서로 다른 모델이거나 다른 제품일 수 있다. 즉, 각자 서로 다른 클락에 따라 영상신호를 프레임 버퍼(11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버퍼(110)는 디코더들로부터 전송되는 복수개의 영상신호와 동일한 개수로 분리된 영역에 영상신호를 각각 저장한다. 도 2를 참조로 예를 들면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4개이므로 프레임 버퍼(110)의 4개의 영역에 영상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물론 프레임 버퍼(110)는 물리적으로 4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논리적인 방법으로 버퍼의 영역을 4개 영역으로 분할하여 영상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영상신호 각각에 대한 송출경로를 확인한다. 프로세서(120)는 고정된 설정에 따른 송출경로를 이용하거나 외부에서 입력되는 설정값에 따라 복수개의 영상신호들에 대한 송출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프로세서(120)가 별도의 설정값을 가지지 않고 고정된 송출경로를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테이블 설정값에 따라 디폴트 경로와 다르게 설정되는 송출경로를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종래의 신호처리 스위처 또는 신호처리 스위치와 같이 각각의 영상에 대한 출력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값을 이용하여 각 영상에 대한 송출경로를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값은 일반적으로 메모리(130)에 저장되며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에서 전송되는 요청에 따라 테이블값을 읽거나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시스템(200)의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값에 따라 테이블값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영상신호에 포함된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분석하여 각 영상의 키프레임을 탐색한다. 여기에서 키프레임은 각 영상을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일종의 메타데이터를 의미한다. 예컨대, 해당 프레임에 대한 RGB 또는 YCbCr 값에 대한 정보, 프레임의 변화율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키프레임은 짧은 단위로 생성되며 동영상을 보다 쉽게 탐색할 수 있는 일종의 기준점 역할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20)는 이러한 키프레임을 이용하여 각 영상의 송출시점을 동기화한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20)는 키프레임에 포함된 YCbCr 값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YCbCr 값을 토대로 복수개의 프레임들에서 영상이 시작되는 프레임을 탐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경우 영상이 시작되기 전에 일정 구간이 빈 화면이거나 블랙아웃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이 구간에서는 영상의 색상값은 고정되어 있다. 프로세서(120)는 이러한 정보에 기반하여 각 영상에서 어느 프레임이 영상의 시작 프레임인지 탐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복수개의 프레임들에 대한 색상값을 탐색하고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들 중 상기 색상값의 변화가 발생한 첫 번째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송출시점을 동기화할 수도 있다. 즉, 영상의 시작 이전의 프레임들은 색상값의 변화량이 없기 때문에 키프레임을 통해 색상값에 변화가 발생하는 특정 프레임의 위치를 탐색하여 해당 프레임부터 영상이 송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영상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클락을 생성한다. 앞서 프레임 버퍼(110)에 영상을 전송한 복수개의 디코더들은 각자의 클락에 따라 영상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디코더의 클락에 따른 지터 특성이 영상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을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는 영상을 입력하는 디코더의 특성을 그대로 따라가기 때문에 디코더가 전송한 영상신호에 영상의 끊김이나 깜빡임과 같은 지터특성이 포함된다면 한 화면으로 출력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디코더의 클락을 그대로 이용하는 대신 자신이 별도의 출력클락을 생성하고 이를 토대로 멀티비전(205)에 영상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프로세서는 영상신호를 송출하기 이전에 크로마 업샘플링을 수행하여 보다 고품질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영상신호에 대한 송출경로를 설정한 이후에 크로마 업샘플링 모듈을 이용하여 크로마 업샘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영상신호의 동기화를 수행한 이후에 크로마 업샘플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입력단자를 통해 디코더로부터 크로마 업샘플링이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멀티비전(205)으로 영상을 송출하기 전에 크로마 업샘플링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신호처리 장치(100)가 영상신호를 전송받는 과정에서 보다 적은 양의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대역폭이나 메모리를 초과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에에 따른 멀티비전의 동기화를 위한 영상신호 처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신호 처리 방법은 이하의 제 1 내지 제 3 단계들(S310, S320, S330)을 포함한다.
S310 단계에서 영상신호 처리 장치는 복수개의 디코더 각각의 클락에 따라 전송되는 복수개의 영상신호를 영상신호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프레임 버퍼에 저장한다.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개수가 4개이면 프레임 버퍼도 4개가 구비되며 영상신호는 각각의 버퍼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개의 디코더들은 각각 디코딩한 영상신호를 각자의 클락에 따라 전송한다. 여기에서 디코더는 서로 다른 모델일 수 있고 클락 역시 서로 동기화되지 않은 다른 클락을 이용할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 장치는 이하의 단계를 통해 디코더의 클락을 버리고 자신이 새로 생성한 클락을 이용하므로 디코더의 클락과 관계없이 영상신호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프레임 버퍼에 영상을 저장한다.
S320 단계에서 영상신호 처리 장치는 기 저장된 테이블값을 토대로 복수개의 영상신호 각각에 대한 송출경로를 설정한다. 영상신호 처리 장치는 고정된 출력경로에 따라 디코더에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멀티비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장치 내부적으로 어떤 테이블이나 설정값이 입력되지 않고 단순히 디코더의 설정이나 고정된 출력경로에 따라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종래의 매트릭스 스위처 또는 매트릭스 스위치와 같이 유동적인 출력경로에 따라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장치 내부에 테이블값이 저장되며 이 테이블값을 토대로 출력경로가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테이블값은 라우터의 라우팅테이블과 같이 영상신호를 특정 출력포트로 출력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2의 경우라면 디코더 2(202)의 영상신호는 멀티비전(205)의 채널 4에서 출력하도록 하고, 디코더 3(203)의 영상신호는 채널 1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설정값일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영상신호 처리 장치는 복수개의 영상신호에 포함된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분석하여 각 영상의 키프레임을 탐색한다. 그리고 키프레임을 이용하여 각 영상의 송출시점을 동기화한다. 일 실시예로, 영상신호 처리 장치는 키프레임에 포함된 YCbCr 값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YCbCr 값을 토대로 복수개의 프레임들에서 영상이 시작되는 프레임을 탐색하여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키프레임은 앞서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각 프레임들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키프레임에 포함된 정보를 토대로 영상신호에서 영상이 시작되는 시점의 프레임을 탐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신호처리 장치는 S330 단계에 따라 복수개의 프레임들에 대한 색상값을 탐색하고 복수개의 프레임들 중 색상값의 변화가 발생한 첫 번째 프레임을 기준으로 송출시점을 동기화할 수 있다.
한편, S330 단계에서 영상신호 처리 장치는 영상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클락을 생성한다. 신호처리 장치는 디코더가 영상신호를 전송하는데 따른 클락을 그대로 이용하지 않고 자신이 생성한 송출클락을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멀티비전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별도의 송출클락을 이용하면 디코딩 과정에서 영상신호에 유입될 수 있는 지터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보다 고품질의 영상을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영상신호 처리 장치가 생성한 송출클락에 따라 멀티비전으로 각 영상들을 전송하기 때문에 영상의 동기화 또한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멀티비전에서는 각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하나의 화면을 송출하게 된다.
한편, 영상신호 처리 장치는 각 영상을 송출하기 이전에 크로마 업샘플링을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더 수행한다. 즉, 디코더로부터 크로마 업샘플링이 적용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원본영상을 수신하여 이를 출력하기 전에 자신이 크로마 업샘플링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 각 영상신호에 대한 송출경로를 설정한 이후에 크로마 업샘플링을 수행하거나 영상신호를 동기화한 이후에 크로마 업샘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신호 처리 장치는 영상신호를 보다 적은 용량으로 입력받아 처리할 수 있으므로 높은 대역폭이나 메모리를 요구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키프레임을 이용하여 영상의 시작 프레임을 탐색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개의 버퍼에는 각 영상들의 프레임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B 프레임은 블랙으로 출력되는 프레임이고, I 프레임은 이미지가 출력되는 프레임을 의미한다. 영상신호 처리 장치는 이들 버퍼 내부에 저장된 프레임들에 대한 키프레임을 분석하여 최초로 이미지가 출력되는 프레임의 위치를 찾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영상신호 처리 장치는 버퍼1의 키프레임(401), 버퍼2의 키프레임(402), 버퍼3의 키프레임(403) 및 버퍼4의 키프레임(404)을 통해 다음의 프레임부터 이미지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면 영상 송출시점으로 해당 프레임을 위치시킬 수 있다. 즉, 각 영상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출력클락을 이용하여 프레임 버퍼에 저장된 영상들의 출력 시간을 맞추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도 4를 통해 처리된 각 영상의 프레임들에서 B 프레임들을 드랍하여 최초의 이미지 프레임을 영상 송출시점에 동기화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버퍼1은 최초 이미지 프레임 앞의 3개 프레임(501)을 드랍하고, 버퍼2는 최초 이미지 프레임 앞의 2개 프레임(502)을 드랍하고, 버퍼3은 최초 이미지 프레임 앞의 4개 프레임(503)을 드랍하고, 버퍼4는 최초 이미지 프레임 앞의 3개 프레임(504)을 드랍하여 각각 프레임 버퍼에서 위치를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영상신호 처리 장치는 버려진 프레임의 수만큼 디코딩된 영상을 추가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의 동기화를 위한 영상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영상신호 처리 장치 101 : 입력단자
102 : 출력단자 103 : 인터페이스
110 : 프레임 버퍼 120 : 프로세서
130 : 메모리 200 : 멀티비전 시스템
201~204 : 디코더 205 : 멀티비전

Claims (11)

  1. 복수개의 입력단자(Input port)를 통해 복수개의 디코더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디코더의 클락에 따라 전송되는 복수개의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버퍼;
    상기 복수개의 영상신호 각각에 대한 송출경로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개의 영상신호에 포함된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분석하여 각 영상의 키프레임을 탐색하고 상기 키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각 영상의 송출시점을 동기화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송출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테이블값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테이블값을 로딩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키프레임에 포함된 YCbCr 값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YCbCr 값을 토대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들에서 상기 영상이 시작되는 프레임을 탐색하는 영상신호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들에 대한 색상값을 탐색하고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들 중 상기 색상값의 변화가 발생한 첫 번째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송출시점을 동기화하는 영상신호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버퍼는 상기 복수개의 디코더가 각자 서로 다른 클락에 따라 전송하는 복수개의 영상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영상신호와 동일한 개수로 분리된 영역에 각각 저장하는 영상신호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영상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클락을 생성하고, 상기 송출클락에 따라 상기 영상의 송출시점을 동기화하는 영상신호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출경로를 설정한 이후 또는 상기 영상신호를 동기화한 이후에 상기 영상에 대한 크로마 업샘플링을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 장치.
  7. 영상신호 처리 장치가 복수개의 디코더 각각의 클락에 따라 전송되는 복수개의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프레임 버퍼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영상신호 처리 장치가 기 저장된 테이블값을 토대로 상기 복수개의 영상신호 각각에 대한 송출경로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영상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복수개의 영상신호에 포함된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분석하여 각 영상의 키프레임을 탐색하고 상기 키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각 영상의 송출시점을 동기화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처리 장치는 키프레임에 포함된 YCbCr 값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YCbCr 값을 토대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들에서 상기 영상이 시작되는 프레임을 탐색하는 영상신호 처리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들에 대한 색상값을 탐색하고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들 중 색상값의 변화가 발생한 첫 번째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송출시점을 동기화하는 영상신호 처리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영상신호 처리 장치가 영상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클락을 생성하고, 상기 송출클락에 따라 상기 영상의 송출시점을 동기화하는 영상신호 처리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영상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각 영상을 송출하기 이전에 크로마 업샘플링을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 방법.
KR1020180109740A 2018-09-13 2018-09-13 멀티비전의 동기화를 위한 영상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102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740A KR102102915B1 (ko) 2018-09-13 2018-09-13 멀티비전의 동기화를 위한 영상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740A KR102102915B1 (ko) 2018-09-13 2018-09-13 멀티비전의 동기화를 위한 영상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916A true KR20200030916A (ko) 2020-03-23
KR102102915B1 KR102102915B1 (ko) 2020-04-21

Family

ID=6999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740A KR102102915B1 (ko) 2018-09-13 2018-09-13 멀티비전의 동기화를 위한 영상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775A (ko) * 2021-10-13 2023-04-20 (주)나임기술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영상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268A (ko) * 2010-06-29 2012-01-04 주식회사 디지털존 멀티 비전 시스템 및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
KR101600865B1 (ko) * 2015-03-20 2016-03-08 (주)루먼텍 스튜디오용 hd/uhd급 멀티채널 영상 데이터 라우팅 스위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54176A (ko) * 2015-11-09 2017-05-17 (주)루먼텍 대역분리 및 감축을 통한 영상신호의 스위칭/라우팅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268A (ko) * 2010-06-29 2012-01-04 주식회사 디지털존 멀티 비전 시스템 및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
KR101600865B1 (ko) * 2015-03-20 2016-03-08 (주)루먼텍 스튜디오용 hd/uhd급 멀티채널 영상 데이터 라우팅 스위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54176A (ko) * 2015-11-09 2017-05-17 (주)루먼텍 대역분리 및 감축을 통한 영상신호의 스위칭/라우팅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775A (ko) * 2021-10-13 2023-04-20 (주)나임기술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영상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915B1 (ko)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4359B2 (en)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a video stream
US20120081515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pip image
CN107682667B (zh) 视频处理器及多信号源预监方法
KR20090031168A (ko) 다중 채널의 영상을 동시에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40015361A1 (en) Multi-mode conversion of multiple video streams
US20140344868A1 (en) Switching method of different display windows of a tv
US8892888B2 (en) Multiple stream decrypting and decod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thereof
JP4339322B2 (ja) 多重画面を提供するトランスポートストリーム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3338392A (zh) 一种视频轮巡无缝切换画面的方法
KR20010003738A (ko) 복수의 디코더를 이용하여 pip를 구현하는 디지털방송수신기
KR102102915B1 (ko) 멀티비전의 동기화를 위한 영상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128463B1 (ko) 다채널 고해상도 영상 시스템
CN115460422B (zh) 一种超高清网络视音频专业解码器和视频帧同步方法
US7321403B2 (en) Video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US20060132504A1 (en) Content combi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602212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processing
KR20040098852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 전환시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GB2406239A (en) Video format converter
Mielczarek et al. Image analyzer for stereoscopic camera rig alignment
US11172247B2 (en) Method to change the service of a digital television decoder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tuners
JP5920442B2 (ja) デジタル衛星放送の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5664699B2 (ja) 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再生方法
JP5861735B2 (ja) デジタル放送の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CN113938617A (zh) 一种多路视频显示方法、设备、网络摄像机及存储介质
WO2018135678A1 (ko) 초고해상도 영상 및 자막의 실시간 합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