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847A - flooring system having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 Google Patents

flooring system having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847A
KR20200030847A KR1020180109611A KR20180109611A KR20200030847A KR 20200030847 A KR20200030847 A KR 20200030847A KR 1020180109611 A KR1020180109611 A KR 1020180109611A KR 20180109611 A KR20180109611 A KR 20180109611A KR 20200030847 A KR20200030847 A KR 20200030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support plate
flow hole
fine dust
dust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6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남혁
김지현
김준혁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10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0847A/en
Publication of KR2020003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84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0HVAC with raised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oring system including a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comprises: a fabric portion in which first fine particle flow holes are formed;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fabric portion is stacked, and which has second fine particle flow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ne particle flow holes; a support holder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support plate so as to allow the support plate to float from a bottom portion; and a forcible ventilation device located in a space portion between the bottom portion and the support plate, and providing a flowing force for discharging fine particles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to the outside.

Description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flooring system having fine dust filtering flooring}Flooring system having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본 발명은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and a flo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미세먼지에 따른 공기오염에 기인하는 건강상의 위험들에 대한 인식이 증가됨에 따라, 실내 공기 및 환경의 질을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As awareness of health risks due to air pollution caused by fine dust increases, the quality of indoor air and the environment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최근의 미국 환경보호국의 연구들에 따르면 실내 공기 오염 수준들이 주변의 실외 공기 오염 수준들 보다 2 내지 5배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거의 발생하지는 않으나, 일부에서 이들 실내 공기 오염 수준들이 실외 공기 오염 수준보다 100배 이상 높을 수도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영아들 및 노인들은 90% 이상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기 때문에, 실내공기의 오염 제거는 매우 중요하다. Recent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tudies indicate that indoor air pollution levels are two to five times higher than ambient outdoor air pollution levels. This is unlikely, but it can be predicted that in some cases these indoor air pollution levels may be 100 times higher than outdoor air pollution levels. In addition, since infants and the elderly spend more than 90% of the time indoors, decontamination of indoor air is very important.

또한, 실내에 부유되어 있는 미세먼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닥으로 가라앉는다. 그러나 바닥에 적재된 미세먼지는 공기의 유동에 따라 다시 공중으로 부상되고, 적절히 제거하지 못할 경우 실내공기를 다시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In addition, the fine dust suspended in the room sinks to the floor over time. However, the fine dust loaded on the floor is again floated into the air according to the flow of air, and if not properly removed, it has a problem of re-contaminating indoor air.

본 발명의 일 관점은 실내의 바닥으로 가라앉은 미세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바닥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and flooring system that can discharge the fine dust settled to the floor of the room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실내의 미세먼지를 바닥재를 통해 실내로부터 격리시킴에 따라 미세먼지를 실내공간으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바닥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and flooring system capable of separating the fine dust from the indoor space as the indoor fine dust is isolated from the room through the flooring.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자동으로 미세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바닥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and flooring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discharge the fine dust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은 제1 미세입자 유동홀이 형성된 원단부와, 상기 원단부가 적층되고, 상기 제1 미세입자 유동홀에 대응되는 제2 미세입자 유동홀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바닥부로부터 부상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받침부와, 상기 바닥부와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되고, 상기 공간부에 위치된 미세입자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동력을 제공하는 강제배기장치를 포함한다. A flooring system including a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formed fabric portion, and the fabric portion stacked, and second micropartic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A support plate having a flow hole, a support base positioned below the support plate, and supporting the support plate so as to float from the bottom, and a space between the bottom and the support plate, and the space It includes a forced exhaust device that provides a flow force to discharge the fine particles located on the outside.

또한,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세입자 유동홀은 20㎛ 내지 40㎛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미세입자 유동홀은 상기 제1 미세입자 유동홀 보다 크게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flooring system including the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is formed in a size of 20㎛ to 40㎛, the second microparticle flow hole is larger than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Is formed.

또한,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강제배기장치는 모터와 팬을 포함한다. In addition, in the flooring system including the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the forced exhaust device includes a motor and a fan.

또한,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되고 미세입자량을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미세입자량의 정보에 의해 상기 강제배기장치를 구동시킨다. In addition, in the flooring system comprising a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It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ortion and the support plate further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and drives the forced exhaust device by the information of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detected by the sensor.

상기 바닥부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되고 미세입자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한다. It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ortion and the support plate further includes a filter for filtering the fine particl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은 제1 미세입자 유동홀이 형성된 원단부와, 상기 원단부가 적층되고, 상기 제1 미세입자 유동홀에 대응되는 제2 미세입자 유동홀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바닥부로부터 부상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받침부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인출가능하도록 위치되는 미세입자 수납부를 포함한다. Flooring system comprising a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abric plate having a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formed thereon, the fabric portion stacked, a support plate having a second microparticle flow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and a support plate positioned below the support plate, the It includes a support base for supporting the support plate to be floated from the bottom, and a microparticle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upport plate and positioned to be pulled out below the support pl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은 상기 제1 미세입자 유동홀은 20㎛ 내지 40㎛의 크기로 형성되고,Flooring system comprising a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is formed to a size of 20㎛ to 40㎛,

상기 제2 미세입자 유동홀은 상기 제1 미세입자 유동홀 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second microparticle flow hole is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의 바닥으로 가라앉은 미세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실내의 미세먼지를 바닥재를 통해 실내로부터 격리시킴에 따라 미세먼지를 실내공간으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고, 자동으로 미세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dust settled to the floor of the room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s the fine dust in the room is isolated from the room through the flooring material, the fine dust can be isolated from the indoor space and automatically fine dust. It can be discharged outsid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fully understood that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effects not specifically mentioned.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기술사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and a flo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use state diagram of the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shown in FIG. 2 and a flo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and a flo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use state diagram of the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shown in FIG. 4 and a flo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ne dust filtering flo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ed contents ar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기술사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원단(F)에는 미세입자 유동홀(h)이 형성된다. 또한, 미세입자 유동홀(h)은 액체분자(P1)는 통과하지 못하고, 미세입자(P2)는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As shown, a fine particle flow hole (h) is formed in the fabric (F). In addition, the microparticle flow hole (h) does not pass through the liquid molecules (P1), the microparticles (P2) is formed in a size that can pass.

예를 들어, 액체분자(P1)는 50㎛ 이상의 크기로 이루어지고, 미세입자(P2)는 10㎛ 이하의 크기로 이루어진다.For example, the liquid molecule (P1) is made of a size of 50 µm or more, and the fine particles (P2) are made of a size of 10 µm or less.

따라서, 미세입자 유동홀(h)은 20㎛ 내지 40㎛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fore, the microparticle flow hole (h) may be made of a size of 20㎛ to 40㎛.

이에 따라, 원단(F)의 미세입자 유동홀(h)을 통해 미세입자(P2)는 통과하고, 액체분자(P1)는 통과하지 못한다. 사용자는 원단(F) 상의 액체분자(P1)를 닦아내고, 원단(F)의 하부로 가라앉은 미세입자(P2)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Accordingly, the microparticles P2 pass through the microparticle flow hole h of the fabric F, and the liquid molecules P1 do not pass. The user wipes the liquid molecules (P1) on the fabric (F), and discharges the fine particles (P2) sinking to the bottom of the fabric (F) to the outsid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and a flo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100)은 원단부(110), 지지 플레이트(120), 지지 받침부(130) 및 강제배기장치(140)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the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and the flooring system 100 including the same include a far-end portion 110, a support plate 120, a support base 130, and a forced exhaust device 140.

보다 구체적으로, 원단부(110)에는 제1 미세입자 유동홀(111)이 형성되고, 원단부(110)는 지지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적층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111 is formed in the distal end 110, and the distal end 110 is stacked on the support plate 120.

미세입자 유동홀(111)은 액체분자(P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미세입자 유동홀(111)은 20㎛ 내지 4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microparticle flow hole 111 is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liquid molecule P1. To this end, the microparticle flow hole 111 may be formed in a size of 20㎛ to 40㎛.

이를 위해 원단부(110)는 고어텍스 등의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o this end, the fabric unit 110 may be made of a fabric such as Gore-Tex.

지지 플레이트(120)는 원단부(110)를 지지하고, 지지 플레이트(120)에는 제2 미세입자 유동홀(121)이 형성된다. 제2 미세입자 유동홀(121)은 제1 미세입자 유동홀(111)에 대향되도록 형성된다.The support plate 120 supports the distal end portion 110, and a second microparticle flow hole 121 is formed in the support plate 120. The second microparticle flow hole 121 is formed to face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111.

지지 받침부(130)는 지지 플레이트(120)의 하부를 지지하고, 바닥부(F)와 지지 플레이트(120)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시킨다.The support base 130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20, and forms a space between the bottom portion F and the support plate 120.

강제배기장치(140)는 지지 플레이트(120)의 하부에 위치되고, 공간부에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120)를 통과한 미세입자는 강제배기장치(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강제배기장치(140)는 모터와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orced exhaust device 140 is located under the support plate 120 and is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Accordingly, the fine particles passing through the support plate 120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orced exhaust device 140. To this end, the forced exhaust device 140 may include a motor and a fan.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3 is a schematic use state diagram of the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shown in FIG. 2 and a flo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중의 미세입자는 원단부(110)의 제1 미세입자 유동홀(111)을 통과하고, 지지 플레이트(120)의 제2 미세입자 유동홀(121)을 통과한다.As illustrated, the microparticles in the air pass through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111 of the far end portion 110 and the second microparticle flow hole 121 of the support plate 120.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120)의 하부에 위치되고 바닥부(F)에 적재된 미세입자는 강제배기장치(14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And the microparticle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120 and loaded on the bottom portion F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forced exhaust device 140.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and a flo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200)은 도 2에 도시한 바닥재 시스템(100)과 비교하여 미세입자 배출구조만이 상이하다. As illustrated, the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and the flooring system 200 including the same are different only in the structure of discharging the fine particles compared to the flooring system 100 shown in FIG. 2.

보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200)은 원단부(210), 지지 플레이트(220), 지지 받침부(230) 및 미세입자 수납부(24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and the flooring system 200 including the same include a far-end portion 210, a support plate 220, a support base 230, and a fine particle storage portion 240.

그리고 원단부(210), 지지 플레이트(220) 및 지지 받침부(230)는 도 2에 도시한 원단부(110), 지지 플레이트(120) 및 지지 받침부(130)와 동일하고, 전술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And the far end portion 210, the support plate 220 and the support base 230 is the same as the far end portion 110, the support plate 120 and the support base 130 shown in Figure 2,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그리고 미세입자 수납부(240)는 지지 플레이트(2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지지 플레이트(220)의 하부에 위치된다. In addition, the microparticle accommodating part 24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upport plate 220, and is located under the support plate 220.

이에 따라 원단부(210)의 제1 미세입자 유동홀(211)과 지지 플레이트(220)의 제2 미세입자 유동홀(221)은 통과한 미세입자는 미세입자 수납부(240)에 수납가능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first fine particle flow hole 211 of the fabric portion 210 and the second fine particle flow hole 221 of the support plate 220 pass through the fine particles so that they can be stored in the fine particle storage unit 240. do.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5 is a schematic use state diagram of the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shown in FIG. 4 and a flo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중의 미세입자는 원단부(110)의 제1 미세입자 유동홀(111)을 통과하고, 지지 플레이트(120)의 제2 미세입자 유동홀(121)을 통과하고 미세입자 수납부(240)에 수납된다.As shown, the microparticles in the air pass through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111 of the distal end 110, the second microparticle flow hole 121 of the support plate 120, and the microparticles It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240.

그리고 미세입자 수납부(240)의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미세입자 수납부(240)에 적재된 미세입자는 외부로 배출된다.And, as the fine particle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240, the fine particles loaded in the fine particle storage unit 2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and a flo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재 시스템(300)은 도 2에 도시한 바닥재 시스템(100)과 비교하여 센서 및 필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the flooring system 300 is further made of a sensor and a filter unit compared to the flooring system 100 shown in FIG. 2.

보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300)은 원단부(310), 지지 플레이트(320), 지지 받침부(330), 강제배기장치(340), 필터부(350) 및 센서(36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and the flooring system 300 including the same are the far end portion 310, the support plate 320, the support support portion 330, the forced exhaust device 340, the filter portion 350 and It includes a sensor 360.

그리고 원단부(310), 지지 플레이트(320), 지지 받침부(330) 및 강제배기장치(340)는 도 2에 도시한 원단부(110), 지지 플레이트(120) 및 지지 받침부(130) 및 강제배기장치(140)과 동일하고, 전술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nd the far-end portion 310, the support plate 320, the support base 330 and the forced exhaust device 340 are shown in Figure 2 far-end portion 110, the support plate 120 and the support base 130 And the same as the forced exhaust device 140,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 is omitted.

필터부(350)는 미세입자를 수집하고, 수집된 미세입자를 수동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바닥부와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된다. 또한, 필터부(350)는 강제배기장치(34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ilter unit 350 is for collecting fine particles and manually discharging the collected fine particles. To this end, it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and the support plate. In addition, the filter unit 350 may be located in front of or behind the forced exhaust device 340.

센서(360)는 원단부(210)의 제1 미세입자 유동홀(211)과 지지 플레이트(220)의 제2 미세입자 유동홀(221)은 통과한 미세입자의 적재량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센서(360)는 지지 플레이트(220)의 하부에 위치된다. 또한, 센서(360)는 지지 플레이트(220)의 하부에 위치된 바닥부(F)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센서(360)는 지지 받침부(330)에 장착될 수도 있다. The sensor 360 is for detecting the loading amount of the fine particles passing through the first fine particle flow hole 211 of the far end portion 210 and the second fine particle flow hole 221 of the support plate 220. To this end, the sensor 360 is located under the support plate 220. In addition, the sensor 360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portion F located under the support plate 220. In addition, the sensor 360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base 330.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미세입자의 적층량에 대하여 센서가 감지하고, 일정량 이상인 경우 강제배기장치(340)를 가동시켜 자동으로 미세입자를 배출시킬 수 있게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detects the amount of the microparticles stacked, and when the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mount, the forced exhaust device 340 is operated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microparticle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have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practic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0: 바닥재 시스템 110: 원단부
111: 미세입자 유동홀 120: 지지 플레이트
121: 제2 미세입자 유동홀 130: 지지 받침부
140: 강제배기장치
200: 바닥재 시스템 210: 원단부
211: 제1 미세입자 유동홀 220: 지지 플레이트
221: 제2 미세입자 유동홀 230: 지지 받침부
240: 미세입자 수납부
300: 바닥재 시스템 310: 원단부
320: 지지 플레이트 330: 지지 받침부
340: 강제배기장치 350: 필터부
360: 센서
100: flooring system 110: fabric part
111: microparticle flow hole 120: support plate
121: second fine particle flow hole 130: support support
140: forced exhaust device
200: flooring system 210: fabric part
211: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220: support plate
221: second fine particle flow hole 230: support support
240: fine particle storage
300: flooring system 310: fabric part
320: support plate 330: support base
340: forced exhaust device 350: filter unit
360: sensor

Claims (7)

제1 미세입자 유동홀이 형성된 원단부:
상기 원단부가 적층되고, 상기 제1 미세입자 유동홀에 대응되는 제2 미세입자 유동홀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바닥부로부터 부상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받침부; 및
상기 바닥부와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되고, 상기 공간부에 위치된 미세입자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동력을 제공하는 강제배기장치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
The fabric portion where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is formed: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fabric parts are stacked and a second microparticle flow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is formed;
It is loc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 support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support plate to be floating from the bottom portion; And
It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ortion and the support plate, and includes a forced exhaust device for providing a flow force to discharge the fine particles located in the space to the outside
Flooring system including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세입자 유동홀은 20㎛ 내지 40㎛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미세입자 유동홀은 상기 제1 미세입자 유동홀 보다 크게 형성된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is formed to a size of 20㎛ to 40㎛,
The second microparticle flow hole is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Flooring system including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배기장치는 모터와 팬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orced exhaust device includes a motor and a fan
Flooring system including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되고 미세입자량을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미세입자량의 정보에 의해 상기 강제배기장치를 구동시키는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ortion and the support plate further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The forced exhaust device is driven by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detected by the sensor.
Flooring system including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되고 미세입자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ortion and the support plate further comprises a filter for filtering the fine particles
Flooring system including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제1 미세입자 유동홀이 형성된 원단부:
상기 원단부가 적층되고, 상기 제1 미세입자 유동홀에 대응되는 제2 미세입자 유동홀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바닥부로부터 부상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받침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인출가능하도록 위치되는 미세입자 수납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
The fabric portion where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is formed: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fabric parts are stacked and a second microparticle flow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is formed;
It is loc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 support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support plate to be floating from the bottom portion; And
It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upport plate, and includes a microparticle accommodating portion positioned to be withdraw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Flooring system including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세입자 유동홀은 20㎛ 내지 40㎛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미세입자 유동홀은 상기 제1 미세입자 유동홀 보다 크게 형성된
미세먼지 필터링 바닥재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is formed to a size of 20㎛ to 40㎛,
The second microparticle flow hole is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microparticle flow hole
Flooring system including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KR1020180109611A 2018-09-13 2018-09-13 flooring system having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KR2020003084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611A KR20200030847A (en) 2018-09-13 2018-09-13 flooring system having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611A KR20200030847A (en) 2018-09-13 2018-09-13 flooring system having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847A true KR20200030847A (en) 2020-03-23

Family

ID=6999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611A KR20200030847A (en) 2018-09-13 2018-09-13 flooring system having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084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32150B1 (en) * 2022-06-13 2023-12-20 Goflow Tech Ip B V Filter for raised ventilation flooring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32150B1 (en) * 2022-06-13 2023-12-20 Goflow Tech Ip B V Filter for raised ventilation flooring structure
WO2023244103A1 (en) * 2022-06-13 2023-12-21 Goflow Technology Ip B.V. Filter for raised ventilation floor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7103B (en) Filtering component and filter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6238467B1 (en) Rigid multi-functional filter assembly
WO2019132111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TWI453570B (en) Air filtration in computer systems
US6949134B2 (en) Vacuum cleaner
CN107430078B (en) Artificial atmospheric environment construction device containing micro-dust and cosmetic micro-dust isolation capability analysis system applying same
KR102053347B1 (en) Wet type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using static electricity
KR20200030847A (en) flooring system having fine dust filtering flooring
KR20100019824A (en)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500688B (en) Air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US20230324058A1 (en) In line air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JP2001244322A (en) Wafer storage and storing method
CN109142184A (en) The judgment method and Fresh air handling units of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replacement
US20070023065A1 (en) Method of removing particles on an object,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removing method, method of measuring particles on an object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asuring method
JP2024517163A (en) Sterilization air filtration system configuration
CN107339751A (en) A kind of air cleaning unit for being easy to maintenance and inspection
JP2006116492A (en) Air cleaning apparatus
JP2009092260A (en) Air cleaning system
CN201783278U (en) Dust removing device for assembly of optical engine
CN106403054A (en) Air dedusting, dehumidifying, sterilizing and purifying device for rack
KR20210024817A (en) Air purifier suitable for mandatory ventilation
CN211538501U (en) Classifying screen and screening device with same
US20220373202A1 (en) Fan powered air filtration unit
JP2004084971A (en) Filter and clean room using this filter
CN209627945U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purified air stream coo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