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361A - 벽면 녹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재 식물 관리 방법과 공기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벽면 녹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재 식물 관리 방법과 공기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361A
KR20200030361A KR1020180109145A KR20180109145A KR20200030361A KR 20200030361 A KR20200030361 A KR 20200030361A KR 1020180109145 A KR1020180109145 A KR 1020180109145A KR 20180109145 A KR20180109145 A KR 20180109145A KR 20200030361 A KR20200030361 A KR 20200030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ant
planting
plant planting
waterproof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137B1 (ko
Inventor
오동국
박인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르크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르크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르크월드
Priority to KR1020180109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1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0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F24F2003/1653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녹화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식물 식재부 일 측에 구비되는 방수판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판의 상단부는 상기 식물 식재부의 상단부보다 특정 높이만큼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물의 넘침을 방지하고 IoT 구성을 구비하여 미관을 미려하게 하고 식물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공기 정화 효과도 구현할 수 있는 벽면 녹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재 식물 관리 방법과 공기 정화 장치이다.

Description

벽면 녹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재 식물 관리 방법과 공기 정화 장치{WALL GREENING DEVICEF AND MANAGING METHOD BY THE DEVICE AND AIR PURIFYING DEVICE}
본 발명은 벽면 녹화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식물 식재부 일 측에 구비되는 방수판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판의 상단부는 상기 식물 식재부의 상단부보다 특정 높이만큼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물의 넘침을 방지하고 IoT 구성을 구비하여 미관을 미려하게 하고 식물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공기 정화 효과도 구현할 수 있는 벽면 녹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재 식물 관리 방법과 공기 정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벽면 녹화 기술이라고 하는 것은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벽면에 대해 식물을 도입하여 녹음으로 피복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기술을 구현하는 장치를 벽면 녹화 장치라고 한다.
이러한 벽면 녹화에 의해 도시 경관 향상이나 에너지 절약, 도심 열 환경 개선 등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상기 벽면 녹화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P)이 식재되고 판체 형상이며 벽면(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는 식물 식재부(2)와 상기 식물 식재부(2)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식물 식재부(2)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3)를 포함한다. 상기 식물 식재부(2)에는 화분 장착공이 형성되어 화분(P)이 설치된다.
상기 급수부(3)에서 토출되는 물은 극세사(4)를 통해 화분(P)측으로 전달된다. 상기 극세사(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 식재부(2) 일 측에 배치되고 화분(P)에 접하여 상기 급수부(3)에서 토출된 물이 화분(P) 측으로 전달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벽면 녹화 장치는 급수부를 통해 토출된 물이 벽면 방향으로 넘쳐서 바닥에 물이 고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벽면 녹화 장치에 의해 식재된 식물의 경우 관리가 어려워 특정 이유로 절적한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적절한 온도로 제어되지 않는 경우 식물이 고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 식물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기술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술을 병용하는 식물 녹화 장치가 개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벽면 녹화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757854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41493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물 식재부 일 측에 구비되는 방수판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판의 상단부는 상기 식물 식재부의 상단부보다 특정 높이만큼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물의 넘침을 방지하고 IoT 구성을 구비하여 미관을 미려하게 하고 식물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공기 정화 효과도 구현할 수 있는 벽면 녹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재 식물 관리 방법과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았으나 아래 수단들 또는 실시예상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다른 목적 들은 그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이 식재되고 벽면(B) 일 측에 구비되는 식물 식재부(100)와, 상기 식물 식재부(100) 일 측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00)와, 상기 식물 식재부(100)와 벽면(B) 사이에 구비되는 방수판(300)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부(200)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 일 측에 배치되는 물 저장부(220)와, 상기 물 저장부(220)에 연통되고 상기 식물 식재부(100) 상단에 배치되어 물이 토출되는 급수 배관(210)과 상기 물 저장부(220) 일 측에 구비되어 물을 급수 배관(210) 측으로 이송하는 이송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판(300)의 상단부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의 상단부보다 특정 높이만큼 높게 형성되는 벽면 녹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방수판(300)은 압축 발포 PVC를 이용한다.
상기에서, 상기 벽면 녹화 장치는 상기 벽면(B)과 방수판(300) 사이에 구비되는 목판 유닛(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벽면(B)과 목판 유닛(500) 사이에는 제1고정프레임(F1)이 설치되어 상기 목판 유닛(500)이 고정되고, 상기 목판 유닛(500)과 방수판(300) 사이에는 제2고정프레임(F2)이 설치되어 상기 방수판(300)과 식물 식재부(100)가 목판 유닛(500)에 고정되며, 상기 목판 유닛(500)과 방수판(300) 그리고 식물 식재부(100)의 하측에 상기 물 저장부(220)가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식물 식재부(100)는 판체 형상이 식생 보드(110)와 상기 식생 보드(110) 일 측에 관통되어 화분(P)이 삽입되는 화분 장착공(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프레임(F2)은 중공의 파이프 형상인 제2프레임 본체(F2-1)와, 상기 제2프레임 본체(F2-1) 중 방수판(300) 방향 측면에 형성된 고정 프레임 송풍공(F2-2) 및 고정 프레임 고정공(F2-3)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판(300)은 판체 형상의 방수판 본체(310)와 상기 방수판 본체(310) 중 식생 보드(110)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방수판 고정공(330)과, 상기 방수판 본체(310) 중 화분 안착공(120)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방수판 송풍공(32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 송풍공(F2-2)과 방수판 송풍공(320)은 상호 연통되어 상기 식물 식재부(100) 일 측에 구비된 공기 공급부에 의해 공기가 상기 고정 프레임 송풍공(F2-2)과 방수판 송풍공(320)을 통해 화분(P) 측으로 투입되고, 상기 방수판 고정공(330)과 고정 프레임 고정공(F2-2)은 고정구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상기에서, 상기 목판 유닛(500)은 판체 형상의 목판부(510)와 상기 목판부(510)를 감싸는 방수포(52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벽면 녹화 장치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를 감싸고 전면은 개방된 외곽 프레임(700)과, 상기 외곽 프레임(700)에 구비되는 송풍 유닛(8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 유닛(800)은 공기를 식물 식재부(100) 측으로 투입하는 송풍부(810)와, 상기 외곽 프레임(700)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부(810)를 이동하는 이동부(83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830)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의 양 측에 배치된 외곽 프레임(700)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권취 롤러(831)와, 상기 권취 롤러(831)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833)과 상기 권취 롤러(83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810)가 고정되는 스트랩(832)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외곽 프레임(700) 중 일 부분에는 상기 송풍부(810)가 안착되는 안착부(710)가 요홈되어 형성되고, 상기 송풍부(810)는 회전에 의해 공기를 이동하는 팬(811)과 상기 팬(811)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812)와 상기 홀더(812)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813)와, 상기 홀더(812)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813)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814)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710)에는 상기 배터리(813)와 접하여 상기 배터리(813)를 충전하는 충전부(840)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이동부(830)는 상기 외곽 프레임(700)의 양 측에 높이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볼 스크류(835)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볼 스크류(835)와 나사 결합하는 지지판(834)과 상기 외곽 프레임(70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볼 스크류f르35)를 회전하는 회전부(8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834)에는 상기 액츄에이터(833)와 권취 롤러(831)가 설치되고, 상기 볼 스크류(835)는 외곽 프레임(700) 양 측에 한 쌍씩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834)에 한 쌍의 볼 스크류(835)가 결합된다.
상기에서, 상기 송풍부(810)는 회전에 의해 공기를 이동하는 팬(811)과 상기 팬(811)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812)와 상기 홀더(812)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813)와, 상기 홀더(812)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813)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814)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830)는 상기 홀더(812)를 관통하고 외곽 프레임(700) 양 측에 고정되는 고정 스트랩(833)을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벽면 녹화 장치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의 수평 방향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측부(400)와, 상기 측부(400)에 구비되는 송풍 유닛(8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 유닛(800)은 상기 측부(400)에 각각 구비되어 공기를 식물 식재부(100) 측으로 투입한다.
상기에서, 상기 벽면 녹화 장치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를 감싸고 전면은 개방된 외곽 프레임(700)과, 상기 외곽 프레임(700)에 구비되는 송풍 유닛(8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 유닛(800)은 공기를 식물 식재부(100) 측으로 투입하는 송풍부(810)와, 상기 외곽 프레임(700)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부(810)를 이동하는 이동부(830)와 상기 송풍기(810)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대(82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830)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의 양 측에 배치된 외곽 프레임(700)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권취 롤러(831)와, 상기 권취 롤러(831)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833)과 상기 권취 롤러(83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810)가 고정되는 스트랩(832)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지지대(820)는 물결 모양의 지지대 본체(821)와, 상기 지지대 본체(821) 중 식물 식재부(100) 방향 측면에 요홈되어 송풍 유닛(80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그루브(822)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식물 식재부(100)는 상기 방수판(300)에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수 개의 모듈화 케이스(130)와 상기 모듈화 케이스(130)에 담겨지는 식생 보드(110)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화 케이스(130)는 전면이 개방된 중공의 케이스 본체(131)와 상기 케이스 본체(131)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는 극세사 관통공(132)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 보드(110)는 다수 개의 화분 장착공(120)이 형성되는 식생 보드 본체(111)와, 상기 화분 장착공(120) 사이에 요홈되어 극세사가 삽입되는 극세사 장착홈(112)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케이스 본체(131) 바닥면에 송풍 유닛(800)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상기 케이스 본체(131) 바닥면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A1) 또는 향을 방출하는 방향부(A2)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모듈화 케이스(130)는 상기 케이스 본체(131) 바닥면에 형성되어 송풍 유닛(800)이 구비되는 안착홈(13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생 보드(111) 일 측에 구비되는 온도 센서(S1) 또는 습도 센서(S2) 또는 공기 질 센서(S3)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벽면 녹화 장치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에 구비되는 전력 생산 장치(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물 식재부(100)는 판체 형상의 식생 보드(110)와 상기 식생 보드(110) 일 측에 관통되어 화분(P)이 삽입되는 화분 장착공(120)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생산 장치(600)는 상기 화분(P) 내부에 높이 방향으로 적층된 산환층(620) 및 환원층(630)과 상기 산환층(620)에 수용된 제1전극(640) 및 환원층(630)에 수용된 제2전극(650)과, 상기 제1전극(640)과 제2전극(650)에 연결된 축전지(67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벽면 녹화 장치를 이용하여 식재된 식물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식물 식재부(100)에 구비된 습도 센서(S2)와 제어부(CON)에 의해 식물 식재부(100)의 습도가 특정 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급수부(200)를 작동하여 물을 식물 식재부(100)로 공급하고, 식물 식재부(100)의 습도가 특정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급수부(200)의 작동을 중단하여 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벽면 녹화 장치를 이용한 식재 식물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식물 식재부(100)에 구비된 온도 센서(S1)와 제어부(CON)에 의해 식물 식재부(100)의 습도가 특정 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송풍 유닛(800)를 작동하여 공기를 식물 식재부(100)로 공급하고, 식물 식재부(100)의 온도가 특정 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송풍 유닛(800)의 작동을 중단하여 공기 투입을 중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이 식재되고 벽면(B) 일 측에 구비되는 식물 식재부(100)와, 상기 식물 식재부(100) 일 측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00)와, 상기 식물 식재부(100) 일 측에 구비된 송풍 유닛(800)을 포함하는 벽면 녹화 장치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송풍 유닛(800)은 상기 식물 식재부(100)와 벽면(B)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송풍 유닛(800)은 상기 식물 식재부(100) 전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물의 넘침을 방지하고 IoT 구성을 구비하여 미관을 미려하게 하고 식물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벽면 녹화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송풍 유닛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송풍 유닛 중 송풍부만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 중 송풍 유닛과 조명 유닛 및 카메라 유닛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송풍 유닛 중 지지대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식물 식생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와 IoT를 결합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와 P-MFC를 결합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이 식재되고 벽면(B) 일 측에 구비되는 식물 식재부(100)와, 상기 식물 식재부(100) 일 측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00)와, 상기 식물 식재부(100)와 벽면(B) 사이에 구비되는 방수판(300)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부(200)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 일 측에 배치되는 물 저장부(220)와, 상기 물 저장부(220)에 연통되고 상기 식물 식재부(100) 상단에 배치되어 물이 토출되는 급수 배관(210)과 상기 물 저장부(220) 일 측에 구비되어 물을 급수 배관(210) 측으로 이송하는 이송 펌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즉, 상기 물 저장부(220)에 저장된 물이 이송 펌프에 의해 급수 배관(210)으로 이송되고, 상기 이송된 물은 급수 배관(210)을 통해 식물 식재부(100)의 상단에 투입된다.
이때, 상기 방수판(300)의 상단부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의 상단부보다 특정 높이(L)만큼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 배관(210)에서 토출된 물의 양이 많은 경우라도 상기 방수판(300)에 의해 물 넘침이 방지된다.
상기 방수판(300)은 압축 발포 PVC(Poly Vinyl Chloride Foam Sheet, 이하 포맥스라 함)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포맥스는 가볍고 방수력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 작업이 용이하고 물과의 접촉에도 우수한 방수 성능에 의해 급수된 물이 벽면 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막을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벽면 녹화 장치(10)는 상기 벽면(B)과 방수판(300) 사이에 구비되는 목판 유닛(5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벽면(B)과 목판 유닛(500) 사이에는 제1고정프레임(F1)이 설치되어 상기 목판 유닛(500)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목판 유닛(500)과 방수판(300) 사이에는 제2고정프레임(F2)이 설치되어 상기 방수판(300)과 식물 식재부(100)가 목판 유닛(500)에 고정된다.
즉, 벽면(B)에 제1고정 프레임(F1)이 고정되고 상기 제1고정 프레임(F1)에 목판 유닛(500)이 고정된다. 이를 위해 널리 알려진 볼트 등과 같은 고정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1고정 프레임(F1)에 목판 유닛(500)이 고정된다. 상기 목판 유닛(500)에는 제2고정 프레임(F2)이 고정된다. 상기 제2고정 프레임(F2) 역시 볼트 등과 같은 고정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목판 유닛(500)에 고정된다. 상기 제2고정 프레임(F2)에 방수판(300)과 식물 식재부(100)가 고정된다.
상기 제1고정 프레임(F1)과 제2고정 프레임(F2)은 사각 단면 또는 원형 단면 등 다양한 형상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 프레임(F1,F2)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은 분명하다.
상기 목판 유닛(500)과 방수판(300) 그리고 식물 식재부(100)의 하측에는 상기 물 저장부(220)가 배치된다. 즉, 상기 물 저장부(220) 상에 목판 유닛(500)과 방수판(300) 그리고 식물 식재부(100)가 접촉하여 지지된다. 이때, 상기 물 저장부(220) 일 측에 이송 펌프(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어 물을 상기 급수 배관(210)으로 공급한다. 상기 급수 배관(210)에서 토출된 물은 식물 식재부(100)를 거쳐 물 공급부(220)로 재 투입된다.
상기 식물 식재부(100)는 판체 형상이 식생 보드(110)와 상기 식생 보드(110) 일 측에 관통되어 화분(P)이 삽입되는 화분 장착공(120)을 포함한다. 상기 식생 보드(110)에 극세사(FE)가 배치되어 상기 화분(P)에 물이 전달되며 이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어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제2고정프레임(F2)은 중공의 파이프 형상인 제2프레임 본체(F2-1)와, 상기 제2프레임 본체(F2-1) 중 방수판(300) 방향 측면에 형성된 고정 프레임 송풍공(F2-2) 및 고정 프레임 고정공(F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 본체(F2-1)는 사각형 단면 또는 원형 단면 등 다양한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방수판(300)은 판체 형상의 방수판 본체(310)와 상기 방수판 본체(310) 중 식생 보드(110)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방수판 고정공(330)과, 상기 방수판 본체(310) 중 화분 안착공(120)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방수판 송풍공(3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 프레임 송풍공(F2-2)과 방수판 송풍공(320)은 상호 연통되어 상기 식물 식재부(100) 일 측에 구비된 공기 공급부에 의해 공기가 상기 고정 프레임 송풍공(F2-2)과 방수판 송풍공(320)을 통해 화분(P) 측으로 투입된다.
즉, 상기 식물 식재부(100)에 설치된 화분(P)의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화분(P)에 식재된 식물이 고사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화분(P)측에 공기를 투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공기 공급부(예를 들어 공기 컴프레서)를 통해 상기 제2고정 프레임(F2)에 공기를 투입한다. 상기 투입된 공기는 고정 프레임 송풍공(F2-2)과 방수판 송풍궁(320)을 통해 화분(P)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화분(P)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극세사(FE)를 통해 물이 공급되고 있으므로 물의 증발에 의해 냉각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물 식재부(100)와 방수판(300)의 고정을 위해 상기 방수판 고정공(330)과 고정 프레임 고정공(F2-2)은 피스 등과 같은 고정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상기 제2고정 프레임(F2)이 설치되는 상기 목판 유닛(500)은 판체 형상의 목판부(510)와 상기 목판부(510)를 감싸는 방수포(520)를 포함하여 상기 목판부(51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벽면 녹화 장치(10)는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물 식재부(100)를 감싸고 전면은 개방된 외곽 프레임(700)과, 상기 외곽 프레임(700)에 구비되는 송풍 유닛(8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송풍 유닛(800)은 공기를 식물 식재부(100) 측으로 투입하는 송풍부(810)와, 상기 외곽 프레임(700)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부(810)를 이동하는 이동부(830)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부(810)는 널리 알려진 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830)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의 양 측에 배치된 외곽 프레임(700)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권취 롤러(831)와, 상기 권취 롤러(831)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833)과 상기 권취 롤러(83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810)가 고정되는 스트랩(83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스트랩(832)이 한 쌍의 권취 롤러(83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권취 롤러(8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트랩(832)이 이동한다. 상기 스트랩(832)의 이동에 연동되어 송풍부(810)가 이동하며 식물 식재부(100) 측으로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833)는 널리 알려진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하여 권취 롤러(831)를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곽 프레임(700) 중 일 부분에는 상기 송풍부(810)가 안착되는 안착부(710)가 요홈되어 형성된다.(도 5참조)
또한, 상기 송풍부(810)는 회전에 의해 공기를 이동하는 팬(811)과 상기 팬(811)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812)와 상기 홀더(812)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813)와, 상기 홀더(812)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813)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814)를 포함한다.(도 7참조) 상기 액츄에이터(814)는 널리 알려진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하여 배터리(81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여 팬(811)을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8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814)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액츄에이터(814)와 팬(811)사이에 샤프트(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회전력을 팬(81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710)에는 상기 배터리(813)와 접하여 상기 배터리(813)를 충전하는 충전부(8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송풍부(81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안착부(710)에 상기 송풍부(810)가 위치하고, 이 시간 동안 상기 안착부(710)에 형성된 충전부(840)와 배터리(813)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배터리(813)가 충전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한 개의 송풍부(810)가 이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나 다수 개의 송풍부(810)가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이동부(830)에 의해 송풍부(81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이동부(830)에 의해 송풍부(810)가 높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부(830)는 상기 외곽 프레임(700)의 양 측에 높이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볼 스크류(835)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볼 스크류(835)와 나사 결합하는 지지판(834)과 상기 외곽 프레임(70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볼 스크류(835)를 회전하는 회전부(8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판(834)에는 상기 액츄에이터(833)와 권취 롤러(831)가 설치되고, 상기 볼 스크류(835)는 외곽 프레임(700) 양 측에 한 쌍씩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834)에 한 쌍의 볼 스크류(835)가 결합된다.
즉, 상기 볼 스크류(835)가 회전하면 그 회전 방향에 따라서 지지대(834)가 승하강한다. 상기 지지대(834)에는 액츄에이터(833)과 권취 롤러(831)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대(834)의 승하강에 따라 권취 롤러(831)가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송풍부(810)는 수평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한편, 상기 송풍부(8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에 의해 공기를 이동하는 팬(811)과 상기 팬(811)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812)와 상기 홀더(812)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813)와, 상기 홀더(812)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813)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8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830)는 상기 홀더(812)를 관통하고 외곽 프레임(700) 양 측에 고정되는 고정 스트랩(8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812)에는 앞서 설명된 스트랩(832)이 고정된다. 즉, 피아노 선 등을 이용하는 고정 스프랩(833)에 의해 본 발명의 송풍부(810)가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스트랩(832)이 권취 롤러(831)에 권취되어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벽면 녹화 장치(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물 식재부(100)의 수평 방향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측부(400)와, 상기 측부(400)에 구비되는 송풍 유닛(8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 유닛(800)은 상기 측부(400)에 각각 구비되어 공기를 식물 식재부(100) 측으로 투입한다. 즉, 상기 송풍 유닛(800)이 측부(400)에 고정되는 방식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벽면 녹화 장치(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물 식재부(100)를 감싸고 전면은 개방된 외곽 프레임(700)과, 상기 외곽 프레임(700)에 구비되는 송풍 유닛(8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 유닛(800)은 공기를 식물 식재부(100) 측으로 투입하는 송풍부(810)와, 상기 외곽 프레임(700)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부(810)를 이동하는 이동부(830)와 상기 송풍기(810)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대(8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동부(830)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의 양 측에 배치된 외곽 프레임(700)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권취 롤러(831)와, 상기 권취 롤러(831)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833)과 상기 권취 롤러(83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810)가 고정되는 스트랩(83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송풍부(810)와 이동부(8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다만 별도의 지지대(820)가 구비되는 점이 상이하다. 상기 지지대(8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곽 프레임(700)의 양 측에 구비되고 ㄷ자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대(8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 모양의 지지대 본체(821)와, 상기 지지대 본체(821) 중 식물 식재부(100) 방향 측면에 요홈되어 송풍 유닛(80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그루브(8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루브(822)에 송풍부(810) 일 부가 삽입되고 상술된 이동부(830)에 의해 상기 송풍부(810)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식재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판(300)에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수 개의 모듈화 케이스(130)와 상기 모듈화 케이스(130)에 담겨지는 식생 보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분할된 모듈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듈화 케이스(130)는 전면이 개방된 중공의 케이스 본체(131)와 상기 케이스 본체(131)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는 극세사 관통공(132)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 보드(110)는 다수 개의 화분 장착공(120)이 형성되는 식생 보드 본체(111)와, 상기 화분 장착공(120) 사이에 요홈되어 극세사가 삽입되는 극세사 장착홈(112)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131) 바닥면에 송풍 유닛(800)이 구비되어 화분 측으로 송풍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131) 바닥면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A1) 또는 향을 방출하는 방향부(A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A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유닛(800) 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고 방향부(A2)는 상기 케이스 본체(131) 일 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 보드 본체(111)에 다수 개의 고정공(113)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113)을 통해 고정구(도시되지 않음)가 케이스 본체(131)에 고정되어 상호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듈화 케이스(1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본체(131) 바닥면에 형성되어 송풍 유닛(800)이 구비되는 안착홈(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생 보드(111) 일 측에는 온도 센서(S1) 또는 습도 센서(S2) 또는 공기 질 센서(S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센서에 의해 식재된 식물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따로이 설명한다.
한편, 상기 각 센서(S1,S2,S3)와 후술되는 제어부와의 연결을 위해 배선(134)이 구비되며 상기 배선(1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133) 주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벽면 녹화 장치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물 식재부(100)에 구비되는 전력 생산 장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식재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의 식생 보드(110)와 상기 식생 보드(110) 일 측에 관통되어 화분(P)이 삽입되는 화분 장착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싱기 전력 생산 장치(6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P) 내부에 높이 방향으로 적층된 산환층(620) 및 환원층(630)과 상기 산환층(620)에 수용된 제1전극(640) 및 환원층(630)에 수용된 제2전극(650)과, 상기 제1전극(640)과 제2전극(650)에 연결된 축전지(6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토양 1g에는 약 1억 이상의 미생물(박테리아, 효모, 사상균), 원생 동물, 선충 등이 서식하고 있어 균 밀도에서 생각하면 토양은 미생물 국에 가깝다. 또 산 토양 생물 군만 아니라 부식 물질이나 사균 등도 많고 그것들이 분해돼 생긴 당류, 단백질, 유기산 등도 많이 존재하고 있는 복합계의 바이오매스 자원(토양 바이오매스)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생물 연료 전지는 미생물 또는 그의 일부를 사용하여 미생물의 에너지 대사에서 발생하는 환원력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장치로, 미생물 연료 전지에서는 촉매로서 작용하는 미생물이 기질을 산화할 때 발생하는 환원력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에너지 대사에서 발생하는 전자가 미생물로부터 전극으로 전달되어진다.
본 발명의 전력 생산 장치(600)는 이를 이용한 것으로서, 토양 내 존재하는 토양 미생물을 이용하여 혐기성 토양내 축적된 유기물을 분해하여 자연발생적으로 저렴하게 전기를 생산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생산된 전기를 토양에 설치된 다양한 전기장치에 공급하여 추가적인 전원공급 없이 자가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환원층(630)에서는 산소의 결핍으로 인해 혐기성 세균에 의한 유기물 분해로 인해 전자가 토양내로 방출되고, 이때 방출된 전자가 제2전극(650)에 전달되어지고, 제2전극(650)에 전달된 전자는 산화층(620)에 설치된 제1전극(640)으로 이동되고 수소이온과 함께 산소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하는 과정이 진행되어진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캐소드(cathode)인 제1전극(640)과 어노드(anode)인 제2전극(650) 사이에 전기적 포텐셜(electric potential)이 형성되어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기술 자체는 한국 등록 특허 제10-1549324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술된 본 발명의 벽면 녹화 장치를 이용하여 식재된 식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식물 식재부(100)에 습도 센서(S2)와 온도 센서(S1) 그리고 공기 질 센서(S3) 등이 구비된다. 상기 습도 센서(S2)에 의해 식물 식재부(10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S1)에 의해 식물 식재부(100)의 온도를 확인하여 식물 생장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질 센서(S3)는 공기에 잔존하는 유해물질(예를 들어 포름 알데히드, 일산화 탄소, 이산화 탄소 등)을 확인하여 공기의 질을 알수 있게 한다. 이러한 센서 자체는 널리 알려진 기술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식물 관리 방법은 제어부(CON)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CON)와 상기 각 센서는 상호 연통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습도 센서(S2)와 제어부(CON)에 의해 식물 식재부(100)의 습도가 특정 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급수부(200)의 급수 펌프(240)를 작동하여 물을 식물 식재부(100)로 공급한다. 만일 식물 식재부(100)의 습도가 특정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급수부(200)의 작동을 중단하여 물의 공급을 중단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식물을 최적 상태로 생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 식재부(100)에 구비된 온도 센서(S1)와 제어부(CON)에 의해 식물 식재부(100)의 습도가 특정 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송풍 유닛(800)를 작동하여 공기를 식물 식재부(100)로 공급하여 온도를 낮추고 식물 식재부(100)의 온도가 특정 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송풍 유닛(800)의 작동을 중단하여 공기 투입을 중단하여 식물 생장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 식재부(100) 일 측에 조명 장치(900)와 카메라 장치(C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 장치(900)는 제어부(CON)에 의해 식물 생장에 적합한 빛을 식물 식재부(100)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장치(CA)와 제어부(CON)에 의해 식물의 생장 상태를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보내서 사용자가 원격으로 식물 생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스마트 폰(SM) 등에 의해 제어부(CON)를 제어하여 식물이 최적 상태로 생육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벽면 녹화 장치(10)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에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식물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기술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등록 특허 제5816215호, 제6169389호, 제6169391호 등에서는 식물에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경우도 식물이 식재되고 벽면(B) 일 측에 구비되는 식물 식재부(100)와, 상기 식물 식재부(100) 일 측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00)와, 상기 식물 식재부(100) 일 측에 구비된 송풍 유닛(800)을 포함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송풍 유닛(800)은 상기 식물 식재부(100)와 벽면(B) 사이 또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 유닛(8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식물 식재부 110 : 식생보드
120 : 화분 장착공 200 : 급수부
210 : 급수 파이프 220 : 물 저장부
300 : 방수판 400 : 측부
500 : 목판 유닛 600 : 전력 생산 장치
610 : 식물 620 : 산화층
630 : 환원층 640 : 제1전극
650 : 제2전극 700 : 외곽 프레임
800 : 송풍 유닛

Claims (22)

  1. 식물이 식재되고 벽면(B) 일 측에 구비되는 식물 식재부(100)와, 상기 식물 식재부(100) 일 측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00)와, 상기 식물 식재부(100)와 벽면(B) 사이에 구비되는 방수판(300)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부(200)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 일 측에 배치되는 물 저장부(220)와, 상기 물 저장부(220)에 연통되고 상기 식물 식재부(100) 상단에 배치되어 물이 토출되는 급수 배관(210)과 상기 물 저장부(220) 일 측에 구비되어 물을 급수 배관(210) 측으로 이송하는 이송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판(300)의 상단부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의 상단부보다 특정 높이만큼 높게 형성되는 벽면 녹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300)은 압축 발포 PVC를 이용한 벽면 녹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녹화 장치는 상기 벽면(B)과 방수판(300) 사이에 구비되는 목판 유닛(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벽면(B)과 목판 유닛(500) 사이에는 제1고정프레임(F1)이 설치되어 상기 목판 유닛(500)이 고정되고,
    상기 목판 유닛(500)과 방수판(300) 사이에는 제2고정프레임(F2)이 설치되어 상기 방수판(300)과 식물 식재부(100)가 목판 유닛(500)에 고정되며,
    상기 목판 유닛(500)과 방수판(300) 그리고 식물 식재부(100)의 하측에 상기 물 저장부(220)가 배치되는 벽면 녹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식재부(100)는 판체 형상이 식생 보드(110)와 상기 식생 보드(110) 일 측에 관통되어 화분(P)이 삽입되는 화분 장착공(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프레임(F2)은 중공의 파이프 형상인 제2프레임 본체(F2-1)와, 상기 제2프레임 본체(F2-1) 중 방수판(300) 방향 측면에 형성된 고정 프레임 송풍공(F2-2) 및 고정 프레임 고정공(F2-3)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판(300)은 판체 형상의 방수판 본체(310)와 상기 방수판 본체(310) 중 식생 보드(110)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방수판 고정공(330)과, 상기 방수판 본체(310) 중 화분 안착공(120)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방수판 송풍공(32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 송풍공(F2-2)과 방수판 송풍공(320)은 상호 연통되어 상기 식물 식재부(100) 일 측에 구비된 공기 공급부에 의해 공기가 상기 고정 프레임 송풍공(F2-2)과 방수판 송풍공(320)을 통해 화분(P) 측으로 투입되고,
    상기 방수판 고정공(330)과 고정 프레임 고정공(F2-2)은 고정구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벽면 녹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판 유닛(500)은 판체 형상의 목판부(510)와 상기 목판부(510)를 감싸는 방수포(520)를 포함하는 벽면 녹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녹화 장치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를 감싸고 전면은 개방된 외곽 프레임(700)과, 상기 외곽 프레임(700)에 구비되는 송풍 유닛(8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 유닛(800)은 공기를 식물 식재부(100) 측으로 투입하는 송풍부(810)와, 상기 외곽 프레임(700)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부(810)를 이동하는 이동부(83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830)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의 양 측에 배치된 외곽 프레임(700)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권취 롤러(831)와, 상기 권취 롤러(831)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833)과 상기 권취 롤러(83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810)가 고정되는 스트랩(832)을 포함하는 벽면 녹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프레임(700) 중 일 부분에는 상기 송풍부(810)가 안착되는 안착부(710)가 요홈되어 형성되고,
    상기 송풍부(810)는 회전에 의해 공기를 이동하는 팬(811)과 상기 팬(811)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812)와 상기 홀더(812)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813)와, 상기 홀더(812)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813)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814)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710)에는 상기 배터리(813)와 접하여 상기 배터리(813)를 충전하는 충전부(840)가 형성되는 벽면 녹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830)는 상기 외곽 프레임(700)의 양 측에 높이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볼 스크류(835)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볼 스크류(835)와 나사 결합하는 지지판(834)과 상기 외곽 프레임(70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볼 스크류f르35)를 회전하는 회전부(8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834)에는 상기 액츄에이터(833)와 권취 롤러(831)가 설치되고,
    상기 볼 스크류(835)는 외곽 프레임(700) 양 측에 한 쌍씩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834)에 한 쌍의 볼 스크류(835)가 결합되는 벽면 녹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810)는 회전에 의해 공기를 이동하는 팬(811)과 상기 팬(811)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812)와 상기 홀더(812)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813)와, 상기 홀더(812)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813)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814)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830)는 상기 홀더(812)를 관통하고 외곽 프레임(700) 양 측에 고정되는 고정 스트랩(833)을 더 포함하는 벽면 녹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녹화 장치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의 수평 방향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측부(400)와, 상기 측부(400)에 구비되는 송풍 유닛(8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 유닛(800)은 상기 측부(400)에 각각 구비되어 공기를 식물 식재부(100) 측으로 투입하는 벽면 녹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녹화 장치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를 감싸고 전면은 개방된 외곽 프레임(700)과, 상기 외곽 프레임(700)에 구비되는 송풍 유닛(8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 유닛(800)은 공기를 식물 식재부(100) 측으로 투입하는 송풍부(810)와, 상기 외곽 프레임(700)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부(810)를 이동하는 이동부(830)와 상기 송풍기(810)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대(82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830)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의 양 측에 배치된 외곽 프레임(700)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권취 롤러(831)와, 상기 권취 롤러(831)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833)과 상기 권취 롤러(83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810)가 고정되는 스트랩(832)을 포함하는 벽면 녹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820)는 물결 모양의 지지대 본체(821)와, 상기 지지대 본체(821) 중 식물 식재부(100) 방향 측면에 요홈되어 송풍 유닛(80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그루브(822)를 포함하는 벽면 녹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식재부(100)는 상기 방수판(300)에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수 개의 모듈화 케이스(130)와 상기 모듈화 케이스(130)에 담겨지는 식생 보드(110)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화 케이스(130)는 전면이 개방된 중공의 케이스 본체(131)와 상기 케이스 본체(131)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는 극세사 관통공(132)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 보드(110)는 다수 개의 화분 장착공(120)이 형성되는 식생 보드 본체(111)와, 상기 화분 장착공(120) 사이에 요홈되어 극세사가 삽입되는 극세사 장착홈(112)을 포함하는 벽면 녹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131) 바닥면에 송풍 유닛(800)이 구비되는 벽면 녹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131) 바닥면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A1) 또는 향을 방출하는 방향부(A2)를 포함하는 벽면 녹화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화 케이스(130)는 상기 케이스 본체(131) 바닥면에 형성되어 송풍 유닛(800)이 구비되는 안착홈(13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생 보드(111) 일 측에 구비되는 온도 센서(S1) 또는 습도 센서(S2) 또는 공기 질 센서(S3)를 더 포함하는 벽면 녹화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녹화 장치는 상기 식물 식재부(100)에 구비되는 전력 생산 장치(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물 식재부(100)는 판체 형상의 식생 보드(110)와 상기 식생 보드(110) 일 측에 관통되어 화분(P)이 삽입되는 화분 장착공(120)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생산 장치(600)는 상기 화분(P) 내부에 높이 방향으로 적층된 산환층(620) 및 환원층(630)과 상기 산환층(620)에 수용된 제1전극(640) 및 환원층(630)에 수용된 제2전극(650)과, 상기 제1전극(640)과 제2전극(650)에 연결된 축전지(670)를 포함하는 벽면 녹화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벽면 녹화 장치를 이용하여 식재된 식물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식물 식재부(100)에 구비된 습도 센서(S2)와 제어부(CON)에 의해 식물 식재부(100)의 습도가 특정 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급수부(200)를 작동하여 물을 식물 식재부(100)로 공급하고,
    식물 식재부(100)의 습도가 특정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급수부(200)의 작동을 중단하여 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벽면 녹화 장치를 이용한 식재 식물 관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식물 식재부(100)에 구비된 온도 센서(S1)와 제어부(CON)에 의해 식물 식재부(100)의 습도가 특정 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송풍 유닛(800)를 작동하여 공기를 식물 식재부(100)로 공급하고,
    식물 식재부(100)의 온도가 특정 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송풍 유닛(800)의 작동을 중단하여 공기 투입을 중단하는 벽면 녹화 장치를 이용한 식재 식물 관리 방법.
  20. 식물이 식재되고 벽면(B) 일 측에 구비되는 식물 식재부(100)와, 상기 식물 식재부(100) 일 측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00)와, 상기 식물 식재부(100) 일 측에 구비된 송풍 유닛(800)을 포함하는 벽면 녹화 장치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유닛(800)은 상기 식물 식재부(100)와 벽면(B) 사이에 배치되는 벽면 녹화 장치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유닛(800)은 상기 식물 식재부(100) 전면에 배치되는 벽면 녹화 장치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1020180109145A 2018-09-12 2018-09-12 벽면 녹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재 식물 관리 방법과 공기 정화 장치 KR102113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145A KR102113137B1 (ko) 2018-09-12 2018-09-12 벽면 녹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재 식물 관리 방법과 공기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145A KR102113137B1 (ko) 2018-09-12 2018-09-12 벽면 녹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재 식물 관리 방법과 공기 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361A true KR20200030361A (ko) 2020-03-20
KR102113137B1 KR102113137B1 (ko) 2020-05-20

Family

ID=6995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145A KR102113137B1 (ko) 2018-09-12 2018-09-12 벽면 녹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재 식물 관리 방법과 공기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13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14B1 (ko) * 2010-08-09 2012-04-27 손창락 벽면식재장치
JP2012518402A (ja) * 2009-02-20 2012-08-16 カヌバフロール 緑化壁又は緑化ファサード
KR101414933B1 (ko) 2012-03-06 2014-07-04 김정권 실내외 조경용 장식물
KR101549324B1 (ko) * 2014-01-07 2015-09-01 화이젠 주식회사 토양 연료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기의 생산방법
KR101757854B1 (ko) 2017-02-21 2017-07-26 주식회사 코르크월드코리아 탄화코르크를 이용한 벽면녹화구조
JP2017176075A (ja) * 2016-03-31 2017-10-0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空気浄化緑化装置
KR101805091B1 (ko) * 2015-08-18 2017-12-06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벽면 녹화 시스템
KR20180007503A (ko) * 2016-07-13 2018-01-23 플러스파운틴(주)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실내정원용 식생모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8402A (ja) * 2009-02-20 2012-08-16 カヌバフロール 緑化壁又は緑化ファサード
KR101139614B1 (ko) * 2010-08-09 2012-04-27 손창락 벽면식재장치
KR101414933B1 (ko) 2012-03-06 2014-07-04 김정권 실내외 조경용 장식물
KR101549324B1 (ko) * 2014-01-07 2015-09-01 화이젠 주식회사 토양 연료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기의 생산방법
KR101805091B1 (ko) * 2015-08-18 2017-12-06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벽면 녹화 시스템
JP2017176075A (ja) * 2016-03-31 2017-10-0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空気浄化緑化装置
KR20180007503A (ko) * 2016-07-13 2018-01-23 플러스파운틴(주)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실내정원용 식생모듈
KR101757854B1 (ko) 2017-02-21 2017-07-26 주식회사 코르크월드코리아 탄화코르크를 이용한 벽면녹화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137B1 (ko)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24089A (zh) 一种处理污水并用于湿地供电的微生物燃料电池人工湿地装置
CN101469537A (zh) 一种双面立体种植生态绿化墙
JP6305878B2 (ja) 微生物燃料電池
CN201162288Y (zh) 一种立体种植生态绿化墙
KR102113137B1 (ko) 벽면 녹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재 식물 관리 방법과 공기 정화 장치
CN207512831U (zh) 适用于高温低湿环境的光伏电解质膜一体化空气制水装置
CN106080995A (zh) 一种方便移动的水上房屋
CN201871455U (zh) 浮动式太阳能喷泉发生装置
CN105454023A (zh) 用于改善室内空气质量的智能立体植物体系
JP2009171939A (ja) 壁面緑化システム
CN109518834B (zh) 一种绿色环保建筑外墙系统施工方法
JP2010246402A (ja) 植物の栽培装置
CN205694636U (zh) 一种风光互补大棚
CN102299359B (zh) 一种自呼吸醇类燃料电池
CN215074244U (zh) 一种农光互补的新型薄膜温室大棚
JP7347737B2 (ja) ソーラ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CN211580931U (zh) 一种可调节式农业栽培装置
CN210367156U (zh) 一种抽屉式微生物电池耦合人工湿地系统
CN102715067A (zh) 新型空气优化装置
CN205059029U (zh) 一种太阳能假花盆景
CN213537420U (zh) 一种治理黑臭水体的微生物与植物共生净化装置
CN109678256A (zh) 一种无需覆土的光催化水体净化装置
CN220630736U (zh) 一种黑水虻养殖箱
CN216219195U (zh) 一种培养食用菌专用的遮光降温大棚膜
CN211020260U (zh) 一种节能环保型园林绿化植物培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