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878A -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878A
KR20200029878A KR1020180108454A KR20180108454A KR20200029878A KR 20200029878 A KR20200029878 A KR 20200029878A KR 1020180108454 A KR1020180108454 A KR 1020180108454A KR 20180108454 A KR20180108454 A KR 20180108454A KR 20200029878 A KR20200029878 A KR 20200029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display
sensor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4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8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9878A/en
Publication of KR20200029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87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4Pedal travel sensor, stroke sensor; Sensing brake requ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a method thereof. The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cludes: a firs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external information of a vehicle; a second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inter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first display installed on window glass of the vehicle to display information; a second display installed on the front of a rear seat of the vehicle to display information; and a processing unit that recognizes a vehicle situ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internal information and outputs the recognized vehicle situation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vehicle u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Description

차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차량의 상황을 차량 내외부에 전달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ituation of a vehicle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자율주행차량은 사람의 조작없이 현재 위치에서 주어진 목표위치까지 스스로 판단하여 이동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자율주행차량이 자율주행을 하는 상황에서 운전자가 주변 상황을 주시하지 않는 만큼 자율주행차량의 주행 상황을 주변에 전달할 필요가 부각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자율주행차량이 시각적으로 보행자, 자전거 이용자 및 다른 운전자와 소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In general, an autonomous vehicle means a vehicle that judges and moves from its current position to a given target position without human intervention. In a situation where an autonomous vehicle is in an autonomous vehicle, the need to communicate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to the surroundings is highlighted as the driver does not watch the surrounding situation. Accordingly, recent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a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s to visually communicate with pedestrians, bicycle users, and other drivers.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 상황 및 외부 상황을 감지하여 차량의 상황을 차량 내외부에 전달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 internal situation and an external situation of a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to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는 차량의 외부 정보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 상기 차량의 내부 정보를 검출하는 제2검출부, 상기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에 설치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 상기 차량의 후석의 전방에 설치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외부 정보 및 상기 내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상황을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의 상황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인식된 상황을 차량 내외부로 출력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etection unit detecting external information of a vehicle, a second detection unit detecting inter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a window glass of the vehicle. Recognizing and recognizing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a first display installed and displaying information, a second display installed in front o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internal information And a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output a situation recognized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ehicle.

상기 제1검출부는, 음성 인식 센서, 모션 센서, 온도 센서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voice recognition sensor, a mo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an image sensor.

상기 제1검출부는, 차속 센서,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 정지 램프 상태 감지 센서 및 조향각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det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vehicle speed sensor, a brake pedal position sensor, a stop lamp state detection sensor, and a steering angle sensor.

상기 제2검출부는, 상기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고 음성 인식 센서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detec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vehicle interior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sensor and an image sensor.

상기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는, 프런트 윈도우 글라스, 리어 윈도우 글라스 및 사이드 윈도우 글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ndow glass of the veh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ront window glass, a rear window glass and a side window glass.

상기 처리부는, 상기 차량의 상황이 위험 상황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에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cessing unit may output a warning to the first display when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is recognized as a dangerous situation.

상기 처리부는, 상기 차량의 후석에 착석한 탑승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상황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를 통해 엔터테인먼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cessor may output entertainment through the second display when it is recognized as a situation in which communication with a passenger seated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is requir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방법은 차량의 외부 정보 및 내부 정보를 검출하는 제1단계, 상기 외부 정보 및 내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토대로 차량의 상황을 인식하는 제2단계, 및 인식된 차량의 상황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detecting external information and internal information of a vehicle, and a second step of recognizing a vehicle condi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information and internal information. And a third step of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situation of the vehicle.

상기 제1단계는, 음성 인식 센서, 모션 센서, 온도 센서 및 이미지 센서를 통해 상기 외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irst step, the external information is acquired through a voice recognition sensor, a mo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an image sensor.

상기 제1단계는, 차속 센서,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 정지 램프 상태 감지 센서 및 조향각 센서를 통해 상기 외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irst step, the external information is acquired through a vehicle speed sensor, a brake pedal position sensor, a stop lamp state detection sensor, and a steering angle sensor.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음성 인식 센서 및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tep is characterized by acquiring the internal information using a voice recognition sensor and an image sensor installed in the vehicle interior.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차량의 상황이 위험 상황으로 인식되면 상기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에 설치되는 제1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량 외부에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hird step, when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is recognized as a dangerous situation, a warning is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a first display installed on the window glass of the vehicle.

상기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는, 프런트 윈도우 글라스, 리어 윈도우 글라스 및 사이드 윈도우 글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ndow glass of the veh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ront window glass, a rear window glass and a side window glass.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차량의 상황이 상기 차량의 후석에 착석한 탑승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상황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후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2디스플레이를 통해 엔트테인먼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hird step, when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is recognized as a situation in which communication with an occupant seated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is recognized, the entertainment is output through a second display installed in front of the rear seat. .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내부 상황 및 외부 상황을 감지하여 차량의 상황을 보행자 및 다른 운전자에게 전달하므로, 보행자 및 다른 운전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fety of pedestrians and other drivers by detect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s of the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to pedestrians and other driv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디스플레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상황 정보를 표시한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display shown in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splaying vehicl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displaying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interfere with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Also,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디스플레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차량 외부는 차량의 실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의미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display shown in FIG. 1.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means an area excluding the interior area of the vehicle.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정보 표시 장치는 제1검출부(110), 제2검출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메모리(140), 제1디스플레이(150), 제2디스플레이(160) 및 처리부(1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cludes a first detection unit 110, a second detection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memory 140, a first display 150, a second display 160, and It includes a processing unit 170.

제1검출부(110)는 차량의 외부 정보를 검출한다. 제1검출부(110)는 음성 인식 센서(소리 센서), 모션 센서, 온도 센서 및 이미지 센서 등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외부 정보를 획득한다. 이미지 센서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CPD(charge priming device) 이미지 센서 및 CID(charge injection device) 이미지 센서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The first detection unit 110 detects exter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cquires external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f sensors such as a voice recognition sensor (sound sensor), motion sensor, temperature sensor, and image sensor. Image sensors include image sensors such as charge coupled device (CCD) image sensor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image sensors, charge priming device (CPD) image sensors, and charge injection device (CID) image sensors. At least one or more image sensors may be used.

제1검출부(110)는 소리 센서를 통해 차량 외부에서 발생되는 음성 및 소리 등의 음향 신호를 획득하고,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의 영상 신호를 획득한다. 제1검출부(110)는 온도 센서를 통해 차량 외부 온도 및 차량의 특정 위치 온도 등을 측정하고,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의 정적 및/또는 동적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cquires sound signals such as voice and sound gene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a sound sensor, and acquires an image signal from outside the vehicle using an image sensor.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measures a temperature outside the vehicle and a specific location temperature of the vehicle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and obtains information about static and / or dynamic obstacles outside the vehicle using a motion sensor.

제1검출부(110)는 차량에 탑재된 차속 센서를 통해 차량 속도를 측정하고,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 밟은 정도를 측정한다. 또한, 제1검출부(110)는 차량에 구비된 조향각 센서를 이용하여 조향각 정보를 획득하고 브레이크등으로 전원 공급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브레이크등 상태 정보(예: 점등 또는 소등)를 획득할 수 있다.The first detection unit 110 measures the vehicle speed through the vehicle speed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and measures the degree of stepping on the brake pedal through the brake pedal position sensor. In addition,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may acquire the steering angle information using the steering angle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and obtain the brake light state information (eg, lighting or extinguishing) through a sensor that detects whether power is supplied by the brake light. have.

제2검출부(120)는 차량의 내부 정보를 검출한다. 제2검출부(120)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는 음성 인식 센서를 통해 차량 실내에서 발생되는 음성 신호를 검출한다. 제2검출부(120)는 차량 실내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실내 영상을 획득한다. 예컨대, 제2검출부(120)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내 후석에 착석한 탑승자의 영상을 촬영한다.The second detection unit 120 detects inter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second detection unit 120 detects a voice signal generated in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a voice recognition sensor mounted in the vehicle interior. The second detection unit 120 acquires an indoor image through an image sensor disposed inside the vehicle. For example, the second detection unit 120 photographs an image of a passenger seated in a rear seat in a vehicle using an image sensor.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보드, 키패드, 버튼, 스위치, 터치 패드 및/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receives user input data.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keyboard, keypad, button, switch, touch pad, and / or touch screen.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차량 외부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직접 작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기가 타고 있어요" 및 "노약자가 타고 있어 저속주행 중" 등과 같은 메시지를 처리부(170)에 전송한다.The user may directly write a message to be transmitted outside the vehicle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130 transmits messages, such as "the baby is riding" and "the elderly are riding at low speed," input from the user, to the processing unit 170.

메모리(140)는 처리부(170)가 기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처리부(170)의 입력 및/또는 출력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자율주행 알고리즘, 음성 인식 알고리즘, 모션 인식 알고리즘, 및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각종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memory 140 may store software programmed for the processing unit 170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and temporarily store input and / or output data of the processing unit 170. The memory 140 may store an autonomous driving algorithm, a speech recognition algorithm, a motion recognition algorithm, and a data analysis algorithm. The memory 140 may store various setting information.

이러한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착탈형 디스크 및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등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mory 140 includes flash memory, hard disk, Secure Digital Card (SD) card,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nd read only memory (ROM). , ROM),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PROM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registers, removable disks and at least one storage medium such as web storage (web storage) Recording media).

제1디스플레이(150)는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에 설치되어 차량 외부로 정보를 표출한다. 제1디스플레이(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G)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는 프런트 윈도우 글라스(front window glass), 리어 윈도우 글라스(rear window glass) 및 사이드 윈도우 글라스(side window glass) 등을 포함한다.The first display 150 is installed on the window glass of the vehicle to display information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 first display 15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ow glass (G)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Here, the window glass of the vehicle includes a front window glass, a rear window glass and a side window glass.

제1디스플레이(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투명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15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and at least one of a display device such as a transparent display.

제2디스플레이(160)는 차량 내 후석의 전방에 설치되어 차량 내부로 정보를 표출한다. 제2디스플레이(16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speaker)와 같은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디스플레이(160)는 영상 콘텐츠를 표시하며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도 출력할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16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rear seat in the vehicle to display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The second display 160 may include an audio output module such as a speaker capable of outputting audio data. For example, the second display 160 displays video content and can also output an audio signal through a speaker.

제2디스플레이(16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디스플레이,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HUD) 및 터치스크린 등의 표시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16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 transparent display, a head-up display (head-up display, HUD) and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display devices such as a touch screen.

처리부(170)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처리부(170)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PLD(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The processing unit 170 include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icrocontrollers (microcontrollers) and microprocessors (microprocessors).

처리부(170)는 제1검출부(110) 및 제2검출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차량의 외부 정보 및/또는 내부 정보를 획득(검출)한다. 처리부(170)는 외부 정보 및 내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토대로 차량의 상황을 인식한다. 여기서, 차량의 상황은 위험 상황 및 후석에 착석한 탑승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상황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70 acquires (detects) external information and / or inter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u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120. The processing unit 170 recognizes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external information and internal information. Here,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may be divided into a dangerous situation and a situation in which communication with a passenger seated in the rear seat is required.

처리부(170)는 인식된 차량의 상황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처리부(170)는 인식된 차량의 상황을 차량 내외부에 전달(표출)하여 차량 내 탑승자 및 차량 밖 보행자 및 다른 운전자가 차량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The processing unit 170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situation of the vehicle. The processing unit 170 transmits (expresses) the recognized state of the vehicle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ehicle, so that the in-vehicle occupant, the out-of-vehicle pedestrian, and other drivers can recognize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처리부(170)는 제1검출부(110)에 의해 획득된 외부 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외부 상황을 판단하고, 제2검출부(120)를 통해 획득한 내부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내부 상황을 판단한다. 처리부(170)는 판단결과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1디스플레이(150) 및 제2디스플레이(1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표시하게 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ocessing unit 170 determines the external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external information obtained by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based on the internal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cond detection unit 120 of the vehicle Judge the internal situation. The processing unit 170 causes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to be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150 and the second display 16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처리부(170)는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제1검출부(110)를 통해 획득한 음향 신호(acoustic signal)를 단어 또는 문장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단어 또는 문장의 의미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을 인식한다. 예컨대, 처리부(170)는 제1검출부(100)에 포함되는 마이크와 같은 음성 인식 센서(소리 센서)를 통해 "멈춰", "위험해" 및/또는 "조심해" 등과 같은 단어를 인식하면 차량의 외부 상황을 위험 상황으로 인식한다.The processing unit 170 converts the acoustic signal obtained through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into a word or sentence using a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and analyzes the meaning of the converted word or sentence to recognize a dangerous situation. . For example, when the processing unit 170 recognizes words such as "stop", "dangerous" and / or "careful" through a voice recognition sensor (sound sensor) such as a microphone included in the first detection unit 100, the Recognize external situations as dangerous.

또한, 처리부(170)는 제1검출부(110)를 통해 외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획득하고 획득된 소리의 세기가 정해진 기준 레벨 이상이면 외부 상황을 위험 상황으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처리부(170)는 제1검출부(110)의 소리 센서를 통해 100db 이상의 소리(소음, 충격음 등)를 검출하면 위험 상황으로 인식한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170 acquires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recognizes the external situation as a dangerous situation when the intensity of the acquired sound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70 detects a sound (noise, impact sound, etc.) of 100 db or more through the sound sensor of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recognizes it as a dangerous situation.

처리부(170)는 제1검출부(110)를 통해 외부 상황이 위험 상황으로 인식되면 제1디스플레이(150)에 경고를 출력한다. 처리부(170)는 차량의 외부 상황이 위험 상황으로 감지되면 "STOP"과 같은 경고 메시지, 기호, 이모티콘 및/또는 이미지 등의 시각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처리부(170)는 프론트 윈도우 글라스, 리어 윈도우 글라스 및 사이드 윈도우 글라스 등에 각각 설치되는 제1디스플레이(150)에 경고를 표시하여, 차량 내 운전자 및 차량 밖 보행자 및 다른 운전자에게 차량의 외부 상황을 알린다.The processing unit 170 outputs a warning to the first display 150 when the external situation is recognized as a dangerous situation through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When the external situation of the vehicle is detected as a dangerous situation, the processing unit 170 outputs visual information such as a warning message, sign, emoticon, and / or image such as "STOP".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70 displays a warning on the first display 150 installed on the front window glass, the rear window glass, and the side window glass, respectively, to the driver in the vehicle, the pedestrian outside the vehicle, and other drivers outside the vehicle. Inform the situation.

처리부(170)는 사용자(운전자)가 사전이 미리 설정한 위험 상황 조건에 근거하여 위험 상황을 인식하고, 제1디스플레이(150)에 경고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시속 100km 이상의 빠른 주행 중 브레이크를 조작하여 차량의 정지 램프가 점등되면 처리부(170)는 이를 인식하고 제1디스플레이(150)에 "STOP"과 같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처리부(170)는 급제동이 인식되면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경고를 제1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차량 외부에 전달한다.The processing unit 170 recognizes a dangerous situation based on a dangerous situation condition previously set by a user (driver), and outputs a warning to the first display 150. For example, if the driver stops the vehicle while driving at a speed of 100 km / h or faster and the vehicle stop lamp is lit, the processing unit 170 recognizes this and outputs a warning message such as “STOP” to the first display 150. . In other words, when the sudden braking is recognized, the processing unit 170 transmits a warning informing the dangerous situation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first display 150.

처리부(170)는 조향각 센서를 통해 스티어링 휠을 조작을 감지하고, 정해진 시간(예: 1초) 내 스티어링 휠을 60도 이상 급격하게 조작하는 경우, 위급상황으로 인식한다. 처리부(170)는 온도 센서에 의해 차량에 국부적 온도 이상 상승이 감지되는 경우 또는 힘 센서에 의해 외부 장애물 충돌로 인한 국부적인 힘이 크게 상승하는 경우 위급 상황으로 인식한다.The processing unit 170 detects an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through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recognizes an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steering wheel is suddenly operated over 60 degree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second). The processing unit 170 recognizes an emergency when a local temperature abnormality rise is detected in the vehicle by the temperature sensor or when the local force due to an external obstacle collision i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force sensor.

처리부(170)는 제2검출부(120)에 의해 획득되는 내부 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내부 상황을 인식한다. 처리부(170)는 음성인식기술 및/또는 모션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제2검출부(120)에 의해 획득된 음향 신호 및/또는 영상 신호를 분석한다. 처리부(170)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차량의 후석에 탑승한 탑승자(예: 아이)의 상태를 인식한다.The processing unit 170 recognizes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nternal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120. The processing unit 170 analyzes the sound signal and / or image signal obtained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120 using a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 or a 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The processing unit 170 recognizes the state of the occupant (for example, a child) o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예를 들어, 아이가 배고프거나 졸리거나 심심해 하는 경우, 처리부(170)는 음성 인식 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하여 아이의 음성 신호 및/또는 영상 신호를 획득한다. 처리부(170)는 획득된 음성 신호 및/또는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아이의 현재 상태(예: 배고픈 상태, 졸린 상태 및/또는 심심한 상태)를 판단한다.For example, when the child is hungry, sleepy, or bored, the processor 170 acquires the child's voice signal and / or video signal using at least one of a voice recognition sensor and an image sensor. The processor 170 analyzes the acquired voice signal and / or video signal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child (eg, hungry, sleepy and / or bored).

처리부(170)는 아이가 배고픈 상태이면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의 향 및/또는 영상을 출력하거나 또는 아이가 좋아하는 간식(예: 사탕, 과자 등)을 제공한다.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후석에 탑승한 아이의 앞쪽으로 간식이 담긴 바구니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가 마련될 수도 있다.If the child is hungry, the processing unit 170 outputs a fragrance and / or image of food that the child likes or provides snacks (eg, candy, cookies, etc.) that the child like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driving device may be provided to move the basket containing the snack in a sliding manner toward the front of the child who boarded the rear seat.

처리부(170)는 아이가 졸려 하는 경우, 아이가 좋아하는 음향 신호(예: 백색 소음, 자장가 또는 음성 멘트 등)를 출력하거나 또는 카시트를 좌우 또는 앞뒤로 흔들리도록 모터 구동 장치를 제어한다. 한편, 처리부(170)는 아이가 착석한 후석에 조명하는 램프가 켜져 있는 경우 해당 램프를 소등시킨다.When the child is sleepy, the processing unit 170 controls the motor driving device to output a sound signal (eg, white noise, lullaby, or voice comment) that the child likes, or to swing the car seat left and right or back and forth.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ing unit 170 turns off the lamp when the lamp to illuminate the back seat when the child is seated.

처리부(170)는 아이가 심심해 하는 경우, 아이가 좋아하는 비디오 콘텐츠(예: 만화, 영화 등), 오디오 콘텐츠(예: 동요, 만화주제가 등), 및/또는 게임 콘텐츠 등을 출력한다.When the child is bored, the processing unit 170 outputs video content (eg, cartoon, movie, etc.), audio content (eg, nursery rhymes, cartoon topics, etc.), and / or game content that the child likes.

처리부(17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아이의 모션(몸동작)을 분석하여 아이의 몸 움직임 횟수가 평소 대비 1.5 배 이상이면 메모리(140)에 기저장된 멀티미디어를 출력한다. 또한, 처리부(170)는 아이의 몸 움직임 횟수가 평소 대비 2배 이상이면 아이가 좋아하는 간식이 아이 앞에 제공될 수 있게 한다.The processor 170 analyzes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image sensor, analyzes the child's motion (body motion), and outputs the multimedia pre-stored in the memory 140 when the number of body movements of the child is 1.5 times or more than usual. 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170 allows the child's favorite snacks to be provided in front of the child if the number of body movements of the child is more than twice as usual.

처리부(170)는 제1검출부(110)를 통해 획득한 외부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환경을 인식하고 인식된 외부 환경이 아이가 싫어하는 환경이면 엔터테인먼트를 제2디스플레이(16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처리부(170)는 외부 광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터널 진입을 감지하면 애니메이션을 제2디스플레이(160)에 출력한다. 또는, 처리부(170)는 스티어링 휠(핸들)의 좌우 45도 이상 조작이 2번 이상의 왕복 운동이 감지되면 동요와 같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The processing unit 170 recognizes the external environment based on the external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outputs entertainment to the second display 160 if the recognized external environment is an environment that the child dislikes.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170 outputs an animation to the second display 160 when the vehicle enters the tunnel using an external light sensor. Alternatively, the processing unit 170 outputs an audio signal, such as agitation, when two or more reciprocating movements of the steering wheel (handle) at least 45 degrees to the left and right are detected.

상기한 실시 예에서는 처리부(170)가 차량 외부에 음향 신호(예: 경고음)를 출력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지 않으나, 차량 외부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스피커를 차량에 장착하여 외부 상황이 위험 상황으로 인식되면 해당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차량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processing unit 170 does not disclose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for example, a warning soun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 speaker is mounted on the vehicle to output an acoustic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the external situation is recognized as a dangerous situation If it can be implemented to output a warning soun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rresponding speak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상황 정보를 표시한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vehicl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ing vehicle cond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처리부(170)는 제1검출부(110) 및 제2검출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차량의 외부 정보 및/또는 내부 정보를 검출한다(S110). 제1검출부(110)는 음성 인식 센서, 모션 센서, 이미지 센서, 온도 센서, 차속 센서 및 조향각 센서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외부 정보를 획득한다. 제2검출부(120)는 차량 실내에 장착되는 음성 인식 센서 및 이미지 센서를 통해 내부 정보(실내 정보)를 획득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rocessing unit 170 detects external information and / or inter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u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120 (S110).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cquires exter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using a voice recognition sensor, a motion sensor, an image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vehicle speed sensor, and a steering angle sensor. The second detection unit 120 acquires internal information (indoor information) through a voice recognition sensor and an image sensor mounted in the vehicle interior.

처리부(170)는 검출된 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외부 상황 및 내부 상황을 인식한다(S120). 처리부(170)는 외부 정보 및 내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토대로 차량의 외부 상황 및 내부 상황 즉, 차량의 상황을 인식한다. 여기서, 차량의 상황은 위험 상황 및 차량 실내의 후석에 착석한 탑승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상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70 recognizes an external situation and an internal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cted information (S120). The processing unit 170 recognizes the external situation and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vehicle, that is,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external information and internal information. Here,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may be divided into a dangerous situation and a situation in which communication with a passenger seated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is required.

처리부(170)는 인식된 차량의 상황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S130). 다시 말해서, 처리부(170)는 제1디스플레이(150) 및 제2디스플레이(1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인식된 차량 상황을 차량의 내외부에 전달한다The processing unit 170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situation of the vehicle (S130). In other words, the processing unit 170 transmits the recognized vehicle situation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ehicle u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150 and the second display 160.

예컨대, 처리부(170)는 제1검출부(110) 및 제2검출부(120)를 통해 차량이 위험 상황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프론트 윈도우 글라스, 리어 윈도우 글라스 및 사이드 윈도우 글라스에 각각 설치되는 제1디스플레이(150)에 차량의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vehicl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through the first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120, the processing unit 170 may display a front window glass, a rear window glass, and a side window of the vehicle as illustrated in FIG. 4. A warning indicating a dangerous situation of the vehicle may be output on the first display 150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glass.

처리부(170)는 차량 실내의 후석에 탑승한 탑승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상황이면, 탑승자의 상태에 따라 제2디스플레이(160)로 엔터테인먼트를 출력하거나 또는 탑승자의 시트를 조작하거나 또는 후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output entertainment to the second display 160, manipulate the seat of the occupant, or output olfac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ccupant's condition, if communication with the occupant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is required. You ca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제1검출부
120: 제2검출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메모리
150: 제1디스플레이
160: 제2디스플레이
170: 처리부
110: first detection unit
120: second detection unit
130: user input
140: memory
150: first display
160: second display
170: processing unit

Claims (14)

차량의 외부 정보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
상기 차량의 내부 정보를 검출하는 제2검출부,
상기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에 설치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
상기 차량의 후석의 전방에 설치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외부 정보 및 상기 내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상황을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의 상황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인식된 상황을 차량 내외부로 출력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
A firs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exter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second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inter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first display installed on the window glass of the vehicle to display information,
A second display installed in front o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to display information, and
Recognize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internal information, and recognize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u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ehicle.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cluding a processing unit for out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검출부는,
음성 인식 센서, 모션 센서, 온도 센서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etection unit,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voice recognition sensor, a mo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an image sens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검출부는,
차속 센서,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 정지 램프 상태 감지 센서 및 조향각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detection unit,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ehicle speed sensor, a brake pedal position sensor, a stop lamp state detection sensor and a steering angl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검출부는,
상기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고 음성 인식 센서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detection unit,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oice recognition sensor and an imag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는,
프런트 윈도우 글라스, 리어 윈도우 글라스 및 사이드 윈도우 글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indow glass of the vehicle,
A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ront window glass, a rear window glass and a side window glas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차량의 상황이 위험 상황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에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processing unit,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warning to the first display when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is recognized as a dangerous situ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차량의 후석에 착석한 탑승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상황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를 통해 엔터테인먼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ing unit,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recognized as a situation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occupant seated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is required, the entertainment is out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차량의 외부 정보 및 내부 정보를 검출하는 제1단계,
상기 외부 정보 및 내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토대로 차량의 상황을 인식하는 제2단계, 및
인식된 차량의 상황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표시 방법.
A first step of detecting external and internal information of a vehicle,
A second step of recognizing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information and internal information, and
A vehicle information display method comprising a third step of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ehicle situ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음성 인식 센서, 모션 센서, 온도 센서 및 이미지 센서를 통해 상기 외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step,
Vehicle information display method characterized by acquiring the external information through a voice recognition sensor, motion sensor, temperature sensor and image sens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차속 센서,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 정지 램프 상태 감지 센서 및 조향각 센서를 통해 상기 외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step,
A vehicle information display method characterized by acquiring the external information through a vehicle speed sensor, a brake pedal position sensor, a stop lamp state detection sensor, and a steering angle sens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음성 인식 센서 및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step,
A method for displaying vehicle information, wherein the interior information is acquired by using a voice recognition sensor and an image sensor installed in the vehicle interi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차량의 상황이 위험 상황으로 인식되면 상기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에 설치되는 제1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량 외부에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third step,
When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is recognized as a dangerous situation, a vehicle information displa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 warning is output outside the vehicle through a first display installed on the window glass of the vehic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는,
프런트 윈도우 글라스, 리어 윈도우 글라스 및 사이드 윈도우 글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window glass of the vehicle,
A vehicle information display method comprising a front window glass, a rear window glass and a side window glas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차량의 상황이 상기 차량의 후석에 착석한 탑승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상황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후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2디스플레이를 통해 엔트테인먼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third step,
When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is recognized as a situation in which communication with a passenger seated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is recognized, the vehicle information display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ertainment is output through a second display installed in front of the rear seat.
KR1020180108454A 2018-09-11 2018-09-11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202000298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454A KR20200029878A (en) 2018-09-11 2018-09-11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454A KR20200029878A (en) 2018-09-11 2018-09-11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878A true KR20200029878A (en) 2020-03-19

Family

ID=69957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454A KR20200029878A (en) 2018-09-11 2018-09-11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987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361A (en) * 2021-12-24 2023-07-03 이상준 Hazard guidance device for vehicles using speech recognition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361A (en) * 2021-12-24 2023-07-03 이상준 Hazard guidance device for vehicles using speech recognitio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8945B2 (en) Ambient vehicle and pedestrian state detection for device notification
US9381859B2 (en) Reverse parking assistance with rear visual indicator
US94753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display based on driver behavior
US11059421B2 (en) Vehicle proximity system using heads-up display augmented reality graphics elements
US10752172B2 (en)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a vehicle interface for human perception optimization
US201601472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virtual reality control of movable vehicle partitions
JP7222216B2 (en) Driving support device
US11021103B2 (en) Method for enriching a field of view of a driver of a transportation vehicle with additional information, device for use in an observer transportation vehicle, device for use in an object, and transportation vehicle
US11518305B2 (en) Techniques for generating vehicle-to-pedestrian (V2P) communications based on driver monitoring
US10741076B2 (en) Cognitively filtered and recipient-actualized vehicle horn activation
CN112590797A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driver and system comprising such a device
JP2019038356A (en) Vehicle control device
US110621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images reflected from a visor
KR20210113070A (en) Attention-based notifications
US20140005886A1 (en) Controlling automotive functionality using internal- and external-facing sensors
KR20200029878A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101850857B1 (en)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1175287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apparatus
US20190206256A1 (en) Motor vehicle having a sound capture device
JP7175257B2 (en) GESTURE DETECTION DEVICE, GESTURE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US115640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motion detection and inter-vehicle communication
KR102425036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2010120470A (en) Safety assist device for vehicle
JP4100294B2 (en) Car driving sensation training system
US11702006B2 (en) Vehicl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