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786A -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786A
KR20200029786A KR1020180108254A KR20180108254A KR20200029786A KR 20200029786 A KR20200029786 A KR 20200029786A KR 1020180108254 A KR1020180108254 A KR 1020180108254A KR 20180108254 A KR20180108254 A KR 20180108254A KR 20200029786 A KR20200029786 A KR 20200029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in control
control device
iot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432B1 (ko
Inventor
나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강이지에스
나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강이지에스, 나정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강이지에스
Priority to KR1020180108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4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2Entity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3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 H04L63/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retaining data, e.g. retaining successful, unsuccessful communication attempts, internet access, or e-mail, internet telephony, intercept related information or call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chnology Law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 방식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내부장치를 외부에서 제어하기 위해서는 등록된 단말기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등록된 단말기를 사칭하여 접속하는 상황도 방지할 수 있어 해킹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통신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내부장치와, 상기 내부장치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메인제어장치와, 상기 메인제어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내부장치를 제어하는 단말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제어장치에는 단말기의 정보가 저장되어 등록된 단말기만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a prevention system of hacking for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 방식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내부장치를 외부에서 제어하기 위해서는 등록된 단말기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등록된 단말기를 사칭하여 접속하는 상황도 방지할 수 있어 해킹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생활 속 모든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환경으로서, 상기 사물인터넷은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사물인터넷에 의하면, 가전제품,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사물인터넷은 기존의 유비쿼터스나 M2M(Machine to Machine: 사물지능통신)과 비슷하기도 하지만, 통신장비와 사람과의 통신을 주목적으로 하는 M2M의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하여 사물은 물론이고 현실과 가상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작용하는 개념으로 진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는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포함되는 사물(예를 들어, 복수의 디지털 디바이스)과 통신하고 상기 사물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10-1438769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각 세대의 실내에 설치되는 월패드(100), 각 동의 공동현관에 설치되는 공동현관기(110), 단지 내의 경비실에 설치되는 경비실기(120) 그리고 이들로부터 제어를 받는 각종기기가 RS-485 또는 RS-422의 유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구축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200),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200)을 통합관리하는 주장치(210), 원격관리를 위한 DB서버(220) 및 상기 DB서버(220)와 이더넷 통신망으로 연결된 관리자 PC(230)를 포함하되; 상기 주장치(210)는, 상기 유선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도록 RS-485 또는 RS-422 통신모듈을 구비한 제1통신부(212), 상기 DB서버(220)와의 통신을 위해 이더넷 통신모듈을 구비한 제2통신부(213) 및 상기 유선통신망의 통신 프로토콜의 흐름을 모니터링하여 홈오토메이션 시스템(200)을 관리하고 상기 월패드(100), 공동현관기(110), 경비실기(120) 그리고 이들로부터 제어를 받는 각종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214)를 포함하며, 상기 DB서버(220)는, 상기 주장치(210)로부터 전송받은 모니터링 결과를 저장하고 업데이트하며 관리자 PC(230)로부터 전송받은 제어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DB 관리모듈(221)과 상기 주장치(210)로부터 전송받은 모니터링 결과를 DB 관리모듈(221)로 전송하고 DB 관리모듈(221)로부터 전송받은 제어정보를 주장치(210)로 전송하는 주장치 제어모듈(2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10-1438769에 기재된 기술은 사물인터넷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접목함으로써, 홈오토메이션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현장 방문 없이도 인터넷을 통해 원격 PC에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외부 통신망을 통하여 용이하게 침투가 가능하므로 해킹을 방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438769 한국공개특허 10-2017-013675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통신망으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내부장치들과 상기 내부장치들과 내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는 메인제어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제어장치에는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의 정보가 저장되어 등록된 단말기로만 외부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해킹을 방지하도록 하는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제어장치에는 저장부가 구비되어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등록되며,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에서 전화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면 메인제어장치는 접속을 시도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 접속을 차단하고 해당 전화번호로 다시 접속을 시도함으로써, 전화번호를 사칭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통신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내부장치와, 상기 내부장치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메인제어장치와, 상기 메인제어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내부장치를 제어하는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제어장치에는 단말기의 정보가 저장되어 등록된 단말기만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장치는 단말기에서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와의 연결을 차단하고,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가 상기 메인제어장치에 등록된 단말기일 경우, 상기 메인제어장치가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로 접속을 요청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제어장치에는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며, 상기 메인제어장치는 전화 통신망을 통하여 등록된 전화번호로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장치에는 단말기의 정보가 저장되되, 단말기의 권한을 설정하여 제어할 수 있는 내부장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장치는 내부장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고, 설정된 정보를 등록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통신망으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내부장치들과 상기 내부장치들과 내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는 메인제어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제어장치에는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의 정보가 저장되어 등록된 단말기로만 외부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해킹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제어장치에는 저장부가 구비되어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등록되며,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에서 전화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면 메인제어장치는 접속을 시도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 접속을 차단하고 해당 전화번호로 다시 접속을 시도함으로써, 전화번호를 사칭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의 연결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이 홈오토메이션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의 연결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이 홈오토메이션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서로 통신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내부장치(400)와 상기 내부장치(400)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메인제어장치(300)와 상기 메인제어장치(300)에 접속하여 상기 내부장치(400)를 제어하는 단말기(5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부장치(400)는 각각 보조 통신모듈(410)을 구비하고 있어 서로 내부 통신망을 사용하여 연결되어 서로 정보를 교환하게 되며, 상기 메인제어장치(300) 역시 내부 통신망을 통하여 내부장치(400)와 연결되어 내부장치(4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제어장치(300)는 메인통신모듈(310)이 구비되어 각각의 내부장치(400)와 연결될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통신모듈(310)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500)와 외부 통신망(외부 인터넷, 전화 통신망 등)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내부장치(400)는 외부 통신망과 직접 연결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500)는 메인제어장치(300)를 통하여 각 내부장치(400)와 연결되어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장치(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내부장치(400) 및 외부의 단말기(500)와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메인통신모듈(310)과 접속 가능한 단말기(500)의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3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제어장치(300)는 각 내부장치(400)와 연결되어 내부장치(400)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게 되는데, 상기 내부장치(400)로부터 수신받은 정보 중에서 관리자가 설정한 정보는 상기 메인통신모듈(310)을 통하여 관리자의 단말기(500)로 전송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이 홈오토메이션에 적용된 경우는 내부장치(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에서 사용되는 기기들로 이루어지는데, 일 예로서 가전기기(400)인 가스오븐레인지에 불을 켜둔 상태로 외출할 경우, 가스레인지에 구비된 온도센서를 통하여 과열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메인제어장치(300)가 메인통신모듈(310)을 통하여 관리자에게 통지함으로써, 가스레인지를 소등하거나 불가능할 경우 가스배관의 밸브를 제어하여 가스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여 화재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물론, 본 발명의 기술은 홈오토메이션에만 적용가능한 것이 아니라,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반 회사나 공장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회사나 공장을 구성하는 각 기기들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메인제어장치(300)에서 수신하여 관리자가 설정한 정보에 한하여 관리자에게 통지하도록 하여 관리자가 상황에 따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메인제어장치(300)에는 저장부(320)가 구비되어 있어 단말기(500)의 정보가 저장되는데, 상기 메인제어장치(300)는 상기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등록된 단말기(500)만이 메인통신모듈(310)을 통하여 메인제어장치(300)와 접속을 허용하게 된다.
즉, 상기 단말기(500)를 사용하여 메인제어장치(300)에 접속할 때에는 단말기(500)의 고유정보가 같이 전송되어 메인제어장치(300)에서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400)를 특정할 수 있어 등록된 단말기(500)만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외부에서 단말기(500)를 통하여 메인제어장치(300)로 접속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500)에서 메인제어장치(300)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메인제어장치(300)는 단말기(500)에서 전송한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500)와의 연결을 우선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제어장치(300)는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500)의 정보를 확인하여 메인제어장치(300)에 구비되는 저장부(320)에 등록된 단말기(500)가 아닐 경우에는 접속을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메인제어장치(300)는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500)가 저장부(320)에 등록된 단말기(500)일 경우에는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500)로 접속 요청을 하여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제어장치(300)의 저장부(320)에는 단말기(500)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500)의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등록된 단말기(500)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단말기(500)로 접속 요청을 할 때에는 등록된 전화번호로 접속을 요청하게 된다.
그래서, 외부에서 단말기(500)를 통하여 메인제어장치(300)로 접속을 시도할 때, 외부인이 등록되지 않은 단말기(500)를 사용할 경우 이를 차단할 수 있어 등록된 관리자만이 접속하여 내부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요즘에는 발신자 번호를 사칭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발신자 번호를 등록된 전화번호로 사칭하여 접속을 시도하더라도 접속 요청시 일단 접속을 차단하고, 메인제어장치(300)가 해당 발신자 번호로 다시 접속 요청신호를 전송하게 되므로 전화번호를 사칭한 단말기(500)로는 접속 요청신호가 가지 않게 되므로 사칭한 전화번호로 접속을 시도하더라도 이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메인제어장치(300)의 메인통신모듈(310)은 일반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모뎀기능을 구비하여 전화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을 가능하게 하며, 단말기(500) 역시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지고 모뎀기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어 메인제어장치(300)와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메인제어장치(300)의 저장부(320)에는 단말기(500)의 정보가 저장되는데, 상기 저장부(320)에는 각 단말기(500)마다 제어할 수 있는 내부장치(400)를 제한하는 권한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홈오토메이션의 경우에는 모든 가족 구성원을 관리자로 설정하고, 권한도 모든 내부장치(400)를 제어 가능하도록 설정하더라도 문제가 없지만, 회사나 공장과 같이 규모가 큰 곳에서는 한 명의 관리자로는 원활한 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명의 관리자를 두게 되는데, 각 관리자마다 제어할 수 있는 내부장치(400)의 한계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일반적인 문제는 직급이 낮은 관리자가 제어할 수 있게 하지만 회사나 공장의 중요한 기밀에는 직급이 낮은 관리자의 접근을 차단하여 기밀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 방식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내부장치를 외부에서 제어하기 위해서는 등록된 단말기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등록된 단말기를 사칭하여 접속하는 상황도 방지할 수 있어 해킹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00 : 메인제어장치 310 : 메인통신모듈
320 : 저장부 400 : 내부장치
410 : 보조통신모듈 500 : 단말기

Claims (6)

  1. 서로 통신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내부장치와,
    상기 내부장치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메인제어장치와,
    상기 메인제어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내부장치를 제어하는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장치에는 단말기의 정보가 저장되어 등록된 단말기만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장치는 단말기에서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와의 연결을 차단하고,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가 상기 메인제어장치에 등록된 단말기일 경우, 상기 메인제어장치가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로 접속을 요청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장치에는 등록된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며,
    상기 메인제어장치는 전화 통신망을 통하여 등록된 전화번호로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장치에는 단말기의 정보가 저장되되,
    단말기의 권한을 설정하여 제어할 수 있는 내부장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장치는 내부장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고, 설정된 정보를 등록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
KR1020180108254A 2018-09-11 2018-09-11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 KR102270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254A KR102270432B1 (ko) 2018-09-11 2018-09-11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254A KR102270432B1 (ko) 2018-09-11 2018-09-11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786A true KR20200029786A (ko) 2020-03-19
KR102270432B1 KR102270432B1 (ko) 2021-06-29

Family

ID=6995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254A KR102270432B1 (ko) 2018-09-11 2018-09-11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2756A1 (ko) * 2019-12-26 2021-07-01 주식회사 성강이지에스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507A (ko) * 2005-01-19 2006-07-2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내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51392A (ko) * 2005-11-15 2007-05-18 이경목 전화 인증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관리방법
KR20070096162A (ko) * 2006-03-21 2007-10-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스팸 전화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64916A (ko) * 2010-12-10 2012-06-20 주식회사 케이티 전화번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접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 시스템
KR20120072445A (ko) * 2010-12-24 2012-07-04 주식회사 케이티 홈 허브에 연결된 댁내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8769B1 (ko) 2012-12-20 2014-09-05 주식회사 경동원 이더넷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의 관리시스템
KR20160075158A (ko) * 2014-12-19 2016-06-29 장성균 사물인터넷 단말기 보안을 위한 디바이스 접근 제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70136759A (ko) 2016-06-02 2017-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507A (ko) * 2005-01-19 2006-07-2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내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51392A (ko) * 2005-11-15 2007-05-18 이경목 전화 인증 보안 기능을 구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관리방법
KR20070096162A (ko) * 2006-03-21 2007-10-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스팸 전화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64916A (ko) * 2010-12-10 2012-06-20 주식회사 케이티 전화번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접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 시스템
KR20120072445A (ko) * 2010-12-24 2012-07-04 주식회사 케이티 홈 허브에 연결된 댁내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8769B1 (ko) 2012-12-20 2014-09-05 주식회사 경동원 이더넷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의 관리시스템
KR20160075158A (ko) * 2014-12-19 2016-06-29 장성균 사물인터넷 단말기 보안을 위한 디바이스 접근 제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70136759A (ko) 2016-06-02 2017-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2756A1 (ko) * 2019-12-26 2021-07-01 주식회사 성강이지에스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432B1 (ko)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745217B (zh) 促进最终用户定义的策略管理的方法和装置
KR100505221B1 (ko) 조속한 아이피주소 업데이트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망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그 아이피주소 업데이트방법
US9906956B1 (en) Using power-line networks to facilitate network access
US10867507B2 (en) Set-top box gateway architecture for universal remote controller
KR20160027037A (ko) IoT 자원 액세스 네트워크들에서 제어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트러스트 휴리스틱 모델
US1156359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ome-automation facility
Godha et al. Home automation: Access control for IoT devices
KR20140074570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 및 외부 서버간의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695770B2 (en) Method for configuring remote access controlling, and supervising at least one home automation device belonging to a home automation installation
KR20210042241A (ko) 사물 인터넷을 위한 디바이스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83468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radio signal emitted by a gateway, and corresponding gateway and computer program
JP4123733B2 (ja) アクセス制御機器
US11611873B2 (en) Method for monitoring access to a user service intended for monitoring of a home-automation installation
KR101772144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보안 관리 장치 및 보안 관리 방법
KR102270432B1 (ko)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
KR20140021546A (ko)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용 페어링 방법
KR100882901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보안정책 설정 방법
CN112152827A (zh) 物联网设备的管理方法、装置、网关及可读存储介质
US10554433B2 (en) Method for discovering the configuration of a home-automation facility
US11528158B2 (en) Method for configuring, monitoring or supervising a home automation equipment
WO2021132756A1 (ko) 사물인터넷 해킹 방지 시스템
KR100381171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080017164A (ko) 홈게이트웨이를 통한 정보기기 접근제어 서비스 시스템과그 방법
KR101208095B1 (ko) 현장 장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
KR101270766B1 (ko) 홈 넷과 인터넷 간 라우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