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095B1 - 현장 장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현장 장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095B1
KR101208095B1 KR1020120027261A KR20120027261A KR101208095B1 KR 101208095 B1 KR101208095 B1 KR 101208095B1 KR 1020120027261 A KR1020120027261 A KR 1020120027261A KR 20120027261 A KR20120027261 A KR 20120027261A KR 101208095 B1 KR101208095 B1 KR 101208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anagement terminal
received
operation signal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형
문성모
박종선
임민정
홍인택
Original Assignee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7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167Encryption, password, user access privile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 장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케줄링 모드인지 권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스케줄링 모드에 따른 제1 단계 또는 권한 모드에 따른 제2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단계는, 제1 권한 제한 신호를 생성하고, 제1 권한 제한 신호를 로컬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2 단계는, 관리 단말기로부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관리 단말기로부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인증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제1 시구간 동안, 권한 프리 신호를 생성하고, 권한 프리 신호를 로컬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장 장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field equipment and control apparatus for field equip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장 장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사람이 입주하여 생활하는 주택, 아파트, 상가, 상업용 빌딩 등의 건물에 설치되는 각종 현장 장비를 제어하고, 이를 보다 효율적이고 최적의 상태로 안전하고 쾌적하게 관리할 수 있는 현장 장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러 사람이 입주하여 생활하는 주택, 아파트, 상가, 상업용 빌딩 등의 건물에 설치되는 각종 현장 장비를 제어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해, 현장 장비 제어 장치는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현장 장비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는 이러한 스케줄을 수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현장 장비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현장 장비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인증된 사용자와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불특정다수자)로 분류될 수 있다. 현장 장비(이하 '로컬 장비'로 지칭함)의 일 예로서, 대학교 내 교실의 냉난방 장치의 경우, 관리자가 아이디를 부여한 자(예를 들어, 교원 또는 조교)는 이러한 냉난방 장치를 사용하는 인증된 사용자로 분류될 수 있고, 비수강생 또는 제3자의 경우 비인증된 사용자로 분류될 수 있다.
로컬 장비를 제어함에 있어서, 관리자는 전기 등의 에너지를 아껴야 하는 입장이다. 반면에 사용자는 로컬 장치를 임의로 자유롭게 사용하고자 할 뿐, 에너지를 아껴야 하는 입장은 아니다. 따라서 에너지를 아껴야 하는 관리자와 로컬 장비를 자유롭게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간의 운영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비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로컬 장비의 사용 요청이 발생한 경우 관리자는 로컬 장비의 사용을 허락하지 않아야만 한다.
그러나 관리자는 관리실에서 현장 장비 제어 장치를 제어할 뿐 원격지에 설치된 현장 장비(이하 '로컬 장비'라 지칭함)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관리자는 로컬 장비를 이용하는 대상이 인증된 사용자인지 또는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관리자는 로컬 장비 내에 인증 기능을 부가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로컬 장비는 외부 업체에서 구매되는 것이어서 상기 인증 기능의 추가적인 구현이 요구되어야만 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로컬 장비의 구입 비용 상승의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증 기능이 추가적으로 구현된 로컬 장비를 구입하지 않고도 한된 사용자가 로컬 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현장 장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종류의 관리 단말기로 로컬 장비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 현장 장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은, 스케줄링 모드인지 권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모드에 따른 제1 단계 또는 상기 권한 모드에 따른 제2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스케줄에 따른 제1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동작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관리 단말기로부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제1 시구간 동안, 상기 제2 동작 신호를 로컬 장비로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의 일 예에 의하면, 절전 상태 동안,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시구간 보다 짧은 제2 시구간 동안, 상기 제2 동작 신호를 로컬 장비로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1 단말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동작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동작 불가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동작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단말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시구간 이후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재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2 동작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시구간 이후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재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단말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은, 스케줄링 모드인지 권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모드에 따른 제1 단계 또는 상기 권한 모드에 따른 제2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1 단말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동작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동작 불가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스케줄에 따른 제1 동작 신호 및 제1 권한 제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동작 신호 및 상기 제1 권한 제한 신호를 로컬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동작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제1 시구간 동안, 권한 프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권한 프리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현장 장비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현장 장치 제어 장치는, 관리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해 제공된 제1 송수신부; 로컬 장비와의 통신을 위해 제공된 제2 송수신부; 및 스케줄링 모드인지 권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 또는 상기 권한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송수신부 및 상기 제2 송수신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 동안,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1 단말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동작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송수신부는 상기 제1 동작 불가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스케줄에 따른 제1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송수신부는 상기 제1 동작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로 전송하며, 상기 권한 모드 동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권한 모드 동안,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제1 시구간 동안, 상기 제2 송수신부는 상기 제2 동작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에 전송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현장 장비 제어 장치의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권한 모드 동안,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제1 시구간 이후,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재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제2 송수신부는 상기 제2 동작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현장 장비 제어 장치의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권한 모드 동안,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제1 시구간 이후,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재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단말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송수신부는 상기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로컬 장비의 제어 방법은, 권한 모드를 도입함으로써, 인증된 사용자에 한하여 로컬 장비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 기능이 추가적으로 구현된 로컬 장비를 구입하지 않고도, 제어 방법을 통해 제한된 사용자가 로컬 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로컬 장비의 제어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관리 단말기로 로컬 장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실의 냉난방기와 같은 로컬 장비가 권한 모드에서 스케줄에 따라 동작하고 있는 경우, 교원과 같은 인증된 사용자는 교실 내 컴퓨터나 스마트폰과 같은 관리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로컬 장비가 권한 프리 모드가 되어 소정 시구간 동안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현장 장비 제어 방법 중 스케줄링 모드의 제어 상태와 권한 모드의 제어 상태에 따른 동작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이 적용된 스케줄 현황을 나타내는 표들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상황표가 반영된 전체 상황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및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현장 장비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현장 장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현장 장비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층이 다른 층의 위에 존재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층의 바로 위에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 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부재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스케줄 등록 단계(S10)가 수행된다. 스케줄 등록 단계(S10) 동안, 서버로부터 스케줄이 다운로드 되거나, 관리자가 직접 스케줄을 입력하여 스케줄이 등록될 수 있다. 상기 스케줄은 제어할 대상자(예를 들어, 로컬 장비)를 시간에 맞게 처리하도록 하는 시간표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실에 설치된 냉난방기의 경우, 상기 스케줄은 시간대별로 상기 냉난방기가 동작하는지 여부에 대한 시간표일 수 있다.
이후 스케줄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인지를 판단한다(S20). 스케줄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일 경우, 개별스케줄링 모드로 스케줄을 적용한다(S30). 상기 개별스케줄링 모드 동안, 각각의 대상자(예를 들어, 로컬 장비)에 대하여 스케줄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개별스케줄링 모드 동안 복수의 로컬 장비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스케줄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이 아니고 관리자가 직접 스케줄을 입력한 것일 경우, 상기 입력된 스케줄의 그룹 여부를 확인한다(S40). 상기 입력된 스케줄이 그룹인 경우, 그룹스케줄링 모드로 스케줄을 적용한다(S50). 상기 그룹스케줄링 모드 동안, 제어를 동일하게 해야 하는 로컬 장비들끼리 묶어, 그룹화화여 로컬 장비들이 스케줄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스케줄이 그룹이 아닌 경우, 개별스케줄링 모드로 스케줄을 적용한다(S60).
이후 스케줄 활성화 상태 여부, 즉 스케줄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스케줄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로컬 장비의 전원이 임의로 제어될 수 있다(S80). 예를 들어, 인증된 사용자뿐만 아니라 비인증된 사용자에 의해서도 로컬 장비가 제어될 수 있다. 스케줄이 활성화된 경우, 활성화된 스케줄의 스케줄링 모드를 확인한다(S90). 더욱 구체적으로, 활성화된 스케줄이 스케줄링 모드인지 권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활성화된 스케줄이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로컬 장비는 스케줄에 의해서만 제어될 수 있다. 먼저 스케줄 상태를 확인한다(S100). 상기 스케줄 상태가 프리 상태(free status)인 경우, 로컬 장비의 전원이 임의로 제어될 수 있다(S110). 스케줄이 활성화된 상태이지만 제어값이 없는 경우이므로, 인증된 사용자뿐만 아니라 비인증된 사용자에 의해서도 로컬 장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스케줄 상태가 제어 상태(control status)인 경우, 스케줄에 따른 동작 신호에 상응하여 로컬 장비의 전원이 제어될 수 있다(S120). 스케줄이 활성화된 상태이며, 스케줄에 따른 제어값(예를 들어, 동작 신호)이 있는 경우이므로, 인증된 사용자 및 비인증된 사용자에 의해서는 로컬 장비가 제어되지 않는다.
활성화된 스케줄이 권한 모드인 경우, 로컬 장비는 스케줄에 의해서 제어되며, 인증된 사용자가 제어할 때 스케줄을 지정된 시간만큼 스케줄 프리 모드로 스케줄을 수정할 수 있다. 먼저 스케줄 상태를 확인한다(S130). 상기 스케줄 상태가 프리 상태(free status)인 경우, 로컬 장비의 전원이 임의로 제어될 수 있다(S140). 스케줄이 활성화된 상태이지만 제어값이 없는 경우이므로, 인증된 사용자뿐만 아니라 비인증된 사용자에 의해서도 로컬 장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스케줄 상태가 제어 상태(control status)인 경우, 스케줄에 따른 동작 신호에 상응하여 로컬 장비의 전원이 제어될 수 있다(S150). 스케줄이 활성화된 상태이며, 스케줄에 따른 제어값(예를 들어, 동작 신호)이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 스케줄링 모드에서는 인증된 사용자 및 비인증된 사용자에 의해서는 로컬 장비가 제어되지 않았지만, 권한 모드에서는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서는 로컬 장비가 제어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인증된 사용자는 관리 단말기(예를 들어, WEB과 연결된 PC)를 통한 인증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인증 작업이 수행된 후, 로컬 장비는 소정 시간 동안 권한 프리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권한 프리 상태 동안, 인증된 사용자 및 비인증된 사용자는 로컬 장비를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현장 장비 제어 방법 중 스케줄링 모드의 제어 상태와 권한 모드의 제어 상태에 따른 동작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스케줄링 모드 또는 권한 모드 여부가 판단된다(S70). 스케줄링 모드에서, 스케줄 상태가 제어 상태(control status)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스케줄에 따른 동작 신호에 상응하여 로컬 장비의 전원이 제어될 수 있다(S120). 이를 위해, 스케줄에 따른 제1 동작 신호가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동작 신호는 로컬 장비로 전송될 수 있다(S123). 로컬 장비는 상기 제1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될 수 있다.
스케줄링 모드에서 스케줄 상태가 제어 상태인 경우는, 스케줄이 활성화된 상태이며, 스케줄에 따른 제어값(예를 들어, 동작 신호)이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인증된 사용자 및 비인증된 사용자에 의해서는 로컬 장비가 제어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권한 제한 신호가 생성될 수 있고, 상기 권한 제한 신호는 로컬 장비로 전송될 수 있다(S125).
권한 모드에서, 스케줄 상태가 제어 상태(control status)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스케줄에 따른 동작 신호에 상응하여 로컬 장비의 전원이 제어될 수 있다(S150). 이를 위해,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가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동작 신호는 로컬 장비로 전송될 수 있다(S153). 로컬 장비는 상기 제2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될 수 있다.
권한 모드에서 스케줄 상태가 제어 상태인 경우는, 스케줄이 활성화된 상태이며, 스케줄에 따른 제어값(예를 들어, 동작 신호)이 있지만,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서 로컬 장비가 제어될 수 있는 경우이다. 인증된 사용자는 관리 단말기를 통한 인증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인증 작업이 수행된 후, 로컬 장비는 소정 시간 동안 권한 프리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인증 신호에 응답하여 권한 프리 신호가 생성될 수 있고, 상기 권한 프리 신호는 로컬 장비로 전송될 수 있다(S155). 로컬 장비는 상기 권한 프리 신호를 수신하여 권한 프리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이 적용된 스케줄 현황을 나타내는 표들을 나타낸다. 도 3은 스케줄링 모드에서의 상황표를 나타내며, 도 4는 권한 모드에서의 상황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N 상태의 경우, 스케줄 활성화가 안 된 경우로서, 단계(S80)와 대응된다. N 상태 동안, 로컬 장비는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관리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는 검증된 사용자뿐만 아니라, 임의의 제3자 역시 로컬 장비를 제어할 수 있다.
S-1 상태의 경우, 스케줄이 활성화가 되었으나 스케줄 내 해당 시간에 동작 신호(예를 들어, 전원의 ON/OFF 명령)가 없는 경우이다. 따라서 관리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는 검증된 사용자뿐만 아니라, 임의의 제3자 역시 로컬 장비를 제어할 수 있다.
S-2 상태의 경우, 스케줄 중 해당 시간에 제1 상태의 동작 신호(예를 들어, 전원의 OFF 명령)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또한, S-3 상태의 경우, 스케줄 중 해당 시간에 제2 상태의 동작 신호(예를 들어, 전원의 ON 명령)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S-2 상태 및 S-3 상태의 경우, 로컬 장비는 상기 동작 신호에 의해서만 제어된다.
예를 들어, S-2 상태 및 S-3 상태 동안, 관리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는 검증된 사용자의 요청에 대해서는 동작 수행 불가 메시지 창이 띄워질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사용자가 로컬 장비를 제어하더라도 상기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동작 신호는 무효가 되며 상기 로컬 장비는 스케줄에 따라 생성된 동작 신호에 의해서만 제어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N 상태의 경우, 스케줄 활성화가 안 된 경우로서, 단계(S80)와 대응된다. N 상태 동안, 로컬 장비는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A-1 상태의 경우, 스케줄이 활성화가 되었으나 스케줄 내 해당 시간에 동작 신호(예를 들어, 전원의 ON/OFF 명령)가 없는 경우이다. 따라서 관리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는 검증된 사용자뿐만 아니라, 임의의 제3자 역시 로컬 장비를 제어할 수 있다.
A-2 상태의 경우, 스케줄 중 해당 시간에 제1 상태의 동작 신호(예를 들어, 전원의 OFF 명령)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또한, A-3 상태의 경우, 스케줄 중 해당 시간에 제2 상태의 동작 신호(예를 들어, 전원의 ON 명령)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A-2 상태 및 A-3 상태의 경우, 로컬 장비는 상기 동작 신호에 의해서만 제어된다.
예를 들어, A-2 상태 및 A-3 상태 동안, 관리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는 검증된 사용자의 요청에 대해서는 동작 수행 불가 메시지 창이 띄워질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사용자가 로컬 장비를 제어하더라도 상기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동작 신호는 무효가 되며 상기 로컬 장비는 스케줄에 따라 생성된 동작 신호에 의해서만 제어된다.
A-4 상태는 스케줄 제어값이 있었으나 권한을 가진 사람에 의해서 스케줄 프리 상태가 된 경우이다. A-2 상태 또는 A-3 상태 동안 인증 동작이 수행됨으로써, A-2 상태 또는 A-3 상태가 A-4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A-4 상태 동안, 관리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는 검증된 사용자뿐만 아니라, 임의의 제3자 역시 로컬 장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A-4 상태는 소정 시구간 동안 지속되며, 상기 시구간 이후에는 A-2 상태 또는 A-3 상태로 복귀된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상황표가 반영된 전체 상황표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절전 상태 동안, 로컬 장비는 S-1 상태, S-2 상태, A-1 상태, A-2 상태, 및 A-4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절전 상태가 OFF인 경우, 그룹스케줄링 모드인지 개별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룹스케줄링 모드 동안, 제어를 동일하게 해야 하는 로컬 장비들끼리 묶어, 그룹화화여 로컬 장비들이 스케줄 처리될 수 있다. 또한, 개별스케줄링 모드 동안 복수의 로컬 장비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그룹스케줄링 모드 및 개별스케줄링 모드 동안, 로컬 장비는 각각 N 상태, S-1 상태, S-2 상태, S-3 상태, A-1 상태, A-2 상태, A-3 상태, 및 A-4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A-2 상태 또는 A-3 상태 동안 인증 동작이 수행됨으로써, A-2 상태 또는 A-3 상태가 A-4 상태로 변화된다. 또한, A-4 상태는 소정 시구간 이후 A-2 상태 또는 A-3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스케줄링 모드인지 권한 모드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200). 이후 스케줄링 모드에 따른 제1 단계 또는 권한 모드에 따른 제2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스케줄링 모드에 따른 제1 단계>
먼저 T=1로 설정된다(S210). 여기서 T은 스케줄에 따른 현재 시간을 나타낸다. 단계들(S220, S230, S240, S250)은 매 시간별(즉, T=1,2,3,...,N)로 수행될 수 있다.
관리 단말기로부터 제1 단말 동작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관리 단말기로부터 제1 단말 동작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동작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동작 불가 신호를 관리 단말기로 전송한다(S230).
이후, 스케줄에 따른 제1 동작 신호 및 제1 권한 제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동작 신호 및 상기 제1 권한 제한 신호를 로컬 장비로 전송한다(S240). 로컬 장비는 제1 권한 제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 경우 인증된 사용자 및 비인증된 사용자에 의해서는 로컬 장비가 제어되지 않는다.
이후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S250), 종료되지 않을 경우 T=T+1로 설정한 후, 증가된 시간 T에서 단계들(S220, S230, S240, S250)이 재수행된다.
결과적으로, 스케줄링 모드 동안, 로컬 장비는 스케줄에 의해서만 제어되고, 인증된 사용자 및 비인증된 사용자에 의해서는 제어되지 않는다.
<권한 모드에 따른 제2 단계>
권한 모드인 경우, 먼저 T=1로 설정된다(S310). 여기서 T은 스케줄에 따른 현재 시간을 나타낸다. 단계들(S310, S320, S330, S340, S350, S380, S390, S400, S410)은 매 시간별(즉, T=1,2,3,...,N)로 수행될 수 있다.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동작 신호를 로컬 장비로 전송한다(S320). 이후 관리 단말기로부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관리 단말기로부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제1 시구간 동안, 권한 프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권한 프리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에 전송한다(S340, S350). 예를 들어, 제1 시구간이 K인 경우, T=T+K가 될 것이다(S350). 비록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전 상태 동안, 인증 신호에 응답하여 단계(S340, S50)가 수행될 수 있고, 이 경우, 단계(S340)는 상기 제1 시구간보다 짧은 제2 시구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단계(S350) 이후, 즉, 상기 제1 시구간 이후, 단계(S320, S330, S360, S370, S380)가 재수행될 수 있다. 즉,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재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 및 제2 권한 제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2 권한 제한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320, S360). 또한, 상기 제1 시구간 이후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재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단말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370, S380)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관리 단말기로부터 제2 단말 동작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60). 관리 단말기로부터 제2 단말 동작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관리 단말기로 전송한다(S370).
이후, 제2 권한 제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2 권한 제한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로 전송한다(S380). 로컬 장비는 상기 제2 권한 제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 경우 인증된 사용자 및 비인증된 사용자에 의해서는 로컬 장비가 제어되지 않는다.
이후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S390), 종료되지 않을 경우 T=T+1로 설정한 후(S400), 증가된 시간 T에서 단계들(S320, S330, S340, S360, S370, S380, S390)이 재수행된다.
결과적으로, 스케줄링 모드 동안, 로컬 장비는 스케줄에 의해서만 제어되고, 비인증된 사용자에 의해서는 제어되지 않으며, 인증된 사용자는 인증 동작이 적절하게 수행된 경우에만 로컬 장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로컬 장비의 제어 방법은, 권한 모드를 도입함으로써, 인증된 사용자에 한하여 로컬 장비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 기능이 추가적으로 구현된 로컬 장비를 구입하지 않고도, 제어 방법을 통해 제한된 사용자가 로컬 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로컬 장비의 제어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관리 단말기로 로컬 장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실의 냉난방기와 같은 로컬 장비가 권한 모드에서 스케줄에 따라 동작하고 있는 경우, 교원과 같은 인증된 사용자는 교실 내 컴퓨터나 스마트폰과 같은 관리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로컬 장비가 권한 프리 모드가 되어 제1 시구간 동안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7및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들이다. 이 실시예들에 따른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은 도 2 및 도 6에 따른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의 변형예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 간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전 실시예들의 경우 로컬 장비를 제어하기 위해, 권한 제한 신호 및 권한 프리 신호가 로컬 장비 전송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권한 제한 신호를 로컬 장비에 전송하여 불특정 다수로 하여금 로컬 장비가 제어되지 않도록 하는 대신에, 제2 동작 신호(또는 제1 동작 신호)를 로컬 장비에 계속적으로 전송함으로써 로컬 장비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동작 신호(또는 제1 동작 신호)가 로컬 장비의 전원을 턴 오프 시키는 신호인 경우, 권한 모드(또는 스케줄링 모드) 동안, 상기 제2 동작 신호(또는 제1 동작 신호)가 계속적으로 로컬 장비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자가 로컬 장비를 턴 온 시킨다고 하더라도, 로컬 장비는 계속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2 동작 신호(또는 제1 동작 신호)에 의해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권한 프리 신호를 로컬 장비에 전송하는 대신에, 제2 동작 신호를 로컬 장비에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로컬 장비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동작 신호가 로컬 장비의 전원을 턴 오프 시키는 신호인 경우, 권한 모드 동안, 제2 동작 신호의 로컬 장비로의 전송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자가 로컬 장비를 턴 온 시킬 경우, 로컬 장비는 상기 제2 동작 신호에 의해 턴 오프 되지 않고, 턴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이 도 7 및 도 8에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방식에 따라, 스케줄링 모드에서, 스케줄에 따른 제1 동작 신호가 생성될 수 있고(S123a), 상기 제1 동작 신호가 로컬 장비로 전송될 수 있다(S123b).
한편, 권한 모드에서는,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가 생성될 수 있고(S153a), 이후 인증 신호 수신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157). 인증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2 동작 신호의 로컬 장비로의 전송을 차단시키고(S153b), 인증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2 동작 신호를 로컬 장비로 전송한다(S153c).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권한 제한 신호를 로컬 장비에 전송하여 불특정 다수로 하여금 로컬 장비가 제어되지 않도록 하는 대신에, 제2 동작 신호를 로컬 장비로 전송하여 직접 로컬 장비를 컨트롤함으로써, 제3자에 의한 임의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권한 프리 신호를 로컬 장비에 전송하여 불특정 다수가 로컬 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대신에, 제2 동작 신호를 로컬 장비로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제3자의 조작이 방해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은 도 6의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실시예를 일부 변경한 것이다. 이하 도 6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스케줄링 모드에서, 단계(도 6의 S240) 대신 스케줄에 따른 제1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동작 신호를 로컬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S1240)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권한 모드에서, 단계(도 6의 S320) 대신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320)가 수행될 수 있다. 인증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단계(도 6의 S340) 대신, 제2 동작 신호의 전송을 차단하는 단계(S1340)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단계(도 6의 S380) 대신, 제2 동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38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현장 장비 제어 장치(5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장비 제어 장치는, 도 6의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을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현장 장비 제어 장치(500)는 제1 송수신부(510), 제2 송수신부(520), 및 제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수신부(510)는 관리 단말기(T)와의 통신을 위해 제공되고, 제2 송수신부(520)는 로컬 장비(L)와의 통신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530)는, 스케줄링 모드인지 권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 또는 상기 권한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송수신부(510) 및 상기 제2 송수신부(52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스케줄링 모드 동안, 제어부(530)는 상기 관리 단말기(T)로부터 수신된 제1 단말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동작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송수신부(510)는 상기 제1 동작 불가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T)로 전송하며, 제어부(530)는 스케줄에 따른 제1 동작 신호 및 제1 권한 제한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송수신부(520)는 상기 제1 동작 신호 및 상기 제1 권한 제한 신호를 로컬 장비(L)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권한 모드 동안, 제어부(530)는, 상기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관리 단말기(T)로부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권한 모드 동안, 관리 단말기(T)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제1 시구간 동안, 제어부(530)는 권한 프리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송수신부(510)는 상기 제2 동작 신호 및 상기 권한 프리 신호를 로컬 장비(L)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한 모드 동안, 관리 단말기(T)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제1 시구간 이후, 관리 단말기(T)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재수신되기 전까지, 제어부(530)는 관리 단말기(T)로부터 수신된 제2 단말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송수신부(510)는 상기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관리 단말기(T)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한 모드 동안, 관리 단말기(T)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제1 시구간 이후, 관리 단말기(T)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재수신되기 전까지, 제어부(530)는 상기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 및 제2 권한 제한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송수신부(520)는 상기 제2 동작 신호 및 상기 제2 권한 제한 신호를 로컬 장비(L)로 전송할 수 있다.
비록 도 9의 실시예가 도 6의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을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를 기초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현장 장비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도 8의 현장 장비 제어 방법을 이용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케줄링 모드 동안, 제어부(530)는 스케줄에 따른 제1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송수신부(520)는 상기 제1 동작 신호를 로컬 장비(L)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권한 모드 동안, 제어부(530)는,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관리 단말기(T)로부터 제1 송수신부(510)를 통해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 단말기(T)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제1 시구간 동안, 제2 송수신부(520)는 제2 동작 신호를 로컬 장비(L)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관리 단말기(T)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제1 시구간 이후, 관리 단말기(T)로부터 인증 신호가 재수신되기 전까지, 제2 송수신부(520)는 상기 제2 동작 신호를 로컬 장비(L)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현장 장비 제어 장치(500)를 포함하는 현장 장비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현장 장비 제어 시스템은, 스케줄 파일 서버(SFS), 데이터베이스(DB), 웹 서버 컴퓨터(WSC), 관리 단말기(T), 현장 장비 제어 장치(500), 게이트웨이(GW), 및 로컬 장비(L)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 파일 서버(SFS)는 메니저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외부 서버이다. 예를 들어, 스케줄 등록 단계(도 1의 S10) 동안, 스케줄 파일 서버(SFS)로부터 스케줄이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DB)는 사용자에게 서비스하기 위한 기본정보 및 스케줄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DB)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디/비밀번호) 및 로컬 장비(L)들의 IP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웹 서버 컴퓨터(WSC)는 관리 단말기(T)의 사용자들에게 HTML과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 단말기(T)의 사용자는 웹 서버 컴퓨터(WSC)에 접속하여, 로컬 장비(L)를 제어할 수 있다. 현장 장비 제어 장치(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 단말기(T) 및 로컬 장비(L)를 제어할 수 있다. 관리 단말기(T) 및 현장 제어 장치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매니저 프로그램(MP)은 현재 실내기의 실시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웹 또는 스케줄에 의한 제어를 게이트웨이(GW)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스케줄은 매니저 프로그램(MP)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니저 프로그램(MP)은 스케줄 파일 서버(SFS)로부터 스케줄을 다운받아 자동으로 스케줄을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매니저 프로그램(MP)은 웹 서버 컴퓨터(WSC)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현장 장비 제어 장치(500)에 구현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GW)는 로컬 장비(L)의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장비로서, 현장 장비 제어 장치(500)의 신호들(예를 들어, 동작 신호, 권한 제한 신호, 권한 프리 신호 등)을 로컬 장비(L)들로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컬 제어 장비는 SDDC 이하의 단위를 통칭하며, 예를 들어, 각종 전기설비, 가스설비, 냉난방설비, 급수설비, 통신설비, 보안설비, 공조설비, 각종 개폐설비 등의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1)

  1. 스케줄링 모드인지 권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모드에 따른 제1 단계 또는 상기 권한 모드에 따른 제2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스케줄에 따른 제1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동작 신호를 로컬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관리 단말기로부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제1 시구간 동안, 상기 제2 동작 신호를 로컬 장비로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고,
    절전 상태 동안,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시구간 보다 짧은 제2 시구간 동안, 상기 제2 동작 신호를 로컬 장비로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장비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1 단말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동작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동작 불가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장 장비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동작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장 장비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단말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장 장비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시구간 이후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재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2 동작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장비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시구간 이후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재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단말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장 장비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관리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해 제공된 제1 송수신부;
    로컬 장비와의 통신을 위해 제공된 제2 송수신부; 및
    스케줄링 모드인지 권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 또는 상기 권한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송수신부 및 상기 제2 송수신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 동안,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1 단말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동작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송수신부는 상기 제1 동작 불가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스케줄에 따른 제1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송수신부는 상기 제1 동작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로 전송하며,
    상기 권한 모드 동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권한 모드 동안,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제1 시구간 동안, 상기 제2 송수신부는 상기 제2 동작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에 전송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권한 모드 동안,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제1 시구간 이후,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재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제2 송수신부는 상기 제2 동작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장비 제어 장치.
  11. 관리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해 제공된 제1 송수신부;
    로컬 장비와의 통신을 위해 제공된 제2 송수신부; 및
    스케줄링 모드인지 권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 또는 상기 권한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송수신부 및 상기 제2 송수신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 동안,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1 단말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동작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송수신부는 상기 제1 동작 불가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스케줄에 따른 제1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송수신부는 상기 제1 동작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로 전송하며,
    상기 권한 모드 동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케줄에 따른 제2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권한 모드 동안,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제1 시구간 동안, 상기 제2 송수신부는 상기 제2 동작 신호를 상기 로컬 장비에 전송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권한 모드 동안,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제1 시구간 이후,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 신호가 재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단말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송수신부는 상기 제2 동작 불가 신호를 상기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장비 제어 장치.
KR1020120027261A 2012-03-16 2012-03-16 현장 장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 KR101208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261A KR101208095B1 (ko) 2012-03-16 2012-03-16 현장 장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261A KR101208095B1 (ko) 2012-03-16 2012-03-16 현장 장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834A Division KR20130105248A (ko) 2012-08-27 2012-08-27 현장 장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095B1 true KR101208095B1 (ko) 2012-12-04

Family

ID=4790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261A KR101208095B1 (ko) 2012-03-16 2012-03-16 현장 장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0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51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한림기술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518496B1 (ko) * 2022-09-14 2023-04-06 손용찬 산소농도 측정용 산소 포집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51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한림기술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WO2020262873A3 (ko) * 2019-06-25 2021-05-20 주식회사 한림기술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286381B1 (ko) * 2019-06-25 2021-08-05 주식회사 한림기술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518496B1 (ko) * 2022-09-14 2023-04-06 손용찬 산소농도 측정용 산소 포집 시스템
WO2024058437A1 (ko) * 2022-09-14 2024-03-21 손용찬 산소농도 측정용 산소 포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2544B1 (en)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trollable device
US82813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secret generation and distribution for secure systems
CN105471974B (zh) 实现远程控制的智能设备、终端设备及方法
US101397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decision evaluation for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s
CN105472192B (zh) 实现控制安全授权和分享的智能设备、终端设备及方法
CN108122316B (zh) 基于安全芯片的门锁通信系统及方法
US20180174385A1 (en) Local access control system management using domain information updates
CN105577494A (zh) 一种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05099985A (zh) 多应用程序登录实现方法和装置
US201600262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ical devices
KR102376196B1 (ko)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열쇠 위임
KR101722696B1 (ko)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비콘을 이용한 홈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5306320A (zh) 一种为智能设备绑定客户端的方法及装置
US202203294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access to smart devices in a local environment
CN105792095A (zh) 用于mtc分组通信的密钥协商方法、系统及网络实体
US2020009272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radio signal emitted by a gateway, and corresponding gateway and computer program
KR102130950B1 (ko) 보안 기기 동작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196696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cure access to embedded devices using a trust manager and a security broker
KR101208095B1 (ko) 현장 장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
US9779566B2 (en) Resource management based on physical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CN109358520B (zh) 一种智能家居物联网络局域动态解锁系统
CN109309608B (zh) 一种智能家居物联网络广域动态解锁系统
KR20130105248A (ko) 현장 장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장비 제어 장치
CN109246147B (zh) 一种智能家居基于动态地址表的解密系统
US20170094035A1 (en)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