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291A - 컨텐츠 제공장치 및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장치 및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291A
KR20200029291A KR1020180107952A KR20180107952A KR20200029291A KR 20200029291 A KR20200029291 A KR 20200029291A KR 1020180107952 A KR1020180107952 A KR 1020180107952A KR 20180107952 A KR20180107952 A KR 20180107952A KR 20200029291 A KR20200029291 A KR 20200029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ified
groups
information
group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7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9291A/ko
Publication of KR20200029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룹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맞춤형 컨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으며, 객체 및 객체의 상황과 컨텐츠의 상호작용을 최대화하여 광고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맞춤형 컨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장치 및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텐츠 제공장치 및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DEVICE FOR PROVIDING CONTENT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룹으로 분류된 객체에 대응하는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하드웨어, 소프트 웨어, 컨텐츠 네트워크 등 다양한 IT 기술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정보와 광고를 전당하는 디스플레이 게시판이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보통 한정된 옥외 광고물을 통해 제공되었으나, 최근에는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사이니지가 출시되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한 광고는 대부분 불특정 다수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일방적으로 재생시키는 방식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디지털 사이니지는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출력하기 때문에 컨텐츠를 시청하는 고객 및 고객의 상황과 광고 컨텐츠의 상호작용 없이 컨텐츠가 출력된다는 점에서 광고 효과의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맞춤형 광고에도 디지털 사이니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맞춤형 광고 시에는, 맞춤형 광고를 위한 타겟팅된 개인의 동의를 받고, 개인 디바디스에만 제공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맞춤형 타겟팅 컨텐츠 출력 시, 복잡한 연동과정과 행정적 절차가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그룹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맞춤형 컨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객체 및 객체의 상황과 컨텐츠의 상호작용을 최대화하여 광고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맞춤형 컨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부;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그룹결정부;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경우,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룹결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의 기울기가 일정치 이하인 경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간 겹침이 발생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룹결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의 겹침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의 연관성이 일정치 이상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다른 영상을 재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와는 무관한 일반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룹결정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일부 객체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추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객체 사이의 관련도를 판단하는 관련도 판단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시선 방향을 판단하는 시선 판단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에서 일정 횟수 이상 배출되는 단어를 판단하는 단어 판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련도 판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성별, 나이 대, 모션(Motion) 중 어느 하나의 관련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일정 시간 이상 촬영하는 제1 객체촬영타임과,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하나 이상으로 분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촬영하는 제2 객체촬영타임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경우,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의 기울기가 일정치 이하인 경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간 겹침이 발행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에 겹침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의 연관성이 일정치 이상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의 연관성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단계 이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다른 영상을 재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와는 무관한 일반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경우,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객체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객체 사이의 관련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시선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에서 일정 횟수 이상 배출되는 단어를 판단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장치 및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에 따르면 그룹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에게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2 이상의 객체를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객체의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정보를 기초로 맞춤형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그룹화된 객체 정보에 맞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객체 및 객체의 상황과 컨텐츠의 상호작용이 최대화되어 광고 효과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특히, 2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도록 그룹화하는 과정에서 객체 사이의 기울기, 겹침 등을 이용하여 객체의 관계성을 추출할 수 있다. 즉, 2 이상의 객체 사이의 친분에 의한 스킨십 등을 통해 2 이상의 객체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그룹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룹화된 객체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객체의 나이 대, 성별 이외에 객체의 모션(Motion), 객체들의 시선 방향 및 객체에서 한번 이상 발설되는 단어를 추출하여 객체의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 이상의 객체가 포함된 그룹을 보다 정확하게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객체의 정보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추출함으로써, 선택된 객체가 요구에 맞춰 맞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보추출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보 발명의 컨텐츠 제공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룹을 분류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룹을 분류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보추출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우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컨텐츠 제공장치는 광고 컨텐츠의 노출 및 관리하는 장치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인 사람이 포함되어 분류된 그룹 내의 객체/고객 성향에 맞춘 맞춤형 광고를 제공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컨텐츠 제공장치는 촬영부(120), 그룹결정부(140), 정보추출부(160) 및 출력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촬영부(120)는 매장이나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출력부로 지칭함_18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20)는 출력부(180) 주변에 비춰지는 사물들인 객체(P)를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가 될 수 있다.
그룹결정부(140)는 촬영부(120)에서 촬영한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P)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그룹결정부(140)는 촬영부(120)에서 촬영한 영상을 통해 객체(P)가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촬영부(120)에서 촬영한 영상이 저장되는 별도의 서버에서 저장된 영상에서 보여지는 객체(P)가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촬영부(120)에서 촬영한 영상을 통해 객체(P)가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촬열부(120)에서 획득한 객체(P)가 사람이라고 판단되면 객체(P) 사이의 기울기나 겹침 정도를 통해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객체(P)를 그룹으로 분류하기 위한 객체(P) 사이의 기울기는, 둘 이상의 객체(P)가 인접한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2 이상의 객체(P)가 대화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2 이상의 객체(P)가 근접한 거리에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2 이상의 객체(P)가 나란하게 서 있는 상태에서 대화가 이루어진다 가정할 때, 2 이상의 객체(P)는 각 객체를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즉, 2 이상의 객체(P)가 동일 그룹일 때, 2 이상의 객체(P)의 기울기는 일정치 이하일 수 있다. 이때, 객체(P) 사이의 기울기는 임의의 기울기로 설정될 수 있으며, 기울기의 크기는 발명의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객체(P)가 하나의 그룹인 경우 인접한 거리에서 유사한 동선(動線)을 가지고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P) 사이의 겹침이 적어도 하나인 경우나 객체(P) 사이의 겹침이 일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동일 그룹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 의해 판단된 객체(P)는 그룹(G₁, G₂)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하의 조건에 따라 분류된 각 그룹(G₁, G₂)에 포함되는 객체(P)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각 그룹(G₁, G₂)에 포함되는 객체(P)의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160)는, 그룹결정부(140)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P)를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면, 분류된 객체(P)의 정보를 판단, 추출할 수 있다. 정보추출부(160)에서 추출하는 객체(P)의 정보는, 연령, 성별 이외에 객체가 필요로 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추출부(160)는 촬영부(120)나 출력부(18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별도의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서버에 저장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정보추출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P)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면 분류된 그룹에 포함되는 객체(P) 사이의 관련도를 판단하는 관련도 판단부(162)와, 객체(P)의 시선 방향을 판단하는 시선 판단부(164) 및 객체(P) 사이에서 일정 횟수 이상 배출되는 단어를 판단하는 단어 판단부(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도 판단부(162)는 분류된 그룹에 포함되는 객체(P)의 성별, 나이 대, 모션(Motion) 등을 판단하여 객체(P)의 관련도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관련도 판단부(162)는 촬영부(120)에서 촬영한 영상으로 객체(P)의 성별과 나이 대를 추론할 수 있다. 또한, 관련도 판단부(162)는 객체(P) 사이의 접촉, 대화할 때 비춰지는 손동작 등을 통해 객체(P) 간의 관계성(부부/커플, 부모와 자녀, 동성으로 이루어진 커플, 이성 및 동성 모두를 포함한 커플)을 추론할 수 있다.
시선 판단부(164)는 분류된 그룹에 포함되는 객체(P)들의 시선을 추정하여 객체(P)가 필요로 하는 정보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선 판단부(164)는 객체의 영상정보에서 객체의 시선만을 따로 분류하고, 분류된 객체의 시선이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를 거리나 수치 등으로 환산하여 객체가 바라보고 있는 물품이나 상점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시선 판단부(164)에는 추정된 객체가 필요로 하는 정보의 종류를 추정한 경우에 한해 일정 시간 이상 객체의 시선이 머물러야 관련 정보가 출력부(180)로 전송되도록 시점유지타임이 설정될 수 있다.
단어 판단부(166)는 분류된 그룹에 포함되는 객체(P)들이 발설한 단어들을 조합하여 객체(P)가 필요로 하는 정보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단어 판단부(166)는 객체의 영상정보에서 객체의 입술 움직임과 얼굴 표정을 보고 의사 소통할 수 있는 구화(口話)법을 통해 객체가 자주 언급하는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관련도 판단부(162), 시선 판단부(164) 및 단어 판단부(166)에서 추출된 객체(P)의 정보는 출력부(180)로 전송될 수 있다. 출력부(180)는 전송된 정보를 기준으로 객체(P)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으로 분류된 객체(P)의 정보를 관련도 판단부(162)에서 추출하고, 관련도 판단부(162)에서 추출한 각 객체(P)의 정보가 아이가 있는 가족이라 판단된 경우 출력부(180)에서는 이와 관련한 컨텐츠/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그룹으로 분류된 객체(P)의 정보를 시선 판단부(164)에서 추출하고, 시선 판단부(164)에서 판단한 객체(P)의 시선이 휴가 용품이라고 판단될 경우 출력부(180)에서는 이와 관련한 컨텐츠/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그룹으로 분류된 객체(P)의 정보를 단어 판단부(166)에서 추출하고, 단어 판단부(166)에서 추출된 단어가 캠핑과 관련된 단어인 경우 출력부(180)에서는 이와 관련한 컨텐츠/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관련도 판단부(162), 시선 판단부(164) 및 단어 판단부(166)는 연계되어 객체의 정보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관련도 판단부(162)에서 그룹으로 분류된 객체(P)의 성별, 나이 대 및 모션 등을 추출한 뒤, 시선 판단부(164)와 단어 판단부(166)에서 객체(P)들의 시선 및 자주 언급되는 단어를 판단하여 객체(P)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장치는, 그룹화된 객체(P)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그룹화된 객체(P)의 정보 이외의 보편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장치는 인공지능으로 그룹결정부(140) 및 정보추출부(160)를 통해 2 이상의 객체(P)를 연관성 있는 그룹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그룹 내의 객체(P)의 정보를 추출하여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장치가 될 수 있다.
출력부(180)는 정보추출부(160)에서 추출된 객체(P)들의 정보를 기초하여 그룹으로 분류된 객체(P)에 맞춘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부(180)는 건물 외벽, 매장 등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객체(P) 각각에게 맞춤 정보가 보여질 수 있는 휴대용 모바일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출력부(180)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지만, 출력부(180)의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성의 컨텐츠 제공장치를 통해 맞춤형 컨텐츠를 출력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촬영부(120)에서 다수의 객체(P)를 영상으로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에서 사람인 객체(P) 중에 연관성이 있는 객체(P)를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몇몇의 객체를 그룹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객체(P) 사이의 기울기, 겹침 등을 수치적으로 계산하고, 계산된 수치와 기 설정된 범위를 비교하여 관련성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P)를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P)가 그룹으로 결정되면, 결정된 그룹 내의 객체(P)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객체(P)의 정보는 다양한 조건에서 추출될 수 있다. 객체(P)의 정보가 추출되면 추출된 정보를 기준으로 객체(P)에 대응하는 맞춤형 컨텐츠/광고를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우선, 도 4를 참고하면 촬영부(120)는, 촬영부(120) 주변의 사물, 사람 등을 영상으로 획득하고(S10), 획득한 영상은 그룹결정부(140)로 전송된다(S11).
촬영부(120)에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한 그룹결정부(140)에서는 전송된 영상에서 촬영부(120)가 촬영한 객체(P)가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1). 이때, 촬영부(120)가 촬영한 객체가 사람이 아닌 경우 촬영부(120)로 또 다른 객체의 촬영을 요청할 수 있다(S23).
촬영부(120)에서 전송된 영상에서 촬영부(120)가 촬영한 객체가 사람인 경우, 촬영한 객체(P)를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상세하게, 촬영부(120)에서 촬영하는 다수의 객체(P)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는 범위 이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예시적으로 도 1의 객체(Pa)의 경우 촬영부(120)가 촬영할 수 있는 범위에서 벗어나 있으므로, 그룹 분류의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고, 촬영부(120)가 촬영할 수 있는 범위 이내의 객체만이 그룹 분류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촬영부(120)가 촬영한 객체(P)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는 범위 이내라고 판단되면, 2 이상의 객체(P) 사이에 기울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4). 객체(P) 사이의 기울기는, 2 이상의 객체(P) 사이에서 발생하는 스킨십이라 할 수 있다. 2 이상의 객체(P)가 관련성이 있는 객체인 경우, 대화 과정에서 인접한 거리에서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일반적으로 객체(P) 사이의 기울기가 수직(90°)보다 작은 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객체(P) 사이의 기울기가 일정치 이하라고 판단되면, 2 이상의 객체(P)가 동일 그룹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S27).
이와 다르게, 촬영부(120)가 촬영한 객체(P)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는 범위 이내라고 판단하고, 2 이상의 객체(P) 사이에서 기울기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2 이상의 객체(P) 사이에 특정 부분 기울기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S24). 특정 부분 기울기란, 부모와 어린 자녀 사이와 같이 대화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지만, 지속적으로 부모와 어린 자녀 사이에 기울기-스킨십이 발생하는 경우와 같은 예를 들어 말한다. 이와 같이 2 이상의 객체(P) 사이에서 특정 부분 기울기가 발생할 경우 2 이상의 객체(P)가 동일 그룹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S27).
또한, 촬영부(120)가 촬영한 객체(P)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는 범위 이내라고 판단되고, 2이상의 객체(P) 사이에 기울기가 발생하고(S22), 특정부분 기울기도 발생한다고 판단(S24)되는 경우에도 촬영된 객체(P)가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S27).
한편, 객체(P) 사이의 특정 부분 기울기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촬영부(120)로 또 다른 객체의 촬영을 요청할 수 있다(S23).
다시 도면을 참고하여 촬영부(120)가 촬영한 객체(P)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는 범위 이내라고 판단되면, 2 이상의 객체(P) 사이에 겹침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S26). 2 이상의 객체(P) 사이의 겹침이란, 동일 그룹의 2 이상의 객체(P)의 경우, 유사한 동선(動線)에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2 이상의 객체(P)의 이미지가 겹치는 경우 등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2 이상의 객체(P) 사이에서 겹침이 발생할 경우 동일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S26).
이때, 객체(P) 사이의 겹침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촬영부(120)로 또 다른 객체의 촬영을 요청할 수 있다(S23).
그룹이 분류되면, 분류된 그룹 내의 2 이상의 객체(P)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30). 객체(P)의 정보란, 객체(P)의 성별, 나이 대, 객체(P) 사이의 모션, 객체(P) 사이의 시선, 객체(P)에서 발설되는 단어 등을 의미한다.
우선, 분류된 그룹에 포함되는 객체(P)의 얼굴을 통해 객체(P)의 성별과 나이 대를 추론할 수 있다. 또한, 객체(P) 사이의 접촉, 대화할 때 비춰지는 손동작 등을 통해 객체(P) 간의 관계성(부부/커플, 부모와 자녀, 동성으로 이루어진 커플, 이성 및 동성 모두를 포함한 커플)을 추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류된 그룹의 객체(P)의 관계성이 추론되면 추론된 관계성에 기준하여 맞춤형 컨텐츠가 추출될 수 있다(S40).
상기와 같이 객체(P)의 성별, 나이 대, 객체(P) 사이의 모션에 따라 객체(P) 간의 관계성을 추론한 뒤, 객체(P)들의 시선을 쫓아 객체(P)의 정보를 추가 추출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2 이상의 객체(P)가 20대 ~ 30 대 사이의 남자이고, 동일 그룹으로 분류된다고 가정할 때, 객체(P)의 시선이 어떠한 물품 또는 매장을 향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객체(P)의 시선이 캠핑과 관련된 물품 또는 매장을 자주 향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출력부(180)로 이와 관련된 맞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객체(P)에서 발설되는 단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앞서 예시한 2 이상의 객체(P)가 20대 ~ 30 대 사이의 남자이고, 동일 그룹으로 분류된다고 가정할 때, 객체(P)들의 대화에서 자주 배출되는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객체(P)들의 대화에서 텐트, 차량, 버너 등의 캠핑 용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단어를 추출한다면 이들 객체(P)가 캠핑에 관련되어 대화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이와 관련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가 출력되기 위하여 객체(P)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 이상 객체(P)를 촬영해야 한다. 이를 위해, 촬영부(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P)를 일정 시간 이상 촬영하는 제1 객체촬영타임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객체촬영타임은, 촬영부(120)에서 촬영되는 동일 객체(P)가 30초 이상인 경우부터 촬영부(120)에서 촬영되는 객체(P)를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객체(P)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촬영부(120)에는 제2 객체촬영타임이 설정될 수 있다. 제2 객체촬영타임은, 출력부(180)에서 컨텐츠가 출력된 후, 관련 컨텐츠의 출력을 중지하려면 기준 시간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추출된 객체(P) 정보와 대응하는 컨텐츠를 출력부(180)에서 출력하고 있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관련 컨텐츠와 대응하는 객체(P)가 일정 시간 이상 촬영되지 않을 경우 관련 컨텐츠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객체(P)가 촬영되지 않는 일정 시간은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분 이상 출력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객체(P)의 영상이 획득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촬영부(120)에서 촬영한 2 이상의 객체(P)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지 않는 경우에도 2 이상의 객체(P)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5를 참고하면, 촬영부(120)에서 촬영한 객체(P)의 영상이 사람인지를 판단하고(S21), 판단된 객체(P)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는 범위 이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
이때, 영상을 수신한 그룹결정부(140)에서는 전송된 영상에서 촬영부(120)가 촬영한 객체(P)가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촬영부(120)가 촬영한 객체(P)가 사람이 아닌 경우 촬영부(120)로 또 다른 객체(P)의 촬영을 요청할 수 있다(S23).
촬영부(120)가 촬영한 객체(P)가 사람이고,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는 범위 이내라고 판단되면, 객체(P)의 일부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222). 이때,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기준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객체(P) 사이의 기울기, 겹침 등이 될 수 있다.
객체(P)의 일부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지 않는 경우, 객체(P) 사이의 연관성이 일정치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223). 객체(P) 사이의 연관성은 기 설정된 조건을 기준으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성별 및 나이 대가 기준 조건이 될 수 있다.
객체(P) 사이의 연관성이 일정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2 이상의 객체(P)를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S224). 2 이상의 객체(P)를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면 정보추출부(160)는 분류된 그룹의 성별과 나이 대를 추출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정보추출부(160)는 추출된 그룹이 2 이상의 객체(P)가 10 대 이상 20 대 미만의 여성이라고 추출할 수 있다.
그룹의 정보를 추출하면, 관련 그룹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40).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추출된 그룹이 10대 이상 20 대 미만의 여성인 경우, 이들 그룹에서 요구되는 정보(코스메틱, 패션, 연예인 등)를 중심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촬영부(120)에서 영상으로 획득한 객체(P)를 그룹으로 분류할 때, 분류 조건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룹을 분류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룹을 분류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6을 참고하면, 다수의 객체(P)를 그룹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촬영부(120)에서 촬영되는 객체(P) 중 촬영부(120)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객체(P)를 우선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80)에서부터 거리를 임의로 X₁, X₂, X₃으로 구획할 수 있다. 구획된 거리에 따라 촬영부(120)에서 촬영되는 객체(P)가 X₁, X₂및 X₃중 가장 근접한 위치인 X₁에 위치한 객체(P)를 우선 그룹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객체(P)의 정보와 대응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20)에서 촬영한 각 객체 중 가장 많은 수의 객체를 포함하는(도 7의 영역 a 참고) 그룹을 우선적으로 분류한 뒤, 분류된 그룹의 객체(P) 정보와 대응하는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촬영부(120)와 가장 근접한 위치(X₁)에 있으며, 가장 많은 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그룹을 우선적으로 그룹으로 분류하여 관련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그룹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에게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2 이상의 객체를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객체의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정보를 기초로 맞춤형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그룹화된 객체 정보에 맞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객체 및 객체의 상황과 컨텐츠의 상호작용이 최대화되어 광고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특히, 2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도록 그룹화하는 과정에서 객체 사이의 기울기, 겹침 등을 이용하여 객체의 관계성을 추출할 수 있다. 즉, 2 이상의 객체 사이의 친분에 의한 스킨십 등을 통해 2 이상의 객체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그룹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룹화된 객체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객체의 나이 대, 성별 이외에 객체의 모션(Motion), 객체들의 시선 방향 및 객체에서 한번 이상 발설되는 단어를 추출하여 객체의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 이상의 객체가 포함된 그룹을 보다 정확하게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객체의 정보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추출함으로써, 선택된 객체가 요구에 맞춰 맞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장치 및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에 따르면, 그룹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맞춤형 컨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으며, 객체 및 객체의 상황과 컨텐츠의 상호작용을 최대화하여 광고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맞춤형 컨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P: 객체
120: 촬영부
140: 그룹결정부
160: 정보추출부
180: 출력부

Claims (16)

  1.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부;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그룹결정부;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경우,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결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의 기울기가 일정치 이하인 경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간 겹침이 발생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결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의 겹침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의 연관성이 일정치 이상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다른 영상을 재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와는 무관한 일반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결정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일부 객체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추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객체 사이의 관련도를 판단하는 관련도 판단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시선 방향을 판단하는 시선 판단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에서 일정 횟수 이상 배출되는 단어를 판단하는 단어 판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도 판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각각의 성별, 나이 대, 모션(Motion) 중 어느 하나의 관련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일정 시간 이상 촬영하는 제1 객체촬영타임과,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하나 이상으로 분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촬영하는 제2 객체촬영타임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10.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경우,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테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의 기울기가 일정치 이하인 경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간 겹침이 발행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에 겹침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의 연관성이 일정치 이상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의 연관성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단계 이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다른 영상을 재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객체 정보와는 무관한 일반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경우,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객체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객체 사이의 관련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시선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사이에서 일정 횟수 이상 배출되는 단어를 판단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80107952A 2018-09-10 2018-09-10 컨텐츠 제공장치 및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 KR20200029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952A KR20200029291A (ko) 2018-09-10 2018-09-10 컨텐츠 제공장치 및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952A KR20200029291A (ko) 2018-09-10 2018-09-10 컨텐츠 제공장치 및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291A true KR20200029291A (ko) 2020-03-18

Family

ID=6999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952A KR20200029291A (ko) 2018-09-10 2018-09-10 컨텐츠 제공장치 및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92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913A (ko) * 2020-06-17 2021-12-24 구효정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지능화 정보 공유 기반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2705894B1 (ko) * 2023-11-03 2024-09-12 주식회사 마바산업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913A (ko) * 2020-06-17 2021-12-24 구효정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지능화 정보 공유 기반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74441A (ko) * 2020-06-17 2023-05-30 구효정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지능화 정보 공유 기반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2705894B1 (ko) * 2023-11-03 2024-09-12 주식회사 마바산업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32799A1 (en) Exhibition device, display control device and exhibition system
US10341544B2 (en) Determining a matching score between users of wearable camera systems
US201000607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Noverbal Aspects of Communication
JP4876687B2 (ja) 注目度計測装置及び注目度計測システム
KR101559313B1 (ko)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맞춤형 광고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054443B1 (ko) 인터랙티브 광고를 위한 사용 측정 기술 및 시스템
WO2021135197A1 (zh) 状态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00253778A1 (en) Media displaying system and method
US201901472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human emotion and identity detection
US8712110B2 (en) Identifying a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and providing a display for the individual
KR20130117868A (ko) 동적 광고 컨텐츠 선택
JP2010102235A (ja) 電子広告システム
US20110150276A1 (en) Identifying a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and providing a display for the individual
US9875719B2 (en) Identifying a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and providing a display for the individual
JP661580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150296A1 (en) Identifying a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and providing a display for the individual
US20110128283A1 (en) File selection system and method
US20220180640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response metho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50108571A (ko) 광고 및 쇼핑 등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투영 영상 인식을 통한 미러 디스플레이의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350351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200029291A (ko) 컨텐츠 제공장치 및 컨텐츠 제공장치의 동작방법
JP7110738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326866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50993B2 (ja) 拡張現実対話を定量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21221197A1 (ko) 안면 인식 및 iot 기반 애드큐레이션 사이니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