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619A -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619A
KR20200028619A KR1020180106921A KR20180106921A KR20200028619A KR 20200028619 A KR20200028619 A KR 20200028619A KR 1020180106921 A KR1020180106921 A KR 1020180106921A KR 20180106921 A KR20180106921 A KR 20180106921A KR 20200028619 A KR20200028619 A KR 20200028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
horizontal
energy storage
series
bus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왕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왕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왕산업
Priority to KR102018010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8619A/ko
Publication of KR2020002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에너지 저장장치가 상하 및 수평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저장셀이 상하 및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에너지 저장장치를 열방향을 따라 직렬연결시키는 저장공간과, 저장공간에 직렬연결된 에너지 저장장치가 수평방향으로 병렬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랙 프레임; 랙 프레임의 직렬로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상단 또는 하단을 따라 배치되는 차단기; 직렬로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병렬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랙 프레임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평방향을 따라 랙 프레임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이웃하여 빌트인 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 부스바; 및 수평 부스바를 연결시켜 상하방향으로 직렬연결된 에너지 저장 장치 병렬로 연결시키는 연결 부스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빌트인 되는 부스바를 통하여 대전류의 에너지 전송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케이블을 통한 ESS 장치의 연결에 비해서 배선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ESS 장치의 증설, 이설 및 관리가 용이하고, 사고 발생 시 사고처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 {ESS rack system for supplying high current}
본 발명은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랙 프레임에 부스바를 미리 빌트인 시켜 ESS 장치의 연결과 ESS 장치의 확장을 보다 용이하게 하면서 대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 및 산업의 발전에 따라 전력소비가 급증하며, 갈수록 높아지는 전력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신재생 에너지의 보급 및 활용은 효율적인 대안이 되고 있다.
이러한,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신재생 에너지 보급 확대 움직임에 맞추어,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가 주목받고 있다. 기존의 화력이나 원자력 발전과는 달리, 풍력 및 태양광 발전 같은 신재생 에너지는 바람의 세기 및 일조량 등 환경에 따라 생성할 수 있는 에너지가 불안정한 특성이 있다. 따라서, 생성된 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시점에 안정적으로 전력계통에 다시 공급해주는 장치로서 에너지 저장 장치는 필요불가결한 설비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 장치는 전력 수요가 적을 때 에너지를 저장하고, 과부하 또는 비상시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력 품질 및 에너지 사용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 장치는 가정용 에너지 저장 장치, 산업용 또는 상업용 중대형 에너지 저장 장치, 발전소 및 변전소에 설치되는 초대용량의 에너지 저장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는 전력의 저장 및 제공을 위해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는 과잉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였다가 전력부족이 발생하면 송전해주는 저장 장치로, 전력계통에서 발전, 송배전, 수용가에 설치되어 운영이 가능하며, 신재생에너지 출력 안정화와 비상전원 등의 다양한 기능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때, 에너지 저장 장치는 대용량의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수개에서 수백 개의 배터리 모듈을 보관하게 되고, 이러한 배터리 모듈은 공간 요건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터리 랙에 적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가 보관되는 랙은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전선용 케이블로 연결하는 경우 확장 또는 이전 시 불편함이 있으며, 수리시에도 유지관리가 불편한 점이 있으며 대용량 전류를 공급하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어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법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9342호, 2014년 03월 28일)
본 발명의 목적은 랙 프레임에 부스바를 미리 빌트인 시켜 ESS 장치의 연결과 ESS 장치의 확장을 보다 용이하게 하면서 대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를 직병렬로 연결할 수 있는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은 에너지 저장장치가 상하 및 수평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단위셀이 상하 및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에너지 저장장치를 열방향을 따라 직렬연결시키는 저장공간과, 저장공간에 직렬연결된 에너지 저장장치가 수평방향으로 병렬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랙 프레임; 랙 프레임의 직렬로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상단 또는 하단을 따라 배치되는 차단기; 직렬로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병렬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랙 프레임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평방향을 따라 랙 프레임에 소정간격으로 이격거리가 형성되도록 이웃하여 빌트(built-in)인 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 부스바; 및 랙 프레임 내측에 빌트인된 수평 부스바를 연결시켜 상하방향으로 직렬연결된 에너지 저장 장치 병렬로 연결시키는 연결 부스바;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직렬로 연결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상단에 배치된 에너지 저장 장치와 하단에 배치된 저장장치를 직렬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랙 프레임에 수직방향을 따라 빌트인 되어 배치되는 수직 부스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평 부스바 및 상기 연결 부스바는 서로 결합되는 면에 볼트홀이 형성되어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은 미리 빌트인 되는 부스바를 통하여 대전류의 에너지 전송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케이블을 통한 ESS 장치의 연결에 비해서 배선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ESS 장치의 증설, 이설 및 관리가 용이하고, 사고 발생 시 사고처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의 랙 프레임에 수평 부스바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의 랙 프레임에 수평 부스바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은 랙 프레임(110), 차단기(120), 수평 부스바(130), 연결 부스바(140) 및 수직 부스바(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랙 프레임(110)은 에너지 저장장치(ESS)가 상하 및 수평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단위셀이 상하 및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에너지 저장장치(ESS)를 수직방향을 따라 직렬로 연결시키는 저장공간(S1)이 공간이 형성되고, 저장공간(S1)은 수평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치되어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랙 프레임(110)의 저장공간(S1)에 삽입배치되는 에너지 저장장치(ESS)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되어 이웃하는 저장장치가 서로 다른 극성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직렬로 배치되어 적층배치된 에너지 저장장치(ESS)를 하나의 에너지 저장장치(ESS)의 셀(C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랙 프레임(110)은 복수의 수평프레임(112)과 수직프레임(111)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결합하여 적층공간을 형성하고, 에너지 저장장치(ESS)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 프레임(113)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에너지 저장장치가 가이드 프레임(113)을 따라 고정되며,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적층배열시킬 수 있어 에너지 저장장치(ESS) 셀(C1)(C2)(C) 형성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차단기(120)는 랙 프레임(110)에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된 에너지 저장장치(ESS)의 셀(C1)(C2)(C3)의 상단 또는 하단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차단기(120)는 상단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배치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차단기(120)는 에너지 저장장치(ESS) 셀의 양극성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차단기(120)는 후술하는 수평 부스바(130)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차단기(120)는 병렬로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장치(ESS) 셀 중 하나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하는 셀만 사용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수평 부스바(130)는 직렬로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ESS) 셀을 병렬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랙 프레임(1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평방향을 따라 랙 프레임에 소정간격으로 이격거리가 형성되도록 차단기(120)에 연결되어 빌트(built-in)인 되어 배치된다. 즉, 수평 부스바(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프레임(110)에 미리 빌트(buil-in)된다.
이때, 연결 부스바(140)는 랙 프레임(110) 내측에 빌트인된 수평 부스바(130)를 연결시켜 상하방향으로 직렬연결된 에너지 저장 장치를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수평 부스바(130) 및 연결 부스바(140) 각각은 볼트홀이 형성되어 볼트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랙 프레임(110)을 수평방향으로 병렬로 확장할 때에 서로 이웃하는 수평 부스바(130)를 연결하기 때문에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확장 및 이설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수평 부스바(130)는 랙 프레임(110)에 고정될 때에 애자를 통해서 고정될 수 있다. 애자를 사용하게 되면 고압의 대전류를 이송하는 수평 부스바(130)를 랙 프레임(110)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분리시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수평 부스바(130) 및 연결 부스바(140)는 절연을 위해서 에폭시를 이용하여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에폭시 절연층은 1mm 내지 7mm의 두께로 적층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2회 이상으로 분할하여 코팅할 수 있으며, 코팅방벙으로는 유동침지법 또는 스프레이 도장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직 부스바(150)는 랙 프레임(110)의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직렬로 연결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상단에 배치된 에너지 저장 장치와 하단에 배치된 저장장치를 직렬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랙 프레임(110)에 수직방향을 따라 빌트인 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적층되어 배치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직렬로 보다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은 미리 빌트인 되는 부스바를 통하여 대전류의 에너지 전송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케이블을 통한 ESS 장치의 연결에 비해서 배선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ESS 장치의 증설, 이설 및 관리가 용이하고, 사고 발생 시 사고처리가 용이하여 유지관리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랙 프레임 111 : 수직프레임
112 : 수평 프레임 113 : 가이드 프레임
120 : 차단기 130 : 수평 부스바
140 : 연결 부스바 150 : 수직 부스바

Claims (3)

  1.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를 직병렬로 연결할 수 있는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에 있어서,
    에너지 저장장치가 상하 및 수평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단위셀이 상하 및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를 수직방향을 따라 직렬연결시키는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에 직렬연결된 에너지 저장장치가 수평방향으로 병렬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랙 프레임;
    상기 랙 프레임의 직렬로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상단 또는 하단을 따라 배치되는 차단기;
    상기 직렬로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병렬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랙 프레임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랙 프레임에 소정간격으로 이격거리가 형성되도록 이웃하여 빌트(built-in)인 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 부스바; 및
    상기 랙 프레임 내측에 빌트인된 수평 부스바를 연결시켜 상기 상하방향으로 직렬연결된 에너지 저장 장치 병렬로 연결시키는 연결 부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직렬로 연결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상단에 배치된 에너지 저장 장치와 하단에 배치된 저장장치를 직렬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랙 프레임에 수직방향을 따라 빌트인 되어 배치되는 수직 부스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로 특징으로 하는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부스바 및 상기 연결 부스바는,
    상기 서로 결합되는 면에 볼트홀이 형성되어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
KR1020180106921A 2018-09-07 2018-09-07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 KR20200028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921A KR20200028619A (ko) 2018-09-07 2018-09-07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921A KR20200028619A (ko) 2018-09-07 2018-09-07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619A true KR20200028619A (ko) 2020-03-17

Family

ID=70004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921A KR20200028619A (ko) 2018-09-07 2018-09-07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86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672A1 (ko) * 2022-01-19 2023-07-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컨테이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342B1 (ko) 2012-08-31 2014-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342B1 (ko) 2012-08-31 2014-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672A1 (ko) * 2022-01-19 2023-07-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092592U (zh) 一种分布式光伏发电及控制系统
CN201234223Y (zh) 太阳能供电装置
TW201930716A (zh) 離岸風電場和變電站
CN202905752U (zh) 多功能智能光伏汇流箱
CN111835055A (zh) 集中式充电柜
KR101542072B1 (ko) 가변용량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것을 포함하는 장치
US11289921B1 (en) Energy storage system employing second-life electric vehicle batteries
KR20200028619A (ko) 대전류 부스바가 내장된 ess 랙 시스템
US20230387823A1 (en) Inverter apparatus and inverter system
DE102016202853A1 (de) Hochspannungs-Leistungsschalter mit einer Anordnung sowie Verfahren zur Energieversorgung des Leistungsschalters
CN106098993B (zh) 一种电池箱
KR101337436B1 (ko)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의 셀 카트리지
CN202495699U (zh) 光伏并网发电升压智能箱式变电站
CN202550291U (zh) 一种接触器模块与光伏并网逆变装置
CN216213928U (zh) 一种便于安装维护的储能电池簇
CN203839980U (zh) 一种光伏电站并网系统
KR101541367B1 (ko) 안전성을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207801802U (zh) 一种光伏电站系统
KR101737970B1 (ko) 하이브리드 수배전반
KR101541370B1 (ko) 지속 작동을 위한 차단기를 포함하고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205992745U (zh) 一种智能紧凑型光伏发电用预装式变电站
CN204761388U (zh) 紧凑型光伏汇流箱
US20190173419A1 (en) Systems and method for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in solar power plants
CN218569758U (zh) 一种光伏电力并网离网一体化装置
KR101337435B1 (ko)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