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568A -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568A
KR20200028568A KR1020180106764A KR20180106764A KR20200028568A KR 20200028568 A KR20200028568 A KR 20200028568A KR 1020180106764 A KR1020180106764 A KR 1020180106764A KR 20180106764 A KR20180106764 A KR 20180106764A KR 20200028568 A KR20200028568 A KR 20200028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smetic
cosmetics
designat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서연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8010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8568A/ko
Publication of KR20200028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M(M≥1)개의 화장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N(N≥2)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표시 가능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결정하며,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상기 결정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표시한 맵 데이터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osmetics Map Based on User’s Cosmetics}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M(M≥1)개의 화장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N(N≥2)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표시 가능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결정하고,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상기 결정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표시한 맵 데이터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망을 통하여 고객의 현재 피부상태를 진단/처방하고 고객이 제품 주문 전 처방서에 의해 사이버 공간에서 화장품을 제조하여 사이버화장품을 먼저 확인한 후 화장품을 주문/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0-0036873호, 2000년07월05일 공개).
이는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현재 피부 상태를 입력하면, 입력된 피부 상태에 따라 적절한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인터넷 상으로 고객의 피부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화장품은 단순히 피부 상태만으로 제조하기는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고객이 현재 또는 기존에 사용한 화장품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고객의 여러 가지 조건에 부합하는 화장품을 확인하고 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M(M≥1)개의 화장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N(N≥2)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표시 가능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결정하고,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상기 결정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표시한 맵 데이터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M(M≥1)개의 화장품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수신된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분석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분석된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N(N≥2)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표시 가능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결정하는 제3 단계 및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상기 결정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표시한 맵 데이터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는, 상기 사용자 본인이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담하는 고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정보는,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M개의 화장품에 대한 브랜드 정보와 제품명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정보는,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의 브랜드와 제품명이 드러나도록 촬영하거나 화장품의 케이스 또는 용기의 디자인 특징이 드러나도록 촬영하여 생성된 M개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정보는,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의 브랜드와 제품명이 드러나도록 촬영하거나 화장품의 케이스 또는 용기의 디자인 특징이 드러나도록 촬영하여 생성된 m(1≤m≤M)개의 이미지 정보와 상기 대상자가 사용하는 (M-m)개의 화장품의 브랜드 정보와 제품명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화장품의 브랜드 정보와 제품명 정보를 패턴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화장품 브랜드에서 출시한 복수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지정된 관리D/B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관리D/B로부터 상기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정보는, 화장품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성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정보는, 화장품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성분 별 함량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장점 정보는, 화장품의 기능성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장점 정보는, 화장품을 구성하는 성분 중 지정된 기준함량 이상 포함된 성분 별 기능성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축은, i(i≥1)개의 피부상태 축, j(j≥1)개의 지정된 기능성 성분함량 축,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성분(또는 둘 이상의 기능성 성분 조합)에 근거한 k(k≥1)개의 지정된 기능성 효과 축 중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에 있어서,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지정 개수 이상의 좌표값이 분포하는 P(P≥2)개의 분포패턴 별 상담정보를 설정받아 지정된 관리D/B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P개의 분포패턴 중 상기 결정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의 분포패턴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p(1≤p≤P)개의 분포패턴을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된 p개의 분포패턴에 대응하는 p개의 상담정보를 근거로 상기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자 상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생성된 대상자 상담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의 성분과 특장점을 분석하여 화장품 맵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들이 어떤 피부, 성분, 기능에 해당하는 화장품인지 유관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과, 사용자의 화장품 맵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화장품을 추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 정보를 기반으로 화장품 맵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화장품 맵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사용자 단말(150)과 통신하는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수신된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M(M≥1)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N(N≥2)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표시 가능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결정하여,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상기 결정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표시한 맵 데이터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M개의 화장품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150)과,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M개의 화장품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과, 상기 수신된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분석하는 기능과, 상기 분석된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N(N≥2)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표시 가능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결정하는 기능과,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상기 결정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표시한 맵 데이터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50)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제공되는 지정된 대상자의 화장품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상기 대상자의 화장품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맵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를 구현하는 실시예나 상기 운영서버(100)의 물리적 서버 구성 또는 명칭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편의상 본 도면1은 상기 운영서버(100)를 상기 사용자 단말(150)과 통신하는 하나의 서버 형태로 도시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50)는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M개의 화장품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유선 단말 및 무선 단말의 총칭으로서, 상기 운영서버(100)와의 통신을 위한 지정된 앱 또는 프로그램을 설치 실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150)은 지정된 앱을 설치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150)을 통해 입력되는 화장품 정보를 사용하는 대상자는 상기 사용자 본인이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담하는 고객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복수의 화장품에 대한 조성물 정보 및 특장점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정보 등록부(105)와, 다축 좌표계 상에 지정 개수 이상의 좌표값이 분포하는 분포패턴 별 상담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10)와,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지정된 대상자의 화장품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15)와, 상기 수신된 화장품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 분석부(120)와, 분석 정보를 근거로 상기 대상자의 화장품에 대한 좌표값을 결정하는 좌표값 결정부(125)와, 상기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자 상담정보를 생성하는 상담정보 생성부(130)와, 상기 결정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표시한 맵 데이터 생성하는 맵데이터 생성부(135)와, 상기 생성된 맵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50)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14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 등록부(105)는 복수의 화장품 브랜드에서 출시한 복수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지정된 관리D/B(145)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성물 정보는 화장품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성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 정보는 화장품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성분 별 함량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장점 정보는 화장품의 기능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장점 정보는 화장품을 구성하는 성분 중 지정된 기준함량 이상 포함된 성분 별 기능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10)는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지정 개수 이상의 좌표값이 분포하는 P(P≥2)개의 분포패턴 별 상담정보를 설정받아 지정된 관리D/B(145)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신부(115)는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M(M≥1)개의 화장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장품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150)을 통해 입력된 M개의 화장품에 대한 브랜드 정보와 제품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장품 정보는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의 브랜드와 제품명이 드러나도록 촬영하거나 화장품의 케이스 또는 용기의 디자인 특징이 드러나도록 촬영하여 생성된 M개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장품 정보는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의 브랜드와 제품명이 드러나도록 촬영하거나 화장품의 케이스 또는 용기의 디자인 특징이 드러나도록 촬영하여 생성된 m(1≤m≤M)개의 이미지 정보와 상기 대상자가 사용하는 (M-m)개의 화장품의 브랜드 정보와 제품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수신부(115)는 사용자 단말(150)을 통해 입력되는 화장품에 대한 브랜드 정보와 제품명 정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수신부(115)는 사용자 단말(150)에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거나, 지정된 카메라와 연동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의 브랜드와 제품명이 포함된 이미지 정보 또는 상기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의 케이스 또는 용기의 디자인 특징이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수신부(115)는 상기 사용자 단말(150)을 통해 입력되는 화장품에 대한 브랜드 정보와 제품명 정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정보와, 상기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의 브랜드와 제품명이 포함된 이미지 정보 또는 상기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의 케이스 또는 용기의 디자인 특징이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수신부(115)는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상기 이미지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화장품의 브랜드 정보와 제품명 정보를 패턴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분석부(120)는 상기 정보 수신부(115)를 통해 M(M≥1)개의 화장품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분석부(120)는 상기 관리D/B(145)로부터 상기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좌표값 결정부(125)는 상기 정보 분석부(120)를 통해 상기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가 분석되면, 상기 분석된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N(N≥2)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표시 가능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N개의 축은 i(i≥1)개의 피부상태 축, j(j≥1)개의 지정된 기능성 성분함량 축,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성분(또는 둘 이상의 기능성 성분 조합)에 근거한 k(k≥1)개의 지정된 기능성 효과 축 중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담정보 생성부(130)는 상기 좌표값 결정부(125)를 통해 상기 지정된 N(N≥2)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표시 가능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이 결정된 이후, 상기 관리D/B(145)에 저장된 P개의 분포패턴 중 상기 결정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의 분포패턴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p(1≤p≤P)개의 분포패턴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p개의 분포패턴에 대응하는 p개의 상담정보를 근거로 상기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자 상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맵데이터 생성부(135)는 상기 좌표값 결정부(125)를 통해 상기 지정된 N(N≥2)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표시 가능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이 결정되면,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상기 결정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표시한 맵 데이터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부(140)는 상기 맵데이터 생성부(135)를 통해 상기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이 표시된 맵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맵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부(140)는 상기 상담정보 생성부(130)를 통해 상기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자 상담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 상기 생성된 대상자 상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2a와 도면2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a와 도면2b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자의 화장품 맵을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와, 다축 좌표계 상에 지정 개수 이상의 좌표값이 분포하는 분포패턴 별 상담정보를 지정된 관리D/B(145)에 등록 저장한 후,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상기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으로, 도면2a는 사용자 단말(150)에서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의 브랜드 정보와 제품명 정보를 직접 입력받아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과정, 도면2b는 사용자 단말(150)에 구비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150)과 연동하는 카메라를 통해 화장품의 브랜드 정보와 제품명 정보이 드러나도록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a와 도면2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a와 도면2b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a를 참조하면, 운영서버(100)에서 복수의 화장품 브랜드에서 출시한 복수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지정된 관리D/B(145)에 등록 저장한다(200a). 여기서, 상기 조성물 정보는 화장품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성분 정보, 화장품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성분 별 함량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장점 정보는 화장품의 기능성 정보, 화장품을 구성하는 성분 중 지정된 기준함량 이상 포함된 성분 별 기능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지정 개수 이상의 좌표값이 분포하는 P(P≥2)개의 분포패턴 별 상담정보를 설정받아 지정된 관리D/B(145)에 저장한다(205a). 여기서, 상기 N개의 축은 i(i≥1)개의 피부상태 축, j(j≥1)개의 지정된 기능성 성분함량 축,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성분(또는 둘 이상의 기능성 성분 조합)에 근거한 k(k≥1)개의 지정된 기능성 효과 축 중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50)은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복수의 화장품에 대한 브랜드 정보와 제품명 정보를 포함하는 M(M≥1)개의 화장품 정보의 입력을 확인하고(210a), 상기 입력 확인된 화장품 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한다(215a). 여기서, 상기 대상자는 상기 사용자 본인이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담하는 고객일 수 있다.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수신된 상기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복수의 화장품에 대한 브랜드 정보와 제품명 정보를 포함하는 M개의 화장품 정보를 확인한다(225a).
한편, 도면2b를 참조하면, 운영서버(100)에서 복수의 화장품 브랜드에서 출시한 복수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지정된 관리D/B(145)에 등록 저장한다(200b). 여기서, 상기 조성물 정보는 화장품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성분 정보, 화장품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성분 별 함량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장점 정보는 화장품의 기능성 정보, 화장품을 구성하는 성분 중 지정된 기준함량 이상 포함된 성분 별 기능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지정 개수 이상의 좌표값이 분포하는 P(P≥2)개의 분포패턴 별 상담정보를 설정받아 지정된 관리D/B(145)에 저장한다(205b). 여기서, 상기 N개의 축은 i(i≥1)개의 피부상태 축, j(j≥1)개의 지정된 기능성 성분함량 축,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성분(또는 둘 이상의 기능성 성분 조합)에 근거한 k(k≥1)개의 지정된 기능성 효과 축 중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50)에 구비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150)과 연동하는 카메라를 통해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의 브랜드와 제품명이 드러나도록 촬영하거나 화장품의 케이스 또는 용기의 디자인 특징이 드러나도록 촬영한다(210b).
상기 사용자 단말(150)은 상기 촬영된 M개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정보를 생성하고(215b), 상기 생성된 M개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한다(220b).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수신된 상기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복수의 화장품에 대해 촬영된 M개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정보를 확인한다(225b).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화장품의 브랜드 정보와 제품명 정보를 패턴 인식한다(230b).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 정보를 기반으로 화장품 맵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대상자가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화장품 정보가 수신된 이후, 상기 수신된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 및 특장점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 및 특장점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좌표계 상에 표시 가능한 화장품 별 좌표값을 결정하여 상기 좌표값이 표시된 화장품 맵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대상자가 사용하는 M(M≥1)개의 화장품 정보가 수신되면, 운영서버(100)는 상기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분석하는데, 관리D/B(145)로부터 상기 대상자의 M개의 화장품 정보를 검색하고(300), 상기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추출한다(305).
상기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가 추출되어 분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분석된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N(N≥2)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표시 가능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결정한다(310). 여기서, 상기 N개의 축은 i(i≥1)개의 피부상태 축, j(j≥1)개의 지정된 기능성 성분함량 축,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성분(또는 둘 이상의 기능성 성분 조합)에 근거한 k(k≥1)개의 지정된 기능성 효과 축 중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N(N≥2)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표시 가능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이 결정된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상기 결정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표시한 맵 데이터 생성힌다(315).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맵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 제공한다(320).
한편, 상기 대상자에게 상담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관리D/B(145)에 저장된 P개의 분포패턴 중 상기 결정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의 분포패턴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p(1≤p≤P)개의 분포패턴을 판별하고(325), 상기 판별된 p개의 분포패턴에 대응하는 p개의 상담정보를 확인한 후(330), 상기 확인된 상담정보를 근거로 상기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자 상담정보를 생성한다(33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자 상담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150)로 상기 생성된 대상자 상담정보를 제공한다(340).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화장품 맵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2 내지 도면3의 과정을 통해 대상자가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화장품 맵데이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맵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대상자가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화장품 맵데이터는 상기 화장품 정보를 분석한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N(N≥2)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표시 가능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이 결정된 이후, 상기 결정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상기 다축 좌표계 상에 표시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도시된 (a)와 같이 2축 좌표계로 표시하거나, (b)와 같이 3축 좌표계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다양한 좌표계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좌표계를 이루는 축은 피부상태 축, 하나 이상의 지정된 기능성 성분함량 축,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성분(또는 둘 이상의 기능성 성분 조합)에 근거한 하나 이상의 지정된 기능성 효과 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00 : 운영서버 105 : 정보 등록부
110 : 정보 저장부 115 : 정보 수신부
120 : 정보 분석부 125 : 좌표값 결정부
130 : 상담정보 생성부 135 : 맵데이터 생성부
140 : 정보 제공부 145 : 관리D/B
150 : 사용자 단말

Claims (13)

  1.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정된 대상자가 사용하는 M(M≥1)개의 화장품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수신된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분석하는 제2 단계;
    상기 분석된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N(N≥2)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표시 가능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결정하는 제3 단계; 및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상기 결정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을 표시한 맵 데이터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는,
    상기 사용자 본인이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담하는 고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M개의 화장품에 대한 브랜드 정보와 제품명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정보는,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의 브랜드와 제품명이 드러나도록 촬영하거나 화장품의 케이스 또는 용기의 디자인 특징이 드러나도록 촬영하여 생성된 M개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정보는,
    지정된 카메라를 통해 대상자가 사용하는 화장품의 브랜드와 제품명이 드러나도록 촬영하거나 화장품의 케이스 또는 용기의 디자인 특징이 드러나도록 촬영하여 생성된 m(1≤m≤M)개의 이미지 정보와 상기 대상자가 사용하는 (M-m)개의 화장품의 브랜드 정보와 제품명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화장품의 브랜드 정보와 제품명 정보를 패턴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화장품 브랜드에서 출시한 복수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지정된 관리D/B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관리D/B로부터 상기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M개의 화장품 별 조성물 정보와 특장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정보는,
    화장품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성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정보는,
    화장품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성분 별 함량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장점 정보는,
    화장품의 기능성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장점 정보는,
    화장품을 구성하는 성분 중 지정된 기준함량 이상 포함된 성분 별 기능성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축은,
    i(i≥1)개의 피부상태 축,
    j(j≥1)개의 지정된 기능성 성분함량 축,
    하나 이상의 기능성 성분(또는 둘 이상의 기능성 성분 조합)에 근거한 k(k≥1)개의 지정된 기능성 효과 축 중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지정된 N개의 축을 포함하는 다축 좌표계 상에 지정 개수 이상의 좌표값이 분포하는 P(P≥2)개의 분포패턴 별 상담정보를 설정받아 지정된 관리D/B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P개의 분포패턴 중 상기 결정된 M개의 화장품 별 좌표값의 분포패턴과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p(1≤p≤P)개의 분포패턴을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된 p개의 분포패턴에 대응하는 p개의 상담정보를 근거로 상기 M개의 화장품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자 상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생성된 대상자 상담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KR1020180106764A 2018-09-06 2018-09-06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KR20200028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764A KR20200028568A (ko) 2018-09-06 2018-09-06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764A KR20200028568A (ko) 2018-09-06 2018-09-06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568A true KR20200028568A (ko) 2020-03-17

Family

ID=70004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764A KR20200028568A (ko) 2018-09-06 2018-09-06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85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178A (ko) 2020-06-08 2021-12-15 메이크미업 주식회사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178A (ko) 2020-06-08 2021-12-15 메이크미업 주식회사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7565B2 (ja) 薬剤認識装置、薬剤認識方法、及び薬剤認識プログラム
KR101793468B1 (ko) Ar을 이용한 셀프 뷰티앱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CN104949617B (zh) 用于对象包装的对象三维尺寸估测系统及方法
US20190333633A1 (en) Medical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dical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WO201906521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508052A (ja) 画像分析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デバイス
US106072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and automation of instant purchase transactions
CN106327206A (zh) 正品认证工具及正品认证系统
CN109785162A (zh) 医保异常检测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202103744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uthenticity of an object
CN113313072A (zh) 智能动态页面的构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992135A (zh) 一种风险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362648A (zh) 问卷调查题目的更新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KR20200028569A (ko) 화장품 정보 추천 방법
KR20200028568A (ko) 사용자의 화장품을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 맵 제공 방법
EP3417256A1 (en) Simplified texture comparison engine
CN109785114A (zh) 用于贷款审核的信用数据展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220096606A (ko) Ai 기반 피부 상태 분석 및 맞춤 화장품 추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분석 및 맞춤 화장품 추천방법
CN112288889A (zh) 指示信息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044347B1 (ko) 가상의류 피팅미러 장치를 이용한 의류 구매 시스템
CN110533452A (zh) 产品信息推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234869B1 (ko) 영상과 대응하는 신발 추천 시스템
CN108960861A (zh) 产品保真验证方法及装置、存储介质、处理器
KR102668246B1 (ko) 의류 피팅을 위한 신체 치수 정보 생성을 위한 전자 장치, 신체 치수 정보 생성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생성된 신체 치수 정보를 사용하여 의류 사이즈를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0053914A1 (ja) ウェアラブル端末表示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及びウェアラブル端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