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246A - Apparatus to reduce vibr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to reduce vib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246A
KR20200028246A KR1020180106714A KR20180106714A KR20200028246A KR 20200028246 A KR20200028246 A KR 20200028246A KR 1020180106714 A KR1020180106714 A KR 1020180106714A KR 20180106714 A KR20180106714 A KR 20180106714A KR 20200028246 A KR20200028246 A KR 20200028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elastic
rail
pair
hol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7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1822B1 (en
Inventor
박준홍
김걸
안상근
고효인
장승호
홍지영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6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822B1/en
Priority to PCT/KR2019/011522 priority patent/WO2020050670A1/en
Priority to CN201980059365.2A priority patent/CN112703290B/en
Priority to EP19857743.9A priority patent/EP3848507B1/en
Publication of KR20200028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2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8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8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plastic or elastic deformation of fastener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bration reducing apparatus includes: a pair of damper main bodies which is arranged at both sides with a web part of a rail therebetween and of which at least one portion comes in contact with the web part and at least one portion comes in contact with a lower part connected to the web part; a plurality of inelastic collision balls provided in at least two through holes formed in each of the pair of damper main bodies so as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web part or the lower end part; and a pair of housings preventing the damper main bodie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covering each of the pair of damper main bodies from the outside, thereby reducing vibration noises.

Description

진동 저감 장치{APPARATUS TO REDUCE VIBRATION}Vibration Reduction Device {APPARATUS TO REDUCE VIBRATION}

본 발명은 진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주파수뿐만 아니라 저주파수 영역에 이르기까지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전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진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reduc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bration reduc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electric noise by reducing vibration down to a low frequency region as well as a high frequency.

최근 들어, 고속 열차가 이동할 때 고속열차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주요한 환경 소음 이슈로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 전동 소음이 열차 소음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동소음은 철도 차량의 이동 과정에서 레일과 차륜이 진동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다. 이를 줄이기 위해 전술한 것처럼 다양한 댐퍼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Recently, noise generated by a high-speed train when a high-speed train moves has emerged as a major environmental noise issue. Among them, electric noise is the main cause of train noise. Electric noise is the noise generated by the vibration of rails and wheels during the movement of a railroad car. To reduce this, various dampers are being developed as described above.

일반적으로 레일의 단면을 보면 상단부에 비해 복부의 두께가 얇은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열차의 이동 하중에 의해 레일이 가진하게 되면 복부를 기준으로 상단부가 심하게 진동하게 된다. In general,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rail is viewed, the thickness of the abdomen is thinner than that of the upper end. Therefore, when the rail is excited by the moving load of the train, the upper part vibrates violently based on the abdomen.

따라서, 종래에는 철도 궤도의 진동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웹 댐퍼를 주로 사용하였는데, 이는 레일의 복부 부분의 두께를 보강하여 레일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설계를 한 것이다. 웹 댐퍼를 설치하면, 레일에 일어나는 모든 진동의 주파수들을 높일 수 있어, 진동의 고주파수 성분들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conventionally, a web damper is mainly used to block or reduce vibration of a railroad track, which is designed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rail by reinforcing the thickness of the abdominal portion of the rail. By installing a web damp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requencies of all vibrations occurring in the rail, thereby reducing the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the vibrations.

그런데, 기존의 웹 댐퍼는 진동의 고주파수 성분을 줄이는 데는 효과가 있지만, 복부이 두께만 증가시켰기 때문에 레일 진동의 저주파수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레일의 길이만큼 웹 댐퍼의 길이 역시 증가되기 때문에 재료비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웹 댐퍼의 주요 재질이 고무이기 때문에 장시간 외부 환경에 노출되면 내구성이 떨어지고 변형이 일어나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However, the existing web damper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of vibration, but has a limitation in reducing the low frequency of rail vibration because it only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abdomen.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web damper is also increased by the length of the rai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terial cost is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main material of the web damper is rubber,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poor durability and deformation when exposed to an external environment for a long time.

따라서, 전체 주파수에서 탁월한 진동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 증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외부 환경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레일의 진동 저감 댐퍼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vibration damping damper for a rail having a new structure capable of realizing an excellent vibration effect at full frequency as well as minimizing cost increase and preventing deformation according to an external environment.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20018호(발명의 명칭: 소음 및 진동 저감 장치, 공개일자: 2016년 2월 23일)가 있다.As a related prior art, there 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20018 (invention name: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device, publication date: February 23, 2016).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주파수뿐만 아니라 저주파수 영역에 이르기까지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전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레일과 동등한 길이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단위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electric noise by reducing the vibration to the low frequency region as well as the high frequency, and also can be manufactured in units not only in the same length as the rail, but also can be adjusted in intervals,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Provided is a vibration reduction device that can be reduc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 (s) mentioned above, and another problem (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는, 레일의 복부 부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복부 부분에 접하고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복부 부분과 연결된 하부 부분에 접하는 한 쌍의 댐퍼본체와, 상기 한 쌍의 댐퍼본체의 각각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관통홀에서 상기 복부 부분 또는 상기 하단 부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비탄성 충돌구와, 상기 한 쌍의 댐퍼본체를 각각 외부에서 감쌈으로써 상기 댐퍼본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한 쌍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Vibration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damper body that is disposed on both sides with the abdomen portion of the rail interposed there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abdominal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connected to the abdominal portion and , A plurality of inelastic impingement holes provid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abdominal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in at least two through holes formed in each of the pair of damper bodies, and the pair of damper bodies by wrapping the outside, respectively, A damper body may include a pair of housings to prevent exposure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부 부분 및 상기 하부 부분을 향하는 상기 댐퍼본체의 면은 상기 복부 부분 및 상기 하단 부분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댐퍼본체의 상면 및 측면 그리고 전후방면은 상기 하우징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damper body facing the abdomen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abdomen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and side surfaces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amper body. Can be wrapped by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적어도 2개의 관통홀 각각에는 상기 복수 개의 비탄성 충돌구가 서로 접촉한 상태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관통홀 중 적어도 1개의 제1 관통홀은 상기 복부 부분을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비탄성 충돌구가 상기 복부 부분에 접촉이 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관통홀 중 다른 1개의 제2 관통홀은 상기 하단 부분을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비탄성 충돌부가 상기 하단 부분에 접촉 가능하다. In addition, each of the at least two through-ho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lo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two first through-holes is the abdomen. Opened toward the portion, the non-elastic impingement hole can contact the abdominal portion, and the other second through hole of the at least two through holes is opened toward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inelastic collision portion contacts the lower portion I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비탄성 충돌구의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되 상기 비탄성 충돌구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비탄성 충돌구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econd through-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elastic impactor, but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inelastic impactor so that the inelastic impactor can move. ha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관통홀에 대한 상기 비탄성 충돌구이 초기 위치는 상기 비탄성 충돌구의 일부분이 상기 복부 부분에 접촉된 상태이고, 상기 제2 관통홀에 대한 상기 비탄성 충돌구의 초기 위치는 상기 비탄성 충돌구의 일부분이 상기 하단 부분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In addition, an initial position of the inelastic collision grille with respect to the first through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te where a portion of the inelastic collision sphere is in contact with the abdominal portion, an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inelastic collision sphere with respect to the second through hole The position may be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inelastic impactor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댐퍼본체는 상기 레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진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mp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rubber material to absorb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rai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댐퍼본체는 메타 물질(Meta Material)로 제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mp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meta material (Meta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는, 상기 한 쌍의 댐퍼본체를 각각 감싸는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을 상기 레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bration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pair of housings surrounding the pair of damper bodies to the rai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는 X자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고정 클립 각각은, 상기 레일의 하면에 배치되는 클립 하단 부분과, 상기 클립 하단 부분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부를 고정시키는 클립 측면 부분 및 상기 클립 측면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클립 상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ixing clips arranged in an X shape, each of the pair of fixing clips, the lower portion of the clip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lip It may include a clip sid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clip to fix the side of the housing and a clip top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the top of the clip side portion to fix the top portion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한 쌍의 고정 클립을 상호 오므린 채로 상기 레일의 하면에 배치시킨 후 상기 한 쌍의 고정 클립을 벌림으로써 상기 한 쌍이 댐퍼본체에 대한 상기 고정부의 고정이 실행될 수 있다. Further, by arranging the pair of fixing cli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while retracting each other, the pair of fixing clips are fixed to the damper body by opening the pair of fixing clips. Can be implement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는, 레일의 복부 부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복부 부분에 접하고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복부 부분과 연결된 하부 부분에 접하는 한 쌍의 댐퍼본체와, 상기 한 쌍의 댐퍼본체의 각각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관통홀에서 상기 복부 부분 또는 상기 하단 부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비탄성 충돌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관통홀 각각에는 상기 복수 개의 비탄성 충돌구가 서로 접촉한 상태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관통홀 중 적어도 1개의 제1 관통홀은 상기 복부 부분을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비탄성 충돌구가 상기 복부 부분에 접촉이 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관통홀 중 다른 1개의 제2 관통홀은 상기 하단 부분을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비탄성 충돌부가 상기 하단 부분에 접촉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vibration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dampers are disposed on both sides with the abdomen portion of the rail interposed there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abdominal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connected to the abdominal portion The body and a plurality of inelastic impact holes provid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abdominal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in at least two through holes formed in each of the pair of damper bodies, each of the at least two through holes The plurality of inelastic impingement holes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one first through hole of the at least two through holes is opened toward the abdomen portion so that the inelastic impingement hole can contact the abdomen portion. And, the other one of the at least two through-holes through the second through-hole is open toward the lower portion Additional inelastic collisions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관통홀에 대한 상기 비탄성 충돌구이 초기 위치는 상기 비탄성 충돌구의 일부분이 상기 복부 부분에 접촉된 상태이고, 상기 제2 관통홀에 대한 상기 비탄성 충돌구의 초기 위치는 상기 비탄성 충돌구의 일부분이 상기 하단 부분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In addition, an initial position of the inelastic collision grille with respect to the first through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te where a portion of the inelastic collision sphere is in contact with the abdominal portion, an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inelastic collision sphere with respect to the second through hole The position may be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inelastic impactor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들은, 고주파수뿐만 아니라 저주파수 영역에 이르기까지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전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레일과 동등한 길이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단위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ducing the vibration to the low frequency region as well as the high frequenc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lectric noise, and it is possible not only to manufacture the rail with the same length, but also to manufacture units and to adjust the spacing. It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일측에서 바라본 투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를 일측에서 바라본 투영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을 상부에서 바라본 투영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 각도에서의 한 쌍의 댐퍼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진동 저감 장치가 간이 레일에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간이 레일에서의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제 레일에서의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one side.
FIG. 2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projection of Fig. 2 as viewed from one side.
4 is a top plan view of FIG. 1 as viewed from abov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ir of damper bodies from the angle of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unit shown in FIG. 1.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vibration reducing device shown in FIG. 1 is installed on a simple rail.
8 is a graph of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simple rail.
9 is a graph of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actual rail.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 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ring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일측에서 바라본 투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를 일측에서 바라본 투영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을 상부에서 바라본 투영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 각도에서의 한 쌍의 댐퍼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one side, FIG. 2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 projection front view of FIG. 2 as viewed from one side, and FIG. 4 is FIG. 1 Is a projection plan view as viewed from the top,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ir of damper bodies at an angle of FIG. 1,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portion shown in FIG.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100)는, 레일(101)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레일(101)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제거함으로써 전동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101)의 복부 부분(103)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댐퍼본체(110)와, 댐퍼본체(110) 내에 구비되어 레일(101)의 복부 부분(103) 또는 하단 부분(105)과 충돌함으로써 진동을 저감시키는 복수 개의 비탄성 충돌구(120)와, 한 쌍의 댐퍼본체(110) 각각을 감싸는 한 쌍의 하우징(130)과, 이들을 레일(10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4, the vibration reduc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rail 101, and removes vibration generated by the rail 101 to reduce electric noise. For removing, a pair of the damper body 110 dispos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with the abdominal portion 103 of the rail 10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abdominal portion of the rail 101 provided in the damper body 110 (103) Or a plurality of inelastic impactor 120 for reducing vibration by colliding with the lower portion 105, a pair of housing 130 surrounding each of the pair of damper body 110, and rails 101 It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150 for fixing to.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고주파수 영역뿐만 아니라 저주파수 영역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전동소음을 탁월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레일(101) 주변에 사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열차에 탑승한 승객들이 소음으로 인해 받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By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xcellently remove the electric noise by reducing the vibration in the low-frequency region as well as in the high-frequency region, so that the passengers riding on the train as well as the people living around the rail 101 can experienc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noise. Can be reduced.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한 쌍의 댐퍼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1)의 복부 부분(103)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되 레일(101)을 향하는 부분 중 일부분은 레일(101)의 복부 부분(103)에 면 접촉하고 다른 일부분은 레일(101)의 하단 부분(105)에 면 접촉하는 구조를 갖는다.When describing each configuration, first, the pair of damper bodies 110 are disposed on both sides with the abdominal portion 103 of the rail 101 interposed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2. A portion of the facing portion has a structure that faces the abdominal portion 103 of the rail 101 and the other portion faces the lower portion 105 of the rail 101.

즉, 레일(101)의 복부 부분(103) 및 하단 부분(105)이 가지는 굴곡진 형상이 레일(101)을 향하는 댐퍼본체(110)에도 대응되게 형성되어 댐퍼본체(110)가 레일(101)에 정확히 들어맞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That is, the curved portion of the abdomen portion 103 and the lower portion 105 of the rail 10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amper body 110 facing the rail 101, the damper body 110 is the rail 101 It has a structure that exactly fits in.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댐퍼본체(11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관통홀(111h, 115h)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관통홀(111h, 115h)은 측 방향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관통홀(111h, 115h) 내에 배치되는 비탄성 충돌구(120)는 관통홀(111h, 115h)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wo through holes 111h and 115h are formed in the damper body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wo through holes 111h and 115h have a shape in which the lateral directions are open, so the inelastic impactor 120 disposed in the through holes 111h and 115h is exposed as an open part of the through holes 111h and 115h. Can be.

다만, 관통홀(111h, 115h)의 측 방향의 개방 부분은 비탄성 충돌구(120)의 직경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기 때문에 개방 부분으로 비탄성 충돌구(1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탄성 충돌구(120)는 구슬 타입으로 마련되어 관통홀(111h, 115h)의 길이 방향을 따라 채워지는데, 관통홀(111h, 115h) 내에 비탄성 충돌구(120)가 빼곡하게 채워짐으로써 비탄성 충돌구(120)는 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지만 관통홀(11 h)의 길이 방향으로는 이동될 수 없다.However, since the opening por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s 111h and 115h has a smaller size than the diameter of the inelastic collision sphere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elastic collision sphere 120 from escaping to the opening portion. The inelastic impactor 120 is provided in a bead type and is fi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holes 111h and 115h. The inelastic impactor 120 is filled in the through-holes 111h and 115h by filling the inelastic impactor 120. ) Can be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but cannot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11 h.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관통홀(111h, 115h)은 비탄성 충돌구(120)에 비해 약간은 더 큰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면, 비탄성 충돌구(120)가 도 2와 같은 상태일 때 비탄성 충돌구(120)와 관통홀(111h, 115h) 사이에는 대략 1 내지 2mm의 이격 공간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관통홀(111h, 115h) 내에서 비탄성 충돌구(120)의 운동이 가능한 것이다.2 and 5, the through holes 111h and 115h have a slightly larger size than the inelastic impactor 120. For example, when the inelastic impactor 120 is in the state shown in FIG. 2, there is a space of approximately 1 to 2 mm between the inelastic impactor 120 and the through holes 111h and 115h.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inelastic impactor 120 in the through holes 111h and 115h is possible.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레일(101)이 진동되는 경우 레일(101) 궤도의 진동 에너지가 비탄성 충돌구(120)에 운동 에너지로 전달되는데, 이러한 과정이 계속적이면서도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레일(101)의 진동을 줄여줄 수 있고 따라서 전동소음도 감소시킬 수 있다. By this configuration, when the rail 101 is vibrated, the vibration energy of the rail 101 track is transmitted as kinetic energy to the inelastic impactor 120, and this process is continuously and repeatedly made to vibrate the rail 101. It can be reduced, and therefore the electric noise can be reduced.

특히, 도 2 및 도 5를 보면, 관통홀(111h, 115h)이 측 방향으로 개방되되 개방 부분이 향하는 방향이 다르다. 즉, 2개의 관통홀(111h, 115h) 중 상부에 있는 제1 관통홀(111h)은 레일(101)의 복부 부분(103)을 향하고, 하부에 있는 제2 관통홀(115h)은 레일(101)의 하단 부분(105)을 향한다. Particularly, referring to FIGS. 2 and 5, the through holes 111h and 115h are opened in the lateral direction, but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n portion faces is different. That is, the first through hole 111h at the top of the two through holes 111h and 115h faces the abdominal portion 103 of the rail 10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15h at the bottom is the rail 101 ) Toward the lower portion 105.

따라서, 제1 관통홀(111h)에 있는 비탄성 충돌구(120)들은 초기 위치 시, 즉 진동이 발생되지 않을 시, 레일(101)의 복부 부분(103)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제2 관통홀(115h)에 있는 비탄성 충돌구(120)들은 초기 위치 시 레일(101)의 하단 부분(105)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Therefore, the inelastic impingement holes 120 in the first through hole 111h mainta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abdominal portion 103 of the rail 101 at the initial position, that is, when no vibration occurs. On the other hand, the inelastic impingement holes 120 in the second through hole 115h maintain the state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105 of the rail 101 in the initial posi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제1 관통홀(111h) 내에 있는 비탄성 충돌구(120)들은 레일(101)에 진동 발생 시 제1 관통홀(111h)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레일(101)의 복부 부분(103)과 비탄성 충돌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레일(101)에 발생되는 수평 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By this configuration, the inelastic impingement holes 120 in the first through hole 111h vibr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first through hole 111h when vibration occurs in the rail 101, thereby forming an abdominal portion of the rail 101. It may be inelastic collision with 103, thereby reducing the vib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generated in the rail 101.

한편, 제2 관통홀(115h) 내에 있는 비탄성 충돌구(120)들은 레일(101)에 진동 발생 시 제2 관통홀(115h)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레일(101)의 하단 부분(105)과 비탄성 충돌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레일(101)에 발생되는 수직 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elastic impingement holes 120 in the second through hole 115h vib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second through hole 115h when vibration occurs in the rail 101, thereby lowering the portion 105 of the rail 101 And inelastic collisions, thereby reducing vibra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generated on the rail 101.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관통홀(111h) 내의 비탄성 충돌구(120)들을 통해서는 레일(101)에 발생되는 수평 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고, 제2 관통홀(115h) 내의 비탄성 충돌구(120)들을 통해서는 레일(101)에 발생되는 수직 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전동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ough the inelastic impingement holes 120 in the first through hole 111h, vib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generated in the rail 101 can be reduced, and inelasticity in the second through hole 115h is achiev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generated on the rail 101 through the impact holes 120, thereby reducing the electric noise.

아울러, 비탄성 충돌구(120)들과 레일(101)의 비탄성 충돌로 인해 레일(101)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중 고주파수 영역의 진동을 특히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vibrations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among frequencies generated by the rail 101 due to the inelastic collision between the inelastic impingement holes 120 and the rail 101 can be particularly reduced.

한편, 전술한 댐퍼본체(110)는 자체적으로 중량을 갖는 고무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101)에 발생되는 진동이 댐퍼본체(110)에 어느 정도 흡수됨으로써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댐퍼본체(110)는 레일(101)에 발생되는 주파수 중 저주파수 영역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damper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rubber material having its own weight. Accordingly, vibration generated in the rail 101 is absorbed to the damper body 110 to some extent, thereby reducing vibration. Here, the damper body 110 can effectively reduce the vibration of the low frequency region among the frequencies generated in the rail 101.

다만, 댐퍼본체(110)는 메타 물질(Meta Material)로도 마련될 수 있다. 메탈 물질은 복합 요소가 반복적인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는 집합체다. 이러한 메타 물질은 구조에 의해서 특성이 생기는데, 진동 저감을 위해 설계된 메타 물질은 전자기파 혹은 소리에 물체가 관측되지 않게 하는 형식으로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댐퍼본체(110)를 메타 물질로 제조함으로써 레일(101)의 진동뿐만 아니라 전동소음 그리고 인버터 소음의 저감이 가능하다.However, the damper body 110 may also be provided as a meta material. Metal materials are aggregates in which complex elements are arranged in a repetitive pattern. These meta-materials are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and meta-materials designed for vibration reduction can interfere with electromagnetic waves or sound in a way that objects are not observed. Therefore, by manufacturing the damper body 110 with meta materials, it is possible to reduce not only vibration of the rail 101 but also electric noise and inverter noise.

한편, 본 실시예의 하우징(130)은, 댐퍼본체(110)를 감싸는 것으로서, 보다 정확하게는 댐퍼본체(110)의 상면 및 측면 그리고 전후방면을 감쌈으로써 댐퍼본체(11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to wrap the damper body 110, more accurately prevent the damper body 11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wrapping the top and side and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amper body 110. Plays a role.

이러한 하우징(130)은 댐퍼본체(110)에 간단히 조립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댐퍼본체(110)의 상면 및 측면이 직각으로 이루어져 있고 전후방면 역시 상면 및 측면에 대해 직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하우징(130) 역시 이에 대응되는 내측면의 형상을 갖고, 외형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부분적인 형상을 갖는다. The housing 13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to the damper body 110. That is,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damper body 110 are formed at right angles,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also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upper surface and side surfaces. Has a geometric shape.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30)을 댐퍼본체(110)에 결합시키면, 댐퍼본체(110)의 노출된 부분을 모두 가릴 수 있어서 댐퍼본체(110)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관통홀(111h, 115h)들로부터 비탄성 충돌구(120)들이 이탈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By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when the housing 130 is coupled to the damper body 110, all exposed portions of the damper body 110 can be covered, thereby preventing the damper body 110 from being corroded.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elastic impingement holes 1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s 111h and 115h.

한편, 본 실시예의 고정부(150)는, 한 쌍의 댐퍼본체(110) 및 이를 감싼 하우징(130)을 레일(10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X자로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art 15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 fixing the pair of damper bodies 110 and the housing 130 surrounding the rail 130 to the rail 101, as shown in Figures 1 and 6, X-shaped It may include a pair of fixing clips are disposed.

한 쌍의 고정 클립 각각은, 레일(101)의 하면에 배치되는 클립 하단 부분(151)과, 클립 하단 부분(151)의 양단부로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30)의 측부를 고정시키는 클립 측면 부분(153)과, 클립 측면 부분(153)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30)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클립 상단 부분(155)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retaining clips is a clip bottom portion 151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rail 101 and a clip side extending upwardly from both ends of the clip lower portion 151 to fix a side portion of the housing 130 The portion 153 may include a clip top portion 155 extending inward from the top of the clip side portion 153 to secure the top portion of the housing 130.

한 쌍의 고정 클립의 클립 하단 부분은 상호 교차하는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교차 지점으로 중심으로 오므려지거나 벌려질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clip of the pair of fastening clips has a structure that intersects each other, and thus may be centered or opened to the intersection point.

따라서, 한 쌍의 고정 클립을 상호 오므린 채로 레일(101)의 하면에 배치시킨 후 한 쌍의 고정 클립을 벌림으로써 한 쌍의 하우징(130)에 대한 고정부(150)의 고정을 실행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fixing of the fixing unit 150 to the pair of housings 130 by placing the pair of fixing clip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101 while retracting each other and then opening the pair of fixing clips. .

즉, 오므린 상태의 고정부(150)는 레일(101)의 하단부에 비해 폭이 크기 때문에 레일(101)에 쉽게 배치될 수 있고, 또한 고정부(150)를 벌리면 클립 상단 부분이 하우징(130)의 상단면에 배치됨으로써, 한 쌍의 하우징(130)을 레일(101)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since the fixing part 150 in the closed state is larger in width than the lower end part of the rail 101, it can be easily disposed on the rail 101, and when the fixing part 150 is opened, the clip upper part has a housing 130 ) By being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it is possible to securely secure the pair of housings 130 to the rail 101.

한편,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진동 저감 장치(100)를 간이 레일(101)에 설치한 경우와 실제 레일(101)에 설치한 경우 진동 저감 효과가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how the vibration reduction effect is implemented when the vibration redu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simple rail 101 and when installed on the actual rail 101.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진동 저감 장치가 간이 레일에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간이 레일에서의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vibration reduction device shown in FIG. 1 is installed on a simple rail, and FIG. 7 is a graph showing experimental results on the simple rail.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예를 들면 길이가 6m의 레일(101)에 모두 10개의 진동 저감 장치(100)를 등 간격으로 설치하고, 레일(101)의 양단부에서 대락 0.6m 부근에는 진동 마운트를(180) 설치하여 자유단 조건을 만족시켰다. 그리고 양단에서 가속도계를 이용해서 진동 저감 효과를 검토하였다. As shown in FIG. 6, for example, all 10 vibration reducing devices 100 ar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on the rail 101 having a length of 6 m, and vibration mount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ail 101 around 0.6 m. (180) was installed to satisfy the free end condition. And the vibration reduction effect was examined using an accelerometer at both ends.

부연하면, 실험 시, 진동 저감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STARDAMP (Standardization of damping technologies for the reduction of railway noise) 기준에 따라 실제 고속철도 궤도인 UIC60을 사용하였다. Incidentally, in the experiment, in order to measure vibration reduction performance, UIC60, a real high-speed rail track, was used according to STARDAMP (Standardization of damping technologies for the reduction of railway noise) standards.

검토 결과,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저주파수 영역에서 각 모드별 전달함수의 감쇠계수가 크게 증가하였고, 또한 고주파수 대역에서 전달함수가 크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review, as shown in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attenuation coefficient of the transfer function for each mode i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ow frequency region and the transfer func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high frequency band.

아울러, 밴드갭 측면에서 검토해본 결과, 전동소음이 특히 많이 발생되는 500 내지 2000Hz 대역에서 주파수 응답이 크게 감소하고 따라서 거리에 따른 감쇠율값도 크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ation in terms of band gap, it can be seen that the frequency response is greatly reduced in the 500 to 2000 Hz band where electric noise is particularly generated, and thus the attenuation rate value according to the distance is also greatly improved.

한편, 도 8은 실제 레일에서의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8 is a graph of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actual rail.

실험실에서 검증된 진동 저감 장치(100)를 실제의 레일(101)의 슬라브 궤도에 총 50개를 설치하고 실험한 결과, 실제의 레일(101)의 슬라브 궤도에서의 진동 저감 장치(100)의 거리에 따른 감쇠율은 전동소음 대역뿐만 아니라 고주파수 영역까지 감쇠 효과가 존재하였다. 특히 주파수 대역 1000Hz 대역에서 최대 5dB/m, 수평 방향은 최대 3.5dB/m의 감쇠율이 측정되었다. As a result of installing and experimenting a total of 50 vibration reducing devices 100 verified in the laboratory on the slab track of the actual rail 101, the distance of the vibration reducing devices 100 on the slab track of the actual rail 101 The attenuation rate according to was attenuated to the high-frequency region as well as the electric noise band. In particular, attenuation rates of up to 5 dB / m in the frequency band and 1000 Hz band and up to 3.5 dB / 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ere measured.

부연하면, 전술한 슬라브 궤도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 있는 30m 길이의 레일(101)을 이용하였으며, 측정 방법은 측정방법은 BS EN 15461_2008_A1_2010 규격을 참고하여 끝단에서 6m지점에 가속도계를 세팅을 하고 임팩트 해머를 옮겨가면서 슬라브 궤도의 FRF(고유주파수 분석)를 측정하였다.Incidentally, the above-described slab track used the rail 101 of 30m length in the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and the measuring method was based on the BS EN 15461_2008_A1_2010 standard. The FRF (Unique Frequency Analysis) of the slab track was measured while moving.

이를 통해서도, 실제 레일(101)에서도 본 실시예의 진동 저감 장치(100)가 있는 경우 없는 경우보다 현저하게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음은 알 수 있다.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even in the actual rail 101, the vibratio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an in the case where the vibration reduc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res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주파수뿐만 아니라 저주파수 영역에 이르기까지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전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electric noise by reducing vibrations down to the high frequency range as well as the low frequency range.

또한, 레일(101)과 동등한 길이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단위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댐퍼본체(110) 또는 하우징(130)의 질량 또는 강성 등을 조절하여 특정 주파수에서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not only making the rail 101 and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unit, but also making the unit adjustable, and adjusting the gap, and also reducing the mass or rigidity of the damper body 110 or the housing 130. By adjusting, vibration at a specific frequency can be effectively reduced.

아울러, 결국에는 진동 저감에 따른 전동소음 감소로 인해, 레일(101) 주변에 있는 사람들 또는 승객들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nd, due to the reduction in electric noise due to vibration reduc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iding comfort of people or passengers around the rail 10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레일의 복부 부분을 향하는 제1 관통홀이 하나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1 관통홀은 2개 이상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one first through hole toward the abdomen portion of the rail is formed has been described, but it is natural that two or more first through holes may be provid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So far, specific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will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Deform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진동 저감 장치
101: 레일
103: 복부 부분
105: 하단 부분
110: 댐퍼본체
111h: 제1 관통홀
115h: 제2 관통홀
120: 비탄성 충돌구
130: 하우징
150: 고정부
100: vibration reduction device
101: rail
103: abdomen
105: lower part
110: damper body
111h: 1st through hole
115h: Second through hole
120: inelastic crater
130: housing
150: fixing part

Claims (12)

레일의 복부 부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복부 부분에 접하고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복부 부분과 연결된 하부 부분에 접하는 한 쌍의 댐퍼본체;
상기 한 쌍의 댐퍼본체의 각각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관통홀에서 상기 복부 부분 또는 상기 하단 부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비탄성 충돌구; 및
상기 한 쌍의 댐퍼본체를 각각 외부에서 감쌈으로써 상기 댐퍼본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한 쌍의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A pair of damper bodies disposed on both sides with the abdominal portion of the rail interposed there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contacts the abdominal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connected to the abdominal portion;
A plurality of inelastic impactors provid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abdominal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in at least two through holes formed in each of the pair of damper bodies; And
A pair of housings to prevent the damper body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wrapping the pair of damper bodies from the outside;
Vibration reduc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 부분 및 상기 하부 부분을 향하는 상기 댐퍼본체의 면은 상기 복부 부분 및 상기 하단 부분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댐퍼본체의 상면 및 측면 그리고 전후방면은 상기 하우징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rface of the damper body facing the abdomen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abdomen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and side surfaces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damper body are wrapped by the housing. Vibration reduct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관통홀 각각에는 상기 복수 개의 비탄성 충돌구가 서로 접촉한 상태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관통홀 중 적어도 1개의 제1 관통홀은 상기 복부 부분을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비탄성 충돌구가 상기 복부 부분에 접촉이 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관통홀 중 다른 1개의 제2 관통홀은 상기 하단 부분을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비탄성 충돌부가 상기 하단 부분에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진동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2,
In each of the at least two through-holes, the plurality of inelastic impingement spheres are disposed in long contact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first through hole among the at least two through holes is opened toward the abdomen portion, so that the inelastic impactor can contact the abdomen portion,
The vibration reducing device for a rail,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econd through hole of the at least two through holes is opened toward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inelastic collision portion can contact the lower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비탄성 충돌구의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되 상기 비탄성 충돌구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비탄성 충돌구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econd through-hole has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elastic collision sphere, the vibration reduc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inelastic collision spher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inelastic collision sphe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에 대한 상기 비탄성 충돌구이 초기 위치는 상기 비탄성 충돌구의 일부분이 상기 복부 부분에 접촉된 상태이고,
상기 제2 관통홀에 대한 상기 비탄성 충돌구의 초기 위치는 상기 비탄성 충돌구의 일부분이 상기 하단 부분에 접촉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initial position of the inelastic collision grille with respect to the first through hole is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inelastic collision sphere is in contact with the abdomen portio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inelastic impingement ho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through hole is a vibration reduc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inelastic impingement hole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본체는 상기 레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진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진동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amper body is a vibration reduction device for a rai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rubber material to absorb 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r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본체는 메타 물질(Meta Material)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진동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amper body vibration reduction device for a rai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eta material (Meta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댐퍼본체를 각각 감싸는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을 상기 레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진동 저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Vibration reduction device for a rai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pair of housings respectively surrounding the pair of damper bodies to the rai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X자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고정 클립 각각은,
상기 레일의 하면에 배치되는 클립 하단 부분;
상기 클립 하단 부분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부를 고정시키는 클립 측면 부분; 및
상기 클립 측면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클립 상단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진동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fixing clips arranged in an X shape,
Each of the pair of fixing clips,
A lower portion of the clip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A clip side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lip to fix a side portion of the housing; And
And a clip upper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clip side portion to fix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 클립을 상호 오므린 채로 상기 레일의 하면에 배치시킨 후 상기 한 쌍의 고정 클립을 벌림으로써 상기 한 쌍이 댐퍼본체에 대한 상기 고정부의 고정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용 진동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Vibration for a rail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fixing clips are arrang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while retracting the pair of fixing clips, and then the pair of fixing clips are fixed to the damper body by opening the pair of fixing clips. Reduction device.
레일의 복부 부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복부 부분에 접하고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복부 부분과 연결된 하부 부분에 접하는 한 쌍의 댐퍼본체; 및
상기 한 쌍의 댐퍼본체의 각각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관통홀에서 상기 복부 부분 또는 상기 하단 부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비탄성 충돌구;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관통홀 각각에는 상기 복수 개의 비탄성 충돌구가 서로 접촉한 상태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관통홀 중 적어도 1개의 제1 관통홀은 상기 복부 부분을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비탄성 충돌구가 상기 복부 부분에 접촉이 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관통홀 중 다른 1개의 제2 관통홀은 상기 하단 부분을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비탄성 충돌부가 상기 하단 부분에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A pair of damper bodies disposed on both sides with the abdominal portion of the rail interposed there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contacts the abdominal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connected to the abdominal portion; And
A plurality of inelastic impactors provid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abdominal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in at least two through holes formed in each of the pair of damper bodies;
It includes,
In each of the at least two through-holes, the plurality of inelastic impingement spheres are disposed in long contact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first through hole among the at least two through holes is opened toward the abdomen portion, so that the inelastic impactor can contact the abdomen portion,
The vibration reduc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econd through hole of the at least two through holes is opened toward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inelastic collision portion can contact the lower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에 대한 상기 비탄성 충돌구이 초기 위치는 상기 비탄성 충돌구의 일부분이 상기 복부 부분에 접촉된 상태이고,
상기 제2 관통홀에 대한 상기 비탄성 충돌구의 초기 위치는 상기 비탄성 충돌구의 일부분이 상기 하단 부분에 접촉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initial position of the inelastic collision grille with respect to the first through hole is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inelastic collision sphere is in contact with the abdomen portio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inelastic impingement ho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through hole is a vibration reduc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inelastic impingement hole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KR1020180106714A 2018-09-06 2018-09-06 Apparatus to reduce vibration KR1021718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714A KR102171822B1 (en) 2018-09-06 2018-09-06 Apparatus to reduce vibration
PCT/KR2019/011522 WO2020050670A1 (en) 2018-09-06 2019-09-06 Vibration reducing device
CN201980059365.2A CN112703290B (en) 2018-09-06 2019-09-06 Shock-absorbing device
EP19857743.9A EP3848507B1 (en) 2018-09-06 2019-09-06 Vibration reduc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714A KR102171822B1 (en) 2018-09-06 2018-09-06 Apparatus to reduce vib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246A true KR20200028246A (en) 2020-03-16
KR102171822B1 KR102171822B1 (en) 2020-10-29

Family

ID=6972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714A KR102171822B1 (en) 2018-09-06 2018-09-06 Apparatus to reduce vibration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848507B1 (en)
KR (1) KR102171822B1 (en)
CN (1) CN112703290B (en)
WO (1) WO202005067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044B1 (en) * 2020-10-30 2021-04-19 유니슨테크놀러지 주식회사 Rail vibration reduction device
KR102564308B1 (en) 2021-12-02 2023-08-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Vibration and noise reducing device of rail tra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397B1 (en) * 2017-08-11 2018-05-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Rail damper for reducing railway noise and vib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300891A (en) * 1993-05-25 1994-12-16 Edilon Bv Rail.
GB9719864D0 (en) * 1997-09-19 1997-11-19 Univ Southampton Rail damper
WO2002081820A1 (en) * 2001-04-04 2002-10-17 Rockwool International A/S A vibration damping system
JP2002357241A (en) * 2001-06-04 2002-12-13 Toyo Tire & Rubber Co Ltd Damper
GB2399124B (en) * 2003-03-05 2006-07-26 Corus Uk Ltd Rail damper
GB2403759A (en) * 2003-07-11 2005-01-12 Pandrol Ltd Tuned absorbers for railway rails
GB0613080D0 (en) * 2006-07-03 2006-08-09 Corus Uk Ltd Rail dampers
CN101849068B (en) * 2007-11-07 2013-01-02 何伟麟 Tunable vibration absorbing device
CN202482714U (en) * 2012-02-03 2012-10-10 北京市劳动保护科学研究所 Novel rail noise controller
KR101452937B1 (en) * 2012-07-16 2014-10-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Rail for railroad
CN102808364B (en) * 2012-08-21 2015-03-04 浙江天铁实业股份有限公司 Waveguide vibration absorption and noise elimination device for steel rail
CN103343496B (en) * 2013-07-10 2016-06-08 铁道第三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A kind of track bump leveller
KR101598584B1 (en) * 2013-12-30 2016-03-02 주식회사 엠플러스 vibrator
CN103981779A (en) * 2014-05-27 2014-08-13 西南交通大学 Broadband noise-reduction steel rail
KR101621379B1 (en) 2014-08-12 2016-05-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and vibration
CN104894928B (en) * 2015-06-12 2017-03-01 洛阳双瑞橡塑科技有限公司 A kind of track traffic rail shock-absorbing means
KR101668790B1 (en) * 2015-08-19 2016-10-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Impact damper of moving rail for vibration reduction
CN105908581B (en) * 2016-04-21 2018-06-29 同济大学 A kind of composite particles damper for reducing rail vibration noise
KR101768996B1 (en) * 2016-08-16 2017-08-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Clip type damper fixing system
CN206887640U (en) * 2017-07-18 2018-01-16 四川建筑职业技术学院 A kind of damping sound absorption frame based on flush type tra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397B1 (en) * 2017-08-11 2018-05-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Rail damper for reducing railway noise and vib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0670A1 (en) 2020-03-12
EP3848507A1 (en) 2021-07-14
EP3848507B1 (en) 2023-11-15
EP3848507A4 (en) 2022-05-18
CN112703290B (en) 2022-11-15
CN112703290A (en) 2021-04-23
KR102171822B1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gai et al. Structure-borne noise and vibration of concrete box structure and rail viaduct
Zhang et al. A model of a discretely supported railway track based on a 2.5 D finite element approach
Jin et al. Development of tuned particle impact damper for reduction of transient railway vibrations
KR20200028246A (en) Apparatus to reduce vibration
KR101860397B1 (en) Rail damper for reducing railway noise and vibration
Wu et al. Sound emission comparisons between the box-section and U-section concrete viaducts for elevated railway
JP2000046106A (en) Damping panel
CN109902414B (en) Ultralow-frequency high-damping vibration isolator, parameter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and track
JP2012047190A (en) Elastic damper for vibrator
CN215444881U (en) Vibration absorption device for railway vehicle and railway vehicle
JP6082709B2 (en) Floor support structure for moving objects
Liu et al. The influences on railway rolling noise of a rail vibration absorber and wave reflections due to multiple wheels
Mazilu et al.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 rail damper
CN111591308A (en) Vibration-damping noise-reducing shielding door for urban rail transit station platform
JP4441455B2 (en) Soundproofing equipment for bridges
Mu et al. Improvement of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double-panel structures by using damping materials
CN117775041A (en) Method for reducing carriage noise, damper, noise reduction structure and railway vehicle
Han et al. Experimental study on vibration and sound radiation reduction of the web-mounted noise shielding and vibration damping wheel
KR20100080850A (en) Elevator door vibration and noise isolator
Ogata et al. Noise reduction effect of low barriers installed adjacent to rails
KR102241044B1 (en) Rail vibration reduction device
Kozuma et al. An investigation on vibratory and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concrete Bridge for Shinkansen
KR102415956B1 (en) Rail vibration reduction device using the oil
CN216235479U (en) Guide rail vibration damper with vibration absorption module
JP2004042735A (en) Skirt body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