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449A -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449A
KR20200027449A KR1020190109797A KR20190109797A KR20200027449A KR 20200027449 A KR20200027449 A KR 20200027449A KR 1020190109797 A KR1020190109797 A KR 1020190109797A KR 20190109797 A KR20190109797 A KR 20190109797A KR 20200027449 A KR20200027449 A KR 20200027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respiratory
disease
cop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910B1 (ko
Inventor
신희순
김승용
신동욱
엄지은
이소영
정선영
최대운
남영도
박소림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00027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8Clusiaceae, Hypericaceae or Guttiferae (Hypericum or Mangosteen family), e.g. common St. Johnswor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4Valerianaceae (Valerian family), e.g. valeri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알러지, 천식 또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PMA(phorbol myristate acetate)에 의해 유도된 호중구 세포외 트랩(Neutrophil extracellular traps)의 네토시스(Netosis) 활성화를 억제하고, 기관지 상피세포주인 NCI-H292 세포의 CSE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8의 발현을 억제하며, 또한 CES와 LPS(lipopolysaccharide) 의해 활성된 폐포 대식세포인 MH-S 세포에서도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MIP-2의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진다. 또한,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투여한 호흡기 질환 마우스 모델에서는 양성 대조군인 Roflumilast(ROF)을 투여한 그룹 이상으로 BALF 총 세포수가 감소되는 활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improving respiratory diseases using the extract of Rosa davurica}
본 발명은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알러지, 천식 또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러지 반응은 Ⅰ형 anaphylaxis형, Ⅱ형 세포용해형, Ⅲ형 면역복합체형, Ⅳ형 세포중개형, Ⅴ형 자극성 과민반응형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대부분은 제Ⅰ형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알러지 반응이라 하면 제Ⅰ형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Roitt I, Brostoff J, Male D. Immunology 6th eds. U.S.A.. Mosby. 2001:323-383).
대표적인 알러지 질환으로는 아토피성 피부염, 기관지 천식,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각막염, 피부 두드러기 등이 있으며, 이들 알러지 질환에는 비만세포(mast cell)가 중요한 작동세포로 알려져 있다(Wills-Karp M., et al., Science, 282:2258-61, 1998; Grunig G., et al., Science, 282:2261-2263, 1998). 비만세포는 피부, 호흡기, 림프관 주위, 위장관의 점막, 혈관 주위, 뇌 등 전신의 장기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세포이다(Ishizaka t., et al. J. Immunol. 119:1589, 1997).
알러지 반응은 이러한 비만세포 표면의 IgE 고친화성 수용체 (FcεRI)에 결합되어 있는 IgE에 진드기, 꽃가루 등의 알러지원이 결합하면, 수용체(FcRIα)의 가교 및 응집에 의하여 비만세포가 활성화되어 세포질 내의 칼슘이온(Ca++) 농도 등이 상승한다. 칼슘이온 농도의 상승은 세포막의 콜레스테롤이나 세포 골격계 등 여러 종류의 세포 내 조절인자에 작용하여 과립을 세포막에 이동시킴과 동시에 과립의 공포화, 과립 상호의 융합 및 과립과 세포막의 융합 등을 거쳐 탈과립을 일으킨다. 탈과립이 되면 혈관확장, 혈관투과성 항진, 기관지 평활근의 수축이나 분비항진 등의 작용을 갖는 히스타민, 세로토닌(serotonin), 류코트리엔 등이 유리될 뿐만 아니라 호산구나 호중구 등 염증 세포의 주화성 인자로 작용하는 NCF, ECF, PAF등이 함께 유리되어 알러지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Ennis M, et al., Br J Pharmacol 70:329-334, 1980; Metcalfe DD, et al., Crit Rev Immunol 3:23-74, 1981; Miyajima I, et al., J Clin Invest 99:901-914, 1997; Church MK,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99:155-160, 1997; Jones DA, et al., J Biol Chem 268:9049-9054, 1993).
기관지 천식은 가역적인 기도 폐쇄, 기도의 과민성(기도 저항의 증가), 점액의 과분비, 혈청 중 IgE의 높은 수치가 특징인 알레르기성 질환이다. 기도 내로 흡입된 여러 항원에 의하여 자극된 TH2(T helper 2) 타입 면역세포가 IL-4, 5, 13 등을 생성하면 T 세포, 호산구, 비만세포 등의 염증 세포들이 증식, 분화 및 활성화되어 기도와 기도 주변 조직으로 이동, 침윤하기 때문에 만성 염증질환으로도 인식되고 있다(J Clin Invest, 111: 291-297, 2003; N Engl J. Med. 2001; 44(5): 350-62; Toshio Hirano. Cytokine molecular biology. World Science. 2002). 따라서, 천식 치료제의 개발에 있어서는 호산구 등의 염증세포의 침윤 등의 억제가 중요 표적 중 하나이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기침, 객담, 호흡 곤란, 호기 유속의 감소, 가스 교환의 장애 등을 보이는 만성 기도 질환으로서, 해마다 전세계적으로 그 발병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인류의 사망원인 중 3번째 원인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Am J Respir Crit Care Med, 2013, 187:347-365;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9, 180:396-406).
COPD는 흡연, 대기오염, 화학물질, 직업성 인자, 유전적 소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병하는데, 이중 흡연이 주요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실제 COPD 환자의 80% 이상이 흡연자로 밝혀진 바 있다(Biol Pharm Bull, 2012, 35:1752-1760). COPD의 발병 기전에는 염증, 폐에서의 단백분해효소 활성화,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등이 관여하며, 염증에 관여하는 세포는 주로 호중구와 대식세포, T 림프구 등이다. 이러한 염증세포들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조직 손상을 야기하는 여러 단백분해 효소들을 생성한다(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호흡기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7, p 301-5;Am J Respir Crit Care Med, 1997 155, 1441-1447; Am J Physiol Lung CellMol Physiol, 2010, 298:L262-L269). 특히, 호중구는 세포 외로 엘라스타아제, 콜라게나아제, MPO(myeloperoxidase)와 같은 단백분해효소(proteases), 아라키돈산대사물(arachidonate),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free radical) 등의 물질을 분비하여 폐손상을 야기함으로써 COPD가 발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COPD 치료제의 개발에 있어 중요한 표적이 되고 있다(Am J Respir Cell Mol Biol, 2013, 48:531-539; Eur Respir J, 1998, 12:1200-1208).
최근 호중구 세포외 트랩(Neutrophil extracellular traps)의 네토시스(Netosis) 활성화가 COPD를 비롯한 만성 폐/호흡기 질환의 발병 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PLoS One. 2014 May 15;9(5):e97784.; Respir Res. 2015 May 22;16:59.; J Immunol Res. 2017;2017:6710278; Respirology. 2016 Apr;21(3):467-75).
현재 COPD, 천식 등 질환의 경과 등을 보기 위한 수단으로 기관지폐포세척술(bronchoalveolar lavage: BAL)이 이용되는데, 기관지폐포세척액(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내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활성 산소종, 류코트리엔, 활성화 보체 등 염증 매개 물질들이 증가하고, 정상 폐에서 5% 미만을 차지하는 호중구가 전체 세포의 80%를 차지할 정도로 증가한다(Am J Respir Crit Care Med 154(1): 76-81, 1996).
이제까지 COPD나 천식을 직접적으로 개선시키는 약물은 보고된 바 없으며, 현재의 COPD나 천식 치료제로는 증상과 합병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관지확장제(β2-작용제, 항콜린제, methylxanthines)와 스테로이드제(흡입, 경구)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기능 강화 및 호흡기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상기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항알러지용 식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생열귀나무 추출물이 PMA(phorbol myristate acetate)에 의해 유도된 호중구 세포외 트랩(Neutrophil extracellular traps)의 네토시스(Netosis) 활성화를 억제하고, 기관지 상피세포주인 NCI-H292 세포의 CSE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8의 발현을 억제하며, 또한 CES와 LPS(lipopolysaccharide) 의해 활성된 폐포 대식세포인 MH-S 세포에서도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MIP-2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으며,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COPD 개선용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개선용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으며, 나아가 본 발명은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기능 강화 및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로도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침, 객담, 호흡 곤란, 기도 과민성, 기도 폐쇄, 점액 과분비, 호기 유속의 감소 및/또는 가스 교환의 장애 증상을 수반하는 폐질환 개선용 조성물로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폐질환은 앞서 언급한 천식이나 COPD 뿐 아니라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급성 폐손상 등을 포함하며, 발생 원인을 불문하고 앞서 언급한 흡연, 대기오염, 유전적 소인 등에 의한 폐질환 이외에 특히,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에 의한 폐질환을 포함한다. 검댕, 생물체 유기탄소 등 탄소성분과 염소, 질산, 암모늄, 나트륨, 칼슘 등의 이온성분, 납, 비소, 수은과 같은 금속성분, 벤조피렌 등과 같은 다환방향족 탄화수소 등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미세먼지는 상기도, 기관지, 소기도, 폐포 등에 침착하여 천식, COPD 등 다양한 폐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 Korean Med Assoc, 2014; 57: 763-768).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인 식물의 줄기, 잎, 열매, 꽃, 뿌리, 이들의 혼합물 등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조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호흡기 기능 강화"는 비강,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 및 폐 등 호흡 기관의 본래 기능을 건강한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흡연, 미세먼지, 호중구 네토시스 활성화 또는 기타 호흡기 질환 등에 따른 증상으로 인해 저하된 호흡 기관의 기능을 본래 건강한 상태로 개선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비강,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 및 폐 등 개체의 호흡 기관에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호흡기 질환은 흡연 또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또는 네토시스(Netosis)를 수반하는 폐질환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흡기 질환은 객담, 호흡 곤란, 기도 과민성, 기도 폐쇄, 점액 과분비, 호기 유속의 감소 및/또는 가스 교환의 장애 증상을 수반하는 폐질환을 의미할 수 있고, 보다 더 구체적으로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기관염(tracheitis), 기관지염(bronchitis),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급성 폐손상, 낭성 섬유증(cystic fibrosis), 모세기관지염(bronchiolitis),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influenza virus infection), 폐렴(pneumonia), 결핵(tuberculosis) 및 수혈관련급성폐장애(transfusion-related acute lung injury)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천식 또는 COPD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최근 호중구 세포 외 트랩(Neutrophil extracellular traps)의 네토시스(Netosis) 활성화가 COPD를 비롯한 만성 호흡기 질환의 발병 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그 유효성분은 항염증 활성, 항알러지 활성, 천식 개선 활성, COPD 개선 활성, 기타 폐질환 개선 활성, 호흡기 기능 강화 및 호흡기 질환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그 구체적 용도, 제형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20.0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그 적용 대상인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에게 의료 전문가 등의 제언에 의한 투여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될 때, 항염증 효과, 항알러지 효과 등 의도한 기능적·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처방)될 수 있는 대상은 포유동물 및 사람이며, 특히 사람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항염증 효과, 항알러지 효과, 천식 개선 효과의 상승·보강을 위하여 당업계에서 이미 안전성이 검증되고 해당 활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화합물이나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 또는 추출물에는 각국 약전(한국에서는 "대한민국약전"), 각국 건강기능식품공전(한국에서는 식약처 고시인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임) 등의 공정서에 실려 있는 화합물 또는 추출물, 의약품의 제조·판매를 규율하는 각국의 법률(한국에서는 "약사법"임)에 따라 품목 허가를 받은 화합물 또는 추출물, 건강기능식품의 제조·판매를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임)에 따라 기능성이 인정된 화합물 또는 추출물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라, 항염증("관절염 개선") 기능성이 인정된 MSM(dimethylsulfonylmethane), N-아세틸글루코사민 등과, 항알러지("과민 면역반응 완화") 기능성이 인정된 Enterococcus faecalis 가열 처리 건조 분말, 구아바 잎 추출물 등의 복합물, 다래 추출물, 소엽 추출물, 피카오프레토 분말 등의 복합물, PLAG(1-palmitoyl-2-linoleoyl-3-acetyl-rac-glycerol) 등이 이러한 화합물 또는 추출물에 해당할 것이며,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화합물 또는 천연 추출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 유효성분과 함께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에는 건강기능(성)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항알러지 효과, 천식 개선 효과 또는 COPD 개선 효과, 나아가 호흡기 기능 강화 및 호흡기 질환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루트 등의 가공 유류(乳類),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예컨대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이거나, 한국 「식품위생법」의 식품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상 각 식품유형에 따른 과자류, 두류, 다류,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될 수 있는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섭취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식품의 제조·유통을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식품위생법」임)에 따른 식품첨가물공전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또는 기능 면에서 한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에서는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화학적 합성품, 천연 첨가물 및 혼합 제제류로 구분되어 규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식품첨가물은 기능 면에 있어서는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된다.
감미제는 식품에 적당한 단맛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로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 이외에, 기능성과 영양성을 보충, 보강할 목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고 식품첨가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 생리활성 물질이나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생리활성 물질로서는 녹차 등에 포함된 카테킨류, 비타민 B1,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B12 등의 비타민류, 토코페롤, 디벤조일티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미네랄류로서는 구연산칼슘 등의 칼슘 제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 제제, 구연산철 등의 철 제제, 염화크롬, 요오드칼륨, 셀레늄, 게르마늄, 바나듐,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이 제품 유형에 따라 그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식품첨가물과 관련하여서는 각국 식품공전이나 식품첨가물 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투여 경로는 국소 경로, 경구 경로, 정맥 내 경로, 근육 내 경로, 및 점막 조직을 통한 직접 흡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일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경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두 가지 이상 경로의 조합의 예는 투여 경로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제형의 약물이 조합된 경우로서 예컨대 1차로 어느 한 약물은 정맥 내 경로로 투여하고 2차로 다른 약물은 국소 경로로 투여하는 경우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투여 경로나 제형에 따라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약전"을 포함한 각국의 약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에탄올, 그리세롤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적절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착색제, 희석제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적절한 결합제로서는 전분,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리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스,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글루코스, 옥수수 감미제, 소듐 알지네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윤활제로서는 올레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벤조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실리카, 탈쿰, 스테아르산, 그것의 마그네슘염과 칼슘염, 폴리데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붕해제로서는 전분, 메틸 셀룰로스, 아가(agar), 벤토나이트, 잔탄 검, 전분, 알긴산 또는 그것의 소듐 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희석제로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소비톨, 셀룰로스, 글라이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할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수성 등장 용액 또는 현탁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좌제로 제제화할 경우 그 담체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제화와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 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환자의 중증도, 투여 경로에 따라 1일 0.001mg/kg ~ 10g/kg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1mg/kg ~ 1g/kg 범위일 수 있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알러지, 천식 또는 COPD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특히 건강기능식품 또는 약품으로 제품화되어, 항알러지 효과, 천식 개선 효과 또는 COPD 개선 효과를 위하여, 나아가 호흡기 기능 강화 및 호흡기 질환 개선 효과를 위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침, 객담, 호흡 곤란, 기도 과민성, 기도 폐쇄, 점액 과분비 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기타 폐질환 예컨대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급성 폐손상 등의 개선 효과를 위하여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MH-S 세포에 대해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 시 MIP-2 억제 활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PPE/CSE로 유도된 호흡기 질환 마우스 모델에 대해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투여한 후 기관지폐포세척액(BALF)로부터 계수된 총 세포수 및 Diff-Quick 염색을 통한 BALF 내 면역세포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시료 준비
생열귀나무(추출 부위: 잎, 줄기)의 추출물을 제조하여 폐질환 개선 활성을 확인하였다. 추출물은 생열귀 나무 잎과 줄기의 건조 분말에 10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가하여 50℃에서 6시간씩 2회 반복 추출하여 여과한 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얻었다.
[실험예] 폐질환 개선 활성
실험예 1: 호중구 세포의 Netosis 억제 활성
호중구 세포외 트랩(Neutrophil extracellular traps; Netosis)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을 비롯한 만성 폐/호흡기 질환 환자의 발병 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LoS One. 2014 May 15; 9(5): e97784.; Respir Res. 2015 May 22;16:59.; J Immunol Res. 2017;2017:6710278; Respirology. 2016 Apr; 21(3):467-75.). 이에 따라 호중구 세포에 PMA(phorbol myristate acetate)를 처리한 모델에서 각 추출물들의 Netosis 활성을 확인하였다.
호중구의 Netosis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분양받은 HL-60(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s)세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HL-60 세포를 1% DMSO가 처리된 RPMI(10% FBS, 100 U/mL penicillin, 100 mg/mL streptomycin) 배지에 2×105 cell/mL로 처리하고 세포배양기(37℃, 5% CO2)에서 5일간 배양하여 성숙된 호중구 표현형(mature neutrophil phenotype)이 나타나도록 분화시켰다. 5일후 1,3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한 후, HBSS(with Mg+, Ca+, Hanks' balanced salt solution)를 10 mL 처리하고 1,3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2×106 cell/mL로 HBSS에 희석하여 50 μL씩 분주하고 각각의 농도로 준비된 상기 실시예의 시료를 50 μL씩 처리하였으며, 200 nM로 준비된 PMA(in HBSS)를 100 μL씩 각각의 well에 처리한 후 3시간 배양하였다(최종 PMA 농도 100nM). 3시간 후 사이톡스 그린(Cytox green)을 500 nM로 처리하고 형광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485/520 nm(excitation/emission maxima)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여기서, PMA는 일반적으로 호중구 세포의 Netosis 활성을 이끌어내는 데 이용된다.
무처리 대조군(음성대조군) 및 PMA 처리 대조군(실험대조군)에 대한 각 시료의 Netosis 억제 활성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로 계산한 결과,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50 ㎍/ml 농도에서 약 71.1%의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H292 세포를 이용한 염증성 사이토카인(IL-8) 억제활성 평가
24 well plate에 2×105 cells/mL 농도로 준비한 H292 세포를 500 μL/well로 계대하여 배양한 후 세포가 80% 이상 confluent 되었을 때, serum-free RPMI1640 배지로 교환하여 24시간 starvation 하였다. 그 후 Serum-free RPMI1640 배지를 이용하여 자극물질(CSE; 최종 2%)과 샘플(최종; 100 μg/mL)을 원하는 최종 농도를 반영하여 희석한 후, well당 500 uL씩 처리하였다. 하룻밤 배양 후 상징액을 회수하여 IL-8 측정에 사용하였다. Human IL-8는 ELISA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제조사(BD社)의 프로토콜에 따라 진행하였다. 이때, IL-8 측정용 상징액은 5배로 희석하여 분석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어떤 물질도 처리하지 않은 군을 사용하였으며, 실험 대조군으로는 CSE를 처리한 군(최종 농도 1%)을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측정된 IL-8의 생성 억제 결과를 실험 대조군 대비 평균 %로 계산한 결과, 생열귀나무 추출물은 100 ㎍/ml 농도에서 약 60.1 %의 IL-8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MH-S 세포를 이용한 MIP-2 억제활성 평가
MH-S cell line은 ATCC 사에서 구매하였으며, 배양에 사용한 배지 조성은 RMPI-1640 (WELGENE, cat. LM 011-01), 10% FBS (WELGENE, cat. S 001-07), 1% Penicillin-Streptomycin (WELGENE, cat. LS 202-02), 14.3 mM 2-Mercptoethanol (SIGMA)였다. MH-S 세포를 5x104/well 농도로 cell culture 96 well plate (SPL, cat. 30096)에 seeding 하여 24시간 배양 하였다. 그 후 MH-S 세포 배양 배지로 자극물질 (CSE; 최종 1% 및 LPS; 최종 10 ng/mL )과 샘플 (최종; 25, 50, 100 μg/mL)을 원하는 최종농도를 반영하여 희석하고 well당 250 uL씩 처리하였다. 24 시간 배양 후, 상징액을 회수하여 MIP-2 측정에 사용하였으며, MIP-2는 ELISA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제조사(R&D, DY452)의 프로토콜에 따라 진행하였다.
그 결과, MIP-2 농도는 처리된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농도(25 ㎍/ml, 50 ㎍/ml, 100 ㎍/ml)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실험예 4: 동물 모델에서 BALF 세포 수 측정
4-1: PPE+CSE-유도된 호흡기 질환 마우스 모델
오리엔트 바이오사에서 BALB/C 마우스(male, 5주령)를 구입하여 1주일간 순화하였으며, n=10로 group화 하였다. 샘플처리군은 COPD 유도 시작 일주일 전부터 해부전까지 24일간 200 mg/kg의 샘플을 경구투여하였으며, Naive와 COPD 군은 동량의 PBS를 투여하였다. 이 때 Positive control인 Roflumilast 군은 유도 시작 후 매일 10 mg/kg 농로 경구투여 하였다. COPD 유도에는 Porcine Pancreatic Elastase (PPE) 1.2 unit과 100% Cigarette Smoke Extraction (CSE)를 사용하였다. PPE 1.2 unit은 7일에 한번씩 intra nasal을 통해 총 3회 투입하였으며, CSE는 PPE 처리 다음날부터 3일간 intra nasal을 통해 20 ㎕ 처리하되, 마지막 PPE 처리 후에는 CSE를 처리하지 않고 다음 날 해부를 진행하였다. 해부는 흡입 마취기를 이용하여 isoflurane으로 마취시킨 후 진행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사료와 음용수는 자율급식 형태로 제공하였으며, 24 ℃, 습도 60% 환경에서 사육하였다.
4-2: BALF 내 침투된 총 세포수
마우스의 기도를 통해 PBS 1 mL을 주입한 후 가볍게 마사지하여 700 μL의 기관지폐포세척액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BALF액 10 uL를 Accustain T solution과 동량 혼합하여 Accuchip channel에 12 uL 주입 한 후 cell counter (ADAM-MC, NANOENTEK. INC, Korea)로 total cell을 자동 계수하였다(도 2).
4-3: Diff-Quick 염색을 통한 BALF 내 면역세포 분석
회수한 BALF는 300×g, 5분 조건에서 원심분리를 통해 상층액과 세포 pellet으로 분리하였다. cell pellet은 PBS 700 μL를 첨가하여 재현탁하였으며, 이 BALF 현탁액 150 μL를 Cytospin device(Centrifuge 5403, Eppendorf, Hamburg, Germany)로 1000 rpm, 10 min, 4℃ 조건에서 원심분리하여 slide에 BALF 세포를 부착시켰다. 이 후 Diff-Quick staining reagent를 사용하여 제조사 (1-5-1 Wakinohamakaigandori, chuo-ku, Kobe, Japan)의 프로토콜에 준하여 세포를 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도 3).
그 결과, 생열귀나무 추출물이 처리된 마우스 그룹은 양성 대조군인 Roflumilast(ROF)을 투여한 그룹과 비교하여서도 BALF 총 세포수가 보다 더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기능 강화 및 호흡기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기침, 객담, 호흡 곤란, 기도 과민성, 기도 폐쇄, 점액 과분비, 호기 유속의 감소 및/또는 가스 교환의 장애 증상을 수반하는 폐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COPD,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또는 급성 폐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또는 COP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7.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COPD,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또는 급성 폐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또는 COP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식품 조성물.
  12. 제11항의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90109797A 2018-09-04 2019-09-04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302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188 2018-09-04
KR20180105188 2018-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449A true KR20200027449A (ko) 2020-03-12
KR102302910B1 KR102302910B1 (ko) 2021-09-17

Family

ID=69803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797A KR102302910B1 (ko) 2018-09-04 2019-09-04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9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204A1 (ko) * 2021-07-21 2023-01-26 스노우화이트팩토리(주)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WO2023048504A1 (ko) * 2021-09-23 2023-03-30 (주)휴온스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 또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생약학회지 제 31권 3호(264-267페이지). 2000년 9월 30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제 36권 2호(311-316페이지). 2004년 4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제 23권 1호(20-26페이지). 2015년 2월 28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제 13권 2호(140-146페이지). 2000년 8월 25일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204A1 (ko) * 2021-07-21 2023-01-26 스노우화이트팩토리(주)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WO2023048504A1 (ko) * 2021-09-23 2023-03-30 (주)휴온스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 또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910B1 (ko)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3133A (ko)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132799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istacia weinmannifolia extract, fraction of same or compound separated from same for preventing or treati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KR102646341B1 (ko) 사철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247367B1 (ko) 모과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90133637A (ko) 복령피 추출물을 이용한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302910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252124B1 (ko) 소태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254572B1 (ko) 향유 추출물을 이용한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467856B1 (ko) 분홍바늘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273066B1 (ko) 나한송 추출물을 이용한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00027453A (ko) 호장근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346724B1 (ko) 바늘꽃 추출물을 이용한 천식 또는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434641B1 (ko)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를 이용한 호흡기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404641B1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838282A1 (en) Composition for alleviating asthma 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by using epilobium pyrricholophum extract and like
EP4042880A2 (en) Composition,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or like, for alleviation of respiratory diseases
KR102256880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00135640A (ko) 강황 추출물, 황금 추출물 등을 이용한 천식 또는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10042032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273075B1 (ko) 괭이눈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EP3848043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respiratory disease including extract of paliurus ramosissimus (lour.) poir
KR20200134819A (ko) 보리수 추출물 등을 이용한 천식 또는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20047193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조성물
KR20210047813A (ko) 물레나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715154B1 (ko) 회양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