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173A -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173A
KR20200027173A KR1020180105146A KR20180105146A KR20200027173A KR 20200027173 A KR20200027173 A KR 20200027173A KR 1020180105146 A KR1020180105146 A KR 1020180105146A KR 20180105146 A KR20180105146 A KR 20180105146A KR 20200027173 A KR20200027173 A KR 20200027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atus information
state
comput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082B1 (ko
Inventor
채기병
김동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to KR102018010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0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전원 관련 정보를 취합하고 분석하여 이상 유무를 판별하고, 과도한 전원 사용일 경우 이를 표시장치를 통해 표출하여 사용자가 전원 사용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지하도록 한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실시간 파워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정보 획득부, 전력 측정부와 상태정보 획득부를 통해 각각 획득한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고, 획득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태 시 알람 발생을 제어하는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 및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파워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of computer}
본 발명은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관련 정보를 취합하고 분석하여 이상 유무를 판별하고, 과도한 전원 사용일 경우 이를 표시장치를 통해 표출하여 사용자가 전원 사용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지하도록 한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데스크톱 컴퓨터와 휴대용 컴퓨터와 같은 컴퓨터, 모니터, 텔레비전 등과 같은 대부분의 전기 제품에는 전원공급장치(power)가 필수적으로 구비되며, 이러한 전원공급장치로는 SMPS를 주로 이용한다.
SMPS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AC) 전기를 컴퓨터, 통신 기기, 가전 기기 등 각종 기기에 맞도록 변환시켜 주는 모듈형의 전원 공급 장치이다. 고속 전력 반도체를 이용해 높은 주파수로 단속 제어를 하고 정류와 평활 회로를 거쳐 안정된 각종 직류 전압을 얻는다. 직류 전원 장치는 크게 리니어 형과 스위치 모드형으로 구분되는데, 근래에는 경량이면서 소형화에 적합한 스위치 모드형의 개인용 컴퓨터(PC)와 가전 기기 전자 제품의 주력 전원 공급 장치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장치는 서지 전압이나 과전압/과전류에 대해 대응은 가능하나, 자체적으로 전력 출력 상황을 분석하거나 파워 내부 상태를 감시하거나 메인 보드와 연동하여 컴퓨터 운영에 관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전원공급장치가 단순히 전원만 제공해주는 단순함을 극복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여 적용 시스템(예를 들어, 컴퓨터, 텔레비전, 기타)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연구의 일환으로 제안된 것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이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내부 상태를 감지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펄스 폭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PWM 컨트롤러, PWM 컨트롤러에서 발생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칭부, 전원 공급 장치 내부상태를 감지한 감지 결과에 따라 전원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펄스 폭 변조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디지털 데이터를 기초로 전력량을 계산하고, 계산한 전력량과 내부상태를 감지한 감지 결과 및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이벤트 설정 값에 따라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파워 관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컴퓨터의 전원공급장치에서 전력 출력 상황을 분석하고, 파워 내부 상태를 감지하며 설정된 정보에 따라 파워 내부를 제어하는 매니지먼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43316(2014.09.29. 공고)(매니지먼트 기능이 내장된 전원공급장치)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전원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주거나 위험 상태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이벤트를 발생하여 사용자가 위험 요소를 제거하도록 알람을 발생하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전원 관련 정보를 취합하고 분석하여 이상 유무를 판별하고, 과도한 전원 사용일 경우 이를 표시장치를 통해 표출하여 사용자가 전원 사용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지하도록 한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은, 실시간 파워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정보 획득부; 상기 전력 측정부와 상태정보 획득부를 통해 각각 획득한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획득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태 시 알람 발생을 제어하는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 상기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파워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력 측정부는 주전원 소비전력과 대기전원 소비전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태정보 획득부는 실시간 파워 내부 온도, 냉각팬 회전수(RPM)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태정보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은, 실시간 파워 사용량과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며, 상기 획득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태 시 알람 발생을 제어하는 컴퓨터 본체; 상기 컴퓨터 본체와 연동하며 상기 컴퓨터 본체에서 출력되는 상태 정보에 따라 전원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알람 발생 제어에 따라 알람을 발생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컴퓨터 본체는 실시간 파워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정보 획득부; 상기 전력 측정부와 상태정보 획득부를 통해 각각 획득한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획득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태 시 알람 발생을 제어하는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 상기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으로부터 발생한 각각의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외부장치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표시장치는 컴퓨터 본체와 연동하는 모니터 또는 별도의 외부 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에서 전원 관련 정보를 취합하고 분석하여 이상 유무를 판별하고, 과도한 전원 사용일 경우 이를 표시장치를 통해 표출하여 사용자가 전원 사용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지하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원 사용 상태를 직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므로, 과도한 전원 사용일 경우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전원을 제어하여 과도한 전원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컴퓨터 부품의 손상 등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의 제1 실시 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의 제2 실시 예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100)은 실시간 파워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101),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정보 획득부(102), 상기 전력 측정부(101)와 상태정보 획득부(102)를 통해 각각 획득한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획득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태 시 알람 발생을 제어하는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 상기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파워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표시부(107)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 측정부(101)는 주전원 소비전력과 대기전원 소비전력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전력 측정부(101)는 주전원 소비전력을 측정하는 주전원 소비전력 측정부와 대기전원 소비전력을 측정하는 대기전원 소비전력 측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 획득부(102)는 실시간 파워 내부 온도, 냉각팬 회전수(RPM)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태정보로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태정보 획득부(102)는 파워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와 냉각팬의 회전수(RPM)를 측정하는 RPM 측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100)은 상기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과 연동하여 파워에 위험 요소가 발생하면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 발생부(108), 상기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에서 발생한 각각의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06),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부(105), 파워 스위치부(109), 입출력부(11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은 파워 스위치부(109)의 파워 스위치가 온 상태로 동작하면, 전원 공급부(105)를 구동 상태로 동작시킨다. 전원 공급부(105)는 입력되는 상용 전원을 소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내부의 시스템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고, 아울러 연결된 장치에 구동 전원을 공급해준다.
전원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전력 측정부(101) 및 상태정보 획득부(102)에서 파워(예를 들어, SMPS) 내부의 각각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입출력부(110)를 통해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에 전달한다.
예컨대, 전력 측정부(101)는 주전원 소비전력 측정부를 통해 현재 주전원 사용량을 측정하고, 대기전원 소비전력 측정부를 통해 현재 대기전원 소비전력을 측정한다. 아울러 상태정보 획득부(102)는 온도 센서를 통해 파워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게 되고, 홀 센서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냉각팬의 회전수를 측정한다. 이렇게 각각의 측정 수단을 통해 측정된 파워 내부의 측정 정보는 파워 상태정보로 입출력부(110)를 통해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에 전달된다.
상기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은 각각의 측정 수단을 통해 획득한 상태정보를 정보 저장부(106)에 저장하고, 아울러 표시부(107)를 통해 획득한 파워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준다. 여기서 표시부(107)는 컴퓨터 본체에 별도로 마련된 표시장치로서, 디지털 표시기, 레벨 미터 등을 이용하여, 소비전력 상태, 온도, RPM, 상태 위험 등을 글자, 숫자, 도형 등의 형태로 표시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컴퓨터 본체의 표시부(107)를 통해 파워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파워 상태 정보를 파워 운영 정보로 활용하면 파워 수명 연장이나 활용성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은 상기 획득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전원 상태를 분석한다. 여기서 분석되는 전원 상태는 스탠바이 상태, Run 상태, 절전 상태, 최대 절전 상태, 과부하 상태, 과열 상태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대기 전원이나 주 전원 사용이 기준으로 설정된 일반적인 사용량을 초과하면, 이벤트를 발생하여 위험 레벨을 관리하고 사용자가 파워 상태를 인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과부하 상태는 주전원 소비전력, 대기전원 소비 전력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을 비교하여 대소 유무로 판단할 수 있으며, 과열 상태는 측정한 온도 정보와 기준 온도 정보를 비교하여 과열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측정한 팬 RPM 회전수와 미리 정해진 기준 RPM 회전수(또는 최대 RPM 회전수)를 비교하여, 그 대소 유무로 RPM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레벨의 관리를 위한 각각의 기준 정보들은 정보 저장부(106)에 미리 등록된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위험 레벨은 파워 내부의 직접적인 안전과 연관되는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이다.
상기 각각의 상태를 판단한 결과 어느 하나라도 위험 요소가 발견되면, 알람 발생부(108)를 제어하여 이벤트 알람을 발생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은 각각의 위험 관리 레벨 정보를 기초로 위험 레벨이 있을 경우, 내부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알람 발생부(108)를 통해 위험 레벨에 대해 알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위험 상황을 인지하도록 한다. 알람 정보는 파워 위험 경고, 온도 위험 경고, 파워 컨트롤 경고, RPM 경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인 파워는 냉각팬 RPM이나 내부 온도 정보에 의해, 파워 내부로 유입된 먼지로 인한 냉각 효율 저하나 냉각 팬의 노후화로 인한 냉각 효율의 저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파워 상태 표시 제어수단(104)은 연결된 표시부(107)를 통해 이러한 냉각팬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어, 사용자가 냉각 팬의 상태를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파워 사용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로서, 실시간 파워 사용량과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며, 상기 획득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태 시 알람 발생을 제어하는 컴퓨터 본체(300), 상기 컴퓨터 본체(300)와 연동하며 상기 컴퓨터 본체(300)에서 출력되는 상태 정보에 따라 전원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알람 발생 제어에 따라 알람을 발생하는 표시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컴퓨터 본체(300)는 실제 컴퓨터 본체에 내장되어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장치인 파워 서플라이(SMPS)를 의미하며, 도 1의 컴퓨터의 파워 관리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본체(300)는 실시간 파워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101),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정보 획득부(102), 상기 전력 측정부(101)와 상태정보 획득부(102)를 통해 각각 획득한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획득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태 시 알람 발생을 제어하는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 상기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으로부터 발생한 각각의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외부장치 연동부(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장치(200)는 컴퓨터 본체(300)와 연동하는 모니터 또는 별도의 외부 표시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의 제2 실시 예는 도 1과 같은 제1 실시 예서, 외부장치 연동부(103)를 추가하고, 표시부(107)를 삭제하고, 대신 모니터나 외부의 별도 표시장치를 표시장치(200)로 활용한 예시이다.
먼저, 컴퓨터 본체(300)의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은 파워 스위치부(109)의 파워 스위치가 온 상태로 동작하면, 전원 공급부(105)를 구동 상태로 동작시킨다. 전원 공급부(105)는 입력되는 상용 전원을 소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내부의 시스템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고, 아울러 연결된 장치에 구동 전원을 공급해준다.
전원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전력 측정부(101) 및 상태정보 획득부(102)에서 파워(예를 들어, SMPS) 내부의 각각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입출력부(110)를 통해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에 전달한다.
예컨대, 전력 측정부(101)는 주전원 소비전력 측정부를 통해 현재 주전원 사용량을 측정하고, 대기전원 소비전력 측정부를 통해 현재 대기전원 소비전력을 측정한다. 아울러 상태정보 획득부(102)는 온도 센서를 통해 파워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게 되고, 홀 센서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냉각팬의 회전수를 측정한다. 이렇게 각각의 측정 수단을 통해 측정된 파워 내부의 측정 정보는 파워 상태정보로 입출력부(110)를 통해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에 전달된다.
상기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은 각각의 측정 수단을 통해 획득한 상태정보를 정보 저장부(106)에 저장하고, 아울러 외부장치 연동부(103)를 통해 획득한 파워 상태 정보를 표시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모니터 또는 별도의 표시장치로 구현된 표시장치(200)는 수신한 파워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준다.
여기서 표시장치(200)는 디지털 표시기, 레벨 미터 등을 이용하여, 소비전력 상태, 온도, RPM, 상태 위험 등을 글자, 숫자, 도형 등의 형태로 표시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표시장치(200)를 통해 파워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파워 상태 정보를 파워 운영 정보로 활용하면 파워 수명 연장이나 활용성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컴퓨터 본체(300) 내의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은 상기 획득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전원 상태를 분석한다. 여기서 분석되는 전원 상태는 스탠바이 상태, Run 상태, 절전 상태, 최대 절전 상태, 과부하 상태, 과열 상태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대기 전원이나 주 전원 사용이 기준으로 설정된 일반적인 사용량을 초과하면, 이벤트를 발생하여 위험 레벨을 관리하고 사용자가 파워 상태를 인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과부하 상태는 주전원 소비전력, 대기전원 소비 전력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을 비교하여 대소 유무로 판단할 수 있으며, 과열 상태는 측정한 온도 정보와 기준 온도 정보를 비교하여 과열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측정한 팬 RPM 회전수와 미리 정해진 기준 RPM 회전수(또는 최대 RPM 회전수)를 비교하여, 그 대소 유무로 RPM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레벨의 관리를 위한 각각의 기준 정보들은 정보 저장부(106)에 미리 등록된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위험 레벨은 파워 내부의 직접적인 안전과 연관되는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이다.
상기 각각의 상태를 판단한 결과 어느 하나라도 위험 요소가 발견되면, 알람 발생부(108)를 제어하여 이벤트 알람을 발생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104)은 각각의 위험 관리 레벨 정보를 기초로 위험 레벨이 있을 경우, 내부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알람 발생부(108)를 통해 위험 레벨에 대해 알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위험 상황을 인지하도록 한다. 알람 정보는 파워 위험 경고, 온도 위험 경고, 파워 컨트롤 경고, RPM 경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인 파워는 냉각팬 RPM이나 내부 온도 정보에 의해, 파워 내부로 유입된 먼지로 인한 냉각 효율 저하나 냉각 팬의 노후화로 인한 냉각 효율의 저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파워 상태 표시 제어수단(104)은 외부장치 연동부(103)를 통해 연결된 표시장치(200)를 통해 이러한 냉각팬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어, 사용자가 냉각 팬의 상태를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파워 사용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파워 내부의 문제들(예를 들어, 부품의 수명, 내부의 먼지, 기타)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파워를 유지 보수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신속하게 후속 조치를 취하여 파워의 수명 연장을 도모해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
101: 전력 측정부
102: 상태정보 획득부
103: 외부장치 연동부
104: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
105: 전원 공급부
106: 정보 저장부
107: 표시부
108: 알람 발생부
109: 파워 스위치부
110: 입출력부
200: 표시장치
300: 컴퓨터 본체

Claims (6)

  1. 전원공급장치(파워)를 이용하여 컴퓨터의 파워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실시간 파워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정보 획득부;
    상기 전력 측정부와 상태정보 획득부를 통해 각각 획득한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획득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태 시 알람 발생을 제어하는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 및
    상기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파워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전력 측정부는 주전원 소비전력과 대기전원 소비전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
  3. 청구항 1에서, 상기 상태정보 획득부는 실시간 파워 내부 온도, 냉각팬 회전수(RPM)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태정보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
  4. 전원공급장치(파워)를 이용하여 컴퓨터의 파워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실시간 파워 사용량과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며, 상기 획득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태 시 알람 발생을 제어하는 컴퓨터 본체; 및
    상기 컴퓨터 본체와 연동하며 상기 컴퓨터 본체에서 출력되는 상태 정보에 따라 전원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알람 발생 제어에 따라 알람을 발생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
  5. 청구항 4에서, 상기 컴퓨터 본체는 실시간 파워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정보 획득부; 상기 전력 측정부와 상태정보 획득부를 통해 각각 획득한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획득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태 시 알람 발생을 제어하는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 상기 파워상태 표시 제어수단으로부터 발생한 각각의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외부장치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
  6. 청구항 4에서, 상기 표시장치는 컴퓨터 본체와 연동하는 모니터 또는 별도의 외부 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
KR1020180105146A 2018-09-04 2018-09-04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 KR102142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146A KR102142082B1 (ko) 2018-09-04 2018-09-04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146A KR102142082B1 (ko) 2018-09-04 2018-09-04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173A true KR20200027173A (ko) 2020-03-12
KR102142082B1 KR102142082B1 (ko) 2020-08-06

Family

ID=69803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146A KR102142082B1 (ko) 2018-09-04 2018-09-04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0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9765A (ja) * 2005-04-29 2006-11-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消費電力監視が搭載されているインタフェースモジュール
KR20140063963A (ko) * 2012-11-19 2014-05-28 프롬투정보통신(주) 정보 통신 기기용 에너지 실시간 측정 장치
KR101443316B1 (ko) 2014-02-28 2014-09-29 방창용 매니지먼트 기능이 내장된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9765A (ja) * 2005-04-29 2006-11-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消費電力監視が搭載されているインタフェースモジュール
KR20140063963A (ko) * 2012-11-19 2014-05-28 프롬투정보통신(주) 정보 통신 기기용 에너지 실시간 측정 장치
KR101443316B1 (ko) 2014-02-28 2014-09-29 방창용 매니지먼트 기능이 내장된 전원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082B1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316B1 (ko) 매니지먼트 기능이 내장된 전원공급장치
JP6286936B2 (ja) 電源回路装置、電流計測装置、電力監視システム、並びに電源回路装置の保護方法
KR100830351B1 (ko) 아이지비티 유피에스 시스템
US20080112100A1 (en) Digital electric leakage detecting and monitoring device
JP5430105B2 (ja) 電源供給システム
KR101689993B1 (ko) 릴레이 오작동 검출 장치
CN101617282A (zh) 供电控制设备
US11042202B2 (en) Server rack with dynamic power management by using baseboard management controllers
EP31283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power usage information
US20120101750A1 (en) Device for measuring power supply efficiency and method for using same
CN101420114A (zh) 多功能三相电源保护器
KR102142082B1 (ko) 컴퓨터의 파워 관리시스템
KR102037252B1 (ko) 매니지먼트 파워시스템
US20150316595A1 (en) Led meter board for a transfer switch
CN110928392A (zh) 供电控制装置和电子设备
CN211349294U (zh) 供电控制装置和电子设备
KR102082309B1 (ko) 컴퓨터의 매니지먼트 파워시스템
JP4137772B2 (ja) 分岐装置および整流装置
US20110068774A1 (en) Kilowatt-hour meter with remote environment detect and control
US20170192064A1 (en) Power supply with message display
CN213957464U (zh) 一种防零线干扰电能表
KR100755451B1 (ko) 전력량 측정 및 표시 기능을 갖는 콘센트
CN220017505U (zh) 便携式取暖装置的驱动电路
CN217087505U (zh) 切换模块和电子设备
KR20160068444A (ko) 의료기 제어용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