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999A - 게임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제어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게임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제어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999A
KR20200025999A KR1020190016151A KR20190016151A KR20200025999A KR 20200025999 A KR20200025999 A KR 20200025999A KR 1020190016151 A KR1020190016151 A KR 1020190016151A KR 20190016151 A KR20190016151 A KR 20190016151A KR 20200025999 A KR20200025999 A KR 20200025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game service
control command
user terminal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태
이경만
Original Assignee
넷마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넷마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넷마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6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5999A/ko
Publication of KR20200025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이 개시된다.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게임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게임 서비스에 대한 제1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제어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A GAME SERVICE CONTROLLED BASED ON AN APPLICATION OTHER THAN A GAME APPLICATION}
본 명세서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게임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게임 서비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게임 캐릭터를 제어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게임 서비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게임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므로, 구동을 위해 요구되는 자원이 크므로, 다른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황에서는 게임 플레이에 장애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네는 게임 서비스 제공이 어려울 수 있다.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스를 제어하고, 제어 결과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게임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구동을 위해 요구되는 자원이 적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버전에 대한 업데이트가 진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더라도,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게임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채널을 제공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결과 데이터를 상기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어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고 있는 않은 상황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지 않은 상황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의 버전이 현재 버전보다 이전 버전인 상황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게임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연산을 직접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수행된 연산 결과를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게임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상기 컨텐츠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업데이트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의 버전과 무관하게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게임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은 게임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상기 게임 서비스의 제어 수단을 제공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구동을 위해 요구되는 자원이 적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은 게임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상기 게임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연산을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연산을 직접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된 연산 결과를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구동을 위해 요구되는 자원이 적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 서비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 서비스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수행된 컨텐츠에 대한 연산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입력(110)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입력(110)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131)의 게임 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게임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123) 이외에 추가적으로 게임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121)을 통해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는 게임 캐릭터(131)의 게임 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채팅 메시지를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외에도 사용자가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123)은 게임 서비스 화면(130)에 대응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고, 게임 서비스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일반적인 게임 서비스의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121)은 화면(130)과 같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없이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121)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보다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다 적은 자원(예를 들어 적은 메모리 또는 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제2 어플리케이션(121)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어플리케이션(1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어플리케이션 보다 적은 자원으로 구동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화면(1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131)가 길드원 캐릭터들(132, 133, 134)에 계획을 공지하는 동작 제어를 위해, 사용자 단말(120)은 제2 어플리케이션(121)을 통해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입력(110)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110)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게임 서비스 ID를 통해 제2 어플리케이션(121)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은 추가적인 채널(예를 들어, SNS 계정을 통한 로그인, 메신저 ID를 통한 로그인 등)을 통해 제2 어플리케이션(121)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게임 서비스 제공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210)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230, 232, 233, 234)와 인터넷 등의 통신망(220)을 통하여 연결된 구성일 수 있다.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210)는 웹서버(Web Server)라고도 불리며,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230, 232, 233, 234)에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AI 스피커(235)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입력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I 스피커(235)는 제2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AI 스피커(235)는 유저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유저의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제어 명령을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30, 232, 233, 234)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PC, 태블릿, 노트북 등 오늘날 일반 사용자들에게 널리 보급된 다양한 전자기기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통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30, 232, 233, 234)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client program)이 설치되고, 상기 프로그램에 통하여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210)에 접속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게임 서비스에 대응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게임 서비스에 대응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없이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210)는 사용자 단말(230, 232, 233, 234)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에서 진행되는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 명령은 게임 서비스에 대응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구동을 위해 요구되는 자원이 클 수 있다. 또한, 게임 서비스의 현재 버전에 대한 업데이트가 진행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업데이트가 진행 중인 경우, 업데이트가 완료되기 전까지 사용자는 게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230, 232, 233, 234)은 제1 어플리케이션보다 적은 자원으로 구동될 수 있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 서비스 상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210)는 게임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보다 적은 자원으로 게임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 서비스가 제어되기 때문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버전이 현재 버전이 아니거나, 현재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업데이트가 진행 중이거나, 제1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230, 232, 233, 234)에 설치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게임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던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텍스트 입력,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게임 서비스 제어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34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320), 게임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30) 및 게임 서비스에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사용자 단말(340)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게임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고, 수행된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가 특정 몬스터를 공격하는 프로세스, 특정 위치로 이동하는 프로세스, 채팅 메시지를 전달하는 프로세스 등 게임 서비스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모든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은 게임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일반적인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서비스에 대해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제2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제1 어플리케이션보다 구동을 위해 요구되는 자원이 적은 어플리케이션일 있다. 예를 들어, 제2 어플리케이션은 채팅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게임 서비스에 제공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보다 적은 메모리(또는 전력)에 기초하여 구동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340)는 기존 방식에 비해 보다 적은 자원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340)에서 실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게임 캐릭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서비스 진행 상황을 제공하는 화면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게임의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없지만, 제어 결과에 대한 알람을 통해 사용자는 제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만 제2 어플리케이션의 구현에 따라 화면 일부에 제어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영역이 정의되는 경우, 실시간 제어 상황을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34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40)은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할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340)에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게임 계정에 대응되는 게임 캐릭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사용자 단말(340)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버전에 대한 업데이트가 진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은 모든 게임 관련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필요 없이, 제어 명령 생성과 관련된 데이터의 갱신을 통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1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업데이트 과정에서 보다 적은 메모리 및 시간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310)은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업데이트를 진행하지 않더라도 제2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사용자 단말(340)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업데이트가 현재 진행중인 상황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40)은 제1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 서비스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310)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업데이트가 진행중이더라도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에서 백그라운드로 실행된 상황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로 실행된다는 것의 의미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으나,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인 화면으로 실행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서브 화면(또는 시스템 단)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컨텐츠라는 용어는 게임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는 게임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가 경험치 획득을 위해 사냥을 수행하도록 하는 서비스,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공격을 수행하도록 하는 서비스 등 게임 서비스에서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고, 시뮬레이션이란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컨텐츠 진행에 다른 연산은 사용자 단말(340)에 설치된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통신부(320)를 통해 수행된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데이터 갱신을 통해 컨텐츠의 진행 결과를 게임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 서비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프로세서(410), 생성된 제어 명령을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440)에 전송하는 통신부(420) 및 생성된 제어 명령 및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제2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메모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게임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추가적으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400)은 스마트 워치, AI 스피커와 연동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스마트 워치, AI 스피커를 통해 획득한 오디오 입력을 STT(speech To Text)모델에 기초하여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에서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프로세스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 워치를 통해 “제1 던전으로 이동해”라는 오디오 명령을 입력하면, 프로세서(410)은 스마트 워치를 통해 획득한 오디오 입력을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를 제1 던전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추가적인 채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어플리케이션은 연동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한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게임 서비스와 연동될 수 있고, 연동된 각각의 게임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400)은 통신부(420)를 통해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결과 데이터를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44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제어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 결과는 푸시 메시지 형태로 제2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될 수 있으나, 제공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알림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결과는 “요청한 메시지를 전송하였습니다.”, “요청한 시뮬레이션 수행이 완료되었습니다.”와 같은 텍스트 형태의 메시지 형태일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되지 않은 상황에서 프로세서(41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 서비스의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1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400)에서 실행되지 않거나,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더라도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10)는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의 버전이 게임 서비스의 현재 버전에 대응되지 않거나, 현재 업데이트를 진행중인 경우에도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적은 자원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의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상황에 따라 게임 플레이를 진행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사용자 단말(41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프로세서(410)를 통해 게임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연산을 직접 수행하고, 통신부(420)를 통해 수행된 연산 결과를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44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게임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컨텐츠에 대한 연산을 직접 수행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을 위한 연산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산을 수행할 컨텐츠를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연산을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라는 용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게임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지칭할 수 있다.
컨텐츠 진행에 대한 연산은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440) 또는 사용자 단말(4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440)에서 컨텐츠에 대한 연산이 수행되는 경우(예를 들어, MMO 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440)는 사용자 단말(400)에서 생성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함으로써 컨텐츠 수행 결과를 게임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다.
컨텐츠에 대한 연산이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다수의 유저가 게임 서비스에 함께 참여하지 않는 게임 서비스일 수 있음(1:1 대전 게임 등))에는, 사용자 단말(400)은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연산을 직접 수행하고, 연산 수행 결과를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440)에 제공할 수 있다.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440)는 연산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함으로써 컨텐츠 수행 결과를 게임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이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는 경우, 컨텐츠 진행 과정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양한 연산(GUI 관련)을 수행해야 하므로, 자원(예를 들어 전력, 메모리)이 크게 요구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이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는 경우, GUI 관련 연산은 진행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적은 자원을 통해 연산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사용자 단말(400)에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상황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업데이트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10)는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의 버전에 대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은 게임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일반적인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1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구동을 위한 자원이 적게 요구될 수 있고, 인증 절차를 통해 게임 서비스와 연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에서 진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610)에서 사용자 단말은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1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구동을 위한 자원이 적게 요구될 수 있다. 이외에 제2 어플리케이션은 앞서 설명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 업데이트 여부와 무관하게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650)에서 사용자 단말은 생성된 제어 명령을 게임 서비스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 결과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710)에서 사용자 단말은 게임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고, 컨텐츠에 대한 연산을 직접 수행하는 일반적인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된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연산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1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구동을 위해 요구되는 자원이 적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한 연산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의 버전과 무관하게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730)에서 사용자 단말은 수행된 연산 결과를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게임 서비스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단계(810)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을 게임 서비스에 대응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단계(830)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텍스트 또는 오디오 형태의 사용자 입력의 의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850)에서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870)에서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데이터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게임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단계(880)에서 제어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고, 단계(890)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어 결과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수행된 컨텐츠에 대한 연산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910)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1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된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920)에서 사용자 단말은 연산 수행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930)에서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한 연산 수행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반영할 수 있고, 단계(940)를 통해 반영된 결과에 기초하여 게임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950)에서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어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고, 단계(960)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어 결과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

  1.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게임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게임 서비스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스를 제어하고, 제어 결과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게임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190016151A 2019-02-12 2019-02-12 게임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제어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20200025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151A KR20200025999A (ko) 2019-02-12 2019-02-12 게임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제어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151A KR20200025999A (ko) 2019-02-12 2019-02-12 게임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제어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521A Division KR101950001B1 (ko) 2018-08-31 2018-08-31 게임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제어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999A true KR20200025999A (ko) 2020-03-10

Family

ID=69800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151A KR20200025999A (ko) 2019-02-12 2019-02-12 게임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제어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59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610A (ko) * 2021-01-04 2022-07-12 주식회사 카카오게임즈 대화형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610A (ko) * 2021-01-04 2022-07-12 주식회사 카카오게임즈 대화형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953B1 (ko) 게임을 이주시키는 기법
US10155164B2 (en) Immersive audio communication
US11120113B2 (en) Audio-based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US20170366479A1 (en) Communication System
US85624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speech recognition program profiles for an application
PH12019000098A1 (en) Virtual services rapid deployment tool
CN114157701A (zh) 一种任务测试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US10717002B2 (en) Game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game device
WO20220313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to improve gameplay
KR101950001B1 (ko) 게임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제어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20200025999A (ko) 게임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제어에 기초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US1024914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online game
US20220370906A1 (en) Computer system, game system, and replacement play execution control method
US8998719B1 (en) Network-enabled game controller
CN117861194A (zh) 基于云游戏的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介质
CN113577759A (zh) 一种游戏数据的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675188A (zh) 一种获取反馈信息的方法及装置
KR101629375B1 (ko) 로그아웃 스케쥴 처리방법 및 시스템
US20240123347A1 (en) Game interactiv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08574622A (zh) 一种基于xmpp的即时消息处理方法及装置
KR101968745B1 (ko)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서버
KR20140129431A (ko) 게임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서버 및 기록매체
KR20120081360A (ko) 랜덤 코드를 이용한 게임 클라이언트 인증 방법
KR20170135435A (ko) 서비스 대기시간 보상 방법 및 장치
CN114582339A (zh) 语音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