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571A - A drone for detecting the density of the fine dust - Google Patents

A drone for detecting the density of the fine du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571A
KR20200025571A KR1020180103149A KR20180103149A KR20200025571A KR 20200025571 A KR20200025571 A KR 20200025571A KR 1020180103149 A KR1020180103149 A KR 1020180103149A KR 20180103149 A KR20180103149 A KR 20180103149A KR 20200025571 A KR20200025571 A KR 20200025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concentration
landing
gas
land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1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승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기술
Priority to KR1020180103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5571A/en
Publication of KR20200025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5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for detecting fine dust, which can detect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real time while freely flying the sky without interference from flight propulsion. To this end, the drone for detecting fine dus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uselage flying in the sky of a detection area; a propulsion device which generates flight propulsion at a location radially extended from the fuselage towards a side; a landing pipe which is horizontally installed at a downwardly extended location of the fuselage, and comes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when the fuselage is landed;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which is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of one side of the landing pipe, and suctions the surrounding air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a VOC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which is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landing pipe, and suctions the surrounding air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Description

미세먼지 탐지 드론{A DRONE FOR DETECTING THE DENSITY OF THE FINE DUST}Fine dust detection drone {A DRONE FOR DETECTING THE DENSITY OF THE FINE DUST}

본 발명은 미세먼지 탐지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유롭게 상공을 비행하면서 비행 추력에 의한 방해 없이 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미세먼지 탐지 드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detection dr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ne dust detection drone capable of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real time without interference by flight thrust while flying freely.

최근 국내는 물론 이웃 나라인 중국의 급격한 산업화에 따라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가 큰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즉, 1년 중 상당 기간이 미세먼지 농도가 위험 수준 이상을 유지할 정도로 우리나라의 대기 중 미세먼지 고농도 문제는 심각하다. Recently, with the rapid industrialization of China as well as the neighboring country,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ir has become a big social issue. In other words, the problem of high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ir in Korea is serious enough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dust remains at a dangerous level for more than a year.

그러나 현재는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 및 그 이동 경로 등에 대한 명확한 규명이 없어서 이를 줄일 수 있는 대책 마련이 늦어지고 있다.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 및 그 이동 경로에 대한 명확한 규명을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쳐서 다양한 위치에 대한 미세먼지의 농도를 탐지하고 감시할 필요성이 있다. However, at present, there is no clear identification of the cause of the fine dust and its movement path, so it is delayed to prepare a countermeasure for reducing the dust. It is necessary to detect and monitor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t various locations over a long time in order to clarify the cause of the fine dust and its migration path.

그런데 종래에는 지표면 근처 또는 건물 옥상 등 에서만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었으므로 그 실효성에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could be measured only near the ground surface or on the roof of a building, there is a significant problem in its effectivenes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 that can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while moving freely to various locations is urgently requi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유롭게 상공을 비행하면서 비행 추력에 의한 방해 없이 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미세먼지 탐지 드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detection drone that can detect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real time without interference by flight thrust while flying freely.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탐지 드론은, 탐지 지역의 상공을 비행하는 기체; 상기 기체로부터 측방으로 방사 형상으로 뻗어나간 위치에서 비행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력장치; 상기 기체의 하방으로 뻗어나간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기체의 착륙시 지면과 접촉하는 착지관; 상기 착지관의 일측 말단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 상기 착지관의 타측 말단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VOC 농도 측정부;를 포함한다. The fine dust detection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gas flying over the detection area; A thrust device for generating flight propulsion at a position extended radially laterally from the gas; A landing tube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position extended downward of the gas and contacting the ground when the gas is landed;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landing tube and measuring fine dust concentration by sucking ambient air; It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landing tube is installed, the VOC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sucking the ambient air.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착지관은 상기 기체 측면에 상단이 결합되는 설치 로드의 하단에 중앙 부분이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ding tube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center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stallation rod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to the gas 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탐지 드론에는, 상기 설치 로드와 착지관의 결합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착지관을 상기 설치 로드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회동 결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ne dust detection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at a coupling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rod and the landing tube,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for rotating the landing tub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rod is preferably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는, 상기 착지관의 일측 말단을 차단하여 설치되며, 미세 기공을 가지는 미세먼지 흡입부;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의 내측면에 증착되어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미세먼지 유입 공간에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전극부; 상기 전극부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y blocking one end of the landing pipe, fine dust suction unit having fine pores; An electrode unit which is deposi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ne dust suction unit and forms capacitance in the fine dust inflow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formed in the electrode uni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VOC 농도 측정부는, 상기 착지관의 타측 말단을 차단하여 설치되는 먼지 거름 필터; 상기 먼지 거름 필터 내측에 설치되며, 휘발성유기화합물 기체와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굴절률이 변화되는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먼지 거름 필터를 통과한 공기 중에 존재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기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C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a dust filter installed to block the other end of the landing pipe; A concentration sensor installed inside the dust filter and measuring a concentration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gas present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filter by using a material that reversibly changes the refractive index by reacting with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ga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탐지 드론에는, 상기 착지관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착지관을 관통하여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착지관의 중앙 내부에는 상기 착지관의 양측 말단에서 중앙 방향으로 기체를 흡입하는 기체 흡입 펌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fine dust detection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landing tube through the landing tube, and inside the center of the landing tube, the gas is sucked from both ends of the landing tube to the center direction. Preferably, a gas suction pump is provided.

본 발명의 미세먼지 탐지 드론에 의하면 자유롭게 상공을 비행하면서 비행 추력에 의한 방해 없이 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ne dust detection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a remarkable effect that can detect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real time without interference by flight thrust while flying fre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탐지 드론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로드와 착지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 및 VOC 농도 측정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C 농도 측정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ne dust detection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installation rod and the land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and the VOC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VOC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탐지 드론(100)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110), 추력장치(120), 착지관(130),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60) 및 VOC 농도 측정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fine dust detection dro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gas 110, a thrust device 120, a landing tube 130,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60,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VOC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70.

먼저 상기 기체(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탐지 드론(10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탐지 지역의 상공을 자유롭게 비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기체(110)에는 다른 구성요소들의 설치 및 결합을 위한 공간 및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배터리, GPS 모듈, 무선통신 모듈 및 제어부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1, the gas 110 is a part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detection dro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a component that freely flies over the detection area. The body 110 is provided with spaces and components for installation and coupling of other components, and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battery, a GPS modul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unit as necessary.

다음으로 상기 추력장치(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체(110)로부터 측방으로 방사 형상으로 뻗어나간 위치에서 비행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추력장치(120)는 상기 기체(110)와 연결시키는 연결봉(122)과, 회전하면서 추력을 발생시키는 날개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날개부(124)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로터가 구비된다. Next, as shown in FIG. 1, the thrust device 120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flight propulsion in a position extending radially laterally from the gas 110. The thrust device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rod 122 for connecting with the base 110, and a wing portion 124 for generating a thrust while rotating. Of course, the wing portion 124 is provided with a roto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다음으로 상기 착지관(130)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체(110)의 하방으로 뻗어나간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기체(110)의 착륙시 지면과 접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착지관(130)은 상기 기체(110)의 하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2개 이상의 착지관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anding tube 130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position extended downward of the base 110 and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during landing of the base 110. Ele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nding tube 130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10, it is preferable that two or more landing tubes are installed side by sid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착지관(130)은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관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착지관(130)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로드(140)에 의하여 상기 기체(110) 측면에 결합된다. 즉, 수직으로 기립되어 설치되는 상기 설치 로드(140)의 상단이 상기 기체(110)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설치 로드(140)의 하단이 상기 착지관(130)의 중앙 부분에 결합되는 결합관계를 가지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nding tube 130 has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but has a tubular shape in which an empty space is formed. The landing tube 130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gas 110 by the installation rod 140, as shown in Figs.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installation rod 140 is installed vertically standing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base 110, the lower end of the installation rod 140 is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landing tube 130 It has a relationship.

특히, 상기 설치 로드(140)와 상기 착지관(130)의 결합 부분에는 상기 착지관(130)을 상기 설치 로드(140)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회동 결합부(1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 결합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 로드(140)와 착지관(130)의 결합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착지관(130)을 상기 설치 로드(140)에 대하여 회동시켜, 상기 설치 로드(140)와 동일한 방향으로 기립시키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e coupling portion of the installation rod 140 and the landing tube 13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otation coupling portion 150 which can rotate the landing tube 130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rod 140. Do. As shown in FIG. 2, the rotation coupling unit 150 is installed at a coupling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rod 140 and the landing tube 130, and the landing tube 130 is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rod 140. It rotates and sta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aid installation rod 140.

이렇게 상기 회동 결합부(150)에 의하여 상기 착지관(130)이 기립되면, 상기 착지관(130)의 일측 단부는 상기 기체(110) 및 추력장치(120)로부터 멀어지면서 하측을 향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상기 착지관(130)의 말단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60) 또는 VOC 농도 측정부(170)는 상기 추력장치(120)에 의하여 발생되는 기류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고 주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landing tube 130 stands up by the rotation coupling unit 150, one end of the landing tube 130 faces downward while being away from the base 110 and the thrust device 120. In this stat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60 or the VOC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70 installed at the end of the landing tube 130 is not affected by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thrust device 120. There is an advantage to inhale air.

다음으로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6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지관(130)의 일측 말단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60)는 상기 착지관(1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주변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며, 드론(100)의 착지관(130) 등에 설치되므로 매우 작은 부피와 무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60 is inserted and installed at one end of the landing tube 130,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components for measur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by sucking the ambient air to be. That i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60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landing tube 130 to measu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of the surrounding air, and is installed in the landing tube 130 of the drone 100, and so on It is desirable to have volume and weight.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60)를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 흡입부(162), 전극부(164) 및 측정부(166)로 나누어 구성한다. 먼저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16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지관(130)의 일측 말단을 차단하여 설치되며, 미세 기공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162)를 통해서는 큰 부피를 가지는 먼지나 이물질은 걸러지면서도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162)의 기공 크기보다 작은 미세먼지는 흡입된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60 is divided into a fine dust suction unit 162, an electrode unit 164, and a measuring unit 166 as shown in FIGS. 3 to 6. do. First, as shown in FIG. 3, the fine dust suction unit 162 is installed by blocking one end of the landing tube 130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fine pores. Therefore, through the fine dust suction unit 162, dust or foreign matter having a large volume is filtered out, but fine dust smaller than the pore size of the fine dust suction unit 162 is sucked.

이때 상기 기공 크기 미세먼지 기준인 10㎛나 초미세먼지 기준인 2. 5㎛ 중 어느 하나로 정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re size may be set to any one of 10 μm based on fine dust or 2.5 μm based on ultrafine dust.

이때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162)는 상기 착지관(130)의 내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착지관(130)의 내면과 일치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 At this time, the fine dust suction unit 162 has a shape and size that matches the inner surface of the landing tube 130 so as to be fit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anding tube 130 by interference fit method.

다음으로 상기 전극부(164)는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162)의 내측면에 증착되어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미세먼지 유입 공간에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전극부(164)는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162)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전극(164a, 164b)으로 설치되되, 서로 접촉 영역이 극대화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electrode unit 164 is deposi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ne dust suction unit 162 and forms capacitance in the fine dust inflow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Component. That is, the electrode unit 164 is installed as a pair of electrodes (164a, 164b) to face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ne dust suction unit 162, as shown in Figure 4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zigzag shape.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상기 전극부(164)는 양측 전극(164a, 164b)에 각각 전원이 인가되면 그 사이 영역에 정전용량이 형성된다. In the electrode unit 164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power is applied to both electrodes 164a and 164b, capacitance is formed in a region therebetween.

다음으로 상기 측정부(166)는 상기 전극부(164)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부9164)를 이루는 양측 전극(164a, 164b) 사이의 공간으로 미세먼지가 통과하면 이미 형성되어 있던 정전용량에 변화가 발생하고 이 변화의 크기를 측정하여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Next, the measurement unit 166 is a component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by measuring the change in capacitance formed in the electrode unit 164. As described above, when fine dust passes into the space between the electrodes 164a and 164b constituting the electrode portion 9164, a change occurs in the capacitance that has already been formed, and the magnitude of the change is measur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To measure.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면 매우 작고 간단한 구성으로 미세먼지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By measur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by this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can be accurately measured in a very small and simple configuration.

다음으로 상기 VOC 농도 측정부(170)는 도 3,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지관(130)의 타측 말단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VOC 농도 측정부(170)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60)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9160)와 함께 공기질 악화의 원인이 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기체(VOC)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Next, the VOC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70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landing tube 130, as shown in Figure 3, 6, is configured to suck the ambient air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Element. That is, the VOC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70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60 and together with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9160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gas (VOC) that causes air quality deterioration. It is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VOC 농도 측정부(170)를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거름 필터(도면에 미도시)와 농도 측정 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먼지 거름 필터는 상기 착지관(130)의 말단에 상기 착지관(130)의 내부 공간을 차단하여 설치되며, 일정한 크기 이상의 먼지 및 이물질이 통과하는 것을 차단한다. 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the VOC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70 may be configured as a dust filter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a concentration measuring sensor, as shown in FIG. 6. The dust filter is installed by block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landing tube 130 at the end of the landing tube 130, and blocks the passage of dust and foreign matter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다음으로 상기 농도 측정센서는 상기 먼지 거름 필터 내측에 설치되며, 휘발성유기화합물 기체와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굴절률이 변화되는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먼지 거름 필터를 통과한 공기 중에 존재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기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농도 측정 센서(1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상기 착지관 내부에 상기 착지관(130)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내부로 일정한 파장의 빛이 투과되는 광섬유(172), 상기 광섬유(172)의 일측면을 갈아낸 후 그 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굴절률 변화부(1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concentration sensor is installed inside the dust filter, the concentration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gas present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filter using a material that reversibly changes the refractive index in response to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gas Is a component that measures. To this end, as shown in FIG. 6, the concentration measuring sensor 170 is specifically installed side by side with the landing tube 130 inside the landing tube, and the optical fiber 172 through which light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is transmitted.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fractive index change unit 174 is attached to the surface after grinding one side of the optical fiber 172.

따라서 상기 착지관(130)을 통과하는 공기 중에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존재하면 상기 굴절률 변화부(174)의 굴절률이 변화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굴절률 변화부(174)를 통과하는 빛의 변화된 굴절률을 이용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는것이다. Therefore, whe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is present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landing tube 130,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fractive index changing unit 174 is changed, thereby volatile by using the changed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refractive index changing unit 174 It is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compounds.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탐지 드론(1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흡입 펌프(180)와 배출공(136)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기체 흡입 펌프(180)는 상기 착지관(130)의 중앙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착지관(130)의 양측 말단에서 중앙 방향으로 기체를 흡입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기체 흡입 펌프(180)에 의하여 상기 추력장치(120)에 의한 기류와 상관없이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60)와 상기 VOC 농도 측정부(170)를 가로질러서 주변 공기가 강제적으로 유입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fine dust detection dro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gas suction pump 180 and an outlet hole 136. First, the gas suction pump 180 is installed inside the center of the landing tube 130 and is a component that sucks gas in the central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landing tube 130. By the gas suction pump 180, ambient air is forcibly introduced acros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60 and the VOC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70 regardless of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thrust device 120.

그리고 상기 기체 흡입 펌프(180)에 의하여 유입되고, 농도 측정이 완료된 공기는 상기 배출공(13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출공(13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지관(136)의 중앙 부분에 상기 착지관을 관통하여 다수개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by the gas suction pump 180 and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is complet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136). To this end, as shown in FIG. 3, the discharge holes 136 ar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landing tube 136 by passing through the landing tube.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탐지 드론
110 : 기체 120 : 추력장치
130 : 착지관 140 : 설치 로드
150 : 회동 결합부 160 :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
170 : VOC 농도 측정부 180 : 공기 흡입 펌프
100: fine dust detection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gas 120: thrust device
130: landing tube 140: installation rod
150: rotation coupling unit 160: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170: VOC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80: air intake pump

Claims (4)

탐지 지역의 상공을 비행하는 기체;
상기 기체로부터 측방으로 방사 형상으로 뻗어나간 위치에서 비행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력장치;
상기 기체의 하방으로 뻗어나간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기체의 착륙시 지면과 접촉하는 착지관;
상기 착지관의 일측 말단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
상기 착지관의 타측 말단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VOC 농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탐지 드론.
A gas flying over the detection zone;
A thrust device for generating flight propulsion at a position extended radially laterally from the gas;
A landing tube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position extended downward of the gas and contacting the ground during landing of the gas;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landing tube and measuring fine dust concentration by sucking ambient air;
And a VOC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landing tube and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by inhaling ambient 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지관은,
상기 기체 측면에 상단이 결합되는 설치 로드의 하단에 중앙 부분이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탐지 드론.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nding tube,
The fine dust detection dr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stallation rod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gas install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로드와 착지관의 결합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착지관을 상기 설치 로드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회동 결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탐지 드론.
The method of claim 2,
And a rotation coupling part installed at a coupling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rod and the landing tube and rotating the landing tub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r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는,
상기 착지관의 일측 말단을 차단하여 설치되며, 미세 기공을 가지는 미세먼지 흡입부;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의 내측면에 증착되어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미세먼지 유입 공간에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전극부;
상기 전극부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탐지 드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A fine dust suction unit installed to block one end of the landing tube and having fine pores;
An electrode unit which is deposi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ne dust suction unit and forms capacitance in the fine dust inflow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a concentration of fine dust by measuring a change in capacitance formed in the electrode unit.
KR1020180103149A 2018-08-31 2018-08-31 A drone for detecting the density of the fine dust KR202000255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149A KR20200025571A (en) 2018-08-31 2018-08-31 A drone for detecting the density of the fine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149A KR20200025571A (en) 2018-08-31 2018-08-31 A drone for detecting the density of the fine du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571A true KR20200025571A (en) 2020-03-10

Family

ID=6980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149A KR20200025571A (en) 2018-08-31 2018-08-31 A drone for detecting the density of the fine du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557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776B1 (en) * 2022-04-22 2023-03-06 (주)와우미래기술 Apparatus and System for Measuring Air Qual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776B1 (en) * 2022-04-22 2023-03-06 (주)와우미래기술 Apparatus and System for Measuring Air Qua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1014B1 (en) Particulate sensor device
CN205168876U (en) Lift vertically formula unmanned aerial vehicle undercarriage suitable for many topography
CN101936820B (en) Sample collecting method and sample collecting device
JP6977219B2 (en) Adsorption drone flying object and working method using the adsorption drone flying object
KR20200025571A (en) A drone for detecting the density of the fine dust
CN109781740B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tely checking concrete microcracks
JP2018136315A (en) Multicopter and atmospheric environment measuring method using multicopter
CN103806366B (en) A kind of cement concrete pavement of aerodrome performance acquisition system and control evaluation method
CN106716106B (en) Micronic dust measuring device based on microbalance
JP2019200116A (en) Pilotless aircraft measurement unit and pilotless aircraft
KR20200088666A (en) multi-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using a drone
CN103454194A (en) PM2.5 (Particulate Matter 2.5) detection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586012A (en) Unmanned plane capable of adapting to landing field environment automatically
KR20190089645A (en) Particulate Matter Removal device
US10260938B2 (en) Foreign substance prevention apparatus
CN205538932U (en) Air current and compound detection device of laser
CN209258399U (en) A kind of unmanned plane for having comprehensive radar and being able to detect air quality
KR20160121297A (en) Drone for capturing odor
CN2694264Y (en) Apparatus for measuring dust concentration
CN207556936U (en) A kind of room air detection air sampler
CN104908833A (en) Adsorption device of detection robot
CN210604576U (en) Air quality detection equipment capable of sampling in multiple directions
RU111292U1 (en) SAMPLER FOR DETERMINING AIR POLLUTION
CN214668407U (en) Detection apparatus for raise dust in environment
CN205809026U (en) A kind of radioaerosol monitoring device of easy m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