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524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25524A KR20200025524A KR1020180102992A KR20180102992A KR20200025524A KR 20200025524 A KR20200025524 A KR 20200025524A KR 1020180102992 A KR1020180102992 A KR 1020180102992A KR 20180102992 A KR20180102992 A KR 20180102992A KR 20200025524 A KR20200025524 A KR 202000255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drawer
- light
- storage space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1—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combined with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8—Cooled suppor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5—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30—Insulation with respect to soun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의 후방에 구비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커버하며, 토출구와 흡입구가 형성된 그릴팬; 상기 그릴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으로 냉기가 공급되고, 상기 저장 공간의 냉기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도록 냉기의 순환을 강제하는 송풍팬;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의 후방에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서랍부를 포함하는 서랍 도어; 상기 서랍 도어와 캐비닛을 연결하며, 상기 서랍 도어를 인출입 시키는 레일; 상기 도어부의 배면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서랍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도어 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라이트에는 상기 서랍부의 상단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서랍부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어퍼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냉장고 도어는 회동에 의해 저장공간이 개폐되는 회동식 도어와, 서랍식으로 인출입 되는 서랍식 도어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식 도어는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서랍식 도어가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서랍식 도어 내부에 수용된 바스켓 또는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여야 하며, 상기 바스켓 또는 식품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바스켓을 보다 사용에 불편을 느끼거나 부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랍식 도어가 승강 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등록특허 US9,377,238호에는 냉장실에 구비되는 빈의 승강을 위한 리프팅 메카니즘이 구비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승강을 위한 리프팅 메카니즘이 빈의 외측에 배치되고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안전상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리프팅 메카니즘의 구조로 인해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구동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구동부 동작시의 소음이 외부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이 고내측에 배치됨으로써 고내 저장용량의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으며, 이는 전체적인 냉장고의 저장 용량 손실로 저장 효율을 매우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부의 내부에 승강을 위한 전기적 장치가 제공되고, 서랍부에 승강을 위한 기계적 장치가 각각 제공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저장 용량의 손실이 최소화된 상태로 승강 가능한 서랍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부의 승강을 위한 구성의 노출을 방지하여 외관을 개선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승강을 위한 구성이 차폐된 상태에서 서랍부의 냉각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식 도어가 수용되는 저장공간의 냉기 순환을 개선하여 서랍부를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부 내부의 온도 편차를 해소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 내측에 배치되는 구동장치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부의 인출 상태에서 서랍부 내부를 밝혀 저장 상태의 확인이 보다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서랍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 도어는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의 후방에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서랍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에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서랍부에는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며, 식품을 지지한 상태로 승강 동작되는 기구 구성의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도어부 배면의 함몰된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수납부의 내측 하면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서랍부의 전면에 의해 차폐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부의 배면에는 상기 도어부의 배면과 상기 서랍부의 전면 사이로 냉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서랍부 상방의 어퍼 가이드부와 상기 서랍부 하방의 로어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어퍼 가이드부와 로어 가이드부의 사이에 상기 구동장치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랍부의 내외측면에는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도어부 배면에서 상기 서랍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도어 라이트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의 후방에 구비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커버하며, 토출구와 흡입구가 형성된 그릴팬; 상기 그릴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으로 냉기가 공급되고, 상기 저장 공간의 냉기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도록 냉기의 순환을 강제하는 송풍팬;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의 후방에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서랍부를 포함하는 서랍 도어; 상기 서랍 도어와 캐비닛을 연결하며, 상기 서랍 도어를 인출입 시키는 레일; 상기 도어부의 배면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서랍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도어 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라이트에는 상기 서랍부의 상단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서랍부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어퍼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라이트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서랍부의 가로방향 길이와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어퍼 가이드부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돌출되며,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 라이트는, 다수의 엘이디가 기판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라이트 모듈과, 상기 라이트 모듈이 장착되는 라이트 케이스와, 상기 라이트 케이스를 차폐하며, 투명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 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라이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라이트 커버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라이트 케이스에는 상기 라이트 모듈의 기판이 삽입되며, 상기 엘이디가 상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라이트 모듈이 장착되는 모듈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라이트 케이스에는 라운드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방에 배치된 상기 라이트 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서랍부를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반사부와 어퍼 가이드부는 모두 상기 서랍부의 상단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어퍼 가이드부는 상기 서랍부의 전면과 이격되며, 상기 도어부의 배면과 상기 서랍부의 전면을 따라 냉기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토출구와 어퍼 가이드부는 모두 상기 서랍부의 상단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랍부에는 상기 서랍부 내부의 식품을 지지하며, 상하 승강되는 승강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에는 상기 승강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승강장치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와, 상기 아웃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부의 배면을 형성하며, 상기 구동장치가 장착되는 함몰부가 형성된 도어 라이너; 상기 아웃 케이스와 도어 라이너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 상기 도어 라이너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장치를 차폐하는 도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 커버는 상기 라이트 모듈보다 더 상방까지 연장되며, 상기 라이트 모듈을 후방에서 차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어퍼 가이드부의 하단에는 단차지게 형성된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 커버는 상기 연장부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라이트 커버 모듈을 차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어퍼 가이드부의 하단과 상기 도어 커버의 상단은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어퍼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냉기는 상기 도어 커버를 따라 유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어퍼 커버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돌출되며,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어퍼 커버를 따라 유동되는 냉기를 상기 서랍부의 하방으로 안내하는 로어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로어 가이드부는 상기 서랍부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랍부는,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서랍 본체와; 상기 서랍 본체의 내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을 차폐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금속소재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인출입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후방에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서랍부;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가 이격 상태로 결합도록 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부의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서랍부의 상단보다 더 상방에 형성되어 냉기를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 사이로 안내하는 어퍼 가이드부; 및 상기 도어부의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서랍부의 하단보다 더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어퍼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된 냉기가 상기 서랍부의 하면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안내하는 로어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 가이드부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돌출되며,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로어 가이드부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돌출되며,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의 배면에는 상기 서랍부의 상방에서 상기 서랍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도어 라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어퍼 가이드부는 상기 도어 라이트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 라이트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도어 라이트의 길이는 상기 서랍부의 가로 방향 길이와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서랍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서랍 도어 내부의 수납 공간의 일부가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방에 배치되는 서랍 도어 내부의 식품의 수납시 과도하게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무게가 무거운 식품 또는 식품이 수납된 용기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많은 힘을 주어 식품 또는 용기를 들어올려야 하지만, 서랍 도어 내부의 승강장치가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사용이 편리한 위치까지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사용상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장치로 구성된 구동장치는 도어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승강을 위한 승강장치는 서랍부 내측에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구동장치 및 승강장치가 모두 외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 안정성을 확보하고 외관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기 장치로 구성된 구동장치는 도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가 도어 내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소음이 차단되어 사용중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전체 구성 중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구동장치가 상기 도어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랍부의 저장 용량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장치또는 하강된 상태에서는 컴팩트하게 접히고 수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고내 저장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의 내측과 외측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금속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플레이트에 의해 외관이 한층 더 고급스럽게 보일 수 있도록 하며, 고내측의 구성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게 되어 보다 깔끔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소재의 플레이트에 의해 서랍부의 내 외관이 구성될 경우 고내측의 냉기가 상기 플레이트를 통해서 고르게 전도되어 서랍부 전체를 고르게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의 배면에는 저장공간의 후벽면에서 전방으로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서랍부 상방을 지나 상기 도어의 배면으로 향하게 되며, 상기 도어 배면의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도어 배면과 상기 서랍부의 전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는 서랍부의 전면을 지나 상기 서랍부의 하방으로 유동된 후 다시 후방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서랍부 전체의 둘레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는 전반부를 포함한 전체가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로 냉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서랍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이 모두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경우 냉기의 전체적인 유동에 의한 냉각과 더불어 상기 플레이트의 전도에 의해 상기 서랍부 전체를 보다 고르게 냉각하고 보다 균일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서랍부를 밝히기 위한 도어 라이트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어 라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서랍부를 밝힐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냉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과 냉각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도어 라이트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위치되되 상기 서랍부의 전면 상단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어 냉기의 유동을 안내함은 물론, 상기 서랍부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밝힐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서랍부를 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 내부의 식품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의 배면에는 상기 도어 라이트에 어퍼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서랍부의 전면 상방에서 하방으로 냉기가 유동되도록 하고, 도어 커버의 하단에 로어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서랍부의 전면 하방에서 후방으로 냉기가 유동되도록 안내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냉기의 유동이 취약할 수 있는 상기 서랍부 전면의 냉기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상기 서랍부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도어의 배면을 따라 이동하는 냉기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배치되는 구동장치를 지나게 되며,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의 전반부 온도가 상기 구동장치의 열에 의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의 과열을 방지하고 상기 서랍부 전체의 고른 냉각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랍 도어의 승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서랍 도어의 용기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서랍 도어의 서랍부와 도어부가 분리된 모습을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어부의 후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어부의 도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어 라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도어 라이트의 절결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어 라이트의 동작시 빛이 조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커넥팅 어셈블리와 레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서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서랍부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승강장치의 일 구성인 시저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와 승강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와 승강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서랍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기 서랍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상기 서랍 도어의 바스켓이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상기 서랍 도어의 바스켓이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상기 서랍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고내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상기 서랍 도어의 후면 상부에서의 냉기 유동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8은 상기 서랍 도어의 후면 하부에서의 냉기 유동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랍 도어의 승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서랍 도어의 용기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서랍 도어의 서랍부와 도어부가 분리된 모습을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어부의 후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어부의 도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어 라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도어 라이트의 절결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어 라이트의 동작시 빛이 조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커넥팅 어셈블리와 레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서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서랍부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승강장치의 일 구성인 시저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와 승강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와 승강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서랍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기 서랍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상기 서랍 도어의 바스켓이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상기 서랍 도어의 바스켓이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상기 서랍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고내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상기 서랍 도어의 후면 상부에서의 냉기 유동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8은 상기 서랍 도어의 후면 하부에서의 냉기 유동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랍 도어의 승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는 도어(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캐비닛(10) 상부의 상부 저장공간(11)은 냉장실로, 하부의 하부 저장공간(12)은 냉동실로 구획될 수 있다. 물론, 상부 저장공간(11)과 하부 저장공간(12)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이 아닌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은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도 있고,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공간이 복수의 도어(20,3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저장공간(11)과 하부 저장공간(12)의 후방에는 각각 그릴팬(113,123)에 의해 구획되는 열교환 공간(111,121)이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 공간(111,121)의 내부에 상부 증발기(112)와 하부 증발기(12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공간(111,121)에는 송풍팬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부 저장공간(11)과 하부 저장공간(12)으로 냉기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112,122)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송풍팬의 동작에 의해 그릴팬(113,123)의 토출구를 통해 상기 상부 저장공간(11) 및 하부 저장공간(12)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팬(113,123)의 흡입구로 회수되어 순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증발기(112,122)는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증발기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분지되어 상기 상부 저장공간(11) 또는 하부 저장공간(12)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의 냉각을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은 저장공간, 하부 증발기(122)는 증발기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도어(2)는 회전에 의해 상부 공간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20)와, 상기 하부 공간을 서랍식으로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서랍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간은 다시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부 서랍 도어(30)와 하부 서랍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는 외관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전면으로 노츨되는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가 함께 배치되는 냉장고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는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 도어라 부를 수 있고, 상기 서랍 도어(30)는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 도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회전 도어(20)의 전면 일측에는 디스플레이(2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의 외관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21)는 미세한 홀이 다수개 타공되어 투과되는 빛에 의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도어(2) 또는 하부 도어(2)의 자동 회전 또는 인출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2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디스플레이(21)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터치 방식 또는 버튼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냉장고(1)의 전체적인 동작을 조작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또는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승강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에도 조작부(30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 중 가장 하부에 위치된 서랍 도어(30)의 일측에 상기 조작부(3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301)는 터치 또는 버튼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301)는 사용자의 근접 또는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거나, 사용자의 모션 또는 음성에 의해 조작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하단에 조작장치(302)가 구비되어 영상을 바닥면에 조사하여 가상의 스위치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조작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는 상기 조작부(301)의 조작에 따라서 자동으로 인출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1)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내부에 구비되는 식품 또는 용기가 승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는 상기 냉장고(1)의 가장 하방에 배치되는 수납 공간으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내부에 수납된 식품의 수납을 위해서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를 전방으로 인출시킨 후,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용기(36)가 승강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36)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용기(36)는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되므로,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 상기 승강장치(80)의 높이에 상기 용기(36)의 높이가 더하여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 사용자가 상기 용기(36)로의 접근 또는 상기 용기(36)를 들어올리기 매우 용이한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326)는 상기 도어(30)의 인출입시 상기 수납부(32)에 완전히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36)의 형상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전방 공간(S1)의 크기와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에도 내부에 수납된 식품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가장 하방에 배치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 내부의 식품 또는 용기(36)를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리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는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인출입 모터(14) 및 피니언(141)과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하면에 구비되는 인출입 랙(34)에 의해 자동으로 전후방 인출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 내부의 용기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에 구비되는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 및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동작을 위한 구성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를 서랍 도어 또는 도어라 부르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 도어의 개수와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부의 저장 공간에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상기 서랍 도어의 용기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서랍 도어의 서랍부와 도어부가 분리된 모습을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30)는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31)와, 상기 도어부(31)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부(31)와 함께 인출입되는 서랍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캐비닛(10) 내측에 배치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함께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는 상시 도어부(31)의 배면에 위치되며, 저장을 위한 식품 또는 용기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는 상방으로 개구된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외부는 다수의 플레이트들(도 14에서 391,392,395)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외부는 물론 내부에도 구비되어 상기 서랍부(32) 전체가 스테인레스 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의 후방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이 구비되는 기계실(3)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후반부는 상단이 하단보다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후면은 경사면(32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에는 상기 도어(30)의 인출입을 안내할 수 있는 인출입 레일(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도어(30)는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다단으로 연장 가능한 레일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에는 레일 브라켓(331)이 구비되며, 상기 레일 브라켓(331)은 상기 인출입 레일(33)의 일측에서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브라켓(331)은 고내측 벽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서랍부(32) 즉, 상기 도어(30)는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 상기 인출입 레일(33)이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 하단에 구비되며 언더 레일(under rail)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인출입 랙(34)은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되는 인출입 모터(14)의 구동과 연계되어 상기 도어(30)의 자동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조작부(22,301)의 조작 입력시 상기 인출입 모터(14)가 구동되어 상기 도어(30)는 상기 인출입 랙(34)의 이동에 따라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도어(30)의 안정적인 인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서랍부(32)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부(31)의 일측을 잡고 밀거나 당겨서 상기 도어(30)를 직접 인출입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는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전방 공간(S1)은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장치(80)와,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되어 상기 승강장치(80)와 함께 승강되는 용기(3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36)는 상부가 개방된 바스켓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김치통과 같은 밀폐형 상자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다수개가 적층되거나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30)의 인출시 상기 도어(30)의 인출 거리의 제한으로 상기 서랍부(32)의 전체가 상기 저장공간의 밖으로 인출될 수는 없으며, 적어도 상기 전방 공간(S1)이 상기 저장 공간 밖으로 인출되고 상기 후방 공간(S2)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의 저장공간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도어(30)의 인출 거리가 상기 인출입 랙(34) 또는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제한될 수 있으며, 인출 거리가 길어질수록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에 가해지는 모멘트가 커지게 되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상기 인출입 레일(33) 또는 인출입 랙(34)의 변형 또는 파손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전방 공간(S1)의 내부에는 승강장치(80)와 용기(36)이 수용되며, 상기 승강장치(80)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가 함께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용기(36)의 하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36)의 장착시 상기 용기(36)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가 가려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어떠한 구성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후방 공간(S2)에는 별도의 서랍 커버(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에 의해 상기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은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공간(S2)의 전면과 상면은 차폐되어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서랍 커버(37)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후방 공간(S2)으로 접근 가능하게 되며, 상기 후방 공간(S2)에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후방 공간(S2)의 활용을 위해 상기 후방 공간(S2)에는 별도의 포켓 또는 후방 공간의 형상과 대응하는 용기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전체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승강장치(80)는 간단히 분리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와 상기 서랍 커버(37)를 분리하여 상기 서랍부(32) 내부 공간 전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서랍부(32)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외관은 별도의 플레이트들(391,392,395)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에 장착되는 구성들을 차폐하여 외부와 내부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들(391,392,395)은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어 보다 고급스럽고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30)를 구성하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분리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 가능한 구조를 통해서 조립 작업성과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의 배면과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한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부(3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되는 구동장치(40)는 전원의 입력에 의해 동작되는 구성들과 동력을 상기 승강장치(8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40)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상기 도어부(31)를 분리하여 조치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만을 교체하여 간단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도어 프레임(316)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부(31)에 결합되는 도어 결합부(316a)와, 상기 도어 결합부(316a)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서랍 결합부(316b)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 결합부(316a)은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부(31)와 결합될 수도 있으며, 간단한 결합 구조에 의해 상기 도어부(31)의 일측과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결합부(316b)는 상기 서랍부(32)의 양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인출입 레일(33)와 결합된 상태로 삽입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서랍 결합부(316b)와 인출입 레일(33)은 상기 서랍부(32)에 장착되는 상기 플레이트(391)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30)의 배면에는 커넥팅 어셈블리(70)가 구비되고, 상기 서랍부(32) 전면의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일부가 노출되는 서랍 개구(3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캐비닛(10)의 저장 공간을 실질적으로 개폐하고 동시에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어부(31)는 전면과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311)와,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14) 그리고,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데코(312) 및 로어 데코(313)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311)와 도러 라이너(314) 사이의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는 단열재(300)가 채워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30)를 구성하는 상기 도어부(31)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도어부의 후면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도어부의 도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후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도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311)에 의해 전면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 라이너(314)에 의해 배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의 내측에는 상기 승강장치(80)의 동작을 위한 구동장치(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 배치되지만, 상기 단열재(300)의 내부에 매립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도어 라이너(314)에 함몰된 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 커버(315)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웃 플레이트(311)와 상기 도어 라이너(314)의 사이에는 단열재(300)가 충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공간(12) 내부를 단열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14)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도어 함몰부(31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함몰부(314a)는 상기 구동장치(4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40) 전체가 상기 도어(30)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장치(80)의 각 구성들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 후면의 상부 즉, 상기 도어 라이너(314) 상부에는 라이트 함몰부(31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함몰부(314b)는 도어 라이트(9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90)는 상기 서랍부(32)의 개구된 상면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서랍부(32)의 전방에서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여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을 밝힐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 라이트(90)는 상기 도어(30)의 배면 좌측에서 우측까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도어(30)의 배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가스켓(317)의 내측 영역 중 가장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 라이트 하방의 도어 함몰부(314a)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 함몰부(314a)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커버(315)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 커버(315)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도어 커버(315)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이 상기 구동장치(40)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에 의해 상기 서랍부(32)에 구비되는 승강장치(8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40)의 동력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를 통해 상기 승강장치(8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부(31)의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를 통해 상기 승강장치(80) 좌우 양측에 동시에 동일한 크기의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승강장치(80)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치우치지 않고 좌우 양측이 수평한 상태로 승강 및 하강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의 후면에는 상기 도어부(31)의 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도어 커버(31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315)는 상기 도어부(31)에 장착된 상기 구동장치(40)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어 커버(315)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4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40)가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커버(315)는 상기 구동장치(40)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커버(315)는 상기 도어부(31) 배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너(314)와 적어도 일부가 이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내부에 냉기가 공급되어 상기 구동장치를 냉각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커버(315)의 상단은 상기 도어 라이트(90)와 접하며, 상기 도어 라이트(90)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도어 라이트(90) 중 상부 일부는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내측으로의 빛이 조사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커버(315)의 상단(315a)은 상기 도어 라이트(90)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의 냉기가 상기 도어 라이트(90)를 향하게 되는 경우 상기 도어 라이트(90)를 지나 상기 도어 커버(315)를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커버(315)의 하단에는 로어 가이드부(31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가이드부(315b)는 상기 도어 커버(315)의 하단 좌측에서 우측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가이드부(315b)는 상기 서랍부(32)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후방으로 라운드 또는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커버(315)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되는 냉기는 상기 로어 가이드부(315b)를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하면과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의 사이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커버(315)의 일측에는 커버 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개구는 상기 도어 커버(315)의 내측면을 따라서 냉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커버(315)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커버(315)를 따라 유동되는 냉기 중의 일부가 상기 구동장치(40)가 수용된 공간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구동장치(40)를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가 노출되는 도어 개구(315c) 또한 상기 커버 개구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커버(315)의 하부 좌우 양측에는 도어 개구(315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315c)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일부가 관통되어 상기 도어부(31) 배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구(315c)는 상기 서랍 개구(35)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도어 개구(315c)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일부가 상기 승강장치(80)와 결합되어 동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개구(315c)를 통해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푸시부(741)가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도어부(31) 배면으로 노출된 상기 푸시부(741)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장치(40)와 상기 승강장치(80)의 선택적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도어부(31)의 후면 둘레를 따라서 도어 가스켓(31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가스켓(317)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과 접하여 기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어 라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도어 라이트의 절결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도어 라이트의 동작시 빛이 조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 라이트(90)는 사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외측면이 상하 방향으로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트(90)는 라이트 케이스(91)와 라이트 커버(92) 그리고 엘이디 모듈(93)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라이트 케이스(91)는 상기 도어 라이너(314)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장착부(314b)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케이스(91)의 하단에는 상기 라이트 장착부(314b)에 장착되는 케이스 안착부(911)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안착부(911)에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 라이트(90)가 상기 라이트 장착부(314b)와 결합되거나 스크류 체결에 의해 상기 도어부(31) 후면에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안착부(911)의 상방에는 엘이디 수용부(9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 수용부(912)는 상기 엘이디 모듈(93)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상기 라이트 케이스(91)의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연장되며,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 수용부(912)의 하단에는 모듈 장착홈(9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장착홈(913)은 상기 엘이디 모듈(93)을 구성하는 기판(931)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엘이디 모듈(93)이 상기 엘이디 수용부(91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엘이디(932)는 상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안착부(911)의 상단에는 반사부(9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914)는 적어도 상기 서랍부(32)의 가로방향 즉,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부(914)를 통해 조사되는 빛이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를 고르게 밝힐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반사부(914)는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도어부(3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라운드진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사부(914)는 상기 엘이디(932)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어 전방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엘이디(932)의 반사 효율을 보다 좋게 하기 위해서 상기 반사부(914)의 내측면은 반사율을 높일 수 있는 코팅, 표면처리 또는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914)의 곡률은 하방에서 조사되는 엘이디(932)의 빛이 후방을 향하여 조사되되 상기 서랍부(32)의 내측면을 향하여 조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부(914)는 상기 반사부(914)의 하단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돌출되며,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부(914)의 하부에서 반사된 빛은 상대적으로 상기 서랍부(32) 내측의 보다 후방을 향하고, 상기 반사부(914)의 상부에서 반사된 빛은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의 보다 전방을 향하여 빛이 조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 모듈(93)은 상기 반사부(914)의 상부와 하부 중 하부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부(914)의 상단 일측에는 구속 홈(9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 홈(915)은 상기 도어 라이너(314)의 일측과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라이트 케이스(91)가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 수용부(912)와 상기 반사부(914)의 둘레에는 케이스 테두리(91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테두리(916)는 상기 라이트 커버(92)의 둘레와 결합되어 상기 라이트 케이스(91)와 라이트 커버(92)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엘이디 모듈(93)은 다수의 엘이디(932)와, 상기 다수의 엘이디(932)가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게 배치되는 기판(9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931)은 상기 반사부(914)의 길이와 같거나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의 후면에 대해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상방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931)은 상기 모듈 장착홈(923)에 삽입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이 각각 상기 라이트 케이스(91)와 라이트 커버(92)에 형성된 모듈 장착홈(913,92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931)의 폭은 상기 케이스 테두리(916)의 하단의 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 케이스(91)와 라이트 커버(92)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931)의 중앙에는 상기 엘이디(932)의 제어 신호 및 전원을 전달하는 전선이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93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933)는 기판(931)의 하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도어 라이트(90) 하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90)가 상기 도어부(31)의 후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933)를 통해 전선의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라이트 커버(92)는 상기 라이트 케이스(91)와 결합되며, 상기 도어 라이트(90)의 장착시 상기 도어부(31)의 후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서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커버(92)는 상기 라이트 케이스(91)에서 반사된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932)에서 조사된 빛이 면광의 형태로 조사될 수 있도록 표면처리, 코팅 또는 확산 입자의 부가하여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라이트 커버(92)는 전체적으로 상기 라이트 케이스(9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커버(92)의 하단에는 상기 케이스 안착부(911)와 대응하는 커버 안착부(9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안착부(921)와 케이스 안착부(911)는 서로 접하여 포개어 질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라이너(314)에 결합 장착되거나 별도의 스크류에 의해 상기 라이트 커버(92)와 라이트 케이스(91)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안착부(921)의 상단에는 커버 연장부(9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연장부(922)는 상기 엘이디 수용부(912)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엘이디 수용부(912)를 후방에서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연장부(922)의 내측면에는 모듈 장착홈(9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장착홈(923)은 상기 엘이디 수용부(912)에 형성된 모듈 장착홈(913)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기판(931)은 양측의 상기 모듈 장착홈(913,923)에 의해서 양단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안착부(921)의 상단에는 커버 가이드부(9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는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의 내측에서 유동되는 냉기를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는 상기 반사부(914)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반사부(914)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의 곡률은 상기 반사부(914)의 곡률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에서 상기 도어부(31)의 후면 즉, 상기 도어 라이트(90)로 향하는 냉기는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를 통하여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는 상기 서랍부(32)보다 상방에 위치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로어 가이드부(315b)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므로 어퍼 가이드부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의 하단과 상기 커버 연장부(922)의 상단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연장부(922)는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의 하단보다 더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 연장부(922)와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의 단차는 상기 도어 커버(315)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 커버(315)의 상단은 상기 커버 연장부(922)에 안착되며, 상기 커버 연장부(922)의 상단은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를 따라서 하방으로 안내되는 공기는 상기 도어 커버(315)를 따라서 하방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커버(315)는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 연장부(922)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도어 라이트(90) 내측에 구비된 엘이디 모듈(93)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엘이디 모듈(9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도어 커버(315) 상단에 의해 차폐되어 직접 고내측으로 향하지 않게 되며, 상기 반사부(914)에서 반사된 빛이 면광의 형태로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을 비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의 상단은 상기 서랍부(32)의 상단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상방을 지나면서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를 향하여 유동될 때 다른 구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를 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의 후벽면에 형성되는 상기 토출구(123b)는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와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토출구(123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온전히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로 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의 후면 즉, 상기 도어 커버(315)와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를 통해 안내되는 냉기는 모두 상기 도어부(31)의 배면과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의 사이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어 커버(315)의 상단에는 상기 도어 라이트(90)와 이격되거나 개구되어 상기 도어 커버(315)에 의해 차폐되는 상기 구동장치 장착부(314a)의 내측으로 냉기가 일부 유입되도록 하는 커버 입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커버(315)의 하단에는 커버 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에 의해 안내되는 냉기가 상기 구동장치(40)를 직접 냉각한 후 상기 서랍부(32)의 하방으로 유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커버 출구는 상기 도어 개구(315c)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장치(40)의 구성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장치(40)는 모터 어셈블리(60)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의 양측에 배치되며, 샤프트(41)에 의해 연결되는 스크류 어셈블리(50), 그리고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에 연결되는 레버(42), 그리고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는 상기 도어부(31)의 좌우 양측 중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동 모터(64)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60)의 구동에 의해 양측의 스크류 어셈블리(50) 및 레버(42)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는 다수의 기어의 조합을 통해 감속 및 전달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의 상단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를 좌측에서 우측 즉 가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샤프트(4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41)의 회전을 위해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의 내부에는 다수의 기어들이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는 상기 도어부(31)에 장착될 때 함몰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구동 모터(64)와 기어들이 상하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특히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의 두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좌우측 방향 폭을 넓게 하고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를 구성하는 상기 구동 모터(64)는 상기 서랍부(32) 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부(31)의 함몰 깊이를 최소화하여 단열 성능을 보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41)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게 되며, 양단이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의 동력을 동시에 양측에 배치된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41)는 동력 전달부재라 부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샤프트(41)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를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41)의 중앙에는 샤프트 구동 기어(4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 구동 기어(411)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60) 내부의 기어들과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41)의 양단에는 샤프트 기어(4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기어(412)는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와 기어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양측의 샤프트 기어(412)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41)의 회전시 동일한 회전력이 양측의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로 전달되어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가 동시에 동작되고, 동일한 동작 상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의 상단은 상기 샤프트(4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 기어(412)의 기어 결합되어 동력이 전달되어 스크류(52)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크류(52)에는 상기 샤프트 기어(412)와 교차하게 기어 결합되는 베벨기어 형상의 스크류 기어(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52)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52)를 따라서 스크류 홀더(56)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홀더(56)에는 상기 레버(42)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 홀더(56)의 이동에 따라 상기 레버(42)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의 상단은 외측을 향하고 하단은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양측의 스크류 어셈블리(50)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양측에 위치된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의 사이에 상기 모터 어셈블리(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양측에 배치된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사이의 거리가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에 구비되는 스크류(52)는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와 동일한 방향에 배치되며, 좌우 양측의 스크류(52)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홀더(56)는 상기 스크류(5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52)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스크류 홀더(56)과 연결된 상기 레버(42)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를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와 레버(42) 및 커넥팅 어셈블리(70)는 모두 좌우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레버(42)는 동일한 각도로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레버(42)는 상기 스크류 홀더(56)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양단은 각각 스크류 홀더(56)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 홀더(56)의 직선 운동시 상기 레버(42)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는 커넥터 브라켓(43)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가 상기 도어부(31) 상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상기 승강장치(80)로 효과적인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상기 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커넥팅 어셈블리와 레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레버(42)는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42)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레버(42)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막대 또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회전 축에서부터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의 홀더 돌기(591)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레버(42)는 커넥팅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제 1 연장부(421)와 상기 스크류 홀더(56)에 연결되는 제 2 연장부(423) 그리고, 상기 제 1 연장부(421)와 제 2 연장부(423)를 연결하는 중간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421)와 제 2 연장부(423)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중간부(422)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422)의 경사에 의해 상기 제 1 연장부(421)는 상기 제 2 연장부(423) 보다 더 후방에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곡된 레버(42)의 구조와 형상에 의해 상기 레버(42)에 많은 힘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레버(42)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42)는 무거운 식품이 안차된 승강장치(80)의 승강 시에도 안정적인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422)의 경사로 인해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와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된 상기 스크류 홀더(56)의 사이를 상기 레버(42)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연장부(421)에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레버 고정부재(75)와 연결되기 위해 제 1 레버홀(4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레버홀(424)은 상기 레버 고정부재(75)의 일측과 대응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개구되고, 상기 레버 고정부재(75)와 결합되어 상기 레버(42)의 회전시 상기 레버 고정부재(75) 또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장부(421)에는 상기 레버 돌기(4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돌기(425)는 상기 제 1 레버홀(424)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중간부(422)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돌기(425)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연결부재(73)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42)의 회전력은 상기 제 1 레버홀(424)과 더불어 상기 레버 돌기(425)에 의해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로 전달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승강장치(80)로 전달되어 상기 승강장치(80)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장부(423)에는 상기 스크류 홀더(56)의 홀더 돌기(591)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레버홀(4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레버홀(426)은 상기 홀더 돌기(59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 홀더(56)의 승강에 따라 상기 홀더 돌기(591)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연장부(423)의 연장 방향으로 장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 홀더(56)가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홀더 돌기(591)는 상기 제 2 레버홀(426)의 좌측단에 위치되고, 상기 스크류 홀더(56)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홀더 돌기(591)는 상기 제 2 레버홀(426)의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4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42)의 일측단 즉, 상기 제 1 연장부(421)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내측에는 상기 레버(42)와 상기 승강장치(8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7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73)는 고정 샤프트(77)에 의해 상기 레버 고정부재(75)와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레버(42)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레버 돌기(425) 및 시저스 돌기(841b)와 연결되어 보다 큰 힘이 상기 승강장치(8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를 보다 효과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64)를 하나만 이용하면서도 충분히 식품이 안착된 상태의 승강장치(80)를 승강 동작시킬 수 있으며,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는 커넥팅 케이스(71)와 커넥팅 커버(72)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 고정부재(75)와 상기 연결부재(73)가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는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와 상기 커넥팅 커버(72) 그리고 연결부재(73)와 푸시부재(74), 레버 고정부재(75) 및 탄성부재(7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넥팅 케이스(71)는 일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레버 고정부재(75)와 연결부재(73)와 푸시부재(74) 그리고 상기 레버(42)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의 내부에는 관통구(7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712)와 대응하는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의 외측면에는 외부 고정부재(78)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 고정부재(75)는 상기 커넥팅 케이스(71) 내부의 공간에 수용되며, 탄성부재(76)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는 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 고정부재(75)의 중앙에는 상기 레버(42)의 제 1 레버홀(424)과 상기 관통구(712)를 차례로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외부 고정부재(78)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샤프트(77)는 상기 연결부재(73)의 제 1 연결부(731)를 관통한 후 상기 레버 고정부재(75)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샤프트(77)의 양단에는 결합부재(771,772)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771,772)의 체결에 의해서 상기 고정 샤프트(77)에 상기 레버 고정부재(75)와 상기 외부 고정부재(78) 그리고 연결부재(73)가 각각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버 고정부재(75)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고정 샤프트(77)에 의해 연결된 연결부재(73) 또한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73)와 상기 레버 고정부재(75)의 사이에는 탄성부재(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6)는 상기 연결부재(73)의 이동시 압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탄성부재(76)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 고정부재(75)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연결부재(73)의 연결 지지부(734)에 타단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의 공간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고정 샤프트(77)의 안내에 의해 상기 공간 내부에서 삽입되거나 돌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연결부재(73)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고정 샤프트(77)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레버(42)의 회전축과 동심을 가지는 제 1 연결부(731)와, 상기 제 1 연결부(731)와 이격되며, 상기 레버 돌기(425)가 삽입되는 제 2 연결부(732)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731)와 제 2 연결부(732)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7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731)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의 내측으로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이 삽입되되어,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731)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소정의 폭으로 돌출된 연결 지지부(7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부(734)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76)의 일단을 지지하며, 이때, 상기 탄성부재(76)의 단부는 상기 연결 지지부(734)에 접하고 상기 제 1 연결부(731)의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76)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7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지지부(734)는 상기 푸시부재(74)에 형성된 관통구(742)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푸시부재(74)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부재(74)의 누름 조작시 또는 상기 탄성부재(76)에 의한 최초 위치 복귀시 상기 연결 지지부(734)와 상기 푸시부재(74)는 접한 상태에서 함께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연결부(732)는 상기 연결부재(73) 의해 상기 제 1 연결부(731)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연결부(732)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된 일측으로는 상기 레버 돌기(425)가 삽입될 수 있으며, 개구된 다른 일측에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시저스 돌기(841b)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연결부(732)는 상기 승강장치(80)의 동작시 상기 시저스 돌기(841b) 및 레버 돌기(425)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33)는 상기 제 1 연결부(731)와 제 2 연결부(732)에 각각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과 시저스 돌기(841b)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연결부(732)가 제 1 연결부(731)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상기 승강장치(80)를 보다 용이하세 승강시킬 수 있겠지만, 상기 제 1 연결부(731)와 제 2 연결부(732)가 설정 거리 이상 떨어지게 되면, 상기 제 2 연결부(732)에 삽입되는 레버 돌기(425) 및 시저스 돌기(841b)의 이동 궤적이 상기 도어부(31)의 배면 및 상기 서랍부(32) 전면의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며, 따라서 개구된 궤적이 노출되어 외관이 좋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연결부(732)의 위치는 상기 연결부(733)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제 2 연결부(732)의 회전 궤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높이 즉, 상기 승강장치(80)의 상단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74)는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팅 커버(72)의 개구(721)를 통해 노출되어 사용자가 누름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74)는 상기 커넥팅 커버(72)의 개구(721)를 통해 노출되는 푸시부(7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741)에는 상기 제 1 연결부(731)가 관통되는 관통구(7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742)는 상기 제 1 연결부(731)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연결 지지부(734)의 외경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부(741)를 눌러 상기 푸시부재(74)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푸시부재(74)와 접하는 연결부재(73) 또한 함께 이동되어 상기 승강장치(80)와의 선택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커넥팅 커버(72)는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의 개구된 전면에 장착되며, 상기 푸시부(741)가 노출되도록 개구(7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커버(72)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커넥팅 케이스(71) 내부의 구성이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와 푸시부재(74) 및 상기 커넥팅 커버(72)의 일부는 상기 연결부재(73)의 회동 궤적만큼 절개되어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73)의 회전시 상기 연결부재(73)와 상기 커넥팅 케이스(71), 푸시부재(74) 및 상기 커넥팅 커버(72)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상기 푸시부재(74)를 조작하여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와 상기 승강장치(80)의 선태적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부(31)와 결합되는 상기 서랍부(32)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는 상기 서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서랍 본체(38)와,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및 식품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80)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내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서랍 본체(38)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한다. 상기 서랍 본체(38)는 상면이 개구된 바스켓 형상으로 내부에 식품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후면은 경사면(3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기계실(3)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양측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316)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은 상기 서랍부(32)의 하면 양측 또는 좌우 양측면 하부의 프레임 장착부(38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프레임(316)이 상기 서랍부(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32)와 도어부(31)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인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를 위해서는 먼저 상기 도어 프레임(316)을 상기 서랍부(32)와 분리한 후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조작시켜 상기 도어부(31)를 상기 서랍부(32)와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과 상기 서랍부(32)는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한 결합 구조 또는 상기 도어 프레임(316)과 상기 서랍부(32) 사이의 형합 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하면 좌우 양측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랙(34)에 의해 상기 서랍부(32)는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입 랙(34)은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141)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시 상기 피니언 기어(141)가 회전하여 상기 인출입 랙(34)이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0)가 인출입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30)가 자동 인출입되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도어(30)를 밀거나 당겨서 인출입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인출입 랙(34)이 생략되고,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서만 인출입이 안내될 수도 이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인출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인출입 레일(33)이 장착되는 레일 장착부(3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장착부(382)는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인출입 레일(33)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다단으로 연장되는 레일로, 일단이 상기 캐비닛(10) 내측의 저장공간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레일 장착부(382)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30)의 인출입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본체(38)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판상의 금속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외장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 본체(38) 외측의 좌우 양측면에는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어 양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특히,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에 장착되는 도어 프레임(316) 및 인출입 레일(33) 등의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외측면 양측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384)가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384)는 상기 서랍 본체(38) 자체의 강도를 증가시켜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구비로 증가된 상기 도어의 중량에 대해 상기 서랍 본체(38)가 보다 견고하게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리브(384)는 양측면에 장착되는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를 지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외관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랍 본체(38) 내측의 좌우 양측면에는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며, 내측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 전면과 하면 및 후면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전면부(395a), 하면부(395b), 후면부(395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가 절곡 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의 좌우 양측단은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를 구성하는 상기 전면부(395a), 하면부(395b) 및 후면부(395c)는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거나 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에 의해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 전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은 금속 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내측의 수납 공간은 전체적으로 금속 질감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수납된 식품이 전체적으로 보다 고른 영역에서 차갑게 저장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도 우수한 냉각 성능 및 저장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를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으로 구획하는 커버 전면부(371)와, 상기 커버 전면부(371)의 상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후방 공간(S2)의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 상면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커버(37)의 장착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장치(80)가 배치되는 상기 전방 공간(S1)만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 공간(S2)은 상기 서랍 커버(37)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에는 승강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와 연결되어 상하 승강 가능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며, 좌우 양측이 균일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장치(80)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와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서랍부(32)의 전면 하부에는 서랍 개구(35)가 형성된다. 상기 서랍 개구(35)는 상기 연결부재(73)가 삽입되어 상기 승강장치(80)와 결합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 개구(35)는 상기 연결부재(73)의 회전시 상기 연결부재(73)의 회전 경로를 따라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연결부재(73)의 회전 및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에도 간섭되지 않고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승강장치(80)는 시저스 타입으로 구성되어 하강된 상태에서는 접혀진 상태가 되고, 상승된 상태에서는 펼쳐지게 되어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용기 또는 식품이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에는 서포트 플레이트(8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는 상기 용기(36)의 안착 면 또는 식품이 안착되는 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서랍부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도 15의 A부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부(32)의 전면 하단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서랍 개구(35)가 형성된다. 좌우 양측의 상기 서랍 개구(35)의 형상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서랍 개구(35)를 통해서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과 상기 시저스 돌기(841b)가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개구(35)는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과 상기 시저스 돌기(841b)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개구(35)는 중심부(351)와 궤적부(3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부(351)는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부재(73)의 제 1 연결부(731)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궤적부(352)는 상기 중심부(351)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73)의 제 2 연결부(732)가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궤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승강되는 동안에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은 상기 중심부(351) 상에서 회전되고, 상기 승강장치(80)의 시저스 돌기(841b)는 상기 궤적부(352)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상기 시저스 돌기(841b) 및 제 2 연결부(732)는 상기 중심부(351)와 궤적부(352)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랍 개구(35)의 높이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상단 즉,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의 상면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어떠한 상태에서도 상기 서랍 개구(35)가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으로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내부에 상기 승강장치(8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상기 회전축(841a)과 시저스 돌기(841b)는 상기 서랍 개구(35)를 통해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3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연결부재(73)가 상기 서랍 개구(35)의 내측으로 통해 삽입되어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과 상기 시저스 돌기(841b)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는 상기 서랍부(32)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재(74)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승강장치(80)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선택적인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의 둘레부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36) 또는 식품이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의 둘레부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 하방에 상기 승강장치(80)의 나머지 구성이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의 둘레에 의해 상기 차폐되어 깔끔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는 전방 공간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전방 공간(S1)의 하방에 구비되는 상기 승강장치(80)로 이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승강장치(80)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승강장치(80)의 구성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6은 도 15의 A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승강장치의 일 구성인 시저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면 바닥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는 전체적으로 어퍼 프레임(82)과 로어 프레임(83)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82)과 로어 프레임(83)의 사이에 배치되는 시저스 어셈블리(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어퍼 프레임(82)은 상기 서랍부(32)의 내부 전방 공간(S1)의 크기와 대응하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82)은 상기 승강장치(80) 중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와 함께 실질적으로 식품 또는 용기(36)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82)은 전체적으로 상기 어퍼 프레임(82)의 둘레 형상을 형성하는 프레임부(821)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부(821) 내측의 공간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는 구획부(8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821)와 구획부(822)는 외형 틀을 형성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므로 높은 강도가 요구되며, 따라서 상기 프레임부(821)와 구획부(822)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강도를 높이고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양단이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821) 내측면 양측에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단부가 수용되어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가이드(8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5)는 상기 구획부(822)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822)에 의해 구획된 양측의 공간(823,824)에 각각 시저스 어셈블리(8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5)는 내 마모성과 윤활성능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로 별도 성형되어 상기 어퍼 프레임(82)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5)에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슬라이딩 샤프트(842)가 관통되는 장공(825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842)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5)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공(825a)의 둘레를 따라서 소정의 폭을 가지는 슬라이드 면(825b)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면(825b)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842)가 지지되어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보다 원활하게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부(821)는 둘레를 따라서 수직하게 절곡된 테두리(821a,82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821a,821b)는 상기 프레임부(821)의 내측과 외측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5)는 상기 프레임부(821) 내측의 테두리(821b)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821) 외측의 테두리(821a)에는 테두리 홈(821c,821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홈(821c,821d)은 상기 승강장치(80)가 완전히 하강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과 시저스 돌기(841b)가 수용되는 홈으로 상기 테두리(821a)의 단부에서 상기 회전축(841a) 및 시저스 돌기(841b)와 대응하는 제 1 테두리 홈(821c)과 제 2 테두리 홈(821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82)이 완전히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로어 프레임(83)과 접하게 되는 경우 상기 로어 프레임(83)에 형성된 테두리 홈(821c,821d)과 접하여 완전한 홀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841a)과 시저스 돌기(841b)가 통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홈(821c,821d)은 상기 시저스 돌기(841b)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회전축(841a)만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841a)과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홈(821c,821d) 및 상기 회전축(841a) 및 시저스 돌기(841b)의 위치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좌우측 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서랍 개구(35)를 통해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821)는 양측의 상기 테두리(821a,821b)에 의해서 하면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821) 내측 공간 중 양단에는 시저스 고정부재(미도시, 836과 동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저스 고정부재(미도시, 836과 동일)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회전 샤프트(847)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양단부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저스 고정부재(미도시, 836과 동일) 또한 상기 회전 샤프트(847)와 지속적인 마찰이 이루어지므로 내 마모성을 가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저스 고정부재(미도시, 836과 동일)에는 상기 회전 샤프트(847)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저스 고정부재(826)는 상기 회전 샤프트(847)의 양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821) 양단에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샤프트(847)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원활하게 접히고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프레임(83)은 상기 어퍼 프레임(85)과 방향만 다를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83)은 프레임부(831)와 구획부(832)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각각 구비되는 공간(833,834)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821)의 내측 테두리(821b)에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5)가 구비되고, 외측 테두리(821a)에는 제 1 프레임 홈(831c)과 제 2 프레임 홈(831d)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821)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시저스 고정부재(8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82)이 완전히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어퍼 프레임(82)의 외측 테두리(821a)와 로어 프레임(83)의 외측 테두리(821a)가 서로 맞닿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어퍼 프레임(82)의 프레임부(821)와 로어 프레임(83)의 프레임부(821)는 서로 접하여 내부에 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폐공간의 내부에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로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승강장치(80)가 가장 낮은 상태로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구성들은 상기 어퍼 프레임(82)과 로어 프레임(83)의 프레임부(821)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프레임(82)과 로어 프레임(83) 외에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수용되는 추가의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되므로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저장 공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 또한 상기 어퍼 프레임(82) 및 또는 로어 프레임(83)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어퍼 프레임(82)과 로어 프레임(83)의 배치 공간 또한 추가로 필요하지 않게 되어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게 된다.
즉, 복잡한 시저스 방식의 상기 승강장치(80)를 배치하게 되더라도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의 두께만큼의 공간 손실이 발생할 뿐이므로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를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로어 프레임(83)의 프레임부(821) 바닥면에는 승강장치 고정부(83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 고정부(837)는 개구된 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장치(80)가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 장착될 때에 상기 서랍부(32)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의 승강장치 결합부(미도시)와 형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 안착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서로 형합되어 상기 서랍부(32)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의 동작시에도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부(32) 내부에 상기 승강장치(80)를 배치하지 않고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도구 없이 간단히 상기 승강장치(80)를 들어올려 상기 서랍부(3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는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이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와 연결되고, 각각 상기 샤프트(41)와 레버(42)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독립적으로 상기 어퍼 프레임(82)을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양측의 시저스 어셈블리(84)는 하나의 상기 구동 모터(64)와 상기 샤프트(41) 및 스크류 어셈블리(50)를 포함하는 상기 구동장치(40)의 구조 특성상 어긋나거나 편차가 발생되지 않고 동시에 동일한 높이만큼 승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무거운 하중물을 지지하는 경우에도 양측에 독립적으로 힘이 가해지는 한쌍의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에 의해 효과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는 상기 어퍼 프레임(82) 즉,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가 수평 상태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구조를 살펴보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제 1 로드(841)와, 상기 제 1 로드(841)의 양단을 연결하는 제 1 슬라이딩 샤프트(842)와, 제 1 회전 샤프트(8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로드(841)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샤프트(842) 및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847)는 상기 프레임부(821)의 내측에 수용 가능한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로드(841)는 상기 프레임부(821)의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847) 또한 상기 프레임부(821)와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로드(841)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축(841a)과 시저스 돌기(841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841a)은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847)와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841a)의 회전시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847)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843)에는 회전 보강부(843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보강부(843a)는 상기 제 1 로드(841)의 일부 및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847) 전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제 1 로드(841)의 회전시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847)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발생되는 모멘트를 견딜 수 있도록 보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보강부(843a)의 양단에는 장착홀(342b)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홀(842b)을 통과하도록 시저스 고정부재(826)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847)는 상기 로어 프레임(83)의 시저스 고정부재(82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샤프트(842)는 상기 제 1 로드(841)의 타단을 연결하며,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5)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샤프트(842)는 상기 제 1 로드(841)의 회전시 상기 어퍼 프레임(82)의 슬라이드 가이드(825)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로드(841)와 교차되도록 한쌍의 제 2 로드(844)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로드(841)와 제 2 로드(844)는 교차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시저스 축(845)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로드(844)의 양단을 연결하는 제 2 슬라이딩 샤프트(842)와 제 2 회전 샤프트(84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로드(844)와 제 2 슬라이딩 샤프트(842) 및 제 2 회전 샤프트(847) 또한 상기 프레임부(821)에 수용 가능한 형상과 배치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양측의 상기 제 2 로드(844)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2 회전 샤프트(8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847)는 상기 어퍼 프레임(82)의 시저스 고정부재(82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저스 고정부재(826)를 관통하는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847)에는 회전 부시(847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시(847a)는 상기 시저스 고정부재(826)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으며, 윤활성능과 내 마모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 2 로드(844)의 하단은 상기 제 2 슬라이딩 샤프트(84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샤프트(846)는 상기 로어 프레임(83)에 구비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35)를 관통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35)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승강장치(80)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선택적인 결합 및 동력 연결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0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와 승강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와 승강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장치(40) 또는 승강장치(80)의 서비스가 필요한 상황이나 상기 승강장치(80)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장치(40) 및 상기 승강장치(80)의 간단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도 20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와 상기 승강장치(80)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동력의 전달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레버(42) 및 상기 승강장치(80)와 연결된 상태로 특히, 상기 제 1 연결부(731)에는 상기 고정 샤프트(77)와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이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제 2 연결부(732)에는 상기 레버 돌기(425)와 상기 시저스 돌기(841b)가 삽입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장치(40)의 동작으로 상기 레버(4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 연결부(731)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시저스 어셈블리(84)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연결부(732)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의 시저스 돌기(841b)까지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승강장치(80)에는 보다 큰힘이 전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연결부(732)는 상기 제 1 연결부(73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위치되며, 따라서 상기 제 1 연결부(731)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제 2 연결부(732)에는 지렛대와 같은 모멘트가 작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1 연결부(731)에서 발생되는 모멘트보다 더 큰 모멘트가 상기 제 2 연결부(732)함께 작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더 큰 힘으로 상기 승강장치(8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는 양측에 한쌍이 배치되어 각각 동력이 전달될 수 있으므로, 보다 적은 힘으로 상기 승강장치(80)를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구동장치(40)에 의한 토크가 충분한 경우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레버(42)와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을 연결하는 단일축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 또한 하나의 시저스 어셈블리(84)의 양측에 각각 연결부재(73)가 연결되어 승강장치(80)가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냉장고(1)의 사용중 구동장치 또는 승강장치(80)의 서비스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는 도 21에서와 같이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푸시부재(74)를 눌러 상기 연결부재(73)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연결부재(73)와 상기 승강장치(8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31)를 서랍부(32)와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장치(40) 전체를 상기 서랍부(32)로부터 한번의 조작에 의해 완전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부(31)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40)의 정비가 가능할 수 있으며, 필요시 정상 동작되는 상기 도어부(31)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이때, 별도의 조립 분해 필요없이 상기 도어부(31)의 연결부재(73)를 상기 승강장치의 회전축(841a)과 상기 시저스 돌기(841b)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서로 동력 전달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도어 프레임 또는 다른 구성에 의해 견고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 결합시 상기 도어 프레임(316)의 결합 또는 분리가 작업이 추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의 도어(30)가 인출입 및 승강되는 상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2는 상기 서랍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식품의 저장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도어(20)와 도어(30)가 모두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30)를 인출입하여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30)는 상방과 하방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회전 도어(20) 또는 도어(30)의 전면에 구비된 조작부(301)를 터치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0) 하단에 구비되는 조작 장치(302)에 의한 개방 조작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1)와 조작 장치(302)가 각각 상기 도어(30)의 인출입 그리고 상기 승강 부재(35)의 승강을 개별적으로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사용자가 상기 도어(30)의 손잡이를 잡고 개방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도어(30) 중 가장 하방의 도어(30)를 개방 및 승강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방과 하방의 도어(30)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인출입 및 승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3은 상기 서랍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상기 서랍 도어의 바스켓이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상기 도어(30) 인출 조작에 따라서 상기 도어(30)는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도어(30)는 상기 인출입 레일(33)이 연장되면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30)는 사용자가 직접 당겨서 개방하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인출입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 바닥면에 구비되는 인출입 랙(34)은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141)와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도어(30)가 인출입 된다.
상기 도어(30)의 인출입 거리는 적어도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전방 공간(S1)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될 수 있는 거리까지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상기 용기 또는 식품이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도어들(20,30) 또는 상기 캐비닛(1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30)의 인출입 거리는 상기 캐비닛(10) 및/또는 도어(30)에 배치되는 인출입 감지장치(1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는 상기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되거나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자석(389)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들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부(32)의 바닥에 자석(389)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0)에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는 상기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자석(389) 위치 그리고 상기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의 상기 자석(389)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에 의해 상기 도어(30)의 인출입 상태를 판단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도어(30)가 완전히 인입되는 위치와 인출되는 위치에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30)의 인출입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회전수를 카운팅하거나, 상기 도어부(31) 배면과 상기 캐비닛(10) 전단의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30)의 인출입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64)가 구동되어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 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도어(30)가 충분히 인출되어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의 안전한 승강이 보장되는 상황에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30)가 인출되어 상기 전방 공간(S1)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하여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용기(36) 또는 저장된 식품이 다른 도어들(20,30) 또는 캐비닛(1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30)가 인출된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도어(30)가 승강을 위해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 공간(S1)이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외측으로 완전히 인출된 상태여야만 한다.
특히, 상기 전방 공간(S1)의 후단(L1)은 상기 캐비닛(10) 또는 상방의 도어(20) 전단(L2)보다 더 인출된 상태가 되어야 하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상기 캐비닛(10) 또는 상방의 도어(20) 전단(L2)보다는 더 전방에 위치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가 구동되기 위해 인출될 때 상기 서랍부(32) 전체가 완전히 인출되지 않고 도 3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간섭을 피하기 위한 위치까지만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랍부(32)의 후방 공간(S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내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서랍부(32)의 후단(L3)은 적어도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를 포함한 상기 도어(30) 자체의 무게에 더하여 수납물의 무게까지 더하여진 상태에서도 상기 인출입 레일(33) 또는 상기 도어(30) 자체의 처짐이나 파손이 없이 안정적인 인출입과 승강 동작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도어(30)의 완전한 인출이 확인된 상태에서 상승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안전 및 저장된 식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도어(30)의 인출이 확인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도어(30)의 인출 후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어(30)의 인출을 위해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해 상기 조작부(301)를 재차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3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장치(80)가 승강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어(30)가 도 24에서와 같이 완전히 인출된 상태가 될 때 까지 상기 구동장치(40) 및 승강장치(80)는 동작되지 않게 되며, 상기 승강장치(80)는 가장 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5는 상기 서랍 도어의 바스켓이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24와 같이 상기 도어(30)의 인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장치(40)가 동작되고,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에 의해 도 25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와 연결된 상태이며,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로 동력의 전달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구동장치(40)의 동작 개시와 함께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로 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승강장치(80)는 상승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80)는 지속적으로 상승되고 도 34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높이로 상승되면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허리를 과도하게 숙이지 않고도 식품 또는 용기(36)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 모터(64)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장치(8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높이 감지장치(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최대 높이와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승강장치(80)의 최저 높이 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자석(389)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에 구비되는 자석(389)을 감지하여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스위치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장치(80)가 최대 상승된 상태에서 스위치를 온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상기 승강 레일(44) 또는 상기 스크류(52)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장치(80)가 최대 상승된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64)에 가해지는 부하의 변동에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최대 상승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80)가 최대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64)는 정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 내측에 위치하지만,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이나 용기(36)는 상기 서랍부(32)의 개구된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용이한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용기(36)를 들어올리는 작업을 위해 과도하게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80)가 최대 상승된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구동장치(40)의 구동에 의해 상승되며, 적어도 상기 서랍부(32)의 상단보다는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구동 장치(80)에는 상기 용기(36)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용기(36)를 기준으로 본다면, 상기 용기(36)의 상단(H1)은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상단(H2)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상승될 수 있다. 이때의 높이는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손을 뻗어 상기 용기(36)를 들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사용에 가장 적합한 높이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서 승강되는 구조를 가지지만, 상기 승강장치(80)에 상기 용기(36)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36)가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식품 수납 작업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장치(8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은 상기 구동 모터(64)의 역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통해 서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가 하강 완료되면 도 31과 같은 상태가 되며,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 완료는 상기 높이 감지장치(1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상기 승강장치(80)가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승강장치(80)에 구비된 자석을 감지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장치(40)는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64)의 정지 후 상기 도어(30)는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닫힐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닫힐 수도 있다. 상기 도어(3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도 29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하부 저장공간(12)의 냉각 구조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6은 상기 서랍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고내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7은 상기 서랍 도어의 후면 상부에서의 냉기 유동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8은 상기 서랍 도어의 후면 하부에서의 냉기 유동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 도어(30)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의 내부는 냉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은 구획부재(124)에 의해 상하 두개의 상기 서랍 도어(30)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나뉘어질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은 이너 케이스(12)에 의해 그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의 후반부에는 상기 하부 증발기(122)가 수용되는 열교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증발기(122)는 상기 그릴팬(123)에 의해 가려질 수 있으며, 상기 그릴팬(123)에 의해 상기 서랍부(32)가 수용되는 공간과 상기 열교환 공간(121)이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팬(123)에는 송풍팬(125)이 장착되며, 상기 송풍팬(125)의 동작에 의해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으로의 냉기 공급 및 냉기의 순환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팬(123)에는 상기 송풍팬(125)의 동작시 냉기의 공급을 안내하기 위한 유로부재(12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부재(123a)는 상기 송풍팬(125)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공기가 특정 위치에서 토출 및 흡입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그릴팬(123) 또는 유로부재(123a)에는 토출구(123b) 및 흡입구(123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3b)와 흡입구(123c)는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의 후측 벽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23b)는 상기 서랍부(32)의 상단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의 도어 라이트(90) 즉,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125)의 구동에 의해 상기 토출구(123b)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서랍부(32)의 상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토출될 수 있다. 전방으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서랍부(32)의 방해를 받지 않고 상기 도어부(31)의 배면까지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는 상기 서랍부(32)의 전면 상단보다 돌출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방으로 유동되는 냉기는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에 접하여 하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부(31)의 배면 즉, 상기 도어 커버(315)와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에 의해 안내되는 냉기는 상기 도어 커버(315)와 상기 서랍부(32) 전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도어 커버(315)를 따라서 하방으로 유동되는 냉기는 상기 도어 커버(315)의 하단에 형성된 로어 가이드부(315b)에 의해 상기 서랍의 후방으로 안내된다. 상기 로어 가이드부(315b)는 상기 서랍부(32)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커버(315)를 따라서 유동되는 냉기는 상기 로어 가이드부(315b)에 의해서 상기 서랍부(32) 하방으로 안내되고, 상기 서랍부(32)의 하방을 따라 후방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서랍부(32)의 하방까지 유동된 냉기는 상기 도어 커버(315)의 하단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서랍부(32)의 하면과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의 하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후방으로 유동되며, 상기 흡입구(123c)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122)로 회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의 내측에서 유동되는 냉기는 상기 서랍부(32)의 후측 상방에서 상기 서랍부(32)를 지나 전방으로 유동되고,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을 지나 하방으로 연장된 후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을 지나 다시 흡입구(123c) 측으로 유입되어 순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를 둘레를 따라서 전체적인 냉기의 유동이 가능하며, 특히 토출구(123b)와 멀고 구조적으로 상기 도어부(31)와 접하여 냉기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은 상기 서랍부(32)의 전면 까지도 효과적으로 냉각 가능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서랍부(32)의 외측면과 내측면에는 다수의 플레이트(391,392,395)가 구비되며, 금속 소재로 된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391,392,395)를 따라 전도에 의해 상기 서랍부(32) 전체가 고르게 냉각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서랍부(32)의 내부에 용기가 수납되는 구조의 특성상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냉기 유동이 원활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상기 서랍부(32) 내부를 고르게 냉각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가이드부(315b)와 대응하는 상기 서랍부(32)의 전면 하단에 개구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를 통해서 상기 도어부(31)의 배면과 상기 서랍부(32)의 전면 사이로 유동되는 냉기 중의 일부가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로 직접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서랍부(32)에 형성되는 개구는 상기 서랍 개구(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의 개구가 상기 서랍부(32)의 전면 하단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123b)로부터 먼 상기 서랍부(32)의 내측 하부에 직접적인 냉기 공급으로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 중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상하 구획된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2)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회전식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전후로 인출입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 내부의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용기 및 식품이 상하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부 중 전방 공간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전체 영역 중 전방 공간의 영역에서 상기 승강장치(80)에 의해 식품이 승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부(31)의 일측에는 조작부(301) 또는 조작 장치(30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장치(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1) 또는 조작 장치(302)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및/또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랍부(32)에는 승강장치(8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팅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랍 도어(30)의 구성 및 구동장치(40), 승강장치(8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승강장치(80)에는 복수의 용기(3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기(361)는 김치통과 같은 밀폐 용기일 수 있으며, 다수개가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용기(361)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361)는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32)의 상방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용기(361)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회전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도어(20)와 간섭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승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 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에는 도어 라이트(9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와 로어 가이드부(315b)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사이에서 냉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인 냉기의 유동이 가능하며,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에 의해 상기 서랍부(32)의 외관이 형성되어 상기 서랍부(32) 전체가 고르게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전후 방향으로 인출되는 서랍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연속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서랍 도어(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독립적으로 인출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에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서로 연결되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전제 저장 공간 중 전방 공간(S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과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은 각각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후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 후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가 복수개로 상하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되지 않도록 하여 저장된 식품 및 용기가 상방에서 인출된 상기 서랍 도어(3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8에서는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상방에 배치된 상기 서랍 도어(30)들도 모두 인출 후 내부에 구비된 승강장치(80)가 승강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방에 위치된 상기 서랍 도어(30)들의 높이가 충분히 높다면,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기 서랍 도어(30) 또는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되는 서랍 도어(30)만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에는 도어 라이트(9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와 로어 가이드부(315b)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사이에서 냉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인 냉기의 유동이 가능하며,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에 의해 상기 서랍부(32)의 외관이 형성되어 상기 서랍부(32) 전체가 고르게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부와 하부의 저장공간은 다시 좌우 양측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2)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 하부에 구비되며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서립식 도어(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 공간은 좌우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는 구획된 각각의 상기 하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좌우 양측에 나란하게 한쌍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에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서로 연결되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전제 저장 공간 중 전방 공간(S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전술한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승강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상기 서랍 도어(30) 내측의 식품 또는 용기에 접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에는 도어 라이트(9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가이드부(924)와 로어 가이드부(315b)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사이에서 냉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인 냉기의 유동이 가능하며,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에 의해 상기 서랍부(32)의 외관이 형성되어 상기 서랍부(32) 전체가 고르게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20)
-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의 후방에 구비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커버하며, 토출구와 흡입구가 형성된 그릴팬;
상기 그릴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으로 냉기가 공급되고, 상기 저장 공간의 냉기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도록 냉기의 순환을 강제하는 송풍팬;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의 후방에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서랍부를 포함하는 서랍 도어;
상기 서랍 도어와 캐비닛을 연결하며, 상기 서랍 도어를 인출입 시키는 레일;
상기 도어부의 배면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서랍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도어 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라이트에는 상기 서랍부의 상단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서랍부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어퍼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라이트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서랍부의 가로방향 길이와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가이드부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돌출되며,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라이트는,
다수의 엘이디가 기판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라이트 모듈과,
상기 라이트 모듈이 장착되는 라이트 케이스와,
상기 라이트 케이스를 차폐하며, 투명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 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라이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라이트 커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케이스에는 상기 라이트 모듈의 기판이 삽입되며,
상기 엘이디가 상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라이트 모듈이 장착되는 모듈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케이스에는 라운드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방에 배치된 상기 라이트 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서랍부를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가이드부는 상기 서랍부의 전면과 이격되며,
상기 도어부의 배면과 상기 서랍부의 전면을 따라 냉기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와 어퍼 가이드부는 모두 상기 서랍부의 상단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에는 상기 서랍부 내부의 식품을 지지하며, 상하 승강되는 승강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에는 상기 승강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승강장치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와,
상기 아웃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부의 배면을 형성하며, 상기 구동장치가 장착되는 함몰부가 형성된 도어 라이너;
상기 아웃 케이스와 도어 라이너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
상기 도어 라이너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장치를 차폐하는 도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커버는 상기 라이트 모듈보다 더 상방까지 연장되며, 상기 라이트 모듈을 후방에서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가이드부의 하단에는 단차지게 형성된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 커버는 상기 연장부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라이트 커버 모듈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가이드부의 하단과 상기 도어 커버의 상단은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어퍼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냉기는 상기 도어 커버를 따라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커버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돌출되며,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어퍼 커버를 따라 유동되는 냉기를 상기 서랍부의 하방으로 안내하는 로어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가이드부는 상기 서랍부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는,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서랍 본체와;
상기 서랍 본체의 내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을 차폐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금속소재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인출입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후방에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서랍부;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가 이격 상태로 결합도록 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부의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서랍부의 상단보다 더 상방에 형성되어 냉기를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 사이로 안내하는 어퍼 가이드부; 및
상기 도어부의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서랍부의 하단보다 더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어퍼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된 냉기가 상기 서랍부의 하면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안내하는 로어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가이드부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돌출되며,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로어 가이드부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돌출되며,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배면에는 상기 서랍부의 상방에서 상기 서랍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도어 라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어퍼 가이드부는 상기 도어 라이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라이트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도어 라이트의 길이는 상기 서랍부의 가로 방향 길이와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2992A KR102115614B1 (ko) | 2018-08-30 | 2018-08-30 | 냉장고 |
CN201910717514.1A CN110873499B (zh) | 2018-08-30 | 2019-08-05 | 冰箱 |
EP19194359.6A EP3617634B1 (en) | 2018-08-30 | 2019-08-29 | Refrigerator |
US16/557,495 US11131500B2 (en) | 2018-08-30 | 2019-08-30 | Refrigerator including lighting unit with air guid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2992A KR102115614B1 (ko) | 2018-08-30 | 2018-08-30 | 냉장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5524A true KR20200025524A (ko) | 2020-03-10 |
KR102115614B1 KR102115614B1 (ko) | 2020-05-27 |
Family
ID=67809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2992A KR102115614B1 (ko) | 2018-08-30 | 2018-08-30 | 냉장고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131500B2 (ko) |
EP (1) | EP3617634B1 (ko) |
KR (1) | KR102115614B1 (ko) |
CN (1) | CN11087349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7646A (ko) | 2019-07-12 | 2021-0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20210007638A (ko) | 2019-07-12 | 2021-0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20210007642A (ko) | 2019-07-12 | 2021-0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
KR20210007641A (ko) | 2019-07-12 | 2021-0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
KR20210007639A (ko) | 2019-07-12 | 2021-0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20210007647A (ko) | 2019-07-12 | 2021-0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20210007644A (ko) * | 2019-07-12 | 2021-0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20210008709A (ko) | 2019-07-15 | 2021-0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
KR20210008707A (ko) | 2019-07-15 | 2021-0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
CN113503681A (zh) * | 2021-07-21 | 2021-10-15 | 江苏元隆电器有限公司 | 一种冰箱抽屉式门体防晃动装置及含有该装置的冰箱 |
CN114234527B (zh) * | 2021-12-29 | 2023-07-18 |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 冰箱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47341B2 (en) * | 2004-10-12 | 2006-12-12 | Illinois Tool Works Inc | Light assembly |
KR20100054633A (ko) * | 2008-11-14 | 2010-05-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
KR20150024144A (ko) * | 2013-08-26 | 2015-03-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20180052516A (ko) * | 2016-11-10 | 2018-05-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77678A (en) * | 1961-09-26 | 1965-04-13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Refrigerating apparatus |
JP3583876B2 (ja) * | 1996-09-30 | 2004-11-04 | 三洋電機株式会社 | 貯蔵庫のフリーザ容器 |
US6062037A (en) * | 1997-05-29 | 2000-05-16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ed air supply apparatus for refrigerator |
JP2001174125A (ja) * | 1999-12-20 | 2001-06-29 | Fujitsu General Ltd | 冷蔵庫 |
BR0301597A (pt) * | 2003-06-05 | 2005-03-22 | Multibras Eletrodomesticos Sa | Arranjo para distribuição de ar em compartimento freezer |
KR101212097B1 (ko) * | 2005-11-28 | 2012-12-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KR20080014559A (ko) * | 2006-08-11 | 2008-0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KR101788600B1 (ko) * | 2010-11-17 | 2017-10-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절환실을 갖는 냉장고 및 그 운전방법 |
CN108362061A (zh) * | 2011-07-31 | 2018-08-03 |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 冰箱 |
US9377238B2 (en) | 2013-03-14 | 2016-06-28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Refrigerator with a scissor-type lift mechanism |
JP6131116B2 (ja) * | 2013-06-14 | 2017-05-17 | アクア株式会社 | 冷蔵庫 |
US9435581B2 (en) * | 2014-03-26 | 2016-09-06 | Whirlpool Corporation | Interactive lighting in a refrigerator |
CN105953499B (zh) * | 2016-05-09 | 2018-10-16 |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 冷藏室风道组件及冰箱 |
US10429119B2 (en) * | 2016-07-06 | 2019-10-01 | Whirlpool Corporation | Refrigerated compartment air distribution assembly |
CN107062751B (zh) * | 2017-03-28 | 2020-01-21 |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 具有过冷却功能的制冷设备 |
-
2018
- 2018-08-30 KR KR1020180102992A patent/KR10211561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8-05 CN CN201910717514.1A patent/CN110873499B/zh active Active
- 2019-08-29 EP EP19194359.6A patent/EP3617634B1/en active Active
- 2019-08-30 US US16/557,495 patent/US11131500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47341B2 (en) * | 2004-10-12 | 2006-12-12 | Illinois Tool Works Inc | Light assembly |
KR20100054633A (ko) * | 2008-11-14 | 2010-05-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
KR20150024144A (ko) * | 2013-08-26 | 2015-03-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20180052516A (ko) * | 2016-11-10 | 2018-05-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131500B2 (en) | 2021-09-28 |
CN110873499B (zh) | 2021-08-13 |
US20200072542A1 (en) | 2020-03-05 |
EP3617634A1 (en) | 2020-03-04 |
KR102115614B1 (ko) | 2020-05-27 |
CN110873499A (zh) | 2020-03-10 |
EP3617634B1 (en) | 2021-0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025524A (ko) | 냉장고 | |
KR20190140322A (ko) | 냉장고 | |
KR102698593B1 (ko) | 냉장고 | |
KR20190112382A (ko) | 냉장고 | |
KR20200025512A (ko) | 냉장고 | |
KR102474913B1 (ko) | 냉장고 및 냉장고용 승강장치 | |
KR20190112584A (ko) | 냉장고 | |
KR20190128476A (ko) | 냉장고 | |
KR102464922B1 (ko) | 냉장고 | |
KR20230044374A (ko) | 냉장고 | |
US11656024B2 (en) | Refrigerator | |
KR102696387B1 (ko) | 냉장고 | |
KR20190114478A (ko) | 냉장고 | |
KR20200044495A (ko) | 냉장고 | |
KR102586889B1 (ko) | 냉장고 | |
KR20200140551A (ko) | 냉장고 | |
KR20200044489A (ko) | 냉장고 | |
KR20190142590A (ko) | 냉장고 | |
US11668518B2 (en) | Refrigerator draw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2464474B1 (ko) | 냉장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