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229A - Electronic apparatus and thereof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Electronic apparatus and thereof contro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229A
KR20200025229A KR1020180102260A KR20180102260A KR20200025229A KR 20200025229 A KR20200025229 A KR 20200025229A KR 1020180102260 A KR1020180102260 A KR 1020180102260A KR 20180102260 A KR20180102260 A KR 20180102260A KR 20200025229 A KR20200025229 A KR 20200025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reathing
information
exercise
rehabil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2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남훈
송창호
이인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2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5229A/en
Publication of KR20200025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2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4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respiratory characteristics
    • A63B2230/40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respiratory characteristics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Abstract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electronic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comprises: a display; a communication par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and a processor which receives the first respiratory information of a user measure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through the communication part, obtains information about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corresponding to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first respiratory information, and controls a display to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guiding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of the user by using an object which moves according to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check rehabilitation breathing information.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THEREOF CONTROL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THEREOF CONTROL METHOD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 호흡 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guiding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최근 인구 고령화와 함께 수술이 필요한 환자 수가 증가하게 됨에 따라 수술할 때 환자의 의식 및 통증을 차단하기 위해 전신마취를 사용하는 빈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With the recent aging of the population, as the number of patients requiring surgery increases, the frequency of using general anesthesia to block consciousness and pain of patients during surgery is also increasing.

여기서, 전신마취를 하면 환자의 다양한 신체의 기능 중 특히 폐의 기능이 차단된다. 이후 환자가 전신마취에서 깨어나는 경우, 차단된 폐의 기능이 온전히 돌아오지 않거나 폐의 일부가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부피가 줄어 쭈그러지는 무기폐, 폐에 염증이 생기는 폐렴, 폐포-모세혈관막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에 문제가 생기는 가스 교환 장애, 기관지 수축, 혈전에 의해 혈관이 막히는 혈전 색전증, 호흡부전 등 다양한 합병증에 걸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Here, general anesthesia blocks the function of the lungs, particularly among the various body functions of the patient. If the patient then wakes up from general anesthesia, the blocked lung does not return to full function or part of the lung does not remain inflated and the volume shrinks and collapse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cause various complications such as gas exchange disorder, bronchial contraction, thromboembolism in which blood vessels are blocked by blood clots, respiratory failure, which causes problems in the exchange of oxygen and carbon dioxide.

한편, 전신마취에서 깨어난 환자는 차단된 폐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합병증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 재활 호흡 운동을 해야 한다. 이 경우, 재활 호흡 운동을 하는 환자는 재활 호흡 운동의 호흡 타겟에 따라 재활 호흡 운동을 해야 하며, 이때 재활 호흡 운동의 호흡 타겟은 환자의 호흡 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patients who wake up from general anesthesia should perform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s to restore blocked lung function and prevent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In this case, the patient performing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should perform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ccording to the respiration target of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wherein the respiration target of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may vary depending on the respiratory ability of the patient.

다만, 재활 호흡 운동을 하는 환자는 자신의 호흡 능력과 호흡 타겟을 비교할 수 없어 자신이 재활 호흡 운동을 효과적으로 하고 있는 것인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patient doing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is not able to compare his breathing ability and respiratory target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check in real time whether he is effectively doing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또한, 환자가 재활 호흡 운동을 하는 경우에 과호흡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환자가 타인의 도움 없이 스스로 재활 호흡 운동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hyperventilation may occur when the patient performs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patient to perform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s themselves without the help of others.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가 능동적이고 효과적으로 재활 호흡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SUMMARY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need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o that a user can actively and effectively perform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제1 호흡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활 호흡 운동에 따라 이동하는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상기 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display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first respir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 object receive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obtaining information on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corresponding to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first breathing information, and moving based on the obtained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to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guiding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of the user.

여기에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제1 오브젝트 및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제2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 first object moving based on the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a second object moving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제2 호흡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오브젝트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The processor may move the first object in a first direction, and then move the first object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respi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may be changed. When receive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the second object may be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bject is moved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의해 결정된 속도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수신된 제2 호흡 정보에 의해 결정된 속도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Here,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move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speed and distance determined by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based on the speed and distance determined by the received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The second object may be moved.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오브젝트가 상기 제1 오브젝트와 오버랩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performs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ased on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second object with the first object.

한편,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에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제3 오브젝트 및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제4 오브젝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object fixedly displayed at a position determined based on the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a fourth object moving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제2 호흡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오브젝트를 상기 제3 오브젝트가 표시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Here, when the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third object is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You can move it to the marked position.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4 오브젝트가 상기 제3 오브젝트와 오버랩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processor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performs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ased on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fourth object with the third object.

한편,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an object for providing an animation effect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한편, 상기 사용자의 제1 호흡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최대 흡기압력, 최대 호기압력, 흡기량 및 호기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재활 호흡 운동은, 인스피로메트리(inspirometry) 운동, 기침 운동 및 심호흡(deep breathing) 운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espi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a maximum exhalation pressure, an inspiratory amount, and an exhalation amount of the user, and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may include an inspirometry exercise, a cough exercise,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eep breathing exercis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외부 전자 장치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제1 호흡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1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활 호흡 운동에 따라 이동하는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based on the step of receiving the first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in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based on the received first breathing information Acquiring information on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corresponding to the user 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guiding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of the user using an object moving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It includes a step.

여기에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제1 오브젝트 및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제2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 first object moving based on the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a second object moving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여기에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제2 호흡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오브젝트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ing of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moving the first object in a first direction, and then moving the first object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f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moving the second objec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bject is moved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여기에서,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의해 결정된 속도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2 호흡 정보에 의해 결정된 속도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moving of the first object may include moving the first object based on a speed and a distance determined by a target breath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moving the second object may include: The second object may be moved based on the speed and the distance determined by the received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한편,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오브젝트가 상기 제1 오브젝트와 오버랩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ing of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performs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ased on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second object with the first object.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능동적이고 효과적인 재활 호흡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맞는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described above,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suitable for a user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may perform an active and effectiv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한편,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쉽고 편리하게 재활 호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y providing a user interface to guide the user's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check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information.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재활 호흡 운동시 발생할 수 있는 과호흡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폐 기능을 효과적으로 회복시켜 합병증의 발병율을 낮출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prevent over-breathing that may occur during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s, and can effectively restore the lung function of the user to lower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 호흡 운동의 타겟 호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 호흡 운동을 가이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 guide for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target breathing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moving an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user interface for guiding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inventive concep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ques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 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As used herein, the expression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and the like may modify various components, regardless of order and / or importance. It is used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components and does not limit the components.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expression "A or B," "at least one of A or / and B," or "one or more of A or / and B", and the like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items listed together. .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includes (1) at least one A, (2) at least one B, Or (3) both of cases including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본 개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singular encompasses the plural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consist"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One component (such as a first component) i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 to" to another component (such as a second component) or " When referred to as "connected to,"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ny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the component and the It may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exists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The expression "configured to"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for example, be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depending on the context. , "" Designed to, "" adapted to, "" made to, "or" capable of. " The term "configured to" may not necessarily mean only "specifically designed to" in hardware. Instead, in some situations, the expression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can” along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For example, the phrase “processor configured (or configured to) perform A, B, and C” may be executed by executing a dedicated processor (eg, an embedded processor) to perform the operation, or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in a memory device. It may mean a general-purpose processor (eg, a CPU or an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corresponding operations.

본 개시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피커, 이동 전화기,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전자 액자 또는 웨어러블 장치 등과 같은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smartphone, a tablet PC, a speaker, a mobile phone, a telephone, an e-book reader, a desktop PC, a laptop PC, a workstation, a server, a PDA, a portable multimediaplayer (PMP), an MP3 player, a medical device, a camera, Televisions, digital video disk (DVD) players, refrigerators, air conditioners, cleaners, ovens, microwave ovens, washing machines, air cleaners, set-top boxes, home automation control panels, security control panels, media boxes (e.g. Samsung HomeSyncTM, Apple TVTM) , Or Google TVTM), a game console (eg, XboxTM, PlayStationTM), an electronic dictionary, an electronic key, a camcorder, an electronic frame, or a wearable device. Here, the wearable device may be an accessory type (e.g. a watch, ring, bracelet, anklet, necklace, eyeglass, contact lens, or head-mounted-device (HMD)), a fabric or clothing integrated type (e.g., electronic clothing) ), Body-attached, or implantable circuitry.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 guide for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전자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for providing a guide for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s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전자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타입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devices as described above.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재활 호흡 운동은 인스피로메트리(inspirometry) 운동, 기침 운동 및 심호흡(deep breathing) 운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guiding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of the user based on the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Here,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spirometry exercise, a coughing exercise, and a deep breathing exercise.

여기에서, 인스피로메트리 운동은 사용자가 일정한 시간구간 동안 숨을 내뱉는 동작(호기)만을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숨을 들이쉬는 동작(흡기)만을 하는 운동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스피로메트리 운동은 호기 운동인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Here, the inspirometry movement may mean an exercise in which the user only exhales (expiration) for a certain time interval or only inhales (inhales) the user inhale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assumed that the inspirometry movement is an exhalation movement.

한편, 기침 운동은 사용자가 일시적인 시간 동안 숨을 내뱉는 동작(호기)을 하는 운동을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ughing motion may refer to an exercise in which the user exhales for a temporary time (exhalation).

한편, 심호흡 운동은 사용자가 일정한 시간 동안 숨을 내뱉는 동작(호기)과 사용자가 숨을 들이쉬는 동작(흡기)을 순차적으로 하는 운동을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ep breathing exercise may refer to an exercise in which the user exhales for a predetermined time (expiration) and the user inhales (inhale) sequentially.

외부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사용자의 호흡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may measure the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breath of the user, and transmit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이를 위해, 외부 전자 장치(200)는 호흡부(미도시), 센서(미도시), 제어부(미도시) 및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may include a breathing unit (not shown), a sensor (not shown), a controller (not shown), and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외부 전자 장치(200)의 호흡부는 튜브 등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호흡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호흡부를 통해 호흡을 외부 전자 장치(200)로 불어 넣을 수 있다.The breathing unit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as a tube or the like to receive breathing of the user from the user. That is, the user may blow breath in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through the breathing unit.

외부 전자 장치(200)의 센서는 사용자의 호흡이 제공되면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호기압력 및 흡기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절대압 방식, 게이지압 방식, 차압 방식 등으로 호기압력 및 흡기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When the user's breath is provided, the sensor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may detect the exhalation pressure and the intake pressure from the user's breath. Here, the sensor may detect the exhalation pressure and the intake pressure by an absolute pressure method, a gauge pressure method, a differential pressure method and the like.

외부 전자 장치(200)의 제어부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호기압력 및 흡기압력의 변화로부터 호흡 시간을 판단하고, 호흡시간 동안에 감지된 호기압력 및 흡기압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최대 흡기압력, 최대 호기압력, 흡기량 및 호기량 중 적어도 하나(이하 호흡 정보라 한다)를 측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determines the breathing time from the change in the exhalation pressure and the intake pressure sensed by the sensor, and the user's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and the intake amount from the exhalation pressure and the inspiratory pressure detected during the breathing time. And at least one of the aerobic volu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spiration information).

외부 전자 장치(200)의 통신부는 측정된 호흡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전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는 와이파이 칩, NFC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may transmit the measured respiration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Here, the communication unit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Fi chip, an NFC chip, a Bluetooth chip,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한편,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응되는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재활 호흡 운동에 따라 이동하는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es the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and provides information on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corresponding to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breathing information. A user interface for guiding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of the user may be displayed using an object that is acquired and moves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가이드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재활 호흡 운동을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may receive a guide for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in real time through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perform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guide for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통신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display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nd a processor 130.

디스플레이(11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110 may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display 110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guiding a user's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외부 전자 장치(200) 또는 서버(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the communicator 12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or a server (not shown)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이 경우, 통신부(120)는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receive the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와이파이 칩, NFC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이더넷 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Fi chip, NFC chip, Bluetooth chip, wireless communication chip, Ethernet chip.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특히,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제1 호흡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제1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응되는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재활 호흡 운동에 따라 이동하는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ocessor 130 receives first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transmits the first breathing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first breathing information.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control the display 110 to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guiding the user's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using an object moving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can do.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제1 호흡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In detail, the processor 130 may receive the first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이때, 사용자의 제1 호흡 정보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로서,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최대 흡기압력, 최대 호기압력, 흡기량 및 호기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respi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information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corresponding to the user, and the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inspiratory amount, and exhalation amount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are measured. It may includ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신 마취를 한 경우, 이후의 회복 과정에서 사용자는 재활 호흡 운동이 요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가 전신 마취를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의 호흡에서 호기압력 또는 흡기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호기압력 또는 흡기압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최대 흡기압력, 최대 호기압력, 흡기량 및 호기량 등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전자 장치(20)는 사용자의 최대 흡기압력, 최대 호기압력, 흡기량 및 호기량 등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user has general anesthesia, the user may requir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s during subsequent recovery. Accordingly, before the user performs general anesthesia,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detects the exhalation pressure or the intake pressure in the user's breath, and detects the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The intake air amount, the exhalation amount, etc. can be measured. In addition,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maximum intake pressure,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the intake amount, and the exhalation amount of the user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제1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응되는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재활 호흡 운동은 인스피로메트리 운동, 기침 운동 및 심호흡 운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130 may obtain information on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corresponding to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first breathing information. Here,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spirometry exercise, coughing exercise and deep breathing exercise.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기정의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호흡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 대응되는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기정의된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최대 흡기압력, 최대 호기압력, 흡기량 및 호기량 등을 입력으로 하여, 재활 호흡 운동을 위한 타겟 호흡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계된 모델일 수 있다. 여기에서, 타겟 호홉에 대한 정보는 시간에 따른 호기압력 또는 흡기압력을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processor 130 may obtain information on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corresponding to the user through the first breathing information using a predefined algorithm. In this case, the predefined algorithm may be a model design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a target breath for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y inputting a user's maximum intake pressur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intake amount, and exhalation amount. Here, the information on the target hop hop may include the exhalation pressure or the intake pressure over time.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수신된 제1 호흡 정보를 기정의된 알고리즘 모델에 입력하여, 인스피로메트리 운동에서 요구되는 시간에 따른 호기압력에 대한 정보, 기침 운동에서 요구되는 최대 호기압력에 대한 정보 및 심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시간에 따른 호기압력 및 흡기압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inputs the first breath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into a predefined algorithm model, and provides information on exhalation pressure according to time required for inspirometry movement and coughing. Information on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required for the exercise and the exhalation pressure and the intake pressure according to the time required for the deep breathing exercise can be obtained.

한편,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제1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30 may store information on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obtained based on the received first breathing information in a memory (not shown).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인스피로메트리 운동, 기침 운동 및 심호흡 운동 별로, 획득된 재활 호흡 운동을 위해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대한 정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3,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formation about target respiration required for the acquired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for each inspirometry exercise, coughing exercise, and deep breathing exercise will be described. .

도 3의 (a) 내지 (c)는, 전신마취를 하기 전의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제1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정보 즉, 재활 호흡 운동을 위해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대한 정보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A) to (c) of Figure 3, the target information required for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that is, information o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obtained based on the first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from the user's breathing before general anesthesia The graph shows the information on breathing.

도 3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을 위해, 인스피로메트리 운동에서 요구되는 시간에 따른 호기압력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호기압력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여 시간 T1에서 호기압력 P1를 갖고, 시간 T2에서 최대 호기압력인 P2를 갖고, 이후 호기압력이 시간에 따라 감소하여 시간 T3에서 호기압력 P3를 갖는다. 이때, 전체 시간 구간에서 압력을 적분하여 호기량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인스피로메트리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은 시간에 따른 호기압력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a), for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of the user, it shows the exhalation pressure over time required in the inspirometry exercise. In this case, the exhalation pressure increases with time to have an exhalation pressure P1 at time T1, to have a maximum exhalation pressure P2 at time T2, and then the exhalation pressure decreases with time to have exhalation pressure P3 at time T3. At this time, the aerobic amount can b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pressure over the entire time interval. Here, the target breath required in the inspirometry exercise may be the exhalation pressure over time.

도 3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을 위해, 기침 운동에서 요구되는 시간에 따른 호기압력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기침 운동에서는 호기압력이 시간에 따라 일시적으로 증가하였다 다시 감소하게 되는데, 시간 T에서 최대 호기압력 P를 갖는다. 이때, 전체 시간 구간에서 압력을 적분하여 호기량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기침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은 최대 호기압력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b), for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of the user, it shows the exhalation pressure according to the time required in the coughing exercise. In this case, in the coughing movement, the exhalation pressure temporarily increases with time and then decreases again, and has a maximum exhalation pressure P at time T. At this time, the aerobic amount can b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pressure over the entire time interval. Here, the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coughing exercise may be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도 3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을 위해, 심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시간에 따른 호기압력 및 흡기압력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호기압력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여 시간 T1에서 호기압력 P1를 갖고, 시간 T2에서 최대 호기압력인 P2를 갖는다. 이후, 호기압력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여 시간 T3에서 호기에서 흡기로 바뀌게 되는 흡기압력 P3를 갖고, 시간 T4까지 흡기압력이 증가하여 시간 T4에서 최대 흡기압력 P4를 갖는다. 그리고, 다시 흡기압력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이때, 호기구간에 대해 호기압력을 적분하여 호기량을 얻을 수 있으며, 흡기구간에 대해 흡기압력을 적분하여 흡기량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심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은 시간에 따른 호기압력(또는 흡기압력)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c), for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of the user, the exhalation pressure and inspiratory pressure according to the time required in the deep breathing exercise is shown. In this case, the exhalation pressure increases with time and has an exhalation pressure P1 at time T1, and has a maximum exhalation pressure P2 at time T2. Thereafter, the exhalation pressure decreases with time and has an intake pressure P3 which is changed from inhalation to intake at time T3, and the intake pressure increases up to time T4 to have a maximum intake pressure P4 at time T4. Then, the intake pressure again decreases with time. At this time, the amount of exhalation can b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exhalation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exhalation section, and the amount of inspiration can b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intake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intake section. Here, the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deep breathing exercise may be an exhalation pressure (or intake pressure) over time.

이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기정의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호흡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 대응되는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s such, the processor 130 may obtain information on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corresponding to the user through the first breathing information by using a predefined algorithm.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재활 호흡 운동에 따라 이동하는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controls the display 110 to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guiding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of the user using an object moving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o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can do.

일 실시 예로서, 유저 인터페이스는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제1 오브젝트 및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제2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 first object moving based on the target breath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a second object moving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기초하여 제1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cessor 130 may move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제1 오브젝트를 문자, 기호, 숫자, 도형 및 그래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110)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브젝트는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시간에 따른 호기압력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요소가 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130 may visually display the first object on the display 110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character, a symbol, a number, a figure, and a graphic image. In this case, the first object may be an element that visually represents the exhalation pressure according to the time required for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호기압력에 대응되는 위치(예: x축상 좌표값)에 제1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first object at a position (eg, an x-axis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required for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시간이 경과하여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호기압력이 변경되면, 변경된 호기압력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1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xhalation pressure required for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is changed over time, the processor 130 may move the first object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exhalation pressure.

한편, 프로세서(130)는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30 may move the second object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제2 오브젝트를 문자, 기호, 숫자, 도형 및 그래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110)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오브젝트는 재활 호흡 운동에서 측정되는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호흡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요소가 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130 may visually display the second object on the display 110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character, a symbol, a number, a figure, and a graphic image. In this case, the second object may be an element that visually represents the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time measu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호흡에서 측정된 호기압력에 대응되는 위치(예: x축상 좌표값)에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second object at a position (eg, x-axis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measured in the user's breath.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시간이 경과하여 사용자의 호흡에서 측정된 호기압력이 변경되면, 변경된 호기압력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2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exhalation pressure measured in the user's breath changes over time, the processor 130 may move the second object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exhalation pressure.

한편, 프로세서(130)는 제1 오브젝트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제2 호흡 정보가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제2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오브젝트를 제1 오브젝트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or 130 may move the first object in a first direction and then move it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may be stored. When receive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e second object may be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bject moves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이때, 사용자의 제2 호흡 정보는 사용자가 재활 호흡 운동을 하는 경우에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사용자의 호흡에서 측정되는 정보로서, 사용자의 최대 흡기압력, 최대 호기압력, 흡기량 및 호기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is information measured in the user's breathing in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when the user performs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includes the user's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intake amount and exhalation amount, etc. can do.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가 전신 마취에서 깨어난 후, 사용자의 호흡에서 호기압력 및 흡기압력으로부터 감지하고, 측정된 호기압력 및 흡기압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최대 흡기압력, 최대 호기압력, 흡기량 및 호기량 등을 측정할 수 있고, 이후, 외부 전자 장치(20)는 사용자의 최대 흡기압력, 최대 호기압력, 흡기량 및 호기량 등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detects from the exhalation pressure and the inspiratory pressure in the user's breath after the user wakes up from general anesthesia, and the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and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of the user from the measured exhalation pressure and the inspiratory pressure The intake amount, the exhalation amount, and the like may be measured,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maximum intake pressure,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the intake amount, and the exhalation amount of the user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한편, 제1 방향은 x축상 좌표값이 증가하는 (+) 방향이고, 제2 방향은 x축상 좌표값이 감소하는 (-) 방향이라 가정한다.On the other hand,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direction is a (+) direction in which the x-axis coordinate value increases, and the second direction is a (-) direction in which the x-axis coordinate value decreases.

한편, 프로세서(130)는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의해 결정된 속도 및 거리에 기초하여 제1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고, 수신된 제2 호흡 정보에 의해 결정된 속도 및 거리에 기초하여 제2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30 moves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speed and distance determined by the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moves the second object based on the speed and distance determined by the received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You can move it.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따라 제1 오브젝트의 속도 및 거리를 결정하여 제1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2 호흡 정보에 따라 제2 오브젝트의 속도 및 거리를 결정하여 제2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Here, the processor 130 may move the first object by determining the speed and distance of the first object according to the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speed and distance of the second object according to the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and move the second object.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제1 오브젝트 및 제2 오브젝트를 각각 다른 속도 및 거리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cessor 130 may move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ccording to different speeds and distances, respectively.

한편 다른 실시 예로서, 유저 인터페이스는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에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제3 오브젝트 및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제4 오브젝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오브젝트는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최대 호기압력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요소가 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object fixedly displayed at a position determined based on the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a fourth object moving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have. In this case, the third object may be an element that visually indicates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required for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즉, 프로세서(130)는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기초하여 제3 오브젝트를 고정적인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That is,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third object at a fixed position based on the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최대 호기압력에 대응되는 위치(예: x축상 좌표값)에 제3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third object at a position (eg, an x-axis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required for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여기에서, 제3 오브젝트는 문자, 기호, 숫자, 도형 및 그래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110)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Here, the third object may be visu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letter, a symbol, a number, a figure, and a graphic image.

한편, 프로세서(130)는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제4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or 130 may move the fourth object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제2 호흡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제2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제4 오브젝트를 제3 오브젝트가 표시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e processor 130 displays the fourth object as a third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Can be moved to

즉, 프로세서(130)는 제4 오브젝트를 문자, 기호, 숫자, 도형 및 그래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110)에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재활 호흡 운동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최대 호기압력에 따라 제4 오브젝트를 제3 오브젝트가 표시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That is, the processor 130 visually displays the fourth object on the display 110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letters, symbols, numbers, figures, and graphic images, and according to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of the user measu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The fourth object may be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third object is displayed.

즉,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호흡에서 측정된 호기압력에 대응되는 위치(예: x축상 좌표값)에 제4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시간이 경과하여 사용자의 호흡에서 측정된 호기압력이 변경되면, 변경된 호기압력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4 오브젝트를 이동시켜, 제4 오브젝트를 제3 오브젝트가 표시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That is,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fourth object at a position (eg, x-axis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measured in the user's breath. When the exhalation pressure measured in the user's breath changes over time, the processor 130 moves the fourth object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exhalation pressure, and moves the fourth object to a position where the third object is displayed. You can.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인스피로메트리 운동, 기침 운동 및 심호흡 운동 별로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user interface provided for each inspirometry exercise, coughing exercise, and deep breathing exercise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먼저, 재활 호흡 운동이 인스피로메트리 운동인 경우를 가정한다. First, it is assumed that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is an inspirometry exercise.

도 3의 (a) 및 도 4의 (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제1 오브젝트(411)를 바(bar) 형태로 디스플레이(110)의 호흡 정보 표시 영역(4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브젝트(411)의 위치는 인스피로메트리 운동을 위해 요구되는 호기압력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A and 4A,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first object 411 on the respiration information display area 410 of the display 110 in the form of a bar. Can be.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first object 411 may represent the size of the exhalation pressure required for the inspirometry movement.

프로세서(130)는 시간 T1에서 요구되는 호기압력 P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오브젝트(411)를 표시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first object 41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P1 required at the time T1.

이후, 시간이 T1에서 T2로 경과하여 인스피로메트리 운동에서 요구되는 호기압력이 P1에서 P2로 증가하게 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시간 T2에서 요구되는 호기압력 P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오브젝트(411)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time passes from T1 to T2 and the exhalation pressure required for the inspirometry movement increases from P1 to P2, the processor 130 moves to the first posi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P2 required at time T2. The object 411 may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이후, 시간이 T2에서 T3으로 경과하여 인스피로메트리 운동에서 요구되는 호기압력이 P2에서 P3으로 감소하게 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시간 T3에서 요구되는 호기압력 P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오브젝트(411)를 표시하여, 제1 오브젝트(411)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time elapses from T2 to T3 so that the exhalation pressure required for the inspirometry movement decreases from P2 to P3, the processor 130 moves the first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P3 required at time T3. The object 411 may be displayed to move the first object 411 in the second direction.

한편, 다시 도 4의 (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제2 오브젝트(412)를 구의 형태로 디스플레이(110)의 호흡 정보 표시 영역(4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오브젝트(412)의 위치는 재활 호흡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측정된 호기압력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back to FIG. 4A,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second object 412 on the respiration information display area 410 of the display 110 in the form of a sphere.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second object 412 may represent the size of the exhalation pressure measured from the breath of the user performing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프로세서(130)는 시간 T1에서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측정된 호기압력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오브젝트(412)를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second object 41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measured from the breath of the user at time T1.

이후, 프로세서(130)는 시간이 T1에서 T2로 경과하고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측정된 호기압력이 증가한 경우,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측정된 호기압력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오브젝트(412)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time elapses from T1 to T2 and the exhalation pressure measured from the user's breath increases, the processor 130 moves the second object 412 to the first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measured from the user's breath. Can be moved to

이후, 프로세서(130)는 시간이 T2에서 T3으로 경과하고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측정된 호기압력이 감소한 경우,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측정된 호기압력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오브젝트(412)를 표시하여, 제2 오브젝트(412)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time elapses from T2 to T3 and the exhalation pressure measured from the user's breath decreases, the processor 130 displays the second object 41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measured from the user's breath, The second object 412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이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인스피로메트리 운동을 위해 요구되는 호기압력에 따라 제1 오브젝트(411)를 이동시키고, 재활 호흡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측정된 호기압력에 따라 제2 오브젝트(412)를 이동시킴으로써, 인스피로메트리 운동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As such, the processor 130 moves the first object 411 accor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required for the inspirometry exercise, and the second object accor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measured from the breath of the user performing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y moving 412, inspirometry exercises can be effectively guided to the user.

다음으로, 재활 호흡 운동이 기침 운동인 경우를 가정한다. Next, assume that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is a coughing exercise.

도 3의 (b) 및 도 4의 (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제3 오브젝트(411)를 바(bar) 형태로 디스플레이(110)의 호흡 정보 표시 영역(4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3 오브젝트(411)의 위치는 기침 운동을 위해 요구되는 최대 호기압력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B and 4B,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third object 411 on the respiration information display area 410 of the display 110 in the form of a bar. Can be.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third object 411 may represent the size of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required for coughing.

프로세서(130)는 시간 T1에서 기침 운동에서 요구되는 최대 호기압력 P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 오브젝트(411)를 표시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third object 41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P required for the cough movement at the time T1.

이후, 시간이 T1에서 T2로 경과하더라도, 프로세서(130)는 기침 운동에서 요구되는 최대 호기압력 P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적으로 제3 오브젝트(411)를 표시할 수 있다.Thereafter, even if the time elapses from T1 to T2,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third object 411 fixed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P required for the coughing motion.

한편, 다시 도 4의 (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제4 오브젝트(412)를 구의 형태로 디스플레이(110)의 호흡 정보 표시 영역(4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4 오브젝트(412)의 위치는 재활 호흡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측정된 호기압력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back to FIG. 4B,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fourth object 412 on the respiration information display area 410 of the display 110 in the form of a sphere.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fourth object 412 may represent the size of the exhalation pressure measured from the breath of the user performing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프로세서(130)는 시간 T1에서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측정된 호기압력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 오브젝트(412)를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fourth object 41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measured from the user's breath at the time T1.

이후, 프로세서(130)는, 시간이 T1에서 T2로 경과하고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측정된 호기압력이 증가한 경우,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측정된 호기압력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 오브젝트(412)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time elapses from T1 to T2 and the exhalation pressure measured from the user's breath increases, the processor 130 moves the first object 412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measured from the user's breath. Can be moved in a direction.

이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기침 운동을 위해 요구되는 최대 호기압력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 오브젝트(411)를 고정적으로 표시하고, 재활 호흡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측정된 호기압력에 따라 제4 오브젝트(412)를 이동시킴으로써, 기침 운동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As such, the processor 130 displays the third object 411 fixed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required for the coughing exercise, and accor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measured from the breath of the user performing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y moving the fourth object 412, the coughing motion can be effectively guided to the user.

다음으로, 재활 호흡 운동이 심호흡 운동인 경우를 가정한다. Next, assume that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is a deep breathing exercise.

도 3의 (c) 및 도 4의 (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제1 오브젝트(411)를 바(bar) 형태로 디스플레이(110)의 호흡 정보 표시 영역(4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브젝트(411)의 위치는 심호흡 운동을 위해 요구되는 호기압력 및 흡기압력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C and 4C,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first object 411 on the respiration information display area 410 of the display 110 in the form of a bar. Can be.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first object 411 may represent the size of the exhalation pressure and the intake pressure required for the deep breathing exercise.

프로세서(130)는 시간 T1에서 요구되는 호기압력 P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오브젝트(411)를 표시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first object 41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P1 required at the time T1.

이후, 시간이 T1에서 T2로 경과하여 심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호기압력이 P1에서 P2로 증가하게 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시간 T2에서 심호흡 운동을 위해 요구되는 호기압력 P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오브젝트(411)를 표시하여, 제1 오브젝트(411)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time passes from T1 to T2 and the exhalation pressure required for the deep breathing exercise is increased from P1 to P2, the processor 130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P2 required for the deep breathing exercise at time T2. The first object 411 may be displayed to move the first object 411 in the first direction.

이후, 시간이 T2에서 T3으로 경과하여 심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호기압력이 P2에서 P3으로 감소하게 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시간 T3에서 요구되는 호기압력 P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오브젝트(411)를 표시하여, 오브젝트(411)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time elapses from T2 to T3 and the exhalation pressure required for the deep breathing exercise decreases from P2 to P3, the processor 130 moves the first object 411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P3 required at time T3. ), The object 411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이후, 시간이 T3에서 T4로 경과하여 심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흡기압력이 P3에서 P4로 증가하게 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시간 T4에서 요구되는 흡기압력 P4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오브젝트(411)를 표시하여, 제1 오브젝트(411)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time passes from T3 to T4 so that the intake pressure required for the deep breathing exercise increases from P3 to P4, the processor 130 moves the first object 411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take pressure P4 required at time T4. ), The first object 411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한편, 다시 도 4의 (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제2 오브젝트(412)를 구의 형태로 디스플레이(110)의 호흡 정보 표시 영역(4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오브젝트(412)의 위치는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측정된 호기압력 및 흡기압력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back to FIG. 4C,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second object 412 on the breathing information display area 410 of the display 110 in the form of a sphere.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second object 412 may represent the magnitude of the exhalation pressure and the intake pressure measured from the user's breath.

프로세서(130)는 시간 T1에서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측정된 호기압력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오브젝트(412)를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second object 41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measured from the breath of the user at time T1.

이후 프로세서(130)는, 시간이 T1에서 T4로 경과하는 동안,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측정된 호기압력 및 흡기압력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오브젝트(412)에 표시하여, 제2 오브젝트(412)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n, the processor 130 displays the second object 412 by displaying the second object 41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and the intake pressure measured from the user's breath while the time passes from T1 to T4. After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it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이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심호흡 운동을 위해 요구되는 호기압력 및 흡기압력에 따라 제1 오브젝트(411)를 이동시키고, 재활 호흡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호흡으로부터 측정된 호기압력 및 흡기압력에 따라 제2 오브젝트(412)를 이동시킴으로써, 심호흡 운동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As such, the processor 130 moves the first object 411 accor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and the inspiratory pressure required for the deep breathing exercise, and accor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and the inspiratory pressure measured from the breath of the user performing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y moving the second object 412, the deep breathing exercise can be effectively guided to the user.

한편, 전술한 예에서는 오브젝트를 바 형태 및 구 형태로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과녁 형태의 오브젝트가 이동하거나 고정적으로 표시되고, 화살 형태의 오브젝트가 과녁 형태의 오브젝트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고, 또한, 글러브의 오브젝트가 이동하거나 고정적으로 표시되고, 공 형태의 오브젝트가 글러브 형태의 오브젝트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오브젝트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object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bar and a sphere,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That is, the target object is moved or fixedly displayed, the arrow-shaped object is shown moving toward the target object, and the object of the glove is moved or fixedly displayed, and the ball-shaped object Of course, may be displayed as moving toward the object of the glove shape. As such, the shape of the object may be variously modified.

한편, 프로세서(130)는 제2 오브젝트가 제1 오브젝트와 오버랩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제1 오브젝트 및 제2 오브젝트가 각각 이동하는 경우에 제2 오브젝트의 위치가 제1 오브젝트의 위치와 근접한 정도에 따라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의 수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performs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ased on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second object with the first object. In detail, wh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move,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performs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position of the second object is close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object. .

이때, 프로세서(130)는 제2 오브젝트의 위치가 제1 오브젝트의 위치와 근접한 정도를 점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cessor 130 may calculate the degree to which the position of the second object is close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object as a score.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오브젝트 및 제2 오브젝트의 위치 차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 차이와 매칭되는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오브젝트 및 제2 오브젝트의 위치 차이에 따른 값들이 전자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이 수행되는 시간 동안 획득된 값을 합산하여 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calculate a position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nd obtain a value matching the calculated position difference. In this case, values according to the position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may be pre-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calculate a score by summing values obtained during the time when the user's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is performed.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4 오브젝트가 제3 오브젝트와 오버랩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performs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ased on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fourth object with the third object.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제4 오브젝트가 고정적으로 표시된 제3 오브젝트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4 오브젝트의 위치가 제3 오브젝트의 위치와 근접한 정도에 따라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의 수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fourth object moves to the third object that is fixedly displayed,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performs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ccording to the extent to which the position of the fourth object is close to the position of the third object. Can be.

이때, 프로세서(130)는 제4 오브젝트의 위치가 제3 오브젝트의 위치와 근접한 정도를 점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cessor 130 may calculate the degree to which the position of the fourth object is close to the position of the third object as a score.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3 오브젝트 및 제4 오브젝트의 위치 차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 차이와 매칭되는 값을 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오브젝트 및 제4 오브젝트의 위치 차이에 따른 값들이 전자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이 수행되는 시간 동안 획득된 값을 합산하여 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calculate a position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object and the fourth object, and obtain a value matching the calculated position difference. In this case, values according to the position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object and the fourth object may be pre-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calculate a score by summing values obtained during the time when the user's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is performed.

한편, 프로세서(130)는 산출된 점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재활 운동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performs the rehabilitation exercise based on the calculated score.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산출된 점수가 기설정된 값 미만에 해당되면 사용자가 재활 호흡 운동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산출된 점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에 해당되면 사용자가 재활 호흡 운동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that the user does not perform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if the calculated score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and if the calculated score corresponds to the preset value or more, the user performs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You can judge that.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판단된 결과를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through the display 110 to inform the determined result.

또한, 프로세서(130)는, 산출된 점수가 기설정된 값 미만에 해당되어 사용자가 재활 호흡 운동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재활 호흡 운동을 다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perform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ecause the calculated scor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processor 130 displays a user interface for allowing the user to perform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gain. Can be provided through

한편, 프로세서(130)는 제1 오브젝트 및 제2 오브젝트의 위치 차이 또는 제3 오브젝트 및 제4 오브젝트의 위치 차이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과호흡 위험을 알리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position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or the position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object and the fourth object exceeds a preset value, the processor 130 displays a user interface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risk of hyperventilation ( 110 may be provided.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재활 호흡 운동을 하는 경우 자신에게 맞는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받아 능동적이고 효과적인 재활 호흡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재활 호흡 운동을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과호흡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폐 기능을 효과적으로 회복시켜 합병증의 발병율을 낮출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user performs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 user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for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that is suitable for him and may perform an active and effectiv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breathing that may occur when the user performs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to effectively restore the lung function of the user can lower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인스피로메트리 운동, 기침 운동 및 심호흡 운동 별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providing animation effects for each of inspirometry, coughing, and deep breathing exercises will be described.

여기서, 유저 인터페이스는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ser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an object for providing an animation effect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는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사용자의 호기압력의 레벨에 따라 단계적인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an object for providing a step-by-step anim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level of exhalation pressure of the user determined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이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제2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호기압력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호기압력이 속하는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호기압력이 속한 레벨에 따라 오브젝트를 이동시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exhalation pressure of the user based on the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receive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and determine the level to which the exhalation pressure of the user belongs.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n animation effect by moving the object according to the level to which the user's exhalation pressure belongs.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호흡 정도(예: 호기압력)가 클수록 높은 레벨에 속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greater the degree of breathing (eg, exhalation pressure) of the user belongs to a higher level.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여 재활 호흡 운동이 인스피로메트리 운동인 경우에, 오브젝트는 인스피로메타(inspirometer) 형상을 갖는 이미지, 즉 오브젝트가 공이 하나씩 들어있는 3 개의 챔버로 구성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whe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is an inspirometry exercise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include.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바닥면에 위치한 3개의 공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공은 사용자의 호기압력이 속한 레벨에 대응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ree ball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At this time, each ball may correspond to the level to which the exhalation pressure of the user belongs.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호기압력이 속하는 레벨을 판단하여, 판단된 레벨에 따라 공을 이동시켜 인스피로메타 기구로 운동을 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level to which the user's exhalation pressure belongs, and provide the animation effect through the display 110 to move the bal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evel to exercise the inspirometa mechanism.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호기압력이 제1 레벨에 속하는 경우, 3 개의 챔버에 포함된 공 중 첫 번째 챔버에 포함된 공을 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사용자의 호기 압력이 제2 레벨에 속하는 경우, 3 개의 챔버에 포함된 공 중 첫 번째 챔버 및 두 번째 챔버에 포함된 공을 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사용자의 호기 압력이 제3 레벨에 속하는 경우, 3 개의 챔버에 포함된 공 모두를 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각 챔버에 포함된 공이 이동되는 정도는 사용자의 호기 압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s exhalation pressure belongs to the first level, the processor 130 moves the ball included in the first chamber upward among the balls included in the three chambers, and the exhalation pressure of the user is set to the second level. If it belongs to the level, the ball contained in the three chambers move the first chamber and the ball contained in the second chamber upwards, if the user's exhalation pressure belongs to the third level, the ball contained in the three chambers You can move them all up. At this time,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ball contained in each chambe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xhalation pressure of the user.

다음으로, 도 5의 (b)를 참조하여 재활 호흡 운동이 기침 운동인 경우에, 오브젝트는 나무의 형상을 갖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whe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is a coughing movement with reference to FIG. 5B, the object may include an image having a tree shape.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나뭇잎이 모두 붙은 상태(예: 5개)의 나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나뭇잎의 개수는 사용자의 최대 호기압력이 속한 레벨에 대응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trees in which the leaves are all attached (for example, five). At this time, the number of leaves may correspond to the level to which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of the user belongs.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호기압력이 속하는 레벨을 판단하여, 판단된 레벨에 따라 나뭇잎을 이동시켜 나뭇잎이 떨어지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level to which the user's exhalation pressure belongs, and may move the leave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evel to provide an animation effect through which the leaves fall through the display 110.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최대 호기압력이 기침 운동을 위해 요구되는 최대 호기압력에 2/5 배에 해당하는 경우, 5 개의 나뭇잎 중 2 개의 나뭇잎이 떨어지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of the user corresponds to 2/5 times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required for the coughing exercise,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n animation effect in which two leaves fall out of five leaves. .

다음으로, 도 5의 (c)를 참조하여 재활 호흡 운동이 심호흡 운동인 경우에, 오브젝트는 복수의 파티클 형상을 갖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5C, whe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is a deep breathing exercise, the object may include an image having a plurality of particle shapes.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크기의 파티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호기압력 및 흡기압력이 속하는 레벨을 판단하여, 판단된 레벨에 따라 파티클의 크기가 조절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particles of a predetermined size.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level to which the user's exhalation pressure and intake pressure belong, and provide the animation effect through which the size of the particl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evel through the display 110.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호기압력이 점차 증가하는 경우 파티클의 크기를 점차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호기압력이 점차 감조하는 경우 파티클의 크기를 점차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흡기압력이 점차 증가하는 경우 파티클의 크기를 점차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흡기압력이 점차 감조하는 경우 파티클의 크기를 점차 감소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gradually increase the size of the particle when the exhalation pressure of the user gradually increases, and gradually reduce the size of the particle when the exhalation pressure of the user gradually decreases.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gradually increase the size of the particle when the intake pressure of the user gradually increases, and may gradually reduce the size of the particle when the intake pressure of the user is gradually reduced.

한편, 이상의 애니메이션 효과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파티클이 이동하는 애니메이션 효과, 민들레 홀씨가 날아가는 애니메이션 효과, 촛불이 꺼지는 애니메이션 효과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animation effect is only one embodiment,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such as an animation effect in which particles are moving, an animation effect in which dandelion seeds fly, an animation effect in which candles are turned off.

도 6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to 8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스피로메트리 운동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가정한다.First, as shown in FIG. 6A, it is assumed that a user is determined to have performed an inspirometry exercise.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10)의 메시지 영역(610)에 “성공하셨습니다. 다음 운동을 하시겠어요?” 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cessor 130 may have “successful” in the message area 610 of the display 110. Would you like to do your next workout? ” Message can be displayed.

이와 함께,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10)의 메뉴 영역(620)에 “Y” 메뉴와 “N”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Y” menu and the “N” menu in the menu area 620 of the display 110.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Y” 메뉴가 선택되면 기침 운동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N” 메뉴가 선택되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Y” menu is selected,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coughing exercise. When the “N” menu is selected, the processor 130 may remove the user interface.

이때, “Y” 메뉴가 선택되어, 프로세서(130)가 도 6b와 같이 기침 운동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가정한다.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Y” menu is selected and the processor 130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coughing exercise as shown in FIG. 6B.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기침 운동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10)의 메시지 영역(630)에 “성공하셨습니다. 다음 운동을 하시겠어요?”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performed a coughing exercise, the processor 130 may say, “Successful in the message area 630 of the display 110. Do you want to do your next workout? ”

이와 함께,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10)의 메뉴 영역(640)에 “Y” 메뉴와 “N”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 “Y” menu and an “N” menu in the menu area 640 of the display 110.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Y” 메뉴가 선택되면 심호흡 운동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N” 메뉴가 선택되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Y” menu is selected,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deep breathing exercise. When the “N” menu is selected, the processor 130 may remove the user interface.

이때, “Y” 메뉴가 선택되어, 프로세서(130)가 도 6c와 같이 심호흡 운동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가정한다.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Y” menu is selected, and the processor 130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deep breathing exercise as shown in FIG. 6C.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심호흡 운동을 수행 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10)의 메시지 영역(650)에 “성공하셨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하시겠어요?”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He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performed a deep breathing exercise, the processor 130 has “successful” in the message area 650 of the display 110. Would you like to start again from the beginning? ”

이와 함께,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10)의 메뉴 영역(660)에 “Y” 메뉴와 “N”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 “Y” menu and an “N” menu in the menu area 660 of the display 110.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Y” 메뉴가 선택되면 인스피로메트리 운동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N” 메뉴가 선택되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Y” menu is selected,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the inspirometry exercise. When the “N” menu is selected, the processor 130 may remove the user interface.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스피로메트리 운동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가정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it is assumed that the user is determined not to perform the inspirometry exercise.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10)의 메시지 영역(710)에 “실패하셨습니다. 재도전 하시겠어요?”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cessor 130 may have “failed” in the message area 710 of the display 110. Do you want to re-challenge? ”

이와 함께,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10)의 메뉴 영역(720)에 “Y” 메뉴와 “N”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Y” menu and the “N” menu in the menu area 720 of the display 110.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Y” 메뉴가 선택되면 다시 인스피로메트리 운동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N” 메뉴가 선택되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Y” menu is selected, the processor 130 may again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the inspirometry movement. When the “N” menu is selected, the processor 130 may remove the user interface.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예를 들어,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시간, 2시간 등)이 경과하는 경우, 사용자가 재활 호흡 운동을 기설정된 횟수 미만으로 수행한 경우, 전자 장치(100)가 턴-오프 된 후 다시 턴온되는 경우, 서버로부터 확인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et event is the electronic device 100 turns when the preset time (for example, 1 hour, 2 hours, etc.) elapses, when the user performs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less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hen turned off and then turned back on, a confirmation request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er.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이벤트는 재활 호흡 운동을 한 후 기설정된 시간(2시간)이 경과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As illustrated in FIG. 8, the preset event assumes a predetermined time (2 hours) elapses after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10)의 메시지 영역(810)에 “재활 호흡 운동을 할 시간입니다. 준비되셨나요?”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cessor (130) shows the message area (810) of the display (110). Are you ready? ”

이와 함께,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10)의 메뉴 영역(820)에 “Y” 메뉴와 “N”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Y” menu and the “N” menu in the menu area 820 of the display 110.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Y” 메뉴가 선택되면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N” 메뉴가 선택되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Y” menu is selected,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When the “N” menu is selected, the processor 130 may remove the user interface.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호흡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S910) 여기서, 사용자의 호흡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2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processor 130 may receive the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S910). Here, the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is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It may mean.

다음으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따라 호흡 운동에 대한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S920) 여기서, 호흡 운동에 대한 가이드는 전신마취 전에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따라 전신마취에서 깨어난 후의 사용자에 대해 호흡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타겟 호흡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processor 130 may generate a guide for the respiratory movement according to the user's breathing information (S920). Here, the guide for the respiratory movement may be generated under general anesthesia according to the user's respiration information measured before general anesthesia. Target breathing to guide the breathing exercise to the user after waking.

다음으로, 사용자는 생성된 가이드를 확인한 후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S930) 이때, 사용자가 생성된 가이드를 저장하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S930, Y), 프로세서(130)는 생성된 가이드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Next, the user may select whether to save the generated guide after checking the generated guide. (S930) 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to save the generated guide (S930, Y), the processor 130 may select the generated guide. It can be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재활 호흡 운동을 하는 경우에 생성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S940)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 guide generated when the user performs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S940)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통신부(120), 프로세서(130), 스피커(140), 메모리(150), 입력부(160) 및 마이크(17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display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processor 130, a speaker 140, a memory 150, an input unit 160, and a microphone 170. can do.

디스플레이(110)는 영상 처리부(미도시)에서 처리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영역(또는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은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의 일면에 노출된 디스플레이(110)의 적어도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의 적어도 일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전자 장치(100)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display 110 may display image data processed by an image processor (not shown) in a display area (or display). The display area may mean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110 ex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110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a front region, a side region, and a rear reg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the form of a flexible display. The flexible display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bend, bend or roll without damage through a paper-thin and flexible substrate.

통신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어되어,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칩(121), 와이파이 칩(122), 무선통신 칩(123) 및 NFC 칩(124)를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130 to communicate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 Bluetooth chip 121, a Wi-Fi chip 122,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123, and an NFC chip 124.

프로세서(130)(또는 제어부)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or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프로세서(130)는 RAM(131), ROM(132), 그래픽 처리부(133), 메인 CPU(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135-n), 버스(136)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131), ROM(132), 그래픽 처리부(133), 메인 CPU(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be configured of a RAM 131, a ROM 132, a graphics processor 133, a main CPU 134, first to n interface 135-1 to 135-n, and a bus 136. have. In this case, the RAM 131, the ROM 132, the graphic processor 133, the main CPU 134, and the first to nth interfaces 135-1 to 135-n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bus 136. .

스피커(140)는 오디오 처리부(미도시)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를 출력하는 구성은 스피커(160)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The speaker 140 is configured to output not only various audio data on which various processing tasks such as decoding, amplification, and noise filtering are performed by the audio processor (not shown), but also various notification sounds or voice messages. In particular, the configuration for outputting audio may be implemented by the speaker 160,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implemented as an output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audio data.

메모리(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150 may store variou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메모리(15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3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50), 프로세서(130) 내 RAM(131), ROM(132)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50 may be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a volatile memory, a flash-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olid state drive (SSD). The memory 150 may be accessed by the processor 130 and read / write / modify / delete / update of data by the processor 130. The term memory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s to a memory card (not shown) mounted on the memory 150, the RAM 131 in the processor 130, the ROM 132, or the electronic device 100 (eg, a micro SD card, Memory sticks, etc.).

또한, 메모리(150)에는 디스플레이(11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영상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스피커(140)를 통해 소리로 출력될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mory 150 may store programs and data for configuring various image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110, various programs and data to be output as sound through the speaker 140, and the like.

입력부(160)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프로세서(130)로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디지털) 펜 센서 또는 키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60 may receive various user inputs and transmit them to the processor 130. The input unit 160 may include, for example, a touch panel, a (digital) pen sensor, or a key. For example, the touch panel may use at least one of capacitive, resistive, infrared, or ultrasonic methods. Also, the touch panel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circuit. The touch panel may further include a tactile layer to provide a tactile response to the user. The (digital) pen sensor may be, for example, part of a touch panel or may include a separate recognition sheet. The key may include, for example, a physical button, an optical key, or a keypad.

마이크(170)는 오디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The microphone 170 may acquire an audio signal.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외부 전자 장치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제1 호흡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1110)Referring to FIG. 11, first, first breathing information of a user measured in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may be received from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S1110)

다음으로, 수신된 제1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응되는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120) 이때, 사용자의 제1 호흡 정보는 사용자의 최대 흡기압력, 최대 호기압력, 흡기량 및 호기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활 호흡 운동은 인스피로메트리(inspirometry) 운동, 기침 운동 및 심호흡(deep breathing) 운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Next, information on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corresponding to the user may be obtained based on the received first breathing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first respi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aximum intake pressure, a maximum exhalation pressure, an intake amount and an exhalation amount of the user.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spirometry exercise, a coughing exercise, and a deep breathing exercise.

다음으로,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재활 호흡 운동에 따라 이동하는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S1130) Next,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a user interface for guiding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of the user may be displayed using an object moving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S1130)

구체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저 인터페이스는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제1 오브젝트 및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제2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저 인터페이스는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를 더 포함 할 수 있다.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 first object moving based on the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a second object moving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an object for providing an animation effect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여기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은 제1 오브젝트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외부 전자 장치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제2 호흡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제2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오브젝트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것은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의해 결정된 속도 및 거리에 기초하여 제1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것은 수신된 제2 호흡 정보에 의해 결정된 속도 및 거리에 기초하여 제2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displaying of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moving the first object in a first direction and then moving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stored in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f received from, it may include moving the second objec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bject is moved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At this time, moving the first object may move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speed and distance determined by the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Meanwhile, moving the second object may move the second object based on the speed and distance determined by the received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그리고,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은 제2 오브젝트가 제1 오브젝트와 오버랩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ing of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performs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ased on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second object with the first object.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유저 인터페이스는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에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제3 오브젝트 및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제4 오브젝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object fixedly displayed at a position determined based on the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a fourth object moving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have.

여기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은 외부 전자 장치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제2 호흡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제2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제4 오브젝트를 제3 오브젝트가 표시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ing of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moving the fourth object to a position where the third object is displayed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when the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in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t may include.

그리고,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제4 오브젝트가 제3 오브젝트와 오버랩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ing of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performs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ased on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fourth object with the third object.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부" 또는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unit” or “module” includes a unit composed of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logic, logic blocks, components, or circuits. . The "unit" or "module" may be an integrally formed part or a minimum unit or part of performing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the module may be configured as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that includes instructions stored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a, such as a computer. In addition, the device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called command, and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Under the control of a process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to perform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s, which may include code generated or executed by a compiler or interprete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where "non-transitor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does not contain a signal; Only it means that the material (tangible) data is not case that the permanently or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raded between the seller and the buyer as a product.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distributed online in the form of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TM). In the case of an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stored at least temporarily on a storage medium such as a server of a manufacturer, a server of an application store, or a relay server, or may be temporarily created.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Each component (eg, a module or a progra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be composed of a singular or plural number of objects, and some of the aforementioned subcomponents may be omitted, or various other subcomponents may be used. It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embodiment.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some components (eg, modules or programs) may be integrated into one entity to perform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performed by each corresponding component prior to integr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may b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repeatedly, or heuristically, or at least som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mitted, or another operation may be added. Can be.

100: 전자 장치 200: 외부 전자 장치100: electronic device 200: external electronic device

Claims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제1 호흡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및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활 호흡 운동에 따라 이동하는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display;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Receive first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in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btaining information on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corresponding to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first breathing information, and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to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guiding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of the user using an object moving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제1 오브젝트 및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제2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interface,
And a second object moving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first object moving based on the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제2 호흡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오브젝트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Moving the first object in a first direction and then moving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When the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bject is moved to the second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Moving accor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의해 결정된 속도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수신된 제2 호흡 정보에 의해 결정된 속도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cessor,
Move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speed and distance determined by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move the second object based on the velocity and distance determined by the received second breath inform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오브젝트가 상기 제1 오브젝트와 오버랩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cesso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performs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ased on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second object with the first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에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제3 오브젝트 및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제4 오브젝트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interface,
And a fourth object fixedly displayed at a position determined based on a target breath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a fourth object moving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제2 호흡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오브젝트를 상기 제3 오브젝트가 표시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processor,
And when the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moving the fourth object to a location where the third object is displayed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4 오브젝트가 상기 제3 오브젝트와 오버랩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cesso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performs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ased on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fourth object with the third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interface,
And an object for providing an animation effect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1 호흡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최대 흡기압력, 최대 호기압력, 흡기량 및 호기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재활 호흡 운동은,
인스피로메트리(inspirometry) 운동, 기침 운동 및 심호흡(deep breathing) 운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maximum intake pressure,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the intake amount and the exhalation amount of the user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inspirometry workout, a cough workout and a deep breathing workout.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제1 호흡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재활 호흡 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활 호흡 운동에 따라 이동하는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Receiving first breathing information of a user measured by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quiring information on a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corresponding to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first breathing information; And
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guiding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of the user using an object moving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제1 오브젝트 및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제2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user interface,
And a first object moving based on target respiration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a second object moving based on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제2 호흡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오브젝트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Moving the first object in a first direction, and then moving the first object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When the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e second object is mov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bject is moved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Comprising; step.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의해 결정된 속도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2 호흡 정보에 의해 결정된 속도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Moving the first object,
Move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speed and distance determined by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Moving the second object,
And move the second object based on the velocity and distance determined by the received second breath informa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오브젝트가 상기 제1 오브젝트와 오버랩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of the user is performed based on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second object with the first objec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재활 호흡 운동에서 요구되는 타겟 호흡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에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제3 오브젝트 및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제4 오브젝트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user interface,
And a fourth object fixedly displayed at a position determined based on target breathing required in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a fourth object moving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제16항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제2 호흡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오브젝트를 상기 제3 오브젝트가 표시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The step of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is
If the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moving the fourth object to a location where the third object is displayed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breath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trol metho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4 오브젝트가 상기 제3 오브젝트와 오버랩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활 호흡 운동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of the user is performed based on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fourth object with the third objec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측정된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기초하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user interface,
And an object for providing an animation effect based on the measured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1 호흡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최대 흡기압력, 최대 호기압력, 흡기량 및 호기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재활 호흡 운동은,
인스피로메트리(inspirometry) 운동, 기침 운동 및 심호흡(deep breathing) 운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breathing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maximum intake pressure, the maximum exhalation pressure, the intake amount and the exhalation amount of the user
The rehabilitation breathing exercise,
And at least one of an inspirometry exercise, a cough exercise, and a deep breathing exercise.
KR1020180102260A 2018-08-29 2018-08-29 Electronic apparatus and thereof control method KR202000252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260A KR20200025229A (en) 2018-08-29 2018-08-29 Electronic apparatus and thereof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260A KR20200025229A (en) 2018-08-29 2018-08-29 Electronic apparatus and thereof control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229A true KR20200025229A (en) 2020-03-10

Family

ID=6980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260A KR20200025229A (en) 2018-08-29 2018-08-29 Electronic apparatus and thereof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522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686A (en) * 2021-08-02 2023-02-0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Breathing exercise management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686A (en) * 2021-08-02 2023-02-0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Breathing exercise management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5775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user interaction
KR102519584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4493678B2 (en) GAME DEVICE, GAM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60039298A (en) Authenticated gesture recognition
KR102616403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message thereof
US20230053767A1 (en) System, game console and method for adjusting a virtual environment
KR20200025229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thereof control method
US10564608B2 (en) Eliciting user interaction with a stimulus through a computing platform
US201702465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Immersion Gaming Room
WO2023036810A1 (en) Method for detecting user input to a breath input configured user interface
US113016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ing recognition difficulty scor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WI729323B (en) Interactive gamimg system
CN111274419A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community network
JP2015133611A (en) Notification system, notification program, notification method and notification device
JP713154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535181B2 (en) Game device and program
JP2011104170A (en) Game device, operation method, and program
CN110427155B (en) Nursing method and device
WO2020073103A1 (en) Virtual reality system
KR102562814B1 (en) Device and method for change game character setting
KR1023896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mixed reality contents
KR101754789B1 (en) Method guiding and determining respiration method
WO20221953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interaction of at least two users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for a videogame
WO2022070429A1 (en) Estimation device, estimation method, and program
CN111167115A (en) Interactive gam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