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046A -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046A
KR20200025046A KR1020180101826A KR20180101826A KR20200025046A KR 20200025046 A KR20200025046 A KR 20200025046A KR 1020180101826 A KR1020180101826 A KR 1020180101826A KR 20180101826 A KR20180101826 A KR 20180101826A KR 20200025046 A KR20200025046 A KR 20200025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oot
length
paper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8750B1 (ko
Inventor
박윤우
Original Assignee
박윤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우 filed Critical 박윤우
Priority to KR1020180101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7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4Foo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기준틀에 용지를 일치시킨 상태로 용지 위에 올린 사용자의 발을 촬영하여 길이 및 너비를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발에 적합한 신발을 선별 및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은 화면에 표시되는 기준틀에 용지를 일치시킨 상태로 용지 위에 올린 사용자의 발을 촬영하여 길이 및 너비를 측정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측정된 길이 및 너비를 기반으로 신발을 추천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 기능이 활성화되면, 용지와 비율은 동일하되 크기는 다른 기준틀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기준틀 표시부와, 용지 위에 올린 사용자의 발을 촬영하여 사진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와, 기준틀의 세로 길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발 길이를 계산하여 길이 정보를 생성하고, 가로 길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발 너비를 계산하여 너비 정보를 생성하는 계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웹 서버는, 신발의 영상 정보와 사이즈 정보가 저장되는 웹 데이터 베이스와, 길이 정보 및 너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적합한 신발을 선별하여 제공하는 선별부와, 사용자가 선택한 신발의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Foot size based shoe size calculation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길이 및 너비를 측정하여 적합한 신발을 추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기준틀에 용지를 일치시킨 상태로 용지 위에 올린 사용자의 발을 촬영하여 길이 및 너비를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발에 적합한 신발을 선별 및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을 통한 신발 구매는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하는 번거로움 없이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하고 다양한 브랜드의 제품을 동시에 비교 가능하며 오프라인 매장보다 저렴한 가격 등의 장점으로 인해 다른 품목과 마찬가지로 이용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나, 물품의 배송에 시간이 걸리고 물품을 수령하여야 실제 사이즈를 직접 확인 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에 의하여 발생하는 물품의 반품 또는 교환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판매자는 온라인상에 물품의 실측 사이즈를 게시하고 물품의 실물 사진 또는 착용 사진을 게시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사람마다 발의 길이 및 너비 그리고 형태가 다양하고, 동일 사이즈로 표시된 제품들도 브랜드 등에 따라 실제 길이는 일부 차이가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발 사이즈 측정에 관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5670호의 “컴퓨터 화면상의 발 사이즈 측정방법”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8500호의 “초음파 발 사이즈 자동 측정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8288호의 “발 사이즈 측정 용지와 신발 사이즈 표시법”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9440호의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사이즈 측정 방법”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5670호의 “컴퓨터 화면상의 발 사이즈 측정방법”에는 컴퓨터의 화면에 표시되는 주민등록증 또는 CD와 실제 주민등록증 또는 CD의 크기가 일치하도록 화면 비율을 조정한 후 화면에 표시되는 예측 시작점에 자신의 발을 일치시킨 상태로 발 사이즈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8500호의 “초음파 발 사이즈 자동 측정시스템”에는 발의 형태 및 무게를 측정하는 족부판과 발의 길이, 폭, 높이를 측정하는 족부벽판과 발의 3차원 사이즈를 측정하는 초음파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측정된 발의 형태, 길이, 폭, 높이, 무게 등을 기준으로 정확한 맞춤 신발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8288호의 “발 사이즈 측정 용지와 신발 사이즈 표시법”에는 발 사이즈 측정표를 온라인으로 다운로드 한 후 출력하여 발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9440호의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사이즈 측정 방법”에는 폭과 길이가 알려진 기준 물품과 측정대상을 함께 촬영하고 각각의 최외곽 좌표값들을 도출한 후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손, 발, 얼굴 등의 신체 사이즈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명들은 발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이 표시된 용지를 출력하여야 하거나 측정 기능이 구비되는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고, 스마트폰 등의 누구나 소지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바닥과 발의 경계를 특정하는 명확한 방식을 제시하지 못하여 사이즈 측정시 오차발생 가능성이 상당한 문제가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 가능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의 발길이 및 너비에 적합한 신발을 선별하여 제공함으로써 편의를 제공함과 동시에 반품 또는 교환을 방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5670호(2005. 04. 1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8500호(2007. 01. 1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8288호(2008. 05. 0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9440호(2017. 12. 11)
본 발명에 의한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은,
사람마다 발의 길이 및 너비 그리고 형태가 다양하고, 동일 사이즈로 표시된 제품들도 브랜드 등에 따라 실제 길이는 일부 차이가 있으므로 온라인을 통한 신발 구매 시 반품 또는 교환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발명들은 눈금이 표시된 용지를 출력하여야 하거나 측정 기능이 구비되는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스마트폰 등의 누구나 소지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바닥과 발의 경계를 특정하는 명확한 방식을 제시하지 못하여 사이즈 측정시 오차발생 가능성이 상당한 문제 등이 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화면에 표시되는 기준틀에 용지를 일치시킨 상태로 용지 위에 올린 사용자의 발을 촬영하여 길이 및 너비를 측정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측정된 길이 및 너비를 기반으로 신발을 추천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 기능이 활성화되면, 용지와 비율은 동일하되 크기는 다른 기준틀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기준틀 표시부; 용지 위에 올린 사용자의 발을 촬영하여 사진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기준틀의 세로 길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발 길이를 계산하여 길이 정보를 생성하고, 가로 길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발 너비를 계산하여 너비 정보를 생성하는 계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웹 서버는,
신발의 영상 정보와 사이즈 정보가 저장되는 웹 데이터 베이스; 상기 길이 정보 및 상기 너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적합한 신발을 선별하여 제공하는 선별부; 사용자가 선택한 신발의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은,
누구나 소지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쉽게 구할 수 있는 A4 용지를 이용하므로 눈금이 표시된 용지를 출력하거나 별도의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발생하였고,
용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를 기준으로 기준틀을 형성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기준틀에 용지를 일치시킨 상태로 용지 위에 올린 사용자의 발을 촬영하며, 가로선과 세로선을 활용하여 측정범위를 지정하므로 사용자의 정확한 발길이 및 너비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였으며,
도출된 사용자의 발 길이와 너비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적합한 신발을 선별하여 제공함으로써, 편의를 제공함과 동시에 반품 또는 교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 중 사용자 단말기에 음성 인식부가 부가된 모습을 나타낸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 중 기준틀 표시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 중 계산부 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세부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의한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을 이용한 발 치수 및 발 너비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화면에 표시되는 기준틀에 용지를 일치시킨 상태로 용지 위에 올린 사용자의 발을 촬영하여 길이 및 너비를 측정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측정된 길이 및 너비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신발을 선별 및 제공하는 웹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온라인상에 배포된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하여야 하고, 설치된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자신의 발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절차를 밟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기(100)라 함은 상기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의미하며,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웹 서버(200)와 양방향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기능과 사용자의 발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기능이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전제 조건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웹 서버(200)라 함은 인터넷상에 웹 페이지를 개설하여 운영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서버를 의미하며, 인터넷상에 다양한 종류의 신발을 게시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공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양방향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기능이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전제 조건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촬영 기능이 활성화되면, 용지와 비율은 동일하되 크기는 다른 기준틀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기준틀 표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틀 표시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후 사용자가 발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메뉴 등을 선택하는 경우에만 활성화되어, 기준으로 설정된 용지의 가로 및 세로 길이에 따라 용지의 가로세로 비를 도출하고, 여기에 카메라의 해상도를 반영함으로써 용지와 가로세로 비는 동일하되 크기는 다르게 구성되는 기준틀을 생성하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기준틀은 상기 카메라와 용지 사이의 거리 및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화면상의 선이며, 일반적인 용지의 형태와 동일한 사각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각 모서리를 제외한 각 변의 일부가 생략되는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경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틀 표시부(110)는 용지의 종류에 따른 가로 및 세로 길이가 저장되는 어플 데이터 베이스(111)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카메라 해상도를 추출하는 추출부(112)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또는 입력된 용지의 가로 및 세로 길이에 추출된 카메라 해상도를 적용하여 용지와 비율은 동일하되 크기가 다른 기준틀을 형성하는 기준틀 생성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용지는 A4, B4 등으로 규격화된 용지 및 그 이외의 임의의 용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써 실생활에 주로 사용되는 A4 용지가 기준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B4 용지, B5 용지 등으로 설정 변경할 수 있고, 사용자가 용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를 측정하여 직접 입력함으로써 기준틀을 형성하기 위한 용지의 크기를 설정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플 데이터 베이스(111)에는 A4, B4 등 규격화된 용지의 가로 및 세로 길이가 기입력되어 저장되고, 사용자가 입력한 용지의 가로 및 세로 길이가 새로 저장되어 상기 기준틀 생성부(113)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추출부(112)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구비된 카메라의 해상도를 추출하여 기준틀 생성부(113)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되, 매번 해상도를 추출하는 방식 또는 최초에 추출된 해상도가 어플 데이터 베이스(111)에 저장되어 지속적으로 활용되는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용지 위에 올린 사용자의 발을 촬영하여 사진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촬영부(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구동시키고,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 중 상기 기준틀 범위 내의 화면만을 촬영하여 사진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사진 정보에 포함되는 이미지는 용지 및 용지 위에 올린 사용자의 발이다.
따라서, 상기 측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후 촬영 기능을 활성화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기준틀의 각 모서리와 용지의 각 모서리를 일치시키고 화면에 표시된 촬영 버튼 이미지를 터치하는 방식 등으로 용지 및 용지 위에 올린 사용자의 발을 촬영하여야 하며, 촬영 전 용지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일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다리 하부에 의하여 가려진 상태의 발뒤꿈치의 위치가 사진 정보에 간접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정확한 발길이 및 너비의 측정을 위하여 사용자의 발은 뒤꿈치와 일치하는 용지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지와 사용자의 발이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양말을 탈의한 상태로 사진 정보를 생성함이 바람직하나, 부득이하게 양말을 착용한 상태로 사진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용지와 사용자의 발이 명확히 구분될 수 있도록 용지의 색상과 양말의 색상이 상이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촬영부(120)는 상기 기준틀에 용지가 일치되면 자동으로 사진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로 용지 위에 올린 자신의 발을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수평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양손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파지할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기(100)의 본체에 구비되거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촬영 버튼을 터치하는 과정에서 수평 균형이 불균형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촬영부(120)는 상기 기준틀에 용지가 일치되되, 일치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자동으로 사진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위와 동일한 이유로 상기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음성 인식부(121)에 사용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촬영부(120)가 카메라를 구동하여 자동으로 사진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 인식부(121)에 의한 사용자의 음성 인식에는 공지의 음성 인식기술이 적용된다.
이때, 상기 음성 인식부(121)가 인식하는 사용자의 음성은 "촬영" 또는 "시작" 등의 단어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음성을 등록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단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새로운 단어를 지정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단어만이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기준틀의 세로 길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발 길이를 계산하여 길이 정보를 생성하고, 가로 길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발 너비를 계산하여 너비 정보를 생성하는 계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산부(130)는 가로 및 세로 길이가 공지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측정된 상태인 용지의 가로 길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발 너비를 계산하고, 용지의 세로 길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발 길이를 계산하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로써, 계산된 사용자의 발길이 및 발 너비는 사용자의 발에 맞는 정확한 신발 사이즈를 도출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된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4 용지의 사이즈는 가로 길이가 210mm, 세로 길이가 297mm이므로 상기 사진 정보에 나타난 용지의 세로 길이에 대한 사용자의 발 길이의 비율이 1:0.87이면, 1:0.87 = 297:X의 공식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정확한 발 길이를 계산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 너비를 계산하는 방식도 위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산부(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되어, 화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가로선 및 제2가로선을 생성하는 가로선 생성부(131)와 상기 제1가로선 및 상기 제2가로선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길이 정보를 생성하는 길이 계산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가로선 및 제2가로선은 각각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가로로 표시되는 직선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위치의 이동이 가능하여 어느 하나가 사진 정보에 나타난 용지 가장자리에 일치하도록 위치되고, 다른 하나가 사진 정보에 나타난 사용자의 발 전방 측 끝단에 일치하도록 위치되어 용지의 세로 길이에 대한 사용자의 발 길이의 비율을 계산하기 위한 정확한 기준이 되며,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발 길이가 측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사진 정보의 생성 전 사용자의 발뒤꿈치는 용지의 가장자리에 일치하도록 위치되므로, 상기 제1가로선 및 제2가로선 중 어느 하나를 용지의 가장자리에 일치하도록 위치시키면 사용자의 다리 하부에 의하여 가려진 상태의 발뒤꿈치의 위치가 정확하게 표시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며, 상기 길이 계산부(132)가 용지의 세로 길이에 대한 사용자의 발 길이의 비율을 계산하는 방식 등으로 제1가로선 및 제2가로선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면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발 길이가 측정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된 사용자의 발 길이는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신발구매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나, 사용자의 발 길이가 236mm, 242mm 및 273mm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에 반해 일반적인 신발의 사이즈는 235mm, 240mm 및 270mm 등 5mm의 간격으로 제한적으로 제공되므로, 272.5mm 등 특정 길이의 발 길이를 가지는 사용자는 신발의 사이즈를 선택함에 있어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측정된 사용자의 발 길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신발 사이즈를 추천하는 추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추천부는 사용자의 발 길이에 가장 근접한 신발 사이즈를 추천하되, 반드시 사용자의 발 너비를 고려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산부(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되어, 화면의 너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세로선 및 제2세로선을 생성하는 세로선 생성부(133)와 상기 제1세로선 및 상기 제2세로선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너비 정보를 생성하는 너비 계산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세로선 및 제2세로선은 각각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세로로 표시되는 직선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위치의 이동이 가능하여 어느 하나가 사진 정보에 나타난 발 우측 끝단에 일치하도록 위치되고 다른 하나가 사진 정보에 나타난 사용자의 발 좌측 끝단에 일치하도록 위치되어 용지의 가로 길이에 대한 사용자의 발 너비의 비율을 계산하기 위한 정확한 기준이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너비 계산부(134)에 의하여 사용자의 발 너비가 측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너비 계산부(134)는 용지의 가로 길이에 대한 사용자의 발 너비의 비율을 계산하는 방식 등으로 제1가로선 및 제2가로선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발 너비가 측정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발 너비는 신발 사이즈를 선택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사용자의 발 길이와 더불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나, 일반적으로 발 길이 및 발 너비에 따라 신발 사이즈를 선택하는 기준이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추천부는 사용자에게 신발 사이즈를 추천함에 있어 사용자의 발 길이뿐 아니라 발 너비를 고려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로써, 상기 추천부는 사용자의 발 길이가 272mm이면 적합한 신발 사이즈로 270mm를 최초 선택하되, 사용자의 발 너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275mm로 최종 선택하여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부는 사용자의 발 길이가 273mm이면 적합한 신발 사이즈로 275mm를 최초 선택하되, 사용자의 발 너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280mm로 최종 선택하여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부는 사용자의 발 길이가 272.5mm이면 270mm 및 275mm를 최초 선택하되, 사용자의 발 너비에 따라 270mm 또는 275mm를 최종 선택하여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치는 동일한 발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사용자의 발 너비 평균값을 말하는 것으로써, 측정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수가 늘어날수록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어 갱신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은 사용자의 발 두께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추천부에 의한 신발 사이즈의 추천에 활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발 두께의 측정방식은 사용자의 발 길이와 발 너비를 측정하는 방식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을 따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발 둘레 길이를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발 치수 및 발 너비를 측정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바닥에 규격화된 A4 용지를 내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발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메뉴 등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카메라를 활성화 시킬 수 있으며, 카메라의 활성화와 동시에 상기 기준틀 표시부(110)는 기준틀을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발뒤꿈치를 A4 용지의 가장자리에 일치시킴과 동시에 용지의 길이 방향과 발의 길이 방향을 일치시키고, 상기 기준틀의 각 변과 용지의 각 변을 최대한 일치시킨 후 촬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로선 생성부(131)는 제1가로선 및 제2가로선을 생성하고, 상기 세로선 생성부(133)는 제1세로선 및 제2세로선을 생성하여,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가로선 및 제2가로선을 각각 이동시켜 용지의 가장자리 및 발 전방 측 끝단에 일치하도록 할 수 있고 제1세로선 및 제2세로선을 각각 이동시켜 발 좌측 끝단 및 발 우측 끝단에 일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길이 계산부(132) 및 상기 너비 계산부(134)는 각각 사용자의 발 길이와 발 너비를 계산하여 도 5(d) 및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발 길이와 발 너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사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발의 외곽선을 특정하고, 특정된 외곽선을 통해 사용자의 발 길이와 발 너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부는 사용자가 직접 상기 제1가로선 및 상기 제2가로선, 상기 제1세로선 및 상기 제2 세로선을 이동시켜 발 길이와 발 너비를 측정하는 수동 측정 방식을 대신하여 자동으로 사용자의 발 길이와 발 너비를 측정하는 구성요소로써, 사용자 발의 외곽선을 특정하여 활용하며, 측정부에 의한 자동 측정 방식 및 사용자에 의한 수동 측정 방식은 서로를 보완하여 정확한 발 길이와 발 너비가 측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의 웹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계산된 사용자의 발길이 및 너비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발에 적합한 신발을 선별 및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중의 하나로써, 신발의 영상 정보와 사이즈 정보가 저장되는 웹 데이터 베이스(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웹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접속 가능한 인터넷상의 쇼핑몰을 운영하기 위한 서버로써, 다양한 종류의 신발이 게시되어 사용자 및 쇼핑몰에 접속한 다른 고객들이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발길이 및 너비를 수신하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발에 적합한 신발을 선별 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웹 데이터 베이스(210)에는 사용자 등에게 신발의 판매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다수의 신발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에 더하여 영상을 포함하여 구성 가능한 신발의 영상 정보가 저장되고, 신발의 사이즈별 길이 및 너비 등으로 구성되는 사이즈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쇼핑몰을 운영 및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 및 고객들이 작성한 게시물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웹 서버(200)는 상기 길이 정보 및 상기 너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적합한 신발을 선별하여 제공하는 선별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선별부(220)는 상기 웹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된 신발 정보 중 상기 길이 정보 및 상기 너비 정보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사이즈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신발을 선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선별부(220)에 의하여 선별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신발은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는 최적화된 신발이나 사용자의 취향은 반영되지 않은 신발이며, 이에 따라 상기 웹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된 신발의 양에 따라 과다한 양의 신발이 제공되어 사용자의 선택을 어렵게 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웹 서버(200)는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한 신발을 선별하여 제공하는 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석부는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하여 구매 확정한 신발의 디자인, 색상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할 수 있고, 설문조사 등의 방식으로 복수 개의 디자인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디자인을 분석할 수 있으며, 상기 설문조사에는 상기 디자인 등과 같은 시각 자료에 더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색상, 선호하는 신발 브랜드 등을 질문하는 질문지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웹 데이터 베이스(210)에는 사용자가 이전에 구매 확정한 신발의 영상 정보 및 사이즈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설문조사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디자인 및 질문지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분석부는 웹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된, 사용자가 구매 확정한 신발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구매 이력 분석부와, 사용자가 응답한 설문조사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는 취향 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선별부(220)가 사용자의 취향이 반영된 신발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신발의 디자인을 선택하는 방식 대신 자신이 직접 창작한 디자인을 업로드 하여 맞춤형 제작을 의뢰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 등 타인에게 자신의 디자인을 구매 제안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 등 타인으로부터 디자인의 판매를 제안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웹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등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하여 본 발명의 사용자 간 소통이 가능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디자인에 관한 판매 제안 및 구매 제안은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를 통해 진행되거나 본 발명의 관리자가 제공하는 별도의 게시판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은 사용자가 신발의 디자인을 선택 또는 창작한 디자인을 업로드하여 맞춤형 제작을 의뢰 가능하되 선택한 신발의 내부를 사용자 발의 형상에 맞게 맞춤형 제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사용자 발의 형상은 상기 사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발의 외곽선을 특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특정된 사용자 발의 형상에 상기 계산부(130)에서 계산된 발 길이와 발 너비를 반영하여 정확한 형상 및 크기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이 반영된 디자인과 자신의 발 형상에 들어맞는 사이즈 및 내부 구조를 가지는 맞춤형 신발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웹 서버(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신발의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제부(2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을 결제 화면으로 전환하거나 결제창이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신발을 구매하기 위한 금액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며, 결제 수단의 선택 등 결제 절차의 진행을 위한 모든 과정은 공지의 방식에 의한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기준틀 표시부
111 : 어플 데이터 베이스 112 : 추출부
113 : 기준틀 생성부
120 : 촬영부
121 : 음성 인식부
130 : 계산부
131 : 가로선 생성부 132 : 길이 계산부
133 : 세로선 생성부 134 : 너비 계산부
200 : 웹 서버
210 : 웹 데이터 베이스
220 : 선별부
230 : 결제부

Claims (7)

  1. 화면에 표시되는 기준틀에 용지를 일치시킨 상태로 용지 위에 올린 사용자의 발을 촬영하여 길이 및 너비를 측정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측정된 길이 및 너비를 기반으로 신발을 추천하는 웹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촬영 기능이 활성화되면, 용지와 비율은 동일하되 크기는 다른 기준틀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기준틀 표시부(110);
    용지 위에 올린 사용자의 발을 촬영하여 사진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120);
    상기 기준틀의 세로 길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발 길이를 계산하여 길이 정보를 생성하고, 가로 길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발 너비를 계산하여 너비 정보를 생성하는 계산부(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웹 서버(200)는,
    신발의 영상 정보와 사이즈 정보가 저장되는 웹 데이터 베이스(210);
    상기 길이 정보 및 상기 너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적합한 신발을 선별하여 제공하는 선별부(220);
    사용자가 선택한 신발의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부(2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은,
    용지의 가장자리에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일치시킨 상태로 사용자의 발을 촬영하여 사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120)는,
    상기 기준틀에 용지가 일치되면 자동으로 사진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음성 인식부(121)에 사용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촬영부(120)가 자동으로 사진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틀 표시부(110)는,
    용지의 종류에 따른 가로 및 세로 길이가 저장되는 어플 데이터 베이스(111);
    사용자 단말기(100)의 카메라 해상도를 추출하는 추출부(112);
    선택 또는 입력된 용지의 가로 및 세로 길이에 추출된 카메라 해상도를 적용하여 용지와 비율은 동일하되 크기가 다른 기준틀을 형성하는 기준틀 생성부(11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되어, 화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가로선 및 제2가로선을 생성하는 가로선 생성부(131);
    상기 제1가로선 및 상기 제2가로선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길이 정보를 생성하는 길이 계산부(132);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되어, 화면의 너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세로선 및 제2세로선을 생성하는 세로선 생성부(133);
    상기 제1세로선 및 상기 제2세로선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너비 정보를 생성하는 너비 계산부(13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은,
    사용자가 직접 창작한 디자인을 업로드 하여 맞춤형 제작을 의뢰할 수 있고,
    타인에게 자신의 디자인을 구매하도록 제안할 수 있으며,
    타인으로부터 디자인의 판매를 제안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
KR1020180101826A 2018-08-29 2018-08-29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 KR102098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26A KR102098750B1 (ko) 2018-08-29 2018-08-29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26A KR102098750B1 (ko) 2018-08-29 2018-08-29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46A true KR20200025046A (ko) 2020-03-10
KR102098750B1 KR102098750B1 (ko) 2020-04-09

Family

ID=6980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826A KR102098750B1 (ko) 2018-08-29 2018-08-29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704B1 (ko) 2021-11-01 2024-03-04 소리달 주식회사 스테레오 이미지 기반의 신발 추천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670A (ko) 2003-10-14 2005-04-19 정영진 컴퓨터 화면상의 발 사이즈 측정방법
KR20070008500A (ko) 2006-12-29 2007-01-17 이학범 초음파 발 사이즈 자동 측정시스템
KR20080038288A (ko) 2008-04-14 2008-05-06 노다혜 발사이즈 측정 용지 와 신발 사이즈 표시법
KR20170060740A (ko) * 2015-11-25 2017-06-02 박진수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
KR101809440B1 (ko) 2016-11-21 2017-12-15 김승정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사이즈 측정 방법
US20180160777A1 (en) * 2016-12-14 2018-06-14 Black Brass, Inc. Foot measuring and sizing applica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670A (ko) 2003-10-14 2005-04-19 정영진 컴퓨터 화면상의 발 사이즈 측정방법
KR20070008500A (ko) 2006-12-29 2007-01-17 이학범 초음파 발 사이즈 자동 측정시스템
KR20080038288A (ko) 2008-04-14 2008-05-06 노다혜 발사이즈 측정 용지 와 신발 사이즈 표시법
KR20170060740A (ko) * 2015-11-25 2017-06-02 박진수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
KR101809440B1 (ko) 2016-11-21 2017-12-15 김승정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사이즈 측정 방법
US20180160777A1 (en) * 2016-12-14 2018-06-14 Black Brass, Inc. Foot measuring and sizing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750B1 (ko)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190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shoes fitting
US20190228448A1 (en) System, Platfor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Shopping Using a Virtual Shopping Assistant
CN102308276B (zh) 利用某些视觉效果来显示对象
US201700533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zing shoes
CN108389212A (zh) 用以量测脚部尺寸的方法及计算机可读媒体
US1033959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body measurements and modeling apparel
JP2016040649A (ja) 商品等提供システム、商品等提供方法、及び商品等提供プログラム
JP5845363B2 (ja) 靴選択支援システム
US20220129976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6295400B1 (ja) 足サイズ測定システム及び足サイズ測定プログラム
US20230377012A1 (en) System, platfor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shopping using an automated shopping assistant
US7973796B1 (en) Natural framing system
KR102098750B1 (ko) 발 사이즈 기반 신발 사이즈 계산 시스템
JP4973634B2 (ja) 注文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220108044A1 (en) Kitchen Renovation System
US20170344973A1 (en)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asily finding customer
US20190180342A1 (en) Systems and methods of uniform remote sizing and selling of articles such as footwear and other apparel
CN116342169B (zh) 一种商品陈列位置确定方法及无人售货系统
US20170169492A1 (en) Method and Structure for 3D Model Creation, Analysis, and Product Fit
KR20220055799A (ko)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적합한 신발을 결정하는 시스템
US20220198552A1 (en) Method for optimizing an electronic ordering system
JP4228696B2 (ja) 画像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756751B2 (ja) 情報提供装置及び方法
KR102108931B1 (ko) 맞춤형 코디 시스템
KR20200014165A (ko) 수제화 주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서버 및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