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505A -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505A
KR20200024505A KR1020180101268A KR20180101268A KR20200024505A KR 20200024505 A KR20200024505 A KR 20200024505A KR 1020180101268 A KR1020180101268 A KR 1020180101268A KR 20180101268 A KR20180101268 A KR 20180101268A KR 20200024505 A KR20200024505 A KR 20200024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fixed
modul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2199B1 (ko
Inventor
이현화
Original Assignee
한빛디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빛디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빛디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1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19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4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1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motorways, e.g. integrated with sound barri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로에 설치되어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부와, 방음부를 감싸는 받침부와, 받침부에 장착되고 태양광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광모듈부를 포함하여, 도로에 태양광 발전장치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PHOTOVOLTAIC DEVICE FOR ROAD}
본 발명은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용을 절감하면서 다양한 설치 환경에 대응되어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러한 태양광발전은 태양광모듈과, 인버터와, 접속반과,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한다.
태양광모듈은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이때, 태양발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태양전지를 셀이라 부르고, 셀이 모이면 모듈이 되며, 모듈이 모이면 패널이 된다.
인버터는 직류전원을 안정적인 상용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장치이고, 접속반은 태양전지모듈과 인버터 사이에 사용되어 모듈에서 발생되는 직류전력을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하여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으로 집합시키는 장치이다. 접속반은 인버터를 보호하고 모듈간의 충돌 방지 및 보호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은 태양광발전 상태를 계측, 누적, 진단, 이상이나 고장 등을 감시하는 시스템이다.
태양광발전은 태양광이 안정적으로 조사되는 영역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도심에서는 주로 건물 옥상에 설치되고 있다.
한편, 도심에는 건물 외에 차량 통행을 위한 도로가 대단위 면적을 차지하고 있지만, 태양광발전 설비는 이러한 도로에 설치되지 못하고 건물 옥상에 한정되어 설치되므로, 태양광발전의 설치 영역을 늘리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5167호(2013.03.13. 등록, 발명의 명칭 :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비용을 절감하면서 다양한 설치 환경에 대응되어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는: 도로에 설치되어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부; 상기 방음부를 감싸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고 태양광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광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방음부를 감싸고, 상기 광모듈부가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받침와이어부; 및 상기 받침와이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방음부에 장착되는 받침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지지부는 상기 방음부에 장착되는 지지고정부; 상기 지지고정부에 형성되는 지지막대부; 상기 지지막대부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막대부를 따라 이동되는 지지가변부; 및 상기 지지가변부에 조립되고, 상기 받침와이어부가 안착되는 지지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받침와이어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받침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조절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조절스탠드부; 상기 조절스탠드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받침와이어부를 감거나 풀어주는 조절드럼부; 상기 조절드럼부를 회전시키는 조절회전부; 및 상기 조절드럼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조절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모듈부는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는 모듈고정부; 및 상기 모듈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에 안착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며 에너지를 생산하는 모듈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고정부는 상기 받침부가 관통되는 고정연결부; 상기 고정연결부에서 연장되는 고정삽입부; 상기 고정삽입부가 삽입되고, 상기 모듈발전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가변부; 및 상기 고정가변부와 상기 고정삽입부를 고정시켜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는 방음부를 감싸는 받침부에 광모듈부를 장착하여 전기에너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는 받침와이어부가 받침지지부에 의해 방음부에 지지됨으로써, 시공 시간이 절약되고 설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는 받침조절부가 받침와이어부의 길이를 조절하므로, 다양한 높이를 갖는 방음부에 대한 받침와이어부의 설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가 방음터널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가 방음벽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받침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받침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광모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가 방음터널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가 방음벽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1)는 방음부(10)와, 받침부(20)와, 광모듈부(30)를 포함한다.
방음부(10)는 도로(100)에 설치되어 소음을 차단한다. 일 예로, 방음부(10)로는 도로(100)의 가장자리와 상부를 밀폐하도록 측벽부(111)와 덮개부(112)가 터널을 형성하는 방음터널(11)이 되거나, 도로(100)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방음벽(12)이 될 수 있다.
받침부(20)는 방음부(10)를 감싼다. 일 예로, 받침부(20)는 도로(100)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방음부(10)의 길이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받침부(20)는 측벽부(111)의 외측 방향에 배치되는 도로(100)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 설치되고, 한 쌍의 측벽부(111)와 덮개부(112)를 감싸도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 외, 받침부(20)는 방음벽(12)의 양측 방향에 배치되는 도로(100)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방음벽(12)을 감싸도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광모듈부(30)는 받침부(20)에 장착되고 태양광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한다. 일 예로, 광모듈부(30)는 방음터널(11)의 덮개부(112)를 감싸는 받침부(20)에 장착될 수 있다. 그 외, 광모듈부(30)는 태양광이 조사되는 방음벽(12)의 일측을 감싸는 받침부(2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20)는 받침와이어부(21)와, 받침지지부(22)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받침와이어부(21)는 방음부(10)를 감싸고, 받침와이어부(21)에는 광모듈부(30)가 장착된다. 일 예로, 받침와이어부(21)는 어느 하나의 측벽부(111)와, 덮개부(112)와, 다른 하나의 측벽부(111)에 걸쳐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복수개의 받침와이어부(21)가 소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외, 받침와이어부(21)는 방음벽(12)의 일측면, 상측면, 타측면에 걸쳐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복수개의 받침와이어부(21)가 소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받침지지부(22)는 받침와이어부(21)에 결합되고 방음부(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받침지지부(22)는 일단부가 방음부(1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받침와이어부(21)를 지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받침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지지부(22)는 지지고정부(221)와, 지지막대부(222)와, 지지가변부(223)와, 지지안착부(224)를 포함한다.
지지고정부(221)는 방음부(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복수개의 지지고정부(221)는 지지와이어부(21)의 길이를 따라 방음부(10)에 직접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지지고정부(221)는 볼팅 방식으로 방음부(10)에 고정 설치되거나, 흡착 방식으로 방음부(10)에 밀착될 수 있다.
지지막대부(222)는 지지고정부(221)에 형성된다. 일 예로, 지지막대부(222)는 지지고정부(221)에 결합되어 상당한 길이를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가변부(223)는 지지막대부(222)에 장착되고, 지지막대부(222)를 따라 이동된다. 일 예로, 지지가변부(223)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지막대부(223)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지지가변부(223)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승하고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하강하여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지지안착부(224)는 지지가변부(223)에 조립되고, 받침와이어부(21)가 안착된다. 일 예로, 지지안착부(224)는 지지가변부(223)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중앙부가 오목한 형상을 하여 받침와이어부(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받침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20)는 받침조절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조절부(23)는 받침와이어부(21)의 길이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조절부(23)는 조절스탠드부(231)와, 조절드럼부(232)와, 조절회전부(233)와, 조절스토퍼부(234)를 포함한다.
조절스탠드부(231)는 지면 또는 이와 상응하는 도로(100)에 설치된다. 일 예로, 조절스탠드부(231)는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조절드럼부(232)는 조절스탠드부(2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받침와이어부(21)를 감거나 풀어준다. 일 예로, 조절드럼부(232)에는 받침와이어부(21)의 단부가 결합되고, 조절드럼부(232)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받침와이어부(21)가 조절드럼부(232)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조절회전부(233)는 조절드럼부(232)를 회전시킨다. 일 예로, 조절회전부(233)는 조절드럼부(232)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조절회전부(233)는 레버 형상을 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절드럼부(232)를 회전시키거나, 모터가 채택되어 작업자가 자동으로 조절드럼부(2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조절스토퍼부(234)는 조절드럼부(233)의 회전을 제한한다. 일 예로, 조절드럼부(233)의 단부에는 원주방향으로 홀이 형성되고, 조절스탠드부(231)에도 홀이 형성되며, 조절스토퍼부(234)가 조절스탠드부(231)를 관통하고 조절드럼부(233)의 단부에 삽입되어 조절드럼부(233)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방음부(10)에 설치되는 받침와이어부(21)의 길이가 짧은 경우, 조절드럼부(232)가 회전되어 받침와이어부(21)를 풀어준다. 그리고, 방음부(10)에 설치되는 받침와이어부(21)의 길이가 긴 경우, 조절드럼부(232)가 회전되어 받침와이어부(21)를 감아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광모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부(30)는 모듈고정부(31)와 모듈발전부(32)를 포함한다.
모듈고정부(31)는 받침부(2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모듈고정부(31)는 받침와이어부(21)의 길이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모듈발전부(32)는 모듈고정부(31)에 결합되고, 받침부(20)에 안착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모듈발전부(32)는 조사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패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고정부(31)는 고정연결부(311)와, 고정삽입부(312)와, 고정가변부(313)와, 고정스토퍼부(314)를 포함한다.
고정연결부(311)에는 받침부(20)가 관통된다. 일 예로, 한 쌍의 고정연결부(311)는 서로 결합되어 링 형상을 하고, 한 쌍의 고정연결부(311)에 받침와이어부(21)가 관통될 수 있다. 이때, 고정연결부(311)는 받침와이어부(21)를 압박하여 서로간의 결합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삽입부(312)는 고정연결부(311)에서 연장된다. 일 예로, 고정삽입부(312)는 고정연결부(311)에 결합되고, 막대 형상을 하여 받침와이어부(21)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가변부(313)는 상단부가 모듈발전부(32)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고정가변부(313)는 하부가 중공된 형상을 하여 고정삽입부(312)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고정가변부(313)는 고정삽입부(3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모듈발전부(32)의 경사도와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가변부(313)는 모듈발전부(3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고정스토퍼부(314)는 고정가변부(313)와 고정삽입부(312)를 고정시켜 이동을 제한한다. 일 예로, 고정삽입부(312)의 길이를 따라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고정스토퍼부(314)는 고정가변부(313)를 관통하여 고정삽입부(312)에 삽입됨으로써, 고정가변부(313)의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방음부(10)의 양측 도로(100)에 받침조절부(23)를 설치하고, 받침조절부(23)를 조작하여 받침와이어부(21)가 방음부(10)를 감싸도록 한다.
이때, 받침와이어부(21)는 방음부(10)에 장착되는 받침지지부(22)에 의해 지지된다. 받침지지부(22)는 자체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받침와이어부(21)와 방음부(1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받침와이어부(21)는 고정연결부(311)와 결합되고, 고정연결부(311)에서 연장되는 고정삽입부(312)는 고정가변부(313)에 삽입된다. 이러한 고정가변부(313)는 모듈발전부(32)에 장착되고, 고정가변부(313)의 높이가 조절되어 모듈발전부(32)의 경사 조절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1)는 방음부(10)를 감싸는 받침부(20)에 광모듈부(30)를 장착하여 전기에너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1)는 받침와이어부(21)가 받침지지부(22)에 의해 방음부(10)에 지지됨으로써, 시공 시간이 절약되고 설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1)는 받침조절부(23)가 받침와이어부(21)의 길이를 조절하므로, 다양한 높이를 갖는 방음부(10)에 대한 받침와이어부(21)의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방음부 20 : 받침부
21 : 받침와이어부 22 : 받침지지부
23 : 받침조절부 30 : 광모듈부
31 : 모듈고정부 32 : 모듈발전부
221 : 지지고정부 222 : 지지막대부
223 : 지지가변부 224 : 지지안착부
231 : 조절스탠드부 232 : 조절드럼부
233 : 조절회전부 234 : 조절스토퍼부
311 : 고정연결부 312 : 고정삽입부
313 : 고정가변부 314 : 고정스토퍼부

Claims (7)

  1. 도로에 설치되어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부;
    상기 방음부를 감싸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고 태양광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광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방음부를 감싸고, 상기 광모듈부가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받침와이어부; 및
    상기 받침와이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방음부에 장착되는 받침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지지부는
    상기 방음부에 장착되는 지지고정부;
    상기 지지고정부에 형성되는 지지막대부;
    상기 지지막대부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막대부를 따라 이동되는 지지가변부; 및
    상기 지지가변부에 조립되고, 상기 받침와이어부가 안착되는 지지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받침와이어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받침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조절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조절스탠드부;
    상기 조절스탠드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받침와이어부를 감거나 풀어주는 조절드럼부;
    상기 조절드럼부를 회전시키는 조절회전부; 및
    상기 조절드럼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조절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부는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는 모듈고정부; 및
    상기 모듈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에 안착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며 에너지를 생산하는 모듈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고정부는
    상기 받침부가 관통되는 고정연결부;
    상기 고정연결부에서 연장되는 고정삽입부;
    상기 고정삽입부가 삽입되고, 상기 모듈발전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가변부; 및
    상기 고정가변부와 상기 고정삽입부를 고정시켜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180101268A 2018-08-28 2018-08-28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2122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268A KR102122199B1 (ko) 2018-08-28 2018-08-28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268A KR102122199B1 (ko) 2018-08-28 2018-08-28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505A true KR20200024505A (ko) 2020-03-09
KR102122199B1 KR102122199B1 (ko) 2020-06-12

Family

ID=6980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268A KR102122199B1 (ko) 2018-08-28 2018-08-28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1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680A (ko) * 2015-03-05 2016-09-19 (주)에스앤디 태양광 패널의 케이블 지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70018812A (ko) * 2014-06-09 2017-02-20 가부시키가이샤 후쿠나가 히로시 겐치쿠 겐큐쇼 공중 와이어에 의한 태양광 발전 설비
KR101851657B1 (ko) * 2017-12-08 2018-04-25 진성산업 주식회사 방음터널에 설치가 용이한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812A (ko) * 2014-06-09 2017-02-20 가부시키가이샤 후쿠나가 히로시 겐치쿠 겐큐쇼 공중 와이어에 의한 태양광 발전 설비
KR20160107680A (ko) * 2015-03-05 2016-09-19 (주)에스앤디 태양광 패널의 케이블 지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51657B1 (ko) * 2017-12-08 2018-04-25 진성산업 주식회사 방음터널에 설치가 용이한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199B1 (ko) 202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5282B2 (ja) 支柱直立型太陽電池設備
KR101804898B1 (ko) 태양전지모듈 및 배터리 일체형 구조를 갖는 led 가로등
KR20100002091U (ko)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 장치
KR20140119281A (ko) 태양전지 어레이의 경사각 조절형 지지장치
KR102105952B1 (ko) 중앙분리대 장착용 태양광발전장치
KR101302224B1 (ko)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가변형 고정장치
KR20100096641A (ko) 기울기를 갖는 태양광 발전기용 풍해방지장치
KR101419027B1 (ko) 태양광발전장치
KR102122199B1 (ko)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1958965B1 (ko) 복합 발전 장치
KR20090037742A (ko) 태양전지판의 경사각도 조절장치
KR101268492B1 (ko)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
KR101268493B1 (ko) 자가발전 전력 시스템을 구비한 태양광 집광판 각도 조절형 가로등
KR101895923B1 (ko) 펜스형 태양광발전장치
KR100751040B1 (ko) 기둥상부 보관형 태양광 가로등
KR101923681B1 (ko) 태양광발전장치
KR20190000481A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729218B1 (ko) 수동 각도조절 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 구조물
KR20060067673A (ko) 유리창형 태양전지를 이용한 건물 외장형 태양광 시스템
JP2006348871A (ja) 風力発電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ハイブリッド発電システム、およびハイブリッド発電街路灯、およびハイブリッド発電ユニット
CN209960367U (zh) 一种新型的市政工程路灯
KR20200032049A (ko) 중앙분리대 장착용 태양광발전장치
CN211908710U (zh) 一种太阳能电池板安装装置
JP3685718B2 (ja) 太陽光発電装置用架台
KR102207802B1 (ko)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독립 주차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