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286A - 데이터를 전달하는 톤 방출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를 전달하는 톤 방출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286A
KR20200024286A KR1020207003085A KR20207003085A KR20200024286A KR 20200024286 A KR20200024286 A KR 20200024286A KR 1020207003085 A KR1020207003085 A KR 1020207003085A KR 20207003085 A KR20207003085 A KR 20207003085A KR 20200024286 A KR20200024286 A KR 20200024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emitting
inaudible
computing de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웹스터
Original Assignee
니콜라스-알렉산더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콜라스-알렉산더 엘엘씨 filed Critical 니콜라스-알렉산더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24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원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톤-방출 디바이스에게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비가청 톤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은 톤(tone)-방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는, 비가청 톤을 방출하는 톤-방출 스피커 그리고 상기 톤-방출 스피커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는 로직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로직은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물체의 특성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비가청 톤을 인코딩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비가청 톤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톤-방출 스피커에게 명령어들을 송신하게 한다.

Description

데이터를 전달하는 톤 방출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상호 참조
본원은 2017년 7월 6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 출원 일련 번호 62/529,296에 대한 이익을 주장하며, 이 출원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편입된다.
기술 분야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톤 방출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톤-방출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광고자들, 교육 기관들, 소매상들, 의료 기관들, 자선 단체들, 지불 지시들 등은 소비자들과 연락이 되기를 바라며 자신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개선하기를 바라지만, 많은 현재의 기술들은 그런 진보에 대해 허용하지 않는다. 일 예로, 소비자가 소매점에 방문한다면, 현존하는 바코드 기술을 활용하는 것의 비효율성으로 인해서 제품들의 위치를 찾고 그 제품들에 대해 지불하는 것이 종종 어렵다. 비슷하게, 제품들, 개인들, 및/또는 다른 물체들을 추적하는 것은 때로는 힘들며, 그래서 재고 관리, 학생 참여 등을 관리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의 어려움들 중 적어도 일부를 해소하는 방안들을 제공하려고 한다.
본원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톤-방출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톤(tone)-방출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상기 방법은,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의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물체의 특성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비가청 톤 (inaudible tone)을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비가청 톤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의 톤-방출 스피커에게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명령어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톤(tone)-방출 디바이스는, 비가청 톤을 방출하는 톤-방출 스피커 그리고 상기 톤-방출 스피커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는 로직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로직은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물체의 특성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비가청 톤을 인코딩하게 하며 그리고 상기 비가청 톤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톤-방출 스피커에게 명령어들을 송신하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비가청 톤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은 톤(tone)-방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는, 비가청 톤을 방출하는 톤-방출 스피커 그리고 상기 톤-방출 스피커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는 로직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로직은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물체의 특성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비가청 톤을 인코딩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비가청 톤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톤-방출 스피커에게 명령어들을 송신하는 것을 수행하게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본 명세서의 해당되는 부분들에 개별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도면들에서 제시된 실시예들은 속성상 실례가 되고 예시적인 것이며 개시된 내용을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의 도면들과 함께 참조할 때에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들에서 유시한 구조는 유사한 참조 번호들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도 1은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톤-방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톤-방출 선반 라벨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톤-방출 포브 (fob)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톤-방출 팔찌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톤-방출 지불 카드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톤-방출 포드 (pod)를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톤-방출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흐름도들을 도시한다.
도 9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재고 관리를 위해 톤-방출 선반 라벨을 활용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상점에서 소매 계산을 위해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을 활용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이벤트에서 참석자 등록을 위해 톤-방출 포브를 활용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병원 시설에서 환자 관리를 위해 톤-방출 팔찌를 활용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지불 검증을 위해 톤-방출 지불 카드를 활용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엔터테인먼트 현장에서 판매를 위해 톤-방출 포드를 활용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톤-방출 디바이스 내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본원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톤-방출 (tone-emitting)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는 선반 라벨, 자체-접착성 라벨, 포브 (fob), 팔찌, 지불 카드, 포드 (pod), 및/또는 다른 고정 디바이스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휴대용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데이터는 물체의 특성에 관련된 것이며, 여기에서 상기 물체는 제품, 사람,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는 사람에 의해 운반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또는 상점 내 제품에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톤 (tone)" 또는 "톤들 (tones)"에 대한 언급들이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특별한 실시예에 종속하여 하나 이상의 톤들이 생성되어 소망된 데이터 전달을 위해 출력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15 kHz를 넘는 주파수 범위들에서 비-자연적으로 발생하여 작동하는 비가청 (inaudible) 톤들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달될 데이터에 관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는 비-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주파수들의 쌍들을 선택하며 그리고 그 주파수 쌍들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유일 캐릭터에 할당하며 그리고/또는 선택한다. 주파수 쌍들은 상호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의 캐릭터들은 상기 비가청 톤을 형성하기 위해 시퀀스 내에 그 후에 배열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수십조 개의 시퀀스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각 비가청 톤의 유일성을 보장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비가청 톤과 함께 인코딩되며 그리고 셀룰러 통신 디바이스, 고정 컴퓨팅 디바이스, 및/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내 수신기들로 인도된다. 상기 수신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톤을 디코딩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는 지불 검증 시스템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신원을 검증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들에서, 톤 방출 디바이스는 (신용 카드, 직불 카드 등과 같은) 지불 카드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지불 (또는 현금)을 위해 상기 지불 카드를 삽입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고 활용하면,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는 지불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인증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톤들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톤들의 적어도 일부는 (모바일 전화기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톤들을 수신하면,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인증 정보를 상기 지불 카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및/또는 지불 처리 디바이스에게 거꾸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지불 카드 및/또는 톤-방출 디바이스가 돌아오는 통신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들에서, 상기 지불 카드 및/또는 톤-방출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인증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인증하면, 상기 지불 카드는 지불이 수행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지불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실시예들에서, 상기 지불 처리 디바이스는 상기 톤들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리턴하는 통신을 수신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인증하고; 그리고 그 후에 상기 지불 카드로부터의 지불을 수락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비가청 톤의 인도와 연관된 메타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수집한다. 이 정보는 상기 톤이 인도되었던 시각 및 날짜, 상기 톤이 인도되었던 통신 디바이스의 유형 및 브랜드,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 및 근방 기후, 그 톤을 수신했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그 톤을 수신했을 때 사용자 반응, 및/또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톤-방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다. 상기 데이터는 물체의 특성에 관련된 것이며, 그 물체는 제품, 사람,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시되었듯이, 상기 컴퓨팅 환경 (100)은 네트워크 (105)에 결합된 톤-방출 디바이스 (102)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105)는 넓은 영역에 걸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인터넷,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다른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광역 네트워크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105)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 근거리 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블루투스, WiFi (wireless fidelity)처럼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로컬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처럼, 상기 네트워크 (105)가 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중개자로서 도시되지만, 이것은 예시적인 도시일 뿐이다. 특별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통신은 중개자 없이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촉진될 수 있다.
본원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듯이,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는 선반 라벨, 자체-접착성 라벨, 포브 (fob), 팔찌, 카드, 포드 (pod) 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비가청 톤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는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를 포함하며, 이는 메모리 컴포넌트 (140)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 (140)는 톤-방출 로직 (144a), 데이터-수신 로직 (144b), 및/또는 다른 로직을 저장한다.
추가로, 상기 컴퓨팅 환경 (100)은 상기 네트워크 (105)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며, 이 디바이스들은 통신 디바이스 (104),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 및 고정 디바이스 (106)와 같은 것이지만, 그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서 보이는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는 사용자 디바이스나 모바일 전화기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그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는 태블릿, 랩탑, 개인용 컴퓨터, 및/또는 본원에서 제공된 기능성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하튼,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는 탐지 로직 (144c), 분석 로직 (144d), 및/또는 다른 로직을 저장하는 메모리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처럼, 상기 탐지 로직 (144c)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로 하여금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에 의해 전달된 하나 이상의 비가청 톤들을 탐지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석 로직 (144d)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로 하여금 상기 톤을 디코딩하도록 하며 그곳에서 인코딩된 상기 데이터를 판별하도록 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분석 로직 (144d)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로 하여금 상기 비가청 톤의 인도에 관련된 메타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 정보는 상기 톤이 인도되었던 시각 및 날짜,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의 유형 및 브랜드, 상기 톤이 인도되었던 곳인 미리 정해진 위치,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의 위치 및 근방 기후, 및/또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상기 네트워크 (105)에 결합되며 그리고 톤-방출 디바이스 (102)로부터 하나 이상의 톤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가 개인용 컴퓨터로 도시되지만, 이것은 단지 예일 뿐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모바일 디바이스, 태블릿, 서버, 판매점 (point of sale) 시스템, 자율화 출납 머신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 및/또는 고정 디바이스 (108)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로부터 비가청 톤을 직접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상기 비가청 톤과 함께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그 비가청 톤의 인도에 관한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 또한 상기 네트워크 (105)에 결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서버,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모바일 디바이스, 판매점 시스템 등으로서 고성될 수 있다. 그처럼,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의 실시예들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와 유사한 기능성을 제공할 (그리고 유사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자신의 소재지에 고정되거나 그렇지 않고 움직임 내에 한정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이동 범위로 한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에 의해 방출된 비가청 톤을 수신하고, 그 비가청 톤과 함께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며 그리고 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에게 보고하기 위해 활용된다. 그러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작동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를 언급하는 것은 데이터를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에게 보고하기 위해 서드 파티에 의해 운영되는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및/또는 고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의 실시예들은 상기 소망된 톤들에 추가로 상이한 프로토콜을 경유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톤 방출 디바이스 (102)는 블루투스 통신, NFC 통신, WiFi 통신 등을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그래서 이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트랜시버, 안테나 등). 유사하게, 도 1에 도시된 다른 디바이스들 또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 도 2b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소매상 선반과 같은 물체에 관한 데이터와 함께 톤을 전달하기 위한 톤-방출 선반 라벨 (200)을 도시한다. 도 2a는 상기 톤-방출 선반 라벨 (200)을 위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2b는 상기 톤-방출 선반 라벨 (200)의 횡단 측면 모습을 도시한다. 상기 톤-방출 선반 라벨 (200)은 하우징 (202) 및 톤-방출 스피커 (204)와 같은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202)은 플라스틱이나 다른 방수 또는 내수 재질로 구축될 수 있으며 3-D 프린터에 의해 프린트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톤-방출 스피커 (204)는 상기 톤-방출 선반 (200)에 결합된 (선반, 제품 등과 같은) 물체의 특성에 관련된 비가청 톤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톤-방출 선반 라벨 (200)은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206), 배터리 (208) 및 상기 톤-방출 스피커 (204)와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206) 둘 모두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206)는 통신 디바이스 (104)로 인도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206)는 컴퓨팅 환경 (100) 내 다른 디바이스들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208)는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 및 상기 톤-방출 스피커 (204)에게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되었듯이,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는 로직을 저장한 메모리 컴포넌트 (140)를 포함하며, 그 로직은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로 하여금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206)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로의 출력을 위해 비가청 톤을 판별하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비가청 톤과 함께 인코딩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에게 인도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상기 톤-방출 스피커 (204)에게 송신하도록 한다.
일 예로서, 상기 톤-방출 선반 라벨 (200)이 선반에 결합된다면, 상기 톤-방출 선반 라벨 (200)은 그 선반 위의 제품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 데이터는 상기 제품을 위한 식별자, 그 제품에 대한 설명, 가격, 그 제품이나 관련 제품들에 대한 쿠폰들, 그 제품을 위한 웹사이트로의 링크, 그 선반 위 제품의 개수, 그 선반을 방문했던 고객들의 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처럼, 통신 디바이스 (104) (도 1)가 상기 톤-방출 선반 라벨 (200)로부터의 톤을 탐지할 때에,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는 그 톤을 디코딩하여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를 판별한다. 이 정보는 사용자에게 추가의 정보, 구매하기 위한 옵션들, 선반 재구입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a - 도 3b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제품과 같은 물체에 관련된 데이터을 구비한 톤을 전달하기 위한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 (300)을 도시한다. 도 3a는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 (300)을 위에서 본 모습을 도시하며, 도 3b는 상기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 (300)의 횡단 측면 모습을 도시하며, 상기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 (300)은 하우징 (302) 및 톤-방출 스피커 (30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302)은 플라스틱이나 다른 방수 또는 내수 재질로 구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302)은 제일 위 표면 (302a) 및 물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접착성 바닥 표면 (302b)을 포함한다. 상기 톤-방출 스피커 (304)는 상기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 (300)에 결합된 물체의 특성에 관련된 비가청 톤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 (300)은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306), 배터리 (308) 및 상기 톤-방출 스피커 (304)와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306) 둘 모두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306) 및 배터리 (308)는 위에서 설명된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206) 및 배터리 (208)와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위에서 설명되었듯이,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는 로직을 저장한 메모리 컴포넌트 (140)를 포함하며, 그 로직은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로 하여금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306)로부터의 데이터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로의 방출을 위해 비가청 톤을 판별하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비가청 톤과 함께 인코딩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에게 인도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상기 톤-방출 스피커 (304)에게 송신하도록 한다.
도 2a, 도 2b의 톤-방출 선반 라벨 (200)의 실시예 및 도 3a, 도 3b의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 (300)의 실시예는 유사할 수 있지만, 몇몇 실시예들을 차이점들을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톤-방출 선반 라벨 (200)이 상이한 시점들에 상이한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톤-방출 선반 라벨 (200)은 새로운 또는 상이한 제품들이 도착할 때에 재프로그램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역으로, 상기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 (300)이 제품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래서 사용 후 버려질 수 있기 때문에), 몇몇 실시예들은 한 세트의 데이터만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또는 출력하기 위해 한 세트의 톤만을 판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필요사항은 아니다.
도 4a 및 도 4b는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처럼 제품과 연관된 데이터와 함께 톤을 전달하기 위한 톤-방출 포브 (fob) (400)를 도시한다. 도 4a는 상기 톤-방출 포브 (400)를 위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4b는 상기 톤-방출 포브 (400)의 횡단 측면 모습을 도시한다. 상기 톤-방출 포브 (400)는 하우징 (402) 및 톤-방출 스피커 (40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402)은 플라스틱이나 다른 방수 또는 내수 재질로 구축될 수 있다. 상기 톤-방출 스피커 (404)는 상기 톤-방출 포브 (400)를 운반한 사람에 관한 데이터와 함께 인코딩된 비가청 톤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톤-방출 포브 (400)는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406), 배터리 (408) 및 상기 톤-방출 스피커 (404)와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406) 둘 모두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406) 및 배터리 (408)는 위에서 설명된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206) 및 배터리 (208)와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위에서 설명되었듯이,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는 로직을 저장한 메모리 컴포넌트 (140)를 포함하며, 그 로직은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로 하여금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406)로부터의 데이터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로의 방출을 위해 비가청 톤을 판별하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비가청 톤과 함께 인코딩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에게 인도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상기 톤-방출 스피커 (404)에게 송신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설명된 톤-방출 포브 (400)의 실시예들이 도 2a, 도 2b의 톤-방출 선반 라벨 (200) 그리고 실시예 및 도 3a, 도 3b의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 (300)과 응용 및/또는 기능성에 있어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톤-방출 포브 (400)는 매우 유사할 수 있지만, 몇몇 실시예들은 컨퍼런스 참석자나 다른 이벤트 참석자와 같은 사용자에 의해 운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처럼, 상기 톤-방출 포브 (400)는 상기 사용자가 참석한 이벤트에서의 위치들, 그 사용자에 관한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가 상호작용했던 다른 참석자들 등처럼 상기 사용자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톤-방출 포브 (400)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입장할 때, 상기 사용자가 참석한 것으로 자동적으로 등록되었다는 것처럼 상기 사용자 신원증명을 나타내는 톤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몇몇 실시예들은 상기 톤-방출 포브 (400)가 상황에 기반하여 상이한 데이터를 출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다른 이벤트 참석자와 대화를 하고 있다면, 상기 톤-방출 포브 (400)는 다른 이벤트 참석자의 모바일 전화기에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사용자의 연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이벤트 참석자는 그러면 그 사용자의 연락 정보를 보기 위해 그 모바일 전화기에 접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톤-방출 포브 (400) 상에 배치된 버튼과 같은) 상기 톤-방출 포드 (400) 상의 옵션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경유하여 상이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은 그러나 상기 톤-방출 포드 (400)가 (글로벌하게, 로컬에서, 그리고/또는 다른 디바이스들 및/또는 포브들에 상대적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판별하고 그 위치에 기반하여 상이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a - 도 5b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와 연관된 데이터와 함께 톤을 전달하기 위한 톤-방출 팔찌 (500)를 도시한다. 도 5a는 톤-방출 팔찌 (500)를 위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5b는 상기 톤-방출 팔찌 (500)의 횡단 측면 모습을 보여준다. 상기 톤-방출 팔찌 (500)는 하우징 (502) 및 톤-방출 스피커 (50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502)은 플라스틱이나 다른 방수 또는 내수 재질로 구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502)은 제일 위 표면 (502a) 및 바닥 표면 (502b)을 포함한다. 상기 톤-방출 팔찌 (500)의 바닥 표면 (502b)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며 그래서 그 위에 저자극성 코팅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 (502)은 상기 톤-방출 팔찌 (500)를 손목 주위에 채우기 위한 스냅, 벨크로, 버클 등과 같은 고착 (securing) 메커니즘 (505)을 포함하지만, 그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톤-방출 스피커 (504)는 상기 톤-방출 팔찌 (500)를 차고 있는 사람에 관한 데이터와 함께 인코딩된 비가청 톤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톤-방출 팔찌 (500)는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506), 배터리 (508) 및 상기 톤-방출 스피커 (504)와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506) 둘 모두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506) 및 배터리 (508)는 위에서 설명된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206) 및 배터리 (208)와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위에서 설명되었듯이,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는 로직을 저장한 메모리 컴포넌트 (140)를 포함하며, 그 로직은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로 하여금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506)로부터의 데이터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로의 방출을 위해 비가청 톤을 판별하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비가청 톤과 함께 인코딩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에게 인도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상기 톤-방출 스피커 (504)에게 송신하도록 한다.
일 예로서,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의료 시설 손님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그처럼 상기 톤-방출 팔찌 (500)가 저장한 정보는 식별 정보, (HIPAA 규약에 따르는) 의료 정보, 접근 (access) 인증, 및/또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가 병원에 입원할 때에, 상기 톤-방출 팔찌 (500)는 식별자처럼 그 사용자와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톤-방출 팔찌 (500)는 그 후에 상기 저장된 정보를 전문 의료인들의 통신 디바이스들에게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비가청 톤들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톤-방출 팔찌 (500)는 상기 사용자가 의료 시설의 특정 영역들에 접근하기 위한 (또는 접근을 거부하도록) 인증할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착용자가 의료 시설에서의 환자라면, 수술실로의 입구들은 그 착용자에 대한 로켓 (locket)일 수 있다. 그러나, 그 착용자는 다른 사람들이 접근이 거부될 수 있는 자신의 공간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그처럼, 의료 시설의 입구들에는 상기 비가청 톤을 수신하고 접근을 허용하거나 거부하는 고정 디바이스 (108)가 장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상기 톤-방출 팔찌 (500)는 위치,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이한 톤들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정보가 상기 톤-방출 팔찌 (500)에 의해 출력될 수 있지만, 톤들을 수신하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 및/또는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들, 인코딩 등을 디코딩하도록 특별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a - 도 6b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지불 인증을 위한 톤-방출 지불 카드 (600)를 도시한다. 도 6a는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를 위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6b는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의 횡단 측면 모습을 도시한다.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는 하우징 (602) 및 톤-방출 스피커 (60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602)은 플라스틱이나 다른 방수 또는 내수 재질로 구축된다. 상기 하우징 (602)은 서명 스트립, 바코드, 자기 스트립, 인증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톤-방출 스피커 (604)는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를 소유한 사람에 관한 데이터와 함께 인코딩된 비가청 톤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는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606), 배터리 (608), 칩 (612), 마이크로폰 (614) 및 상기 톤-방출 스피커 (604)와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606) 둘 모두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606) 및 배터리 (608)는 위에서 설명된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206) 및 배터리 (208)와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상기 칩 (612)은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를 소유한 사람의 지불 및/또는 식별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폰 (614)은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를 소유한 사람으로부터의 구술 입력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되었듯이,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는 로직을 저장한 메모리 컴포넌트 (140)를 포함하며, 그 로직은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로 하여금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606)로부터의 데이터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로의 방출을 위해 비가청 톤을 판별하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비가청 톤과 함께 인코딩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에게 인도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상기 톤-방출 스피커 (604)에게 송신하도록 한다.
일 예로서,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의 일 실시예는 인증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 인증 데이터는 사용자의 모바일 전화기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104)에 의해서도 또한 수신될 수 있다. 그처럼,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가 지불을 하기 위해 (또는 현찰을 회수하기 위해) 스캔된다면, 거래를 허가하기 이전에,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는 상기 톤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전화기가 근방에 있으면, 그것은 상기 톤을 수신할 것이며 그리고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가 그 전화기와 연관되며 그래서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다는 인증으로 응답할 수 있다. 상기 전화기의 응답은 또한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로 거꾸로 가는 톤;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로의 다른 무선 통신, 및/또는 지불 처리 디바이스 (또는 연관된 서버들)로의 통신일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전화기가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로 거꾸로 전달한다면, 이 인증은 이체를 완료하기 위해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가 상기 지불 처리 디바이스로 신용 카드 번호를 릴리즈 (release)하도록 (또는 다른 지불 승인을 제공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전화기가 상기 지불 처리 디바이스와 통신하면, 상기 지불 처리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인증될 때까지 상기 거래를 보류할 수 있다.
도 7a - 도 7b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물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톤을 전달하기 위한 톤-방출 포드 (pod) (700)를 도시한다. 도 7a는 상기 톤-방출 포드 (pod) (700)를 위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7b는 상기 톤-방출 포드 (pod) (700)의 횡단 측면 모습을 도시한다. 상기 톤-방출 포드 (pod) (700)는 하우징 (702) 및 톤-방출 스피커 (70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702)은 플라스틱이나 다른 방수 또는 내수 재질로 구축된다. 상기 톤-방출 스피커 (704)는 제안들, 쿠폰들, 특별한 접근 등과 같은, 그러나 그것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프로모션들에 관한 데이터와 함께 인코딩된 비가청 톤을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에게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톤-방출 포드 (pod) (700)는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706), 배터리 (708), 가속도계 (716) 및 상기 톤-방출 스피커 (704),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706) 및 상기 가속도계 (716)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속도계 (716)는 3축 가속도계일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에 대한 상기 톤-방출 포드 (pod) (700)의 위치 및 방위를 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가 가속도계 (716)로부터 특정 범위 또는 거래 내에 있을 때에,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의 존재를 통보받으며, 그래서 상기 톤-방출 포드 (pod) (700)가 상기 데이터와 함께 인코딩된 비가청 톤을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에게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되었듯이,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는 로직을 저장한 메모리 컴포넌트 (140)를 포함하며, 그 로직은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로 하여금 상기 입력/출력 디바이스 포트 (706)로부터의 데이터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로의 방출을 위해 비가청 톤을 판별하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비가청 톤과 함께 인코딩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에게 인도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상기 톤-방출 스피커 (704)에게 송신하도록 한다.
일 예로서, 상기 톤-방출 포드 (pod) (700)는 영화관에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가속도계 (716)는 사용자가 극장에 앉아있을 때 그리고 그 사용자가 구내 매점과 같은 곳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를 판별하기 위해 그 사용자의 방위 및 움직임을 탐지할 수 있다. 그 위치 및/또는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톤-방출 포드 (pod) (700)는 구내 매점과 같은 곳에서 그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그리고/또는 도 1의 고정 디바이스 (108)에게 톤을 출력할 수 있다. 그 사용자가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탐지되면, 상기 톤-방출 포드 (pod) (700)는 구내 매점에서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에 의해 수신되는 톤을 출력할 수 있다. 그 고정 디바이스 (108)는 매점에서의 구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사용자에게 쿠폰, 메뉴 아이템, 지불을 위한 옵션 및/또는 다른 정보를 푸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극장으로 돌아가면, 상기 톤-방출 포드 (pod) (700)는 극장으로의 접근을 인증할 수 있다.
도 8a, 도 8b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톤-방출 디바이스 (102)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a는 톤-방출 디바이스 (102) 내에서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에 의해 구현된 흐름도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블록 810에서,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는 물체의 특성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물체는 소매상점에서의 제품, 사람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포브 또는 사람이 착용한 팔찌 또는 지불 카드로서 구성될 수 있다. 블록 820에서,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는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비가청 톤을 인코딩한다. 블록 830에서,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는 상기 비가청 톤을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의 톤-방출 스피커 (204)에게 송신한다.
도 8b는 블록 820에서 비가청 톤을 인코딩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블록 822에서,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는 약 15 kHz 및 약 25 kHz 사이의 범위 내에서 비-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주파수들 중 적어도 한 쌍에 대응하는 사운드들 선택한다. 모든 주파수 쌍들은 상호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최적화된다. 블록 824에서,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는 주파수들 중 상기 적어도 한 쌍에 대응하는 상기 사운드들을 유일 캐릭터에 할당한다. 블록 826에서,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는 상기 유일 캐릭터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비가청 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사운드들을 배열한다. 블록 828에서,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는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비가청 톤과 함께 인코딩한다.
위에서 설명된 톤-방출 디바이스 (102)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여러 방식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래서 다양한 환경들에서 물체들과 사람에 관련한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는 소매상점이나 창고에서 재고 관리를 위한 톤-방출 선반-라벨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톤-방출 선반 라벨은 소매상점이나 창고의 선반들 위에 놓여진 개별 재고 아이템들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와 같은 하나 이상의 고정 디바이스들 (108)이 소매 상점이나 창고에 배치되어 각 개별 재고 아이템 상의 상기 톤-방출 선반-라벨 및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와 같은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개별 재고 아이템의 상세 내역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톤-방출 선반-라벨은 그 톤-방출 선발 라벨의 신원은 물론이며 개별 재고 아이템의 신원, 위치 및 가격에 관련된 데이터와 함께 인코딩된 비가청 톤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는 그 개별 재고 아이템들에 부착된 각 톤-방출 선반-라벨에 의해 방출된 비가청 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는 상기 비가청 톤을 디코딩하여 상기 비가청 톤과 함께 인코딩된 데이터를 판별하며 그리고 그 데이터를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에게 보고한다. 상기 개별 재고 아이템들이 상점이나 창고에서 상기 비가청 톤을 한차례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세팅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걸쳐 더 많이 방출하기 때문에, 그 개별 재고 아이템들이 옮겨지고, 추가되고 또는 상점이나 창고로부터 제고되면 재고는 그에 따라 업데이트된다.
도 9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재고 관리를 위한 톤-방출 선반 라벨을 활용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블록 920에 예시되었듯이, 개별 재고 아이템 상에 배치된 상기 톤-방출 선반 라벨 (200)은 그 재고 아이템의 신원 및/또는 위치에 관련된 데이터를 구비한 비가청 톤을 방출한다. 블록 930에서, 상점 중앙 위치에 배치된 고정 디바이스 (108)가 상기 비가청 톤을 수신한다. 블록 940에서,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는 그 비가청 톤을 디코딩하여 상기 개별 재고 아이템의 신원 및/또는 위치에 관련된 상기 데이터를 판별한다. 블록 950에서,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는 상기 데이터를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에게 보고한다. 블록 960에서, 상기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 (108)는 타임 스탬프와 함께 각 개별 재고 아이템을 기록한다. 블록 970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현재 재고를 이전 시각에서의 재고와 비교한다. 블록 980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재고에 변화가 있는가의 여부를 판별한다. 재고에 변화가 있으면, 블록 982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재고를 업데이트하고 재고 목록을 타임스탬프와 함께 저장한다. 블록 984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저장 관리자에게 또는 상점 내 사용자에게 재고에서의 업데이트를 통지한다. 재고에 어떤 변화도 없으면, 블록 986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재고를 업데이트하지는 않지만 재고 목록을 타임스탬프와 함께 저장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는 소매상에서 소매 계산을 위한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 (300)로서 구성된다. 상기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 (300)은 소매 상점 내 배치된 개별 소매 아이템들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 (300)은 그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 (300)의 신원은 물론이며 개별 소매 아이템들의 신원 및 가격에 관련된 데이터와 함께 인코딩된 비가청 톤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톤은 소매 계산 동안에 소매 아이템이 고객에 의해 쇼핑 카트 상에 놓여질 때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구매를 위해 그 고객에 의해 선택된 개별 소매 아이템들에 부착된 상기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 (300)에 의해서 방출된 비가청 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 후에 상기 비가청 톤을 디코딩하고 그리고 그 비가청 톤 내 인코딩된 데이터를 판별한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러면 쇼핑 카드 상에 놓여진 소매 아이템들 모두의 가격을 계산하고 고객이 상점을 떠날 때에 그 소매 아이템들의 지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불 애플리케이션을 오픈한다. 그래서, 상기 고객은 구매를 위해 제품들을 선택한 이후에 줄을 서서 기다리거나 계산원과 상대할 필요가 없으며 그 소매 상점은 값비싼 계산 하드웨어에 투자할 필요가 없다.
도 10은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상점에서 소매 계산을 위해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 (300)을 활용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블록 1020에 예시되었듯이, 상기 톤-방출 자체-접착성 라벨 (300)은 개별 소매 아이템의 신원 및 가격에 관련된 데이터와 함께 인코딩된 비가청 톤을 방출한다. 블록 1030에서, 상기 고객의 무선 디바이스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104)가 상기 비가청 톤을 수신기를 통해 수신한다. 블록 1040에서,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비가청 톤을 디코딩하여 개별 소매 아이템의 신원 및 가격에 관련된 데이터를 판별한다. 블록 1050에서,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쇼핑 카드 상에 놓여진 개별 소매 아이템들 중 적어도 일부의 가격을 계산한다. 블록 1060에서,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쇼핑 카트 상의 상기 소매 아이템들의 지불을 용이하게 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는 컨퍼런스, 교육 기관 등과 같은 이벤트에서 등록 및 참석을 위한 톤-방출 포브 (400)로서 구성된다. 상기 톤-방출 포브 (400)는 그 이벤트 참석자에 의해 운반되거나 착용된다.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와 같은 하나 이상의 고정 디바이스들 (108)이 상기 이벤트의 대지 내 중심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톤-방출 포브 (400) 및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각 참석자의 상세 내역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톤-방출 포브 (400)는 참석자가 그 이벤트 장소에 입장할 때에, 그 톤-방출 포브 (400)의 신원은 물론이며 상기 참석자의 신원 및 위치에 관련된 데이터와 함께 인코딩된 비가청 톤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는 상기 톤-방출 포브 (400)에 의해 방출된 상기 비가청 톤을 수신하고 그리고 그 비가청 톤을 디코딩하여 상기 데이터를 판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는 그 데이터를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에게 보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참석자 등록 및/또는 참석을 그에 따라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참석자가 그 이벤트에 참석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에 의해 보고되면,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참석자 목록을 타임스탬프와 함께 업데이트하고 저장한다. 그 참석자 목록은 후속의 타임스탬프와 함께 생성된 다른 참석자 목록과의 비교를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참석 관리자 또는 출석한 참석자들을 또한 보고할 수 있다. 참석자가 특정 시간 내에 그 장소에 입장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그 참석자가 상기 고정 디바이스들 (108) 중 어느 하나의 범위 내에 있으면 그 없는 참석자의 신원 및 위치를 참석 관리자나 매니저에게 통보한다.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그 참석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경보를 또한 송신하여, 그 참석자가 이벤트에 참석할 것으로 요청한다.
도 11은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이벤트에서 참석자 등록을 위해 톤-방출 포브 (400)를 활용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블록 1120 내에 예시되었듯이, 상기 톤-방출 포브 (400)는 참석자가 이벤트 장소에 진입할 때에 그 참석자의 신원 및 위치에 관련된 데이터를 구비한 비가청 톤을 방출한다. 블록 1130에서, 중앙 위치에 배치된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가 그 비가청 톤을 수신한다. 블록 1140에서,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는 상기 비가청 톤을 디코딩하여 참석자의 신원 및 위치에 관련된 데이터를 판별한다. 블록 1150에서, 상기 고정 디바이스 9108)는 상기 데이터를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에게 보고한다. 블록 1160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상기 참석자를 이벤트에 체크하고 그 참석자의 참석에 대해 기록한다. 블록 1170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그 참석자의 참석을 등록된 참석자 목록과 비교한다. 블록 1180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없거나 결석한 참석자가 있는가를 판별한다. 결석한 참석자가 있으면, 블록 1182에서,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컨퍼런스 관리자에게 그 없는 참석자들에 대해 통지한다. 블록 1184에서,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그러면 이벤트에 체크인할 것을 참석자에게 요청하는 경보를 그 참석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송신한다. 결석한 참석자가 없으면, 블록 1186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등록된 참석자 목록을 타임스탬프와 함께 업데이트하고 저장한다. 블록 1188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모든 등록된 참석자들이 이벤트에 출석한 것을 컨퍼런스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는 병원 시설에서 환자 관리를 위한 톤-방출 팔찌 (500)로서 구성된다. 상기 톤-방출 팔찌 (500)는 환자나 (환자 방문자, 전문 의료인 등과 같은) 병원 시설의 다른 방문자가 운반하거나 착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 디바이스들 (108)은 상기 병원 시설의 장소 내 중앙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톤-방출 팔찌 (500) 및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는 의료 시설에서 각 환자의 치료 세목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톤-방출 팔찌 (500)는 그 톤-방출 팔찌 (500)의 신원은 물론이며 환자의 신원, 위치 및 의료적인 상세 내역들에 관련된 데이터와 함께 인코딩된 비청각 톤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며, 의료 시설에서 환자를 수반하는 것이 허가된 전문 의료인이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에 관한 정보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할 때에 상기 톤-방출 팔찌 (500)는 상기 비가청 톤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공인된 전문 의료인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톤-방출 팔찌 (500)에 의해 방출된 상기 비가청 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인된 전문 의료인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톤-방출 팔찌 (500)나 병원 시설 내 상기 고정 디바이스들 (108) 중 하나의 범위 내에 배치되면, 그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비가청 톤을 수신한다. 상기 공인된 전문 의료인은 그러면 상기 비가청 톤 수신에 응답하여 (패스워드, 생체 인증 등과 같은) 인증 데이터를 입력한다. 일단 상기 공인된 전문 의료인이 인증되면, 그 공인된 전문 의료인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비가청 톤을 디코딩하여 상기 환자의 신원, 위치 및 의료 상세 내역들에 관한 데이터를 판별하고 그 데이터로의 접근 시각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판별한다. 상기 공인된 전문 의료인이 인증되지 않는다면, 그 의료인은 상기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다.
도 12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병원 시설에서 환자 관리를 위해 톤-방출 팔찌 (500)를 활용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블록 1220에 예시되었듯이, 상기 톤-방출 팔찌 (500)는 환자의 신원, 위치 및 치료 세목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구비한 비가청 톤을 방출한다. 블록 1230에서, 공인된 전문 의료인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104)가 상기 톤-방출 팔찌 (500)나 상기 병원 시설의 댁내에 배치된 고정 디바이스 (108)의 범위 내에 있을 때에 그 통신 디바이스 (104)는 상기 비가청 톤을 수신한다. 블록 1240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비가청 톤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공인된 전문 의료인에 의해 입력된 인증 코드를 수신한다. 블록 1250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공인된 전문 의료인이 인증되었는가를 판별한다. 상기 공인된 전문 의료인이 인증되면, 블록 1252에서, 상기 공인된 전문 의료인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환자의 신원, 위치 및 치료 세목들에 관련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블록 1254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비가청 톤을 디코딩하여 상기 데이터를 판별한다. 상기 공인된 전문 의료인이 인증되지 않으면, 블록 1256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공인된 전문 의료인에게 그 의료인이 인증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인도한다. 블록 1258에서, 상기 공인된 전문 의료인은 그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없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는 톤-방출 지불 카드 (600)로서 구성되며, 이는 그 카드의 등록된 소유자에 대한 검증 및 지불에 대한 후속의 허가를 위한 것이다. 톤-방출 지불 카드 (600)는 사용자에 의해 운반되며 지불을 하거나 자율화 출납 머신 (ATM)에서 현금 회수를 함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는 등록된 소유자가 그 톤-방출 지불 카드 (600)를 사용하여 지불할 때에, 그 등록된 소유자의 신원 및 지불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와 함께 인코딩된 비가청 톤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등록된 소유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104)는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에 의해 방출된 비가청 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등록된 소유자는 그러면 상기 비가청 톤 수신에 응답하여 인증 데이터를 입력한다. 일단 상기 등록된 소유자가 인증되면, 그 등록된 소유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 비가청 톤을 디코딩하여, 신원 및 지불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 그리고 그 데이터로의 접근 시각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판별한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러면 그 소유자에게 거래에서 상기 지불을 허가할 것을 요청하기 위해 진행한다. 그래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의 소유권을 검증할 수 없으면,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는 그 거래에서의 지불을 거부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의 등록된 소유자가 아닌 사람이 지불 행동을 개시하면,
도 13은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지불 허가 및 검증을 위해 톤-방출 지불 카드 (600)를 활용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블록 1320에 예시되었듯이,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가 지불 행동을 탐지한다. 그 지불 행동은 ATM에서의 회수 요청이나 신용 카드 지불을 위한 전자 카드 판독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1330에서, 상기 톤-방출 지불 카드 (600)는 상기 등록된 소유자의 신원 및 지불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와 함께 인코딩된 비가청 톤을 방출한다. 블록 1340에서, 그 등록된 소유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104)는 상기 비가청 톤을 수신한다. 블록 1350에서, 상기 등록된 소유자는 상기 비가청 톤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전화기에 인증 데이터를 입력한다. 블록 1360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등록된 소유자가 인증되었는가를 판별한다. 그 등록된 소유자가 인증되지 않았다면, 블록 1362에서, 그 등록된 소유자는 신원, 거래 및 지불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 그리고 그 데이터로의 접근 시각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수신한다. 블록 1364에서, 상기 등록된 소유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비가청 톤을 디코딩하여 상기 데이터를 판별하며 그리고 상기 등록된 소유자에게 그 거래에서의 지불을 허가할 것을 요청한다. 블록 1366에서, 상기 등록된 소유자가 그 거래에 동의하면 그 등록된 소유자는 지불 허가를 진행한다. 상기 등록된 소유자가 인증받지 않으면, 블록 1368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 등록된 소유자에게, 그 소유자가 인증 받을 수 없으며 지불은 거부되었다는 메시지를 배달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는 영화관이나 브로드웨이 극장과 같은 그러나 그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 엔터테인먼트 현장에서 제품들 판매를 발생하게 하기 위해 매표소나 극장에 또는 가깝게 배치된 톤-방출 포드 (700)로서 구성된다. 상기 톤-방출 포드 (700)는,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104)가 상기 톤-방출 포드 (700)의 범위 내에 배치될 때에, 그 톤-방출 포드 (700)의 신원은 물론이며 제품들, 제안들 등에 관련된 데이터와 함께 인코딩된 비가청 톤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고객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톤-방출 포드 (700)에 의해 방출된 상기 비가청 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러면 상기 비가청 톤을 디코딩하며 그리고 그 비가청 톤과 함께 인코딩된 상기 데이터를 판별한다. 상기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고객에게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또는 오픈할 것을 촉구한다. 그 고객은 상기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제안들, 쿠폰들, 특별한 접근 등과 같은, 그러나 그것들로 제한되지 않는 프로모션들 인도를 통해 상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오픈하기 위해 유인된다. 상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프로모션들을 디스플레이하며 그리고 엔터테인먼트 현장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에 의해 이루어진 지불 거래를 향하여 상기 프로모션들을 적용한다.
도 14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엔터테인먼트 현장에서 판매를 발생하게 하기 위해 톤-방출 포드 (700)를 활용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블록 1420에 예시되었듯이, 상기 톤-방출 포드 (700)는,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104)가 상기 톤-방출 포드 (700)의 범위 내에 있을 때에, 그 톤-방출 포드 (700)의 신원은 물론이며 제품들, 제안들 등에 관련된 데이터와 함께 인코딩된 비가청 톤을 방출한다. 블록 1430에서,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수신기를 통해 상기 비가청 톤을 수신한다. 블록 1440에서, 상기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비가청 톤을 디코딩하여 상기 데이터를 판별한다. 블록 1450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고객이 그 모바일 디바이스 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또는 오픈하도록 촉구한다. 블록 1460에서, 상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데이터 내 존재하는 제안들, 쿠폰들, 특별한 접근 등과 같은 그러나 그것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프로모션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블록 1470에서, 상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엔터테인먼트 현장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상기 고객에 의해 이루어진 지불 거래를 향하여 상기 프로모션들을 자동적으로 적용한다.
도 15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 내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는 프로세서 (1530), 입력/출력 하드웨어 (15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1550), (물체 데이터 (1570) 및/또는 다른 데이터 (1580)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컴포넌트 (1560), 및 메모리 컴포넌트 (140)를 포함한다.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의 상기 컴포넌트들 각각은 로컬 통신 인터페이스 (159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컬 통신 인터페이스 (1590)는 본 발명 개시에 의해 보통은 제한되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컴퓨팅 환경 (100)의 컴포넌트들 사이에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버스 또는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 (14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랜덤 액세스 메모리 (SRAM, DRAM, 및/또는 다른 유형의 RAM), 플래시 메모리, 보안 디지털 (secure digital (SD)) 메모리, 레지스터, 컴팩트 디스크 (CD), DVD (digital versatile discs), 블루-레이, 및/또는 다른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별한 실시예에 종속하여, 이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 내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 (110) 내에 또는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 (140)는, 예를 들면, 운영 로직 (1520), 톤-방출 로직 (144a) 및 데이터-수신 로직 (144b)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운영 로직 (1520), 상기 톤-방출 로직 (144a) 및 상기 데이터-수신 로직 (144b) 각각은 복수의 상이한 조각들의 로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그것들 각각은 컴퓨터 프로그램, 펌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상기 운영 로직 (1520)은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의 컴포넌트들을 관리하기 위한 운영 시스템 및/또는 다른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또한 설명되었듯이,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44a)는 상기 메모리 컴포넌트 (140)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 (1530)로 하여금 송신하기 위한 톤을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가 그 톤을 방출하게 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데이터-수신 로직 (144b)은 설명된 것처럼, 다른 디바이스들로의 데이터 전달은 물론이며 메시지 데이터, 물체 데이터, 및/또는 다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530)는 (데이터 저장 컴포넌트들 (1560) 및/또는 메모리 컴포넌트 (140)로부터와 같은) 명령어들을 수신하여 실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프로세싱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530)의 예시적인 실례들은 컴퓨터 프로세싱 유닛 (CPU), 많은 집적 코어 (many integrated core (MIC)) 프로세싱 디바이스, 가속 프로세싱 유닛 (accelerated processing unit (A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를 포함하지만, 그것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 (1530)는,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들 및 유사한 것처럼 함께 기능하여 프로세싱 능력들을 제공하는 복수의 컴포넌트들일 수 있다
상기 입력/출력 하드웨어 (1540)는 마이크로폰들, 스피커들, 디스플레이, 및/또는 다른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그것들과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출력 하드웨어 (1540)는 세팅들 조절, 상태 보기 등의 목적들을 위해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드웨어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1550)는, 안테나, 모뎀, LAN 포트, WiFi (wireless fidelity) 카드, WiMax 카드, 지그비 (ZigBee) 카드, 블루투스 칩, USB 카드, 모바일 통신 하드웨어,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들 및/또는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한 다른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킹 하드웨어를 포함하거나 그 네트워킹 하드웨어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런 접속으로부터, 톤-방출 디바이스 (102)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 (도 1)와 같은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통신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 컴포넌트 (1560)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솔리드 상태 드라이브 (SSD), 컴팩트 디스크 (CD), DVD (digital versatile disc), 블루-레이 디스크, 및/또는 유사한 것처럼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 컴포넌트 (1560)는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에 로컬로 그리고/또는 원격에 존재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데이터 조각들을 저장하며 그 하나 이상의 데이터 조각들에 선택적으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5 내의 컴포넌트들이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지만, 이것은 단지 일 예일 뿐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이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톤-방출 로직 (144a) 및 상기 데이터-수신 로직 (144b)은 상이한 컴퓨팅 디바이스들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본원에서 설명된 상기 기능성들 및/또는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 (104), 상기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106), 상기 고정 디바이스 (108),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들은 상기 네트워크 (105)를 경유하여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가 분리된 논리적인 컴포넌트들로서 상기 톤-방출 로직 (144a) 및 상기 데이터-수신 로직 (144b)과 함께 예시되지만, 이것 또한 일 예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단일 조각의 로직은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 (102)로 하여금 상기 설명된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예시되었듯이, 톤-방출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이 실시예들은 개인 및/또는 물체, 판매점 (point of sale) 없는 구매들, 및/또는 다른 기능성에 대한 추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개시의 특별한 실시예들 및 모습들이 본원에서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이 본 발명 개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모습들이 본원에서 설명되었지만, 그런 모습들은 조합하여 활용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은, 본원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위 내에 있는 그런 변화들 및 수정들 모두를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본원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톤-방출 디바이스를 통해 상황적으로-관련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을 포함하는 것이 이제 이해되어야 한다. 이 실시예들은 종래 기술에서 제공되지 않았던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비가청 톤들이 활용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일반적인 것보다 아주 더 큰 것을 제공한다. 일 예로,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이전에는 이용할 수 없었던 인증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데이터 공유, 데이터로의 접근 인증, 및 유사한 것을 위해 복수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통신을 또한 제공한다. 이 실시예들인 단지 예시적일 뿐이며 본원 개시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가 아니라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톤(tone)-방출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의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물체의 특성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비가청 톤 (inaudible tone)을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인코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가청 톤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의 톤-방출 스피커에게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명령어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청 톤을 인코딩하는 단계는:
    약 15 kHz 및 약 25 kHz 사이의 범위 내 비-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주파수들 중 적어도 한 쌍에 대응하는 사운드들을 선택하는 단계;
    주파수들 중 적어도 한 쌍에 대응하는 상기 사운드들을 유일 캐릭터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유일 캐릭터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비가청 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사운드들을 배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비가청 톤과 함께 패키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제품, 사람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 톤(tone)-방출 디바이스로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는:
    비가청 톤을 방출하는 톤-방출 스피커;
    상기 톤-방출 스피커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며 로직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로직은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적어도:
    물체의 특성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비가청 톤을 인코딩하고; 그리고
    상기 비가청 톤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톤-방출 스피커에게 명령어들을 송신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는, 톤-방출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로직을 저장하며, 상기 로직은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에:
    약 15 kHz 및 약 25 kHz 사이의 범위 내 비-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주파수들 중 적어도 한 쌍에 대응하는 사운드들을 선택함;
    주파수들 중 적어도 한 쌍에 대응하는 상기 사운드들을 유일 캐릭터에 할당함;
    상기 유일 캐릭터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비가청 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사운드들을 배열함; 그리고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비가청 톤과 함께 패키징함에 의해,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비가청 톤을 인코딩하도록 하는, 톤-방출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휴대용 디바이스인, 톤-방출 디바이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제품, 사람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톤-방출 디바이스.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청 톤은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며,
    상기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비가청 톤 및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물체의 상기 특성을 판별하는, 톤-방출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가속도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톤-방출 스피커는,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상기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것을 상기 가속도계가 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비가청 톤을 출력하는, 톤-방출 디바이스.
  10. 비가청 톤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상기 시스템은 톤(tone)-방출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는:
    비가청 톤을 방출하는 톤-방출 스피커;
    상기 톤-방출 스피커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며 로직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로직은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적어도:
    물체의 특성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비가청 톤을 인코딩하고; 그리고
    상기 비가청 톤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톤-방출 스피커에게 명령어들을 송신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제품, 사람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로직을 저장하며, 상기 로직은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에:
    약 15 kHz 및 약 25 kHz 사이의 범위 내 비-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주파수들 중 적어도 한 쌍에 대응하는 사운드들을 선택함;
    주파수들 중 적어도 한 쌍에 대응하는 상기 사운드들을 유일 캐릭터에 할당함;
    상기 유일 캐릭터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비가청 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사운드들을 배열함; 그리고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비가청 톤과 함께 패키징함에 의해,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비가청 톤을 인코딩하도록 하는,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비가청 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디바이스; 그리고
    로직을 저장한 메모리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상기 로직은 상기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에 그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비가청 톤을 수신하게 하고;
    상기 비가청 톤에서 인코딩된 상기 데이터 및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데이터에 관련된 출력을 상기 출력 디바이스를 통해서 제공하도록 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는:
    셀룰러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에게 보고하기 위해 서드 파티에 의해 운영되는 고정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는 상기 톤-판별 컴퓨팅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가속도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톤-방출 스피커는,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의 특정 범위의 거리 내에 상기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것을 상기 가속도계가 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비가청 톤을 출력하는,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는 재고 아이템에 결합된 라벨로서 구성되며;
    상기 물체는 상기 재고 아이템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재고 아이템의 신원, 위치 및 가격을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구성되며;
    상기 물체는 사용자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들어갈 때에 그 사용자의 신원 및 위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팔찌이며;
    상기 사용자는 환자이며; 그리고
    상기 데이터는 그 환자의 치료 세목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지불 카드이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지불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지불 카드가 지불 처리 디바이스에 의한 거래를 위해 처리되고 있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지불 카드는 상기 사용자의 셀룰러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비가청 톤을 출력하며 그리고 상기 지불 처리 디바이스와의 거래를 인증하기 위해 활용되는, 시스템.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는 소매점 내에 존재하며;
    상기 물체는 상기 소매점에 의해 제공된 제품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그 물체의 특성을 포함하며;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소매점에 입장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톤-방출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셀룰러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비가청 톤을 출력하며 그리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품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해 활용되는, 시스템.
KR1020207003085A 2017-07-06 2018-07-02 데이터를 전달하는 톤 방출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42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29296P 2017-07-06 2017-07-06
US62/529,296 2017-07-06
PCT/US2018/040540 WO2019010108A1 (en) 2017-07-06 2018-07-02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TONE TRANSMITTING DEVICE THAT REPORTS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286A true KR20200024286A (ko) 2020-03-06

Family

ID=6304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085A KR20200024286A (ko) 2017-07-06 2018-07-02 데이터를 전달하는 톤 방출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3649751A1 (ko)
KR (1) KR20200024286A (ko)
CN (1) CN110892651A (ko)
CA (1) CA3068719A1 (ko)
IL (1) IL271721A (ko)
PH (1) PH12020500041A1 (ko)
SG (1) SG11202000080UA (ko)
TW (1) TWI789403B (ko)
WO (1) WO2019010108A1 (ko)
ZA (1) ZA2020001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0066B1 (en) 2017-10-16 2020-03-03 Amazon Technologies, Inc. Personalizing portable shopping displays using mobile devices and inaudible tones
US11107128B1 (en) 2017-10-16 2021-08-31 Amazon Technologies, Inc. Portable interactive product displays with region-specific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6889B1 (en) * 1999-01-22 2001-05-22 Medtron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ustically coupling implantable medical device telemetry data to a telephonic connection
DE69933663D1 (de) * 1999-08-03 2006-11-30 Eta Sa Mft Horlogere Suisse Elektronischer Wandler eines akustischen Signals in ein pseudo-digitales Signal und bidirektionelles Kommunikationsverfahren durch Schallwellen
KR100912078B1 (ko) * 2007-05-02 2009-08-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일 음향원을 이용한 인체 음향 송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89735B1 (ko) * 2007-08-01 2009-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음파통신 장치 및 인체음파통신 방법
US8798761B2 (en) * 2008-06-27 2014-08-05 Cardiac Pacemakers, Inc. Systems and methods of monitoring the acoustic coupling of medical devices
US20100201520A1 (en) * 2009-02-12 2010-08-12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 for determining item location based on feedback from fixe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readers and/or fixed rfid beacon tags
US20100331915A1 (en) * 2009-06-30 2010-12-30 Hill Gerard J Acoustic activation of components of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20110301439A1 (en) * 2010-06-08 2011-12-08 AliveUSA LLC Wireless, ultrasonic personal health monitoring system
WO2011029959A2 (en) * 2010-10-22 2011-03-17 Phonak Ag Method for testing a hearing device as well as an arrangement for testing a hearing device
CN103368659A (zh) * 2012-03-30 2013-10-23 北京千橡网景科技发展有限公司 发送数据的方法和设备以及接收数据的方法和设备
US20130336497A1 (en) * 2012-04-04 2013-12-19 Clinkle Corporation Dynamic sonic signal intensity adjustment
JP6081382B2 (ja) * 2013-04-15 2017-02-15 清 宮浦 音声生成装置、音声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26119B2 (en) * 2013-11-20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Using sensor data to provide information for proximally-relevant group communications
US9544067B2 (en) * 2014-02-27 2017-01-1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ultrasonic messages
TWI523444B (zh) * 2014-03-19 2016-02-21 宏碁股份有限公司 聲音發送裝置、接收裝置與利用聲音訊號傳遞資料的方法
US10909566B2 (en) * 2014-10-10 2021-02-02 Nicholas-Alexande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tones
CN205121878U (zh) * 2015-11-19 2016-03-30 吉林大学 体域网环境下的超声波通信装置
CN106507263B (zh) * 2016-12-29 2019-11-26 西安工程大学 基于自适应滤波的扬声器异常声检测电路装置及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20500041A1 (en) 2020-09-14
ZA202000179B (en) 2021-08-25
EP3649751A1 (en) 2020-05-13
CN110892651A (zh) 2020-03-17
TW201907674A (zh) 2019-02-16
CA3068719A1 (en) 2019-01-10
SG11202000080UA (en) 2020-02-27
WO2019010108A1 (en) 2019-01-10
TWI789403B (zh) 2023-01-11
IL271721A (en)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97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tone emitting device that communicates data
US11475724B2 (en) Pairable secure-access facilities
JP7461412B2 (ja) 仮想待ち行列システム及び方法
US11068913B2 (en) Determining a user's event experience through user actions
US20130019284A1 (en) Automated web based applications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8812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heck-in
EP2958057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inaudible acoustic signals
US20150242911A1 (en) Group check in
US20170024713A1 (en) Wearable devices and systems for event administration and event related transactions
US201502788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group incentives
JP6224289B2 (ja) 携帯端末、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7027336A1 (en) Mobile payment system and method
TWI789403B (zh) 用於提供傳送資料之發聲裝置的系統及方法
US2017025080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sonal authentication
KR20170104792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TW202324201A (zh) Rfid裝置、首飾、區域傳送裝置以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