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980A -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980A
KR20200023980A KR1020180100562A KR20180100562A KR20200023980A KR 20200023980 A KR20200023980 A KR 20200023980A KR 1020180100562 A KR1020180100562 A KR 1020180100562A KR 20180100562 A KR20180100562 A KR 20180100562A KR 20200023980 A KR20200023980 A KR 20200023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unit
stereoscopic
dimensio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589B1 (ko
Inventor
남민우
남상민
박창열
김형석
Original Assignee
남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민우 filed Critical 남민우
Priority to KR1020180100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58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3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1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sound image or of the spatial distribution using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or equivalents thereof, e.g. interaural time difference [ITD] or 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13Application of wave-field synthesis in stereophonic audio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에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을 제공하고, 이러한 입체음원은 서버부가 단말기의 출력부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출력부에 최적화된 입체음원의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며, 서버부를 통해 일반음원을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for Providing 3D Stereophonic Soun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에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을 제공하고, 이러한 입체음원은 서버부가 단말기의 출력부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출력부에 최적화된 입체음원의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며, 서버부를 통해 일반음원을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입체음향이란, 청취자가 음향을 들었을 때 방향감, 거리감 및 공간감을 지각할 수 있도록, 음향에 공간 정보를 부가한 음향을 말한다.
입체음향 재생방식은, 서라운드(Surround) 타입의 멀티채널 방식과, 바이노럴(Binaural) 타입의 2채널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방식에 따라서 입체음향 생성기술과 재생기술은 많은 차이점을 보인다.
멀티채널에 의한 방식은 두 개 이상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음을 녹음하고 다수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향의 공간적 분포를 재생하는 방식으로 소리의 현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연주회장에서의 음향이 폭넓은 공간감을 주는 것은 반향음(벽면 또는 천장에서 반사되는 음)의 결과이다. 기본적으로 청취자의 전후, 좌우에 2개 이상의 스피커를 배치(녹음의 경우도 여러 개의 마이크로폰을 배치)해 음향이 청취자를 둘러싸는 서라운드 타입으로 재생한다.
2채널에 의한 방식은 인간이 두 개의 귀로 음향을 지각하는 특성을 이용해 음상정위(Sound Image Localization)와 음장제어(Sound Field Control)에 의해 생성된 입체음향을 2채널에 의해서 재생하는 방식을 말한다. 바이노럴 타입의 2채널 입체음향을 생성하는 방식으로는 녹음과 필터링에 의한 방법이 있다.
녹음에 의한 방법은 청취자의 양쪽 귀에 장착한 두 개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해 현장음을 녹음하고 이를 재생하는 방식이다. 인간의 머리전달계는 각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동일 음원에 대해 바이노럴 신호를 녹음할 경우 사람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신호가 생길 수 있다. 가장 이상적인 입체음향의 구현을 위해서는 자신의 두 귀에 장착한 마이크로폰으로 녹음된 바이노럴 신호를 자신이 듣는 것이나, 모든 사람이 자신의 바이노럴 신호를 녹음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재는 주로 청각 능력이 뛰어난 음악가나 표준치의 머리 모형을 가진 더미헤드(Dummy Head)에 장착한 마이크로폰을 통해 바이노럴 신호를 녹음하고 이를 일반 청취자에게 들려주는 방식을 이용한다.
필터링에 의한 방법은 단순음(모노음 또는 스테레오음)을 변형하여 입체음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주로 머리전달함수(HRTF;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가 필터로 이용된다. 머리전달함수는 무향실 내에서 더미헤드를 중심으로 구의 형태로 배치한 여러 개의 스피커로부터 백색잡음(White Noise)과 같은 임펄스(Impulse) 신호를 방사시켜 더미헤드의 양쪽 귀에 장착한 마이크로폰으로 측정한 임펄스 응답을 푸리에(Fourier) 변환한 것을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입체동영상에 동기화된 입체음향을 생성할 수 있는 전자기기에 관한 도면으로, 이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3958호(2012.05.29)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종래기술(90)은 입체동영상 처리 과정에서 획득되는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거리감, 공간감, 방향감을 갖는 입체동영상에 동기화된 입체음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피커(91)를 구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디스플레이부(93)를 통해 출력되는 입체동영상에 매칭되는 입체음향이 출력되도록 한다.
하지만, 전술한 상기 종래기술(90)에 의해서는 입체동영상의 영상을 통해 그에 부합하는 입체음향을 생성할 수는 있을지언정, 입체동영상 없이, 2차원 음향을 3차원 입체음향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최근에는 각종 음원사이트의 발달로 인해, 소정의 비용으로 원하는 음원을 얼마든지 다운로드 받는 것이 가능해 졌지만, 다운로드 받는 음원의 음질이 128K, 192K, 320K 등과 같이 제한적이었고, 2차원 음향만을 제공하는 음원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은 음원은 3차원 음향으로 변환될 수 없었는바, 청취자가 고품질의 3차원 입체음향을 듣는 것에 제한이 따랐다.
따라서 관련 업계에서는,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으며, 2차원 음향으로 제작된 음원이라도, 청취자의 요구에 따라 2차원 음향에서 3차원 음향으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3958호(2012.05.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을 제공하는 서버부를 구성하여, 상기 서버부와 단말기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 필요에 따라 상기 서버부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버부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부 상에 입체음원저장부를 구성하여,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 상에 저장해 두었다가, 단말기의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서버부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특정 입체음원을 추출해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가 서버부에 특정 입체음원을 요청했을 때, 서버부가 단말기의 출력부를 인식하여 해당 출력부에 최적화된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버부는 단말기가 요청한 입체음원을 획득하여 전송하기 전에, 단말기의 출력부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출력부에서 3차원 입체음향이 가장 효과적으로 출력될 수 있는 조건의 입체음원을 검색하여 해당 조건의 입체음원을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각각의 단말기 출력부 상태에 맞는 적절한 입체음원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로부터 일반음원을 수신하면 이를 단말기가 원하는 입체음원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도록 하여, 기존의 일반음원이라도 얼마든지 입체음원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라이브방송 등이 재생중인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재생중인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로부터 음원변환신호를 수신하여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함으로써, 음원변환요청신호가 왔을 때 해당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고, 음원변환중지신호가 왔을 때 입체음원 변환을 중단하여, 실시간으로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용이하게 변환하도록 하거나 변환 중의 상황을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로부터 입체음원의 변환개시요청이 있으면, 해당 요청시점부터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경해 전송하고, 단말기로부터 입체음원의 변환중지요청이 있으면, 해당 시점부터 입체음원으로의 변경을 중단함으로써, 단말기가 일반음원을 청취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미 청취한 구간을 다시 들을 필요없이, 연속적으로 일반음원 또는 입체음원을 선택해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에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을 제공하는 서버부와, 상기 서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서버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 저장하고 상기 서버부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입체음원을 저장하고 있는 입체음원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입체음원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체음원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입체음원을 추출하는 입체음원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서버부는, 상기 입체음원추출부와 연결되어 추출된 상기 입체음원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추출입체음원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서버부는,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를 인식하여 인식된 출력부에 최적화된 입체음원을 결정하는 입체음원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출력부정보저장부와, 출력부별 최적의 입체음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음원정보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체음원결정부는, 상기 출력부정보저장부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 정보를 추출하는 출력부정보추출모듈과, 상기 출력부정보추출모듈과 연결되어 추출된 출력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음원정보저장부를 검색해 해당 출력부에 최적화된 입체음원을 결정하는 입체음원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서버부는,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는 입체음원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입체음원변환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일반음원을 수신하는 일반음원수신모듈과, 상기 일반음원수신모듈과 연결되어 수신된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는 일반음원변경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입체음원변환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원변환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모듈을 추가로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신호수신모듈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원변환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변환개시모듈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원변환중지신호를 수신하는 변환종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일반음원수신모듈은, 변환개시시 상기 단말기로부터 일반음원수신을 시작하고, 변환종료시 상기 단말기로부터 일반음원수신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서버부는, 상기 입체음원변환부와 연결되어 변환된 상기 입체음원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변환입체음원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변환입체음원전송부는, 변환전 일반음원과 변환된 입체음원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버부의 입체음원획득부가 단말기에 전송할 입체음원을 준비하는 입체음원획득단계와, 상기 입체음원획득단계 이후에, 상기 서버부의 입체음원전송부가 준비한 입체음원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입체음원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입체음원획득단계는, 상기 서버부의 입체음원추출부가 입체음원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의 입체음원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체음원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입체음원을 추출하는 입체음원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입체음원전송단계는, 상기 서버부의 추출입체음원전송부가 상기 입체음원추출부와 연결되어 추출된 상기 입체음원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추출입체음원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은, 상기 입체음원획득단계 이전에, 상기 서버부의 입체음원결정부가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를 인식하여 인식된 상기 출력부에 최적화된 입체음원을 결정하는 최적화입체음원결정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최적화입체음원결정단계는, 상기 서버부의 출력부정보추출모듈이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출력부정보저장부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 정보를 추출하는 출력부정보추출단계와, 상기 출력부정보추출단계 이후에, 상기 서버부의 입체음원결정모듈이 상기 출력부정보추출모듈과 연결되어 추출된 출력부 정보를 기초로 출력부별 최적의 입체음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음원정보저장부를 검색해 해당 출력부에 최적화된 입체음원을 결정하는 입체음원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입체음원획득단계는, 상기 서버부의 입체음원변환부가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는 입체음원변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입체음원변환단계는, 상기 입체음원변환부의 일반음원수신모듈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일반음원을 수신하는 일반음원수신단계와, 상기 일반음원수신단계 이후에, 상기 입체음원변환부의 일반음원변경모듈이 상기 일반음원수신모듈과 연결되어 수신된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는 일반음원변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입체음원변환단계는, 상기 일반음원수신단계 이전에, 상기 입체음원변환부의 신호수신모듈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원변환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신호수신단계는, 상기 신호수신모듈의 변환개시모듈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원변환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음원변환요청신호수신단계와, 상기 신호수신모듈의 변환종료모듈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원변환중지신호를 수신하는 음원변환중지신호수신단계를 포함하여, 변환개시시 상기 단말기로부터 일반음원수신을 시작하고, 변환종료시 상기 단말기로부터 일반음원수신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입체음원전송단계는, 상기 서버부의 변환입체음원전송부가 상기 입체음원변환부와 연결되어 변환된 상기 입체음원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변환입체음원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변환입체음원전송단계는, 변환전 일반음원과 변환된 입체음원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을 제공하는 서버부를 구성하여, 상기 서버부와 단말기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 필요에 따라 상기 서버부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서버부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부 상에 입체음원저장부를 구성하여,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 상에 저장해 두었다가, 단말기의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서버부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특정 입체음원을 추출해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가 서버부에 특정 입체음원을 요청했을 때, 서버부가 단말기의 출력부를 인식하여 해당 출력부에 최적화된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버부는 단말기가 요청한 입체음원을 획득하여 전송하기 전에, 단말기의 출력부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출력부에서 3차원 입체음향이 가장 효과적으로 출력될 수 있는 조건의 입체음원을 검색하여 해당 조건의 입체음원을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각각의 단말기 출력부 상태에 맞는 적절한 입체음원이 제공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단말기로부터 일반음원을 수신하면 이를 단말기가 원하는 입체음원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도록 하여, 기존의 일반음원이라도 얼마든지 입체음원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라이브방송 등이 재생중인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재생중인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단말기로부터 음원변환신호를 수신하여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함으로써, 음원변환요청신호가 왔을 때 해당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고, 음원변환중지신호가 왔을 때 입체음원 변환을 중단하여, 실시간으로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용이하게 변환하도록 하거나 변환 중의 상황을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로부터 입체음원의 변환개시요청이 있으면, 해당 요청시점부터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경해 전송하고, 단말기로부터 입체음원의 변환중지요청이 있으면, 해당 시점부터 입체음원으로의 변경을 중단함으로써, 단말기가 일반음원을 청취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미 청취한 구간을 다시 들을필요없이, 연속적으로 일반음원 또는 입체음원을 선택해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입체동영상에 동기화된 입체음향을 생성할 수 있는 전자기기에 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에 관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서버부에 관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입체음원결정부에 관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입체음원획득부 및 입체음원전송부에 관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입체음원변환부에 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에 관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최적화입체음원결정단계에 관한 도면.
도 9는 도 7의 입체음원획득단계 및 입체음원전송단계에 관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입체음원변환단계에 관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신호수신단계에 관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 명세서에서 음원이란, 소리가 나오는 근원으로, 바람직하게는 소리가 저장된 파일 등을 말하며, 음향이란, 상기 음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에 관한 도면으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1)은 단말기(C)에 방향감, 거리감 및 공간감을 지각할 수 있도록 음향에 공간 정보를 부가한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1)은, 서버부(10), 데이터베이스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부(10)는, 단말기(C)와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C)에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단말기(C)란,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가 구성된 각종 기기를 총칭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상기 단말기(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게 되며, 이러한 상기 단말기(C)는 유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상기 서버부(10)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의 서버부에 관한 도면으로,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서버부(10)는, 입체음원결정부(11), 입체음원획득부(13), 입체음원전송부(15)를 포함한다.
상기 입체음원결정부(11)는, 상기 단말기(C)의 출력부를 인식하여 인식된 출력부에 최적화된 입체음원을 결정하는 구성을 말한다. 후술할 데이터베이스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정보저장부(31) 및 음원정보저장부(33)를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 입체음원결정부(11)는 이러한 출력부정보저장부(31) 및 음원정보저장부(3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입체음원결정부(11)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C)가 사전에 입력한 출력부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게 되고, 확인된 출력부로부터 최적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해서 가장 적절한 입체음원의 조건을 도출해 냄으로써, 후술할 입체음원획득부(13)가 상기 단말기(C)에 전송할 입체음원을 준비할 때, 준비되어야할 입체음원을 구체적으로 특정하게 해준다.
도 4는 도 3의 입체음원결정부에 관한 도면으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입체음원결정부(11)는 출력부정보추출모듈(111), 입체음원결정모듈(113)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부정보추출모듈(111)은, 데이터베이스부(30)의 출력부정보저장부(31)로부터 상기 단말기(C)의 출력부 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을 말한다. 후술하겠지만, 데이터베이스부(30)의 출력부정보저장부(31)는 상기 단말기(C)의 출력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성인바, 상기 출력부정보추출모듈(111)은, 특정 단말기(C)의 서버부(10) 접속이 확인되면, 해당 단말기(C)의 출력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0)의 출력부정보저장부(31)로부터 추출해 인식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부정보추출모듈(111)은 해당 단말기(C)의 출력부 종류, 정격출력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입체음원결정모듈(113)은, 상기 출력부정보추출모듈(111)과 연결되어 추출된 출력부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부(30)의 음원정보저장부(33)를 검색해 해당 출력부에 최적화된 입체음원을 결정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단말기(C)의 출력부가 이어폰일 경우와, 5.1채널 우퍼 스피커일 경우 등 상기 단말기(C)의 출력부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에 따라, 최적인 입체음원 조건은 상이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력부정보추출모듈(111)을 통해 상기 단말기(C)의 출력부가 특정이 되면, 특정된 해당 출력부에 가장 최적인 입체음원이 무엇인지 상기 입체음원결정모듈(113)이 음원정보저장부(33)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확인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원정보저장부(33) 상에는 출력부별 최적 입체음원 조건에 관한 정보가 사전에 저장되어 있다.
도 5는 도 3의 입체음원획득부 및 입체음원전송부에 관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입체음원획득부(13)는, 상기 입체음원결정부(11)와 연결되어, 상기 입체음원결정부(11)를 통해 입체음원이 특정되었을 때, 특정된 입체음원을 상기 단말기(C)에 전송하기 위해 준비하는 구성을 말한다. 해당 입체음원은 상기 서버부(10)가 데이터베이스부(30)에 기 저장된 해당 입체음원을 추출하는 방식에 의할 수도 있고, 입체음원이 아닌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는 방식에 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입체음원획득부(13)는, 입체음원추출부(131), 입체음원변환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입체음원추출부(131)는, 입체음원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30)의 입체음원저장부(35)와 연결되어 입체음원저장부(35)에 저장된 입체음원을 추출하는 구성을 말한다. 후술하겠지만, 데이터베이스부(30)의 입체음원저장부(35) 상에는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입체음원추출부(131)는 이러한 입체음원저장부(35)로부터 단말기(C)가 요청한 특정 입체음원을 추출해 단말기로 전송할 준비를 하게 된다. 상기 입체음원추출부(131)는 후술할 추출입체음원전송부(151)와 연결이 되어, 추출해낸 특정 입체음원을 추출입체음원전송부(151)를 통해 단말기(C)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입체음원변환부(133)는, 입체음원이 아닌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는 구성을 말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단말기(C)가 요청한 입체음원이 데이터베이스부(30)의 입체음원저장부(35) 상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바, 상기 입체음원변환부(133)는 상기 단말기(C)가 변환을 요청하는 특정 일반음원을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입체음원변환부(133)는 후술할 변환입체음원전송부(153)와 연결이 되어, 변환에 의해 생성된 특정 입체음원을 변환입체음원전송부(153)를 통해 단말기(C)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5의 입체음원변환부에 관한 도면으로, 이러한 상기 입체음원변환부(133)는, 신호수신모듈(1331), 일반음원수신모듈(1333), 일반음원변경모듈(1335)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수신모듈(1331)은, 상기 단말기(C)로부터 음원변환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신호수신모듈(1331)을 통해 실시간으로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C) 상에는 음원변환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구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C)는 상기 신호수신모듈(1331)에 음원변환과 관련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말기(C)로부터 전송된 신호는 상기 신호수신모듈(1331)에 의해 수신되며, 상기 신호수신모듈(1331)은, 상기 단말기(C)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일반음원수신모듈(1333)의 일반음원수신을 허여하거나, 일반음원수신모듈(1333)의 일반음원수신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신호수신모듈(1331)은, 변환개시모듈(13311), 변환종료모듈(13313)을 포함한다.
상기 변환개시모듈(13311)은, 상기 단말기(C)로부터 음원변환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단말기(C)가 일반음원의 입체음원으로의 변환을 요청하는 신호를 보내게 되면, 상기 변환개시모듈(13311)이 활성화되고, 상기 변환개시모듈(13311)은, 변환개시를 확인하여 일반음원수신모듈(1333)이 상기 단말기(C)로부터 일반음원수신을 시작하도록 한다. 이러한 변환개시모듈(13311)의 구성을 통해, 상기 단말기(C)가 일반음원을 재생하고 있는 과정에서 입체음원으로의 변환을 상기 서버부(10)에 요청하게 되면, 그때부터 일반음원의 수신이 활성화되는바, 해당 시점부터 일반음원이 입체음원으로 변환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변환종료모듈(13313)은, 상기 단말기(C)로부터 음원변환중지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단말기(C)가 일반음원의 입체음원으로의 변환을 중지하는 신호를 보내게 되면, 상기 변환종료모듈(13313)이 활성화되고, 상기 변환종료모듈(13313)은, 변환종료를 확인하여 일반음원수신모듈(1333)이 상기 단말기(C)로부터 일반음원수신을 종료하도록 한다. 이러한 변환종료모듈(13313)의 구성을 통해, 상기 단말기(C)가 일반음원을 재생하고 있는 과정에서 입체음원으로의 변환을 요청하여 변환요청시점부터 3차원 입체음향이 출력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면, 다시 상기 단말기(C)가 상기 서버부(10)에 입체음원으로의 변환 중지를 요청하게 될 경우, 그때부터 일반음원의 수신이 비활성화되는바, 해당 시점부터 입체음원으로의 변환이 중단되고, 상기 단말기(C)의 출력부를 통해서는 일반음원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일반음원수신모듈(1333)은, 상기 단말기(C)로부터 일반음원을 수신하는 구성으로, 일단은 상기 신호수신모듈(1331)과 연결이 되고, 타단은 후술할 일반음원변경모듈(1335)과 연결이 되어, 상기 신호수신모듈(1331)의 변환개시모듈(13311) 활성시 일반음원을 수신하여 후술할 일반음원변경모듈(1335)에 전송하게 되고, 상기 신호수신모듈(1331)의 변환종료모듈(13313) 활성시 일반음원 수신을 종료하여 후술할 일반음원변경모듈(1335)에 변경 대상이 되는 일반음원 제공을 중단하게 된다.
상기 일반음원변경모듈(1335)은, 상기 일반음원수신모듈(1333)과 연결되어 수신된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일반음원변경모듈(1335)의 일측은 후술할 변환입체음원전송부(153)에 연결이 되는바, 변환된 입체음원이 단말기(C)로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음원변경모듈(1335)은 상기 입체음원결정부(11)에 의해 특정된 입체음원 조건에 따라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입체음원전송부(15)는, 상기 입체음원획득부(13)와 연결이 되어, 상기 입체음원획득부(13)에 의해 추출되거나 변환된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을 상기 단말기(C)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입체음원전송부(15)는,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로 입체음원을 압축하여 상기 단말기(C)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C)는 압축된 입체음원을 복원하여 출력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된 개념은 아니다. 또한 상기 입체음원전송부(15)가 전송하는 입체음원은 통신규약에 의한 제한을 받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입체음원전송부(15)는, 추출입체음원전송부(151)와 변환입체음원전송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입체음원전송부(151)는, 상기 입체음원추출부(131)와 연결되어 상기 입체음원저장부(35)에서 추출된 상기 입체음원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변환입체음원전송부(153)는, 상기 입체음원변환부(133)와 연결되어 변환된 상기 입체음원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환입체음원전송부(153)는, 변환전 일반음원과 변환된 입체음원을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는, 상기 서버부(10)와 연결되어 상기 서버부(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 저장하고 상기 서버부(10)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가 상기 서버부(10)와 연결되는 방식과 관련하여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무선연결, 유선연결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의 위치와 관련하여서도, 상기 서버부(10)와 떨어져서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서버부(10)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는 등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만 제한 해석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는, 출력부정보저장부(31), 음원정보저장부(33), 입체음원저장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부정보저장부(31)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 상에서 상기 단말기(C)의 출력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단말기(C)가 상기 서버부(10)를 통해 입체음원을 제공받기 위해서는 이용 전에 상기 단말기(C)의 출력부 정보 입력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C)의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C)를 통해 단말기(C)의 출력부가 특정 이어폰, 특정 헤드폰, 특정 기기의 스피커 등이라고 한정하여 입력하게 되면, 해당 정보가 상기 서버부(10)를 거쳐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 상의 상기 출력부정보저장부(31)에 저장되게 된다. 이후, 해당 단말기(C)로부터 입체음원이 요청되었을 때, 상기 출력부정보저장부(31)에 기 저장되어 있던 해당 단말기(C)의 출력부정보가 도출되게 된다.
상기 음원정보저장부(33)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 상에서 출력부별 최적의 입체음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성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부의 종류는 다양하고, 출력부마다 정격출력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특정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입체음향이 최적화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출력부에 알맞은 특정 입체음향 조건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음원정보저장부(33)는 출력부별로 최적의 입체음향조건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출력부정보저장부(31)를 통해 출력부가 특정이 되면, 해당 출력부에 맞는 입체음원 조건이 특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체음원저장부(35)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 상에서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을 저장하고 있는 구성으로, 상기 서버부(10)의 입체음원추출부(13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버부(10)의 입체음원결정부(11)를 통해 단말기(C)의 출력부에 최적화된 입체음원이 특정이 되면, 상기 입체음원추출부(131)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의 상기 입체음원저장부(35)를 검색해 해당 입체음원을 추출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에 관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여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S1)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중복된 서술을 피하고자 앞서 구체적으로 언급한 내용에 관해서는 그에 관한 설명을 간단히 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인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S1)은, 서버부(10), 데이터베이스부(30)로 구성된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1)에 의해 3차원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S1)은, 최적화입체음원결정단계(S10), 입체음원획득단계(S30), 입체음원전송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최적화입체음원결정단계(S10)는, 후술할 입체음원획득단계(S30) 이전에, 상기 서버부(10)의 입체음원결정부(11)가 상기 단말기(C)의 출력부를 인식하여 인식된 상기 출력부에 최적화된 입체음원을 결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8은 도 7의 최적화입체음원결정단계에 관한 도면으로,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최적화입체음원결정단계(S10)는, 출력부정보추출단계(S11), 입체음원결정단계(S13)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부정보추출단계(S11)는, 상기 서버부(10)의 출력부정보추출모듈(111)이 상기 단말기(C)의 출력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출력부정보저장부(31)로부터 상기 단말기(C)의 출력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입체음원결정단계(S13)는, 상기 출력부정보추출단계(S11) 이후에, 상기 서버부(10)의 입체음원결정모듈(113)이 상기 출력부정보추출모듈(111)과 연결되어 추출된 출력부 정보를 기초로 출력부별 최적의 입체음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음원정보저장부(33)를 검색해 해당 출력부에 최적화된 입체음원을 결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입체음원획득단계(S30)는, 서버부(10)의 입체음원획득부(13)가 단말기(C)에 전송할 입체음원을 준비하는 단계를 가리킨다.
도 9는 도 7의 입체음원획득단계 및 입체음원전송단계에 관한 도면으로,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입체음원획득단계(S30)는, 입체음원추출단계(S31), 입체음원변환단계(S33)을 포함한다.
상기 입체음원추출단계(S31)는, 상기 서버부(10)의 입체음원추출부(131)가 입체음원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30)의 입체음원저장부(35)와 연결되어 상기 입체음원저장부(35)에 저장된 상기 입체음원을 추출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입체음원변환단계(S33)는, 상기 서버부(10)의 입체음원변환부(133)가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10은 도 9의 입체음원변환단계에 관한 도면으로,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입체음원변환단계(S33)는, 신호수신단계(S331), 일반음원수신단계(S333), 일반음원변환단계(S335)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수신단계(S331)는, 후술할 일반음원수신단계(S333) 이전에, 상기 입체음원변환부(133)의 신호수신모듈(1331)이 상기 단말기(C)로부터 음원변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신호수신단계(S331)를 통해 실시간으로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10의 신호수신단계에 관한 도면으로,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신호수신단계(S331)는, 음원변환요청신호수신단계(S3311), 음원변환중지신호수신단계(S3313)를 포함한다.
상기 음원변환요청신호수신단계(S3311)는, 상기 신호수신모듈(1331)의 변환개시모듈(13311)이 상기 단말기(C)로부터 음원변환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음원변환요청신호수신단계(S3311)를 통해 변환개시시 상기 단말기(C)로부터 일반음원수신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원변환중지신호수신단계(S3313)는, 상기 신호수신모듈(1331)의 변환종료모듈(13313)이 상기 단말기(C)로부터 음원변환중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음원변환중지신호수신단계(S3313)를 통해 변환종료시 상기 단말기(C)로부터 일반음원수신을 종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일반음원수신단계(S333)는, 상기 입체음원변환부(133)의 일반음원수신모듈(1333)이 상기 단말기(C)로부터 일반음원을 수신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일반음원변환단계(S335)는, 상기 일반음원수신단계(S333) 이후에, 상기 입체음원변환부(133)의 일반음원변경모듈(1335)이 상기 일반음원수신모듈(1333)과 연결되어 수신된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입체음원전송단계(S50)는, 상기 입체음원획득단계(S30) 이후에, 상기 서버부(10)의 입체음원전송부(15)가 준비한 입체음원을 상기 단말기(C)로 전송하는 단계를 가리킨다.
도 9는 도 7의 입체음원획득단계 및 입체음원전송단계에 관한 도면으로,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입체음원전송단계(S50)는, 추출입체음원전송단계(S51), 변환입체음원전송단계(S53)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입체음원전송단계(S51)는, 상기 서버부(10)의 추출입체음원전송부(151)가 상기 입체음원추출부(131)와 연결되어 추출된 상기 입체음원을 상기 단말기(C)로 전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변환입체음원전송단계(S53)는, 상기 서버부(10)의 변환입체음원전송부(153)가 상기 입체음원변환부(133)와 연결되어 변환된 상기 입체음원을 단말기(C)로 전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환입체음원전송단계(S53)는, 변환전 일반음원과 변환된 입체음원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단말기(C)의 디스플레이부 상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체음향 변환을 요청하는 인터페이스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기(C)의 사용자가 입체음향 변환을 요청하게 되면, 상기 입체음원결정부(11)가 해당 단말기(C)의 출력부에 최적화된 입체음원을 특정하게 되고, 상기 입체음원획득부(13)는 특정된 입체음원을 입체음원저장부(35)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입체음원전송부(15)를 통해 상기 단말기(C)로 전송하게 됨으로써, 상기 단말기(C)에서는 3차원 입체음향으로 변환된 입체음원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 도 13은 단말기(C)에서 음악이 출력되고 있는 상황을 전제하고 있다. 단말기(C)의 디스플레이부 상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체음향 변환을 요청하는 인터페이스와, 입체음향의 변환을 취소하는 인터페이스가 나타날 수 있으며, 입체음향 변환을 요청하는 인터페이스를 클릭시 단말기(C)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악은 변환요청시점부터 3차원 입체음향으로 변하게 되며, 입체음향의 변환을 취소하는 인터페이스를 클릭시 변환취소시점부터 원래의 음원이 재생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10: 서버부
11: 입체음원결정부
111: 출력부정보추출모듈
113: 입체음원결정모듈
13: 입체음원획득부
131: 입체음원추출부
133: 입체음원변환부
15: 입체음원전송부
151: 추출입체음원전송부
153: 변환입체음원전송부
30: 데이터베이스부
31: 출력부정보저장부
33: 음원정보저장부
35: 입체음원저장부
S1: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
S10: 최적화입체음원결정단계
S11: 출력부정보추출단계
S13: 입체음원결정단계
S30: 입체음원획득단계
S31: 입체음원추출단계
S33: 입체음원변환단계
S331: 신호수신단계
S3311: 음원변환요청신호수신단계
S3313: 음원변환중지신호수신단계
S333: 일반음원수신단계
S335: 일반음원변환단계
S50: 입체음원전송단계
S51: 추출입체음원전송단계
S53: 추출입체음원전송단계
C: 단말기

Claims (22)

  1.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에 3차원 입체음향을 가진 입체음원을 제공하는 서버부와, 상기 서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서버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 저장하고 상기 서버부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입체음원을 저장하고 있는 입체음원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입체음원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체음원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입체음원을 추출하는 입체음원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상기 입체음원추출부와 연결되어 추출된 상기 입체음원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추출입체음원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를 인식하여 인식된 출력부에 최적화된 입체음원을 결정하는 입체음원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출력부정보저장부와, 출력부별 최적의 입체음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음원정보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체음원결정부는, 상기 출력부정보저장부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 정보를 추출하는 출력부정보추출모듈과, 상기 출력부정보추출모듈과 연결되어 추출된 출력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음원정보저장부를 검색해 해당 출력부에 최적화된 입체음원을 결정하는 입체음원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는 입체음원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음원변환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일반음원을 수신하는 일반음원수신모듈과, 상기 일반음원수신모듈과 연결되어 수신된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는 일반음원변경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음원변환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원변환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모듈을 추가로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모듈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원변환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변환개시모듈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원변환중지신호를 수신하는 변환종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일반음원수신모듈은, 변환개시시 상기 단말기로부터 일반음원수신을 시작하고, 변환종료시 상기 단말기로부터 일반음원수신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상기 입체음원변환부와 연결되어 변환된 상기 입체음원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변환입체음원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입체음원전송부는, 변환전 일반음원과 변환된 입체음원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12. 서버부의 입체음원획득부가 단말기에 전송할 입체음원을 준비하는 입체음원획득단계와, 상기 입체음원획득단계 이후에, 상기 서버부의 입체음원전송부가 준비한 입체음원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입체음원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음원획득단계는, 상기 서버부의 입체음원추출부가 입체음원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의 입체음원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체음원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입체음원을 추출하는 입체음원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음원전송단계는, 상기 서버부의 추출입체음원전송부가 상기 입체음원추출부와 연결되어 추출된 상기 입체음원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추출입체음원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은, 상기 입체음원획득단계 이전에, 상기 서버부의 입체음원결정부가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를 인식하여 인식된 상기 출력부에 최적화된 입체음원을 결정하는 최적화입체음원결정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입체음원결정단계는, 상기 서버부의 출력부정보추출모듈이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출력부정보저장부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 정보를 추출하는 출력부정보추출단계와, 상기 출력부정보추출단계 이후에, 상기 서버부의 입체음원결정모듈이 상기 출력부정보추출모듈과 연결되어 추출된 출력부 정보를 기초로 출력부별 최적의 입체음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음원정보저장부를 검색해 해당 출력부에 최적화된 입체음원을 결정하는 입체음원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음원획득단계는, 상기 서버부의 입체음원변환부가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는 입체음원변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음원변환단계는, 상기 입체음원변환부의 일반음원수신모듈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일반음원을 수신하는 일반음원수신단계와, 상기 일반음원수신단계 이후에, 상기 입체음원변환부의 일반음원변경모듈이 상기 일반음원수신모듈과 연결되어 수신된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는 일반음원변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음원변환단계는, 상기 일반음원수신단계 이전에, 상기 입체음원변환부의 신호수신모듈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원변환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일반음원을 입체음원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단계는, 상기 신호수신모듈의 변환개시모듈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원변환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음원변환요청신호수신단계와, 상기 신호수신모듈의 변환종료모듈이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원변환중지신호를 수신하는 음원변환중지신호수신단계를 포함하여, 변환개시시 상기 단말기로부터 일반음원수신을 시작하고, 변환종료시 상기 단말기로부터 일반음원수신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음원전송단계는, 상기 서버부의 변환입체음원전송부가 상기 입체음원변환부와 연결되어 변환된 상기 입체음원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변환입체음원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입체음원전송단계는, 변환전 일반음원과 변환된 입체음원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음향 제공방법.
KR1020180100562A 2018-08-27 2018-08-27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7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562A KR102137589B1 (ko) 2018-08-27 2018-08-27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562A KR102137589B1 (ko) 2018-08-27 2018-08-27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980A true KR20200023980A (ko) 2020-03-06
KR102137589B1 KR102137589B1 (ko) 2020-07-24

Family

ID=69802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562A KR102137589B1 (ko) 2018-08-27 2018-08-27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5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0578A (ja) * 2004-04-06 2005-10-27 Dimagic:Kk 音楽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100773186B1 (ko) * 2005-03-24 2007-11-02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악곡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을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120053958A (ko) 2010-11-18 2012-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 동영상에 동기화된 입체 음향을 생성할 수 있는 전자 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0578A (ja) * 2004-04-06 2005-10-27 Dimagic:Kk 音楽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100773186B1 (ko) * 2005-03-24 2007-11-02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악곡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악곡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을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120053958A (ko) 2010-11-18 2012-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 동영상에 동기화된 입체 음향을 생성할 수 있는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589B1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5988B2 (ja) 補聴器システムにおいてバイノーラル・ステレオにレンダリングする方法および補聴器システム
RU2661775C2 (ru) Передача сигнальной информации рендеринга аудио в битовом потоке
JP5990345B1 (ja) サラウンド音場の生成
CN104604258A (zh) 用于呈现器与可独立寻址的驱动器的阵列之间的通信的双向互连
CN108174341A (zh) 测量高阶高保真度立体声响复制响度级的方法及设备
EP38954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stereo signal
CN101489173B (zh) 信号处理装置和信号处理方法
TW202028929A (zh) 多音訊串流之空間重定位
US20170223474A1 (en) Digital audio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US20160044432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20200059750A1 (en) Sound spatialization method
CN111034215A (zh) 立体音响服务装置及该装置的驱动方法和计算机可读记录媒体
WO2020153027A1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オーディオ再生装置、サーバー装置、オーディオ再生方法及びオーディオ再生プログラム
JP2022548400A (ja) ハイブリッド式近距離/遠距離場スピーカー仮想化
WO2012104297A1 (en) Generation of user-adapted signal processing parameters
KR102137589B1 (ko) 3차원 입체음향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182557A1 (en) Method of presenting media
WO2005053354A1 (en) Vsr surround tube headphone
EP3497887A1 (en) A method of authorising an audio download
US20050041816A1 (en) System and headphone-like rear channel speaker and the method of the same
US11924622B2 (en) Centralized processing of an incoming audio stream
KR102661374B1 (ko) 사운드 소스의 선택적 콘트롤을 통한 입체 음향 출력 시스템
US10659902B2 (en) Method and system of broadcasting a 360° audio signal
Tan Binaural recording methods with analysis on inter-aural time, level, and phase differences
US1855148A (en) Sound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