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976A -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976A
KR20200023976A KR1020180100549A KR20180100549A KR20200023976A KR 20200023976 A KR20200023976 A KR 20200023976A KR 1020180100549 A KR1020180100549 A KR 1020180100549A KR 20180100549 A KR20180100549 A KR 20180100549A KR 20200023976 A KR20200023976 A KR 20200023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door
sensing
sum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0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3976A/ko
Publication of KR20200023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7Temperat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9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function, including accident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74Arrang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e.g. control unit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6Water supply, circulation or discharge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6Loading door status, e.g. door latch opened or closed st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6Indication or alarm to the controlling device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세척공간 및 섬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본체;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섬프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부; 상기 섬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도어의 개방 전 상기 섬프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1감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여 배수를 실시하고,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에 추가 급수하고, 상기 섬프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2감지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건조 후 도어의 개방 전에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여 건조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DISHWASH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 및/또는 조리기구를 세척하는 기기이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본체,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세척공간에 구비되는 랙, 상기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 및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펌프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예비세척, 세척, 헹굼, 가열 헹굼, 건조 과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세척코스를 구비한다.
상기 식기세척기 중 일부는 건조 과정 중 도어가 불시에 개방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게 도어잠금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식기세척기 중 일부는 건조 과정 종료 후 건조성능이 제고될 수 있게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개방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식기세척기 중 일부는 건조 과정 종료 후 도어의 개방 전 상기 세척공간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된 후 도어가 개방되게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는, 상기 배수부에 구비된 체크밸브의 오작동 또는 고장에 기인하여 상기 섬프로부터 배수된 세척수의 역류가 발생되면 상기 섬프의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대기시간)이 경과된 후 개방되므로 건조성능이 저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체크밸브의 오작동 또는 고장은 발견이 용이하지 아니하므로 상기 체크밸브의 오작동 또는 고장에 기인한 대기시간이 지속될 경우 식기세척기의 제품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 전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여 건조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 이상 발견시 부품 이상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감지 이상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내부에 세척공간 및 섬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본체;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섬프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부; 상기 섬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도어의 개방 전 상기 섬프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1감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여 배수를 실시하고,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에 추가 급수하고, 상기 섬프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2감지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식기세척기본체는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가 개방되게 상기 도어구동부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 차가 상기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도어가 개방되게 상기 도어구동부를 제어게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식기세척기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는 외부에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 차가 상기 제1설정값보다 작은 제2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정보표시부를 제어하여 외부에 온도감지에러를 표시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식기세척기본체 및 도어에는 상기 도어가 불시에 개방되는 것을 억제하는 도어잠금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가 개방될 수 있게 상기 도어잠금부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 차가 상기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도어가 개방될 수 있게 상기 도어잠금부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급수부는, 상기 식기세척기본체의 외부 급수원에 연결되어 물을 저장하는 워터자켓; 상기 워터자켓과 상기 섬프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는 워터자켓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급수 시 상기 워터자켓밸브가 개방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급수 시 공급되는 급수량을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고, 후속 급수 시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급수량을 총급수량에 포함하여 급수되게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세척공간 및 섬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본체,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섬프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부,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구동부 및 상기 섬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도어의 개방 전, 상기 섬프의 온도를 일차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일차 감지된 제1감지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감지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단계; 상기 섬프에 세척수를 추가 급수하는 단계; 상기 섬프의 온도를 추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추가 감지된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동안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전에 상기 체크밸브의 불량 시점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르면, 세척공간 및 섬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본체,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섬프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부, 상기 도어가 불시에 개방되는 것을 억제하는 도어잠금부 및 상기 섬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전, 상기 섬프의 온도를 일차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일차 감지된 제1감지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감지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단계; 상기 섬프에 세척수를 추가 급수하는 단계; 상기 섬프의 온도를 추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추가 감지된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설정대기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대기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전에 상기 체크밸브의 불량 시점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미만이고,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상기 제1설정값보다 작은 제2설정값 이하인 경우, 외부에 온도감지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후 도어의 개방 전,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어 도어가 적당한 시기에 개방되게 함으로써, 건조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체크밸브의 이상 발견 시 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체크밸브의 불량이 즉시 해소되거나 또는 추후 점검 시 해소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체크밸브의 불량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써미스터의 고장 발견 시 이를 외부에 표시하여 적기에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신뢰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 후 도어의 잠금 해제 전에 불필요한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가 제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식기세척기의 워터자켓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식기세척기의 제어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식기세척기의 제어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는, 식기세척기본체(110), 도어(105), 도어구동부(170), 급수부(240), 배수부(210), 온도감지부(197) 및 제어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10)는, 내부에 세척공간(117)을 형성하는 터브(1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10)는 내부에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120)(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10)의 전면에는 상기 세척공간(117)을 개폐하는 도어(10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5)는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10)의 상하방향을 따라 개폐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10)는 식기, 조리기구 등 세척대상물을 수납하는 랙(1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랙(130)은, 예를 들면, 상부랙(132) 및 하부랙(13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랙(132)은 상기 세척공간(117)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랙(134)은 상기 상부랙(132)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10)는 상기 랙(130)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15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사암(150)은, 예를 들면, 탑분사암(152), 상부분사암(154) 및 하부분사암(15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탑분사암(152)은, 예를 들면, 상기 세척공간(117)의 최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분사암(154)은, 예를 들면, 상기 탑분사암(15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분사암(156)은 상기 상부분사암(154)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공간(117)에는 상기 도어(105)를 개방되게 구동하는 도어구동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구동부(170)는, 예를 들면, 상기 도어(105)를 향해 돌출 및 철회되는 푸시로드(172) 및 상기 푸시로드(17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17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174)는, 예를 들면, 전기모터일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전기모터)(174)의 구동에 의해 상기 푸시로드(172)가 상기 도어(105)를 향해 돌출되면 상기 도어(105)가 가압되어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구동부(170)는 상기 세척공간(117)의 전면 개구를 전면 개방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구동부(170)는 상기 세척공간(117)의 전면 개구를 일부만 개방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세척공간(117)의 저부에는 섬프(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섬프(120)의 일 측에는 상기 분사암(150)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펌프(190)는, 예를 들면, 하우징(192)과, 상기 하우징(192)의 내부에 회전되는 임펠러(19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92)은 상기 섬프(120)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급펌프(190)(하우징(192))의 내측에는, 예를 들면,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게 히터(1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195)는 상기 임펠러(194)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195)는 전원인가 시 발열되어 상기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공급펌프(190)의 내측에는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19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197)는, 예를 들면, 써미스터(thermistor)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197)는, 예를 들면, 상기 임펠러(194)와 상기 히터(195)의 사이(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섬프(120)와 공급펌프(190)의 하우징(192)은 서로 연통된 상태로 미리 설정된 수위의 세척수가 잔존하고 있으므로, 상기 섬프(120)의 온도는, 실제로 상기 하우징(192)의 온도와 같거나 온도차가 거의 미소하다. 따라서, 상기 섬프(120)의 온도는 상기 온도감지부(197)로부터 감지된 온도로부터 파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터(195) 및 상기 온도감지부(197)는 각각 상기 섬프(12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펌프(190)가 상기 섬프(120)의 외부에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공급펌프(190)가 상기 섬프(12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섬프(120)의 타 측에는 상기 섬프(120)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210)는, 예를 들면 상기 섬프(120)의 세척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210)는 상기 배수펌프(212)에 연결되는 배수관(21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214)에는 상기 배수펌프(212)를 통해 배출된 세척수가 역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체크밸브(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섬프(120)의 다른 일 측에는 상기 섬프(120)로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게 급수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40)는, 예를 들면, 세척수가 일시 저장되는 워터자켓(25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섬프(120)에는 일 단이 상기 워터자켓(250)에 연결된 연결관(290)의 타 단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워터자켓(250)은, 예를 들면,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10)의 일 측면(측벽)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자켓(250)은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10)의 좌측벽면에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우측벽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식기세척기의 워터자켓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자켓(250)은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자켓(250)의 일 측에는 일 단이 상기 섬프(120)에 연결된 연결관(290)의 타 단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워터자켓(250)의 다른 일 측에는 외부의 급수설비(수전,상수도)에 연결된 급수관(251)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워터자켓(250)에는 상기 급수관(251)으로부터 유입되는 급수량을 계량할 수 있게 유량계(2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자켓(250)이 내부에는 상기 급수관(251)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상기 수용공간(252)으로 유입될 수 있게 유입유로(2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256)의 타 측에는 공기가 응축되는 응축공간(25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공간(258)은 상기 유입유로(256)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252)과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워터자켓(250)의 일 측에는 상기 배수펌프(212)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유로(2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260)는, 예를 들면 상기 응축공간(258)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260)는, 예를 들면, 역 'U'형의 배수연결부(26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수연결부(262)에는 상기 배수관(21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214)은, 예를 들면, 일 단이 상기 배수펌프(212)에 연결되는 제1배수관(215) 및 일 측이 외부로 연장되는 제2배수관(21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응축공간(258)에는 공기배출부(2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282)의 상측에는 연통홀(28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284)은 상기 터브(115)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28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연통홀(284)을 통해 상기 터브(115)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터브(115)의 내부의 공기는 상기 연통홀(284)을 통해 상기 공기배출부(282)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수연결부(262)의 일 측에는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게 응축수배출유로(2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배출유로(270)는 상기 배수연결부(26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배출유로(270)에는 배수밸브(2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밸브(272)는, 예를들면, 유체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게 체크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수연결부(262)의 세척수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은 차단하고 응축수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은 허용하여 응축수가 상기 배출유로(26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식기세척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는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는 제어부(31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에는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197)가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예를 들면,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게 타이머(3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예를 들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에는 상기 배수펌프(212)가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에는 상기 워터자켓밸브(295)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에는 상기 도어구동부(170)가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에는 외부에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330)가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보표시부(330)는, 예를 들면,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조작패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보표시부(330)는, 예를 들면, 청각 정보를 표시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예를 들면, 상기 도어(105)의 개방 전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1감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배수부(210)를 제어하여 배수를 실시하고, 상기 급수부(240)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120)에 추가 급수하고,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2감지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105)의 개방여부를 판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105)가 개방되게 상기 도어구동부(170)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온도는, 예를 들면, 57℃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온도는, 예를 들면, 식기의 건조 행정 이후 상기 세척공간(117)의 내부온도가 상대적으로 고온인 때, 상기 도어(105)의 개방 시 외부로 유출된 고온의 공기와 접촉에 기인한 악영향(사용자의 불쾌감 또는 인체손상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온도가 57℃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상기 설정온도는, 예를 들면, 54 내지 60℃ 범위에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정온도는, 예를 들면, 57 내지 67℃ 범위에서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설정값은, 예를 들면 10[℃]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수펌프(212)의 일 측에 구비된 체크밸브(220)가 오작동 또는 고장인 경우, 상기 배수펌프(212)를 통해 배출된 고온의 세척수가 역류하여 상기 섬프(120)로 유입되면 상기 온도감지부(197)에 의해 상기 세척수의 온도(고온)가 감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120)의 세척수를 다시 배수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상기 워터자켓(250)의 물을 공급한 후, 상기 온도감지부(197)에 의해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다시 감지할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가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설정값은, 예를 들면, 온도변화를 판단할 수 있는 적절한 온도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워터자켓(250)의 물은 가열되지 아니한 상태이므로 통상 상온일 수 있다. 상기 제1설정값은 7 내지 13[℃] 범위에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설정값은 13[℃]이상의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상기 제1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체크밸브(220)의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체크밸브(220)가 불량으로 판단되면, 상기 체크밸브(220) 불량 발생 시점을 상기 데이터저장부(320)에 저장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220)의 점검 및/또는 교체가 즉시 이루어지거나, 또는 추후 점검 및 수리 시 상기 체크밸브(220)의 불량이 해소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체크밸브(220) 불량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 차가 상기 제1설정값보다 작은 제2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정보표시부(330)를 제어하여 외부에 온도감지에러를 표시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설정값은, 예를 들면, 1[℃]일 수 있다. 상기 제2설정값은,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행정이 완료된 후 상기 섬프(120)의 물을 배수하고, 상기 워터자켓(250)의 물을 추가 급수하고,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감지할 경우, 온도 변화가 충분히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온도변화를 감지하지 못하는 것이므로, 이를 감지할 수 있게 상기 제1설정값에 비해 충분히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설정값은, 예를 들면, 0.5 내지 2[℃] 범위에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 차가 상기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도어(105)가 개방되게 상기 도어구동부(170)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기시간은, 예를 들면, 500초(second)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대기시간이 500초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대기시간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건조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도어(105)의 개방 전, 상기 온도감지부(197)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감지한다. 제1감지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고, 제1감지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면 상기 도어구동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105)가 개방되게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1감지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배수부(210)(배수펌프(212))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120)의 세척수를 배수하고, 상기 급수부(240)(워터자켓밸브(295))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120)에 세척수를 추가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섬프(120)에 공급된 세척수의 양을 상기 데이터저장부(320)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후속 행정 중 급수 시, 상기 데이터저장부(320)에 저장된 급수량을 총급수량에 포함하여 급수되게 상기 급수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섬프(120)에 추가 공급되는 세척수량은, 예를 들면, 상기 워터자켓밸브(295)의 개방시간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섬프(120)의 배수 및 추가 급수 후 상기 온도감지부(197)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를 산출하고,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 차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상기 도어구동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105)가 개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상기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2설정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2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온도감지부(197)의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온도감지부(197)가 불량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보표시부(330)를 제어하여 외부에 온도감지에러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 차가 상기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도어구동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105)가 개방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식기세척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는, 식기세척기본체(110), 도어(105), 도어잠금부(180), 급수부(240), 배수부(210), 온도감지부(197) 및 제어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10)의 내부에는 세척공간(117)을 형성하는 터브(115)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115)의 저부에는 섬프(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10)의 전면에는 도어(10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5)는, 예를 들면, 하부에 구비된 도시않은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회동 개폐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브(115)의 내부에는 세척대상물을 수납하는 랙(1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115)의 내부에는 상기 랙(130)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섬프(120)의 일 측에는 상기 섬프(120)에 세척수를 급수하는 급수부(24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섬프(120)의 다른 일 측에는 상기 섬프(120)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부(21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섬프(120)의 또 다른 일 측에는 상기 분사암(150)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섬프(120)의 일 측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1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섬프(120)의 일 측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19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210)는, 예를 들면, 상기 섬프(120)에 연결되는 배수펌프(212) 및 상기 배수펌프(212)에 연결되는 배수관(21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40)는, 예를 들면, 세척수가 저장되는 워터자켓(250) 및 상기 워터자켓(250)과 상기 섬프(120)를 연결하는 연결관(29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290)에는 상기 연결관(290)의 유로를 개폐하는 워터자켓밸브(29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10)와 상기 도어(105)에는 상기 도어(105)가 불시에 개방되는 것을 억제하는 도어잠금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잠금부(180)는, 예를 들면, 래치부(182) 및 상기 래치부(182)를 구속 및 구속해제하는 록커부(18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부(182)는, 예를 들면, 상기 도어(105)에 구비되고, 상기 록커부(184)는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래치부(182)는 상기 도어(105)의 닫힘 시 상기 록커부(184)의 내부로 진입하고, 상기 록커부(184)는 상기 래치부(182)를 구속(및 구속해제)함으로써, 상기 도어(105)가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10)로부터 불시에 이격되어 상기 세척공간(117)이 불시에 개방되는 것이 억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록커부(184)는 전기동력에 의해 상기 래치부(182)를 구속 및 구속해제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는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하는 제어부(31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예를 들면, 상기 도어(105)의 잠금 해제 전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1감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배수부(210)를 제어하여 배수를 실시하고, 상기 급수부(240)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120)에 추가 급수하고,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2감지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105)의 개방(잠금 해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105)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게 상기 도어잠금부(180)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타이머(315) 및 데이터저장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에는 상기 도어잠금부(180)가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에는 상기 급수부(240)(워터자켓밸브(295))가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에는 상기 배수부(210)(배수펌프(212))가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에는 상기 정보표시부(330)가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 차가 상기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 된 후 상기 도어(105)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게 상기 도어잠금부(180)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 차가 상기 제1설정값보다 작은 제2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정보표시부(330)를 제어하여 외부에 온도감지에러를 표시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건조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도어(105)의 개방 전, 상기 온도감지부(197)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감지한다. 제1감지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고, 제1감지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면 상기 도어잠금부(18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105)의 잠금(구속)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도어(105)는 사용자의 당김 조작 시 개방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1감지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배수부(210)(배수펌프(212))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120)의 세척수를 배수하고, 상기 급수부(240)(워터자켓밸브(295))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120)에 세척수를 추가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섬프(120)에 공급된 세척수의 공급량을 상기 데이터저장부(320)에 저장하고, 후속 행정 중 급수 시, 저장된 급수량을 후속 행정의 총급수량에 포함하여 급수되게 상기 급수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섬프(120)의 배수 및 추가 급수 후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감지되게 할 수 있다. 다음, 감지된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를 산출하고,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 차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105)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게 상기 도어잠금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상기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2설정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상기 제2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온도감지부(197)의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온도감지부(197)가 불량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보표시부(330)를 제어하여 외부에 온도감지에러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 차가 상기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도어잠금부(18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105)의 잠금이 해제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은, 상기 도어(105)의 개방 전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S110). 상기 제어부(310)는, 건조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도어(105)의 개방전에, 상기 온도감지부(197)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S110).
또한,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은, 감지된 제1감지온도(T1)와 설정온도를 비교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S120). 상기 제어부(310)는 제1감지온도(T1)와 설정온도(TSET)를 비교하고(S110), 상기 제1감지온도(T1)가 상기 설정온도 (TSET)미만인 경우, 상기 도어구동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105)가 개방되게 할 수 있다(S220).
또한,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은, 상기 제1감지온도(T1)가 상기 설정온도(TSET) 이상인 경우(S120), 상기 섬프(120)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30).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1감지온도(T1)가 상기 설정온도(TSET) 이상인 경우, 상기 배수부(210)(배수펌프(212))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120)의 세척수가 배수되게 할 수 있다(S130).
또한,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은, 상기 섬프(120)에 세척수를 추가 급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40).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급수부(240)(워터자켓밸브(295))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120)에 추가 급수할 수 있다(S140).
또한,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은,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추가 감지하는 단계(S150), 상기 추가 감지된 제2감지온도(T2)와 상기 제1감지온도(T1)의 차를 산출하는 단계(S160) 및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상기 제1감지온도(T1)의 차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S110) 상기 도어(105)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220).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온도감지부(197)로부터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감지하고(S150), 감지된 제2감지온도(T2)와 상기 제1감지온도(T1)의 차를 산출하고(S160), 산출된 제2감지온도(T2)와 제1감지온도(T1)의 차가 제1설정값(ΔTS1) 이상이면(S160), 상기 도어구동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105)가 개방되게 할 수 있다(S220).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제1감지온도(T1)의 차가 제1설정값(ΔTS1) 이상이면(S160), 상기 도어(105)의 개방 전에 상기 데이터저장부(320)에 상기 섬프(120)에 추가 공급된 급수량을 저장할 수 있다(S215). 여기서,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제1감지온도(T1)의 차가 제1설정값(ΔTS1) 이상이면(S160), 상기 도어(105)의 개방 전에 상기 체크밸브(220)의 불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체크밸브(220)의 불량 발생 시간(시점)을 상기 데이터저장부(320)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제1감지온도(T1)의 차가 제1설정값(ΔTS1) 미만이면(S160), 대기시간(TDi)을 체크하고(S200), 상기 대기시간(TDi)이 미리 설정된 설정대기시간(TDS) 이상이면(S210) 상기 도어구동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105)가 개방되게 할 수 있다(S220). 여기서,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제1감지온도(T1)의 차가 제1설정값(ΔTS1) 미만이면,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제1감지온도(T1)의 차와 제2설정값(ΔTS2)을 비교하고(S170),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제1감지온도(T1)의 차가 상기 제2설정값(ΔTS2) 이하이면 상기 온도감지부(197)의 불량으로 판단하고(S180), 상기 정보표시부(330)를 제어하여 온도감지에러를 표시할 수 있다(S190). 또한,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제1감지온도(T1)의 차가 상기 제2설정값(ΔTS2)을 초과하면(S170) 상기 설정대기시간(TDS)이 경과한 후 상기 도어구동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105)가 개방되게 할 수 있다(S22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은, 상기 도어(105)의 개방(잠금 해제) 전,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일차 감지하는 단계(S110); 상기 일차 감지된 제1감지온도(T1)와 설정온도(TSET)를 비교하는 단계(S120); 상기 제1감지온도(T1)가 상기 설정온도(TSET) 이상인 경우, 상기 섬프(120)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단계(S130); 상기 섬프(120)에 세척수를 추가 급수하는 단계(S140);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추가 감지하는 단계(S1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건조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도어(105)의 개방전 상기 온도감지부(197)로부터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S110). 상기 제어부(310)는 제1감지온도(T1)가 상기 설정온도(TSET) 이상인 경우(S120) 상기 배수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120)의 세척수를 배수하고(S130), 상기 급수부(240)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120)에 추가 급수되게 할 수 있다(S140).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온도감지부(197)로부터 상기 섬프(120)의 온도를 추가 감지할 수 있다(S150).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1감지온도(T1)가 상기 설정온도(TSET) 미만이면 상기 도어잠금부(18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105)의 잠금이 해제되게 할 수 있다(S225).
본실시예의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은, 상기 추가 감지된 제2감지온도(T2)와 상기 제1감지온도(T1)의 차를 산출하는 단계(S160);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상기 제1감지온도(T1)의 차가 제1설정값(ΔTS1)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105)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S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상기 제1감지온도(T1)의 차를 산출하고(S160),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상기 제1감지온도(T1)의 차가 제1설정값(ΔTS1)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잠금부(18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105)의 잠금이 해제되게 할 수 있다(S225).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도어(105)의 잠금 해제 전에, 상기 체크밸브(220)의 불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체크밸브(220)의 불량 발생 시점을 저장할 수 있다(S165).
또한,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은,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상기 제1감지온도(T1)의 차가 제1설정값(ΔTS1)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설정대기시간(TDS) 동안 대기하는 단계(S200); 및 상기 설정대기시간(TDS)이 경과된 후(S210), 상기 도어(105)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S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상기 제1감지온도(T1)의 차가 제1설정값(ΔTS1) 미만인 경우, 상기 타이머(315)를 통해 대기시간(TDi)을 카운트 하고(S200), 대기시간(TDi)이 설정대기시간(TDS) 이상이면(S210) 상기 도어(105)의 잠금이 해제되게 할 수 있다(S225).
또한,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은,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상기 제1감지온도(T1)의 차가 제1설정값(ΔTS1) 미만이고(S160),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상기 제1감지온도(T1)의 차가 상기 제1설정값(ΔTS1)보다 작은 제2설정값(ΔTS2) 이하인 경우(S170), 상기 온도감지부(197)의 불량으로 판단하고(S180), 외부에 온도감지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90).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상기 제1감지온도(T1)의 차가 제1설정값(ΔTS1) 미만이면,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상기 제1감지온도(T1)의 차를 제2설정값(ΔTS2)과 비교할 수 있다(S170).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상기 제1감지온도(T1)의 차가 상기 제2설정값(ΔTS2) 이하이면 상기 온도감지부(197)의 불량으로 판단하고(S180), 상기 정보표시부(330)를 제어하여 외부에 온도감지에러를 표시할 수 있다(S190). 또한,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제2감지온도(T2)와 상기 제1감지온도(T1)의 차가 상기 제2설정값(ΔTS2)을 초과하면(S170) 상기 대기시간(TDi)을 체크하고(S200), 상기 대기시간(TDi)이 상기 설정대기시간(TDS)이 경과하면(S210) 상기 도어(105)의 잠금이 해제되게 할 수 있다(S225).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내부에 세척공간 및 섬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본체;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섬프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부;
    상기 섬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도어의 개방 전 상기 섬프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1감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여 배수를 실시하고,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에 추가 급수하고, 상기 섬프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2감지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본체는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가 개방되게 상기 도어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 차가 상기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도어가 개방되게 상기 도어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는 외부에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 차가 상기 제1설정값보다 작은 제2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정보표시부를 제어하여 외부에 온도감지에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본체 및 도어에는 상기 도어가 불시에 개방되는 것을 억제하는 도어잠금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가 개방될 수 있게 상기 도어잠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 차가 상기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도어가 개방될 수 있게 상기 도어잠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식기세척기본체의 외부 급수원에 연결되어 물을 저장하는 워터자켓;
    상기 워터자켓과 상기 섬프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는 워터자켓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급수 시 상기 워터자켓밸브가 개방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급수 시 공급되는 급수량을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고, 후속 급수 시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급수량을 총급수량에 포함하여 급수되게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세척공간 및 섬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본체,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섬프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부,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구동부 및 상기 섬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도어의 개방 전, 상기 섬프의 온도를 일차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일차 감지된 제1감지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감지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단계;
    상기 섬프에 세척수를 추가 급수하는 단계;
    상기 섬프의 온도를 추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추가 감지된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동안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전에 상기 체크밸브의 불량 시점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
  12. 세척공간 및 섬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본체,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섬프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부, 상기 도어가 불시에 개방되는 것을 억제하는 도어잠금부 및 상기 섬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전, 상기 섬프의 온도를 일차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일차 감지된 제1감지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감지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단계;
    상기 섬프에 세척수를 추가 급수하는 단계;
    상기 섬프의 온도를 추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추가 감지된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설정대기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대기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전에 상기 체크밸브의 불량 시점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
  15. 제10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제1설정값 미만이고, 상기 제2감지온도와 상기 제1감지온도의 차가 상기 제1설정값보다 작은 제2설정값 이하인 경우, 외부에 온도감지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20180100549A 2018-08-27 2018-08-27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KR20200023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549A KR20200023976A (ko) 2018-08-27 2018-08-27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549A KR20200023976A (ko) 2018-08-27 2018-08-27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976A true KR20200023976A (ko) 2020-03-06

Family

ID=6980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549A KR20200023976A (ko) 2018-08-27 2018-08-27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39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8900A1 (en) 2020-12-28 2022-06-29 Arç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providing efficient drying
EP4026475A1 (en) 2021-01-11 2022-07-13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dishwasher
US20230042630A1 (en) * 2021-08-06 2023-02-0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ing appliance clogged drain line prevention
WO2023167419A1 (ko) * 2022-03-02 2023-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8900A1 (en) 2020-12-28 2022-06-29 Arç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providing efficient drying
EP4026475A1 (en) 2021-01-11 2022-07-13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dishwasher
US11986141B2 (en) 2021-01-11 2024-05-21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dishwasher
US20230042630A1 (en) * 2021-08-06 2023-02-0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ing appliance clogged drain line prevention
US11839340B2 (en) * 2021-08-06 2023-12-1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ing appliance clogged drain line prevention
WO2023167419A1 (ko) * 2022-03-02 2023-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3976A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US8679261B2 (en) Box-type warewasher including heat recovery system for reducing air moisture level at the end of cycle
US7837802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3052348B (zh) 餐具清洗机
US8968486B2 (en) Rinse aid release detection method
US20060081272A1 (en) Dish washer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pump thereof
US20180132694A1 (en) Pump inlet assemblies for dishwasher appliances
KR100635718B1 (ko) 식기 세척기
KR101364825B1 (ko) 식기 세척기
KR102443320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EP2543304B1 (en) Dishwashing machine
US20130174872A1 (en) Prolonged operation heater protection in an appliance
US11197601B2 (en) Dishwasher appliance equipped with leak detection features
US10314456B2 (en) Dishwashing appliance and methods of operation
US20210102332A1 (en) Water level detection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KR20070078118A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US11627862B2 (en) Dishwashing appliances and methods for evaluating pressure therein
US11839340B2 (en) Dishwashing appliance clogged drain line prevention
KR20100082661A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3309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fill cycle in a dishwasher appliance
KR102547553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112847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water fill level within a dishwasher appliance
KR20080050842A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제어방법
KR960010944B1 (ko) 식기세정기
US20130291895A1 (en) Dishwashing appliance with ph controlled cy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