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785A -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 - Google Patents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785A
KR20200023785A KR1020180100165A KR20180100165A KR20200023785A KR 20200023785 A KR20200023785 A KR 20200023785A KR 1020180100165 A KR1020180100165 A KR 1020180100165A KR 20180100165 A KR20180100165 A KR 20180100165A KR 20200023785 A KR20200023785 A KR 20200023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embers
support frame
shelf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한
Original Assignee
(주)인터파크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파크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인터파크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80100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3785A/ko
Publication of KR2020002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에 관한 것으로, DIY 제품으로 유통되는 선반이 일체로 구비되는 책상의 상판을 한 쌍의 부재로 분리 구성하고 그에 맞춰 프레임을 제작하여 다수 개의 부품으로 분리 유통되는 선반 일체형 조립식 책상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은, 평판형태를 갖는 한 쌍의 부재로 분리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는 상판과; 두 개의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연장 결합되어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상판의 하면에 가로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되며 그 일단에는 측면 지지프레임의 양단이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한 쌍의 종부재 및 한 쌍의 횡부재가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어, 상기 상판의 하면 일측에 세워진 상태로 조립되어 책상 다리를 구성하는 한 개의 제 1받침프레임과; 한 쌍의 종부재 및 한 쌍의 횡부재가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어, 상기 상판의 타측 전.후에 세워진 상태로 조립되어 책상 다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과;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의 상단에 끼움부재를 매개로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과; 직사각판 형태의 패널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상부프레임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선반 및;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부재가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결합되고, 각 단부가 상기 제 1받침프레임의 후측 종부재 및 후측 제 2받침프레임의 일측 종부재에 조립되는 X자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PREFABRICATED DESK WITH SEPARATE TOP PLATE WITH SHELF}
본 발명은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부재로 분리 구성된 상판과 다양한 길이 및 형태를 갖는 다수 개의 프레임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다층의 선반이 일측에 구비된 책상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가정, 사무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책상은 일정 크기를 갖는 사각판 형태의 상판이 소정 받침부재를 매개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책상을 구성하는 상판 및 프레임 등을 포함하는 다수 개의 부품이 분리 포장된 제품을 소비자가 온.오프라인 쇼핑몰을 통해 구매한 후, 직접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이루어진 DIY 제품이 널리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DIY 제품으로 유통되는 책상 중, 책상의 상판 일측에 다수 개의 선반이 일체로 제공되어 책상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선반이 구비된 책상도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소비자가 직접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DIY 제품으로 유통되는 종래의 책상에 있어서는 책상의 특성상 상판이 큰 부피를 차지하게 되는데, 이에 용도에 따라 상판이 매우 큰 규격을 갖는 책상은 포장된 제품 자체가 큰 부피를 차지하게 되므로, 제품의 보관 및 운반을 포함하는 유통과정이 매우 불합리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DIY 제품으로 구성되는 책상의 크기에 제한이 있게 되며, 특히 최근 널리 보급되는 선반이 일체로 구비된 책상 또한 보다 큰 규격의 상판을 필요로 하는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18568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64114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DIY 제품으로 유통되는 선반이 일체로 구비되는 책상의 상판을 한 쌍의 부재로 분리 구성하고 그에 맞춰 프레임을 제작하여 다수 개의 부품으로 분리 유통되는 선반 일체형 조립식 책상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은, 평판형태를 갖는 한 쌍의 부재로 분리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는 상판과; 두 개의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연장 결합되어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상판의 하면에 가로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되며 그 일단에는 측면 지지프레임의 양단이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한 쌍의 종부재 및 한 쌍의 횡부재가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어, 상기 상판의 하면 일측에 세워진 상태로 조립되어 책상 다리를 구성하는 한 개의 제 1받침프레임과; 한 쌍의 종부재 및 한 쌍의 횡부재가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어, 상기 상판의 타측 전.후에 세워진 상태로 조립되어 책상 다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과;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의 상단에 끼움부재를 매개로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과; 직사각판 형태의 패널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상부프레임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선반 및;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부재가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결합되고, 각 단부가 상기 제 1받침프레임의 후측 종부재 및 후측 제 2받침프레임의 일측 종부재에 조립되는 X자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두 개의 부재는 각각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부재 단부에 그 단면이 "└" 형상을 갖는 수 센티미터[cm] 길이의 연결부재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 타단에 다른 하나의 부재 단부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한 쌍의 부재는 그 가로길이가 상호 상이한 치수를 갖는 사각판으로 구성되며, 두 개의 부재가 연장 결합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연결지점은 가로길이가 긴 치수를 갖는 상판의 하면 측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2받침부재 상호 간의 사이에는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부재가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 선반용 X자 프레임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끼움부재는 그 중앙에 볼록부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상측 삽입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단에 삽입 결합됨과 아울러, 하측 삽입부는 상기 제 2받침프레임의 상단에 삽입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DIY 제품으로 유통되는 선반이 일체로 구비된 책상의 상판을 한 쌍의 부재로 분리 구성함과 아울러, 그에 맞춰 다수 개의 프레임을 제작하여 제공하므로서, 해당 책상의 분리상태에서 그 부피를 최소화시켜 제품의 보관 및 운반의 효율성을 높이고, 유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선반 일체형 책상의 상판 및 지지프레임을 두 개의 부재로 분리 구성함에 따라, 보다 큰 규격의 선반 일체형 책상도 DIY 제품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은, DIY 제품으로 유통되는 선반 일체형 책상의 상판을 한 쌍의 부재로 분리 구성하고, 그에 맞춰 다수 개의 프레임 및 선반을 제작하여 다수 개의 부품으로 분리 유통되는 선반 일체형 조립식 책상의 부피를 최소화시킴과 아울러, 간편한 조립과정을 통해 책상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은, 상호 상이한 면적의 평판부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상판(10)과, 두 개의 부재로 분리 구성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호 간의 일단에 위치하는 측면 지지프레임(24)과, 책상 다리를 구성하는 한 개의 제 1받침프레임(30) 및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40)과, X자 프레임(60) 및 선반용 X자 프레임(70)과, 한 쌍의 상부프레임(50) 및, 다수 개의 선반(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판(10)은 평판형태를 갖는 한 쌍의 부재로 분리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되, 상호 간의 가로길이가 상이한 치수를 갖는 대략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하면 일정 지점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제 1받침프레임(30) 및 제 2받침프레임(40)이 볼트(100) 체결을 통해 고정되도록 다수 개의 결합홀(18)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일정 길이의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10)의 하면에 가로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되는데, 상기 지지프레임(20)을 구성하는 두 개의 부재는 각각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부재 단부에 그 단면이 "└" 형상을 갖는 수 센티미터[cm] 길이의 연결부재(22)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22) 타단에 다른 하나의 부재 단부가 볼트(100) 체결을 통해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20)에는 상기 상판(10) 하면의 결합홀(18)과 연통되도록 다수 개의 결합홀(28)이 천공되고, 양단에는 상기 제 1받침프레임(30) 및 측면 지지프레임(24)과 볼트(100)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결합홀(28)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두 개의 부재가 상기 연결부재(22)를 매개로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상기 지지프레임(20)에서, 상기 연결부재(22)를 통한 두 개 부재의 연결지점은 책상의 조립 시 가로길이가 더 긴 치수를 갖는 상판(10b)의 하면 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20) 및 측면 지지프레임(24), 제 1 및 제 2받침프레임(30,40), 상부프레임(50) 등은 모두 사각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제공된다.
상기 제 1받침프레임(30)은 한 쌍의 종부재(32) 및 한 쌍의 횡부재(34)가 일체로 결합되어 대략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이때 하측에 위치하는 횡부재(34)는 상기 종부재(32)의 하단으로부터 수 센티미터[cm] 정도 상승된 위치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40)도 한 쌍의 종부재(42) 및 한 쌍의 횡부재(44)가 일체로 결합되어 대략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종부재(42) 상호 간의 간격은 해당 책상에 적용되는 선반(80)의 규격에 대응되는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이때 하측에 위치하는 횡부재(44)는 상기 종부재(42)의 하단으로부터 수 센티미터[cm] 정도 상승된 위치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참조부호 36 및 46은 상기 한 개의 제 1받침프레임(30) 및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40)을 구성하는 각 종부재(32,42)의 하단에 결합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는 받침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제 1받침프레임(30) 및 제 2받침프레임(40)의 일정 지점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이나 측면 지지프레임(24), X자 프레임(60), 선반용 X자 프레임(70) 등이 볼트 체결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결합홀(38,48)이 천공되어 구성된다.
한 쌍으로 제공되는 상기 상부프레임(50)은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40)의 상단에 끼움부재(90)를 매개로 각각 고정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50)에서 선반(80)이 설치되는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보조바(52)가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90)는 그 중앙에 볼록부(92)가 형성된 대략 사각기둥 형태를 갖으며, 상기 볼록부(92)를 중심으로 상측에 구비된 상측 삽입부(94)는 상기 상부프레임(50)의 하단에 삽입 결합되고, 볼록부(92) 하측의 하측 삽입부(96)는 상기 제 2받침프레임(40)의 종부재(42) 상단에 삽입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 삽입부(94) 및 하측 삽입부(96)는 상기 상부프레임(50) 또는 제 2받침프레임(40)의 종부재(42)에 끼워진 상태에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주름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 개의 선반(80)은 일정 규격을 갖는 대략 직사각판 형태의 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40) 상호 간의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상부프레임(50) 상호 간의 사이에 설치되되, 각 프레임에 천공된 결합홀(48,58)을 관통하는 볼트(100)가 그 양측단에 체결됨에 따라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그 상면에 다양한 물품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X자 프레임(60)은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부재가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 1받침프레임(30) 및 제 2받침프레임(04)의 상호 간을 연결하면서 보강부재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X자 프레임(60)의 각 단부에는 상기 제 1받침프레임(30)의 후측 종부재(32) 및 후측에 위치한 제 2받침프레임(40)의 일측 종부재(42)에 볼트(100) 체결을 통해 결합되도록 각각 결합홀(68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X자 프레임(60)을 구성하는 한 쌍의 부재가 맞닿은 부분에도 볼트(100) 체결을 위한 결합홀(68a)이 형성되어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X자 프레임(60)을 구성하는 각 부재는 일정 길이를 갖는 봉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각 단부에는 결합홀(68a,68b)이 천공된 소정 형상의 금속재질의 부재가 일체로 장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용 X자 프레임(70)은 상기 X자 프레임(60)과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해당 책상의 상판(10) 및 선반(80)을 지지하는 상기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40) 상호 간을 연결하여 보강부재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직사각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진 상판(10)과, 한 쌍의 지지프레임(20) 및 측면 지지프레임(24)과, 한 개의 제 1받침프레임(30) 및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40), 한 쌍의 상부프레임(50)과, 한 개씩의 X자 프레임(60) 및 선반용 X자 프레임(70), 다수 개의 선반(80)과, 다수 개의 받침부재(36,46)와 끼움부재(90) 및 볼트(100) 등으로 전체 구성을 이루게 됨에 따라, DIY 제품으로 유통되는 해당 제품의 분리상태에서 그 부피가 최소화 되어, 효율적인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수 개의 부품을 상호 결합시켜 특정 형태의 선반이 일체로 구비된 책상을 조립하는데 있어서는, 먼저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40)의 상부에 끼움부재(90)를 매개로 각각 상부프레임(50)을 장착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40) 상호 간의 사이에는 각 결합홀(48)에 관통 체결되는 볼트(100)를 매개로 측면 지지프레임(24) 및 선반용 X자 프레임(70)이 일체로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도 3a 및 도 3b 참조).
또, 각각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20)은 연결부재(22)를 매개로 상호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시켜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0)으로 구성한 후, 각 지지프레임(22) 일단부의 결합홀(28)을 상기 제 1받침프레임(30) 횡부재(34) 양단의 결합홀(38)과 연통시킨 상태로 볼트(100)를 체결하고(도 3c 참조), 각 지지프레임(20) 타단부의 결합홀(28)은 상기 측면 지지프레임(24)에 형성된 결합홀과 연통시킨 상태로 볼트(100)를 체결한다(도 3d).
그 후, 상기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40) 및 한 쌍의 상부프레임(50) 상호 간의 사이에 볼트(100) 체결을 통해 다수 개의 선반(80)을 적층 설치하는 한편(도 3d), 상기 제 1받침프레임(30)의 후측 종부재(32)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홀(38) 및 후측에 위치된 제 2받침프레임(40)의 일측 종부재(42)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홀(48)을 상기 X자 프레임(60) 각 단부의 결합홀(68b)과 연통시킨 상태로 볼트(100)가 체결되도록 한다(도 3e).
이에, 상기 제 1 및 제 2받침프레임(30,40) 상호 간의 사이에 상기 X자 프레임(60)이 일체로 결합되면서, 해당 책상을 구성하는 전체 프레임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해당 책상을 구성하는 전체 프레임의 조립 시에는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그 조립순서를 일부 변경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1 및 제 2받침프레임(30,40)과 상기 지지프레임(20) 및 측면 지지프레임(24)의 상부에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진 상판(10)을 위치시킨 후, 각 프레임의 일정 지점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 개의 결합홀에 볼트(100)를 관통시켜 각 볼트(100)의 단부가 상기 상판(10) 하면의 각 결합홀(18)에 체결되도록 함에 따라, 소정 형태를 갖는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이 완성될 수 있게 된다(도 3f 참조).
이때, 상기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진 상판(10)이 맞닿는 지점 및 상기 한 쌍의 부재가 연결되는 지지프레임(20)의 연결지점은 상호 엇갈린 지점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도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면서 견고한 구조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최소 부피로 유통되는 DIY 제품을 간편하게 구매한 후, 간단한 조립과정을 거쳐 견고한 구조를 갖는 선반이 일체로 구비된 책상을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상판, 18, 28, 38, 48, 58, 68a, 68b: 결합홀,
20: 지지프레임, 22: 연결부재,
24: 측면 지지프레임, 30: 제 1받침프레임,
32,42: 종부재, 34,44: 횡부재,
36,46: 받침부재, 40: 제 2받침프레임,
50: 상부프레임, 52: 보조바,
60: X자 프레임, 70: 선반용 X자 프레임,
80: 선반, 90: 끼움부재,
100: 볼트.

Claims (5)

  1. 평판형태를 갖는 한 쌍의 부재로 분리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는 상판과;
    두 개의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연장 결합되어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상판의 하면에 가로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되며 그 일단에는 측면 지지프레임의 양단이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한 쌍의 종부재 및 한 쌍의 횡부재가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어, 상기 상판의 하면 일측에 세워진 상태로 조립되어 책상 다리를 구성하는 한 개의 제 1받침프레임과;
    한 쌍의 종부재 및 한 쌍의 횡부재가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어, 상기 상판의 타측 전.후에 세워진 상태로 조립되어 책상 다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과;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의 상단에 끼움부재를 매개로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과;
    직사각판 형태의 패널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제 2받침프레임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상부프레임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선반 및;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부재가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결합되고, 각 단부가 상기 제 1받침프레임의 후측 종부재 및 후측 제 2받침프레임의 일측 종부재에 조립되는 X자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두 개의 부재는 각각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부재 단부에 그 단면이 "└" 형상을 갖는 수 센티미터[cm] 길이의 연결부재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 타단에 다른 하나의 부재 단부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한 쌍의 부재는 그 가로길이가 상호 상이한 치수를 갖는 사각판으로 구성되며, 두 개의 부재가 연장 결합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연결지점은 가로길이가 긴 치수를 갖는 상판의 하면 측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받침부재 상호 간의 사이에는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부재가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 선반용 X자 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는 그 중앙에 볼록부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상측 삽입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단에 삽입 결합됨과 아울러, 하측 삽입부는 상기 제 2받침프레임의 상단에 삽입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
KR1020180100165A 2018-08-27 2018-08-27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 KR20200023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165A KR20200023785A (ko) 2018-08-27 2018-08-27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165A KR20200023785A (ko) 2018-08-27 2018-08-27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785A true KR20200023785A (ko) 2020-03-06

Family

ID=6980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165A KR20200023785A (ko) 2018-08-27 2018-08-27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378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568Y1 (ko) 2003-03-28 2003-06-27 이지현 개선된 조립식 책상 테이블
KR101641141B1 (ko) 2015-01-22 2016-07-20 임찬양 이동간편 책상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568Y1 (ko) 2003-03-28 2003-06-27 이지현 개선된 조립식 책상 테이블
KR101641141B1 (ko) 2015-01-22 2016-07-20 임찬양 이동간편 책상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9859B1 (en) User assembled metallic cabinet
US8714369B2 (en) Furniture display rack
CA2846952C (en) Ready-to-assemble table
KR102105593B1 (ko) 사방 확장형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
KR200207937Y1 (ko) 절첩식책상
US20040045921A1 (en) Adjustable shelf storage system
KR20200023785A (ko) 선반이 구비된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
KR20030021331A (ko) 다용도 조립식 수납 가구
US20030136316A1 (en) Connecting system for elements forming modular furniture structures, in particular tables and/or desks
GB2461197A (en) Foldable combined cabinet made of cloth material
US4141590A (en) Collapsible furniture structure
KR200473130Y1 (ko) 조립식 수납장
JP2019092574A (ja) 家具
KR100789193B1 (ko)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KR101614834B1 (ko) 장식 가구용 접이식 패널
EP2843157B1 (en) A modular staging system with a trolley
KR20200023784A (ko) 상판 분리형 조립식 책상
CN220588038U (zh) 一种具有叠装结构的壁挂置物架
KR200257658Y1 (ko) 다용도 조립식 수납 가구
KR102422953B1 (ko) 결합력과 견고성이 증대된 간편 조립형 테이블
JP4460280B2 (ja) 書籍陳列棚
KR102266787B1 (ko) 가구용 금속제 다리 구조
KR102532858B1 (ko) 3방향 끼움 결합에 의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조립식 테이블
CN211459276U (zh) 一种折叠家具
KR200187458Y1 (ko) 조립식 상품판매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