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137A - 제철소의 고로 회전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제철소의 고로 회전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137A
KR20200023137A KR1020180099846A KR20180099846A KR20200023137A KR 20200023137 A KR20200023137 A KR 20200023137A KR 1020180099846 A KR1020180099846 A KR 1020180099846A KR 20180099846 A KR20180099846 A KR 20180099846A KR 20200023137 A KR20200023137 A KR 20200023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support
ring member
output
concav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성
Original Assignee
신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성 filed Critical 신용성
Priority to KR1020180099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3137A/ko
Publication of KR20200023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33Suppor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4Charging or discharging liquid or molten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는 회전가능한 쇳물용기(C)의 외부를 둘러싸는 링부재(200); 및 상기 쇳물용기(C)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단독 또는 함께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2지지부(300,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로부터 상기 직립위치(D)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1회전위치(D1)까지는 상기 제1지지부(300)가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1회전위치(D1)로부터 상기 직립위치(D)에서 90°회전된 제2회전위치(D2)까지는 상기 제1지지부(300)와 상기 제2지지부(400)가 함께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상기 제2회전위치(D2)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3회전위치(D3)까지는 상기 제2지지부(400)가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회전위치에 따라 단독 또는 함께 링부재와 연계하여 쇳물용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쇳물용기의 회전위치에 관계없이 쇳물용기의 하중을 편중되지 않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쇳물용기의 하중이 편중되어 작용되거나 쇳물용기와 링부재의 열팽창 차이에 의해서 연결부 등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쇳물용기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번갈아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안정되게 쇳물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철소의 고로 회전 지지장치{APPARTUS FOR SUPPORTING MOLTEN METAL CONTAINER}
본 발명은 회전위치에 따라 단독 또는 함께 링부재와 연계하여 쇳물용기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2지지부를 포함하는 제철소의 고로 회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로(轉爐) 등과 같이 쇳물이 담기는 쇳물용기(C)는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쇳물용기(C)는 내부에 담겨지는 쇳물을 외부로 출강시키기 위해서 또는 전로인 경우에는 취련 중 발생되는 슬래그의 제거를 위해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거나 일측 또는 타측으로 번갈아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예컨대 도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쇳물용기(C)는 이를 둘러싸며 회전축(A)이 구비된 링부재(20)와 함께 이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쇠물용기(C)의 회전시나 정지시에는 그 하중을 지지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쇳물용기(C)의 회전시나 정지시에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도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에 연결된 연결부재(R)를 링부재(20)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링부재(20)에 관통 연결된 연결부재(M)에 고정부재(F)를 끼워서 쇳물용기(C)와 링부재(20)를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비교적 큰 구조물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부재(20)에는 지지부재(41)가 구비되고, 쇳물용기(C)에는 지지부재(41)의 일측이 삽입되며 리브(L)가 구비된 삽입구멍(42)이 형성되어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부재(41)가 지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지지부재(41)와 삽입구멍(42) 사이의 좁은 간극과, 재질이 다른 쇳물용기(C)와 링부재(20)의 열팽창 차이에 의해서 지지부재(41)가 편마모 되거나 지지부재(41)나 삽입구멍(42)에 크랙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쇳물용기(C)에 연결된 링부재(20)의 타측을 박판(S)을 이용하여 쇳물용기(C)에 연결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박판(C)에 굽힙 하중이 발생하면 매우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쇳물용기(C)의 내부에 담긴 쇳물을 외부로 출강 중에 출강되는 쇳물에 의해서 박판(S)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부재(20)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31)와 쇳물용기(C)에 구비되는 제2고정부재(33)를 링크부재(32)로 수직 또는 수평하게 연결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수평으로 연결된 링크부재(32)가 하중을 받는 쇳물용기(C)의 회전위치에서 쇳물용기(C)의 하중으로 연결부, 특히 제1고정부재(31)와 링부재(20)가 연결된 연결부에 크랙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예컨대 쇳물용기(C)가 전로인 경우에 취련 중 발생되는 슬래그의 제거를 위해서 쇳물용기(C)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번갈아 회전하는 경우, 수직으로 연결된 링크부재(32)가 다른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수직으로 연결된 링크부재(32) 중 하나에만 과도한 하중이 작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연결부에 크랙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쇳물용기 지지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회전위치에 따라 단독 또는 함께 링부재와 연계하여 쇳물용기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회전가능한 쇳물용기(C)의 외부를 둘러싸고 회전축이 구비되는 링부재(200)와; 상기 쇳물용기(C)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단독 또는 함께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2지지부(300,400)와; 상기 링부재의 회전축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고,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먼지 측정수단(1000)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200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로부터 상기 직립위치(D)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1회전위치(D1)까지는 상기 제1지지부(300)가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1회전위치(D1)로부터 상기 직립위치(D)에서 90°회전된 제2회전위치(D2)까지는 상기 제1지지부(300)와 상기 제2지지부(400)가 함께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상기 제2회전위치(D2)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3회전위치(D3)까지는 상기 제2지지부(400)가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다수개의 오목렌즈가 탑재되어 적외선의 출력을 제한시키는 오목렌즈군과; 상기 오목렌즈군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출력시키는 적외선 송신소자와; 상기 오목렌즈군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목렌즈군을 유동시켜 적외선 출력이 조절되도록하되 온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주변 온도가 높으면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주변 온도가 낮으면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형상기억 스프링과;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과 고정부를 수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열을 통해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팽창시켜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높아지도록 유도하는 발열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타측에 설치되어 냉각열을 전달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수축시켜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와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낮아지도록 유도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발열수단과 열전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가 많을 경우 발열수단을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고, 먼지가 적을 경우 열전소자를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 양방향으로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발 스프링(4a)과, 상기 탄발 스프링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탄발 스프링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밀리면서 하우징(5)에 임시 고정되는 슬라이딩 볼(4b)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위치에 따라 단독 또는 함께 링부재와 연계하여 쇳물용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쇳물용기의 회전위치에 관계없이 쇳물용기의 하중을 편중되지 않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제1지지부의 제1고정부재 또는 제2고정부재와 링크부재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제2지지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종래의 쇳물용기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경보신호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서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먼지측정수단 제 1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발열수단과 열전소자 및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제 2 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 일실시예도.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목렌즈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제1지지부의 제1고정부재 또는 제2고정부재와 링크부재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제2지지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종래의 쇳물용기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경보신호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서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먼지측정수단 제 1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발열수단과 열전소자 및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제 2 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 일실시예도.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목렌즈 구성도로서,
먼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100)는 링부재(200)와, 제1,2지지부(300,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링부재(2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쇳물용기(C)의 외부를 둘러쌀 수 있다. 링부재(200)가 외부를 둘러싸는 쇳물용기(C)는 회전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링부재(200)에는 회전축(A)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축(A)은 모터나 기어 등으로 이루어진 회전구동부(도시되지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링부재(2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제1,2지지부(300,4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구동부의 구동에 의해서 링부재(200)가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쇳물용기(C)가 링부재(200)와 함께 링부재(200)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쇳물용기(C)가 회전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쇳물용기(C)가 회전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링부재(200)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쇳물용기(C)의 외부를 둘러싸며 후술할 바와 같이 제1,2지지부(300,4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쇳물용기(C)는 전로(轉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쇳물용기(C)는 전로에 한정되지 않고, 쇳물이 담기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1,2지지부(300,400)는 쇳물용기(C)의 회전위치에 따라 쇳물용기(C)의 하중을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단독 또는 함께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쇳물용기(C)의 회전위치에 관계없이 쇳물용기(C)의 하중을 편중되지 않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쇳물용기(C)의 하중이 편중되어 작용되어 연결부 등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2지지부(300,400) 중 제1지지부(300)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로부터 직립위치(D)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1회전위치(D1)까지는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300)는 제1회전위치(D1)로부터 직립위치(D)에서 90°회전된 제2회전위치(D2)까지는 제2지지부(400)와 함께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300)는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제2회전위치(D2)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3회전위치(D3)까지는 링크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을 수 있다.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제3회전 위치(D3)까지는 후술할 바와 같이 제2지지부(400)가 링크부재(200)와 연계하여 단독으로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지지부(300)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축(A)을 중심으로 쇳물용기(C)의 일측에 2개 타측에 2개 모두 4개가 등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A)을 중심으로 링부재(200)와 함께 쇳물용기(C)가 일측 또는 타측 어느 쪽으로 회전되어도, 제1지지부(3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직립위치(D)로부터 제1회전위치(D1)까지는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단독으로, 그리고 제1회전위치(D1)로부터 제2회전위치(D2) 까지는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제2지지부(400)와 함께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제3회전위치(D3)까지는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제2지지부(400)가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쇳물용기(C)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번갈아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안정되게 쇳물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쇳물용기(C)가 전로인 경우에, 전로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번갈아 회전시켜서 취련시 슬래그를 배제하는 더블 슬래그 조업을 안정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의 회전위치에 따라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제1지지부(3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고정부재(310)와, 링크부재(320) 및, 제2고정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고정부재(310)는 링부재(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고정부재(3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링부재(200)에 구비되고 후술할 바와 같이 링크부재(320)가 연결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링크부재(3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측이 제1고정부재(3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고정부재(310)와 링크부재(320)는 핀부재(P)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고정부재(310)와 링크부재(320)의 연결부에는 구면 베어링(B)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핀부재(P)와 링크부재(320) 사이에 구면 베어링(B)이 위치되도록 하여 제1고정부재(310)와 링크부재(320)의 연결부에 구면 베어링(B)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고정부재(310)와 링크부재(320)의 연결부에 구면 베어링(B)이 구비되면, 링크부재(320)가 쇳물용기(C)의 하중에 의해서 좌우로 약간씩 이동하더라도, 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위치에, 즉 핀부재(P)와 링크부재(320)의 사이에 구면 베어링(B)이 하나만 구비되고, 핀부재(P)와 제1고정부재(310) 사이에 구면 베어링(B)이 구비되지 않아도, 링크부재(320)가 쇳물용기(C)의 하중에 의해서 약간씩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핀부재(P)와 제1고정부재(310) 사이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면이 테이퍼진 테이퍼부재(T)가 위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33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쇳물용기(C)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고정부재(33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링크부재(320)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고정부재(330)와 링크부재(320)도 핀부재(P)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고정부재(330)와 링크부재(320)의 연결부에도, 핀부재(P)와 링크부재(320) 사이에 구면 베어링(B)이 위치되도록 하여 제2고정부재(330)와 링크부재(320)의 연결부에 구면 베어링(B)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핀부재(P)와 제2고정부재(330) 사이에도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테이퍼부재(T)가 위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쇳물용기(C)의 하중에 의해서 링크부재(320)가 좌우로 약간씩 이동하더라도, 이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고정부재(33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쇳물용기(C)에 구비되고 링크부재(320)가 연결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2지지부(40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로부터 직립위치(D)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1회전위치(D1)까지는 링크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로부터 제1회전위치(D1)까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300)가 링크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부(400)는 제1회전위치(D1)로부터 직립위치(D)에서 90°회전된 제2회전위치(D2)까지는 제1지지부(300)와 함께 링크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제2회전위치(D2)에서 일정 각도회전된 제3회전위치(D3)까지는 제2지지부(400)가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지지부(400)는 도 1과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재(410)와, 삽입구멍(4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재(410)는 링부재(2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재(410)는 링부재(200)에 구비된 회전축(A)의 반대편에, 즉 링부재(200)의 안쪽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A)과 같이 지지부재(410)도 링부재(200)에 2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4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링부재(200)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삽입구멍(420)은 도 1과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쇳물용기(C)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멍(42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지지부재(41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의 회전위치에 따라 삽입구멍(420)에 삽입된 지지부재(410)의 일측에 의해서 쇳물용기(C)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410)와 삽입구멍(420)의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간극(G1)과 제2간극(G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간극(G2)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간극(G1)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간극(G1)과 제2간극(G2)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에서 삽입구멍(4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에서는 쇳물용기(C)의 하중이 제2지지부(400)의 지지부재(410)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300)가 단독으로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에서 제1회전위치(D1), 즉 쇳물용기(C)와 링부재(200)의 회전에 의해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10)가 삽입구멍(420)에 처음으로 접촉되는 회전위치인 제1회전위치(D1)까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300)가 단독으로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회전위치(D1)로부터 제2회전위치(D2)까지는 제1지지부(300)와 제2지지부(400)가 함께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쇳물용기(C)의 회전에 따라 쇳물용기(C)의 하중이 제1지지부(300)에서 제2지지부(400)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제3회전위치(D3)까지는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제1지지부(300)에 의한 쇳물용기(C)의 하중의 지지가 이루지지지 않기 때문에, 제2지지부(400)가 단독으로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재(410)와 삽입구멍(420) 사이에 형성된 제1간극(G1)과 제2간극(G2)에 의해서 재질이 다른 쇳물용기(C)와 링부재(200)의 열팽창 차이에 의해서 연결부인 지지부재(410)와 삽입구멍(420) 등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간극(G1)은 제2간극(G2)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간극(G1)이 제2간극(G2)보다 크면, 지지부재(410)를 삽입구멍(42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간극(G1)과 제2간극(G2)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로부터 제1회전위치(D1)까지는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제1지지부(300)가 단독으로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고, 제1회전위치(D1)로부터 제2회전위치(D2)까지는 제1지지부(300)와 제2지지부(400)가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함께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며,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제3회전위치(D3)까지는 제2지지부(400)가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고, 재질이 다른 쇳물용기(C)와 링부재(200)의 열팽창 차이에 의해서 지지부재(410)와 삽입구멍(420)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기라면 어떠한 크기라도 가능하다.
한편, 삽입구멍(420)에는 도 1과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쇳물용기(C)의 하중지지를 위해서 리브(L)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5와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에서는 제2지지부(400)의 지지부재(410)와 삽입구멍(420) 사이의 제1간극(G1)과 제2간극(G2)이 삽입구멍(4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1지지부(300)가 단독으로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쇳물용기(C)와 링부재(200)가 링부재(200)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어 제2지지부(400)의 지지부재(410)가 삽입구멍(420)에 처음으로 접촉되는 제1회전위치(D1)까지도 제1간극(G1)과 제2간극(G2)에 의해서 지지부재(410)가 삽입구멍(420)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로부터 제1회전위치(D1)까지도 제1지지부(300)가 단독으로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1회전위치(D1)로부터 쇳물용기(C)가 링부재(200)와 함께 일측 또는 타측으로 더 회전되어 제2회전위치(D2)까지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10)가 삽입구멍(420)에 접촉되면서도 쇳물용기(C)의 회전각이 직립위치(D)에서 90°가 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의 하중을 제1지지부(300)와 제2지지부(400)가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함께 지지하게 된다. 즉, 제1지지부(300)에 가해지는 쇳물용기(C)의 하중이 제2지지부(400)로 이동된다.
이후, 쇳물용기(C)가 제2회전위치(D2)까지 회전되면,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300)는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이 지지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2지지부(400)가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쇳물용기(C)가 링부재(200)와 함께 일측 또는 타측으로 더 회전되어 제3회전위치(D3)까지는, 예컨대 쇳물용기(C)가 전로이어서 전로에 담겨진 쇳물을 출강하는 경우에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의 회전각이 직립위치(D)로부터 90°가 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제1지지부(300)는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를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제2지지부(400)의 지지부재(410)는 쇳물용기(C)의 자중에 의해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멍(420)에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제3회전위치(D3)까지는 제2지지부(400)가 단독으로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쇳물용기(C)가 링부재(200)와 함께 회전축(A)을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번갈아 회전된다고 하더라도, 전술된 바와 같이 회전위치(D,D1,D2,D3)에 따라 제1지지부(300)와 제2지지부(400)가 단독 또는 함께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링부재의 회전축의 하우징 일단에 먼지 측정수단(1000)을 더 설치하며, 상기 먼지 측정수단(1000)의 측정 결과 기준이상의 먼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 출력부(20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장치의 주변에 미세먼지가 기준치 이상이므로 작업자가 대피하거나 먼지를 적절히 제거토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1000)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먼지 측정 제어부에서 적외선 수신수단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오목렌즈가 탑재되어 적외선의 출력을 제한시키는 오목렌즈군(1)과;
상기 오목렌즈군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출력시키는 적외선 송신소자(2)와;
상기 오목렌즈군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목렌즈군을 유동시켜 적외선 출력이 조절되도록하되 온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주변 온도가 높으면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주변 온도가 낮으면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형상기억 스프링(3)과;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고정부(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과 고정부를 수납하는 하우징(5)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열을 통해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팽창시켜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높아지도록 유도하는 발열수단(6)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3)의 타측에 설치되어 냉각열을 전달하여 형상기억 스프링(3)을 강제로 수축시켜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와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낮아지도록 유도하는 열전소자(7)와;
상기 발열수단과 열전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가 많을 경우 발열수단을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고, 먼지가 적을 경우 열전소자를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가 위치하는 하우징의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홀(5a, 5b 5c)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는 고정부(4)의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자석(9)을 삽입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즉, 고정부(4)는 금속으로 구성하며, 자석(9)을 홀에 삽입하여 고정부를 임시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기온이 낮은 지역은 자석을 중앙홀(5b) 또는 왼쪽홀(5a)에 위치시켜 세팅하고, 기온이 높은 지역은 자석(9)을 중앙홀(5b) 또는 오른쪽(5c)에 위치시켜 세팅한다.
그러면 최초 송신소자(2) 위치가 오목렌즈군(1)의 중앙에 위치되고, 이후 온도변화에 따라서 적절히 팽창과 수축을 하여 먼지의 농도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부(4)는 원터치에 의해서 결합토록 구성할 수 있는바, 고정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탄발 스프링(4a)과, 상기 탄발 스프링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볼(4b)를 설치하여 구성하며, 하우징(5)에 딸깍 하면서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즉, 미리 하우징(5)에 일정 간격으로 홀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를 움직이면서 슬라이딩 볼(5b)이 홀에 임시 결합되도록하고, 이때 탄발 스프링(4a)의 작용으로 슬라이딩 볼이 좌우로 펼쳐지면서 고정상태가 지속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고정부의 위치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송신소자(2)의 출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구성하였는바, 형상기억 스프링(3)이 기본 온도로 세팅되어 있으며, 이후 온도가 올라가면 형상기억 스프링이 늘어나면서 송신소자의 광을 줄여서 출력시키고, 온도가 내려가면 형상기억 스프링(3)이 줄어들면서 송신소자(2)의 광을 낮추어서 출력시킨다.
즉, 먼지는 기체속에 분포되기 때문에 온도가 올라가면 움직임이 활발해져서 송신소자(2)의 출력을 낮추었을때 보다 더 정밀한 먼지 농도를 채크할 수 있으며, 온도가 낮아지면 움직임이 둔해지기 때문에 송신소자(2)의 출력을 높였을때 보다 더 정밀한 먼지 농도를 체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온도변화를 반영하여 오목렌즈군(1)을 유동시켜 먼지 농도를 보다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제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기본적으로 오목렌즈군(1)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1c)를 통해 송신소자의 빛이 출력된다.
그리고, 주변 온도가 올라가면 형상기억 스프링이 팽창되면서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낮은 제 2 오목렌즈(1b)가 송신소자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낮추어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주변 온도가 내려가면 형상기억 스프링(3)이 수축되면서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높은 제 4 오목렌즈(1d)가 송신소자(2)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높여서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주변 온도에 반응하여 형상기억 스프링(3)이 자동으로 팽창과 수축을 함으로서 먼지의 움직임에 따른 광량 변화를 촉진하여 보다 더 정밀한 먼지 농도를 파악할 수 있고, 보다 더 정확한 경보출력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먼지 농도에 따라 송신 제어부(8)가 강제로 오목렌즈군(1)을 움직여서 가장 정확한 먼지 농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바, 온도 변화가 없더라도 먼지의 농도에 따라 송신소자의 광량을 조절하여 정확한 먼지의 농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은 적외선 송신수단의 광량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가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송신 제어부(8)에서 이를 인지하여 발열수단(6) 및 열전소자(7)를 구동하여 가장 적절한 적외선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먼저, 기본적으로 오목렌즈군(1)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1c)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토록하며,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발열수단(6)을 가동시켜 열을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이 팽창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송신소자(2)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설치되는 제 2 오목렌즈(1b)가 송신소자(2) 위치로 움직이면서 송신소자의 출력광이 제 2 오목렌즈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발열수단(6)을 가동시켜 열을 더 많이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3)이 더 많이 팽창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1 오목렌즈(1a)가 송신소자(2)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가열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이 제 1 오목렌즈(1a)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열전소자(7)를 구동하여 냉각열을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3)이 수축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이 설치되는 제 4 오목렌즈(1d)가 송신소자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이 제 4 오목렌즈(1d)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열전소자(7)를 구동하여 냉각열을 더 많이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3)이 더 많이 수축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5 오목렌즈(1e)가 송신소자(2) 위치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이 제 5 오목렌즈(1e)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오목렌즈군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제 3 오목렌즈(1c)는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2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2 오목렌즈(1b)는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1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1 오목렌즈(1a)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b)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4 오목렌즈(1d)는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3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5 오목렌즈(1e)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1d)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45도로 형성시킨다.
100 : 쇳물용기 지지장치 20,200 : 링부재
300 : 제1지지부 31, 310 : 제1고정부재
32, 320 : 링크부재 33, 330 : 제2고정부재
400 : 제2지지부 41, 410 : 지지부재
42, 420 : 삽입구멍 C : 쇳물용기
A : 회전축 P : 핀부재
B : 구면 베어링 T : 테이퍼부재
G1 : 제1간극 G2 : 제2간극
L : 리브 D : 직립위치
D1 : 제1회전위치 D2 : 제2회전위치
D3 : 제3회전위치 R,M : 연결부재
F : 고정부재 S : 박판

Claims (4)

  1. 회전가능한 쇳물용기(C)의 외부를 둘러싸고 회전축이 구비되는 링부재(200)와;
    상기 쇳물용기(C)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단독 또는 함께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2지지부(300,400)와;
    상기 링부재의 회전축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고,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먼지 측정수단(1000)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200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로부터 상기 직립위치(D)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1회전위치(D1)까지는 상기 제1지지부(300)가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1회전위치(D1)로부터 상기 직립위치(D)에서 90°회전된 제2회전위치(D2)까지는 상기 제1지지부(300)와 상기 제2지지부(400)가 함께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상기 제2회전위치(D2)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3회전위치(D3)까지는 상기 제2지지부(400)가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소의 고로 회전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다수개의 오목렌즈가 탑재되어 적외선의 출력을 제한시키는 오목렌즈군과;
    상기 오목렌즈군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출력시키는 적외선 송신소자와;
    상기 오목렌즈군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목렌즈군을 유동시켜 적외선 출력이 조절되도록하되 온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주변 온도가 높으면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주변 온도가 낮으면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형상기억 스프링과;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소의 고로 회전 지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과 고정부를 수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열을 통해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팽창시켜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높아지도록 유도하는 발열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타측에 설치되어 냉각열을 전달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수축시켜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와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낮아지도록 유도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발열수단과 열전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가 많을 경우 발열수단을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고, 먼지가 적을 경우 열전소자를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소의 고로 회전 지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 양방향으로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발 스프링(4a)과, 상기 탄발 스프링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탄발 스프링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밀리면서 하우징(5)에 임시 고정되는 슬라이딩 볼(4b)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소의 고로 회전 지지장치.
KR1020180099846A 2018-08-25 2018-08-25 제철소의 고로 회전 지지장치 KR20200023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846A KR20200023137A (ko) 2018-08-25 2018-08-25 제철소의 고로 회전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846A KR20200023137A (ko) 2018-08-25 2018-08-25 제철소의 고로 회전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137A true KR20200023137A (ko) 2020-03-04

Family

ID=69783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846A KR20200023137A (ko) 2018-08-25 2018-08-25 제철소의 고로 회전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31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9747A1 (en) * 2022-01-11 2023-07-12 Danieli Corus BV Metallurgical processing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9747A1 (en) * 2022-01-11 2023-07-12 Danieli Corus BV Metallurgical processing assembly
WO2023135175A1 (en) * 2022-01-11 2023-07-20 Danieli Corus B.V. Metallurgical processing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5895B2 (en) Servo-controlled automatic level and plumb tool
CN109923386B (zh) 被处理物的温度测定装置和温度测定方法以及搅拌消泡方法
EP3551588B1 (en) Control system for furnace
US4221483A (en) Laser beam level instrument
CN101535764A (zh) 倾斜度指示设备和方法
KR20200023137A (ko) 제철소의 고로 회전 지지장치
KR101906285B1 (ko) 다중 산업용 네트워크 기반 공작기계 아날로그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CN110207854A (zh) 一种用于道路隧道感温探测器的灵敏度现场检测方法
US7855819B2 (en) Swing member device, and optical deflector and image-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wing member device
EP3159656B1 (en) Measuring device with a leveling unit and two tilt angle sensors
US5847820A (en) Laser apparatus for sensing rotational orientation and levelness
US4814969A (en) Control apparatus
KR20040068871A (ko) 공조(空調) 기기
CN110926424B (zh) 一种三维角度测量仪
KR102086928B1 (ko) 제철소의 고로 회전 지지장치
KR102154350B1 (ko)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일체형 광섬유 센서
US11029443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obstruction detection
CN215863551U (zh) 红外传感器的视角调整装置
KR200488523Y1 (ko) 노체 회전장치
KR100276646B1 (ko) 자기센서를 이용한 크레인 위치검출장치
CN105300527A (zh) 回转式空气预热器转子的热点检测装置及其方法
CN115355829A (zh) 一种隔震支座的位移测量装置及其位移测量方法
CN108507671B (zh) 一种光学分析测试设备
KR200488520Y1 (ko) 노체회전 용해식 전기로 장치
KR200488522Y1 (ko) 회전가능한 전기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