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491A - 영상을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영상을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491A
KR20200022491A KR1020207002963A KR20207002963A KR20200022491A KR 20200022491 A KR20200022491 A KR 20200022491A KR 1020207002963 A KR1020207002963 A KR 1020207002963A KR 20207002963 A KR20207002963 A KR 20207002963A KR 20200022491 A KR20200022491 A KR 20200022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lock
coding
decoding
deco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펠릭스 앙리
조엘 용
바파디탸 레이
Original Assignee
오렌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렌지 filed Critical 오렌지
Priority to KR1020247002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3896A/ko
Publication of KR2020002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67Position within a video image, e.g. region of interest [RO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47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according to rate distortion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으로 분할된 영상(ICj)의 인코딩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영상은 2개의 별개의 구역(Z1, Z2)을 포함한다. 상기 인코딩 방법은, 현재 블록(Bu)이 영상의 구역 중 하나(Z1)에 속하는 경우에만, 예측을 사용하여 현재 블록을 인코딩하는 단계(C8a)로서, 현재 블록은 영상의 다른 구역에 위치된 이전에 인코딩된 다음 디코딩된 블록을 사용하여 예측되고, 상기 다른 구역의 블록은 이전에 인코딩된 다음 디코딩된, 단계; 및 상기 예측의 적용을 나타내는 정보(ibc_flag)를 인코딩하는 단계(C100a)); 및 영상의 다른 구역(Z2)에 속하는 임의의 디코딩된 블록에 대해, 디코딩된 블록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C101b))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을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영상 처리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정확하게는 디지털 영상이 고정되어 있든 또는 디지털 영상 시퀀스의 일부를 형성하든 상관없이, 이러한 디지털 영상의 파라미터의 코딩 및 디코딩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영상 파라미터의 코딩/디코딩은 특히,
- 하나의 동일한 카메라로부터 비롯되어 시간적으로 서로 후속되는 영상(2D 유형의 코딩/디코딩);
- 상이한 뷰에 따라 지향된 다양한 카메라로부터 비롯되는 영상(3D 유형의 코딩/디코딩);
- 해당 텍스처 성분 및 깊이 성분(3D 유형의 코딩/디코딩);
- 360° 비디오의 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
- 기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시퀀스로부터 비롯되는 영상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2D 또는 3D 유형의 영상의 파라미터의 코딩/디코딩에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특히, 본 발명은 전적으로 그런 것은 아니지만, 현재의 AVC("고도 비디오 코딩"의 영어 약어) 및 HEVC("고효율 비디오 코딩"의 영어 약어) 비디오 코더(coder) 및 이들의 확장(MVC, 3D-AVC, MV-HEVC, 3D-HEVC 등)으로 구현되는 비디오 코딩, 및 대응하는 디코딩에 적용될 수 있다.
현재의 비디오 코더(MPEG, H.264, HEVC 등)는 비디오 시퀀스의 블록 단위 표현을 사용한다. 영상은 예를 들어, HEVC 표준에서와 같은 재귀적 방식으로 다시 분할될 수 있는 블록으로 분할된다.
코딩될 현재의 블록에 대해, 이러한 블록과 연관된 영상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그 목적이 손실 없이 이들 파라미터를 코딩하는 것인 엔트로피 코더와 같은 코더에 의해 구현되는 적응형 코딩 방식을 사용하여 비트의 형태로 코딩된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 현재 블록의 픽셀의 잔차(residual) 예측 계수;
-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인트라(Intra) 예측, 인터(Inter) 예측, 정보가 디코더로 전송되지 않는(영어로 "스킵") 예측을 수행하는 디폴트 예측);
- 현재 블록의 예측 유형을 명시하는 정보(방향, 참조 영상 등);
- 현재 블록의 분할 유형;
- 필요한 경우 현재 블록의 모션 정보;
- 기타이다.
엔트로피 코딩 후에 획득된 비트는 디코더에 전송되도록 의도된 데이터 신호로 기록된다.
코딩된 데이터 신호가 디코더에 의해 수신되면, 디코딩은 영상마다, 그리고 각각의 영상에 대해, 블록마다 수행된다. 각각의 블록에 대해, 블록과 연관된 영상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비트가 판독된 다음, 디코더에 의해 구현되는 디코딩 방식을 사용하여 디코딩된다.
고려되는 각각의 영상 유형 또는 형식에 대해, 특정 코딩이 구현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AVC 및 HEVC 코더/디코더는 하나의 동일한 카메라로부터 비롯되어 시간적으로 서로 후속되는 2D 영상을 코딩/디코딩하도록 적응된다.
전술한 유형의 코딩은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현재 영상에 대해, 현재 블록의 예측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예측 모드가 있다:
- 현재 블록의 픽셀에 인접한 픽셀에 대하여 현재 블록의 픽셀을 예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이들 인접한 픽셀은 이미 코딩된 다음 디코딩되었고, 가능하면 예를 들어 HEVC 표준에서 35개의 다양한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위치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
- 현재 블록과 연관된 특정 코딩 정보를 예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인터 예측 모드로서, 특정 코딩 정보는 예를 들어,
ㆍ 참조 픽셀의 블록과 연관된 시간 모션 벡터에 대한 현재 블록의 시간 모션 벡터,
ㆍ 시간 모션 벡터에 의해 지향되고, 현재 블록이 속하는 현재 영상이 아닌 영상에 위치되는, 참조 픽셀의 블록의 픽셀에 대한 현재 블록의 픽셀과 같은, 인터 예측 모드;
- 동일한 영상의 이전에 코딩되어 디코딩된 부분에서, 동일한 영상에 속하는 블록을 통해 현재 블록을 예측할 수 있게 하는, 다음 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은 "인트라 블록 복사(Intra Block Copy)"(IBC) 예측 모드: Shan Liu, Xiaozhong Xu, Shawmin Lei 및 Kevin Jou의 “스크린 콘텐츠 코딩에 관한 HEVC 확장의 개요”, SIP(2015), vol. 4, 1 내지 12 페이지, 2015년, 산업 기술 발전.
이들 예측 모드들은 경합하도록 설정되며, 예를 들어 비트레이트 왜곡 기준과 같은 코딩 성능 기준을 최적화하는 예측 모드가 현재 영상의 각각의 블록의 예측을 위해 선택된다.
전술한 예측 코딩의 단점은 인코더 및 디코더 모두에서의 IBC 예측 모드의 이용 가능성이 계산 자원을 증가시킨다는 점이다. 또한, 인코더에서, IBC 예측 모드에 특정한 신택스(syntax) 요소를 코딩하고, 이를 디코더에 전송될 신호로 기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그널링 비용이 증가한다. 마지막으로, IBC 예측 모드는 현재 블록의 코딩 및 디코딩에 사용되도록 제공하기 위해, 인코더 및 디코더에서 모든 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수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 현재 영상에 대한 코딩/디코딩 성능;
- 현재 영상의 코딩/디코딩의 복잡성;
- 인코더 및 디코더에서의 메모리 자원의 감소를 최적화할 수 있게 하면서, 주어진 유형 또는 형식의 비디오 콘텐츠로부터 비롯되는 현재 영상에 2개의 상이한 예측 모드를 현재 순간에 적용하는 것을 제안하는 코더/디코더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취지로, 본 발명의 대상은 블록으로 분할된 영상을 코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영상은 2개의 별개의 구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코딩 방법은,
- 현재 블록이 영상의 구역 중 하나에 속하는 경우에만,
ㆍ 예측을 사용하여 현재 블록을 코딩하는 단계로서, 현재 블록은 영상의 다른 구역에 위치된 이전에 코딩된 다음 디코딩된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예측되고, 다른 구역의 블록은 이전에 코딩된 다음 디코딩된, 단계,
ㆍ 사용된 예측의 적용을 나타내는 정보 아이템을 코딩하는 단계;
- 영상의 다른 구역에 속하는 임의의 디코딩된 블록에 대해, 디코딩된 블록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제공은 특정 예측 모드가 영상의 다른 구역에 대해 사용되지 않으므로, 다른 구역에 위치된 블록의 코딩 동안 다른 예측 모드에 대해 경합하도록 설정되지 않기 때문에, 코딩의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러한 제공은 영상의 코딩된 다음 디코딩된 블록의 데이터가 영상의 2개의 구역 중 하나에 대해서만 저장되기 때문에, 코딩 데이터의 저장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라, 코딩 방법은 이전에 코딩된 다음 디코딩된 블록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 아이템을 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위치 정보 아이템은 모션 벡터 또는 좌표 세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코딩된 상기 위치 정보 아이템이 디코더에 전송됨으로써, 현재 영상의 구역 중 하나에 속하는 현재 블록의 디코딩 동안, 현재 영상의 다른 구역에 위치된 디코딩된 블록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라, 영상의 2개의 구역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 아이템을 코딩하는 단계가 구현된다.
이러한 제공은 서로에 대한 각각의 구역의 위치를 디코더에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유사하게, 본 발명은 블록으로 분할된 영상을 코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영상은 2개의 별개의 구역을 포함하며, 장치는,
- 현재 블록이 영상의 구역 중 하나에 속하는 경우에만,
ㆍ 예측을 사용하여 현재 블록을 코딩하고,
ㆍ 사용된 예측의 적용을 나타내는 정보 아이템을 코딩하며,
- 영상의 다른 구역에 속하는 임의의 디코딩된 블록에 대해, 디코딩된 블록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설계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현재 블록은 영상의 다른 구역에 위치된 이전에 코딩된 다음 디코딩된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예측되며, 다른 구역의 블록은 이전에 코딩된 다음 디코딩된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은 또한 코딩된 블록으로 분할된 영상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2개의 별개의 구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코딩 방법은,
- 현재 블록이 영상의 구역 중 하나에 속하는 경우에만,
ㆍ 예측을 사용하여 현재 블록의 디코딩을 나타내는 정보 아이템을 데이터 신호에서 판독하는 단계로서, 현재 블록은 영상의 다른 구역에 위치된 이전에 디코딩된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예측되도록 의도되고, 상기 다른 구역의 블록은 이전에 디코딩된, 단계,
ㆍ 상기 예측을 사용함으로써 현재 블록을 디코딩하는 단계;
- 영상의 상기 구역 중 다른 하나에 속하는 임의의 디코딩된 블록에 대해, 디코딩된 블록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라, 디코딩 방법은 이전에 코딩된 다음 디코딩된 블록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 아이템을 데이터 신호에서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라, 영상의 각각의 구역은 데이터 신호에서 판독된 대응하는 식별 정보 아이템을 판독함으로써 식별된다.
유사하게, 본 발명은 코딩된 블록으로 분할된 영상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영상은 2개의 별개의 구역을 포함하며, 장치는,
- 현재 블록이 영상의 구역 중 하나에 속하는 경우에만,
ㆍ 예측을 사용하여 현재 블록의 디코딩을 나타내는 정보 아이템을 데이터 신호에서 판독하고,
ㆍ 상기 예측을 사용함으로써 현재 블록을 디코딩하며,
- 영상의 상기 구역 중 다른 하나에 속하는 임의의 디코딩된 블록에 대해, 디코딩된 블록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설계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현재 블록은 영상의 다른 구역에 위치된 이전에 디코딩된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예측되도록 의도되며, 상기 다른 구역의 블록은 이전에 디코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를 통해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 및 디코딩 방법 중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임의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소스 코드, 객체 코드, 또는 소스 코드와 객체 코드 사이의 중간 코드의 형식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컴파일링된 형식 또는 임의의 다른 바람직한 형식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를 구상한다.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엔티티 또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체는 ROM, 예를 들어 CD ROM 또는 마이크로 전자 회로 ROM과 같은 저장 수단, 또는 다른 자기 기록 수단, 디지털 기록 수단, 예를 들어 USB 키 또는 하드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록 매체는 무선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전기 또는 광 케이블을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전기 또는 광 신호와 같은 전송 가능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특히 인터넷 유형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이 통합된 집적 회로일 수 있고, 집적 회로는 논의 중인 방법을 실행하거나 방법의 실행에 사용되도록 적응된다.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읽었을 때 명백해질 것이며, 도면으로서: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코딩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다;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딩 장치를 도시한다;
- 도 3a 내지 도 3c는 현재 영상의 별개의 구역의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다;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디코딩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다;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디코딩 장치를 도시한다.
코딩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이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가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은 현재 또는 미래의 비디오 코딩 표준 중 어느 하나를 따르는 코더로 구현된 코딩에 의해 달성되는 것과 유사한 2진 스트림에 따라 영상 또는 영상들의 시퀀스를 코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은 예를 들어, 그러한 코더의 변경에 의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코딩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C1 내지 C100a) 또는 C1 내지 C101b))을 포함하는 알고리즘의 형태로 표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코딩 장치 또는 코더(CO)로 구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더(CO)는 버퍼 메모리(MT_C)를 포함하는 메모리(MEM_C), 본 발명에 따른 코딩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PG_C)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세서(PROC_C)를 포함한다. 초기화 시에, 컴퓨터 프로그램(PG_C)의 코드 명령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PROC_C)에 의해 실행되기 전에, MR_C로 표시된 RAM 메모리로 로딩된다.
도 1에 도시된 코딩 방법은, 고정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코딩될 L개의 영상(IC1,…, ICj,…, ICL)(1≤j≤L) 시퀀스의 일부를 형성하는 임의의 현재 영상(ICj)에 적용된다.
현재 영상(ICj)은 완전하지 않은 실시예로서,
- 하나의 동일한 카메라로부터 비롯되어 시간적으로 서로 후속되는 영상(2D 유형의 코딩/디코딩);
- 상이한 뷰에 따라 지향된 다양한 카메라로부터 비롯되는 영상(3D 유형의 코딩/디코딩);
- 말하자면 하나의 동일한 장면을 나타내는 해당 텍스처 성분 및 깊이 성분(3D 유형의 코딩/디코딩);
- 360° 비디오의 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
- 입체 비디오의 투영에 의해 획득되고,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의해 각각 보이도록 의도된 하나의 동일한 장면을 나타내는 2개의 뷰를 각각 포함하는 영상;
- 예를 들어 스크린 비디오 캡처에 의해 획득된 영상과 같은, "스크린 콘텐츠" 유형의 부자연스러운 영상;
- 기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시퀀스로부터 비롯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현재 영상(ICj)을 복수의 블록(B1, B2, …, Bu,…, BS)(1≤u≤S)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C1에서 수행한다. 분할하는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분할 장치(MP_C)에 의해 구현되며, 이 장치는 프로세서(PROC_C)에 의해 구동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블록"이란 용어는 코딩 단위를 의미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후자의 용어는 특히 HEVC 표준 "ISO/IEC/23008-2 권고안 ITU-T H.265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에서 사용된다.
특히, 이러한 코딩 단위는 블록, 매크로 블록, 또는 그렇지 않으면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나타내는 픽셀 세트라고도 지칭되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의 픽셀 세트를 함께 그룹화한다.
상기 블록(B1, B2, …, Bu,…, BS)은 예를 들어 사전식 유형인 미리 결정된 순회(traversal) 순서에 따라 코딩되도록 의도된다. 이것은 블록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차례로 코딩됨을 의미한다.
다른 유형의 순회도 물론 가능하다. 따라서, 영상(ICj)을 슬라이스라고 지칭되는 여러 개의 서브 영상으로 분할하고, 이러한 유형의 분할을 각각의 서브 영상에 독립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일련의 라인이 아니라, 일련의 칼럼을 코딩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한 방향으로 라인 또는 칼럼을 순회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 블록(B1, B2,…, Bu,…, BS)은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모두가 K≥1인 K개의 픽셀을 포함한다. 완전하지 않은 실시예로서, 블록은 64x64 픽셀, 및/또는 32x32, 및/또는 16x16, 및/또는 8x8 픽셀의 크기를 갖는다.
반드시 블록 크기의 배수는 아닌 영상의 크기에 따라, 좌측의 마지막 블록 및 하단의 마지막 블록은 정사각형이 아닐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블록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크기일 수 있거나/있고 서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C2에서, 현재 영상(ICj)의 특성과 연관된 제1 신택스 요소(activate_ibc)를 코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신택스 요소(activate_ibc)는 현재 영상(ICj)을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상위 레벨 신택스 요소이다. 이러한 취지로, 코딩 환경에 따라, 이러한 요소는,
- 비디오 시퀀스의 각각의 영상의 코딩 시작 시에 코딩될 수 있거나,
- 또는 영상 시퀀스의 코딩 시작 시에 단지 한 번만 코딩될 수 있거나,
- 또는 비디오 시퀀스의 코딩 시작 시에 단지 한 번만 코딩될 수 있다.
신택스 요소(activate_ibc)는, 코딩될 현재 블록에 대해, 현재 영상의 제1 구역에 위치된 현재 블록이 현재 영상의 제2 구역에 위치된 이전에 코딩된 다음 디코딩된 블록에 대하여 예측되는, 위의 설명에서 언급된 "인트라 블록 복사" 유형의 예측 모드가 다른 미리 결정된 예측 모드와 경합하도록 설정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록 의도되며, 제2 구역의 블록은 이전에 코딩된 다음 디코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1 및 제2 구역은 이들이 중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별개이다.
코딩(C2)은 예를 들어, CABAC("환경 적응형 이진 산술 코더") 유형의 엔트로피 코딩이거나, 산술 또는 허프만 유형의 다른 엔트로피 코딩이다. 이러한 코딩은 도 2에 도시된 코딩 장치(MC_C)에 의해 구현되며, 이 장치는 프로세서(PROC_C)에 의해 구동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신택스 요소(activate_ibc)는 "인트라 블록 복사" 유형의 예측 모드가 경합하도록 설정되지 않는 경우, 값 0을 취하고, "인트라 블록 복사" 유형의 예측 모드가 경합하도록 설정된 경우, 값 1을 취한다.
도 3a에 도시된 제1 실시형태에 따라, 현재 영상(ICj)은 영상의 하단 절반부에 걸쳐서 연장되는 제1 구역(Z1), 및 영상의 상단 절반부에 걸쳐서 연장되는 제2 구역(Z2)을 포함한다.
도 3b에 도시된 제2 실시형태에 따라, 현재 영상(ICj)은 영상의 우측 절반부에 걸쳐서 연장되는 제1 구역(Z1), 및 영상의 좌측 절반부에 걸쳐서 연장되는 제2 구역(Z2)을 포함한다.
도 3c에 도시된 제3 실시형태에 따라, 현재 영상(ICj)은 영상의 좌측 하단 1/4에 걸쳐서 연장되는 제1 구역(Z1), 및 영상의 좌측 상단 1/4에 걸쳐서 연장되는 제2 구역(Z2)을 포함한다.
다른 구성도 물론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역(Z1 및 Z2)은 교환될 수 있다. 또한, 구역(Z1 및 Z2)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동일한 형상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영상(ICj)의 다른 특성과 연관된 제2 신택스 요소(fp_type)를 코딩하는 단계를 C3에서 수행한다.
또한, 신택스 요소(fp_type)는 현재 영상(ICj)을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의 상위 레벨 신택스 요소이다. 이러한 취지로, 코딩 환경에 따라, 이러한 요소는,
- 비디오 시퀀스의 각각의 영상의 코딩 시작 시에 코딩될 수 있거나,
- 또는 영상 시퀀스의 코딩 시작 시에 단지 한 번만 코딩될 수 있거나,
- 또는 비디오 시퀀스의 코딩 시작 시에 단지 한 번만 코딩될 수 있다.
신택스 요소(fp_type)는, 현재 영상이 동일한 시간 순간에 포착되어 단일 뷰(직사각형의 픽셀)를 형성하도록 현재 영상에 배치된 다수의 뷰로 구성되는지를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영상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은 예를 들어, "프레임 패킹"(FP)이라 지칭되는 기술을 사용한다.
코딩(C3)은 예를 들어, CABAC 유형의 엔트로피 코딩이거나, 산술 또는 허프만 유형의 다른 엔트로피 코딩이다. 이러한 코딩은 도 2의 코딩 장치(MC_C)에 의해 구현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신택스 요소(fp_type)는 예를 들어,
- 구역(Z1 및 Z2)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됨을 나타내기 위한 값 01;
- 구역(Z1 및 Z2)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됨을 나타내기 위한 값 10;
- 구역(Z1 및 Z2)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됨을 나타내기 위한 값 11을 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2의 코더(CO)는 영상(ICj)의 코딩될 현재 블록(Bu)을 C4에서 선택한다.
C5에서, 예를 들어 영상(ICj)의 좌측 상단에 위치된 제1 픽셀에 대한 이의 좌표를 결정함으로써(좌표(0, 0)를 가짐), 영상(ICj)의 현재 블록(Bu)의 위치 확인을 수행한다.
위치 확인(C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산 장치(CAL1_C)에 의해 구현되며, 이 장치는 프로세서(PROC_C)에 의해 구동된다.
현재 블록(Bu)이 영상(ICj)의 제1 구역(Z1)에 속하는 경우, 그리고 제1 신택스 요소(activate_ibc)가 값 1을 갖는 경우, "인트라 블록 복사" 유형의 예측 기술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통상적인 인트라 및/또는 인터 예측 기술에 의해, 현재 블록(Bu)을 예측하는 단계를 C6a)에서 수행한다. 이러한 취지로, 블록(Bu)은 방금 언급한 예측 기술 중 하나에 속하는 예측 모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예측변수(predictor) 블록에 대해 예측된다. 예측(C6a))의 과정에서, 예측변수 블록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 아이템이 결정된다. 이러한 정보 아이템은 예를 들어, 예측변수 블록으로 지향되는 모션 벡터, 예측변수 블록의 좌측 상단의 제1 픽셀의 좌표 등이다.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현재 블록(Bu)은 복수의 후보 예측변수 블록에 대해 예측된다. 각각의 후보 예측변수 블록은 이미 코딩된 다음 디코딩된 픽셀의 블록이다.
따라서, 인트라 예측 기술의 경우, 현재 블록(Bu)은 현재 블록의 바로 좌측 또는 바로 위에 위치되는 후보 예측변수 블록의 디코딩된 픽셀의 값에 기초하여 보간에 의해 예측된다.
인터 예측 기술의 경우, 현재 블록(Bu)은 하나 이상의 이전에 처리되어 저장된 영상에 위치된 후보 예측변수 블록의 디코딩된 픽셀의 값에 기초하여 보간에 의해 예측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인트라 블록 복사" 예측 기술의 경우, 현재 블록(Bu)은 현재 영상(ICj)의 제2 구역(Z2)에 위치된 후보 예측변수 블록의 디코딩된 픽셀의 값에 기초하여 보간에 의해 예측된다.
예측 단계(C6a))가 완료되면, 예를 들어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왜곡 비트레이트 기준을 최소화함으로써, 미리 결정된 코딩 성능 기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예측 기술이 경합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후에, 최적의 예측변수 블록(BPopt)이 획득된다. 블록(BPopt)은 현재 블록(Bu)의 근사치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예측에 관한 정보는 디코더에 전송될 데이터 신호 또는 스트림 내에 신택스 요소의 형식으로 기록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라,
- 블록(BPopt)이 "인트라 블록 복사" 예측에 의해 획득된 경우, 도 2의 코딩 장치(MC_C)에 의해 신택스 요소(ibc_flag)를 코딩하는 단계를 C100a)에서 수행한다. 신택스 요소(ibc_flag)는 예를 들어, 값 1로 코딩된다. 다른 신택스 요소는 현재 영상(ICj)의 제2 구역(Z2)에 저장된 예측변수 블록(BPopt)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는 예를 들어, 예측변수 블록(BPopt)으로 지향되는 모션 벡터, 예측변수 블록(BPopt)의 좌측 상단의 제1 픽셀의 좌표 등을 수반한다;
- 블록(BPopt)이 "인트라 블록 복사" 예측에 의해 획득되지 않은 경우, 신택스 요소(ibc_flag)는 또한 값 0으로 코딩된다.
그 후에, 현재 블록(Bu)에 관한 데이터를 예측변수 블록(BPopt)의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를 C7a)에서 수행한다. 이러한 비교는 획득된 예측변수 블록(BPopt)과 현재 블록(Bu) 간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 다음, 잔차 블록(Bru)이라 지칭되는 데이터 세트가 획득된다.
작업(C6a) 및 C7a))은 도 2에 도시된 예측 코딩 장치(PRED_C)에 의해 구현되며, 이 장치는 프로세서(PROC_C)에 의해 구동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현재 잔차 블록(Bru)의 데이터가 C8a)에서 코딩된다.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이러한 코딩(C8a))은 현재 잔차 블록(Bru)의 픽셀에 대한 변환을 적용하는 단계(C81a))를 구현한다.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환경 또는 사용된 코딩 표준에 따라, 이러한 변환은 예를 들어, DCT("이산 코사인 변환"의 영어 약어), DST("이산 사인 변환"의 영어 약어) 유형, DWT("이산 웨이블렛 변환"의 영어 약어) 유형, 또는 다른 LT("래핑(Lapped) 변환"의 영어 약어) 유형의 변환이다. 이들 변환은 도 2의 코더(CO)의 버퍼 메모리(MT_C)의 리스트(LTS)에 미리 저장된다.
이러한 변환의 적용이 완료되면, 현재 변환된 데이터 블록(Btu)이 획득된다.
이러한 작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환 계산 장치(MTR_C)에 의해 수행되며, 이 장치는 프로세서(PROC_C)에 의해 구동된다.
코딩(C8a))은 또한 예를 들어, 스칼라 또는 벡터 양자화와 같은 통상적인 양자화 연산에 따라, 변환된 블록(Btu)의 데이터의 양자화(C82a))를 구현한다. 그 다음, 양자화된 계수의 블록(Bqu)이 획득된다.
양자화(C82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자화 장치(MQ_C)에 의해 구현되며, 이 장치는 프로세서(PROC_C)에 의해 구동된다.
변환 계산 장치(MTR_C) 및 양자화 장치(MQ_C)는 도 2에 도시된 블록을 코딩하기 위한 장치(MCB_C)에 포함되며, 이 장치는 프로세서(PROC_C)에 의해 구동된다.
코딩(C8a))은 또한 양자화된 계수의 블록(Bqu)의 데이터의 코딩(C83a))을 구현한다. 코딩(C83a))은 도 2의 코딩 장치(MC_C)에 의해 구현된다. 코딩(C83a))의 완료 시에, 현재 블록(Bu)의 코딩된 데이터 세트(DCu)가 획득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신호(F)의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를 C9a)에서 수행하며, 상기 부분은 특히 본 발명에 따라,
- C8a)에서 획득된 코딩된 데이터(DCu);
- 신택스 요소(ibc_flag)의 값 0/1;
- 제1 신택스 요소(activate_ibc)가 영상 레벨로 코딩된 경우, 선택적으로 제1 신택스 요소(activate_ibc)의 값 0/1;
- 제2 신택스 요소(fp_type)가 영상 레벨로 코딩된 경우, 선택적으로 제2 신택스 요소(fp_type)의 값 0/1을 포함한다.
신호 부분(F)을 구성하는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신호 구성 장치(MCF)에 의해 구현된다.
위치 확인(C5)의 완료 시에, 현재 블록(Bu)이 영상(ICj)의 제2 구역(Z2)에 속하는 경우, 그리고 제1 신택스 요소(activate_ibc)가 값 1을 갖는 경우, 예를 들어 통상적인 인트라 및/또는 인터 예측 기술에 의해, 현재 블록(Bu)을 예측하는 단계를 C6b)에서 수행한다. 이러한 취지로, 블록(Bu)은 방금 언급한 통상적인 예측 기술 중 하나에 속하는 예측 모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예측변수 블록에 대해 예측된다.
예측 단계(C6b))가 완료되면, 예를 들어 왜곡 비트레이트 기준의 최소화에 의해, 미리 결정된 코딩 성능 기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통상적인 예측 기술이 경합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후에, 최적의 예측변수 블록(BPopt)이 획득된다. 블록(BPopt)은 현재 블록(Bu)의 근사치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예측에 관한 정보는 디코더에 전송될 데이터 신호 또는 스트림 내에 신택스 요소의 형식으로 기록되도록 의도된다.
C7b)에서, 획득된 예측변수 블록(BPopt)과 현재 블록(Bu) 간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가 통상적으로 구현된다.
그 다음, 잔차 블록(Bru)이라 지칭되는 데이터 세트가 획득된다.
잔차 블록(Bru)의 코딩(C8b))이 구현되고, 전술한 작업(C81a), C82a) 및 C83a))과 각각 동일한 작업(C81b), C82b) 및 C83b))을 포함하므로, 이러한 이유로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코딩(C83b))이 완료되면, 현재 블록(Bu)의 코딩된 데이터 세트(DCu)가 획득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신호(F)의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를 C9b)에서 수행하며, 상기 부분은 C8b)에서 획득된 코딩된 데이터(DCu), 및 사용된 현재 블록의 예측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신호(F)의 부분은 신택스 요소(ibc_flag)의 값 0 또는 1을 포함하지 않으며, "인트라 블록 복사" 예측은 제2 구역(Z2)의 현재 블록의 코딩 동안 경합하도록 설정되지 않았음을 유의해야 한다. 스트림(F)은,
- 제1 신택스 요소(activate_ibc)가 영상 레벨로 코딩된 경우, 선택적으로 제1 신택스 요소(activate_ibc)의 값 0/1;
- 제2 신택스 요소(fp_type)가 영상 레벨로 코딩된 경우, 선택적으로 제2 신택스 요소(fp_type)의 값 0/1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1 신택스 요소(activate_ibc)가 값 1을 갖는 경우, 코딩(C8b))의 완료 시에 획득된 코딩된 데이터 세트(DCu)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Bu)의 디코딩된 버전(BDu)을 계산하는 단계를 C100b)에서 수행한다. 이러한 디코딩된 버전은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될 영상(ICj)을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의 완료 시에 획득되는 디코딩된 블록에 해당한다.
계산(C100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산 장치(CAL2_C)에 의해 구현되며, 이 장치는 프로세서(PROC_C)에 의해 구동된다.
C101b)에서, 현재 블록(Bu)의 디코딩된 버전(BDu)은 현재 영상(ICj) 또는 다른 영상의 다음 블록을 예측하기 위해 코더(CO)에 의해 사용되도록, 도 2의 코더(CO)의 버퍼 메모리(MT_C)의 공간(ES)에 저장된다.
계산(C100b)) 및 저장(C101b))은 신호 부분(F)을 구성하는 단계(C9b)) 이전 또는 이후에 구현된다.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구현된 신호 부분(F)의 구성(C9a) 또는 C9b))과 관계없이, 신호 부분(F)은 예를 들어,
- 현재 블록(Bu)이 인터 예측 및/또는 인트라 예측된 경우, 인터 및/또는 인트라 예측 유형, 및 적절한 경우, 선택된 예측 모드, 획득된 예측변수 블록의 인덱스;
- 현재 블록(Bu)이 분할된 경우, 현재 블록(Bu)의 분할 유형;
- 현재 블록(Bu)의 데이터에 적용된 변환 유형;
- 기타와 같은, 코더(CO)에 의해 인코딩되는 특정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데이터 신호(F)는 통신망(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원격 단말기로 전송된다. 원격 단말기는 도 7에 도시된 디코더(DO)를 포함한다.
그 후에, 방금 전술한 코딩 작업 C1 내지 C100a) 또는 다른 C1 내지 C101b)는 현재 블록이 현재 영상(ICj)의 제1 구역(Z1)에 위치되는지 또는 제2 구역(Z2)에 위치되는지에 따라 차별화된 방식으로, 고려되는 현재 영상(ICj)의 코딩될 각각의 블록(B1, B2,…, Bu,…, BS)에 대해 구현된다.
디코딩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이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가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방법은, 현재 또는 미래의 비디오 디코딩 표준 중 어느 하나를 따르는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는 영상 또는 영상들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 또는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방법은 예를 들어, 그러한 디코더의 변경에 의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업(D1 내지 D11a) 또는 D1 내지 D100b))을 포함하는 알고리즘의 형태로 표현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디코딩 장치 또는 디코더(DO)로 구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라, 디코더(DO)는 버퍼 메모리(MT_D)를 자체적으로 포함하는 메모리(MEM_D),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PG_D)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세서(PROC_D)를 포함한다. 초기화 시에, 컴퓨터 프로그램(PG_D)의 코드 명령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PROC_D)에 의해 실행되기 전에, RAM_D로 표시된 RAM 메모리로 로딩된다.
도 4에 도시된 디코딩 방법은, 고정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디코딩될 L개의 영상(IC1,…, ICj,…, ICL)(1≤j≤L) 시퀀스의 일부를 형성하는 임의의 코딩된 현재 영상(ICj)에 적용된다.
디코딩될 현재 영상(ICj)은 완전하지 않은 실시예로서,
- 하나의 동일한 카메라로부터 비롯되어 시간적으로 서로 후속되는 영상(2D 유형의 코딩/디코딩);
- 상이한 뷰에 따라 지향된 다양한 카메라로부터 비롯되는 영상(3D 유형의 코딩/디코딩);
- 말하자면 하나의 동일한 장면을 나타내는 해당 텍스처 성분 및 깊이 성분(3D 유형의 코딩/디코딩);
- 360° 비디오의 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
- 입체 비디오의 투영에 의해 획득되고,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을 통해 각각 보이도록 의도된 하나의 동일한 장면을 나타내는 2개의 뷰를 각각 포함하는 영상;
- 예를 들어 스크린 비디오 캡처에 의해 획득된 영상과 같은, "스크린 콘텐츠" 유형의 부자연스러운 영상;
- 기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시퀀스로부터 비롯된다.
D1에서, 디코딩될 현재 영상(ICj)의 특성과 연관된 제1 신택스 요소(activate_ibc)의 코딩된 값 0 또는 1을 데이터 신호(F)에서 판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이러한 신택스 요소가 현재 영상(ICj)의 레벨로 코딩된 경우). 식별(D1)은 선택적인 것이므로,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된다.
D2에서, 디코딩될 현재 영상(ICj)의 특성과 연관된 제2 신택스 요소(fp_type)의 코딩된 값 0 또는 1을 데이터 신호(F)에서 판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이러한 신택스 요소가 현재 영상(ICj)의 레벨로 코딩된 경우). 식별(D2)은 선택적인 것이므로,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판독되는 신택스 요소(fp_type)는 예를 들어,
- 구역(Z1 및 Z2)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됨을 나타내기 위한 값 01;
- 구역(Z1 및 Z2)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됨을 나타내기 위한 값 10;
- 구역(Z1 및 Z2)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됨을 나타내기 위한 값 11을 취한다.
식별(D1 및 D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트림 분석 장치(PARS_D)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PROC_D)에 의해 구동된다.
식별의 경우, 제1 신택스 요소(activate_ibc)에 의해 취해진 코딩된 값 0 또는 1, 및/또는 제2 신택스 요소(fp_type)에 의해 취해진 값 01, 10, 11 중 하나가 D3에서 디코딩된다.
이러한 디코딩(D3)은 도 5에 도시된 디코딩 장치(MD_D)에 의해 구현되며, 이 장치는 프로세서(PROC_D)에 의해 구동된다.
디코딩은 예를 들어, CABAC 유형의 엔트로피 디코딩이거나, 산술 또는 허프만 유형의 다른 엔트로피 디코딩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사전식 순서에 따라 이전에 코딩된 블록(B1, B2, …, Bu,…, BS)과 각각 연관되고, 도 1의 코딩 작업(C8a) 또는 C8b))의 완료 시에 획득된, 코딩된 데이터(DC1, DC2,…, DCu, …, DCS)(1≤u≤S)를 신호(F)에서 식별하는 단계를 D4에서 수행한다. 이것은 블록이 위에서 언급된 코딩 순서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차례로 디코딩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식별(D4)은 도 4의 스트림 분석 장치(PARS_D)에 의해 구현된다.
방금 전술한 것 이외의 다른 유형의 순회도 물론 가능하며, 코딩 시에 선택된 순회의 순서에 따라 좌우된다.
실시예에 따라, 블록(B1, B2,…, Bu,…, BS)은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모두가 K≥1인 K개의 픽셀을 포함한다. 완전하지 않은 실시예로서, 블록은 64x64 픽셀, 및/또는 32x32, 및/또는 16x16, 및/또는 8x8 픽셀의 크기를 갖는다.
반드시 블록 크기의 배수는 아닌 영상의 크기에 따라, 좌측의 마지막 블록 및 하단의 마지막 블록은 정사각형이 아닐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블록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크기일 수 있거나/있고 서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D5에서, 도 5의 디코더(DO)는 영상(ICj)의 현재 코딩된 데이터 세트(DCu)를 디코딩될 현재 블록으로서 선택하며, 이 세트는 디코딩될 블록(Bu)과 연관된다.
D6에서, 예를 들어 영상(ICj)의 제1 재구성된 픽셀에 대한 이의 좌표를 결정함으로써, 영상(ICj)의 디코딩될 현재 블록(Bu)의 위치 확인을 수행하며, 이 픽셀은 영상(ICj)의 좌측 상단에 위치되고, 좌표 (0,0)을 갖는다.
위치 확인(D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산 장치(CAL_D)에 의해 구현되며, 이 장치는 프로세서(PROC_D)에 의해 구동된다.
현재 블록(Bu)이 영상(ICj)의 제1 구역(Z1)에 속하는 경우, 그리고 D1에서 디코딩된 제1 신택스 요소(activate_ibc)가 값 1을 갖는 경우, 도 5의 스트림 분석 장치(PARS_D)에 의해 신택스 요소(ibc_flag)를 데이터 신호(F)에서 판독하는 단계, 및 디코딩 장치(MD_D)에 의해 이의 디코딩을 데이터 신호(F)에서 판독하는 단계를 D7a)에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 D1에서 디코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전에 디코딩된 제1 신택스 요소(activate_ibc)가 값 1을 갖는 경우, 도 5의 스트림 분석 장치(PARS_D)에 의해 신택스 요소(ibc_flag)를 데이터 신호(F)에서 판독하는 단계, 및 디코딩 장치(MD_D)에 의해 이의 디코딩을 데이터 신호(F)에서 판독하는 단계를 D6a)에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
- 신택스 요소(ibc_flag)가 값 1을 갖는 경우, 디코딩될 블록(Bu)에 대한 "인트라 블록 복사" 유형의 예측에 기여하는 예측변수 블록(BPopt)을 결정하는 단계를 D8a)에서 구현하며, 영상(ICj)의 제2 구역에 저장된 예측변수 블록(BPopt)의 위치는 데이터 신호(F)에서 디코딩되는 신택스 요소에 의해 식별된다: 이러한 신택스 요소는 예를 들어, 예측변수 블록(BPopt)으로 지향되는 모션 벡터, 예측변수 블록(BPopt)의 좌측 상단의 제1 픽셀의 좌표 등이다;
- 신택스 요소(ibc_flag)가 값 0을 갖는 경우, "인트라 블록 복사" 유형의 예측과는 상이한, 현재 블록(Bu)의 예측에 기여하는 예측변수 블록(BPopt)을 결정하는 단계를 D8a)에서 구현한다. 이는 예를 들어 통상적인 인트라 또는 인터 예측을 수반할 수 있으며, 이의 완료 시에, 데이터 신호(F)에서 이전에 판독된 표시자와 연관된 예측변수 블록(BPopt)이 획득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블록(Bu)의 코딩된 데이터(DCu)가 D9a)에서 디코딩된다. 이러한 디코딩은 도 5에 도시된 블록을 디코딩하기 위한 장치(MDB_D)에 의해 구현되며, 이 장치는 프로세서(PROC_D)에 의해 구동된다.
디코딩(D9a))은, 디코딩될 현재 블록(Bu)과 연관되고, 도 1의 C8a)에서 코딩되었던, 데이터(DCu)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D91a)에서 구현한다. 이러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도 1의 C82a)에서 획득된 양자화된 계수의 블록(Bqu)과 연관된 수치 정보 세트가 획득된다.
디코딩(D91a))은 도 5에 도시된 디코딩 장치(MD_D)에 의해 구현된다.
또한, 디코딩(D9a))은 도 1의 양자화(C82a))에 대한 역 연산인 통상적인 역양자화(dequantization) 연산에 따라, 양자화된 계수의 블록(Bqu)의 역양자화(D92a))를 구현한다. 그 다음, 현재의 역양자화된 계수 세트(BDqu)가 획득된다. 이러한 역양자화는 예를 들어 스칼라 또는 벡터 유형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역양자화 장치(MQ-1_D)에 의해 구현되고, 이 장치는 프로세서(PROC_D)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디코딩(D9a))은 D92a)에서 획득된 현재의 역양자화된 계수 세트(BDqu)에 대한 변환을 적용하는 단계(D93a))를 구현한다.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이러한 변환은 예를 들어 DCT, DST, DWT, LT 또는 다른 변환과 같은, 도 1의 C81a)에서의 코딩에 적용된 것에 대한 역 변환이다. 도 2의 코더(CO)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이들 변환은 도 5의 디코더(DO)의 버퍼 메모리(MT_D)에 미리 저장되는 변환 리스트(LTS-1)의 일부를 형성한다. 적용될 변환의 유형은 통상적으로, 코딩에 적용된 변환의 인덱스를 데이터 신호(F)에서 판독함으로써, 디코더에서 결정될 수 있다.
변환을 적용하는 단계(D93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환 계산 장치(MTR-1_D)에 의해 수행되며, 이 장치는 프로세서(PROC_D)에 의해 구동된다.
역양자화 장치(MQ-1_D) 및 변환 계산 장치(MTR-1_D)는 도 5에 도시된 블록을 디코딩하기 위한 장치(MDB_D)에 포함되며, 이 장치는 프로세서(PROC_D)에 의해 구동된다.
현재 블록의 데이터의 디코딩(D9a))이 완료되면, 현재 디코딩된 잔차 블록(BDru)이 획득된다.
도 4를 참조하면, D10a)에서, 현재 디코딩된 잔차 블록(BDru)은 D6a)에서 위치 확인된 예측변수 블록(BPopt)에 추가된다.
작업(D10a))은 도 5에 도시된 예측 디코딩 장치(PRED_D)에 의해 구현되며, 이 장치는 프로세서(PROC_D)에 의해 구동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디코딩된 블록(BDu)을 디코딩된 영상(IDj)에 기록하는 단계를 D11a)에서 수행한다.
기록하는 단계(D11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 재구성 장치(URI)에 의해 구현되며, 장치(URI)는 프로세서(PROC_D)에 의해 구동된다.
도 4의 위치 확인(D6)의 완료 시에, 디코딩될 현재 블록(Bu)이 영상(ICj)의 제2 구역(Z2)에 속하는 경우,
- 코딩 시에 구현된 통상적인 예측(C6b))에 관한 정보를 도 5의 스트림 분석 장치(PARS_D)에 의해 데이터 신호(F)에서 판독하는 단계;
- 그리고 이러한 정보의 디코딩을 디코딩 장치(MD_D)에 의해 데이터 신호(F)에서 판독하는 단계를 D7b)에서 수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인트라 블록 복사" 유형의 예측과는 상이한, 현재 블록(Bu)의 예측에 기여하는 예측변수 블록(BPopt)을 결정하는 단계를 D8b)에서 구현한다. 이는 예를 들어 통상적인 인트라 또는 인터 예측을 수반할 수 있으며, 이의 완료 시에, C6b)에서 데이터 신호(F)에서 판독된 정보와 연관된 예측변수 블록(BPopt)이 획득된 다음, 디코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블록(Bu)의 코딩된 데이터(DCu)는 도 5의 블록을 디코딩하기 위한 장치(MDB_D)에 의해 D9b)에서 디코딩된다.
디코딩(D9b))은 전술한 작업(D91a), D92a) 및 D93a))과 각각 동일한 작업(D91b), D92b) 및 D93b))을 포함하므로, 이러한 이유로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현재 블록의 데이터의 디코딩(D9b))이 완료되면, 현재 디코딩된 잔차 블록(BDru)이 획득된다.
도 4를 참조하면, D10b)에서, 도 5의 예측 디코딩 장치(PRED_D)는 현재 디코딩된 잔차 블록(BDru)을 D6에서 위치 확인된 예측변수 블록(BPopt)에 추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디코딩된 블록(BDu)을 디코딩된 영상(IDj)에 기록하는 단계를 D11b)에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1 신택스 요소(activate_ibc)가 값 1을 갖는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디코딩될 현재 영상(ICj) 또는 다른 영상의 다음 블록을 예측하기 위해 디코더(DO)에 의해 사용되도록, 도 5의 디코더(DO)의 버퍼 메모리(MT_D)의 공간(ES)에 현재 디코딩된 블록(BDu)을 저장하는 단계를 D100b)에서 수행한다.
저장하는 단계(D100b))는 디코딩된 영상(IDj)에 현재 디코딩된 블록을 기록(D11b))하는 작업 이전 또는 이후에 구현된다.
방금 전술한 디코딩 방법은 블록의 모든 코딩된 데이터(DC1, DC2,…, DCu,…, DCS)에 대해 구현되며, 상기 데이터는, 코딩된 데이터가 디코딩될 현재 영상(ICj)의 제1 구역 또는 제2 구역에 위치된 블록과 연관되는지에 따라 차별화된 방식으로, 고려되는 현재 영상(ICj)의 디코딩될 블록(B1, B2,…, Bu,…, BS)과 각각 연관된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는 순수하게 전적으로 제한적이지 않은 표시를 통해 주어졌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2)

  1. 블록으로 분할된 영상(ICj)을 코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영상은 2개의 별개의 구역(Z1, Z2)을 포함하며,
    상기 코딩 방법은,
    - 현재 블록(Bu)이 상기 영상의 상기 구역 중 하나(Z1)에 속하는 경우에만,
    ㆍ 예측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코딩하는 단계(C6a) 내지 C8a))로서, 상기 현재 블록은 상기 영상의 다른 구역에 위치된 이전에 코딩된 다음 디코딩된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예측되고, 상기 다른 구역의 블록은 이전에 코딩된 다음 디코딩된, 단계,
    ㆍ 사용된 상기 예측의 적용을 나타내는 정보 아이템(ibc_flag)을 코딩하는 단계(C100a));
    - 상기 영상의 상기 구역 중 다른 하나(Z2)에 속하는 임의의 디코딩된 블록에 대해, 상기 디코딩된 블록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C101b))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으로 분할된 영상(ICj)을 코딩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에 코딩된 다음 디코딩된 블록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 아이템을 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딩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각각의 상기 2개의 구역에 대한 식별 정보 아이템(fp_type)을 코딩하는 단계(C3)를 구현하는, 코딩 방법.
  4. 블록으로 분할된 영상(ICj)을 코딩하기 위한 장치(CO)로서,
    상기 영상은 2개의 별개의 구역(Z1, Z2)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CO)는,
    - 현재 블록(Bu)이 상기 영상의 상기 구역 중 하나(Z1)에 속하는 경우에만,
    ㆍ 예측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코딩하고,
    ㆍ 사용된 상기 예측의 적용을 나타내는 정보 아이템을 코딩하며,
    - 상기 영상의 상기 구역 중 다른 하나(Z2)에 속하는 임의의 디코딩된 블록에 대해, 상기 디코딩된 블록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설계된 처리 회로(CT_C)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블록은 상기 영상의 다른 구역에 위치된 이전에 코딩된 다음 디코딩된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예측되며, 상기 다른 구역의 블록은 이전에 코딩된 다음 디코딩된,
    블록으로 분할된 영상(ICj)을 코딩하기 위한 장치(CO).
  5.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이 컴퓨터를 통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코딩 방법의 단계의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6.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코딩 방법의 단계의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7. 코딩된 블록으로 분할된 영상(ICj)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F)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2개의 별개의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디코딩 방법은,
    - 현재 블록(Bu)이 상기 영상의 상기 구역 중 하나(Z1)에 속하는 경우에만,
    ㆍ 예측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디코딩을 나타내는 정보 아이템을 상기 데이터 신호에서 판독하는 단계(D7a)로서, 상기 현재 블록은 상기 영상의 다른 구역(Z2)에 위치된 이전에 디코딩된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예측되도록 의도되고, 상기 다른 구역의 블록은 이전에 디코딩된, 단계,
    ㆍ 상기 예측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현재 블록을 디코딩하는 단계(D8a) 내지 D10a));
    - 상기 영상의 상기 구역 중 다른 하나(Z2)에 속하는 임의의 디코딩된 블록에 대해, 상기 디코딩된 블록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D100b))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된 블록으로 분할된 영상(ICj)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F)를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에 코딩된 다음 디코딩된 블록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 아이템을 상기 데이터 신호에서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각각의 상기 구역은 상기 데이터 신호에서 판독되는 대응하는 식별 정보 아이템(fp_type)을 판독함으로써 식별되는, 디코딩 방법.
  10. 코딩된 블록으로 분할된 영상(ICj)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F)를 디코딩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영상은 2개의 별개의 구역(Z1, Z2)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 현재 블록(Bu)이 상기 영상의 상기 구역 중 하나(Z1)에 속하는 경우에만,
    ㆍ 예측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디코딩을 나타내는 정보 아이템을 상기 데이터 신호에서 판독하고,
    ㆍ 상기 예측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현재 블록을 디코딩하며,
    - 상기 영상의 상기 구역 중 다른 하나(Z2)에 속하는 임의의 디코딩된 블록에 대해, 상기 디코딩된 블록 데이터를 저장(D100b))하도록 설계된 처리 회로(CT_D)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블록은 상기 영상의 다른 구역(Z2)에 위치된 이전에 디코딩된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예측되도록 의도되며, 상기 다른 구역의 블록은 이전에 디코딩된,
    코딩된 블록으로 분할된 영상(ICj)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F)를 디코딩하기 위한 장치.
  11.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이 컴퓨터를 통해 실행될 때,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디코딩 방법의 단계의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2.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디코딩 방법의 단계의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07002963A 2017-07-05 2018-06-28 영상을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22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02278A KR20240013896A (ko) 2017-07-05 2018-06-28 영상을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6316 2017-07-05
FR1756316A FR3068557A1 (fr) 2017-07-05 2017-07-05 Procede de codage et decodage d'images,dispositif de codage et decodage et programmes d'ordinateur correspondants
PCT/FR2018/051580 WO2019008254A1 (fr) 2017-07-05 2018-06-28 Procédé de codage et décodage d'images, dispositif de codage et décodage et programmes d'ordinateur correspondant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2278A Division KR20240013896A (ko) 2017-07-05 2018-06-28 영상을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491A true KR20200022491A (ko) 2020-03-03

Family

ID=595797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2278A KR20240013896A (ko) 2017-07-05 2018-06-28 영상을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7002963A KR20200022491A (ko) 2017-07-05 2018-06-28 영상을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2278A KR20240013896A (ko) 2017-07-05 2018-06-28 영상을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1272177B2 (ko)
EP (2) EP3649778A1 (ko)
JP (3) JP7242571B2 (ko)
KR (2) KR20240013896A (ko)
CN (3) CN117750013A (ko)
FR (1) FR3068557A1 (ko)
WO (1) WO2019008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8904B2 (en) * 2019-02-01 2021-03-23 Tenc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ing
US11012714B1 (en) * 2020-06-23 2021-05-18 Google Llc Image coding using lexicographic coding order with floating block-partitioning
CN116228508B (zh) * 2023-05-10 2023-07-21 深圳奥联信息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密码生成和认证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5898B1 (en) 1997-04-15 2001-04-10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ES2561078T3 (es) 2010-07-15 2016-02-24 Ge Video Compression, Llc Codificación de vídeo híbrido que soporta síntesis de vistas intermedias
CN103202023A (zh) * 2010-10-25 2013-07-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编码方法、显示装置、解码方法
FR2977111A1 (fr) * 2011-06-24 2012-12-28 France Telecom Procede de codage et decodage d'images, dispositif de codage et decodage et programmes d'ordinateur correspondants
JP2013168867A (ja) * 2012-02-16 2013-08-2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979960B2 (en) * 2012-10-01 2018-05-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rame packing and unpacking between frames of chroma sampling formats with different chroma resolutions
US9544612B2 (en) 2012-10-04 2017-01-10 Intel Corporation Prediction parameter inheritance for 3D video coding
US20140354771A1 (en) * 2013-05-29 2014-12-04 Ati Technologies Ulc Efficient motion estimation for 3d stereo video encoding
WO2015100726A1 (en) * 2014-01-03 2015-07-09 Microsoft Corporation Block vector prediction in video and image coding/decoding
AU2014385769B2 (en) * 2014-03-04 2018-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lock flipping and skip mode in intra block copy prediction
WO2015152503A1 (ko) * 2014-03-31 2015-10-08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영상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DE112015000184T5 (de) 2014-06-20 2016-07-07 Mediatek Inc. Verfahren der Codierung für eine tiefenbasierte Blockpartitionierungsart in dreidimensionaler oder Multiview-Videocodierung
JP2017535145A (ja) * 2014-09-30 2017-11-24 マイクロソフト テクノロジー ライセンシング,エルエルシー 波面並列処理が可能にされた場合のピクチャ内予測モードに関する規則
GB2531001B (en) * 2014-10-06 2019-06-05 Canon Kk Method and apparatus for vector encoding in video coding and decoding
US20170310994A1 (en) 2014-10-08 2017-10-26 Lg Electronics Inc. 3d video coding method and device
US10638140B2 (en) * 2015-05-29 2020-04-28 Qualcomm Incorporated Slice level intra block copy and other video coding improvements
FI20165256L (fi) * 2016-03-24 2017-09-25 Nokia Technologies Oy Laitteisto, menetelmä ja tietokoneohjelma videokoodaukseen ja -dekoodaukseen
CA3132582A1 (en) * 2019-03-07 2020-09-10 Digitalinsights Inc.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896A (ko) 2024-01-30
US20220159253A1 (en) 2022-05-19
CN111034198B (zh) 2023-12-29
WO2019008254A1 (fr) 2019-01-10
US11272177B2 (en) 2022-03-08
EP4344203A3 (fr) 2024-05-29
CN117750013A (zh) 2024-03-22
US20200221086A1 (en) 2020-07-09
JP2023065652A (ja) 2023-05-12
EP4344203A2 (fr) 2024-03-27
US11722666B2 (en) 2023-08-08
JP2023071920A (ja) 2023-05-23
EP3649778A1 (fr) 2020-05-13
CN117812260A (zh) 2024-04-02
US11743463B2 (en) 2023-08-29
CN111034198A (zh) 2020-04-17
FR3068557A1 (fr) 2019-01-04
US20220159256A1 (en) 2022-05-19
JP7242571B2 (ja) 2023-03-20
JP2020526116A (ja)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1425B1 (ko) 히스토리 기반 움직임 벡터에 기반한 인터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CN117857786A (zh) 图像解码和编码方法、数据的发送方法及存储介质
CN116684585A (zh) 解码设备、编码设备及发送针对图像的数据的设备
KR20210037725A (ko) Cclm에 기반한 인트라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US11722666B2 (en)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s according to distinct zones, encoding and decoding device,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s
CN114556931A (zh) 基于调色板模式的图像或视频编码
US11284085B2 (en)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s, encoding and decoding device,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s
EP4277278A1 (en) Transform-based image coding
KR102498157B1 (ko) 영상을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RU2793826C1 (ru) Кодирование изображения или видео на основе режима палитры
RU2787884C1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и способ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на основе фильтрации
RU2785998C1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и способ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RU2783334C1 (ru) Кодирование видео или изображений на основе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сигнала яркости с масштабированием сигнала цветности
US20220272386A1 (en) Method and device for signaling information relating to slice type in picture header in image/video co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