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360A -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360A
KR20200021360A KR1020180097014A KR20180097014A KR20200021360A KR 20200021360 A KR20200021360 A KR 20200021360A KR 1020180097014 A KR1020180097014 A KR 1020180097014A KR 20180097014 A KR20180097014 A KR 20180097014A KR 20200021360 A KR20200021360 A KR 20200021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frame portion
frame
unit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6436B1 (ko
Inventor
박경순
전용준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7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4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2Cooling means
    • H02S40/425Cooling means using a gaseous or a liquid coolant, e.g. air flow ventilation, water circ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판넬 형상의 태양광 발전부, 태양광 발전부의 하면과 결합되는 고정부, 고정부 하면에 결합되는 기둥부, 기둥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날개부 및 태양광 발전부의 양 측면에 결합되되,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고정부와 날개부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가 날개부로 인해 유속이 증대되어 가열된 태양광 발전부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The cooling device of solar module}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포일 형상으로 형성된 날개부와 기둥부의 결합으로 인해 태양광 발전부와 날개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의 순환을 촉진시켜 과열된 셀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산업에서 건조, 가열에 필요한 에너지를 중유나 가스가 아닌 전기를 주로 사용하여 '전기과소비'가 현재 전기 부족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화석 연료의 한정성 문제와 환경오염 문제 등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되면서 풍력 발전, 지열 발전 및 태양전지 패널을 이용한 광전 발전 기술에 대한 관심과 연구 및 개발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태양광 발전 기술은 폐기물발생, 소음진동 등 2차 환경오염의 발생이 전혀 없고, 수명이 30년 이상으로 운전 및 유지관리비용이 적게 드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현재 활발히 생산 및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전지를 통해 태양으로부터의 빛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반도체에 빛을 조사하면 광전효과에 의해 광기전력이 일어나는 원리로 작동된다.
하지만, 태양전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일정 온도를 넘어가게 되면, 태양전지의 열화가 진행되어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평균적으로, 모듈의 효율은 16% 내외를 차지하고, 과열된 셀로 인하여 태양전지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발전효율감소 및 태양광 모듈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
현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냉각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첫째로, 주로 야외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쌓이는 오물, 눈, 비 등을 세척함으로써,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세척 장비 혹은 세척업체를 주기적으로 고용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다.
하지만, 세척장비를 추가로 배치하고, 유지보수를 위해 관리하는 비용과 업체를 고용하는 비용이 계속해서 발생함에 따라 효율성 증대 비율 대비 비용이 크게 발생되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함께 냉각 펌프를 추가로 배치하여 일정 시간마다 물을 뿌려 온도를 내리는 냉각 장비도 많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물 공급 유닛 및 냉각 채널을 구비함에 따른 설치 비용이 소요되고, 누수 및 부식문제 뿐 아니라 냉각수와 공기의 자연흐름에 의해 냉각수가 분사면적에 골고루 분산시켜 보다 넓은 면적에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없는 문제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함께 발생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마지막으로, 태양전지인 셀의 소재 혹은 생산 방법에 변화를 두어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방안도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고효율에 큰 비중을 두어 초기에 생산 비용의 폭이 급격하게 증대됨에 따라 개인 혹은 사업자들의 구입비용이 큰 문제점이 함께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비용 및 추가적인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9420호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포일 형상으로 형성된 날개부와 기둥부의 결합으로 인해 태양광 발전부와 날개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특징으로 인해 공기의 순환을 촉진시켜 과열된 셀의 온도를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 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판넬 형상의 태양광 발전부;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하면과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하면에 결합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날개부; 및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양 측면에 결합되되,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날개부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날개부로 인해 유속이 증대되어 가열된 상기 태양광 발전부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상기 날개부의 단면은, 에어포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상기 날개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상기 날개부는, 중공부를 포함하여 소정의 두께를 지니고,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상기 고정부의 재질은 알루미늄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와 평행한 제1 프레임부,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일단부를 수직방향으로 잇는 제4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상면은 상기 고정부의 하면과 맞닿아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2 프레임부와 평행하되,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3 프레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프레임부는 상기 에어포일부 보다 하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포일의 형상으로 형성된 날개부로 인해서 공기의 유동을 빠르고 원활하게 촉진시켜 공기의 순환속도가 빨라져 과열된 셀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부의 중앙에만 결합된 기둥부로 인해 고정부와 날개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의 순환을 촉진시켜 과열된 셀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숫자 3의 형상을 가진 프레임의 단면 구조로 인하여, 태양광 발전부와 고정부가 고정되어 뒤틀림 방지 및 지지력이 증대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가 구비한 홈부의 형상으로 탄성부의 일단부와 원터치 결합이 가능하여 작업시간 및 비용이 감소하여 작업의 편리함이 증대되고, 교체 시, 볼트와 같은 체결기구가 불필요하여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날개부 양 끝단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에 의해 날개부의 고정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부의 열전달율이 높은 알루미늄의 재질로써, 태양광 발전부의 열 방출을 빠르게 유도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날개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프레임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프레임부의 확대도 및 탄성부와 결합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탄성부의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탄성부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상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날개부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프레임부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프레임부의 확대도 및 탄성부와 결합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탄성부의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의 탄성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방열장치는 태양광 발전부(100), 고정부(200), 기둥부(300), 날개부(400), 프레임부(500), 탄성부(600) 및 홈부(700)를 포함한다.
태양광 발전부(100)는 상부에서부터 강화유리, 상부 밀봉재, 태양전지, 하부 밀봉재, 백시트 및 정션박스 순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공지의 태양광 발전부의 모듈의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고정부(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부(200)는 태양광 발전부(100) 하면에 결합되어 후술할 날개부(4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고정부(20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판넬 형상으로 태양광 발전부(10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와 같이, 태양광 발전부(100)의 폭 방향의 길이 보다 짧아 평면도에서 본 발명인 태양광 모듈의 방열장치를 바라볼 때, 고정부(200)의 형상이 숨기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200)의 재질은 열전도가 우수하여 외부로 열 배출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부(100)가 태양광을 계속해서 흡수하여 높아지는 온도를 고정부(200)의 알루미늄 재질로 과열된 셀의 열을 방출시켜 줌으로써, 태양광 발전부(100)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기둥부(300)를 설명하도록 한다.
기둥부(300)는 제1 기둥부(310), 제2 기둥부(320) 및 제3 기둥부(330)로 구비되고, 각각의 기둥부(300)의 형상은 모두 동일하다. 각각의 기둥부(300)는 고정부(200)의 하면에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위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둥부(300)는 원통형상으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면은 고정부(200)의 하면에, 하면은 후술할 날개부(4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정부(200)의 폭방향 기준으로 중앙에만 결합되는 기둥부(300)로 인해 고정부(200)와 후술할 날개부(400)의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어 공기 유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즉, 기둥부(300)가 결합된 구조로 인해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촉진시켜 가열된 셀의 온도를 냉각함으로써, 태양광 발전부(100)의 일정온도 이상 가열될 경우 저항이 증가하면서 모듈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날개부(4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날개부(400)는 제1 날개부(410), 제2 날개부(420) 및 제3 날개부(430)로 구비되고, 각각의 날개부(400)의 형상은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날개부(400)는 중공부를 포함하여 소정의 두께를 지니고,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날개부(400)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4와 같이, 날개부(400)의 단면의 형상은, 에어포일(airfoil)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방향의 높이가 A 지점에서 일지점인 C 지점까지 높아졌다가, C 지점에서 B 지점으로 향할수록 낮아지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기가 유입될 때, 유선형의 형상을 가진 에어포일 단면 형상으로 공기의 유동을 빠르고 원활하게 촉진시키는 효과가 발생한다.
즉, 날개부(400)의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공기의 흐름이 유입되면서, 고정부(200)와 날개부(400)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의 순환속도가 빨라져 일정온도 이상 가열된 태양광 발전부(100)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과열된 셀을 냉각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장비를 설치하여 초기에 시간과 비용 및 추후에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과 인력이 불필요한 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공기와 기구적 형상을 이용하여 온도를 냉각시키는 점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프레임부(500)를 설명하도록 한다.
프레임부(500)는 제1 프레임부(510), 제2 프레임부(520), 제3 프레임부(530) 및 제4 프레임부(540)로 구비된다. 또한, 프레임부(5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태양광 발전부(100)의 좌측단 및 우측단을 감싸는 구조로 대칭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프레임부(510)의 하면은 태양광 발전부(100)의 상면과 맞닿고, 제2 프레임부(520)의 상면은 고정부(200)의 하면과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프레임부(510) 및 제2 프레임부(520)의 'ㄷ'자 형상의 구조로 태양광 발전부(100)와 고정부(200)를 고정 및 지지함으로써, 태양광 발전부(100)의 뒤틀림 현상을 예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의 방열장치의 수명을 증대시켜주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제3 프레임부(530)는 제2 프레임부(520)와 평행하되,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프레임부(530)의 상면은 날개부(400)보다 하방에 위치되어 후술할 탄성부(600)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결합력을 증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제4 프레임부(540)는 제1 프레임부(510), 제2 프레임부(520) 및 제3 프레임부(530)의 일단부를 수직방향으로 잇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프레임부(500)의 단면은 숫자 '3'의 형상을 이루어 판넬 형상으로 겹겹이 이루어 위치되는 태양광 발전부(100) 및 고정부(20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후술할 탄성부(600)의 고정력을 증대시켜 본 발명인 태양광 모듈의 방열장치의 수명을 증대시켜주고, 안정감을 더하여 주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4 프레임부(540)에는 홈부(700)가 구비되는데, 후술할 탄성부(600)의 일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와 같이, 제3 프레임부(530)와 제4 프레임부(540)가 연결되는 부분에 홈부(700)가 구비되어 후술할 탄성부(600)의 일단부가 삽입 가능함으로써, 별도의 볼트와 같은 체결기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편리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탄성부(600)를 설명하도록 한다.
탄성부(600)는 제1 탄성부(610), 제2 탄성부(620) 및 제3 탄성부(630)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탄성부(600)를 형상 변형 시, 원래대로 되돌아오려는 탄성 회복력의 성질을 포함하는, 일 예로 탄성 스프링과 같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탄성부(610)의 하면은 날개부(400)의 내측면과 맞닿고, 제3 탄성부(630)의 하면은 제3 프레임부(530)의 상면과 맞닿아 제3 프레임부(530)의 일단부가 홈부(700)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탄성부(600)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탄성부(600)는 도 8과 같이,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으로 나눌 수 있고,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 안에서 탄성부(600)는 탄성부(600)를 중심선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제1 탄성부(610)는 도 8 기준으로, 제3 구역에 위치되어, 이등변 삼각형의 윗변 형상으로 굽어 연장 형성되어 제2 탄성부(620)와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등변 삼각형의 윗변 형상으로 굽어 연장되는 제1 탄성부(610)의 폭 방향의 길이는 길이 방향의 길이(d3)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며, 윗변이 밑변보다 더 긴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으로, 날개부(40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더욱 더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제1 탄성부(610)에서 제2 탄성부(620)가 이어지는 지점은 도 8의 'd3'의 양 끝 점이 되고, 'd3'의 양 끝점은 도 4 기준으로, 날개부(400)의 A 지점과 B 지점과 맞닿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탄성부(610)와 제2 탄성부(620)가 이어지는 지점과 날개부(400)의 A 지점 및 B 지점과 맞닿음으로써, 탄성부(600)가 날개부(400)를 단단히 고정 및 지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제2 탄성부(620)는 도 8 기준으로, 제2 구역에 위치되어, 제1 탄성부(610)에서 이어져 날개부(400)의 가상의 중심선 기준으로 대칭되어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의 (b)를 기준으로, 날개부(400)의 A 지점 및 B 지점의 높이에서 제3 탄성부(630)의 상면높이까지의 기울기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예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탄성부(630)는 도 8 기준으로, 제1 구역에 위치되어, 제2 탄성부(620)에서 이어져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탄성부(630)의 일단부는 홈부(700)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기구가 없이 제3 탄성부(630)의 일단부가 홈부(700)에 삽입되어 고정이 가능한 원터치 식결합이 가능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줄어들고, 작업이 편리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탄성부(600)는 제3 탄성부(630), 제2 탄성부(620), 제1 탄성부(610), 제1 탄성부(610), 제2 탄성부(620) 및 제3 탄성부(630)의 순으로 연장 형성되고, 날개부(400)의 중심선 기준으로 제1 탄성부(610), 제2 탄성부(620) 및 제3 탄성부(630)가 각각 대칭되어 형성된다.
또한, 도 6과 같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제1 탄성부(610)와 제3 탄성부(630)를 잇는 제2 탄성부(620)의 길이를 'd1'이라 나타내고, 제1 탄성부(610)의 하면에서부터 제3 프레임부(530)의 상면까지의 수직높이를 'd2'라 나타내고, d1의 길이는 d2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탄성부(620)의 길이인 d1의 길이가 d2의 길이보다 길어야 탄성부(600)가 홈부(700)에 삽입되는 구조가 성립이 된다.
즉, 도 7에서 제2 탄성부(620)의 삽입 과정에서 먼저, 도 7의 (b)와 같이, 탄성물체부(600)를 제3 프레임부(530) 상면에 올려 놓은 후, 도 7의 (a)와 같이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자연스럽게 제3 탄성부(630)가 홈부(700)에 안착되어 원터치식 결합이 가능하므로, 도 7의 (b)와 같이 완전히 홈부(700)에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날개부(400)의 양단부에서 탄성부(600)가 홈부(700)로 삽입됨으로 인해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흔들리지 않고, 고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탄성부(600)의 사용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의 (a)에서 도 7의 (b)는 탄성부(600)가 홈부(700)부로 삽입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1 탄성부(610)를 날개부(400) 내측면에 맞닿게 한 뒤, 제3 탄성부(630)의 하면을 제3 프레임부(530) 상면에 맞닿게 올려놓은 뒤, 제2 탄성부(620)를 홈부(700)로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밀어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부(620)를 홈부(700)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부품이 불필요함으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야외에 배치되어 있는 태양광 모듈의 방열장치의 특성 상, 눈이나 먼지 등이 쌓일 수 있는 환경이므로, 별도의 볼트와 같은 체결부품 없기 때문에, 탄성부(600)를 손쉽게 해체하여 세척작업 후, 조립이 가능함으로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태양광 발전부, 200 : 고정부,
300 : 기둥부, 310 : 제1 기둥부,
320 : 제2 기둥부, 330 : 제3 기둥부,
400 : 날개부, 410 : 제1 날개부,
420 : 제2 날개부, 430 : 제3 날개부,
500 : 프레임부, 510 : 제1 프레임부,
520 : 제2 프레임부, 530 : 제3 프레임부,
540 : 제4 프레임부, 600 : 탄성부,
610 : 제1 탄성부, 620 : 제2 탄성부,
630 : 제3 탄성부, 700 : 홈부.

Claims (7)

  1.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판넬 형상의 태양광 발전부;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하면과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하면에 결합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날개부; 및
    상기 태양광 발전부의 양 측면에 결합되되,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날개부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날개부로 인해 유속이 증대되어 가열된 상기 태양광 발전부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단면은,
    에어포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중공부를 포함하여 소정의 두께를 지니고,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재질은 알루미늄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와 평행한 제1 프레임부,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일단부를 수직방향으로 잇는 제4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상면은 상기 고정부의 하면과 맞닿아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2 프레임부와 평행하되,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3 프레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프레임부는 상기 에어포일부 보다 하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KR1020180097014A 2018-08-20 2018-08-20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KR102156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014A KR102156436B1 (ko) 2018-08-20 2018-08-20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014A KR102156436B1 (ko) 2018-08-20 2018-08-20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360A true KR20200021360A (ko) 2020-02-28
KR102156436B1 KR102156436B1 (ko) 2020-09-16

Family

ID=6963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014A KR102156436B1 (ko) 2018-08-20 2018-08-20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540A (ko) * 2020-09-28 2022-04-0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공기 자연 순환 방식의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362B1 (ko) * 2005-05-09 2006-02-24 대한테크렌(주) 방열핀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US20070272295A1 (en) * 2006-05-26 2007-11-29 Rubin Leonid B Heat sink for photovoltaic cells
JP2013093377A (ja) * 2011-10-24 2013-05-16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太陽光発電パネル
KR101599420B1 (ko) 2014-10-16 2016-03-03 케이씨솔라에너지(주) 태양광 모듈용 안개분사식 냉각 세정장치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362B1 (ko) * 2005-05-09 2006-02-24 대한테크렌(주) 방열핀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US20070272295A1 (en) * 2006-05-26 2007-11-29 Rubin Leonid B Heat sink for photovoltaic cells
JP2013093377A (ja) * 2011-10-24 2013-05-16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太陽光発電パネル
KR101599420B1 (ko) 2014-10-16 2016-03-03 케이씨솔라에너지(주) 태양광 모듈용 안개분사식 냉각 세정장치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540A (ko) * 2020-09-28 2022-04-0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공기 자연 순환 방식의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436B1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884B1 (ko) 발열기능을 갖는 태양광발전모듈
CN216794887U (zh) 一种太阳能发电元件阵列
KR102156436B1 (ko)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US2014016607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creasing the yield of photovoltaic modules
Konjare et al. Efficiency improvement of PV module by way of effective cooling-A review
US20160204296A1 (en) Liquid immersing photovoltaic module
KR20130077305A (ko) 태양광 모듈의 냉각장치
CN102664212A (zh) 一种蛇形通道太阳能电池废热回收装置
KR20220057030A (ko) 벽면형 태양광 태양열 복합모듈
US20120291851A1 (en) Liquid immersing photovoltaic module
US20110139219A1 (en) Supporting and cooling structure of photovoltaic module
CN203608147U (zh) 一种聚光光伏组件
CN104682855A (zh) 一种集成式聚光太阳能光热复合利用组件
CN210405221U (zh) 太阳能装置
CN204559478U (zh) 一种新型反射镜支撑装置
CN207757059U (zh) 逆变焊接机安全冷却系统
CN106449837A (zh) 一种风冷散热降温光伏电池组件
KR20200024598A (ko) 태양광 패널 및 태양열 패널을 결합한 복합 패널
KR20220061523A (ko) 냉각 장치와 세척 장치를 포함한 태양광 패널
CN215772924U (zh) 一种协同冷却的多电平模块化光伏逆变器
CN206498369U (zh) 散热型太阳能接线盒
CN212550928U (zh) 一种光伏清洁设备通用型爬坡过桥装置
CN220153321U (zh) 一种光伏板热回收发电系统
CN204760403U (zh) 一种用于碟式高倍聚光系统的太阳能光伏接收器
CN221227499U (zh) 一种双面光伏组件降温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