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222A -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222A
KR20200021222A KR1020180096723A KR20180096723A KR20200021222A KR 20200021222 A KR20200021222 A KR 20200021222A KR 1020180096723 A KR1020180096723 A KR 1020180096723A KR 20180096723 A KR20180096723 A KR 20180096723A KR 20200021222 A KR20200021222 A KR 20200021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track
entry
monitoring system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7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8544B1 (en
Inventor
장승호
홍지영
정우태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96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544B1/en
Publication of KR20200021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2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5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6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warning men working on the ro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comprises: a body portion moving on a track by a moving body; and a fixed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In a moving mode, the body portion is disposed on the track, and in a monitoring mode, the body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track to sense the entry of a train.

Description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Train entry monitoring System}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일반적으로 선로(railway line)라 함은 노반, 궤도, 교량, 터널은 물론 역의 시설과 신호설비 및 전기운전을 하는 경우의 전차선로까지 포함하여 열차가 운행되는데 사용되는 통로로서 필요한 일체의 설비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In general, a railway line is a passage used to operate a train, including roadbeds, tracks, bridges, tunnels, station facilities, signaling equipment, and tram lines for electric driving. It means to include everything.

한편, 이러한 선로는 열차가 항시 최적의 상태에서 운행되도록 함으로써 열차 운행의 정시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일정 기간마다 정기적으로 혹은 이상 발견시마다 유지보수가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such a track is maintained at regular intervals or at every discover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as to ensure that the trains operate at an optimal state at all times to ensure timeliness and safety of the train operation.

그리고, 작업자가 선로변에서 선로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당해 선로의 유지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로부터 전방 혹은 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장소에 감시자를 배치하고, 열차의 진입시 그 감시자가 열차의 진입을 확인하여 깃발, 경광등, 혹은 무전기 등을 이용하여 원격의 선로변 작업자에게 경고함으로써, 선로변 작업자는 수행중이던 작업을 일시 중단하고 미리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a worker performs maintenance work on the track side, the watcher is arranged at a plac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or rearward from the place where the maintenance work of the track is performed. By confirming entry and warning a remote trackside operator using a flag, warning light, or radio, the trackside operator can suspend and evacuate the work in progress.

그러나, 이상과 같은 감시자에 의해 열차의 진입을 감지 및 경고하게 되면, 선로의 유지보수에 힘써야할 작업자 중 1인 이상을 감시자로 이용해야 하므로, 인력의 낭비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the entrance of the train is sensed and warned by the watcher as described above, one or more of the workers who need to make efforts to maintain the track should be used as the watcher, causing a waste of manpower.

뿐만 아니라, 감시자의 감시소홀이나, 열차 진입 감지의 오류, 혹은 열차 진입 감시의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선로변 작업자가 미리 대피하지 못하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주변 소음이 심한 장소나 야간 시 등에 더욱 심각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watchdog's hall, the train entrance detection error, or the train entrance monitoring delay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ailroad operator cannot evacuate in advance and there is a high risk of a safety accident. There was a problem that becomes more serious in this severe place or night time.

이에 현재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수많은 연구 및 개발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To this end, a number of researches and developments are being conducted at various angle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로 위 또는 주변에서 선로 또는 시설물의 유지보수 등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예상하지 못한 철도 차량 통과로 인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철도차량의 운행을 감시할 수 있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occur due to unexpected railway vehicle passing by the operator performing the maintenance of the track or facility on or around the track. In order to provide a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that can monitor the operation of railroad ca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은, 이동체에 의해 선로 상을 이동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이동 모드 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선로 상에 배치되며, 감지 모드 시, 상기 몸체부가 상기 선로 상에서 이탈되어 열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for moving on the track by the moving body; And a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in the moving mode, the body part is disposed on the track, and in the sensing mode, the body part is separated from the track to detect the entry of a train.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 모드 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선로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선로 상에 고정시킨 후, 상기 몸체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선로 상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열차의 진입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열차의 진입에 상관없이 상기 열차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다. In detail, in the sensing mode, the fixing part is fixed to the side of the track to fix the body part on the track, and the body part is rotated from the fixing part to be separated from the track to detect the entry of the train. Thus, the entry of the train can be detected regardless of the entry of the train.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체는, 두 개의 라인으로 형성되는 상기 선로 중 하나의 라인에만 배치되어 이동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 모드 시, 상기 선로의 하나의 라인의 상면과 양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ovable body is disposed and moved only in one line of the line formed of two lines, and the body portion and the fixed portion surround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s of one line of the line in the movement mode. It may be formed so as to.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 모드 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선로의 측면 중 외곽 방향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으로 이탈할 수 있다. In detail, in the sensing mode, the fixing part is fixed to an outer side of the side of the line, and the body part rotates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line from the fixing part to be separated from the outer side of the line. Can be.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 방향의 측면에 고정 시 자력을 사용하고, 상기 몸체부는, 회전 시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을 바라보는 일단에 상기 열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체가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xing unit, using the magnetic force when fixed to the side of the outer direction of the track, the body portion, the sensing body for detecting the entry of the train at one end looking up on the basis of the ground when the rotation is to be formed Can be.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선로의 하나의 라인의 상면을 둘러싸도록 횡단면이 눕혀진 'I'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ovable body may have an 'I' shape in which a cross section is laid down so as to surround an upper surface of one line of the line.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감지 모드 시 상기 몸체부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선로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In detail, the fixing part may be rotated from the body part in the sensing mode and fixed to the side of the line.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모드 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이동체는, 상기 선로의 상면을 이동하는 제1 이동체와 상기 선로의 내곽 방향의 측면을 이동하는 제2 이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 방향의 측면을 이동하는 제3 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movement mode, the movable body of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movable body for mov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rack and a second movable body for moving the side surfac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track, wherein the fixing portion of the track It may include a third moving body for moving the side of the outer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 모드 시 내부에 보관되고, 상기 감시 모드 시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 방향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fixing part may include a fixing body which is stored inside in the movement mode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e monitoring mode to be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track in the outer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은, 휴대가 쉽도록 작고 가볍게 제작이 가능하며, 작업자가 작동하는 부분은 간단하게 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활용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small and light so as to be easy to carry, and the part in which the operator operates can be simplified, so that the operator can utilize it easi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은, 자동으로 이동하고 감시하며 경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추가적인 안전 요원이 먼거리를 이동하는 수고와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인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function of automatically moving, monitoring and alarming, the existing additional safety personnel can reduce the effort and time of moving a long distance and can efficiently use manpower. There i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은, 터널 또는 교량 위와 같이 기존의 안전 요원이 대피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적용될 수 있어 안전 요원의 투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train entranc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in a difficult place to evacuate the existing safety personnel, such as tunnels or bridges, it is possible to omit the input of safety personnel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safe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의 하부 부품에서 고정부가 작동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train entranc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mounted on a t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in acces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d after mounting on the track.
5 is a front view of the train acces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d after being mounted on a track.
FIG. 6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a train entranc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fter being mounted on a track.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part in the lower part of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mounted on a tr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a train entranc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fter being mounted on a track.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have the same number as possibl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의 하부 부품에서 고정부가 작동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train entry monit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ystem is mounted on a track,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diagram after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track, and FIG. 7 is a lower part of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ed part working.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10)은, 몸체부(11), 고정부(12) 및 연결부(13)를 포함한다. As illustrated in FIGS. 1 to 7,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1, a fixing portion 12, and a connecting portion 13.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10)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몸체부(11)는, 고정부(12)와 연결되어 이동체(111,112)에 의해 선로(R) 상을 이동한다.The body portion 11 is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12 to move on the track R by the moving bodies 111 and 112.

몸체부(11)는, 가로로 연장형성되는 상면과 상면에서 지면방향으로 수직하게 세로로 연장형성되는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즉, 몸체부(11)는, 횡단면이 'ㄱ'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은 선로(R)의 상면과 대면하고 측면은 선로(R)의 내곽 측면과 대면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1 may have an upper surface extending horizontally and a side surface extending vertically vertically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on the upper surface. That is, the body portion 11, the cross section may be formed in the 'b' shape, the upper surface may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track (R) and the side may face the inner side of the track (R).

몸체부(11)는, 상면에 제1 이동체(111)를 형성하여, 제1 이동체(111)가 선로(R)의 상면을 이동하도록 하고, 측면에 제2 이동체(112)를 형성하여 선로(R)의 내곽 측면을 이동하도록 한다. The body portion 11 forms a first movable body 111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llows the first movable body 111 to move an upper surface of the track R, and forms a second movable body 112 on a side surface thereof. Move the inner side of R).

이때, 제2 이동체(112)는, 후술할 고정부(12)의 제3 이동체(113)와 함께 선로(R)의 양측을 이동하면서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의 좌우를 고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은 선로(R) 이동 간에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moving body 112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10 while moving both sides of the track (R) with the third moving body 113 of the fixing unit 12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stably moved between the movement of the track (R).

여기서 몸체부(11)는, 제1 이동체(111) 및 제2 이동체(112)를 복수 개 형성할 수 있고 제1 이동체(111) 사이에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1 may form a plurality of first moving bodies 111 and second moving bodies 112, and a hole H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moving bodies 111.

제1 및 제2 이동체(111,112)는, 일례로 휠(wheel)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별도의 동력원을 통해서 구동되어 선로(R)를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ies 111 and 112 may have a wheel shape and may be driven through a separate power source to move the track R. FIG.

보통 선로(R)는 두 개의 라인(열)으로 형성되는데, 제1 이동체(111)는, 선로(R) 중 하나의 라인에만 배치되어 선로(R)를 이동할 수 있다. Usually, the line R is formed of two lines (columns), and the first moving body 111 may be disposed in only one line of the line R to move the line R. FIG.

물론 상기 기술한 제1 및 제2 이동체(111,112)의 형태는, 이동 모드 시의 형태이며 감지 모드 시에는 선로(R)에서 이탈되므로 선로(R)를 대면하지 않는다.Of course,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ies 111 and 112 described above are in the movement mode and are separated from the line R in the sensing mode and thus do not face the line R.

몸체부(11)는, 이동 모드 시 선로(R) 상에 배치되고, 감지 모드 시 선로(R) 상에서 이탈되어 열차(O)의 진입을 감지한다. Body portion 11 is disposed on the track (R) in the movement mode, is separated on the track (R) in the sensing mode to detect the entry of the train (O).

구체적으로 몸체부(11)는, 상면의 일단부에 고정부(1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 모드 시에는 선로(R) 상에 배치(선로(R)의 상면과 내곽 측면을 둘러싸도록)되고, 감지 모드 시에는 선로(R) 상에서 이탈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ody portion 1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12 at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disposed on the track (R) in the movement mode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and the inner side of the track (R)) In the sensing mode, the control unit may deviate from the track R.

따라서, 감지 모드 시에 열차(O)의 바퀴(T)가 선로(R) 상에 진입하더라도 별도의 조작없이 파손되지 않고 열차(O)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when the wheel T of the train O enters the track R in the sensing mode, the entry of the train O can be detected without being broken without any manipulation.

몸체부(11)는, 측면의 단부에 감지체(1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는, 회전 시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을 바라보는 일단에 열차(O)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체(113)를 포함할 수 있다. Body portion 11, the sensing body 113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side. That is, the body portion 11 may include a sensor 113 for detecting the entry of the train O at one end facing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ring rotation.

감지체(113)는, 갭 센서, 적외선 센서 등 물체 감지 센서일 수 있으며, 열차(O)가 통과하는 지를 감지할 수 있고, 열차(O)의 통과여부에 대해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선로(R)를 점검하는 작업자(도시하지 않음)에게 알릴 수 있다. The detector 113 may be an object detection sensor such as a gap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and may detect whether the train O passes, and the wire R may be wired or wirelessly with respect to whether the train O passes. The operator (not shown) can be notified.

감지체(113)는, 갭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이 아닌 진동 센서 또는 변위 센서일 수 도 있다. The detector 113 may be a vibration sensor or a displacement sensor, not a gap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몸체부(11)는, 감지 모드 시 고정부(12)로부터 선로(R)의 외곽 방향으로 회전하여 선로(R)의 외곽으로 이탈할 수 있다. The body part 11 may rotate away from the fixing part 12 in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track R in the sensing mode and move away from the outside of the track R. FIG.

고정부(12)는, 몸체부(11)와 연결된다. The fixed part 12 is connected with the body part 11.

고정부(12)는, 몸체부(11)의 상면의 일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후술할 연결부(13)에 의해 몸체부(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fixing part 12 may be vert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1, and may rotate the body part 11 by the connection part 13 to be described later.

고정부(12)는, 선로(R)의 외곽 측면을 대면하도록 형성되며 제3 이동체(121) 및 제1 고정체(122)와 제2 고정체(123)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12 may be formed to face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line R, and the third moving body 121, the first fixing body 122, and the second fixing body 123 may be formed.

제3 이동체(121)는, 선로(R)의 외곽 측면을 이동할 수 있으며, 일례로 휠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movable body 121 may move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line R, and may have a wheel shape, for example, and a plurality of third moving bodies 121 may be formed.

제1 고정체(122)와 제2 고정체(123)는, 자력을 가진 물질로 형성되어 고정부(12)에서 선로(R)의 외곽 측면에 대면하는 면에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ixture 122 and the second fixture 12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magnetic force so that the first fixture 122 and the second fixture 123 may be pulled in or drawn out from the surface facing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track R in the fixing part 12. .

제1 고정체(122)와 제2 고정체(123)는, 이동 모드 시 고정부(12)에 인입되어 고정부(12) 내부에 보관될 수 있고, 감시 모드 시 고정부(12)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즉, 내부에서 선로(R)의 외곽 측면 방향으로 인출되어 자력을 이용해 선로(R)의 외곽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body 122 and the second fixing body 123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unit 12 in the movement mode and stored in the fixing unit 12, and the inside of the fixing unit 12 in the monitoring mode. It may be drawn outward from the outside, that is, drawn out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track (R) from the inside can be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track (R) using magnetic force.

여기서 제1 고정체(122)와 제2 고정체(123)는, 일례로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fixture 122 and the second fixture 123 may be, for example, permanent magnets or electromagnets.

고정부(12)는, 감지 모드 시 선로(R)의 외곽 측면에 고정되어 몸체부(11)를 선로(R) 사에 고정시킨 후, 몸체부(11)가 고정부(12)로부터 회전되어 선로(R)에서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ixing part 12 is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line R in the sensing mode to fix the body part 11 to the line R company, and then the body part 11 is rotated from the fixing part 12. It may be to leave the track (R).

이러한 몸체부(11)와 고정부(12)의 구조를 통해서 본 발명은 열차(O)의 진입에도 별도의 조치없이 그리고 파손없이 진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body portion 11 and the fixing portion 12,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detect whether the entry into the train (O) without additional measures and without damage.

고정부(12)는, 이동 모드 시에나 고정 모드 시에나 선로(R)의 외곽 측면에 대면하도록 형성되며, 이동 모드 시에는 몸체부(11)와 함께 형성하는 횡단면이 선로(R)의 하나의 라인의 상면과 선로(R)의 양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눕혀진 'ㄷ'자 형상일 수 있고, 감시 모드 시에는 몸체부(11)와 함께 형성하는 횡단면이 기울어진 'W'의 형상일 수 있다. The fixing part 12 is formed to face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line R in the moving mode or the fixing mode, and in the moving mode, a cross section formed together with the body part 11 is formed in one line of the line R. The upper surface and the line (R) may be a lying down 'c' shape formed to surround both sides, in the monitoring mode may be the shape of the inclined 'W' cross-section formed with the body portion (11).

연결부(13)는, 몸체부(11)와 고정부(12)를 연결하며, 몸체부(11)가 고정부(12)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The connecting portion 13 connects the body portion 11 and the fixing portion 12, and the body portion 1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12.

연결부(13)는, 몸체부(11)의 상면의 일단부와 고정부(12)의 상측 단부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13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1 and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art 12, respectively.

연결부(13)는, 동력원(13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32) 상에 형성되는 전달체(133)가 고정부(12)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고, 피동체(134)가 몸체부(11)의 상면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As for the connection part 13, the transmission body 133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132 which rotates by the power source 131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art 12, and the driven body 134 is the body part 11 It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동력원(131)은, 연결부(13)가 몸체부(11)를 고정부(12)로부터 회전시키도록 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며 회전축(132)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축(132)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동력원(131)은, 일례로 모터일 수 있다. The power source 131 may generate power to cause the connecting portion 13 to rotate the body portion 11 from the fixed portion 12 and transmit power to the rotating shaft 132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132. . The power source 131 may be, for example, a motor.

전달체(133)는, 회전축(132) 상에 형성되어 회전축(132)의 회전과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피동체(134)를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transfer member 133 may be formed on the rotation shaft 132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132, and may be formed to move the driven member 134.

전달체(133)는, 피동체(132)와 서로 맞물리는 기어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달체(133)의 회전에 의해 피동체(132)가 회전하여 피동체(132)와 연결된 몸체부(11)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body 133 may be formed in a gear shape that meshes with the driven body 132, and the body part 11 connected to the driven body 132 by rotating the driven body 133 by the rotation of the transmission body 133. ) Can be rotated.

즉, 연결부(13)는 경첩의 운동방식과 유사하게 몸체부(11)와 고정부(12)를 연결하여 몸체부(11)와 고정부(12)가 서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nection part 13 may connect the body part 11 and the fixing part 12 similarly to the movement method of the hinge so that the body part 11 and the fixing part 12 are rotated with each other.

도 6을 토대로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의 감지 모드 시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Based on FIG. 6, the operation in the sensing mode of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1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작동도이다. FIG. 6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a train entranc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fter being mounted on a track.

도 6의 (a)를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은, 선로(R)를 이동하여 열차(O)의 진입을 감시하려 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동 모드)Referring to FIG. 6 (a),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track R to a position where the entry of the train O is to be monitored. (Moving mode)

즉, 작업자는 선로(R) 상에서 작업을 시작할 경우, 작업 시작 전에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을 선로(R) 상에 배치시켜 열차(O)의 진입을 감시하려 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That is, when the worker starts work on the track (R),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10 is placed on the track (R) before the start of work to move to the position to monitor the entry of the train (O).

도 6의 (b)를 보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이 원하는 열차(O) 진입 감지 위치에 도달한 경우,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은, 감지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6B, when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10 reaches a desired train O entry detection position,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10 performs a detection mode.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은, 고정부(12)에서 제1 및 제2 고정체(122,123)를 인출시켜 선로(R)의 외곽 측면을 자력으로 고정시킨다.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10 draws the first and second fixtures 122 and 123 from the fixing part 12 to fix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track R by magnetic force.

도 6의 (c)를 보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은, 연결부(13)에서 동력원(131)의 가동을 통해서, 몸체부(11)를 선로(R)의 외곽 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부(11)가 선로(R)를 이탈할 때까지 회전시키고 몸체부(11)의 감지체(113)가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을 항하도록 위치시킨다.Referring to FIG. 6C,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10 rotates the body portion 11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track 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ower source 131 at the connection portion 13, and thus the body portion. Rotate until (11) leaves the track (R) and is positioned so that the sensing body 113 of the body portion 11 to the upper direction relative to the ground.

이후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은, 감지체(113)를 통해서 열차(O)의 진입 여부를 감지한다. Thereafter,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10 detects whether the train O is entered through the detector 113.

도 6의 (d)를 보면, 열차(O)가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이 위치한 곳으로 진입하게 되고, 이때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은, 감지체(113)를 통해서 열차(O)의 진입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선로(R) 상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에게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d), the train O enters a location where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10 is located, and at this time, the train entrance detection system 10 passes through the detector 113. To detect the entry of the and transmit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worker working on the line (R) by wire or wireless.

작업자는 별도의 경보 모듈을 구비하여 항시 지니고 있거나, 또는 별도의 경보 모듈을 근처에 배치시킬 수 있고, 이러한 경보 모듈은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의 감지체(113)에서 감지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The operator may have a separate alarm module at all times or may place a separate alarm module nearby, and the alarm module may wire or detec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113 of the train ingress detection system 10. It can be delivered wirelessly to inform the operator.

작업자는 작업이 완료되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철수 신호를 보내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이 작업자에게 돌아올 수 있도록 한다. The worker sends a withdrawal signal to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10 by wire or wireless when the operation is completed to allow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10 to return to the worker.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의 하측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작동도이다.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mounted on a tr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the train entranc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example is operated after being mounted on a track.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20)은, 몸체부(21), 고정부(22) 및 연결부(23)를 포함한다. As illustrated in FIGS. 8 to 10,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21, a fixing portion 22, and a connecting portion 23.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20)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하기 기술하는 구성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10)에서 기술한 구성과 대치되는 경우, 하기 기술하는 구성에 우선하며, 그 외의 구성 및 작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10)에서 기술한 구성 및 작동과 동일함을 주지바란다. The configuration described below takes precedence over the configuration described below when substituted with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re provid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e tha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described in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same.

즉, 하기 기술하는 구성들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20)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10) 대비 차이점을 기술하는 것이다. That is,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below describ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몸체부(21)는, 고정부(22)와 연결되어 이동체(211)에 의해 선로(R) 상을 이동한다.The body portion 21 is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22 to move on the track R by the movable body 211.

몸체부(21)는, 'ㄷ' 자로 형성되어 일측면은 이동체(211)를 회전시키는 동력원(P)을 수용하는 동력체(212)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고정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Body portion 21 is formed of a letter 'c' is formed on one side is a power body 212 for receiving the power source (P) for rotating the moving body 211, the other side is a fixed portion 22 is formed Can be.

이동체(211)는, 선로(R)의 하나의 라인의 상면을 둘러싸도록 횡단면이 눕혀진 'I'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선로(R)의 하나의 라인의 횡단면은 세워진 'I'자 형태를 가진다.The movable body 211 may have an 'I' shape in which a cross section is laid down so as to surround an upper surface of one line of the line R. FIG. At this time, the cross section of one line of the line (R) has a 'I' shape erected.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10)과 달리 이동체(211)를 몸체부(21)의 상면에만 구비하더라도 선로(R) 상의 이동 시 좌우의 흔들림없이 안정감이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Through thi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train entrance detection system 1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moving body 211 is provided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 without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on the track (R) A sense of stability can exist.

동력체(212)는, 이동체(211)를 회전시키는 동력원(P)을 내부에 수용하며, 열차(O)의진입을 감지하는 감지체(2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body 212 may receive a power source P for rotating the moving body 211 therein, and may include a sensor 213 for sensing the entry of the train O.

고정부(22)는, 몸체부(21)와 연결부(23)를 통해 연결되며, 감지 모드 시 몸체부(21)로부터 회전되어 선로(R)의 외곽방향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22 is connected through the body part 21 and the connecting part 23, and may be rotated from the body part 21 in the sensing mode and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line R.

고정부(22)는 선로(R)의 외곽방향 측면에 고정 시, 자력 등의 방식으로 선로(R)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22 may be fixed to the line R in a manner such as magnetic force when the fixing part 22 is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line R.

도 10을 토대로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의 감지 모드로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The operation in the sensing mode of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0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이 선로에 장착 후 작동되는 작동도이다. FIG. 10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a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fter being mounted on a track.

먼저 도 10을 살피기 전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은, 선로(R)를 이동하여 열차(O)의 진입을 감시하려 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동 모드)First, before examining FIG. 10,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track R to a position to monitor the entry of the train O. (Moving mode)

즉, 작업자는 선로(R) 상에서 작업을 시작할 경우, 작업 시작 전에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을 선로(R) 상에 배치시켜 열차(O)의 진입을 감시하려 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That is, when the worker starts work on the track (R),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20 is placed on the track (R) prior to the start of work to move to the position to monitor the entry of the train (O).

그리고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이 원하는 열차(O) 진입 감지 위치에 도달한 경우,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은, 감지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And when the train entrance detection system 20 reaches the desired train (O) entrance detection position, the train entrance detection system 20 performs a detection mode.

도 10의 (a)를 보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은, 감지 모드 수행 시 고정부(22)를 몸체부(21)로부터 분리시켜, 고정부(22)가 선로(R)의 외곽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10A,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20 separates the fixing portion 22 from the body portion 21 when performing the sensing mode, so that the fixing portion 22 is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track R. Referring to FIG. To rotate.

도 10의 (b)를 보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은 고정부(22)가 선로(R)의 외곽방향에 맞닿을 때까지 회전시키며, 고정부(22)를 선로(R)의 외곽방향 측면에 자력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시킨다. Referring to FIG. 10 (b),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20 rotates until the fixing part 22 abuts against the outer direction of the track R, and the fixing part 22 is rotated outside the track R. FIG. It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such as magnetic force on the side of the direction.

도 10의 (c)를 보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은, 고정부(22)가 선로(R)의 외곽방향 측면에 고정된 후 몸체부(21)가 선로(R)를 이탈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c),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20 rotates so that the body portion 21 leaves the track R after the fixing part 22 is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track R. FIG. You can.

도 10의 (d)를 보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은, 몸체부(21)가 몸체부(21)의 감지체(213)가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을 항하도록 위치시킨다.Referring to FIG. 10 (d),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20 positions the body portion 21 so that the sensing body 213 of the body portion 21 faces the upp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이후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은, 감지체(213)를 통해서 열차(O)의 진입 여부를 감지한다. Thereafter,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20 detects whether the train O is entered through the detector 213.

열차(O)가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이 위치한 곳으로 진입 시,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은, 감지체(213)를 통해서 열차(O)의 진입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선로(R) 상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에게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하게 된다. When the train O enters the place where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20 is located,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20 detects the entry of the train O through the detector 213 and tracks the detected information. It transmits by wire or wireless to the worker who is working on (R).

작업자는 별도의 경보 모듈을 구비하여 항시 지니고 있거나, 또는 별도의 경보 모듈을 근처에 배치시킬 수 있고, 이러한 경보 모듈은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의 감지체(213)에서 감지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The operator may have a separate alarm module at all times, or may place a separate alarm module nearby, and the alarm module may wire or detec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213 of the train ingress detection system 20. It can be delivered wirelessly to inform the operator.

작업자는 작업이 완료되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철수 신호를 보내어 열차 진입 감지 시스템(20)이 작업자에게 돌아올 수 있도록 한다. The worker sends a withdrawal signal to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20 by wire or wireless when the operation is completed to allow the train entry detection system 20 to return to the worker.

종합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10,20)은, 휴대가 쉽도록 작고 가볍게 제작이 가능하며, 작업자가 작동하는 부분은 간단하게 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활용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summary, the train entrance monitoring system 10 and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small and light so as to be easy to carry, and the part in which the operator operates can be simplified, and thus the operator can utilize it easi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10,20)은, 자동으로 이동하고 감시하며 경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추가적인 안전 요원이 먼거리를 이동하는 수고와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인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10,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utomatically moving, monitoring and alarming, the existing additional safety personnel can reduce the effort and time to move a long distance manpower This can effectively use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10,20)은, 터널 또는 교량 위와 같이 기존의 안전 요원이 대피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적용될 수 있어 안전 요원의 투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10,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in the place where the existing safety personnel are difficult to evacuate, such as tunnels or bridges can be omitted because the safety personnel can be omitted, the effect is maximized safety hav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it is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appended claims.

10: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11: 몸체부
111: 제1 이동체 112: 제2 이동체
113: 감지체 12: 고정부
121: 제3 이동체 122: 제1 고정체
123: 제2 고정체 13: 연결부
131: 동력원 132: 회전축
133: 전달체 134: 피동체
20: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21: 몸체부
211: 이동체 212: 동력체
213: 감지체 22: 고정부
23: 연결부 H: 홀
R: 선로 T: 열차 바퀴
O: 열차 P: 동력원
10: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11: body
111: first mobile body 112: second mobile body
113: sensor 12: fixed portion
121: third moving body 122: first fixed body
123: second fixture 13: connecting portion
131: power source 132: rotation axis
133: carrier 134: driven body
20: train entrance monitoring system 21: body
211: moving body 212: moving body
213: sensor 22: fixed part
23: connection part H: hole
R: Track T: Train Wheels
O: Train P: Power Source

Claims (9)

이동체에 의해 선로 상을 이동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이동 모드 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선로 상에 배치되며,
감지 모드 시, 상기 몸체부가 상기 선로 상에서 이탈되어 열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A body part moving on the track by the moving body; And
It includes a fixing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In the movement mode, the body portion is disposed on the track,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track in the detection mode to detect the entry of the tra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드 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선로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선로 상에 고정시킨 후, 상기 몸체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선로 상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열차의 진입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열차의 진입에 상관없이 상기 열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sensing mode:
After the fixing part is fixed to the side of the track to fix the body part on the track, the body part is rotated from the fix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track to detect the entry of the train, thereby correlating to the entry of the train.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entry of the train withou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두 개의 라인으로 형성되는 상기 선로 중 하나의 라인에만 배치되어 이동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 모드 시, 상기 선로의 하나의 라인의 상면과 양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movable body is disposed and moved only in one line of the line formed of two lines,
The body portion and the fixed portion,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movement mode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s of one line of the lin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드 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선로의 측면 중 외곽 방향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으로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n the sensing mode,
The fixing part is fixed to the side of the outer direction of the side of the line,
The body portion, the train entranc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rotate from the fixed portion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track to the outer side of the track.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 방향의 측면에 고정 시 자력을 사용하고,
상기 몸체부는, 회전 시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을 바라보는 일단에 상기 열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xing unit,
Using magnetic force when fixed to the side of the track in the outer direction,
The body portion, the train entranc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ing body for detecting the entry of the train at one end facing the upper side relative to the ground during rota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선로의 하나의 라인의 상면을 둘러싸도록 횡단면이 눕혀진 'I'자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ving body,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is laid down so as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one line of the track 'I' shap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감지 모드 시 상기 몸체부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선로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xing unit,
The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rotated from the body in the sensing mode is fixed to the side of the track.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드 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이동체는, 상기 선로의 상면을 이동하는 제1 이동체와 상기 선로의 내곽 방향의 측면을 이동하는 제2 이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 방향의 측면을 이동하는 제3 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in the movement mode,
The movable body of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movable body for mov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rack and a second movable body for moving the side surfac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track,
The fixing unit, the train entranc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moving body for moving the side of the line in the outer dire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 모드 시 내부에 보관되고, 상기 감시 모드 시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선로의 상기 외곽 방향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xing unit,
And a fixed body which is stored inside in the movement mode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e monitoring mode to be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track.
KR1020180096723A 2018-08-20 2018-08-20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KR1021085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23A KR102108544B1 (en) 2018-08-20 2018-08-20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23A KR102108544B1 (en) 2018-08-20 2018-08-20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222A true KR20200021222A (en) 2020-02-28
KR102108544B1 KR102108544B1 (en) 2020-05-28

Family

ID=6963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723A KR102108544B1 (en) 2018-08-20 2018-08-20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54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344B1 (en) 2021-08-26 2023-02-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multicopter during facility inspection from train entr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4953A (en) * 1995-12-14 1997-06-24 East Japan Railway Co Train approach detection device
KR20010057275A (en) * 1999-12-21 2001-07-04 손인규 a mobile railroad warning device
JP2001233213A (en) * 2000-02-23 2001-08-28 Hitachi Kasado Eng Co Ltd Alarm device for rolling stock approach
KR100331013B1 (en) * 2000-06-29 2002-04-03 한성무 Oil supplying apparatus for a railroad
JP2010234875A (en) * 2009-03-30 2010-10-21 East Japan Railway Co Track circuit current measur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4953A (en) * 1995-12-14 1997-06-24 East Japan Railway Co Train approach detection device
KR20010057275A (en) * 1999-12-21 2001-07-04 손인규 a mobile railroad warning device
JP2001233213A (en) * 2000-02-23 2001-08-28 Hitachi Kasado Eng Co Ltd Alarm device for rolling stock approach
KR100331013B1 (en) * 2000-06-29 2002-04-03 한성무 Oil supplying apparatus for a railroad
JP2010234875A (en) * 2009-03-30 2010-10-21 East Japan Railway Co Track circuit current measur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344B1 (en) 2021-08-26 2023-02-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multicopter during facility inspection from train ent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544B1 (en)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4510B2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communication-based train control system capabilities
US90902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dragging equipment
CN107161175A (en) A kind of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of railroad train and construction maintenance
JP2009029234A (en) Train operation instructing device
CN106103236B (en) For the method for rail vehicle repositioning and configuration system
CN110758438B (en) Rail running device
WO2017219655A1 (en) Rail vehicle system
CN113714997A (en) Tunnel inspection system based on suspension type inspection robot
KR100877587B1 (en) Control system for safety operation of train
JP2017217980A (en) Infrastructur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KR101456534B1 (en) Train control supervision system
JP2016078528A (en) Special signal light emitting machine inspection equipment and road-rail vehicle including special signal light emitting machine inspection equipment
KR20200021222A (en) Train entry monitoring System
JP5937869B2 (en) Train control system
KR101663789B1 (en) Monitoring system for vehicle running information by vibration analysis to predict danger
AU2004305163B2 (en) Rail-guided transport system
KR102080051B1 (en) safety vehicle system for urban-rail using autonomous driving vehicle
KR101374815B1 (en) A automatic stop apparatus at stop station
JP4874638B2 (en) Safety management device
KR102230644B1 (en) Railway Line Moving Device
JP6842929B2 (en) Railway control system using optical cable
KR101249946B1 (en) A railroad round car and the railroad check system using the same
CN214031454U (en) Single track hangs unmanned monitored control system
KR102169531B1 (en) Railway Line Moving Device
JP5031400B2 (en) Hand pawl device for railway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