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157A - 인터랙티브 자외선 led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랙티브 자외선 led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157A
KR20200020157A KR1020180095523A KR20180095523A KR20200020157A KR 20200020157 A KR20200020157 A KR 20200020157A KR 1020180095523 A KR1020180095523 A KR 1020180095523A KR 20180095523 A KR20180095523 A KR 20180095523A KR 20200020157 A KR20200020157 A KR 20200020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violet
light
led
visible light
e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2544B1 (ko
Inventor
김용일
Original Assignee
(주)솔라루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라루체 filed Critical (주)솔라루체
Priority to KR1020180095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5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61L2/28Devices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r completeness of sterilisation, e.g. indicators which change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는 자외선을 출사하는 자외선 LED, 및 상기 자외선이 출사되는 동안 상기 자외선과 설정 거리 이격된 파장의 가시광을 출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시광 LED;를 포함하고, 상기 가시광 LED는 자외선이 출사되는 동안 및 자외선이 출사가 완료된 경우에 서로 다른 광출력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인터랙티브 자외선 LED 살균 장치{INTERACTIVE UV LED STERILIZER}
본 발명은 살균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랙티브 자외선 LED 살균 장치에 대한 것이다.
태양빛은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으로 구성된다. 이중 자외선은 과다 노출 시의 부작용도 있으나 체내에서 비타민D를 합성하고, 살균 작용을 하는 등 이로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태양으로부터 지구로 직접 전달되는 자외선은 그 세기에 따라 UV-A(315 내지 380nm), UV-B(280 내지 315nm) 및 UV-C(10 내지 280nm)의 세 종류로 구분된다.
현재까지 자외선을 이용한 자외선 살균기는 일반적으로 Hg 램프가 사용된다. 그러나, Hg 램프를 통해 방출되는 빛은 넓은 파장대를 갖는 다중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다중 스펙트럼 중에 필요한 파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해당 파장대역만이 투과되고 나머지 파장대역은 투과되지 못하도록 필터를 사용해야 하므로 공정상의 번거로움이 있고, Hg 램프는 열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고, 사용량이 많아짐에 따라 필터로 사용한 물질이 녹아서 떨어지거나 빛을 받는 부분의 색상이 변하는 문제점이 있고, 내부에 수은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 단파장 자외선 LED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단파장 LED는 종전의 대역이 넓은 자외선 램프와 달리 타겟 파장 대역을 정밀하게 구현하여 목적 기능을 수행하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종전의 자외선 램프는 그 발광 대역이 상대적으로 넓으므로자외선이 발광되는 경우에 가시광의 보라색 영역이나 파란색 영역까지 함께 발광되었다. 이는 자외선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는 불필요한 부수적 발광이지만, 보라색이나 파란색의 발광을 통해 자외선이 조사되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었다. 즉, 자외선 램프의 발광 진행을 인접한 파장대의 가시광을 이용하여 표시되는 결과가 되었다.
그러나, 최근 단파장 LED의 경우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비가시광이므로 살균 기능 수행 동안에는 자외선이 보이지 않는다. 이에, 자외선 살균을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강 상 부작용이 발생되거나 사용자에게 자외선의 발광에 따른 정보가 직관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종래의 자외선 램프보다 그 정보 표시 차원에서 오히려 인터랙티브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된다.
[선행기술문헌]
한국등록특허 등록특허 제10-105315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자외선 LED를 이용하는 살균 장치에서 가시광을 이용하여 살균 정보를 직관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자외선 LED 살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는 자외선을 출사하는 자외선 LED, 및 상기 자외선이 출사되는 동안 상기 자외선과 설정 거리 이격된 파장의 가시광을 출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시광 LED;를 포함하고, 상기 가시광 LED는 자외선이 출사되는 동안 및 자외선이 출사가 완료된 경우에 서로 다른 광출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자외선 LED 살균 장치는 피살균체에 출사된 광조사량을 연산하여 설정값 이상 조사된 경우에 상기 출사가 완료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시광 LED는 상기 자외선이 출사되는 동안 또는 상기 자외선이출사가 완료된 경우에 피살균체의 외곽을 따라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시광 LED는 상기 자외선이 출사되는 동안에는 출사광의 파장 또는 색온도가 변화되도록 가시광을 출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시광 LED는 상기 자외선의 출사가 완료된 경우에는 설정 파장및 설정 색온도를 갖는 출사광을 피살균체의 살균대상부위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LED 또는 상기 가시광LED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피살균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LED 살균 장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피살균체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상기 가시광 LED는 상기 오염도에 따른 광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LED 살균 장치는 센싱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자외선 살균 장치의 피살균체 전방의 거리 이동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이동에 따른 피살균 범위의 중복여부 및 이동 속도에 따른 살균 완료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LED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외선 LED 살균 장치는 센싱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자외선 LED 살균 장치의 배치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치방향에서 설정 방향으로의 자외선 출사를 턴오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외선 LED가 살균 작용을 하고 가시광 LED가 살균 과정 또는 살균 완료를 사용자에게 알라밍하게 되므로 인터랙티브한 LED 살균 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의 정도 및 살균의 중복 여부도 가시광 LED가 표현하게 되므로 보다 직관적인 살균 장치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센싱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의 살균 완료 및 살균 중복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자외선 LED 및 가시광 LED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센싱부를 도시한 도면이며,도 3은 도 1에서의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101)는 자외선을 출사하는 자외선 LED(10), 가시광을 출사하는 가시광 LED(20), 및 LED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센싱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LED는 10 내지 380 nm 파장 범위의 단파장 광을 발광하거나, 보다 좁게는 200 nm 내지 380 nm 파장 범위의 원자외선 발광할 수 있다. 그런데, 자외선 LED(10)는 피살균체를 살균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UV-A영역의 광을 출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외선 LED(10)는 GaN, AlGaN, InGaN, InAlGaN 등의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가시광 LED(20)는 통상 조명용으로 사용되는 LED 칩을 의미하며, 다양한 파장을 발광하는 반도체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시광 (20)의 범위가 특정 LED 베어칩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101)는 가시광 LED(20)가 자외선 LED(10)에 의해 자외선이 출사되는 동안과 자외선의 출사가 완료된 경우에 서로 다른 광출력을 수행하고, 이때 가시광이 출력하는 광은 자외선의 부작용으로 보이는 가시광이 아니라 자외선과 설정 거리 이격된 파장의 광이다.
즉, 자외선 LED가 작동하여 살균하는 경우에, 특히 단파장 자외선 LED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외선이 보이지 않는다. 이에, 자외선 살균을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강 상 부작용이 발생되거나 사용자에게 자외선의 발광에 따른 정보가 직관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를 없애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는 자외선이 기능하는 동안 가시광이 발광하여 자외선의 작용을 사용자에게 알라밍하고, 자외선의 작용이 완료된 것을 역시 사용자에게 알라밍하여 새로운 살균 UI를 도출함에 그 특징이 있다.
한편, 센싱부(30)는 오염도측정센서(31), CCD센서(32), 및 조도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오염도측정센서(31)는 화학센서로서 피살균체에서 발산되는 기체 성분을 센싱한다. 이때, 제어부(40)는 센싱된 오염성분이 배치된 위치에 가시광을 발광하여 오염물질이 존재하는 것을 광출력으로 알려줄 수 있다. CCD센서(32)는 피살균체 표면를 촬상하여 오염도 또는 살균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한다. 조도센서(33)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살균 장치의 배치 방향을 판단하여 설정 방향으로의 자외선 출사를 턴오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40)는 자외선발광제어모듈(41), 가시광발광제어모듈(42), 오염연산모듈(43) 및 이동연산모듈(44)로 구성된다. 이때, 자외선발광제어모듈(41)은 피살균체에 출사된 광조사량을 연산하여 설정값 이상 조사된 경우에 상기 출사가 완료된 것으로 연산한다.
즉, 자외선을 피살균체에 사용자가 조사하는 경우에는 일정 광 조사량의 자외선이 조사된 경우에 살균이 완료되어야 하지만 사용자는 적정한 기준이 없으므로 자외선발광제어모듈(41)은 설정량 이상의 자외선이 조사된 경우에 자외선 발광을 턴오프하고, 이때 가시광발광제어모듈(42)는 자외선의 발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가시광을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가시광발광제어모듈(42)은 이 경우에도 자외선이 발광하는 동안에는 자외선의 발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가시광과 다른 가시광을 발광하게 되어 자외선의 살균이 진행 중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오염연산모듈(43)은 전술한 센싱부(30)의 센싱값에 따라 피살균체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가시광발광제어모듈(42)은 오염도에 따른 가시광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오염도에 따라 색온도를 낮추는 것이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람직하다.
이동연산모듈(44)는 CCD센서(32)가 피살균체의 전방에서 자외선 LED 살균 장치의 거리 이동을 감지하는 경우에 거리 이동에 따른 피살균 범위의 중복여부 및 이동 속도에 따른 살균 완료를 연산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의 살균 완료 및 살균 중복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외선 LED 살균 장치(101)가 피살균체(200)의 전방에서 살균을 위해 이동하는 경우에 우선 가시광발광제어모듈(42)은 자외선발광제어모듈(41)이 자외선이 발광하는 동안에는 자외선이 발광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가시광(편의상 제1가시광이라 함)을 발광하게 되어 자외선의 살균이 진행 중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자외선 LED 살균 장치(101)가 1번 위치에서 2번 위치로 이동하여 살균이 진행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제1가시광을 발광하여 자외선이 발광되고 있음을 알리지만, 3번 위치의 경우에는 2번 위치에 근접하도록 조금 이동되어 중복되어 살균되는 영역이 발생된다. 이 경우에는 이동연산모듈(44)은 가시광발광제어모듈(42)이 중복되는 영역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2가시광을 별도록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의 자외선 LED 및 가시광 LED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는 볼(ball)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자외선 LED(10) 및 가시광 LED(20)가 단위를 이루면서 하우징(61,62)에 복수개로 배치된다. 또한, 자외선 LED(10) 및 가시광 LED(20) 단위 사이에는 조도센서(33)가 배치된다. 한편, 상부하우징(61)과 하부하우징(62) 사이의 틈을 돌려 개봉하여 내부의 제어부 및 전원부를 노출시키도록 한다.
도 6을 더욱 참조하면, 자외선 LED(10) 및 가시광 LED(20) 단위를 구성하는 가시광 LED(20)는 적어도 하나의 LED칩(20_1 내지 20_n)으로 구성되며, 도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LED(10)의 외주연을 두르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각 LED칩(20_1 내지 20_n)은 서로 같은 파장 또는 색온도의 광을 출사하거나, 서로 다른 파장 또는 색온도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 LED(10)의 광출력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에 대응한 다양한 광을 출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비가시광인 자외선의 출사와 관련된 수많은 정보를 가시광으로 관찰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한편, 전술한 조도센서(33)는 자외선 LED 살균 장치(102)의 배치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120)는 신발이나 옷장 등에 삽입되어 살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사람의 눈을 향해 자외선이 발광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도센서(33)는 빛을 센싱하고 제어부(40)는 빛이 가장 많이 들어오는 방향인 외부 방향을 연산 결정한다. 이때, 자외선발광제어모듈(41)은 상기한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인접 배치된 자외선의 발광을 턴오프하도록 하여 자외선 신체 조사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한다. 즉, 센싱부(30)는 자외선 LED 살균 장치(102)의 배치방향을 판단하고, 제어부(40)는 상기 배치방향에서 설정 방향으로의 자외선 출사를 턴오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 살균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실의 좌변기에 자외선 LED 살균 장치를 적용한 것을 보여준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자외선LED 또는 가시광LED가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피살균체인 변기에 부착된 것을 보여준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정상발광, 구동발광, 및 완료발광으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모든 경우에 있어서, 가시광은 피살균체의 외곽을 따라 발광한다. 즉, 살균이 발생되는 범위를 피살균체의 외곽으로 특정하여 그 내부가 모두 살균되고 있고 살균이 완료되었다는 소통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구동발광의 경우에는 자외선의 소독이 이루어지는 경우인데, 이때는 보다 액티브한 자외선의 기능이 발현되는 구간이므로 자외선이 출사되는 동안에는 출사광의 파장 또는 색온도가 변화되도록 가시광을 출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에서는 자외선 살균이 진행되는 경우에 가시광의 파장대 또는 색온도가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도 7(c)의 경우에는 자외선의 출사가 완료된 경우로서 설정 파장및 설정 색온도를 갖는 출사광을 피살균체의 살균대상부위에 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살균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도면에서는 살균이 완료된 것으로서 청색 계열의 가시광을 사용하였다.
도 7(a)는 변기의 사용이 완료된 후 소정 시간이 지난 경우를 보여준다. 이때, 도 7(c)에서의 완료발광이 계속 지속될 수도 있으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완료발광 이후에는 정상상태임을 알리는 정상 발광을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 소정 시간만 가시광이 출력되도록 하여 그 이전에 구동 및 완료가 이미 되었음을 알리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흰색의 점이 변기의 테두리에서 발광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자외선 LED
20: 가시광 LED
30: 센싱부
31: 오염도측정센서
32: CCD센서
33: 조도센서
40: 제어부
41: 자외선발광제어모듈
42: 가시광발광제어모듈
43: 오염연산모듈
44: 이동연산모듈
61: 상부하우징
62: 하부하우징
101,102,103: 자외선 LED 살균 장치
200: 피살균체

Claims (9)

  1. 자외선 LED 살균 장치에 있어서,
    자외선을 출사하는 자외선 LED;및
    상기 자외선이 출사되는 동안 상기 자외선과 설정 거리 이격된 파장의 가시광을 출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시광 LED;를 포함하고,
    상기 가시광 LED는 자외선이 출사되는 동안 및 자외선이 출사가 완료된 경우에 서로 다른 광출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LED 살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LED 살균 장치는 피살균체에 출사된 광조사량을 연산하여 설정값 이상 조사된 경우에 상기 출사가 완료된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LED 살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LED는 상기 자외선이 출사되는 동안 또는 상기 자외선이출사가 완료된 경우에 피살균체의 외곽을 따라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LED 살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LED는 상기 자외선이 출사되는 동안에는 출사광의 파장 또는 색온도가 변화되도록 가시광을 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LED 살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LED는 상기 자외선의 출사가 완료된 경우에는 설정 파장및 설정 색온도를 갖는 출사광을 피살균체의 살균대상부위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LED 살균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LED 또는 상기 가시광LED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피살균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LED 살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LED 살균 장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피살균체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상기 가시광 LED는 상기 오염도에 따른 광출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LED 살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LED 살균 장치는 센싱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자외선 살균 장치의 피살균체 전방의 거리 이동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이동에 따른 피살균 범위의 중복여부 및 이동 속도에 따른 살균 완료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LED 살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LED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외선 LED 살균 장치는 센싱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자외선 LED 살균 장치의 배치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치방향에서 설정 방향으로의 자외선 출사를 턴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LED 살균 장치.
KR1020180095523A 2018-08-16 2018-08-16 인터랙티브 자외선 led 살균 장치 KR102192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523A KR102192544B1 (ko) 2018-08-16 2018-08-16 인터랙티브 자외선 led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523A KR102192544B1 (ko) 2018-08-16 2018-08-16 인터랙티브 자외선 led 살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157A true KR20200020157A (ko) 2020-02-26
KR102192544B1 KR102192544B1 (ko) 2020-12-17

Family

ID=6963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523A KR102192544B1 (ko) 2018-08-16 2018-08-16 인터랙티브 자외선 led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5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109A (ko) * 2018-09-27 2020-04-0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외선 led 살균 장치
KR20220000764U (ko) 2020-09-25 2022-04-01 유태수 차량용 자외선 살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353B1 (ko) * 2021-05-04 2022-09-02 (주)솔라루체 Led 살균 조명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88B1 (ko) * 2013-07-23 2014-12-04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 살균 소독 장치
KR20170003860A (ko) * 2015-06-30 2017-01-10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KR101835481B1 (ko) * 2017-03-31 2018-03-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배수구 마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8441B2 (ja) 2009-06-01 2015-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衛生器具用の排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88B1 (ko) * 2013-07-23 2014-12-04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 살균 소독 장치
KR20170003860A (ko) * 2015-06-30 2017-01-10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KR101835481B1 (ko) * 2017-03-31 2018-03-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배수구 마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109A (ko) * 2018-09-27 2020-04-0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외선 led 살균 장치
KR20220000764U (ko) 2020-09-25 2022-04-01 유태수 차량용 자외선 살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544B1 (ko)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2409B2 (en) Combinatorial light device for general lighting and lighting with beneficial wavelengths
KR20200020157A (ko) 인터랙티브 자외선 led 살균 장치
ES2844551T3 (es) Método y aparato de detección óptica de biocontaminantes
KR101252939B1 (ko)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
CN110999541A (zh) 具有智能辐照度控制的紫外光筒灯
US9057492B2 (en) Surgical lamp for broadband and narrowband illumination
WO2003075617A1 (fr) Dispositif emetteur lumiere et affichage utilisant ce dispositif et dispositif de lecture
US9696200B2 (en) Combinatorial light device for general lighting and lighting for machine vision
KR20160113353A (ko) 공간 살균장치 및 공간 살균방법
JP2011025028A5 (ko)
US11541135B2 (en) Multiple band visible light disinfection
JP2009028491A (ja) 棚照明システム及び棚ユニット照明システム
US11278183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imaging system
KR20150050112A (ko)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갖는 살균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9089631A (ja) 植物栽培装置
KR102380772B1 (ko) 자외선 led 살균 장치
KR20190015963A (ko) 살균 장치
JP2009139162A (ja) 検査用光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度センサの検査方法
WO2009050213A1 (en) Phototherapy device, particularly but not exclusively for treating neonatal disorders
KR102235257B1 (ko) 하이브리드 휴대용 살균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살균 시스템
US20230190977A1 (en) An augmented reality device for determining disinfection levels caused by light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KR102575593B1 (ko) 디밍제어 방법에 의한 uv조명 살균등 제어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584553B1 (ko) Led 살균 조명 시스템
JP2013171684A (ja) 照明装置
DE20316756U1 (de) Helligkeitsregulierte medizinische Beleuchtungsvor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