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108A - 책받침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책받침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108A
KR20200020108A KR1020180095419A KR20180095419A KR20200020108A KR 20200020108 A KR20200020108 A KR 20200020108A KR 1020180095419 A KR1020180095419 A KR 1020180095419A KR 20180095419 A KR20180095419 A KR 20180095419A KR 20200020108 A KR20200020108 A KR 20200020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ook
upper plate
close contac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928B1 (ko
Inventor
나귀용
Original Assignee
나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귀용 filed Critical 나귀용
Priority to KR102018009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9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책받침대를 경사지게 각도 조절된 책상 상판의 측면을 따라 책받침대가 이동되게 함과 아울러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돌부와 고정홈부의 결합에 의해 견고한 고정력을 갖도록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책의 중량이 많이 나가도 책의 중량에 의해 밀리지 않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책받침대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책상의 상판에 안착되도록 구비되어 책을 받혀줄 수 있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상판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텐션을 가지며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판의 측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받침부재를 이동시키는 클립부재; 및 상기 클립부재가 상판의 측면을 따라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클립부재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돌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홈부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책받침대 고정장치{Book Pedestal retainer}
본 발명은 책받침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책상의 상판에 책받침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조절된 위치에서 책받침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한 책받침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에 앉아서 독서를 하거나 공부를 할 때 수평으로 놓인 책상의 상판에 책을 놓고 보면 고개를 숙이게 된다. 그러면 책을 볼 때 목이 꺽이게 되고, 이런 자세에서 장시간 독서를 하거나 공부를 하게 되면 목에 통증이 유발되어 결과적으로 목 디스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하기의 문허들과 같이 상판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책상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상판의 각도가 조절되는 책상에서 사용자가 독서를 하거나 공부를 하게 되는 경우 목이 꺽이지 않게 되는 등의 장점은 있으나, 상판이 경사지게 조절된 상태이므로 상판에 놓은 책이 미끄러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상판에 책받침대를 설치하게 되는데, 종래의 책받침대는 상판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됨에 의해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36922호,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 구조.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1430895호, 상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책상.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1397074호,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원목책상.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지게 조절되는 책상의 상판에 책받침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책받침대를 조절된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책받침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책받침대를 경사지게 각도 조절된 책상 상판의 측면을 따라 책받침대가 이동되게 함과 아울러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돌부와 고정홈부의 결합에 의해 견고한 고정력을 갖도록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책의 중량이 많이 나가도 책의 중량에 의해 밀리지 않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책받침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대 고정장치에 의하면,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책상의 상판에 안착되도록 구비되어 책을 받혀줄 수 있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상판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텐션을 가지며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판의 측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받침부재를 이동시키는 클립부재; 및 상기 클립부재가 상판의 측면을 따라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클립부재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돌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홈부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받침부재와 상판의 측면 및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밀착부와 상기 측면밀착부의 상단에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판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면밀착부와 상기 측면밀착부의 하단에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저면밀착부로 이루어지는 "ㄷ"자 형상의 밀착편; 상기 밀착편이 상판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키거나 밀착되도록 작동시키는 푸시캠; 상기 푸시캠을 푸시 가능하도록 회전 작동시키는 회전레버; 상기 회전레버에 의해 작동된 푸시캠을 복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복원스프링; 상기 복원스프링이 수용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양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 및 상기 결합구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밀착편의 이동을 안내하는 덮개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밀착편에 구비되는 측면밀착부의 중앙 부위에서 상기 상판의 측면측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돌부의 외경은 상기 고정홈부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홈부들의 사이를 상기 클립부재가 이동시 고정돌부가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부들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가이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부의 깊이는 상기 고정홈부 보다 깊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의 상단에는 손잡이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재에는 책상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더가 회전 가능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대 고정장치에 의하면, 경사지게 조절되는 책상의 상판에 책받침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책받침대를 조절된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책받침대를 경사지게 각도 조절된 책상 상판의 측면을 따라 책받침대가 이동되게 함과 아울러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돌부와 고정홈부의 결합에 의해 견고한 고정력을 갖도록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책의 중량이 많이 나가도 책의 중량에 의해 밀리지 않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대 고정장치가 설치된 각조조절 책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대 고정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대 고정장치에 구비되는 클립부재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1표시의 책상에서 상판이 각도조절 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책상에 구비되는 상판에 설치되는 받침부재에 책장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홀더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대 고정장치가 설칟되는 상판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상판에 대한 변형예이고,
도 9는 도 7표시의 상판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대 고정장치에 구비되는 고정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대 고정장치가 설치된 각조조절 책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대 고정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대 고정장치에 구비되는 클립부재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1표시의 책상에서 상판이 각도조절 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책상에 구비되는 상판에 설치되는 받침부재에 책장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홀더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대 고정장치가 설칟되는 상판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상판에 대한 변형예이고, 도 9는 도 7표시의 상판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대 고정장치에 구비되는 고정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대 고정장치에는 받침부재(1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재(110)는 사각 바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판(10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받침부재(110)는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책상의 상판(100)에 안착되도록 구비되어 책이나 스케치북 등 책상에서 사용하는 물건을 받혀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표시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10)에는 책의 보고자 하는 페이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홀더(112)가 탄성력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 이러한 고정홀더(112)는 상기 받침부재(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책장을 넘긴 상태에서 책의 해당하는 페이지를 눌러 책의 페이지가 넘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112)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받침부재(110)에 고정되도록 상기 받침부재(110)에는 고정홈(1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홀더(112)는 좌우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받침부재(110)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도 6표시와 같이 여러 개의 고정홀더(112)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10)에 설치되는 고정홀더(112)를 회전시켜 책의 보고자 하는 페이지를 고정시키면 책장이 넘어가지 않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대 고정장치에는 클립부재(1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립부재(120)는 받침부재(110)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상판(10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텐션을 가지며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판(100)의 측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받침부재(110)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
이러한 클립부재(120)는 상기 받침부재(110)와 상판(100)의 측면 및 저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밀착편(12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밀착편(121)은 상판(100)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밀착부(121a)와 상기 측면밀착부(121a)의 상단에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판(100)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면밀착부(121b)와 상기 측면밀착부(121a)의 하단에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판(100)의 저면에 밀착되는 저면밀착부(121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밀착편(121)을 상판(10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키거나 밀착되도록 작동시키는 푸시캠(122)이 설치되고, 상기 푸시캠(122)을 푸시 가능하도록 회전 작동시키도록 회전레버(123)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레버(123)에 의해 작동된 푸시캠(122)을 복원시킬 수 있도록 복원스프링(12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원스프링(124)이 수용되고 상기 받침부재(110)의 양단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구(125)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구(125)를 덮도록 덮개편(126)이 설치되어 상기 덮개편(126)에 의해 상기 밀착편(12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 부호 (127)은 상기 결합구(125)의 상면 중앙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푸시캠(122)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회전레버(123)를 결합시키는 회전결합봉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대 고정장치에는 고정수단(1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130)은 클립부재(120)가 상판(100)의 측면을 따라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클립부재(12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고정돌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부(132)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00)의 측면에 그 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고정홈부(134)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돌부(132)는 밀착편(121)에 구비되는 측면밀착부(121a)의 중앙 부위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돌부(132)는 상판(100)의 측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돌부(132)의 외경은 상기 고정홈부(134)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고정돌부(132)가 상기 고정홈부(134)에 용이하게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 클립부재(120)의 이동시 상기 고정돌부(132)가 상판(100)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00)의 측면에서 상기 고정홈부(134)들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가이드홈부(13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부(136)의 깊이는 상기 고정홈부(134) 보다 깊지 않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부(132)가 고정홈부(134)로부터 빠져나와 이동될 때 상기 가이드홈부(136)에 안내되면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판(100)의 상단에는 손잡이홈부(102)가 형성될 수 있으면, 상기 손잡이홈부(102)는 상판의 경사 각도 조절시 상판의 파지를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책받침대 고정장치에서 상기 책상의 상판(100)에서 받침부재(11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클립부재(120)에 구비되는 회전레버(123)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푸시캠(122)이 "ㄷ" 자 형상의 밀착편(121)을 결합구(125)에서 멀러지게 밀어주게 되고, 이는 도 3표시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밀착편(121)이 상판(10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된다. 즉, 도 10표시와 같이 상기 밀착편(121)이 상기 상판(100)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탈되는 상태로 작동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돌부(132)는 상기 고정홈부(134)로 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상판(100)의 측면을 따라 밀착편(121)이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밀착편(121)이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레버(123)를 놓게 되면, 상기 복원스프링(124)에 의해 상기 밀착편(121)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고정돌부(132)가 상기 고정홈부(134)에 삽입되어 견고한 고정력을 갖도록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돌부(132)가 고정홈부(134)로부터 빠져나와 이동될 때, 상기 고정홈부(134)는 가이드홈부(136)를 따라 이동된다. 즉, 상기 클립부재(120)의 이동시 상기 밀착편(121)이 측면밀착부(121a)와 상면밀착부(121b) 및 저면밀착부(121c)에 의해 상기 책상이 측면과 상하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부(132)가 고정홈부(134)를 따라 이동됨으로 이동의 편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재(110)의 양단에 결합되는 클립부재(120)가 상기 상판(100)의 양측면에 고정됨으로, 즉 상기 밀착편(121)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부(132)가 상기 상판(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부(134)에 삽입되도록 고정됨으로 견고한 고정력을 갖게 하여 책받침으로의 사용시 책의 중량이 많이 나가도 밀리지 않고 지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상판 110 - 받침부재
120 - 클립부재 121 - 밀착편
122 - 푸시캠 123 - 회전레버
124 - 복원스프링 125 - 결합구
126 - 덮개편 130 - 고정수단
132 - 고정돌부 134 - 고정홈부

Claims (6)

  1.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책상의 상판에 안착되도록 구비되어 책을 받혀줄 수 있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상판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텐션을 가지며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판의 측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받침부재를 이동시키는 클립부재; 및
    상기 클립부재가 상판의 측면을 따라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클립부재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돌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홈부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침대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받침부재와 상판의 측면 및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밀착부와 상기 측면밀착부의 상단에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판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면밀착부와 상기 측면밀착부의 하단에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저면밀착부로 이루어지는 "ㄷ"자 형상의 밀착편;
    상기 밀착편이 상판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키거나 밀착되도록 작동시키는 푸시캠;
    상기 푸시캠을 푸시 가능하도록 회전 작동시키는 회전레버;
    상기 회전레버에 의해 작동된 푸시캠을 복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복원스프링;
    상기 복원스프링이 수용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양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 및
    상기 결합구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밀착편의 이동을 안내하는 덮개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밀착편에 구비되는 측면밀착부의 중앙 부위에서 상기 상판의 측면측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침대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부의 외경은 상기 고정홈부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침대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홈부들의 사이를 상기 클립부재가 이동시 고정돌부가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부들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가이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부의 깊이는 상기 고정홈부 보다 깊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침대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단에는 손잡이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침대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에는 책상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더가 회전 가능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침대 고정장치.
KR1020180095419A 2018-08-16 2018-08-16 책받침대 고정장치 KR102198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419A KR102198928B1 (ko) 2018-08-16 2018-08-16 책받침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419A KR102198928B1 (ko) 2018-08-16 2018-08-16 책받침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108A true KR20200020108A (ko) 2020-02-26
KR102198928B1 KR102198928B1 (ko) 2021-01-05

Family

ID=6963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419A KR102198928B1 (ko) 2018-08-16 2018-08-16 책받침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9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283A (ko) * 2021-10-23 2023-05-03 천원석 눈높이 독서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854Y1 (ko) * 2000-08-10 2001-01-15 정종만 독서대
KR200336922Y1 (ko) 2003-09-19 2003-12-31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 구조
KR20130038430A (ko) * 2011-10-10 2013-04-18 송경호 침상용 노트북 컴퓨터 테이블
KR101397074B1 (ko) 2013-01-31 2014-05-20 (주)포룸퍼니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원목책상
KR101430895B1 (ko) 2014-03-18 2014-08-18 (주)제이와이 상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1570025B1 (ko) * 2015-08-20 2015-11-27 나귀용 상판의 무단경사조절 가능한 책상
KR101867298B1 (ko) * 2018-01-17 2018-06-14 주식회사 카시모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옷걸이봉 조립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854Y1 (ko) * 2000-08-10 2001-01-15 정종만 독서대
KR200336922Y1 (ko) 2003-09-19 2003-12-31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 구조
KR20130038430A (ko) * 2011-10-10 2013-04-18 송경호 침상용 노트북 컴퓨터 테이블
KR101397074B1 (ko) 2013-01-31 2014-05-20 (주)포룸퍼니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원목책상
KR101430895B1 (ko) 2014-03-18 2014-08-18 (주)제이와이 상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1570025B1 (ko) * 2015-08-20 2015-11-27 나귀용 상판의 무단경사조절 가능한 책상
KR101867298B1 (ko) * 2018-01-17 2018-06-14 주식회사 카시모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옷걸이봉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283A (ko) * 2021-10-23 2023-05-03 천원석 눈높이 독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928B1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7025A (zh) 舒适保健看书架与多用途台灯一体化的学习器具
KR101615328B1 (ko) 독서대
US5624096A (en) Book support apparatus
KR102198928B1 (ko) 책받침대 고정장치
ES2257427T3 (es) Atril ergonomico.
KR101596010B1 (ko) 책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한 독서실책상
US2741869A (en) Reading stand
KR20210103824A (ko) 책받침대 고정장치
KR100786960B1 (ko) 서랍장이 구비된 싱크대
KR102350856B1 (ko) 각도조절 및 조작이 용이한 독서대를 갖는 테이블
US6349915B1 (en) Document support
US7152840B2 (en) Book holder
KR200455371Y1 (ko) 화이트보드 스탠드
KR20070029226A (ko) 개량형 수강 의자
GB1599064A (en) Portable stand for use in studying
CN201260504Y (zh) 舒适保健看书架与多用途台灯一体化的学习器具
KR200494815Y1 (ko) 키보드 받침대 겸용 보조 테이블
KR200425220Y1 (ko) 독서대
US664664A (en) Book or copy holder.
KR101492186B1 (ko) 독서대 겸용 책상
WO1999009859A1 (en) Book holder assembly
KR20180087087A (ko) 독서대상
JPH0681331U (ja) 仰臥式書見台
KR200301405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0275791Y1 (ko) 책장을 구비한 컴퓨터용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