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939A -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939A
KR20200019939A KR1020200020097A KR20200020097A KR20200019939A KR 20200019939 A KR20200019939 A KR 20200019939A KR 1020200020097 A KR1020200020097 A KR 1020200020097A KR 20200020097 A KR20200020097 A KR 20200020097A KR 20200019939 A KR20200019939 A KR 20200019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yrics
data
song
informa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김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석 filed Critical 김기석
Priority to KR1020200020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9939A/ko
Publication of KR20200019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375Tempo or beat alterations; Music timing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방법은 노래방 반주용 음원 데이터의 진행 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메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진행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사 데이터의 표시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표시 방식에 따라 상기 음원 데이터 및 상기 가사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부르고자 하는 노래의 진행 속도에 따라 표시되는 가사를 보다 쉽게 확인하고 따라 부를 수 있다. 또한, 노래 가사를 표시하기 위한 부가적인 인터페이스 요소를 배제하고 기존의 표시 방식의 단순 변경을 통해 다양한 노래 진행 속도에 맞추어 가사를 표시할 수 있어, 기존의 노래방 기기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for displaying lyrics for karaoke device and device for the method}
본 발명은 노래방 기기 또는 음원 재생 장치의 가사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방에서 사용되는 노래방 기기는 미리 저장된 노래 데이터나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수신한 노래 데이터를 음향 기기를 통해 출력하며, 이와 함께 사용자가 따라 부르기 쉽도록 노래 데이터에 대응되는 가사 데이터를 함께 읽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해주고 있다.
또한, 더욱더 사용자가 노래를 쉽게 부르도록 하기 위하여 가사 데이터를 표시함에 있어, 가사의 음절을 기준으로 노래의 진행 속도에 맞추어 음절이 색칠되는 효과를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박자를 맞출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노래방 기기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가사 데이터를 통해 가사의 전달이라는 1차적인 목적에서 나아가, 박자의 안내라는 2차적인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나아가, 박자 외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통해 음정을 표시해주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반주의 속성 정보를 함께 제공해 주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노래방 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를 노래와 매칭시켜, 선곡한 노래에 알맞은 분위기를 영상을 통해 연출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한국등록특허 10-1770551(공고일 2017.08.17.)), 노래와 함께 음정을 표시하는 방법(한국등록특허 10-1476788(공고일 2014.12.19)) 등, 다양한 사용자의 노래를 보조하기 위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래방 기기의 영상의 기본적인 목적인 가사의 표시 방법은 노래와 무관하며, 종래의 표시 방식인 2줄로 고정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통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도 스마트폰을 통해 가사를 표시할 때 기존의 박자 표시 방법을 그대로 채용할 뿐 노래에 따라 가사의 표시 방식이 달라지지는 않고 있다.
즉, 현재 노래방 기기를 기준으로 자막 표시는 노래의 진행 속도, 가사의 양 등에 관계없이 한 화면에 2줄의 자막만을 표시하게 때문에, 힙합곡(랩)과 같은 빠른 노래의 가사를 눈으로 보고 따라 부르고 연습함에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방법을 노래에 따라 달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래의 진행 속도에 따른 가사 표시 방법을 영상을 기준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다 상세하게는 노래의 진행 속도의 판단 방법 및 가사의 표시 변경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방법은 노래방 반주용 음원 데이터의 진행 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메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진행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사 데이터의 표시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표시 방식에 따라 상기 음원 데이터 및 상기 가사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기기는 노래방 반주용 음원 데이터의 진행 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메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진행 속도 및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사 데이터의 표시 방식을 결정하는 진행 속도 결정부; 상기 결정된 표시 방식에 따라 상기 가사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영상 표시부; 상기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음원 재생부; 및 사용자의 선곡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서비스 제공 서버는 노래방 반주용 음원 데이터의 진행 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메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진행 속도 및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사 데이터의 표시 방식을 결정하는 진행 속도 결정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곡 정보를 입력 받고 선곡된 노래의 음원 데이터를 스트리밍으로 제공하되, 상기 선곡된 노래의 가사 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표시 방식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는 스트리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부르고자 하는 노래의 진행 속도에 따라 표시되는 가사를 보다 쉽게 확인하고 따라 부를 수 있다. 또한, 노래 가사를 표시하기 위한 부가적인 인터페이스 요소를 배제하고 기존의 표시 방식의 단순 변경을 통해 다양한 노래 진행 속도에 맞추어 가사를 표시할 수 있어, 기존의 노래방 기기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기기가 동작하는 환경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기기에서 이용되는 메타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 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외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노래방 기기는 화면(210)에 영상과 함께 가사(220)를 표시하여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로 하여금 가사를 눈으로 확인하여 노래를 따라 부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가사는 노래의 진행 속도에 맞추어 자동으로 변경되며 표시되는 가사와 관련된 멜로디 부분을 지나가게 되면 자동으로 다음 멜로디에 해당하는 가사를 영상의 하단에 표시해 주고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재생되는 멜로디에 맞는 가사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가사를 외우지 않더라도 노래를 따라 부를 수 있다.
또한, 가사 표시 시 진행 속도에 맞추어 시각적으로 음절의 색을 채우거나 하는 등의 보조적인 기능을 포함하여 표시되는 가사를 보고 사용자는 박자를 맞추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현재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는 필수 불가결한 기능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가사 표시와 함께 최초 노래의 시작 타이밍을 제공해 주기 위해 숫자를 카운팅하는 이미지, 노래가 간주중을 의미하는 표시 정보, 나아가 음정을 표시해 주는 표시 정보들도 함께 포함되어 사용자의 노래를 보조하고 있다.
즉, 노래방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노래 부르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기능 들을 부가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노래방 기기의 부가 기능에도 불구하고 가사 표시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줄로 고정되어 있으며, 2줄에 표시할 수 있는 텍스트 정보의 제한으로 인해 랩이나 박자가 빠른 노래의 경우는 노래를 부르며 다음 가사를 미리 눈으로 익히기에 부족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현재에는 네트워크 통신 기술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직접 노래방에 가지않고도 사용자가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또는 스마트폰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노래 데이터를 재생하고 스마트폰에 탑재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노래 연습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스마트폰에 설치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도 일반적인 노래방 기기와 마찬가지로 가사를 디스플레이부 하단에 표시해주고 있으며, 가사를 표시하는 줄 수는 어플리케이션의 개별적인 설정에 따라 차이 날수 있으나 노래의 진행 속도에 따라 가사를 표시하는 방식을 변경하지는 않는 바 위에서 언급한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과 비교하여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노래방 기기와 연동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도 1의 경우 동일한 화면(210)의 영상에 2줄로 가사를 표시(220)하고 있으나 도 2는 3줄로 가사를 표시(220)해 준다.
이 때, 본 발명은 노래 가사를 단순히 2줄에서 3줄, 4줄 등으로 변경하는 것이 특징이 아니라, 가사의 표시 방식을 변경함에 있어 노래의 진행 속도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가사의 표시 방식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하여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기기(100)가 동작하는 환경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오프라인 환경에서 동작하는 예로서, 노래방 기기(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스피커 장치(300), 마이크 장치(400) 및 데이터베이스(1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웹(1000)에 직접 접속하여 웹 환경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노래방 기기(100)는 음원 데이터(10)와 음원 데이터(10)에 대한 메타 데이터(20)를 데이터베이스(105) 또는 웹(1000)으로부터 수신하고, 음원 데이터(10)는 스피커 장치(300)를 통해 외부로 출력 시킨다.
또한, 노래방 기기(100)는 음원 데이터(10)와 직접 연관되거나 또는 미리 저장된 영상 데이터(30)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표시하고 이때, 영상 데이터(30)의 프레임 일부에 가사 데이터(40)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영상과 함께 가사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마이크 장치(4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를 입력 받고 노래방 기기(100)는 이를 통해 미리 저장된 음원 데이터(10)와 가사 데이터(40) 등의 정보들과 비교하여 노래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노래방 기기(100)는 기존의 노래방에서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스피커 장치(300), 마이크 장치(400)와 연동하여 동작하되 본 발명에 따른 가사 데이터(40)의 표시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가사를 표시해 준다.
이때, 노래방 기기(100)는 내부의 데이터베이스(105)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변경, 업데이트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가사 표시 방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웹(1000)으로부터 직접 변경되는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하고 이를 통해 내부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기기(100)의 가사 표시 방법은 일반적인 노래방 환경 외에 스마트폰을 통한 노래방 환경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폰 환경에서 노래방 기기(100)는 스마트폰 단말과 스마트폰에 설치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112)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스마트폰 내부의 스피커부(106)를 통해 음원 데이터(10)를 재생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08)를 통해 가사와 영상을 표시해 줄 수 있다. 또한 마이크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노래방 어플리케이션(112)은 앱스토어, 플레이스토어 등을 통해 배포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다운로드 하면 스마트폰의 메모리부(104)에 설치될 수 있다.
노래방 어플리케이션(112)은 스마트폰의 운영체제 상에서 동작하며, 스마트폰에 탑재된 스피커부(106), 마이크부(110), 디스플레이부(108)에 대한 접근 권한을 얻어 노래방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준다.
이때, 노래방 어플리케이션(112)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사 표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노래 진행 속도에 따른 가사 표시 방법을 결정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08)에 적용하여 노래 진행 속도에 맞추어 가사를 표시해 준다.
또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112)은 스마트폰의 통신부(102)를 통해 직접 웹(1000)에 접속하여 노래의 음원 데이터(10) 및 메타 데이터 등을 직접 수신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스트리밍 방식으로 음원 데이터(10)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112)이 가사 데이터(40)의 표시 방식을 서버로부터 직접 입력 받고 이를 수신한 가사 데이터(40)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부(108)로 표시해 주는 것도 가능하다. 즉, 노래방 어플리케이션(112)이 음원 데이터(10)와 가사 데이터(40)를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하여 제공하는 경우에는 서버에서 가사 표시 방식을 결정하고 그 결정 값을 전달 받고 스마트폰 단말의 단위에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사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노래방 기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에에 따른 노래방 기기(100)는 음원 재생부(120), 진행 속도 결정부(130), 영상 표시부(140), 가사 표시 방식 결정부(150), 사용자 입력부(160),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음원 재생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 즉 음원 데이터(10)를 스피커 장치(300)를 통해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음원 재생부(120)는 사용자가 특정 노래 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선곡 번호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05)에 미리 저장된 음원 데이터(10)를 읽고 이를 스피커 장치(3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음원 데이터(10)의 재생과 관련된 속성을 입력하면 이에 따라 재생 속성을 변경하여 스피커 장치(300)가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속성으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간주를 스킵하고 가사가 나오는 부분부터 재생 하기를 입력한 경우 미리 저장된 간주 구간 정보를 통해 구간을 스킵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음원 데이터(10)의 재생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하는 정보를 입력 받거나, 음정을 변경하는 정보 등을 받으면 이에 따라 조절하여 음원 데이터(10)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진행 속도 결정부(130)는 노래방 반주용 음원 데이터(10)의 진행 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20)를 입력 받고, 메타 데이터(20)를 이용하여 진행 속도를 결정한다.
진행 속도는 음원 데이터(10)의 빠르기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템포 정보로 메타 데이터(2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진행 속도 결정부(130)는 템포 정보를 메타 데이터로(20)부터 읽고 이를 통해 진행 속도를 결정한다. 진행 속도는 템포 정보 값을 그대로 결정될 수 있으며, 또는 템포 정보 값과 함께 부가 적인 메타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원 데이터(10)의 메타 데이터(20)를 예시하는 도로서, 메타 데이터(20)는 곡명 정보(21), 곡 번호 정보(22), 가수 정보(23), 작곡가 정보(24), 작사가 정보(25), 장르 정보(26), 국가 정보(27), 템포 정보(2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템포 정보(28)에 저장된 템포 값을 직접 추출하고 이를 노래 진행 속도로 결정하는 것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메타 데이터(20)의 값을 이용하여 노래 진행 속도의 결정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데이터(10)의 템포 정보 값 외에 가수 정보(23)를 통해 해당 노래의 가수의 노래 부르는 방식으로 음색이나 플로우 등을 반영하여 템포 외에 가수의 특징에 따른 노래의 진행 속도, 더욱 상세하게는 가사의 읽기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가수 정보(23)는 노래가 다른 가수와의 협업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예를 들어 가수는 발라드 가수이나 랩을 하는 힙합 가수와 협업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를 반영하여 노래의 진행 속도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가수와 협업이 이루어진 경우 각 가수 별로 구분하여 노래의 진행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가사 표시 방식 역시 가수 별로 구분되어 결정될 수 있다.
가수 정보(23) 외에도 작곡가 정보(24), 작사가 정보(25) 역시 단순한 템포 정보 외에 가사 읽기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노래 진행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장르 정보(26)를 통해 노래의 장르가 발라드인지, 힙합인지, R&B인지에 따라 평균적인 노래의 플로우를 파악하고 이를 진행 속도 결정에 반영시킬 수 있다.
국가 정보(27)는 해당 가수의 국적에 대한 정보로서 국적에 따라 사용하는 언어가 달라질 수 있으며, 언어가 다른 경우는 텍스트의 표기 방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는 노래의 진행 속도 외에 가사 표시 방식을 결정하는데 대한 부가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음원 데이터(10)의 메타 데이터(20) 외에 가사 데이터(또는 가사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40)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사 데이터(40)는 곡 매칭 정보(42), 싱크 정보(44), 언어 정보(46), 데이터 크기 정보(48)를 포함한다.
곡 매칭 정보(42)는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방 곡과 매칭 정보로서 노래방 기기(100)가 음원 데이터(10)와 독립하여 가사 데이터(40)를 저장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곡에 따라 음원 데이터(10)와 함께 가사 데이터(4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사 데이터(40)가 음원 데이터(10)의 메타 데이터(20) 내부에 포함되는 경우 곡 매칭 정보는 생략될 수 있다.
싱크 정보(44)는 가사 데이터(40)가 표시되어야 할 타이밍 값으로 가사 마디 별로 대응되는 노래의 진행 시간 값을 저장하고, 노래의 해당 진행 시간에 가사 데이터(40)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싱크 정보(44)는 스피커 장치(300)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 데이터(1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출력되는 가사 데이터(40)를 서로 동기화하여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며 쉽게 가사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싱크 정보(44)는 보다 상세한 정보로 가사 데이터(40)에 포함된 음절 별 노래의 진행 시간 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노래방 가사를 통해 박자 정보를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를 마이크 장치(400)로부터 입력 받고, 싱크 정보(44)를 통해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의 정확도를 점수로 산정할 수 있다.
언어 정보(46)는 가사 데이터(40)의 사용 언어에 대한 값으로, 예를 들어 우리나라 노래의 경우는 언어 정보는 국어, 영어가 포함될 수 있다. 팝송의 경우에는 영어, J-POP의 경우는 일본어, 등 각 나라의 노래에 따라 가사 데이터(40)에 이용된 언어 정보(46)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언어 정보(46)는 상술한 메타 데이터(20)의 국가 정보(27)와 함께 가사 표시 방식을 결정하는데 대한 부가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경우는 받침이 없어 동일한 뜻의 단어가 영상 내 차지하는 길이가 늘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가사 표시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 데이터 크기(48)는 가사 데이터(40)의 절대적인 크기 값으로서 이를 이용하여 노래 진행 속도를 간접적으로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수치적인 데이터 크기 값으로 노래의 전체 길이 정보와 전체 가사 데이터(40)의 크기를 노래의 진행 속도 결정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사 데이터(40)의 크기가 100kb이고 노래의 전체 시간 중 간주를 제외한 실 노래 진행 시간이 120초인경우 초당 0.83kb의 텍스트를 표시해야 하므로 이를 간접적인 노래 진행 속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때의 산출된 노래 진행 속도를 이용하여 가사 표시 방식 결정부(150)는 언어 정보(46)로서 해당 언어의 영상 프레임 내 한 줄 당 표시되는 텍스트의 데이터 크기를 기준으로 영상 프레임 내 한번에 표시되는 가사 데이터(40)의 줄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가사 표시 방식 결정부(1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가사 표시 방식 결정부(150)는 음원 데이터(10)에 대응하는 가사 데이터(40)의 표시 방식을 결정한다. 가사 표시 방식 결정부(150)는 상술한 진행 속도 결정부(130)에서 결정된 노래의 진행 속도에 따라 가사 데이터(40)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화면의 일 프레임을 기준으로 가사 데이터(40)의 표시 방식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가사 표시 방식 결정부(150)는 화면의 일 프레임 당 표시되는 상기 가사 데이터(40)의 표시 라인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과 같이 2줄로 표시되는 가사 데이터(40)를 기준으로 노래 진행 속도의 변화, 가사 데이터(40)의 크기를 기초로 가사 데이터(40)의 표시 라인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행 속도 결정부(130)에서 결정된 노래의 진행 속도를 미리 설정된 진행 속도 별 일 구간에 대응시켜 해당하는 표시 라인의 수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진행 속도 결정부(130)는 노래의 진행 속도를 구간으로 구분하고 이에 대응되는 표시 라인의 수를 테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참조 테이블로 상술한 가사 데이터(40)의 언어 정보 등에 따른 변경 값 들을 저장하고 이를 반영하여 최종 표시 라인의 수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진행 속도 및 언어 정보 외에 상술한 가사 데이터(40)의 데이터 크기 정보를 통해 보다 산술적으로 최종 표시 라인의 수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가사 표시 방식 결정부(150)는 영상에 표시되는 가사의 표시 방식을 결정하므로 가사의 배경이 되는 영상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표시 방식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영상에 대한 미리 결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사의 표시 위치, 표시 공간의 크기를 반영하여 표시 라인의 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 데이터(또는 영상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30)를 이용하여 표시 방식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영상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30)를 나타내는 도로서, 영상 데이터에 대한 곡 매칭 정보(32), 프레임 정보(34), 영상 내 객체 정보(36), 기타 속성 정보(38)를 포함할 수 있다.
곡 매칭 정보(32)는 영상 데이터(30)와 음원 데이터(10)를 곡으로 매칭 시키기 위한 인덱싱 정보로 가사 데이터(40)와 마찬가지로 해당 곡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이에 맞는 영상 데이터(30)를 표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가수의 곡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곡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가사 데이터(40)와 해당 곡의 뮤직비디오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 정보(34)는 영상 내 프레임의 크기, 영상의 전체 프레임 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의 전체 프레임 수를 계산하고 특정 프레임에서 가사가 변경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내 프레임의 크기가 결정된 가사 표시 라인의 수를 수용하기에 작은 경우에는 이를 반영하여 가사 표시 라인의 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 내 객체 정보(36)는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을 저장하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사물에 대한 정보, 영상에 등장하는 배경의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내 객체 정보(36)는 노래방 기기(100)의 특성상 전경에 표시되는 가사 데이터(40)의 배경으로 표시되게 되므로 가사의 시인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배경으로 표시되는 영상이 가사에 의해 무조건적으로 가려지게 되는 경우 영상으로 인해 제공되는 몰입도나 분위기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상호 보완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가사 표시 방식 결정부(150)는 영상 내 객체 정보(36)를 이용하여 시인성의 영향 여부를 고려하여 적절한 가사 표시 라인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을 비교하여 참조하면, 도 9는 영상 내 의미가 있는 객체가 포함된 경우와 도 10은 의미가 다소 약한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의 경우 화면(210)에 의미 있는 객체(230)가 2가지로 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객체가 곡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제공하는 것인 경우 객체가 가려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최대한의 가사 표시 라인의 수를 결정하여 표시(220)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도 10과 같이 화면(20)에 의미 있는 객체가 없이 단순 배경인 경우에는 가사가 화면 전체에 표시되더라도 몰입도나 분위기에 큰 영향이 없으므로, 가사 표시 라인의 수를 보다 크게 결정하여 표시(220)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 가사 표시 방식 결정부(150)는 영상 데이터(30)에 대한 메타 데이터로서 영상 내 객체 정보(36)를 이용하여 가사 표시 방식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타 속성 정보(38)로서 영상의 해상도 등의 정보를 반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표시부(140)는 이상의 각 구성들의 동작에 따라 결정된 가사 표시 방식에 따라 영상 데이터(30)와 가사 데이터(40)를 함께 디스플레이부(108)가 출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부(160)는 노래방 기기(100)에 대한 사용자의 곡 선택 정보를 기본으로, 사용자의 재생 속도의 변경, 간주를 스킵하는 등의 재생 상황의 변경 등의 정보를 입력 받고 이를 반영하여 가사 표시 방식 결정부(150)가 가사 표시 방식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를 추가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이상의 구성에 따른 각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며 수집되는 정보나 결정된 정보를 전달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가사 표시 방식 결정부(150)는 추가적인 기능으로서 표시되는 가사를 변경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 가사 표시 방식 결정부(150)에서 표시 라인의 수를 다수로 결정한 경우 다수로 표시되는 가사를 단순 변경하게 되면, 사용자의 시선이 맨 아래 라인의 가사를 읽고 변경된 화면의 맨 위 라인의 가사를 읽어야 함에 따라 노래 부르는데 있어 시선의 이동으로 인한 방해가 발생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가사 표시 방식 결정부(150)는 표시 라인의 수가 결정된 이후, 표시 라인의 수에 따른 가사 화면의 변경 방식을 더욱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사 표시 방식 결정부(150)는 표시 라인의 수의 중간 값(2)을 기준으로 가사 화면의 변경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11에 따르면 총 4개의 라인으로 가사가 표시되는 경우 중간 값인 라인 2의 가사(②)와 라인 3의 가사(③)를 기준으로, 라인 3의 가사(③)에 해당하는 멜로디가 끝나갈 때쯤, 각 라인의 가사를 상위로 이동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라인 1에 존재하던 가사(①)는 화면에서 사라지게 되며, 라인 2에 존재하던 가사(②)는 라인 1로 이동한다, 라인 3 및 라인 4에 존재하는 가사 (③,④)도 각각 라인 2와 라인 3으로 이동하게 된다. 라인 4는 다음 가사에 해당하는 가사가 신규로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라인 2와 라인 3의 위치에 대부분의 시선을 고정한 채 노래를 따라 부를 수가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총 5개의 라인으로 가사가 표시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는 중간값(3)에 해당하는 라인 3의 가사(③)를 기준으로 상술한 방식으로 가사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라인 3에 대부분의 시선을 고정한 채 변경되는 가사를 눈으로 인식하고 노래를 따라 부를 수가 있다.
다만, 도 12와 같이 복수의 라인으로 표시되는 경우는 노래의 진행 속도가 평균보다 빠른 경우 이므로 라인 3의 가사를 기준으로 전체 가사를 도 11과 같은 방식으로 변경하게 되면 변경이 너무 잦아지게 되며 사용자가 오히려 가사를 인식하기 어렵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라인의 수를 초과하여 표시 라인의 수가 결정된 경우 도 12와 같이 5개의 라인으로 표시 라인의 수가 결정된 경우에는 중간값에 해당하는 라인 3(③)의 전후 라인으로 라인 2, 라인 4의 가사(②,④)를 기준으로 가사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인 4의 가사(④)의 중반부에 해당하는 멜로디가 재생될 때쯤 라인 4의 가사(④)를 라인 2의 위치로 이동 시키고, 라인 5의 가사(⑤)는 라인 3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또한 라인 3의 가사(③)는 라인 1로 이동 시킬 수 있다.
변경된 화면의 라인 4, 5는 다음 멜로디에 해당하는 가사가 신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 따른 가사 표시 방법은 노래의 진행 속도, 가사 데이터(40)의 속성 및 영상 데이터(30)의 속성을 고려하여 가사의 표시 라인의 수를 결정하되, 결정된 표시 라인의 수에 따라 다음 가사를 연속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결정하여 사용자가 노래를 따라 부르기에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가사를 표시해 준다.
나아가, 상술한 실시예는 노래방 기기(10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래방 기기(10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스마트폰의 노래방 어플리케이션(112), 통신부(102) 및 메모리부(104)와 연동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적으로 노래방 기기(100)의 스피커 장치(300)는 스마트폰의 스피커부(106)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108)로, 마이크 장치(400)는 마이크부(110)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주체만 달리하여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기기(100)의 가사 표시 방법을 흐름도를 통해 그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사 표시 방법은 노래방 반주용 음원 데이터(10)의 진행 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S100).
입력 받는 단계(S100)는 기본적으로 메타 데이터로 템포 정보를 직접 입력 받거나 그 외 진행 속도와 관련될 수 있는 메타 데이터, 가사 데이터(40), 영상 데이터(30)의 각 메타 데이터를 더욱 입력 받는 것도 가능하다.
메타 데이터가 입력되면 메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음원 데이터(10)의 진행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음원 데이터(10)에 대응하는 가사 데이터(40)의 표시 방식을 결정한다(S200).
상술한 바와 같이 템포 정보 외에 가수 정보, 작곡가 정보, 작사가 정보 역시 단순한 템포 정보 외에 가사 읽기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노래 진행 속도를 산출하고 이에 따라 가사 데이터(40)의 표시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가사 데이터(40)로서 언어 정보와 데이터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진행 속도에 반영하여 가사 데이터(40)의 표시 방식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방식에 따라 표시 라인의 수가 결정되면 결정된 표시 방식에 따라 상기 음원 데이터(10) 및 상기 가사 데이터(40)를 출력한다(S300).
도 14를 참조하여 결정하는 단계(S2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결정하는 단계는 가사 데이터(40)가 표시되는 화면의 일 프레임을 기준으로 가사 데이터(40)의 표시 방식을 결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가사 데이터(40)의 표시 라인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S210).
나아가 영상 데이터(30)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사 데이터(40)의 표시 라인의 수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표시 라인의 수가 결정되면 다음 가사를 연속하여 표시하는 방법으로 표시 라인의 변경 방법을 결정하여 사용자가 노래를 따라 부르기에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가사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S220).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사 표시 방법은 도 15와 같이 노래의 진행 중간에 사용자의 템포 변경 입력이 있는 경우(S205) 이를 반영하여 가사 표시 라인의 수 및 표시 라인의 변경 방법을 재수정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부르고자 하는 노래의 진행 속도에 따라 표시되는 가사를 보다 쉽게 확인하고 따라 부를 수 있다. 또한, 노래 가사를 표시하기 위한 부가적인 인터페이스 요소를 배제하고 기존의 표시 방식의 단순 변경을 통해 다양한 노래 진행 속도에 맞추어 가사를 표시할 수 있어, 기존의 노래방 기기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노래방 반주용 음원 데이터의 진행 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메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진행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진행 속도에 따라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사 데이터의 표시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표시 방식에 따라 상기 음원 데이터 및 상기 가사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사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 당 표시 가능한 상기 가사 데이터의 전체 표시 라인의 수를 결정하고,
    상기 전체 표시 라인의 수의 중간 값에 해당하는 일 가사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가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방법.
KR1020200020097A 2020-02-19 2020-02-19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200019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097A KR20200019939A (ko) 2020-02-19 2020-02-19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097A KR20200019939A (ko) 2020-02-19 2020-02-19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587A Division KR102112738B1 (ko) 2017-12-06 2017-12-06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939A true KR20200019939A (ko) 2020-02-25

Family

ID=6964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097A KR20200019939A (ko) 2020-02-19 2020-02-19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99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71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sical training
JP2017040867A (ja) 情報処理装置
US7094960B2 (en) Musical score display apparatus
CN113821189A (zh) 音频播放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JP5986387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歌詞表示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20200019939A (ko)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방법 및 장치
US114370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KR102112738B1 (ko) 노래방 기기의 가사 표시 방법 및 장치
JP680917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4170279B2 (ja) 歌詞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2007334202A (ja) カラオケ装置
JP3807380B2 (ja) スコアデータ編集装置、スコアデータ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720974B2 (ja) 音声発生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642367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用プログラム
JP6144593B2 (ja) 歌唱採点システム
JP2014026232A (ja) 歌詞文字映像表示制御装置、歌詞文字映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歌詞文字映像表示方法
US1201472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JP2003271158A (ja) 画像変更機能を持つカラオケ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4550690A (zh) 歌曲合成方法及装置
JP6583756B1 (ja) 音声合成装置、および音声合成方法
JPH08146977A (ja) カラオケ装置
JP4173475B2 (ja) 歌詞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3453298B2 (ja) カラオケ歌詞表示システム
KR100287505B1 (ko) 미디템포변화에따른음성데이터제어방법
JP6439288B2 (ja) 合成情報管理装置および合成情報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