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707A - 모바일 결제를 위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모바일 결제를 위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707A
KR20200019707A KR1020207001379A KR20207001379A KR20200019707A KR 20200019707 A KR20200019707 A KR 20200019707A KR 1020207001379 A KR1020207001379 A KR 1020207001379A KR 20207001379 A KR20207001379 A KR 20207001379A KR 20200019707 A KR20200019707 A KR 20200019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ming
payment
mobile device
server
paymen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694B1 (ko
Inventor
엠. 올레그 마코텡
엠. 메디 엘-하우신
Original Assignee
아이데미아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데미아 프랑스 filed Critical 아이데미아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200019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itialising or reload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2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between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d a front-end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음에 홈 결제 네트워크(H-NT)에서 트랜잭션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결제 카드(C1)와 연관된 데이터의 제 1 세트(DT1)를 가지고 구성되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을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OC)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40);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이용이 가능한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로밍 정보(RI)를 수신하는 단계(S48);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를 선택하는 단계(S50); 상기 선택된 로밍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에 할당된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를 획득하는 단계(S68); 및 상기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로밍 정보(RI)를 전송하고(S46) 및 제 2 데이터(DT2)를 전송하기 위해 서버에 의해 구현되는 프로세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결제를 위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
본 개시는 전반적으로 결제 트랜잭션(transaction)들과 같은 금융 트랜잭션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더 구체적으로 그러나 비배타적으로, 사용자가, 특정 결제 네트워크에서 결제 트랜잭션들과 같은 트랜잭션들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내의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제품들 및 서비스들에 대한 결제는 일반적으로 신용 카드들, 직불 카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결제 카드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모바일 지갑들에 기초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들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 폰으로부터의 결제 또는 구매가 가능한 편의성에 기인하여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 결제 및 서비스 제공자들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또는 애플릿)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신용 카드 발급사 또는 은행을 통해, 또는 제 3 자 결제 제공자를 통해 사용자가 결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모바일 지갑을 사용하는 모바일 결제들은 전형적으로 사용자가 결제 카드의 세부사항들을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등록하는 것을 수반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제 카드를 사용하여 결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 지갑을 저장한다. 모바일 지갑 결제 트랜잭션에서, 소비자는, 결제 카드의 세부사항들을 제공하는 그의/그녀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인의 리더 단말(reader terminal)에 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상인은 트랜잭션을 인가(authorize)하기 위해 이러한 정보를 사용한다.
요즘에, 모바일 결제 카드들은, 실제 결제 카드들과 마찬가지로, 이들이 금융 트랜잭션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특정 결제 네트워크들(또는 뱅킹(banking) 네트워크들)과 호환되도록 구성된다. 전형적으로, 모바일 결제 카드는 카드 발급사 사양(specification)들에 따라 국가 결제 네트워크 내에서 동작하도록 디지털 지갑 내에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의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에는 이러한 국가 결제 네트워크와 호환되는 카드 세부정보들(식별자, 키(key)들, 파라미터들 등)이 구비된다. 프랑스에서, 예를 들어, "뱅킹 카드(Banking Card)"(또는, 프랑스어로 "Cartes Bancaires"이라고 하는 CB)로 알려진 결제 네트워크는 프랑스 은행에 의해 발급된 모바일 결제 카드를 사용하여 결제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국내 결제 네트워크이다.
그러나, 로밍(roaming) 사용자들은, 그들의 모바일 결제 카드가 동작하도록 구성된 국가 결제 네트워크의 범위(reach)를 벗어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용가능 결제 네트워크들이 모바일 결제 카드를 승인(accept)하지 않는 지역에서 로밍할 때, 예를 들어, 사용자의 국내 영역 외부에서 로밍할 때, 결제와 같은 금융 트랜잭션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오늘날 로밍 결제에 대하여 확립된 표준은 VISATM 또는 MASTERCARDTM 결제 네트워크들과 같은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글로벌 네트워크들은, 이들이 광범위한 지리적 영역들을 커버하며 그에 따라 흔히 최종 사용자들에게 용이하게-액세스할 수 있는 로밍 결제 해법을 제공한다는 점에 있어서 유익하다. 그러나, 현재 결제 네트워크들은 또한 단점들을 나타낼 수 있으며, 로밍 결제들을 위해 이들을 사용하는 것이 항상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따라서, 효율적인 결제 로밍 해법에 대한 필요성이 당업계에 존재한다.
이상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나라를 바꾸면서) 상이한 영역들에서 로밍하는 사용자는 그의/그녀의 모바일 결제 카드가 동작하도록 구성된 국가 결제 네트워크의 범위 밖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결제 카드들과 마찬가지로, 모바일 지갑은, 로밍 상황일 때 국제 결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뱅킹 카드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늘날 결제 로밍을 위한 확립된 표준은 사용자가 VISATM 또는 MASTERCARDTM에 의해 운영되는 국제 결제 네트워크들과 같은 단일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로밍 사용자는 결제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국제 결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을 희망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바일 결제 해법들의 분야의 일부 관계자들은 국제 결제 시스템들보다는 국가 결제 시스템들의 사용 및 배포를 촉진하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언급된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 보다 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로밍하고 있는 동안 모바일 결제 카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시도한다. 본 발명은 효율적인 로밍 모바일 결제 해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언급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밍 결제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일 글로벌 결제를 사용하는 현재의 확립된 관행으로부터 벗어나며, 그 대신에 새로운 접근 방식에 기초하는 해법, 즉, 이들이 결제 로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서로 협동할 수 있도록 호환가능한 2개의 별개의 특허 네트워크들(즉, 홈(home) 결제 네트워크 및 로밍 결제 네트워크)을 렌더링(render)하는 것에 기초하는 해법을 제공한다.
오늘날, 국가 결제 네트워크들 사이의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의 결여는, 각각의 결제 네트워크들의 상이한, 흔히 비호환적인, 사양들로부터 기인한다. 전세계적인 표준화된 결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전세계적인 노력이 있지만, 이러한 해법은 아마도 이것이 등장하기 이전에 상당한 시간 및 노력을 요구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결제 네트워크들 사이에 상호 운용성을 수립하고 그럼으로써 오늘날 확립된 관행과 같은 단일 글로벌 결제 시스템을 사용하는 대신에 2개의(또는 그 이상의) 별개의 결제 네트워크들을 통해 로밍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결제 로밍을 위한 효율적인 해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은 처음에는 홈 결제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결제 카드와 연관된 데이터의 제 1 세트를 가지고 구성되고,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position)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에서 이용이 가능한 소위 로밍 결제 네트워크인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결제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로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로밍 정보에 기초하여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로밍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모바일 결제 카드에 할당된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결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가지고 상기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단계.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일단 구성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결제 카드를 사용하여 트랜잭션(예컨대 결제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요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홈 결제 네트워크의 범위를 벗어나 로밍하고 있다는 것을 검출할 때 전송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지리적 정보;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이의 부분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식별자.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로밍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로밍 은행 네트워크와 연관된 파라미터들로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서비스 레이트(rate)들 및 승인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파라미터들; 및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각각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가 선택될 우선순위 순서를 정의하는 우선순위 정보.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의 제 1 세트는 홈 결제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결제 카드의 제 1 식별자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 1 서버로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 대한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로비저닝 요청은 상기 제 1 식별자를 포함하는, 단계;
제 1 서버로부터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데이터의 제 2 세트는: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모바일 결제 카드에 할당된 로밍 토큰(roaming token), 및
상기 로밍 토큰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의 제 1 세트는 홈 결제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한 모바일 결제 카드에 할당된 주(primary) 계좌 번호(account number)에 대응하는 홈 토큰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처음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홈 결제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에 할당된 주 계좌 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주 계좌 번호를 제 1 서버로 전송하며; 및
상기 주 계좌 번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의 제 1 세트를 수신하게끔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에 의해 지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기록 매체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그리고 더 일반적으로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도록 배열되고,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상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디지털 지갑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의 구현을 위해 적응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에 의해, 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를 제공하며, 이러한 기록 매체는 거기에 기록된 이상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협동하는 제 1 서버에 의해 구현되는 프로세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로밍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 사이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 대한 프로비저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모바일 결제 카드에 할당된, 소위 데이터의 제 2 세트인 데이터의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결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기 위해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지리적 정보;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이의 부분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식별자.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서버는, 개별적인 영역에서 액세스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 네트워크를 특징짓는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조사(consult)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결정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로밍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로밍 은행 네트워크와 연관된 파라미터들로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서비스 레이트들 및 승인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파라미터들; 및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각각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가 선택될 우선순위 순서를 정의하는 우선순위 정보.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의 제 2 세트는,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로밍 결제 네트워크와는 상이한 홈 결제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들을 수행하기 위해 이를 가지고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이 처음에 구성된 데이터의 제 1 세트와는 상이하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비저닝 요청은 홈 결제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결제 카드의 제 1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식별자는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의 부분이고; 여기에서 데이터의 제 2 세트는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결제 카드의 로밍 토큰 및 로밍 토큰과 연관된 제 2 식별자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연속적으로:
모바일 결제 카드의 제 1 식별자를 홈 토큰 서비스 제공자의 제 2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서버로부터, 홈 결제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결제 카드의 홈 토큰을 수신하는 단계;
로밍 토큰 서비스 제공자의 제 3 서버로 상기 홈 토큰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서버로부터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의 제 2 세트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모바일 결제 카드가 선택된 로밍 뱅킹 디바이스에서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의 시각적 외관을 구성하기 위한 시각적 파라미터들;
모바일 결제 카드가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때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될 로밍 결제 애플리케이션; 및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 대한 모바일 결제 카드의 만료 날짜(expiration date).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싱 방법의 다양한 단계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에 의해 지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기록 매체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서버에 의해 그리고 더 일반적으로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도록 배열되고,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상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프로세싱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적응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서버에 의해, 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를 제공하며, 이러한 기록 매체는 거기에 기록된 이상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언급된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임의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될 수 있으며, 소스 코드, 객체 코드, 또는 소스 코드와 객체 코드 사이의 임의의 매개 코드의 형태일 수 있고, 그 결과,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컴파일링된 형태,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기록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엔터티(entity) 또는 디바이스와 같은 임의의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록 매체는 저장 수단, 예컨대 ROM 메모리(CD-ROM 또는 마이크로전자 회로 내에 구현된 ROM), 또는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언급된 각각의 기록 매체는 송신가능 매체, 예컨대, 전자 또는 광 케이블을 통해 또는 라디오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전기적 또는 광학적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특히 인터넷 또는 유사한 것의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록 매체는 그 안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로딩된 집적 회로에 대응할 수 있으며, 회로는 본 발명의 방법들을 실행하도록 적응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들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이 홈 결제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들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결제 카드와 연관된 데이터의 제 1 세트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는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현지화(localisation) 모듈;
상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에서 이용이 가능한 소위 로밍 결제 네트워크인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결제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로밍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상기 로밍 정보에 기초하여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모듈;
선택된 로밍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모바일 결제 카드에 할당된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획득하기 위한 데이터 획득 모듈; 및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결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가지고 상기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모듈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협동하는 프로세싱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소위 제 1 서버인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서버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현지화 모듈;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로밍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제 1 전송 모듈;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 사이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 대한 프로비저닝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요청 프로세싱 모듈;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모바일 결제 카드에 할당된, 소위 데이터의 제 2 세트인 데이터의 세트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비저닝 모듈; 및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결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기 위해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제 2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들에 대하여 이상에서 정의된 특정 실시예들이 유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그리고 제 1 서버에 적용된다.
설명된 방법들의 다양한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개시에서 기능적 모듈들이 언급되는 경우, 이러한 모듈들은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하드웨어로 구현될 때, 모듈들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모듈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기술적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각각의 단계는 특정 기능적 모듈에 대응할 수 있다. 주어진 기능적 모듈은 복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효율적인 로밍 모바일 결제 해법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사용자가 그녀의/그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액세스할 수 있는 다수의 결제 네트워크들과의 모바일 결제 카드들의 효율적인 상호 운용성을 허용한다.
이상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나라를 바꾸면서) 상이한 영역들에서 로밍하는 사용자는 그의/그녀의 모바일 결제 카드가 동작하도록 구성된 국가 결제 네트워크의 범위 밖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어진 로밍 결제 네트워크 내에서 로밍하고 있는 상황에 있는 동안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결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으로 인해, 트랜잭션들이 로밍 결제 시스템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동적으로 적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국제 결제 네트워크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사용자가 그의 나라(또는 지역) 결제 네트워크 외부에서 로밍하고 있을 때, 모바일 뱅크 트랜잭션은 유익하게는 다른 국가(또는 지역) 결제 네트워크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이한 규격들을 갖는 별개의 결제 시스템들 사이의 적절한 상호 운용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국제 결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국내 뱅킹 체제(scheme)들은 다른 뱅킹 체제들과의 로밍 협약을 통해 국제 승인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코-배지(co-badge) 양방향 접촉들 및 호스트-대-호스트 통합들이 서명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라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의 파라미터들 및 시각적 측면들(로고, 외관...)은 로밍 재-구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그에 따라서 적응될 수 있다. 특히, 카드 사진, 로고 및/또는 컬러들이 필요에 따라 적응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의 실시예 및 실행 예들을 이용하여 더 양호하게 이해되고 예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홈 토큰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환경의 구조 및 이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환경의 구조 및 이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토큰 서비스 운영자의 서버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환경의 구조 및 이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도 4a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적 모듈을 도시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토큰 서비스 운영자의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도 5a의 서버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적 모듈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토큰 서비스 운영자의 서버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환경의 구조 및 이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환경의 구조 및 이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로밍 토큰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9b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도 9a의 서버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적 모듈들을 도시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홈 토큰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0b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도 10a의 서버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적 모듈들을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15에서, 일부 표현되는 블록들은 물리적으로 독립된 엔티티들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닌 순수한 기능적 엔티티들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의 형태로 개발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몇몇 집적 회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의 단순성 및 명료성을 위하여,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엘리먼트들을 지칭하기 위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도면들 전체에 걸쳐 사용될 것이다.
도면들 내의 컴포넌트들이 반드시 축적이 맞추어져야 할 필요는 없으며, 그 대신에 본 발명의 원리들을 예시할 때 강조된다.
본 개시가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의 실시예를 수용할 수 있지만, 본 개시가 개시의 원리들의 예증으로서 간주될 것이며 본 개시를 예시된 특정 실시예로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이해를 가지고,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에 도시되고 본원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대신에,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의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다음의 설명에 그리고 도 1 내지 도 10b에 기술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 또는 본 발명이 다음의 설명에서 설명되는 세부사항들 중 일부가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잘 알려진 방법들, 절차들, 및 컴포넌트들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게 위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트랜잭션이 모바일 결제 카드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서버, 시스템 및 대응하는 방법들을 제공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 내의 모바일 결제 카드가 구비된 디지털 지갑을 사용하여 로밍 결제 트랜잭션들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동일한 모바일 결제 카드가, 예를 들어, 국가 또는 지역 결제 네트워크들과 같은 상이한 결제 네트워크들과 함께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결제 시스템들 사이의 효율적인 상호 운용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DV), 디지털 지갑 제공자 서버(DWP), 홈 토큰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H-TSP), 및 리더 단말(T)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환경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DV)는 결제 네트워크에서 결제 트랜잭션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UR)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모바일 결제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모바일 결제 카드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또는 애플릿)(DWA)을 구현한다. 도 1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은 모바일 결제 카드(C1)와 연관된 데이터의 제 1 세트(DT1)를 가지고 구성된다. 이러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은 홈 결제 네트워크(H-NT)(또는 홈 결제 시스템)에서 트랜잭션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저장된 데이터(DT1)를 검색하고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결제 카드(C1)는, 모바일 디바이스(DV)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결제 트랜잭션들과 같은 금융 트랜잭션들을 완료하기 위하여 비물질화된(dematerialised)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가상(또는 디지털) 카드이다.
본 문서에서, 실시예들이 결제 트랜잭션들의 맥락에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더 일반적으로는, 임의의 종류의 모바일 뱅킹(또는 금융) 트랜잭션에 적용된다.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싱 자원들이 구비된 스마트 폰, 태블릿 또는 임의의 적절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고려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 또는 동등한 장치이다. 이러한 스마트 폰은 SIM 카드 또는 유사한 것에 저장된 인증 데이터를 사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또한,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대하여 동작들(구성, 결제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과 협동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결제 애플리케이션(PA1)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이 처음에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세트(DT1)을 가지고 구성될 수 있는 방법을 예시한다.
단계(S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DV)는, 홈 결제 네트워크(H-NT)에서 동작하기 위한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할당된, C-PAN으로서 지정된 주 계좌 번호(또는 결제 카드 번호)(PAN)를 검색한다. 주 계좌 번호는 때때로 결제 카드 번호로서 지칭되는 결제 카드의 잘 알려진 식별자이다. 이러한 번호는 카드의 발급사를 식별한다. 이러한 주 계좌 번호(또는 식별자)(C-PAN)는, 이것이 단계(S2)에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에 의해 검색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의 제어 하에서, C-PAN을 디지털 지갑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DWP)로 전송한다(S2).
서버(DWP)는 홈 토큰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H-TSP)로 결제 카드의 계좌 번호(C-PAN)를 송신한다(S6). 이러한 서버(H-TSP)는 PAN 번호 대신에 사용될 디지털 토큰을 갖는 카드홀더(cardholder)들을 제공하는 것을 담당한다. PAN은 민감한 데이터이며, 따라서, 이것의 유포는 보안성의 문제를 위하여 제한되어야만 한다.
계좌 번호(C-PAN)에 응답하여, 서버(H-TSP)는 데이터의 제 1 세트(DT1)를 반환하고(S6), 이는 서버(DWP)에 의해 수신되며 모바일 디바이스(DV)로 전달된다(S8). 데이터의 세트(DT1)는 홈 결제 네트워크(H-NT)와 함께 동작하기 위해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할당된 홈 토큰(H-PAN)을 포함한다. 데이터의 제 1 세트(DT1)는 홈 토큰(H-PAN)에 대응하는 식별자(H-PANID)와 같은 추가적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버(H-TSP)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으로부터 수신된 계좌 번호(C-PAN)와 연관하여 홈 토큰(H-PAN)을,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5).
임의의 적절한 디지털 형태(예컨대, 코드, 문자들의 시퀀스 등)를 취할 수 있는 홈 토큰(H-PAN)은 주 계좌 번호(C-PAN)보다는 덜 민감한 데이터이다. 홈 토큰(H-PAN)은 특정 디바이스 및 지정된 트랜잭션 환경(소위 트랜잭션 도메인 제한들)에서만 사용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홈 토큰(H-PAN)은 계좌 번호(C-PAN) 대신에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더 안전한 결제 시스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단계(S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DV)는, 이것이 홈 결제 네트워크(H-NT)에서 결제 트랜잭션들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제 1 세트(DT1)를 가지고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을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부분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DV)는, 서버(H-TSP)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의 제 1 세트(DT1) 내에 포함된 시각적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의 시각적 측면(카드 사진, 로고, 컬러 등)을 개인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에 의한 이후의 검색을 위해 데이터의 세트(DT1)를 저장한다(S10).
일단 이러한 초기 구성이 완료되면, 사용자(UR)는 홈 결제 네트워크(H-NT)에서 결제 트랜잭션을 완료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DV) 상에서 실행되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UR)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DV)를 상인의 결제 단말(T) 근처에 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모바일 결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제 단말(T)과 협동할 수 있다(S12).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데이터의 제 1 세트(DT1) 또는 적어도 홈 토큰(H-PAN)을 송신하며, 그 결과 트랜잭션이 단말(T)에 의해 인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것이 그 대신에 사용되는 홈 토큰(H-PAN)임에 따라 민감한 주 계좌 번호(C-PAN)의 송신이 회피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홈 결제 네트워크(H-NT)에서 모바일 결제 카드(C1)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의해 결제 트랜잭션이 수행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단계(S12)에서, 이미 도 1과 관련하여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DV)가 홈 토큰(H-PAN)을 결제 단말(T)로 전송한다. 결제 카드(C1)의 만료 날짜와 같은 데이터의 제 1 세트(DT) 내에 포함된 다른 정보가 단말(T)로 함께 송신될 수 있다.
특정 예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DV) 및 결제 단말(T)은, 결제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EMV로부터 얻어질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는, EMV 표준("Europay, MasterCard, and Visa") 또는 사유 기술(proprietary)에 따라 서로 협동(또는 상호작용)한다. 이는, 예를 들어, NFC 인터페이스들 또는 유사한 것(블루투스...)을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DV)와 단말(T) 사이의 무접촉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S12) 동안,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은 결제 모바일 카드(C1)의 발급 은행에 의해 배포된 결제 애플리케이션(PA1)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그러면, 예를 들어, 상인의 포스(point of sale) 내에 위치된 결제 단말(T)은 트랜잭션 데이터(DR1)를 획득자의 은행 시스템(AC)(예를 들어, 상인의 은행)으로 송신한다(S22). 트랜잭션 데이터(DR1)는 인증, 검증 등과 같은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결제 트랜잭션을 특징짓는 임의의 데이터(날짜, 트랜잭션 양...)를 포함한다. 특히, 트랜잭션 데이터(DR1)는 모바일 디바이스(DV)의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에 의해 제공되는 홈 토큰(H-PAN)을 포함한다.
단계(S24)에서, 획득자의 은행 시스템(AC)은 홈 결제 네트워크(H-NT)의 라우팅(routing) 서버(H-SV)로 트랜잭션 데이터(DR1)를 송신한다. 이러한 서버(H-SV)는 홈 토큰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H-TSP)로 홈 토큰(H-PAN)을 전달한다(S26).
그런 다음, 서버(H-TSP)는 단계(S26)에서 수신된 홈 토큰(H-PAN)과 연관하여 저장된(도 1에서 S5 참조) 주 계좌 번호(C-PAN)를 결정하며(S27), 이러한 계좌 번호(C-PAN)를 서버(H-SV) 반환한다(S28).
단계(S30)에서, 서버(H-SV)는, 트랜잭션 데이터(DR1) 내에서 수신되었을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용한 정보(양, 날짜...)와 함께 주 계좌 번호(C-PAN)를 발급사의 은행 시스템(IS)으로 전달한다. 그런 다음, 예를 들어, 모바일 결제 카드(C1)의 발급 은행인 발급사(IS)는 홈 결제 네트워크(H-NT)와 함께 동작하기 위하여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할당된 주 계좌 번호(C-PAN)에 기초하여 결제 트랜잭션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홈 결제 네트워크(H-NT)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서버(H-TSP)는 디토큰화(detokenization)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하며 그럼으로써 디지털 토큰으로부터 PAN 식별자를 획득한다.
본 예에 있어서, 획득자의 은행 시스템(AC), 서버들(H-SV 및 H-TSP), 및 발행사의 은행 시스템(IS)은 모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결제 네트워크(H-NT)의 부분이다.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에 프로비저닝되는 데이터의 제 1 세트(DT1)로 인하여, 따라서 사용자(UR)는 홈 결제 시스템에서 모바일 결제 카드(C1)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용어 "홈"은 단지, 모바일 결제 카드(C1)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결제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이 처음에 호환되는 결제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관례로서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모바일 결제 카드의 발급사는 어떤 결제 시스템(들)이 카드의 홈 결제 시스템(들)에 대응하는지를 정의한다.
그러나, 트랜잭션이 오로지, 디바이스들 둘 모두가 호환가능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DV)와 결제 단말(T)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만 한다. 다시 말해서, 트랜잭션은 오로지 결제 단말(T)이 또한 홈 결제 네트워크(H-NT)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만 성공적으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결제 단말(T)이 홈 결제 네트워크의 규격들과 호환되지 않는 규격들을 갖는 상이한 결제 네트워크의 부분인 경우, 트랜잭션이 실패할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DV)가 홈 결제 네트워크(H-NT)에서 로밍하는 동안, 모바일 결제 디바이스(C1)를 사용하여 로밍 모바일 결제가 시도될 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DV)가 로밍하고 있으며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이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의 현재 구성과 호환되지 않는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 접속된 결제 단말과의 트랜잭션을 시도하는 경우, 트랜잭션이 실패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DB1)를 액세스할 수 있는 토큰 서비스 운영자의 서버(TSO)와 함께, 도 1 및 도 2에 대하여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DV) 및 디지털 지갑 서버(DWP)를 포함하는 환경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DV)의 상세한 구현이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서버(TSO)의 상세한 구현이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R)는 모바일 디바이스(DV)가 홈 결제 네트워크(H-NT)의 범위 밖에 있도록 로밍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도 3은, 결제 트랜잭션들을 수행하기 위해 액세스될 수 있는, 홈 결제 네트워크(H-NT)가 아닌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이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단계(S4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모바일 디바이스(DV)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OC)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전송한다. 본 예에 있어서, 이러한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40)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에 의해 지시된다.
특정 예에 있어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은, 모바일 디바이스(DV)가 홈 결제 네트워크 외부에서(즉, 이의 범위 밖에서) 로밍하고 있다는 것을 검출할 때 이러한 정보 요청의 전송을 트리거(trigger)한다. 예를 들어, 카드홀더(UR)는 로밍 영역(또는 나라), 즉, 홈 결제 네트워크(H-NT)가 액세스될 수 있는 미리 정의된 영역이 아닌 영역(또는 나라)에서 로밍하고 있다.
특정 예에 있어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은, 모바일 디바이스(DV)가 미리 정의된 홈 셀룰러 네트워크가 아닌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로밍하고 있다는 것을 검출할 때 이러한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40)를 트리거한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은, 모바일 디바이스(DV)가 접속된 셀룰러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UR)가 외국에서 로밍하고 있을 때, 모바일 디바이스(DV)는 홈 셀룰러 네트워크와는 별개의 로밍 셀룰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로밍 셀룰러 네트워크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DV)(또는 더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는 홈 결제 네트워크가 더 이상 액세스될 수 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40)를 트리거한다.
특정 예에 있어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은, 모바일 디바이스(DV)가 홈 영역으로서 지정된 미리 정의된 지리적 영역 외부에 있다는 것을 검출할 때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40)를 트리거한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은(DWA)은,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에 대하여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현지화 모듈(14)을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DV)의 지리적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DV)가 독일에서 로밍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홈 영역으로서 미리 정의된 프랑스 외부에 있다는 것을 검출할 때,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은, 홈 결제 네트워크가 더 이상 액세스될 수 없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40)를 트리거한다.
이상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정보 요청은 모바일 디바이스(DV)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OC)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DV)의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지리적 정보(예를 들어, GPS 좌표들, 나라, 영역, 도시 등); 및
모바일 디바이스(DV)가 연결되는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이의 부분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식별자.
위치 정보(LOC)에 의해 표현되는 현재 위치는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의해 검출된 마지막으로 알려진 위치일 수 있다.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은 모바일 디바이스(DV)의 지리적 또는 네트워크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미리 정의된 위치 기준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은 위치 정보(LOC)를 포함하고 있는 정보 요청이 S40에서 전송되어야만 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본 예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디지털 지갑 서버(DWP)로 정보 요청을 전송하며(S40), 그런 다음 디지털 지갑 서버는 이를 토큰 서버 운영자의 서버(TSO)로 전달한다(S42). 본원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 보여질 바와 같이, 서버(TSO)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에 제공되며 그 이후에 결제 트랜잭션들에서 사용되는 토큰들을 핸들링(handling)하는 것을 담당한다.
단계(S44)에서, 서버(TSO)는, 위치 정보(LOC)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의해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에 의해 사용되거나 또는 액세스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서버(TSO)는, 위치 정보(LOC)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로밍하고 있는 동안 결제 트랜잭션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이용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들을 결정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버(TSO)는, 특정 위치 또는 영역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결제 네트워크의 리스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1)를 조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는 셀룰러 네트워크 레벨 및/또는 지리적 레벨로 정의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DB1)는 개별적인 영역에서 액세스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 네트워크를 특징짓는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 세계에 걸쳐 은행들과 결제 체제 운영자들 전체 사이에서 특정 로밍 협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국내 체제들은, 이하에서 더 명백해질 바와 같이, 코-배지 양방향 접촉들 및 호스트 대 호스트 통합들을 서명함으로써 다른 체제들과의 로밍 협약들을 통해 국제적 승인을 얻을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 서버(TSO)는, 잠재적으로 결제 트랜잭션들의 목적을 위하여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3개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들을 식별한다(S44). 따라서, 서버(TSO)는 디지털 지갑 서버(DWP)로 다시 로밍 정보(RI)를 전송하며(S46), 이러한 로밍 정보(RI)는 S44에서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식별된 복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들을 식별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로밍 정보는 서버(TSO)에 의해 식별된 3개의 개별적인 로밍 결제 네트워크들의 식별자들(ID1, ID2 및 ID3)을 포함한다.
단계(S48)에서, 디지털 지갑 서버(DWP)는 로밍 정보(RI)를 모바일 디바이스(DV)로 전달한다.
그러면, 로밍 정보(RI)에 기초하여,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은, 서버(TSO)에 의해 식별된 3개의 선택가능한 옵션들(ID1-ID3) 중에서, R-NT로 표시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또는 로밍 결제 시스템)를 선택한다(S50). 서버(TSO)에 의해 제공되는 로밍 정보(RI)는, 식별자들(ID1-ID3)에 더하여,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그것의 프로세스에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을 도울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경우에 있어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에 의해 선택된(S50)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이 처음에 이와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되었던 홈 결제 네트워크(H-NT)와는 상이하다.
특정 예에 있어서, 로밍 정보(RI)는 인터체인지 레이트(interchange rate)들(수수료 구조), 파라미터들 등과 같은 이용가능 로밍 결제 네트워크들을 특징짓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특정 예에 있어서, 로밍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로밍 은행 네트워크와 연관된 파라미터들로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서비스 레이트들 및 승인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파라미터들; 및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의해 각각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가 선택될 우선순위 순서를 정의하는 우선순위 정보.
본 예에 있어서, 로밍 정보(RI)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에 의해 우선적으로 선택될 네트워크와 같은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를 정의하는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한다. 우선순위 정보는 선택되어야 할 복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들(R-NT)에 따른 우선순위 순서를 정의할 수 있다. 로밍 정보(RI) 내에서, 다수의 우선순위 값들이 이루어질 트랜잭션의 유형, 날짜 등과 같은 기준의 함수로서 각각의 이용가능 로밍 결제 네트워크들에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에 의해 로밍 결제 네트워크가 선택되는 방식은 다양한 인자들에 의존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동적으로 적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DB1)는, 특정 위치에서의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옵션들로서 제공되는 로밍 결제 네트워크들을 수정하기 위하여 규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이 그것의 선택(S50)을 수행하는 기준이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적응될 수 있다.
선택(S50)은 완전히 자동일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UR)에 의한 확인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특정 예에 있어서, 로밍 정보(RI)는 단지 단일 로밍 결제 네트워크만을 식별한다.
추가로, 서버(TSO)는 복수의 가능한 로밍 결제 네트워크들 중에서 사용자(UR)에게 이용가능한 로밍 결제 네트워크들의 사전-선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전-선택은 모바일 디바이스(DV)의 또는 사용자의 신원(identity)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정 예에 있어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은, 단계(S40)에서 위치 정보(LOC)(도 3)와 함께 홈 토큰(H-PAN)을 전송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DV)에 명령한다. 홈 토큰(H-PAN) 및 위치 정보(LOC)는 디지털 지갑 서버(DWP)에 의해 서버(TSO)로 전송된다(S42). 단계(S44)에서, 서버(TSO)는,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의해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에 의해 사용되거나 또는 액세스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결정하기 위해 위치 정보(LOC) 및 홈 토큰(H-PAN)을 고려한다. 홈 토큰(H-PAN)은, 서버(TSO)가, 어떠한 로밍 결제 네트워크가 사용자(UR)가 액세스하고 그의/그녀의 모바일 결제 카드(C1)를 가지고 사용하도록 인가되는지 체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정 예에 있어서, 서버(TSO)는, 특정 위치에서 각각의 기존 결제 네트워크에 대하여, 이에 대한 액세스가 모바일 결제 카드(C1)의 사용자(UR)에게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DB1)를 조사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TSO)는, 로밍 정보 내에서 사용자가 액세스하도록 인가된 기존 로밍 결제 네트워크(들)만을 식별할 수 있다(S46, 도 3). 일 변형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MAC 식별자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DV)의 식별자가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의해 전송되며(S40), 홈 토큰(H-PAN) 대신에 로밍 결제 네트워크 선택 기준으로서 사용된다(S44).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디지털 지갑 서버(DWP)로 위치 정보(LOC)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전송하며(S40), 디지털 지갑 서버는 이를 서버(TSO)로 전달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디지털 지갑 서버(DWP)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정보 요청을 서버(TSO)로 전송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은 모바일 디바이스(DV) 내의 결제 애플리케이션(PA1)과 협동할 수 있다. 서버(H-TSP)는 모바일 디바이스(DV)와 서버(TSO) 사이에서 라우팅 인터페이스로서 역할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토큰 서비스 운영자로부터 유래하는 TS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미도시)이 모바일 디바이스(DV) 내에 구현될 수 있으며,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과 협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TS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DV)가 정보 요청을 전송하고(S40) 반환되는 로밍 정보(RI)를 수신하도록(S48) 서버(TSO)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이상에서 이미 설명된 모바일 디바이스(DV)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DV)는 스마트 폰의 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DV)는 프로세서(2), 재기입가능 비-휘발성 메모리(4)(예를 들어, 플래시), RAM 메모리(6), 제 1 통신 인터페이스(8),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0) 및 인간-대-기계 인터페이스(12)를 포함한다. 스마트 폰 내에 전형적으로 포함되는 일부 엘리먼트들은 본 개시의 명료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자발적으로 생략되었다.
모바일 디바이스(DV)의 재기입가능 비-휘발성 메모리(4)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비-일시적 기록 매체를 구성한다.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PG1)을 포함하며,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예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PG1)은 모바일 디바이스(DV) 내에 구현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에 대응한다.
재기입가능 비-휘발성 메모리(4)는 또한, 도 1을 참조하여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홈 토큰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H-TSP)에 의해 프로비저닝되는 데이터의 제 1 세트(DT1)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 데이터(DT1)는 홈 토큰(H-PAN) 및 홈 토큰(H-PAN)과 연관된 식별자(H-PANID)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메모리(4)는 이후에 설명될 바와 같이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는 또한 결제 애플리케이션(PA1)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8)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3G, 4G, LTE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모바일 통신 표준이 본 경우에 고려될 수 있다.
제 2 인터페이스(10)는, 도 1에 도시된 단말(T)과 같은 결제 단말들과 무접촉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접촉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10)는 NFC 인터페이스,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는 결제 단말과 결제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러한 제 2 인터페이스(10)를 사용할 수 있다.
인간-대-기계 인터페이스는, 사용자(UR)가 모바일 디바이스(DV)와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과 상호작용하고 이에 명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스크린, 키보드...)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PG1)에 의해 조종되는 프로세서(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기능적 모듈들, 즉: 현지화 모듈(MD2), 수신 모듈(MD4), 선택 모듈(MD6), 데이터 획득 모듈(MD8), 구성 모듈(MD10) 및 실행 모듈(MD12)을 구현한다.
전송 모듈(MD2)은, 도 3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OC)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모듈(MD4)은,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도 3에 대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DV)의 현재 위치에서 이용가능한 (홈 결제 네트워크(H-NT)와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를 식별하는 로밍 정보(RI)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모듈(MD6)은, 도 3에 대하여 이상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된 로밍 정보(RI)에 기초하여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획득 모듈(MD8)은, 도 6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선택된 로밍 네트워크(R-NT)에서 동작하기 위한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할당된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구성 모듈(MD10)은, 도 6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서 모바일 결제 카드(C1)를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를 가지고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실행 모듈(MD12)은, 도 7 내지 도 10b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서 모바일 결제 카드(C1)를 가지고 결제 트랜잭션(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뱅킹 트랜잭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모듈들(MD2-MD12)은 단지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구성할 뿐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이상에서 이미 설명된 서버(TSO)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서버(TSO)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서버(TSO)는 프로세서(20), 재기입가능 비-휘발성 메모리(22)(예를 들어, 플래시), RAM 메모리(24), 데이터베이스(26) 및 통신 인터페이스(28)를 포함한다. 서버 내에 전형적으로 포함되는 일부 엘리먼트들은 본 개시의 명료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자발적으로 생략되었다.
서버(TSO)의 재기입가능 비-휘발성 메모리(22)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비-일시적 기록 매체를 구성한다.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PG2)을 포함하며,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6)는, 특정 위치(셀룰러 네트워크 지리적 위치...)와 연관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 로밍 결제 네트워크의 리스트를 정의하는 로밍 결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에 대하여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26)는, 모바일 디바이스(DV)의 현재 위치와 연관하여, 3개의 개별적인 로밍 결제 네트워크들의 식별자들(ID1, ID2 및 ID3)을 저장한다.
인터페이스(28)는 디지털 지갑 서버(DWP)와 통신하기 위하여 또는 일 변형예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DV)와 직접적으로 통신하기 위하여 서버(TSO)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컴퓨터 프로그램(PG2)에 의해 조종되는 프로세서(2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기능적 모듈들, 즉: 현지화 모듈(MD20), 결정 모듈(MD22), 제 1 전송 모듈(MD24), 요청 프로세싱 모듈(MD26), 프로비저닝 모듈(MD28) 및 제 2 전송 모듈(MD30)을 구현한다. 특정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0)는 추가로 연결 모듈(MD32)을 구현한다.
현지화 모듈(MD20)은, 도 3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DV)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OC)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모바일 디바이스(DV)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결정 모듈(MD22)은, 도 3에 대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전송 모듈(MD24)은, 도 3에 대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결정 모듈(MD22)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로밍 정보(RI)를 모바일 디바이스(DV)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요청 프로세싱 모듈(MD26)은,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정 네트워크 중에서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의해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 대한 프로비저닝 요청(RQ1)을 모바일 디바이스(DV)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비저닝 모듈(MD28)은,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서 동작하기 위한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할당된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전송 모듈(MD30)은,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서 모바일 결제 카드(C1)를 사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을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를 모바일 디바이스(DV)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연결 모듈(MD32)은 도 8의 특정 예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결제 트랜잭션이 프로세싱되고 있는 동안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와 홈 결제 네트워크(H-NT)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모듈들(MD20-MD32)은 단지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구성할 뿐이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용어 "모듈"은 본 문서에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지칭할 수 있다.
일단 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은 선택 단계(S50)가 완료되면,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은, 모바일 디바이스(DV)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될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를 식별하였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서, 도 6에 표현된 바와 같이 데이터 프로비저닝이 수행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은, S50에서 이전에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 대한 프로비저닝 요청(RQ1)을 전송하도록(S60) 모바일 디바이스(DV)에 명령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비저닝 요청(RQ1)은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의해 디지털 지갑 서버(DWP)로 전송되며, 디지털 지갑 서버는 이를 토큰 서비스 운영자의 서버(TSO)로 전달한다(S62).
디지털 지갑 서버(DWP)를 통해 서버(TSO)로 송신되는 프로비저닝 요청(RQ1)은, S10(도 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의해 데이터(DT1)의 부분으로서 이전에 저장된 식별자(H-PANID)를 포함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식별자(H-PANID)를 사용함으로써, (민감한 데이터인) 토큰(H-PAN)의 유포가 회피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 프로비저닝 요청(RQ1)은 또한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의 식별자(ID1)를 포함한다. 이러한 식별자(ID1)에 기초하여, 서버(TSO)는 그 로밍 결제 네트워크가 선택되었다는 것을 검출한다.
단계(S64)에서, 서버(TSO)는, 선택된 로밍 네트워크(R-NT)에서 동작하기 위한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할당된, 데이터의 제 1 세트(DT1)와는 상이한,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를 결정한다. 이제 서버가 데이터(DT2)를 획득하기 위한 특정한 방식이 설명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단계(S64a)에서, 서버(TSO)는, 프로비저닝 요청(RQ1)으로부터 추출된 식별자(H-PANID)를 홈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H-TSP)로 전송한다. 그런 다음, 서버(H-TSP)는 식별자(H-PANID)에 대응하는 홈 토큰(H-PAN)을 결정한다(S64b). 도 1(단계(S5))에 대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서버(H-TSP)는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대한 커플 [H-PAN, H-PANID]를 포함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S64c)에서, 서버(H-TSP)는 대응하는 홈 토큰(H-PAN)을 서버(TSO)로 반환하며, 그런 다음 서버(TSO)는 이를 로밍 토큰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R-TSP)로 전달한다(S64d). 특정 예에 있어서, 서버(TSO)는, 예컨대 프로비저닝 요청(RQ1) 내에서 식별되는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 기초하여 홈 토큰(H-PAN)이 전송될 서버(R-TSP)를 결정한다. 서버(TSO)는, 예를 들어, 리스트를 액세스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서버(R-TSP)는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의 식별자(ID1)와 연관되어 정의된다.
단계(S64e)에서, 서버(R-TSP)는, 수신된 홈 토큰(H-PAN)에 기초하여,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으로 프로비저닝될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를 결정한다. 이에 더하여, 서버는 데이터의 제 2 세트(DT2)와 연관하여 수신된 홈 토큰(H-PAN)을 저장한다(S64e).
서버(R-TSP)는 다시 서버(TSO)로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를 반환하며(S64d), 그런 다음 서버(TSO)가 이를 디지털 지갑 서버(DWP)로 전달한다(S62).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는 마지막으로 디지털 지갑 서버(DWP)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DV)로 송신된다(S68).
데이터의 제 1 세트(DT1)와는 상이한 이러한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는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모바일 결제 카드에 할당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DT2)는 로밍 토큰(R-PAN)을 포함하며, 또한 대응하는 식별자(R-PANID)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디지털 형태(예컨대, 코드, 문자들의 시퀀스 등)를 취할 수 있는 로밍 토큰(R-PAN)은 결제 카드의 계좌 번호(C-PAN)보다는 덜 민감한 데이터이다. 로밍 토큰(R-PAN)은 계좌 번호(C-PAN) 대신에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더 안전한 결제 시스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단계(S7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DV)는, 이것이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서 결제 트랜잭션들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수신된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를 가지고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을 구성한다. 단계(S7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DV)는, 예를 들어, 그것의 메모리(4)(도 4a) 내에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를 저장한다.
이러한 구성(S70)의 부분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DV)는, 서버(TSO)에 의해 프로비저닝된 데이터의 제 2 세트(DT2) 내에 또한 포함될 수 있는 시각적 파라미터들(R-PRM)을 가지고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시각적 측면을 개인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의 GUI의 시각적 구성(예를 들어, 카드 사진, 로고 및/또는 컬러)이 사용되는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반영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UR)는, 그의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이 로밍 동작 모드로 구성되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시각적 파라미터들(R-PRM)은 모바일 결제 카드(C1)가 선택된 로밍 뱅킹 디바이스에서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의 시각적 외관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특정 예에 있어서,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는, 모바일 결제 카드(C1)가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서 사용될 때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과 협동(상호작용)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설치될 (AP1과는 다른) 로밍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S70)의 부분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로밍하는 동안 결제 트랜잭션의 적절한 프로세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로밍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일단 이러한 구성(S70)이 완료되면, 사용자(UR)는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서 결제 트랜잭션을 완료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DV) 상에서 실행되는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UR)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DV)를 상인의 결제 단말(T) 근처에 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모바일 결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제 단말(T)과 협동할 수 있다(S80).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데이터의 제 2 세트(DT2) 또는 적어도 로밍 토큰(R-PAN)을 송신하며, 그 결과 트랜잭션이 단말(T)에 의해 인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따라서 계좌 번호(C-PAN)와 같은 민감한 데이터의 송신이 회피될 수 있다.
도 11은 도 6을 참조하여 이상에서 설명된 특정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11의 변형예는, S64c에서 서버(TSO)가 홈 토큰(H-PAN)을 수신할 때, 이것이 이미 대응하는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를 획득하고 저장하였다는 점에서 도 6과 상이하다. 토큰 서비스 제공자는, 예를 들어, 데이터의 제 2 세트(로밍 토큰(R-PAN)...)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세트를 미리 서버(TSO)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데이터의 세트(DT2)가 서버(TSO)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일단 H-PAN이 서버(H-TSP)로부터 수신되면(S64c) 서버(TSO)에 의해 검색된다. 다시 말해서, 서버(TSO) 및 서버(R-TSP)가 하나의 동일한 서버를 형성한다(서버(TSO)가 서버(R-TSP)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서버(TSO)가 도 6(S64d, S6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서버(R-TSP)로 질의(interrogate)해야 할 필요가 없다.
도 7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일단 데이터(DT2)를 가지고 구성(S70)(도 6)이 완료되었을 때,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서 모바일 결제 카드(C1)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의해 결제 트랜잭션이 수행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단계(S80)에서, 도 6에 대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로밍 토큰(R-PAN)을 결제 단말(T)로 전송한다. 결제 카드(C1)의 만료 날짜와 같은 데이터의 제 2 세트(DT2) 내에 포함된 다른 정보가 단말(T)로 함께 송신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DV)와 결제 단말(T) 사이의 상호작용(S80)은 도 1에 대하여 설명된 상호작용(S12)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특정 예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DV) 및 결제 단말(T)은, 결제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EMV 표준에 따라 서로 협동한다. 이는, 예를 들어, NFC 인터페이스들 또는 유사한 것(블루투스, QR 코드...)을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DV)와 단말(T) 사이의 무접촉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S80) 동안,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은 결제 모바일 카드(C1)의 발급 은행에 의해 배포된 결제 애플리케이션(PA1)과 상호작용할 수 있거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DV) 내에 구현되고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서 트랜잭션들을 위해 사용되도록 목적된 소위 로밍 결제 애플리케이션인 다른 결제 애플리케이션(미도시)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그러면, 예를 들어, 상인의 포스 내에 위치된 결제 단말(T)은 트랜잭션 데이터(DR2)를 획득자의 은행 시스템(AC)(예를 들어, 상인의 은행)으로 송신한다(S82). 트랜잭션 데이터(DR2)는 인증, 검증 등과 같은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결제 트랜잭션을 특징짓는 임의의 데이터(날짜, 트랜잭션 양...)를 포함한다. 특히, 트랜잭션 데이터(DR2)는 모바일 디바이스(DV)의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에 의해 제공되는 로밍 토큰(R-PAN)을 포함한다.
단계(S84)에서, 획득자의 은행 시스템(AC)은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의 라우팅 서버(R-SV)로 트랜잭션 데이터(DR2)를 송신한다. 이러한 서버(R-SV)는 (도 6에서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은) 로밍 토큰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R-TSP)로 로밍 토큰(R-PAN)을 전달한다(S86). 이러한 예에 있어서, 획득자의 은행 시스템(AC), 서버들(R-SV) 및 서버(R-TSP)는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의 부분이다.
제 1 디토큰화 단계(S88)에서, 서버(R-TSP)는, 로밍 토큰(R-PAN)에 기초하여,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와는 상이한) 홈 결제 네트워크(H-NT)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할당된 홈 토큰(H-PAN)을 획득한다(또는 결정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R-TSP)는 단계(S64e)(도 6)에서 로밍 토큰(R-PAN)과 연관되어 이전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홈 토큰(H-PAN)을 검색할 수 있다.
서버(R-TSP)는 홈 토큰(H-PAN)을 서버(R-SV)로 반환하며(S90), 서버(R-SV)는 이를 트랜잭션 요청의 부분으로서 홈 결제 네트워크의 서버(H-SV)로 전달한다(S92).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홈 결제 네트워크(H-NT) 및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가 호스트-대-호스트(또는 서버-대-서버) 연결을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이것이 가능하다. 호스트-대-호스트 연결은, 2개의 서버들(R-SV 및 H-SV) 사이에 직접 연결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떠한 중간 네트워크 또는 스위치도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서버들(R-SV 및 H-SV) 사이에 위치되지 않는다.
이러한 서버(H-SV)는 (도 6에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은) 홈 토큰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H-TSP)로 로밍 토큰(H-PAN)을 전달한다(S94).
제 2 디토큰화 단계(S96)에서, 서버(H-TSP)는, 홈 토큰(H-PAN)에 기초하여, 은행 발급사에 의해 할당된 모바일 결제 카드(C1)의 PAN 번호(C-PAN)를 획득한다(또는 결정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H-TSP)는 단계(S5)(도 1)에서 홈 토큰(H-PAN)과 연관되어 이전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주 계좌 번호(C-PAN)를 검색할 수 있다.
서버(H-TSP)는 서버(H-SV)로 계좌 번호(C-PAN)를 반환하며(S98), 서버(H-SV)는 이를 트랜잭션 데이터(DR2) 내에서 수신되었을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용한 정보(양, 날짜...)와 함께 트랜잭션 요청의 부분으로서 발급사의 은행 시스템(IS)으로 전달한다(S100). 도 2에 대하여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발급사(IS)는, 예를 들어, 모바일 결제 카드(C1)의 발급 은행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발급사(IS)는 홈 결제 네트워크(H-NT)와 함께 동작하기 위하여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할당된 계좌 번호(C-PAN)에 기초하여 결제 트랜잭션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발급사의 은행 시스템(IS), 서버들(H-SV) 및 서버(H-TSP)는 홈 결제 네트워크(R-NT)의 부분이다.
서버들(H-TSP 및 R-TSP)은, 더블 디토큰화, 즉, 제 1 디토큰화(S88)(H-PAN로 변환되는 R-PAN) 및 제 2 디토큰화(S96)(C-PAN으로 변환되는 H-PAN)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토큰 관리 시스템(S1)을 함께 형성한다.
이러한 더블 디토큰화 프로세스로 인하여, 결제 트랜잭션들이 안전하게 수행되면서 상이한 결제 시스템들 사이의 상호 운용성이 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단 데이터(DT2)를 가지고 구성(S70)(도 6)이 완료되었을 때,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서 모바일 결제 카드(C1)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의해 결제 트랜잭션이 수행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트랜잭션 프로세스는, 이러한 경우에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와 홈 결제 네트워크(H-NT) 사이에 호스트-대-호스트 통신이 달성될 수 있다고 가정되는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는, 이상에서(도 5a 및 도 5b)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서버(TSO)가 트랜잭션 프로세스 동안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와 홈 결제 네트워크(H-NT) 사이의 라우팅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된다는 점에서 도 7의 예와는 상이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홈 토큰 결정(S88)이 완료되면, 서버(R-TSP)는 트랜잭션 요청에서 홈 토큰(H-PAN)을 서버(TSO)로 전송한다(S110). 서버(TSO)는 서버(R-TSP)로부터의 홈 토큰(H-PAN)을 포함하는 트랜잭션 요청을 서버(H-TSP)로 라우팅한다(S112).
서버(H-TSP)는 단계(S96)에서 주 계좌 번호(C-PAN)를 결정하며, 트랜잭션 프로세싱은 추가로 도 7의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서버들(H-TSP), 서버(TSO) 및 서버(R-TSP)는, 더블 디토큰화, 즉, 제 1 디토큰화(S88)(H-PAN로 변환되는 R-PAN) 및 제 2 디토큰화(S96)(C-PAN으로 변환되는 H-PAN)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토큰 관리 시스템(S2)을 함께 형성한다.
서버(H-TSP)로 홈 토큰(H-PAN)을 라우팅하는 단계(S112)는, 모바일 디바이스(DV)로 로밍 정보(RI)를 제공하는 것(도 3, 단계들(S42-S46)) 또는 제 1 위치에서 데이터의 세트(DT2)를 프로비저닝하는 것(도 6, 단계들(S62-S66))을 담당하지 않는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만 한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라우팅(S112)은 이상에서 설명된 서버(TSO)와는 다른 임의의 적절한 서버에 의해 수행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이상에서 이미 설명된 서버(R-TSP)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서버(R-TSP)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서버(R-TSP)는 프로세서(40), 재기입가능 비-휘발성 메모리(42)(예를 들어, 플래시), RAM 메모리(44), 및 통신 인터페이스(46)를 포함한다. 서버 내에 전형적으로 포함되는 일부 엘리먼트들은 본 개시의 명료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자발적으로 생략되었다.
서버(R-TSP)의 재기입가능 비-휘발성 메모리(42)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비-일시적 기록 매체를 구성한다.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PG3)을 포함하며,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재기입가능 비-휘발성 메모리(42)는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모바일 결제 카드(C1)의 로밍 토큰(R-PAN)과 연관하여 홈 토큰(H-PAN)을 포함하는 데이터(R-DT)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46)는, 서버(R-TSP)가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 내에서 그리고, 도 8의 특정한 경우에 있어서, 서버(TSO)와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컴퓨터 프로그램(PG3)에 의해 조종되는 프로세서(4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기능적 모듈들, 즉: 수신 모듈(MD40), 획득 모듈(MD42) 및 전송 모듈(MD44)을 구현한다.
수신 모듈(MD40)은, 도 7 및 도 8에 대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서 동작하기 위해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할당된 로밍 토큰(R-PAN)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MD42)은, 로밍 토큰(R-PAN)에 기초하여,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와는 상이한 홈 결제 네트워크(H-NT)에서 동작하기 위해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할당된 대응하는 홈 토큰(H-PAN)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획득 모듈(MD42)은 저장된 데이터(R-DT)를 조사한다.
전송 모듈(MD44)은 서버(R-SV)(도 7) 또는 서버(TSO)(도 8) 중 하나로 홈 토큰(H-PAN)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도 7 내지 도 8에 대하여 이상에서 이미 설명된 서버(H-TSP)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서버(H-TSP)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서버(H-TSP)는 프로세서(50), 재기입가능 비-휘발성 메모리(52)(예를 들어, 플래시), RAM 메모리(54), 및 통신 인터페이스(56)를 포함한다. 서버 내에 전형적으로 포함되는 일부 엘리먼트들은 본 개시의 명료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자발적으로 생략되었다.
서버(H-TSP)의 재기입가능 비-휘발성 메모리(52)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비-일시적 기록 매체를 구성한다.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PG4)을 포함하며,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재기입가능 비-휘발성 메모리(52)는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모바일 결제 카드(C1)의 홈 토큰(H-PAN)과 연관하여 계좌 번호(C-PAN)를 포함하는 데이터(H-DT)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6)는, 서버(H-TSP)가 홈 결제 네트워크(R-NT) 내에서 그리고, 도 8의 특정한 경우에 있어서, 서버(TSO)와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컴퓨터 프로그램(PG4)에 의해 조종되는 프로세서(5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기능적 모듈들, 즉: 수신 모듈(MD50), 획득 모듈(MD52) 및 전송 모듈(MD54)을 구현한다.
수신 모듈(MD50)은, 도 7 및 도 8에 대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홈 결제 네트워크(H-NT)에서 동작하기 위해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할당된 홈 토큰(H-PAN)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MD52)은, 홈 토큰(H-PAN)에 기초하여, 홈 결제 네트워크(H-NT)에서 동작하기 위해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할당된, 대응하는 PAN, 소위 C-PAN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획득 모듈(MD52)은 저장된 데이터(H-DT)를 조사한다.
전송 모듈(MD54)은 은행 발급사(IS)의 시스템으로 계좌 번호(C-PAN)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효율적인 로밍 모바일 결제 해법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일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대신에, 사용자가 그녀의/그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액세스할 수 있는 다수의 결제 네트워크들과의 모바일 결제 카드들의 효율적인 상호 운용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나라를 바꾸면서) 상이한 영역들에서 로밍하는 사용자는 그의/그녀의 모바일 결제 카드가 동작하도록 구성된 국가 결제 네트워크의 범위 밖에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국제 결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희망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어진 로밍 결제 네트워크 내에서 로밍하고 있는 상황에 있는 동안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결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으로 인해, 트랜잭션들이 로컬 또는 국가 결제 네트워크와 같은 로밍 결제 시스템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동적으로 적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글로벌(국제) 결제 네트워크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사용자가 그의 나라(또는 지역) 결제 네트워크 외부에서 로밍하고 있을 때,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들을 사용하는 대신에, 모바일 뱅크 트랜잭션은 유익하게는 다른 국가(또는 지역) 결제 네트워크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이한 규격들을 갖는 별개의 결제 시스템들 사이의 적절한 상호 운용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국제 결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국내 뱅킹 체제(scheme)들은 다른 뱅킹 체제들과의 로밍 협약을 통해 국제 승인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코-배지 양방향 접촉들 및 호스트-대-호스트 통합들이 서명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라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의 파라미터들 및 시각적 측면들(로고, 외관...)은 로밍 재-구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그에 따라서 적응될 수 있다. 특히, 카드 사진, 로고 및/또는 컬러들이 필요에 따라 적응될 수 있다.
트랜잭션 프로세스에서 적절한 레벨의 보안성이 유지될 수 있으면서 체제 파트너들 사이에 상호 운용성이 보장된다. 트랜잭션 동안 더블 디토큰화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은 각각의 결제 시스템이 효율적인 방식으로 그것의 토큰들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전세계적으로 표준화된 결제 시스템을 구상하고 배포하는 부담 없이, 이상에서 언급된 문제들 및 단점들을 극복한다.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모바일 카드들을 포함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카드들의 각각이 본 발명에 따라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디지털 지갑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모바일 결제 카드에 대하여 특정 결제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특정 변형예들이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도 12는, 이것이 로밍 토큰에 기초하여 홈 토큰(H-PAN)을 획득함으로써 제 1 디토큰화를 수행하는 점에서 도 8의 실시예들과는 상이한 일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는, 서버가,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로밍 토큰(R-PAN)과 연관하여 홈 토큰(H-PAN)을 이전에 저장했었기 때문에 가능하다. 도 12에 도시된 변형예에 있어서, 따라서 서버(R-TSP)는 제 1 디토큰화 단계(S88)을 수행하지 않으며, S110에서 로밍 토큰(R-PAN)을 서버(TSO)로 송신한다. 이는, 로밍 토큰(R-PAN)을 대응하는 홈 토큰(H-PAN)으로 변환하고 S112에서 이러한 H-PAN을 서버(H-TSP)로 송신하는 서버(TSO)이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서버(R-SV)는 S86에서 로밍 토큰(R-PAN)을 서버(TSO)로 직접적으로 송신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따라서 서버(R-TSP)가 서버(R-SV)로부터의 로밍 토큰(R-PAN)을 서버(TSO)로 송신해야 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따라서 더블-디토큰화 프로세스는 다양한 서버들 또는 다른 엔티티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예를 들어, 포스 내의) 결제 단말(T)이 사용자 디바이스(DV)와 양방향으로 통신하기 위한 성능을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8, 도 9 및 도 12의 이전의 실시예들과는 상이한 일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사용자(UR) 및 상인이 결제 트랜잭션을 개시하는 것을 희망할 때, 상인은, 결제 단말이, 예를 들어, QR 코드(또는 바 코드)와 같은 그래픽 코드를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결제 단말(T)을 구성한다. 사용자(UR)는 그의 모바일 디바이스(DV)를 모바일 단말을 향해 위치시키며,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모바일 디바이스(DV)의 카메라(미도시)를 사용하여 코드를 획득하거나 또는 판독한다(스캔 & 지불 프로세스)(S150). 그러면, 모바일 디바이스(DV)는, QR 코드에 기초하여, 이전의 실시예들에서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데이터의 세트(DT2)를 결정하고, 이러한 데이터의 세트(DT2)를 상인의 서버(M-SV)로 송신한다(S154). 데이터의 세트(DT2)는 로밍 토큰(R-PAN) 및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트랜잭션 식별자, 양...)를 포함한다. QR 코드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또한, 데이터의 세트(DT2)가 송신될 서버(M-SV)의 어드레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병렬로, 결제 단말은 또한, 예를 들어, 트랜잭션 식별자 및 트랜잭션 양을 포함하는 트랜잭션 데이터(DT3)를 송신한다(S152). 그러면, 상인의 서버(M-SV)는 모바일 디바이스(DV)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세트(DT2) 및 결제 단말(T)로부터 수신된 트랜잭션 데이터(DT3)가 매칭되는지를 체크하고, 매칭되는 경우, 상인 서버(M-SV)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하여 데이터의 세트(DT2)를 획득자의 은행 시스템(AC)으로 송신한다(S156).
도 13의 실시예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따라서 스캔 & 지불 프로세스는, 더블-토큰화 및 더블-디토큰화에 기초하는 본 발명의 개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3-D 보안(3-D Secure; 3DS) 인증 프로세스가 온라인 결제 트랜잭션을 수행하기를 희망하는 사용자(UR)를 인증하기 위해 수행된다는 점에서 이전의 실시예들과는 상이한 일 변형예를 나타낸다.
3-D 보안은 온라인 결제 트랜잭션들에 대한 추가적인 보안 계층으로서 설계된 잘 알려진 XML-기반 프로토콜이다.
도 14의 변형예에 있어서, 사용자(UR)는 그의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을 액세스하기 위해 그의 제 1 모바일 디바이스(DV)를 운반하고, 상인의 웹사이트(WB) 상에서 온라인 결제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것을 희망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상인의 웹사이트(WB)를 액세스하기 위해 제 2 디바이스(DV2)를 사용한다. 제 2 디바이스(DV2)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PC, 태블릿...)일 수 있으며, 제 1 디바이스(DV1)와 동일하거나 또는 제 1 디바이스(DV1)와 상이할 수 있다.
결제 트랜잭션을 검증하기 이전에 사용자(UR)를 인증하기 위하여 IDS 프로토콜에 따라 인증 단계가 먼저 수행된다.
단계(S170)에서, 사용자(UR)는,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서 로밍 결제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전에 사용자에게 할당되었던 로밍 토큰(R-PAN)을 모바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하도록 그의 모바일 디바이스(DV)를 구성한다. 그러면, 사용자(UR)는, 상인의 웹사이트(WB) 상에서,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서 동작하기 위해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할당된 카드 데이터를 입력(S172)하기 위해 그의 제 2 디바이스(DV2)를 사용하며, 이러한 카드 데이터는 로밍 토큰(R-PAN), 만료 날짜 및 모바일 카드(C1)의 카드 검증 값(CVV)을 포함한다. 단계(S174)에서, 제 2 디바이스(DV2)는 로밍 토큰(R-PAN)을 포함하는 카드 데이터를 웹사이트(WB)를 관리하는 상인의 서버(M-SV)로 송신한다.
이러한 서버(M-SV)는 로밍 토큰(R-PAN)을 디렉토리(directory) 서버(DS)로 송신하며(S176), 그러면 디렉토리 서버는 이를 토큰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TSO2)로 송신한다(S178). 서버(TSO2)는 서버(TSO)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단계(S180)에서, 서버(TSO2)는, R-PAN에 기초하여 홈 토큰(H-PAN)을 획득하기 위해 제 1 디토큰화를 수행하는 서버(R-TSP)로 로밍 토큰(R-PAN)을 송신한다. 그런 다음, 서버(R-TSP)는 이러한 제 1 디토큰화로부터 기인하는 홈 토큰(H-PAN)을 다시 서버(TSO2)로 송신한다(S182). 단계(S184)에서, 서버(TSO2)는, 홈 토큰(H-PAN)에 기초하여 모바일 결제 카드(C1)의 대응하는 PAN 번호(C-PAN)를 획득하기 위해 제 2 디토큰화를 수행하는 서버(H-TSP)로 홈 토큰(H-PAN)을 송신한다. 그런 다음, 서버(H-TSP)는 PAN 번호(C-PAN)를 다시 서버(TSO2)로 송신한다(S186). 따라서, 로밍 토큰(R-PAN)에 기초하여 카드(C1)의 PAN 번호(C-PAN)를 획득하기 위해 서버들(R-TSP 및 H-TSP)에 의해 더블 디토큰화가 수행된다.
단계(S188)에서, 서버(TSO2)는 서버(ACS)로 표시된 IS 액세스 제어((ACS) 서버로 PAN 번호(C-PAN)를 전달한다. PAN 번호(C-PAN)에 기초하여, 서버(ACS)는 사용자(UR)와 연관된 접촉 정보를 결정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서버들(ACS)은 모바일 결제 카드(C1)의 C-PAN과 연관되어 저장된 전화 번호를 결정한다. 단계(S190)에서, 서버(ACS)는 사용자(UR)에게 3DS 코드(CS1)(예를 들어, 숫자들의 시퀀스)를 송신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UR은 그의 모바일 디바이스(DV)(예를 들어, 스마트폰) 상에서 코드(CD1)를 수신한다.
그러면, 사용자(UR)는 그의 제 2 디바이스(DV2)를 사용하여 웹사이트(WB) 상에서 CD2로 표시된 3DS 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S191). 일단 이것이 수신되면, 제 2 디바이스(DV2)는 임의의 적절한 통신 수단에 의해 3DS 코드(CD2)를 서버(ACS)로 송신한다(S192). 그러나, 서버(ACS)에 3SD 코드(CD2)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19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DV) 내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서버(ACS)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UR)는, 단계(S190)에서 수신된 3DS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S191에서 그 자신을 인증하기 위해 이러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모바일 디바이스(DV) 내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인증을 확인하기 위해 S192에서 3DS 코드를 서버(ACS)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ACS)는 디바이스(DV2) 상에서 사용자(UR)에 의해 입력된 3DS 코드(CD2)가 단계(S190)에서 서버(ACS)에 의해 이전에 제공되었던 원본 코드(CD1)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매칭이 존재하는 경우에, 서버(ACS)는, 인증이 성공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서버(TSO2)로 송신한다(S193). 이에 응답하여, 서버(TSO2)는 인증 검증 암호라는 명칭의 암호(CRY)를 생성하고, 이를 디렉토리 서버(DS)로 송신하며(S194), 디렉토리 서버는 이를 서버(M-SV)로 전달한다(S196). 단계(S198)에서, 서버(M-SV)는 결제 트랜잭션을 진행하기 위하여 암호(CRY) 및 로밍 토큰(R-PAN)을 포함하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획득자의 은행 시스템(AC)으로 송신한다.
이상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그런 다음 결제 트랜잭션을 검증하기 위하여 더블 디토큰화가 다시 수행된다. 발급사의 은행 시스템(IS)은, 오로지 이것이 사용자(UR)가 인증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암호(CRY)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결제 트랜잭션을 인증한다.
이러한 실시예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따라서 3DS 인증 프로세스는, 더블-토큰화 및 더블-디토큰화에 기초하는 본 발명의 개념에 적용될 수 있다.
상인들 및 결제 카드 발급사들은 일반적으로 온라인 트랜잭션들에 대해 3DS를 지원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상인 및/또는 발급사가 3DS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제 2 디바이스(DV2)는 단계(S174)에서 결제 트랜잭션을 진행하기 위해 로밍 토큰(R-PAN)을 포함하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획득자의 은행 시스템(AC)으로 직접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들(S176 내지 S198)(도 14)이 수행되지 않는다.
도 15는, 상인의 애플리케이션(APP1)이 사용자(UR)의 모바일 디바이스(DV) 내에 미리 설치된다는 점에 있어서 이전의 실시예들과는 상이한 일 변형예를 나타낸다. 사용자(UR)가 그의 모바일 디바이스(DV)를 사용하여 상인의 웹사이트 상에서 온라인 결제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것을 희망하는 경우, 사용자(UR)는 모바일 디바이스(DV) 상에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1)을 실행하거나 또는 호출할 수 있다(S220). 실제로, 사용자(UR)는 모바일 디바이스(DV) 상에서 실행되는 상인의 애플리케이션(APP1)의 체크아웃 버튼을 트리거함으로써 결제를 완료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DV)는, 모바일 결제 카드(C1)의 카드 데이터, 즉,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서 동작하기 위해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이전에 할당되었던 로밍 토큰(R-PAN)을 포함하는 카드 데이터를 체크아웃 제공자 서버(CP-SV)로 송신한다(S222).
단계(S224)에서, 서버(CP-SV)는 로밍 토큰(R-PAN)을 포함하는 카드 데이터를 상인의 서버(M-SV)로 송신한다. 그런 다음, 서버(M-SV)는, 이상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결제 트랜잭션을 진행하기 위하여 획득자의 은행 시스템(AC)으로 로밍 토큰(R-PAN)과 함께 트랜잭션 데이터를 송신한다(S226).
이러한 실시예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따라서 인-앱(in-app) 온라인 트랜잭션 프로세스가, 더블-토큰화 및 더블-디토큰화에 기초하는 본 발명의 개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2에 대하여 이상에서 설명된 변형예들은, 도 13,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포함하여 본 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서버(TSO)는 본 문서에서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에 대하여 제 1 디토큰화 단계 자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들 내의 순서도 및 블록도들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방법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의 가능한 구현예들의 구성, 동작 및 기능성을 예시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순서도들 또는 블록도들 내의 각각의 블록이 명시된 논리적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코드의 모듈, 세그먼트, 또는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명시적으로 설명되지는 않지만, 본 실시예들은 이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서브-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에서 설명되었지만, 발명적인 기능의 행사 없이 그리고 당업자들의 능력 내에서 다수의 수정예들 및 실시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19)

  1.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을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DV)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은 처음에 홈 결제 네트워크(H-NT)에서 트랜잭션(transaction)들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결제 카드(C1)와 연관된 데이터의 제 1 세트(DT1)를 가지고 구성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OC)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40);
    상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용이 가능한 소위 로밍(roaming) 결제 네트워크인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결제 네트워크(R-NT)를 식별하는 로밍 정보(RI)를 수신하는 단계(S48);
    상기 로밍 정보에 기초하여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를 선택하는 단계(S50);
    상기 선택된 로밍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에 할당된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를 획득하는 단계(S68); 및
    상기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가지고 상기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 상기 구성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를 사용하여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보 요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홈 결제 네트워크의 범위를 벗어나 로밍하고 있다는 것을 검출할 때 전송되는,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지리적 정보;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이의 부분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로밍 은행 네트워크와 연관된 파라미터들로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서비스 레이트(service rate)들 및 승인(acceptance)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상기 파라미터들;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각각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가 선택될 우선순위 순서를 정의하는 우선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는 상기 홈 결제 네트워크에서의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의 제 1 식별자(H-PANID)를 포함하며,
    데이터의 제 2 세트(R-PAN, R-PANID, R-PRM)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 1 서버(TSO; DWP)로 상기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 대한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로비저닝 요청은 상기 제 1 식별자(H-PANID)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버(TSO; DWP)로부터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는,
    상기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에 할당된 로밍 토큰(R-PAN), 및
    상기 로밍 토큰(R-PAN)의 식별자(R-PANID)를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는 상기 홈 결제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에 할당된 주(primary) 계좌 번호(account number)에 대응하는 홈 토큰(H-PAN)을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처음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기 홈 결제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에 할당된 상기 주 계좌 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주 계좌 번호를 상기 제 1 서버(TSO)로 전송하며; 및
    상기 주 계좌 번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를 수신하게끔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을 관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DV)와 협동하는 제 1 서버(TSO)에 의해 구현되는 프로세싱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OC)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42);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단계(S44);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로밍 정보(RI)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S46);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 사이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 대한 프로비저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62);
    상기 선택된 로밍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에 할당된, 소위 데이터의 제 2 세트(DT2)인 데이터의 세트(R-PAN, R-PANID, R-PRM)를 획득하는 단계(S64); 및
    상기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R-PAN, R-PANID, R-PRM)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S66)를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지리적 정보;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이의 부분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버는, 개별적인 영역에서 액세스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 네트워크를 특징짓는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조사(consult)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방법.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로밍 은행 네트워크와 연관된 파라미터들로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서비스 레이트들 및 승인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상기 파라미터들;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각각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가 선택될 우선순위 순서를 정의하는 우선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는,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로밍 결제 네트워크와는 상이한 홈 결제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이 처음에 구성되는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와는 상이한,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요청은 상기 홈 결제 네트워크에서의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의 제 1 식별자(H-PANID)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식별자는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의 부분이고; 및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는 상기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의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의 로밍 토큰(R-PAN) 및 상기 로밍 토큰과 연관된 제 2 식별자(R-PANID)를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S64)는 연속적으로,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의 상기 제 1 식별자(H-PANID)를 홈 토큰 서비스 제공자의 제 2 서버(H-TSP)로 전송하는 단계(S64a);
    상기 제 2 서버로부터, 상기 홈 결제 네트워크에서의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의 홈 토큰(H-PAN)을 수신하는 단계(S64c);
    로밍 토큰 서비스 제공자의 제 3 서버(R-TSP)로 상기 홈 토큰(H-PAN)을 전송하는 단계(S64d); 및
    상기 제 3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S64f)를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는,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가 상기 선택된 로밍 뱅킹 디바이스에서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의 시각적 외관을 구성하기 위한 시각적 파라미터들;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가 상기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때 상기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설치될 로밍 결제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의 만료 날짜(expiration d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7.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8.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을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DV)로서,
    상기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이 홈 결제 네트워크(H-NT)에서 트랜잭션들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결제 카드(C1)와 연관된 데이터의 제 1 세트(DT1)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는 동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OC)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현지화(localisation) 모듈(MD2);
    상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용이 가능한 소위 로밍 결제 네트워크인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결제 네트워크(R-NT)를 식별하는 로밍 정보(RI)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MD4);
    상기 로밍 정보에 기초하여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모듈(MD6);
    상기 선택된 로밍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에 할당된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를 획득하기 위한 데이터 획득 모듈(MD8); 및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결제 카드(C1)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가지고 상기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모듈(MD10)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DV).
  19.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을 관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DV)와 협동하는 프로세싱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제 1 서버(TSO)로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LOC)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현지화 모듈(MD20);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MD22);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로밍 정보(RI)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제 1 전송 모듈(MD24);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밍 결제 네트워크 사이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R-NT)에 대한 프로비저닝 요청(RQ1)을 수신하기 위한 요청 프로세싱 모듈(MD26);
    상기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C1)에 할당된, 소위 데이터의 제 2 세트인 데이터의 세트(DT2)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비저닝 모듈(MD28); 및
    상기 선택된 로밍 결제 네트워크에서 상기 모바일 결제 카드(C1)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DWA)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DT2)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제 2 전송 모듈(MD30)을 포함하는, 제 1 서버(TSO).
KR1020207001379A 2017-06-15 2018-05-24 모바일 결제를 위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 KR102548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305733.2A EP3416121B1 (en) 2017-06-15 2017-06-15 Digital wallet application for mobile payment
EP17305733.2 2017-06-15
PCT/EP2018/063693 WO2018228794A1 (en) 2017-06-15 2018-05-24 Digital wallet application for mobile pay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707A true KR20200019707A (ko) 2020-02-24
KR102548694B1 KR102548694B1 (ko) 2023-06-28

Family

ID=5921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379A KR102548694B1 (ko) 2017-06-15 2018-05-24 모바일 결제를 위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200167760A1 (ko)
EP (2) EP3416121B1 (ko)
JP (1) JP7265490B2 (ko)
KR (1) KR102548694B1 (ko)
CN (1) CN110998632B (ko)
AU (1) AU2018283196B2 (ko)
BR (1) BR112019026608A2 (ko)
CA (1) CA3066609A1 (ko)
DK (1) DK3416121T3 (ko)
ES (1) ES2830431T3 (ko)
MX (1) MX2019015197A (ko)
PT (1) PT3416121T (ko)
RU (1) RU2756989C2 (ko)
SG (1) SG11201911981PA (ko)
WO (1) WO2018228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9774B1 (en) 2017-11-20 2024-05-21 Wells Fargo Bank, N.A.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igital trusted data
US20190362339A1 (en) * 2018-05-25 2019-11-28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payment transaction using a preferred digital wallet application
KR102536948B1 (ko) * 2018-10-29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Ssp의 번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510862B (zh) * 2020-04-24 2021-09-21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区域定位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2965A1 (en) * 2000-10-27 2002-05-02 Dowling Eric Morgan Negotiated wireless peripheral security systems
KR20160044435A (ko) * 2013-09-12 2016-04-25 페이팔,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지갑 자금 이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46153A (zh) * 2009-09-03 2010-0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支持漫游用户的移动电话支付系统、方法及相关装置
US9691055B2 (en) * 2010-12-17 2017-06-27 Google Inc. Digital wallet
US8848660B2 (en) * 2011-03-22 2014-09-30 Amazon Technologies, Inc. Preferred PLMN list for faster service acquisition
EP2718886A4 (en) * 2011-06-07 2015-01-14 Visa Int Service Ass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SEGMENTATION IN PAYMENT CONFIDENTIALITY UNITS
CN103686652A (zh) * 2012-08-31 2014-03-26 阿尔卡特朗讯 在vplmn中为漫游用户设备进行独立漫游计费的方法与设备
CN104376459A (zh) * 2013-08-12 2015-02-25 黄金富知识产权咨询(深圳)有限公司 一种双卡双待无线pos机和相应支付系统
US10515358B2 (en) * 2013-10-18 2019-12-24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Contextual transaction token methods and systems
RU2013151507A (ru) * 2013-11-19 2015-05-27 Александр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Кириков Электронный кошелек
SG11201604906QA (en) * 2013-12-19 2016-07-28 Visa Int Service Ass Cloud-based transactions methods and systems
CN110992012B (zh) * 2014-02-10 2023-11-10 谷歌有限责任公司 用于使数据集优先化的移动设备、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US9600844B2 (en) * 2014-03-04 2017-03-21 Bank Of America Corporation Foreign cross-issued token
US10002352B2 (en) * 2014-03-04 2018-06-1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Digital wallet exposure reduction
KR20160112133A (ko) * 2015-03-18 2016-09-28 (주)이삭랜드코리아 외국 관광객을 위한 휴대 단말 앱 기반 간편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1695699B1 (ko) * 2015-08-13 201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20170061419A1 (en) * 2015-08-28 2017-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y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2965A1 (en) * 2000-10-27 2002-05-02 Dowling Eric Morgan Negotiated wireless peripheral security systems
KR20160044435A (ko) * 2013-09-12 2016-04-25 페이팔,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지갑 자금 이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9015197A (es) 2020-08-13
EP3416121A1 (en) 2018-12-19
AU2018283196A1 (en) 2020-01-02
JP7265490B2 (ja) 2023-04-26
KR102548694B1 (ko) 2023-06-28
AU2018283196B2 (en) 2024-05-02
CA3066609A1 (en) 2018-12-20
CN110998632A (zh) 2020-04-10
PT3416121T (pt) 2020-10-30
RU2756989C2 (ru) 2021-10-08
DK3416121T3 (da) 2020-11-09
ES2830431T3 (es) 2021-06-03
RU2020100915A (ru) 2021-07-15
US20200167760A1 (en) 2020-05-28
WO2018228794A1 (en) 2018-12-20
JP2020523704A (ja) 2020-08-06
RU2020100915A3 (ko) 2021-07-15
EP3639230A1 (en) 2020-04-22
EP3416121B1 (en) 2020-08-19
BR112019026608A2 (pt) 2020-07-28
CN110998632B (zh) 2024-01-23
SG11201911981PA (en)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8694B1 (ko) 모바일 결제를 위한 디지털 지갑 애플리케이션
US10922675B2 (en) Remote transaction system, method and point of sale terminal
CN105260886A (zh) 支付处理方法、装置、nfc便携终端及穿戴终端
AU2024202326A1 (en) Mobile payment roaming
CA2943854A1 (en) Remote transaction system, method and point of sale terminal
EP3104635A1 (en) Method for an improved installation of a secure-element-related service application in a secure element being located in a communication device, system and telecommunications network for an improved installation of a secure-element-related service application in a secure element being located in a communication device, program comprising a 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70032369A1 (en) Method, device and first server for authorizing a transaction
KR20220066357A (ko) 다중 폐쇄 루프 보안 거래의 시스템 및 방법
US11887106B2 (en) Provisioning of secure application
US20160283927A1 (en) Authentication for mobile transactions
EP4177810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horizing mobile transactions
Pourghomi et al. Trusted integration of cloud-based NFC transaction play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