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661A -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 Google Patents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661A
KR20200019661A KR1020200018877A KR20200018877A KR20200019661A KR 20200019661 A KR20200019661 A KR 20200019661A KR 1020200018877 A KR1020200018877 A KR 1020200018877A KR 20200018877 A KR20200018877 A KR 20200018877A KR 20200019661 A KR20200019661 A KR 20200019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rch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8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7927B1 (en
Inventor
김현모
Original Assignee
김현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1735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80210B1/en
Application filed by 김현모 filed Critical 김현모
Priority to KR1020200018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927B1/en
Publication of KR2020001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6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9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capable of maximizing treatment eff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comprises: a base member including a first surface attached to teeth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a clip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the other end coming in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surface. Since a convex arch is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clip member, the inner part of the arch can be conne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A slit penetrating the clip member in a thickness direction can be formed in one portion of the other end side of the arch of the clip member.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understood through the description are possible.

Description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ORTHODONTIC BRACKET ASSEMBLY}Orthodontic Bracket Assembly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의 설측에 부착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relate to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ttached to the lingual side of a tooth.

치아의 불균일한 배열 또는 치아의 부정교합은 치아의 및 하관 턱뼈의 발육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 불균일한 치열 및 부정교합은 심미적인 측면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저작할 때 불편함을 일으키고, 나아가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끼어 충치 등 각종 치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Uneven arrangement of teeth or malocclusion of the teeth can cause abnormal development of the dental and lower jaw bones. Non-uniform dentition and malocclusion not only act adversely in terms of aesthetics, but also cause discomfort when chewing food, and can also cause various dental diseases, such as tooth decay, between foods.

이러한 불균일한 치열 및 부정교합은 주로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발생하나, 후천적으로 치아에 중장기간 동안 일정한 힘을 가하여 치아를 이동시키는 치아 교정술이 널리 시술되고 있다. Such non-uniform dentition and malocclusion mainly occur due to genetic factors, but the orthodontic surgery to move the teeth by applying a constant force to the teeth for a long period of time has been widely performed.

일반적으로 치열 교정술은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치아의 설측(舌側)(즉, 치아의 안쪽) 표면에 부착시키는 설측 교정 방법과, 치아의 순측(脣側)(즉, 치아의 바깥쪽)에 부착시키는 순측 교정 방법으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미관상의 이유로 설측 교정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Orthodontics is generally a lingual orthodontic method that attaches an orthodontic bracket to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ie the inner side of the tooth) and to the labial side of the tooth (ie the outside of the tooth). This is classified into a forward calibration method. Recently, lingual correction methods have been preferred for aesthetic reasons.

예를 들어, Bernhard Forester GmbH는 단순한 구조를 가진 설측 치열교정 2D® lingual 브라켓을 제공한다. 위 2D® lingual 브라켓은 단순한 구조 및 얇은 형상으로 인하여 피시술자의 착용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있다.Bernhard Forester GmbH, for example, offers a simple structure of lingual orthodontic 2D ® lingual brackets. The 2D ® lingual bracket is easy to be worn by the subject due to its simple structure and thin shape.

그러나, 2D® lingual 브라켓은 극도로 단순한 구조는 별론으로, 치열교정용 와이어를 클립에 결착시키기 위한 시술 과정에서 치과의사의 고도의 숙련도를 요한다. 상기 교정 시술에서 치과의사는 날카로운 시술도구를 클립과 베이스 사이에 삽입하고 클립과 베이스 사이를 벌리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충분히 숙련되지 않은 치과의사의 경우 상기 날카로운 시술도구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즉, 환자)의 치은을 강하게 찌를 수 있고, 해당 피시술자로부터 강한 항의를 종종 받게 된다. However, 2D ® lingual brackets are extremely simple structure, requires a high level of proficiency of the dentist, orthodontic wire for a byeolron in the treatment process for the binder clip. In the orthodontic procedure, the dentist inserts a sharp surgical tool between the clip and the base and performs a process of opening the clip and the base. In this case, a dentist who is not sufficiently skilled may strongly pierce the gingival of the subject (ie, the patient) using the sharp treatment tool, and often receive a strong protest from the subject.

또한, 위 2D® lingual 브라켓의 베이스는 기본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이루므로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가까이 부착되는 경우, 부착되는 치아와 탈락할 확률이 높아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 2D® lingual 브라켓의 베이스는 그 사각 형상으로 인해 치아와 인접 치아 사이에서 부풀어오른 치은(치간유두)과 접촉 및 간섭하게 되어 해당 치아로부터 쉽게 탈락해버린다. In addition, since the base of the 2D ® lingual bracket is basically rectangular in shape, if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is attached close to the gingiva, the probability of falling off from the attached tooth is increased. In more detail, the base of the 2D ® lingual bracket is contacted and interfered with the swelling gingival (interdental papilla) between the tooth and the adjacent tooth due to its square shape, which is easily removed from the tooth.

이에 따라, 상기 2D® lingual 브라켓은 종종 치아의 상단부에 부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순측으로 향하여 볼록한 호(弧) 형상을 가지는 데, 2D® lingual 브라켓이 치아의 상단부에 부착되면, 결착된 와이어가 치아의 양측단과 닿게 되어 피시술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킨다(이른바, marginal ridge 간섭). 나아가, 치아는 치은에 깊게 뿌리내리고 있는 바, 2D® lingual 브라켓이 치아의 상단부에 부착되면, 치열교정용 와이어에 의한 물리적 저항 중심이 상기 2D® lingual 브라켓의 부착 위치와 어긋나게 되어 치아의 효율적인 이동이 곤란해진다. Accordingly, the 2D ® lingual bracket is often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tooth. In general, teeth have a convex arc shape toward the labial side. When a 2D ® lingual bracket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tooth, the bound wir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tooth, thus increasing the discomfort of the subject (so-called marginal). ridge interference). Further, the teeth when the bar, 2D ® lingual bracket falling deeply rooted in the gingiva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tooth, the central physical resistance of the orthodontic wire for the shifting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2D ® lingual bracket is efficient movement of the teeth It becomes difficult.

본 발명의 발명자는 치과 전문의로서, 직접 시술함에 있어서 겪은 불편함을 해결하고, 앞서 제기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기에 이른 것이다.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dental specialist, has come up with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inconveniences experienced in the procedure, and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s raised abov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박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시술자의 시술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술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document can be manufactured in a thin form,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s treatment, as well as to provide a bracket that can maximize the effect of the procedure.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200, 300)는, 치아(10)에 부착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110, 210, 310), 및 일단(Y')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Y)이 상기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클립 부재(120, 220, 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에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한 아치(arch)(120a, 220a, 320a)가 형성되어, 상기 아치(120a, 220a, 320a)의 내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횡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의 상기 아치(120a, 220a, 320a) 중 상기 타단측(Y측)의 일부분에는,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121, 221, 321)이 형성될 수 있다.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200,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document, a base including a first surface attached to the tooth 10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he first surface The members 110, 210, 310, and one end Y ′ are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210, 310, and the other end Y contacts or separates from the second surface. It may include a clip member (120, 220, 320). The clip members 120, 220, and 320 are formed with arches 120a, 220a, and 320a which are upwardly convex on the second surface, and the interior of the arches 120a, 220a, and 320a may be formed in the base. The members 110, 210, and 31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slit penetrating the clip members 120, 220, 3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 a part of the other end side (Y side) of the arches 120a, 220a, 320a of the clip members 120, 220, 320. 121, 221, and 321 may be form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치(120a, 220a, 320a)는 곡면 아치(120a, 320a) 또는 사각 아치(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치(120a, 220a, 320a)의 내부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orthodontic archwire)(20, 20r)가 상기 횡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rches 120a, 220a, and 320a may include curved arches 120a and 320a or rectangular arches 220a. Orthodontic archwires 20 and 20r may pas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side the arches 120a, 220a and 320a.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릿(121, 221, 321)에 지정된 기구(50)가 삽입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designated device 50 may be inserted into the slits 121, 221, and 321.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릿(121, 221, 321)은,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의 상기 아치(120a, 220a, 320a) 중 상기 타단(Y)의 종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릿(121, 221, 321)의 둘레 중 일변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일변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와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와의 접촉에 의하여 닫힐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lits 121, 221, and 321 are formed at ends of the other end Y of the arches 120a, 220a, and 320a of the clip members 120, 220, and 320.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lits 121, 221, and 321 is opened, and the open side may be closed by contact between the base members 110, 210, and 310 and the clip members 120, 220, and 32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기구(50)가 상기 슬릿(121, 221, 321)에 삽입되고, 상기 지정된 기구(50)가 상기 삽입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비틀림모멘트(torque)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와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가 분리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designated mechanism 50 is inserted into the slits 121, 221, and 321, and the designated mechanism 50 rotates the inserted direction about a rotation axis, the torque is caused by a torsional moment. Base members 110, 210, and 310 may be separated from the clip members 120, 220, and 3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릿(121, 221, 321)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장변은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의 횡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lits 121, 221, and 321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long side of the rectangular shape may be parallel to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lip member (120, 220, 3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는, 사다리꼴(410), 삼각형(도 6의 310), 오각형(510), 육각형, 또는 이들의 꼭지점이 라운드된(round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se members 110, 210, and 310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410, a triangle (310 in FIG. 6), a pentagon 510, a hexagon, or a vertex thereof. Can hav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횡 방향 폭이, 상기 치아(10) 끝에서부터 치은(30)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member (110, 210, 310) is narrow, as the transverse width of the base member (110, 210, 310) toward the gingiva (30) from the end of the tooth (10) Can be form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치아(10)의 설측 표면 중 치은(30)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210, 310 may be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10 adjacent to the gingiva 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홀(hole)(125, 127, 225, 3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base members 110, 210, and 310 may include holes 125, 127, which penetrate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base members 110, 210, and 310. At least one of 225 and 325 may be form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200, 30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치아(10)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가 상기 제1 면에 도포된 후 상기 치아(10)와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가 서로 부착되면, 상기 부착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기 접착제의 일부가 상기 홀(125, 127, 225, 325)을 통해 상기 제2 면으로 유출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200, 300 may further comprise an adhesive for attaching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210, 310 and the tooth 10. have. When the tooth 10 and the base member 110, 210, 310 are attached to each other after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first surface, a part of the adhesive is formed by the pressure due to the attachment. Through the second surface 225 and 325.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제1 홀(hole) (1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 중 상기 제1 홀(125)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를 관통하는 제2 홀(1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member (110, 210, 310), the first hole (125) penetrating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210, 310) At least one may be formed. At least one second hole 125 penetrating through the clip members 120, 220, and 32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hole 125 is formed among the clip members 120, 220, and 320. Can b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200, 30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치아(10)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가 상기 제1 면에 도포된 후 상기 치아(10)와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가 서로 부착되면, 상기 부착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기 접착제의 일부가 상기 제1 홀(125) 및 상기 제2 홀(125)을 통해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의 표면으로 유출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200, 300 may further comprise an adhesive for attaching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210, 310 and the tooth 10. have. When the tooth 10 and the base members 110, 210, and 310 are attached to each other after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first surface, a part of the adhesive is formed by the pressure caused by the attachment to the first hole 125. ) And the second hole 125 may be discharged to the surface of the clip member (120, 220, 3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200, 30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고,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의 상기 아치(120a, 220a, 320a)의 내부에 배치되는 결속 부재(130, 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 부재(130, 230)의 돌출부(130b, 230b)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2 면과 함께 지정된 형상의 결속 홈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지정된 형상은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 20r)는 상기 결속 홈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결속 부재(130, 230)와 결속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200, 300) is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210, 310), the clip member (120, 220, 320) of the The binding members 130 and 230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arches 120a, 220a and 320a. The protrusions 130b and 230b of the binding members 130 and 230 may form a binding groove having a specified shape together with the second surfaces of the base members 110, 210 and 310. The designated shape may comprise a circle, a rectangle, or a polygon. The orthodontic archwires 20 and 20r may be coupled to the binding members 130 and 230 by being seated in the binding groov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 20r) 또는 상기 결속 부재(130, 230)가 노출될 수 있는 오프닝(opening)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clip members 120, 220, and 320 to expose the orthodontic archwires 20 and 20r or the binding members 130 and 23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1 면에는 메쉬형 돌출부(130b, 230b)가 형성될 수 있다. In example embodiments, mesh-shaped protrusions 130b and 230b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rfaces of the base members 110, 210, and 3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치아(10)의 설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210, 310 may be attached to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의 상기 일단(Y')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320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 edge of the one end Y ′ of the clip members 120, 220, and 320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second surface (320 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는, 상기 일단(Y')의 종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오버행(overhang)(320n)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lip member 120, 220, 320 extends from the end of the one end (Y '), the overhang (320) of the overhang protruding upwards of the second surface It may include.

본 문서에 개시되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100, 200, 300)은, 치아(10)에 부착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110, 210, 310), 및 일단(Y')이 상기 베이스(110)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어 있고, 외력에 의하여 타단(Y)이 상기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클립(120, 220, 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120, 220, 320)은,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굽어있는 아치부(120a, 220a, 320a)를 포함하고, 상기 아치부(120a, 220a, 320a) 중 상기 제2 면과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은 상기 베이스(110, 210, 310)의 횡 방향으로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아치부(120a, 220a, 3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는 상기 클립의 상기 타단(Y) 모서리에 대응하며, 상기 아치부(120a, 220a, 3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는, 요부(凹部, recession)(121, 221, 321)가 형성될 수 있다.Orthodontic bracket 100, 200,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document, a base including a first surface attached to the tooth 10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120, 210, 310), and one end (Y ') is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110, the clip 120, the other end (Y) is in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surface by an external force , 220, 320). The clips 120, 220, and 320 include arch portions 120a, 220a, and 320a that are curved in a convex arch shape, and are spaced to face the second surface of the arch portions 120a, 220a, and 320a. May communic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ases 110, 210, and 310. One end edge of the arch portions 120a, 220a and 320a corresponds to the other end (Y) edge of the clip, and a part of one end edge of the arch portions 120a, 220a and 320a includes a recessed portion. recessions 121, 221, and 321 may be formed.

한편, 전술한 각 구성과 함께 병기된 도면의 참조번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붙여진 것으로서, 예시에 불과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각 구성들이 상기 참조번호들이 지칭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drawings in parallel with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ttach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merely an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recognize that the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what the above reference numbers refer to.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박형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하면, 슬릿의 존재로 인하여 피시술자에 대해 불측의 상해를 가할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고유의 형상으로 인해 치간 유두에 의한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가 치아로부터 탈락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제1 면이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될 수 있어, 이른바 marginal ridge 간섭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가 치아의 물리적 저항 중심점에 인접하게 부착되므로 치아의 효율적인 이동이 가능해진다. 아치 내부의 결속 부재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와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의 결속을 더욱 강화시킴과 아울러,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의 입체적인 조정 및 조율을 가능케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 thi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the presence of a slit can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causing injuries to the subject. In addition, due to the inherent shape of the base member, interference by the interdental papilla can be reduced, so that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may not fall off or separate from the tooth. In addition, the first face of the base member may be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adjacent to the gingiva, thereby preventing so-called marginal ridge interference, as well as allowing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to be adjacent to the center of physical resistance of the tooth. Attachment allows efficient movement of the teeth. The binding member inside the arch has the advantage of further strengthening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nd the orthodontic archwire, and enabling the three-dimensional adjustment and coordination of the orthodontic archwire. In addition, various effects may be provided that are directly or indirectly identified through this document.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와 클립 부재가 서로 분리된 상태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 부재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llustrates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3 is a view illustrating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in which a base member and a clip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A and 4B show cross-sectional views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5 shows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llustrates a base member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llustrates a binding member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9 illustrates a binding member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1 illustrates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2A and 12B illustrate cross-sectional views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 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have", "may have", "include", or "may include" include the presence of a corresponding feature (e.g., numerical, functional, operational, or component such as a componen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or / and B", or "one or more of A or / 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items listed together. .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includes (1) at least one A, (2) at least one B, Or (3) both of cases including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as used herein, may modify various components, regardless of order and / or importance, and may modify one component to another. It is used to distinguish a component and does not limit the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herei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The expression "configured to" used in this document is, for example,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The term "configured to" does not necessarily mean "specifically designed to".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he terms defined in the general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it is clearly defined in this document,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Not interpreted. In some cases, even if terms are defined in the specification, they may 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접착제(예: 레진(resin))을 개재하여 치아(10)의 설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에는 치아(10)의 설측 표면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치아(10)의 순측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치아(10)의 설측 표면 중 치은(30)(즉, 잇몸)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ttached to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10 through an adhesive (for example, a resin). 1 is shown attached to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may be attached to the labial surface of the tooth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may be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10 adjacent to the gingiva 30 (ie, the gum). hav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치아(10)에 부착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들은 치아교정용 아치 와이어(20)를 통해 결속될 수 있다.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스테인리스 스틸, 티타늄 합금, 형상 기억 합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치아교정용 아치 와이어(20)는 그 단면이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정된 인장력 이상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단선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치아교정용 아치 와이어(20)는 교정 와이어, 치아교정용 와이어, 또는 단순히 와이어로도 참조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100 attached to each tooth 10 may be bound through orthodontic arch wires 20.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titanium alloys, shape memory alloys. Orthodontic arch wire 2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val, square, or polygonal shape of the cross section,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disconnect even if a force greater than a specified tensile force is applied. Orthodontic arch wire 20 may also be referred to as orthodontic wire, orthodontic wire, or simply wire.

각 치아(10)에 부착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들에 치아교정용 아치 와이어(20)를 결속한 후, 치아교정용 아치 와이어(20)의 양단에 지정된 인장력을 가하거나, 적절한 외력을 가함으로써 시술자가 의도한 치열이 구성될 수 있다. After binding the orthodontic arch wire 20 to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100 attached to each tooth 10, apply a specified tensile force to both ends of the orthodontic arch wire 20, or an appropriate external force By applying, the dentist's intended dentition can be constructed.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치아(10)에 부착될 수 있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구성 및 관련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또는 단순히 브라켓으로도 참조될 수도 있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related embodiments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tooth 10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may also be referred to as an orthodontic bracket or simply a bracket.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2 illustrates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베이스 부재(110) 및 클립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may include a base member 110 and a clip member 120.

베이스 부재(110)는 판상형 부재로서, 치아(예: 도 1의 10)에 부착되는 제1 면(순측 방향; 뒷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설측 방향; 앞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110)는, 해당 베이스 부재(110)의 횡 방향 폭이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있어서, 해당 베이스 부재(110)의 횡 방향(도 2에서 +x축, -x축 방향) 폭은 +y축 상의 치아 끝에서부터 -y축 상에 위치하는 치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베이스 부자(110)는 오각형 또는 야구의 홈 플레이트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base member 110 is a plate-shaped member, and has a first surface (forward direction; back side) attached to a tooth (eg, 10 in FIG. 1) and a second surface (lingual direction; front sid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It may inclu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member 110 may be formed so that the width of the base member 110 is narrowed toward the gingiva from the tooth tip. That is, in the base member 110, the wid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 x axis, -x axis direction in FIG. 2) of the base member 110 is a gingiva located on the -y axis from the tooth tip on the + y axis. It may be formed so as to narrow in the direction. Accordingly, for example, the base rich 11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pentagonal or baseball home plate.

베이스 부재(110)의 횡 방향 폭이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되므로,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이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되더라도 치간유두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본 발명 고유의 베이스 부재(110)의 형상으로 말미암아, 치아로부터 탈락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이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되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가 치아의 저항 중심점에 인접하게 부착되므로, 치아의 효율적인 이동이 가능해진다. Since the lateral width of the base member 110 is narrowed from the tip of the tooth toward the gingiva, even if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is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adjacent to the gingiva, it does not contact the interdental papilla. You may not.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due to the shape of the base member 110 inherent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removed or separated from the tooth. In addition, when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is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adjacent to the gingiva,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is attached adjacent to the resistance center of the tooth, thereby enabling efficient movement of the tooth. Become.

한편, 베이스 부재(110)에는, 치아와 부착되는 면인 제1 면과 그 반대 면인 제2 면을 관통하는 제1 홀(hole)(1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립 부재(120) 중 상기 제1 홀(125)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클립 부재(125)를 관통하는 제2 홀(1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베이스 부재(110)에 형성된 제1 홀(125)와 클립 부재(120)에 형성된 제2 홀(125)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나, 제1 홀(125)와 제2 홀(125)의 크기는 서로 상이하여도 무방하다. Meanwhile, at least one first hole 125 penetrating the first surface, which is a surface attached to the tooth, and the second surface, which is opposite to the tooth, may be formed in the base member 110. In addition, at least one second hole 125 penetrating through the clip member 12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hole 125 is formed in the clip member 120. In FIG. 2, the first hole 125 formed in the base member 110 and the second hole 125 formed in the clip member 120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ize, but the first hole 125 and the second hole are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ize. The size of 125 may differ from each oth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과 치아는 접착제(예: 레진)를 이용하여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는 접착제를 통해 치아에 부착되므로, 당해 부착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기 접착제의 일부가 제1 홀 및 제2 홀(125)을 통해 클립 부재(120)의 표면으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 및 제2 홀(125)을 통해 유출된 접착제는,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 제1 홀 및 제2 홀(125)의 내벽, 및 상기 클립 부재(120)의 표면에서 접착하므로, 치아와 치아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접착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urface and the teeth of the base member 110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using an adhesive (for example, resin). Since the base member 110 is attached to the tooth through the adhesive, a portion of the adhesive may flow out to the surface of the clip member 120 through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125 by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attachment. . The adhesive leak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oles 125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the inner wall of the first and second holes 125, and the surface of the clip member 120. Since the adhesive from, the adhesion of the tooth and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can be further improved.

클립 부재(120)는 베이스(110)와 유사한 크기로 설계되어, 상기 베이스(110)의 하단부에서 상기 베이스(11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120)의 일단은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에 고정될 수 있고, 클립 부재(120)의 타단은 외력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클립 부재(120)는 베이스 부재(110)의 -y축 상의 하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예컨대, 용접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고, +y축 상의 상단부에서 외력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과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The clip member 120 may be designed to have a size similar to that of the base 110, and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ase 110 at a lower end of the bas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end of the clip member 120 may be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clip member 120 may be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by an external force. Contact or separation. That is, the clip member 120 may be fixedly coupled (eg, welded) to the base member 110 at the lower end on the −y axis of the base member 110, and may be fixed by the external force at the upper end on the + y axis. It may be opened or closed with the second side of 110.

한편, 클립 부재(1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 부재 또는 치열교정용 와이어(20)가 노출될 수 있는 오프닝(opening)(123)이 형성될 수 있다. 결속 부재에 대하여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Meanwhile, an opening 123 through which the binding member or the orthodontic wire 20 may be exposed may be formed in the clip member 120. The binding membe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120)에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어있는 아치(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면의 상방향이라 함은, 상기 제2 면의 법선 방향(+z 방향)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면의 법선 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각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아치(arch)(120a)라 함은 그 사전적 어의를 불문하고, 그 단면의 일부이 곡선으로 된 곡면 아치,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된 사각 아치, 또는 그 단면이 다각형으로 된 다각 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lip member 120 may be formed with an arch 120a that is convexly curved upward in the second surface. In this case, the upward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is not limited to the normal direction (+ z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directions of angles forming an acute angle with the normal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do. In addition, arch 120a, regardless of its preliminary meaning, includes curved curved arches with a portion of its cross section curved, a rectangular arch with its cross section rectangular, or a polygonal arch with its cross section polygonal. Should be understood as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치(120a)의 내부는 베이스 부재(110)의 횡 방향(+x축 방향 및 -x축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아치(120a)와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은, 베이스 부재(110)의 횡 방향(+x축 방향 및 -x축 방향)으로 연통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아치(120a)의 내부(즉, 아치(120a)가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과 대향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공간)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가 상기 횡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치(120a) 내부의 직경은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의 직경과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interior of the arch 1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mmunic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 x-axis direction and −x-axis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110. In other words, the space in which the arch 120a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face each other can communic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x-axis direction and -x-axis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110. As described later, the orthodontic archwire 20 may pas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interior of the arch 120a (ie, the space formed by the arch 120a facing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Can be.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inside of the arch (120a) is preferably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orthodontic archwire (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치(120a) 중 상기 타단측(+y방향)의 일부분에는, 클립 부재(12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1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릿(121)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또는 어느 하나의 꼭지점이 라운드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릿(121)의 장변은 베이스 부재(110) 또는 클립 부재(120)의 횡 방향(+x축 방향 및 -x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ortion of the other end side (+ y direction) of the arch 120a, a slit 121 penetrating the clip member 1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may be formed. For example, the slit 121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one vertex is rounded as shown in FIG. 1. In this case, the long side of the slit 121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 x-axis direction and -x-axis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110 or the clip member 120.

일례에 따르면, 상기 슬릿(121)은, 클립 부재(120)의 아치(120a) 중 상기 타단의 종단부(즉, 클립 부재(120)의 +y축 방향 종단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슬릿(121)의 둘레 중 일변이 개방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치(1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는 클립 부재(120)의 타단측 모서리(클립 부재(120)의 +y축 방향 종단 모서리)에 대응 또는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변이 개방된 상기 슬릿(121)은, 상기 아치(1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 형성된 요부(凹部, recession) 또는 홈으로 이해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lit 12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other end of the arch 120a of the clip member 120 (that is, the + y-axis direction edge of the clip member 120), and thus the slit (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121) may be opened. That is, one end edge of the arch 120a may correspond to or correspond to the other end edge of the clip member 120 (+ y axis direction edge of the clip member 120). Accordingly, the slit 121 having one side open may be understood as a recess or groove formed at a portion of one end edge of the arch 120a.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110)와 클립 부재(120)는 닫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릿(121)의 개방된 일변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클립 부재(120)와의 접촉에 의하여 닫혀 있을 수 있다. 시술자는 시술 시에 상기 슬릿(121)에 지정된 기구(50)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기구(50)가 슬릿(121)에 삽입되고, 상기 지정된 기구(50)가 상기 삽입된 방향(-y축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비틀림모멘트(torque)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와 클립 부재(120)는 일단에서 서로 분리될 수 있다(즉, 열릴 수 있다). In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se member 110 and the clip member 120 may be closed, and thus, an open side of the slit 121 may open the base member 110. ) And the clip member 120 may be closed. The operator may insert the instrument 50 specified in the slit 121 during the procedure. When the designated mechanism 50 is inserted into the slit 121, and the designated mechanism 50 rotates the inserted direction (-y axis direction) to the rotation axis, the base member 110 by the torsional moment (torque) And clip member 12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e, opened) at one end.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와 클립 부재가 일단에서 서로 분리된 상태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3 is a view illustrating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with the base member and the clip member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one end.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서 설명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정된 기구(50)가 슬릿(121)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된 방향(-y축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비틀림모멘트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와 클립 부재(120)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described in FIG. 2 is shown. 3, after the designated mechanism 50 shown in FIG. 2 is inserted into the slit 121, the inserted direction (-y axis direction) is rotated to the rotation axis, and the base member 110 is moved by the torsional moment. The clip members 120 are shown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ly 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10)와 클립 부재(120)가 일단에서 서로 분리되면, 클립 부재(120)의 아치(120a)의 내부, 즉, 아치(120a)와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은 개방될 수 있다. 시술자는 상기 개방된 공간에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를 위치시키고, 외력을 가하여 (예컨대, 치과용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개방된 공간을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 부재(120)의 아치의 내부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가 횡 방향으로 통과하게 되고,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와 단단히 결속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base member 110 and the clip member 1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one end, the interior of the arch 120a of the clip member 120, that is, the arch 120a and the base member 110, is separated. The space in which the second surface of the surface is opposed can be opened. The operator may position the orthodontic archwire 20 in the open space and close the open spac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eg, using a dental pliers). Accordingly, the orthodontic archwire 20 pass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interior of the arch of the clip member 120,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is to be firmly bound with the orthodontic archwire 20. Can be.

한편, 베이스 부재(110)에는,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홀(127)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과 치아는 접착제를 통하여 서로 부착되므로, 당해 부착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기 접착제의 일부가 홀(127)을 통해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으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홀(127)을 통해 유출된 접착제는,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 상기 홀(127)의 내벽, 및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에서 접착하므로, 치아와 치아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간의 접착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ase member 110 may further include a hole 127 penetrating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Since the first surface and the teeth of the base member 110 are attached to each other through the adhesive, a part of the adhesive may flow out through the hole 127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by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attachment. have. Since the adhesive leaked through the hole 127 is adher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the inner wall of the hole 127,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teeth and orthodontics are used. The adhesion between the bracket assemblies 100 may be further improved.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4A and 4B show cross-sectional views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4a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y축 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y축 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클립 부재(120)가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열려 있는지 여부만 상이할 뿐이다.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4A,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illustrated in FIG. 3 is shown. In FIG. 4B,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illustrated in FIG. 2 is illustrated. A cross section is shown. 4A and 4B differ only in whether the clip member 120 is open from the base member 110.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ly described configur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클립 부재(120)는 아치부(120a) 및 평탄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ip member 120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arch portion 120a and a flat portion 120b.

클립 부재(120)의 아치부(120a)의 일측 종단(Y측) 모서리는 클립 부재(120)의 타단(Y측) 모서리에 해당할 수 있다. 외력에 의하여 상기 아치부(120a)의 일측(Y측) 종단 모서리는 베이스 부재(110)와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 부재(120)의 아치부(120a)의 내부, 즉, 아치부(1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One end (Y side) edge of the arch portion 120a of the clip member 120 may correspond to the other end (Y side) edge of the clip member 120. One end (Y side) end edge of the arch portion 120a may be in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base member 110 by an external force. Accordingly, the space formed inside the arch portion 120a of the clip member 120,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arch portion 120a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may be opened or closed.

아치부(120a)의 단면은 반원 내지는 호(弧)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아치부(120a)의 단면은 사각형의 일부, 또는 다각형의 일부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아치부(120a)의 내부 공간, 즉, 상기 아치부(1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이 마주봄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cross section of the arch portion 120a may have a semicircle or an arc shap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ross section of the arch portion 120a may have a shape of a portion of a quadrangle or a portion of a polygon. An orthodontic archwire 20 is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arch portion 120a, that is, a space formed by facing an inner surface of the arch portion 120a and a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Can be.

클립 부재(120)의 평탄부(120b)는 상기 아치부(120a)로부터 연장되어, 클립 부재(120)의 일단(Y'측)에서 베이스 부재(11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클립 부재(120)의 평탄부(120b)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에 용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제가 유출될 수 있는 홀(125)(베이스 부재(110)에 형성된 제1 홀 및 클립 부재(120)에 형성된 제2 홀)은 클립 부재(120)의 평탄부(120b)와 베이스 부재(1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홀(127)은 베이스 부재(110)의 타단측(Y측) 인근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lat portion 120b of the clip member 120 may extend from the arch portion 120a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base member 110 at one end (Y ′ side) of the clip member 120. For example, some or all of the flat portion 120b of the clip member 120 may be weld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ole 125 (the first hole formed in the base member 110 and the second hole formed in the clip member 120) through which the adhesive may flow out may be the flat portion 120b of the clip member 120. ) And the base member 110 may be formed. Another hole 127 may be formed near the other end side (Y side) of the base member 110.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Figure 5 shows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200)는, 베이스 부재(210) 및 클립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base member 210 and a clip member 220.

베이스 부재(210)는 치아에 부착되는 제1 면(순측 방향; 뒷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설측 방향; 앞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210)는, 해당 베이스 부재(210)의 횡 방향 폭이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member 21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forward direction; rear surface) attached to a tooth and a second surface (lingual direction; front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member 210 may be formed so that the width of the base member 210 in the lateral direction toward the gingiva from the tooth end.

베이스 부재(210)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210)를 관통하는 제1 홀 (2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립 부재(220) 중 상기 제1 홀(225)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클립 부재(220)를 관통하는 제2 홀(2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first hole 225 penetrating the base member 210 may be formed in the base member 210. In addition, at least one second hole 225 penetrating the clip member 22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hole 225 is formed among the clip members 220.

클립 부재(220)는 베이스(210)와 유사한 크기로 설계되어, 상기 베이스(210)의 하단부에서 상기 베이스(21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220)의 일단은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에 고정될 수 있고, 클립 부재(220)의 타단은 외력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클립 부재(2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 부재 또는 치열교정용 사각 와이어(orthodontic rectangular archwire)(20r)가 노출될 수 있는 오프닝(223)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lip member 220 may be designed to have a size similar to that of the base 210, and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ase 210 at a lower end of the base 2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ne end of the clip member 220 may be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the other end of the clip member 220 is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by an external force Contact or separation. The clip member 220 may be formed with an opening 223 through which a binding member or an orthodontic rectangular archwire 20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pos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220)에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어있는 사각 아치(220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각 아치(220a)는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사각 아치(220a)의 내부, 즉, 사각 아치(2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는 공간은, 베이스 부재(210)의 횡 방향으로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가 상기 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200)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lip member 220 may be formed with a rectangular arch (220a) bent convexly upwards of the second surface. Square arch 2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 interior of the quadrangle arch 220a, that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quadrangle arch 220a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210. Orthodontic square archwire 20r may be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space. According to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200 shown in FIG. 5, the orthodontic square archwire 20r can be us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각 아치(220a)의 상방향 표면에는, 클립 부재(22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슬릿(221)은 클립 부재(220)의 사각 아치(220a)의 상방향 종단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릿(221)의 둘레 중 일변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변이 개방된 상기 슬릿(221)은, 상기 사각 아치(2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 형성된 요부(凹部) 또는 홈으로 이해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lit 221 penetrating the clip member 2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arch (220a).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slit 221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edge of the rectangular arch 220a of the clip member 220,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lit 221 may be opened. Accordingly, the slit 221 having one side open may be understood as a recess or a groove formed at a portion of one end edge of the square arch 220a.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 부재를 나타낸다. 6 illustrates a base member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 부재들(310, 410, 5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부재들(310, 410, 510)는, 사다리꼴,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이들의 꼭지점이 라운드된(round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부재들(310, 410, 510)의 횡 방향 폭은,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도 6 상에서 위에서 아래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부재(310, 410, 510)가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되더라도 치간유두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치아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적다. Referring to FIG. 6, base members 310, 410, and 510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re illustrated. The base members 310, 410, and 5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rapezoidal, triangular, pentagonal, hexagonal, or vertices thereof rounded shape. At this time, the transverse widths of the base members 310, 410, 510 may be designed to be narrowed (as directed from top to bottom in FIG. 6) toward the gingiva from the tooth tip. Accordingly, even if the base members 310, 410, and 510 are attached to the portion of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adjacent to the gingiva, the base member 310, 410, and 510 are hardly affected by the interdental papilla and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falling out of the tooth.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310)는 라운드된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310)는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즉, 도 6에 있어서 위에서 아래를 향함에 따라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치아와 부착되는 제1 면(310r)(베이스 부재(310)의 뒷면)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극대화되도록 지정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310r)의 반대 면인 제2 면(310f)(베이스 부재(310)의 앞면)에는 그 하단에 클립 부재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The base member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have a rounded triangular shape. The base member 310 may be formed to be narrowed from the end of the tooth toward the gingiva, that is, the width thereof is narrow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FIG. 6. A designated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310r (the back side of the base member 310) attached to the tooth so as to maximize the adhesive force by the adhesive. The clip member may be fixed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surface 310f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310), which is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310r.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410)는 라운드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410)는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즉, 도 6에 있어서 위에서 아래를 향함에 따라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치아와 부착되는 제1 면(410r)(베이스 부재(410)의 뒷면)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극대화되도록 지정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410r)의 반대 면인 제2 면(410f)(베이스 부재(410)의 앞면)에는 그 하단에 클립 부재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The base member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have a rounded trapezoidal shape. The base member 410 may be formed to be narrowed from the tooth tip toward the gingiva, that is, the width thereof is narrow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FIG. 6. A designated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410r (the back side of the base member 410) attached to the tooth so as to maximize the adhesion by the adhesive. A clip member may be fixed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surface 410f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410), which i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410r.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510)는 라운드된 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510)는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즉, 도 6에 있어서 위에서 아래를 향함에 따라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는 야구의 홈 플레이트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치아와 부착되는 제1 면(510r)(베이스 부재(510)의 뒷면)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극대화되도록 메쉬형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510r)의 반대 면인 제2 면(510f)(베이스 부재(510)의 앞면)에는 그 하단에 클립 부재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The base member 510 may have a rounded pentagonal shape. The base member 510 may be formed to be narrowed from the tooth tip toward the gingiva, that is, the width thereof is narrow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FIG. 6. Accordingly, the base member may have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baseball home plate. A mesh-shaped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510r (the back side of the base member 510) attached to the tooth so as to maximize adhesion by the adhesive. A clip member may be fixed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surface 510f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510), which i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510r.

도 6에서는 베이스 부재들(310, 410, 510)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횡 방향 폭이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설계되는 한, 베이스 부재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베이스 부재 뒷면의 패턴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극대화될 수 있는 한 다양한 패턴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각 베이스 부재들(310, 410, 510)을 보고, 이에 대응하는 클립 부재의 형상 및 크기를 쉽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In FIG. 6, the base members 310, 410, and 510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enter, but the shape of the base member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the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is designed to be narrowed toward the gingiva from the tooth tip. In addition, various patterns may be applied to the pattern of the back side of the base member as long as the adhesive force by the adhesive may be maximiz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see the respective base members 310, 410, 510 and easily derive the shape and size of the corresponding clip member.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다. 7 illustrates a binding member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 부재(110) 및 결속 부재(1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과 관련하여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base member 110 and the binding member 130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illustrated. A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may be omitt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속 부재(130)는 돌출부(130a) 및 고정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 부재(130)의 고정부(130b)는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앞면)의 중앙부 내지는 상단부 표면에 (예컨대,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130a)는 클립 부재(예: 도 2의 120; 도 7에는 미도시)의 아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inding member 130 may include a protrusion 130a and a fixing portion 130b. The fixing portion 130b of the binding member 130 may be fixed (eg, by welding) to the central or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front) of the base member 110. Accordingly, the protrusion 130a may be disposed inside the arch of the clip member (eg, 120 of FIG. 2; not shown in FIG. 7).

결속 부재(130)의 돌출부(130a)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앞면)과 함께 지정된 형상의 결속 홈을 이룰 수 있다.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는 상기 결속 홈에 안착됨으로써 결속 부재(130)와 결속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는 상기 결속 홈에 끼워질 경우, 결속 부재(130)의 돌출부(130a)에 의한 탄성력으로 인하여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30a)의 곡률은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의 그것과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otrusion 130a of the binding member 130 may form a binding groove having a specified shape together with the second surfac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Orthodontic archwire 20 may be bound to the binding member 130 by being seated in the binding groov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when the orthodontic archwire 20 is fitted into the binding groove, it may be more firmly fixed due to the elastic force by the protrusion 130a of the binding member 130. Therefore, the curvature of the protrusion 130a preferably has a value equal to or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orthodontic circular archwire 20.

도 7에 따르면, 결속 부재(130)의 돌출부(130a)와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앞면)이 이루는 결속 홈은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결속 홈의 단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직선과 곡선을 포함하는 도형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7, the binding groove formed by the protrusion 130a of the binding member 130 and the second surface (front) of the base member 110 is designed to be suitable for the orthodontic circular archwire 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inding groove may include a circle, a rectangle, a polygon, or a figure including a straight line and a curve.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110) 및 결속 부재(130)는 도 7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110) 및 결속 부재(13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도 8과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8,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shown. The base member 110 and the binding member 130 shown in FIG. 8 may correspond to the base member 110 and the binding member 130 shown in FIG. 7, respectively. With reference to FIG. 8,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ly described configur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는 먼저, 결속 부재(130)와 베이스 부재(110)가 이루는 결속 홈에 안착되어 (또는 끼워져) 일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시술자는 외력을 가하여 (예컨대, 치과용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의 내부 배치를 위해 열려있던 클립 부재(120)를 닫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는 클립 부재(120)의 닫힘에 따른 압박을 받아 이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결속 부재(130)의 존재로 말미암아,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와 더욱 안정적이고 더욱 강력하게 고정 결속될 수 있다. Orthodontic circular archwir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first fixed to (or fitted) seated in the binding groove formed by the binding member 130 and the base member 110. The operator may then apply an external force (eg, using a dental pliers) to close the clip member 120 that was open for internal placement of the orthodontic circular archwire 20. Through this, the orthodontic circular archwire 20 may be secondarily fixed under pressure of the closing of the clip member 120. Therefore,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shown in FIG. 8 can be more securely and more firmly fixed with the orthodontic circular archwire 20 due to the presence of the binding member 130.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다. 9 illustrates a binding member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 부재(210) 및 결속 부재(2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와 관련하여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a base member 210 and a binding member 230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illustrated.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may be omitt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속 부재(230)는 직각 돌출부(230a) 및 고정부(230b)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 부재(230)의 고정부(230b)는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앞면)의 중앙부 내지는 상단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각 돌출부(230a)는 클립 부재(예: 도 5의 220; 도 9에는 미도시)의 아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inding member 230 may include a right angle protrusion 230a and a fixing portion 230b. The fixing portion 230b of the binding member 230 may be fixed to the center portion or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Accordingly, the right angle protrusion 230a may be disposed inside the arch of the clip member (eg, 220 of FIG. 5; not shown in FIG. 9).

결속 부재(230)의 직각 돌출부(230a)는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앞면)과 함께 사각 결속 홈을 이룰 수 있다.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는 상기 사각 결속 홈에 안착됨으로써 결속 부재(230)와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속 홈의 내측 폭은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의 단면의 일변 길이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따르면, 결속 부재(230)의 직각 돌출부(230a)와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앞면)이 이루는 사각 결속 홈은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The right angle protrusion 230a of the binding member 230 may form a rectangular binding groove together with the second surfac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The orthodontic square archwire 20r may be coupled to the binding member 230 by being seated in the square binding groov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width of the binding groove has a value equal to or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orthodontic square arch wire 20r. According to FIG. 9, the rectangular binding groove formed by the right angle protrusion 230a of the binding member 230 and the second surface (front) of the base member 210 is designed to be suitable for the orthodontic square arch wire 20r. .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2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210) 및 결속 부재(230)는 도 9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210) 및 결속 부재(23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10,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shown. The base member 210 and the binding member 230 shown in FIG. 10 may correspond to the base member 210 and the binding member 230 shown in FIG. 9, respectively. With reference to FIG. 10,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ly described configur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는 먼저, 결속 부재(230)와 베이스 부재(210)가 이루는 사각 결속 홈에 안착되어 (또는 끼워져) 일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시술자는 외력을 가하여 (예: 치과용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의 내부 배치를 위해 열려있던 클립 부재(220)를 닫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는 클립 부재(220)의 닫힘에 따른 압박을 받아 이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orthodontic square archwire 20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irst be fixed to (or fitted into) a rectangular binding groove formed by the binding member 230 and the base member 210. The operator can then apply an external force (eg, using a dental pliers) to close the clip member 220 that was open for internal placement of the orthodontic square archwire 20r. Through this, the orthodontic square archwire 20r may be secondarily fixed by being pressed by the closing of the clip member 220.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200)는 결속 부재(230)의 존재로 말미암아,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와 더욱 안정적이고 더욱 강력하게 고정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시술자의 의도에 따라서는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를 뒤트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속 부재(230)는 직각 돌출부(230a)의 고유의 형상 및 클립 부재(220)의 고유한 형상으로 말미암아 상기 뒤트는 동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200 shown in FIG. 10 can be more securely and more firmly fixed with the orthodontic square archwire 20 due to the presence of the binding member 230.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may be performed to twist the orthodontic square arch wire (20). In this case, the binding member 230 may sufficiently support the twisting operation due to the inherent shape of the right angle protrusion 230a and the inherent shape of the clip member 220.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11 illustrates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는, 베이스 부재(310) 및 클립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base member 310 and a clip member 320.

베이스 부재(310)는 치아에 부착되는 제1 면(순측 방향(-z축 방향); 뒷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설측 방향(+z축 방향); 앞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310)는, 해당 베이스 부재(310)의 횡 방향(x축 방향) 폭이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y축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member 310 has a first surface (forward direction (-z-axis direction); rear side) attached to the tooth and a second surface (lingual direction (+ z-axis direction); front sid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It may inclu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member 310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310 is narrowed (as it faces the -y axis) from the tooth tip toward the gingiva. Can be.

베이스 부재(310)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310)를 관통하는 제1 홀 (3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립 부재(320) 중 상기 제1 홀(325)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클립 부재(320)를 관통하는 제2 홀(3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first hole 325 penetrating the base member 310 may be formed in the base member 310. In addition, at least one second hole 325 penetrating through the clip member 32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hole 325 is formed among the clip members 320.

클립 부재(320)는 베이스(310)와 유사한 형상 및 크기로 설계되어, 상기 베이스(310)의 하단부에서 상기 베이스(31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320)의 일단은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에 고정될 수 있고, 클립 부재(320)의 타단(+y축 방향 종단)은 외력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클립 부재(3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 부재 또는 치열교정용 와이어(20)가 노출될 수 있는 오프닝(323)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lip member 320 may be designed in a shape and size similar to that of the base 310, and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ase 310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end of the clip member 320 may be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310, and the other end (+ y-axis direction termination) of the clip member 320 may be formed by the external force. It may be in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side of 310. The clip member 320 may be formed with an opening 323 through which the binding member or the orthodontic wir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pos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320)에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어있는 아치(32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치(320a)의 내부, 즉, 아치(3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는 공간은, 베이스 부재(310)의 횡 방향(x축 방향)으로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가 상기 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lip member 320 may be formed with an arch 320a convexly curved upwards of the second surface. The interior of the arch 320a, that is,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arch 320a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310, may communic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310. Can be. Orthodontic archwire 20 may be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spa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치(320a)의 상방향(+y축 방향) 표면에는, 클립 부재(32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슬릿(321)은 클립 부재(320)의 아치(320a)의 상방향(+y축 방향) 종단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릿(321)의 둘레 중 일변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변이 개방된 상기 슬릿(321)은, 상기 아치(3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 형성된 요부(凹部) 또는 홈으로 이해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lit 321 penetrating the clip member 3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may be formed on an upper (+ y-axis direction) surface of the arch 320a.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lit 321 may be formed at an upward (+ y-axis direction) end edge of the arch 320a of the clip member 320, and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lit 321 may be opened. have. Accordingly, the slit 321 having one side open may be understood as a recess or a groove formed at a portion of one end edge of the arch 320a.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클립 부재(320)의 일단의 가장자리(-y축 방향 종단)는,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의 상방향(예: +z축 방향)으로 굽어져서 돌출될 수 있다(320n). 상기 돌출된 부분은 오버행(overhang)(320n)으로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버행(320n)은 클립 부재(320)의 일단의 종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의 상방향(예: +z축 방향)으로 굽어져서 돌출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the edge of one end (-y-axis direction termination) of the clip member 320 is bent in an upward direction (eg, + z-axis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310. It may be protruded (320n).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referred to as an overhang 320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verhang 320n extends from an end of one end of the clip member 320, and is bent and protrudes in the upward direction (eg, + z-axis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310. Can be.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찰 체인(70)은 각 치아에 부착된 브라켓 조립체(예: 30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결찰 체인(70)은 복수의 링(ring)이 사슬과 같이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결찰 체인(70)은 예컨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와 같이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 예에 따라서는 파워 체인(power chain)으로 참조될 수 있다. The ligation chain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nnect and fix a bracket assembly (for example, 300) attached to each tooth. The ligation chain 7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rings are connected like a chain. The ligation chain 7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rubber or elastomer, and in some embodiments, may be referred to as a power chain.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찰 체인(70) 중 하나의 '링'은 하나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링의 일부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와 함께 아치(320a)의 내부, 즉, 아치(3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링의 또 다른 일부는 앞서 설명한 오버행(320n)이 형성하는 홈에 끼워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one 'ring' of the ligation chain 70 may correspond to on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300. A part of the ring may be disposed together with the orthodontic archwire 20 in a space where the interior of the arch 320a,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arch 320a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310 face each other. The other part of the ring may be fitted into the groove formed by the overhang 320n described above.

도 12a 및 도 12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2A and 12B illustrate cross-sectional views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에서 설명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의 y축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b와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2A and 12B illustrate cross-sectional views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3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12A and 12B,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ly described configur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2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찰 체인(70)의 일부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와 함께, 아치(320a)의 내부 (즉, 아치(3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는 공간) 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찰 체인(70)의 또 다른 일부는 클립 부재(320)의 Y'측 종단부에 있는 오버행(320n)에 의해 결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A, a part of the ligation chain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gether with the orthodontic archwire 20, is an inner surface of the arch 320a (ie, the inner surface of the arch 320a and the base member). Spaces facing each other). Another portion of the ligation chain 70 may be ligated by an overhang 320n at the Y ′ side end of the clip member 320.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10)의 오버행(320n)은 베이스 부재(310)의 크기 범위로부터 벗어나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오버행(320n)은 클립 부재(320)의 Y'측 종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결찰 체인(70)의 상기 또 다른 일부는, 클립 부재(320)의 오버행(320n)(혹은, 돌출부)과 치아(미도시)가 이루는 홈에 결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A, the overhang 320n of the base member 310 may protrude out of the size range of the base member 310. That is, the overhang 320n may extend from the Y 'end of the clip member 320 to protrude. In this case,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part of the ligation chain 70 is ligated into the groove formed by the overhang 320n (or the protrusion) and the tooth (not shown) of the clip member 320.

도 12b는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b는 도 11에서 설명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의 y축 방향 단면도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2B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y-axis direc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3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찰 체인(70)의 일부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와 함께, 아치(320a)의 내부 (즉, 아치(3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는 공간) 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찰 체인(70)의 또 다른 일부는 클립 부재(320)의 Y'측 종단부에 있는 오버행(320n)에 의해 결찰될 수 있다. A part of the ligation chain 7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long with the orthodontic archwire 20, the interior of the arch 320a (ie, the inner surface of the arch 320a and the second of the base member 310) Spaces facing each other). Another portion of the ligation chain 70 may be ligated by an overhang 320n at the Y ′ side end of the clip member 320.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10)는 클립 부재(320)의 오버행(320n)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Y'측을 향하여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결찰 체인(70)의 상기 또 다른 일부는, 클립 부재(320)의 오버행(320n)과 베이스 부재(310)의 평탄 부분이 이루는 홈에 결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B, the base member 310 may be formed flat toward the Y ′ sid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verhang 320n of the clip member 320. In this case, the other part of the ligation chain 70 may be ligated into the groove formed by the overhang 320n of the clip member 320 and the flat portion of the base member 310.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립 부재(320)의 오버행(320n)에 결찰 체인(70)이 결찰됨에 따라, 복수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들은 결찰 체인(70)에 의한 탄성 복원력을 받게 된다. 각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들이 고정 부착된 치아들은 상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시술자가 의도한 소정의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할 수 있다. As the ligation chain 70 is ligated to the overhang 320n of the clip member 320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are subjected to elastic restoring force by the ligation chain 70. do. The teeth to which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are fixedly attached may slowly mo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tended by the operator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가령, 클립 부재(320)에 결찰 체인(70)을 위한 오버행(320n)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결찰 체인(70)은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들을 효과적으로 결속시키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오버행(320n)이 없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들에 결속 체인(70)을 적용하면, 결속 체인(70)의 링 하단이 자재(自在)로 움직이게 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한 치아 이동 효과가 현저히 낮아짐은 물론, 피시술자의 혀를 자극하는 등 피시술자의 착용감을 떨어뜨릴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re is no overhang 320n for the ligation chain 70 in the clip member 320, the ligation chain 70 may not effectively bind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300. In addition, when the binding chain 70 is appli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300 without the overhang 320n, the lower end of the ring of the binding chain 70 moves to the material, thereby moving teeth by elastic restoring force. Not only the effect is significantly lowered, but also the fit of the subject can be reduced by stimulating the tongue of the subject.

아울러,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Y'측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310)는 클립 부재(320)의 오버행(320n)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Y'측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310)와 클립 부재(320)는 서로 용접되어 고정된 채로, 도 12a에 도시된 오버행(320n)과 유사하게 동시에 굽어져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찰 체인(70)의 상기 또 다른 일부는, 베이스 부재(310)의 돌출부와 치아(미도시)가 이루는 홈에 결찰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illustrated in FIGS. 12A and 12B,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base member 31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verhang 320n of the clip member 320 on the Y ′ side. . That is, on the Y 'side, the base member 310 and the clip member 320 may be bent and protrude at the same time similarly to the overhang 320n shown in FIG. 12A while being welded and fix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other part of the ligation chain 70 may be ligated into the groove formed by the protrusion of the base member 310 and the teeth (not show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슬릿의 존재로 인하여 피시술자에 대해 불측의 상해를 가할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고유의 형상으로 인해 치간 유두에 의한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가 치아로부터 탈락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제1 면이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될 수 있어, 이른바 marginal ridge 간섭이 방지될 수 있음은 물론,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가 치아의 물리적 저항 중심점에 인접하게 부착되므로 치아의 효율적인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아치 내부의 결속 부재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와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의 결속을 더욱 강력하게 해 줌과 아울러,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의 입체적인 조정 및 조율을 가능케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베이스 부재 및/또는 클립 부재의 절곡 돌출부(예: 오버행(320n))는 결찰 체인의 이용을 가능케한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esence of a slit may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inadvertent injury to the subject. In addition, due to the inherent shape of the base member, interference by the interdental papilla can be reduced, so that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may not fall off or separate from the tooth. In addition, the first face of the base member may be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adjacent to the gingiva, so that so-called marginal ridge interference may be prevented, and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may be adjacent to the center of physical resistance of the tooth. Attachment allows efficient movement of the teeth. In addition, the binding member inside the arch has the advantage of strengthening the binding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nd the orthodontic archwire, and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the three-dimensional adjustment and tuning of the orthodontic archwire. In addition, the bent protrusions (eg, overhang 320n) of the base member and / or the clip member enable the use of the ligation chain.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are presented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disclosur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various other embodiment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Claims (1)

치아에 부착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일단이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어 있고, 외력에 의하여 타단이 상기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굽어있는 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치부 중 상기 제2 면과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은 상기 베이스의 횡 방향으로 연통하고,
상기 아치부의 일측 종단 모서리는 상기 클립의 상기 타단 모서리에 대응하며,
상기 아치부의 일측 종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는, 요부(凹部, recession)가 형성되어 있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A base comprising a first side attached to a tooth and a second side opposite the first side; And
And a clip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and the other end being in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surface by an external force.
The clip includes an arch portion bent in a convex arch shape,
The space formed in the arch portion facing the second surface communicat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ase,
One end edge of the arch portion corresponds to the other end edge of the clip,
The orthodontic bracket, in which recesses are formed in a part of one end edge of the arch portion.
KR1020200018877A 2018-02-13 2020-02-17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1022979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877A KR102297927B1 (en) 2018-02-13 2020-02-17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358A KR102080210B1 (en) 2018-02-13 2018-02-13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1020200018877A KR102297927B1 (en) 2018-02-13 2020-02-17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358A Division KR102080210B1 (en) 2018-02-13 2018-02-13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661A true KR20200019661A (en) 2020-02-24
KR102297927B1 KR102297927B1 (en) 2021-09-02

Family

ID=6963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877A KR102297927B1 (en) 2018-02-13 2020-02-17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92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169A (en) * 2004-09-02 2007-07-03 노버트 아벨스 Colored orthodontic brackets
KR20140008727A (en) * 2012-07-11 2014-01-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101409398B1 (en) * 2011-01-21 2014-06-20 토시아키 히로 Orthodontic bracket
KR20140144044A (en) * 2013-06-10 2014-12-18 김기수 Clip and hook functions with orthodontic devices
US20170086948A1 (en) * 2014-03-18 2017-03-30 Christoph Von Mandach Kit for an orthodontic brack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169A (en) * 2004-09-02 2007-07-03 노버트 아벨스 Colored orthodontic brackets
KR101409398B1 (en) * 2011-01-21 2014-06-20 토시아키 히로 Orthodontic bracket
KR20140008727A (en) * 2012-07-11 2014-01-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20140144044A (en) * 2013-06-10 2014-12-18 김기수 Clip and hook functions with orthodontic devices
US20170086948A1 (en) * 2014-03-18 2017-03-30 Christoph Von Mandach Kit for an orthodontic bra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927B1 (en)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3707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installation device for the bracket
US9492247B2 (en)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of correcting malpositioned teeth
JP5432356B2 (en) Orthodontic bracket with rotating tooth ligation cover
US20230200948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20010005575A1 (en) Orthodontic supporting structure
US20070134612A1 (en) Dento-facial orthopedic treatment and orthodontic arch wire for implementing the same
WO2005048868A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for mounting an arch wire on said bracket
JP2005185705A (en) Orthodontic support body
WO2005096984A2 (en) Self-ligating lingual orthodontic bracket
US11076936B2 (en) Ceramic self-ligating bracket with high labial pull strength
US6139317A (en) Orthodontic appliance
US11246683B1 (en) Orthodontic band attachment device
KR20200019661A (e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102080210B1 (e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102171983B1 (e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20160001380A (en) orthodontic bracket with self ligating slot
JP2019506975A (en) Orthodontic bracket
JP2017524454A (en) Orthodontic ligature
KR200492653Y1 (en) Opener for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WO2021249044A1 (en) Auxiliary correcting apparatus, shell-shaped tooth correcting device and correcting kit
CA2234947A1 (en) Orthodontic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